KR20050013351A -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3351A
KR20050013351A KR1020030051973A KR20030051973A KR20050013351A KR 20050013351 A KR20050013351 A KR 20050013351A KR 1020030051973 A KR1020030051973 A KR 1020030051973A KR 20030051973 A KR20030051973 A KR 20030051973A KR 20050013351 A KR20050013351 A KR 20050013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score
search
file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휘병
장형수
이호진
김재신
신항수
최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파이소프트
정보통신연구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파이소프트, 정보통신연구진흥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파이소프트
Priority to KR1020030051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3351A/ko
Publication of KR20050013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35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XML형식의 파일로 작곡한 곡의 악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작곡 소프트웨어와, XML형식의 악보를 해석하여 곡으로 재생할 수 있는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 및 인터넷연결이 가능한 사용자 컴퓨터와, 자바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율 또는 리듬을 입력하여, 악보를 검색할 수 있는 악보 제공사이트를 운영하는 사업자 서버와, 상기 사업자 서버와 연결되어 미디파일을 변환한 XML형식의 악보 파일들을 저장하는 악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업자 서버와 연결되며 회원들이 창작하여, 업로드한 악보를 저장하는 회원 악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악보 제공사이트에 가입한 회원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데이터베이스와, 미디 파일에서 음악적 의미를 가지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태그에 의해 정의되는 음악적 의미를 가지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XML형식의 악보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악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미디변환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미디 파일이 가지는 음악적 의미를 가지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직접 XML 파일 형식의 악보로 변환함으로써,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Offer System For Score Using Interne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익을 발생시키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상에서 제공되는 악보의 형식은 비트맵 이미지 파일이거나, pdf 형식의 파일 포맷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악보의 제공을 위하여 악보를 비트맵 이미지나, pdf형식으로 변환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악보의 검색, 플러그-인이 설치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방법은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수작업으로 기존의 종이 악보를 비트맵 이미지나 pdf 등의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여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구축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의 비트맵 이미지나 pdf 파일 형식의 악보는 그 악보 자체에 악보 검색을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별도로 그 악보를 검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해 두어야 했으며, 이는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방법은 공개특허공보 2001-0102861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종래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악보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클라이언트(20)와 악보제공서비스업자의 웹사이트의 서버(22)가 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상기 서버(22)는 악보데이터·악보책테이터·편집방식데이터 등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D/B(24)와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악보 및 악보책을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26)를 구비한다. 클라이언트(20)는 PC, PDA, 휴대전화기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2)에 접속할 수 있다. 즉, PC일 경우에는 유선 WEB방식으로 또는 PDA나 휴대전화기일 경우에는 무선 WAP방식으로 서버(22)에 접속한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및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D/B화단계(S310), 곡검색단계(S320), 선곡단계(S322), 편집방식선택단계(S324), 미리보기단계(S330), 결제단계(S340) 및 제작/배송단계(S350) 순으로 이루어진다.
위의 각 단계가 완료되면 후속 단계로의 이행은 물론, 이전 단계로의 복귀도 가능하다. 예컨대, 미리보기를 거친 후, 소비자는 자신이 선택한 편집 방식의 변경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되돌아가기' 단추를 클릭하거나, 복귀하고자 하는 단계의 단추를 직접 클릭함으로써 이전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창 분할을 통하여 하나의 창 내에서 소정 단계 실행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별도의 복귀 명령 없이 원하는 작업 명령의 단추(또는 하이퍼텍스트)를 클릭함으로써 자동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계 이외에 클라이언트 로그인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각 소비자의 정보를 축적하여, 차후에 동일 또는 다른 소비자가 악보제공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 때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로그인단계에서 입력된 각 소비자의 연령 데이터는 동일 연령대의 음악에 대한 취향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고, 이는 곡검색단계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B화단계(S 310)에서는, 각 곡에 대한 악보뿐만 아니라 해당곡의 장르, 발표시기, 순위, 연령, 성별, 가수, 작곡가, 작사가, 악기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D/B(24)에 D/B화 하여 장르별, 발표시기별, 순위별, 연령별, 성별, 가수별, 작곡가별, 작사가별, 악기별 검색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곡검색단계(S 320)에서는, 클라이언트(20)가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검색어 입력은 클라이언트(20)가 검색어를 직접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하거나, 미리 설정된 검색어를 사용자가 클릭함으로써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검색어 직접 입력방식으로는 예컨대, 클라이언트(20)가 해당 곡명을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하여, 해당 곡이 서버D/B에 존재하며 악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 검색을 할 수 있다. 해당 곡이 서버D/B에 존재하면 정확한 곡명이 디스플레이되어 클라이언트(20)가 선곡을 위하여 클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의 미리 설정된 검색어로는 장르별, 발표시기별, 순위별, 연령별, 가수별, 작곡가별, 작사가별 또는 악기별 등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검색어가 설정되고, 이들의 중복 검색도 가능하다. 미리 설정된 검색어를 클릭하는 방식으로는, 예컨대, '30'의 연령, '남성'의 성별, '팝송'의 장르, '1985'년 발표, '1'위의 순위를 입력하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곡의 목록이 디스플레이 되어진다. 클라이언트(20)는 서버(22)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어진 목록 중에 자신이 원하는 곡을 클릭하여 선곡을 하게 된다. 곡검색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되어지는 사항으로는 곡명뿐 아니라 관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곡명과 더불어 가수, 작곡가, 작사가, 발표 시기 등의 내용이 클라이언트(20)에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관련정보는 연동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서버(22)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곡에 대한 곡 정보 등을 미리 저장하여 두고 있는 서버D/B(24)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클라이언트(20)는 자신이 원하는 곡에 대한 상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손쉽게 곡을 찾아낼 수 있게 된다.
선곡단계(S 322)에서 클라이언트(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곡검색단계(S 320)에서 서버(22)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곡 목록 중 자신이 원하는 곡 단추를 클릭함으로써 곡선택을 할 수 있다. 곡 단추는 1회의 클릭에 의하여 선택이 되고, 다시 1회의 클릭에 의하여 취소가 되도록 구성된다. 곡단추 클릭에 의하여 선택된 곡은 클라이언트(20)가 다시 클릭을 하여 선택 취소를 하거나, 본 서비스 접속을 비정상적으로 종료하지 않는 한, 유효한 선택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20)는 선곡 단계(S 322)를 완료한 후, 곡검색단계(S 320)로 복귀하여 이미 선택한 곡 이외에 추가적인 곡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선곡단계(S 322)에서 곡이 선택되면 서버(22)는 그 곡에 대한 관련정보를 자동으로 클라이언트(20)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준다. 관련정보로는 가수, 작곡가, 작사가와 아울러 그들의 발표곡 목록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20)는 관련된 곡을 손쉽게 선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관련정보를 기초로 곡검색을 할 수도 있는데, 이는 곡검색단계로서 기능한다. 예컨대 선곡 창과 동일한 창 내에서 관련정보로서 선택된 곡의 가수명을 하이퍼텍스트(Hypertext)로서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경우, 가수명을 클릭하는 것과 그에 따라 그 가수가 발표한 곡 목록을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것은 곡검색단계(S 320)로서 행해지는 것이므로, 곡검색단계(S 320)로 복귀하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선곡단계(S 322)는 예비선곡단계, 음향제공단계 및 본선곡단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20)가 곡을 예비적으로 선택하게 되면, 서버(22)는 클라이언트(20)에서 예비선택한 곡을 음향으로 제공하여 주고, 클라이언트(20)는 음향을 제공받은 후 그 곡 단추를 다시 클릭함으로써 선택을 취소할 수 있다. 물론, 그 곡 단추를 다시 클릭하지 않으면 유효한 선택곡으로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20)는 자신의 불확실한 기억에 의존하지 않고 실제 음악을 듣고 곡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향 제공은 서버D/B(24)가 해당 곡에 대한 MP3 파일 등을 미리 가지고 있어 이를 재생하여 줄 수도 있고, 서버D/B(24)의 데이터량을 줄이기 위하여 MP3 파일 등을 가지지 않고, 단순히 악보로부터 음의 높낮이와 길이만으로 곡을 연주하여 주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선곡단계(S 322)는 인터넷음악 방송을 청취하면서 현재 AOD 등으로 제공되고 있는 곡을 클라이언트(20)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AOD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에는 음악 데이터뿐만 아니라, 곡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동시에 갖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서비스의 서버(22)는 클라이언트(20)의 상기 곡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곡 정보를 이용하여 그 곡을 선택곡으로 처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클라이언트(20)는 상기 서버(22)와 접속을 유지한 상태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거나, 또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서버로부터 다운받아 설치한 후 그 프로그램의 실행 하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여야 한다.
편집방식선택단계(S 324)는 책형 크기 등과 같은 단지 형식적인 편집방식의 선택뿐만 아니라, 실체적인 편집내용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기타 악보, 드럼 악보, 베이스 악보, 키보드 악보, 피아노 악보, 멜로디 악보 또는 O.S.T 악보 등의 선택이 이에 해당될 것이다. 따라서, 악기를 다루는 이들도 손쉽게 자신이 원하는 악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기타 악보는 기타 1과 기타 2의 악보로 나누어지며, 기타 1의 악보는 곡의 전체적인 흐름을 리드하는 리드파트 기타 악보이며, 기타 2의 악보는 곡의 리듬을 담당하는 파트로 전체적인 곡의 리듬을 주도하고 backing을 담당한다. 드럼 악보는 멜로디와 드럼악보를 포함한 악보이다. 베이스 악보는 보통 4현의 악보로 제작되어지지만 최근에는 5현 또는 6현의 베이스를 사용하는 곡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5현 또는 6현으로 제작한다. 키보드 악보는 신디사이저 위주의 악보이며, 왼손, 오른손 포지션별 악보로 구분되며 때에 따라 피아노 악보로 제작된다. 피아노 악보는 2staff(멜로디, 반주)와 3 staff(멜로디, 오른손 연주용, 왼손 연주용)로 이루어진 피아노 악보로서, 종래의 악보의 획일적인 제작방식을 탈피한 소비자 중심의 악보이다. 멜로디 악보는 코드, 멜로디, 가사로 이루어진 악보이다. O.S.T는 멜로디와 2 staff(멜로디, 반주)로 이루어진 악보로 최신영화 개봉과 동시에 악보를 제작하여 서비스를 한다.
편집방식선택단계(S324)가 완료되면, 클라이언트(20)가 선택한 곡 및 편집 방식에 따라 미리보기 악보를 웹상에서 클라이언트(20)에게 제공하는 미리보기단계(S 330)가 이어진다.
결제단계(S 340)가 완료되면,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곡 및 편집방식에 따라 지면 악보를 제작하여 주문자에게 배송하는 제작·배송단계(S 350)가 이어진다. 악보의 제작 및 배송은 통상적인 파일다운로드 방식뿐만 아니라, POD(Print On Demand)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POD 시스템이란, 클라이언트(20)의 주문이 있을 경우 서버(22)가 서버D/B(24)로부터 선택한 파일을 찾아 이를 바로 프린터 출력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를 이용하면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곡만을 선택한 경우뿐만 아니라, 다수의 곡을 선택한 경우에도 악보의 제작이 예를 들어 30분 내지 1시간 정도의 상당히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하다. POD 시스템에서의 프린터 출력은 클라이언트측 프린터 출력 또는 서비스제공자인 서버측 프린터 출력 중 어느 것으로도 가능하다. 하나의 곡 또는 작은 수의 곡을 선택하여 프린트할 페이지가 작은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측 프린터 출력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프린트할 양이 많거나 양질의 프린팅을 원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측의 프린터(26)를 이용하는 서버 측 프린터 출력이 양호하다. 파일다운로드 방식 또는 클라이언트 측 프린터 출력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다운로드 또는 프린터 출력이 그 자체로서 배송의 기능을 겸하는 것이며, 서버 측 프린터 출력의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루 내지 이틀의 오프라인 배송 기간이 소요된다.
서비스제공업자가 미리 정한 소정의 곡들을 모아 놓은 악보책을 D/B화 해두고 클라이언트가 이를 선택하도록 하여, 클라이언트의 선택 및 결제가 있은 후에 비로소 악보책의 제작 및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악보제공서비스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서비스제공자가 미리 선곡한 곡들을 모아놓은 악보책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기존의 오프라인 출판 방식에 의한 악보제공서비스방법과 유사하나, 클라이언트의 선택 및 결제가 있은 후에 비로소 악보책의 제작 및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즉, 주문이 들어올 경우에 한해서만 출판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작비에 대한 부담감과 재고처리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악보 제공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및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종래 악보 제공방법은 악보제공서비스업자가 복수의 곡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악보책에 해당하는 악보책데이터와 각 악보책에 대한 편집방식데이터를 서버D/B(22)에 저장하는 D/B화단계(S 410); 클라이언트(20)의 악보책 선택을 웹상에서 입력받는 악보책선택단계(S 420) 및 클라이언트(20)의 편집방식 선택을 웹상에서 입력받는 편집방식선택단계(S 422)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선택단계; 서버(22)가 상기 클라이언트(20)가 선택한 악보책에 해당하는 악보책 데이터를 서버D/B(24)로부터 로드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20)가 선택한 편집방식에 따라 편집하여 제작된 미리보기 악보책을 웹상에서 클라이언트(20)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미리보기단계(S 430);클라이언트(20)의 온라인 결제를 웹상에서 입력받는결제단계(S 440); 및 클라이언트의 결제가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악보책 데이터 및 편집방식에 따라 지면 악보책을 제작 및 배송하는 제작 및 배송단계(S 4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미리 D/B화된 악보책을 제공하는 방식의 악보제공서비스방법은 앞서 설명한 개개의 곡을 선택하는 악보제공서비스방법과 각 단계가 상호 유사하며, 유사한 부분에 한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D/B화단계(S 410)에서, 상기 악보책은 악보제공서비스업자의 기획의도에 따라 복수의 곡을 모아 한 권의 악보책으로 제작하는 기존의 악보책 제작 방식으로 D/B화 한다.
상기 클라이언트(20)로는 자신이 보기 위하여 악보책을 원하는 개개의 개인 소비자 또는 악보책의 판매를 위하여 악보책을 원하는 서점업자를 포함한다.
상기 편집방식데이터는 악보책의 크기, 목차, 순서, 악보책 표지 및 내용의 레이 아웃 등 악보책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B화단계(S 420)에 있어서, 상기 편집방식은 하나의 악보책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편집방식을 D/B화 하여 클라이언트(20)가 이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통상적인 방식을 취할 수도 있으나, 선택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악보책에 대하여 고유한 편집방식이 일체로 연동되는 방식으로 저장하여 클라이언트(20)가 악보책을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악보책에 대한 편집방식이 동시에 선택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리보기단계(S 430)는 소정 모양으로 레이 아웃된 표지를 갖춘 악보책을 보여주는 화면을 팝업시키는 방식으로 간략화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작·배송단계(S 45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20)가 악보책을 주문하면 서버D/B(24)로부터 악보책데이터 및 편집방식데이터를 로딩한 후 POD(Print On Demand) 시스템을 이용하여 악보책을 제작·배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문이 있을 경우 미리 D/B화 된 파일로부터 바로 프린터 출력하는 시스템인 POD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클라이언트(20)가 상당한 수의 곡을 포함하는 악보책을 주문한 경우에도 예를 들어 30분 내지 1 시간 정도의 짧은 시간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이때 악보책은 통상 다수의 곡을 모은 책이므로 서버측 프린터(26)를 이용한 출력 방식이 양호하다. 또한 이 같은 서버측 프린터 출력 방식은 출력한 악보책을 오프라인 상으로 배송하여야 하므로 하루 내지 이틀 정도의 배송기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방법은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악보를 스캐닝하여 비트맵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거나, 수작업으로 악보를 입력해야 함으로써, 악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악보 파일을 저장하면서, 그 악보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정보를 함께 저장해야 함으로써, 작업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악보를 제공하는 방식이 악보 제공 서비스 제공자 일방에서만 가능하도록 되어있어 사용자가 작곡 또는 악보의 편집을 하고자 하는 경우 등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방법은 악보를 검색하기 위해 제목, 작곡자, 가수 등의 텍스트를 사용자가 미리 알고 있어야 하며, 이와 같은 악보의 정보를 모르는 경우에는 검색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악보의 파일형식을 XML형식으로 하여, 그 XML을 구성하는 태그를 이용하여 악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악보 검색을 위한 별도의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에 있어서, 기존의 음악적 의미를 가지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들을 직접 악보로 자동 변환하여 구축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 내에 방대한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악보를 수정하거나, 직접 작곡을 한 악보를 악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하는 등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악보의 사용자들이 작곡한 악보를 검색 가능하도록 저장하고, 사용자들이 작곡한 악보의 다운로드 회수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이익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XML형식의 파일로 작곡한 곡의 악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작곡 소프트웨어와, XML형식의 악보를 해석하여 곡으로 재생할 수 있는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 및 인터넷연결이 가능한 사용자 컴퓨터와, 자바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율 또는 리듬을 입력하여, 악보를 검색할 수 있는 악보 제공사이트를 운영하는 사업자 서버와, 상기 사업자 서버와 연결되어 미디파일을 변환한 XML형식의 악보 파일들을 저장하는 악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업자 서버와 연결되며 회원들이 창작하여, 업로드한 악보를 저장하는 회원 악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악보 제공사이트에 가입한 회원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데이터베이스와, 미디 파일에서 음악적 의미를 가지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태그에 의해 정의되는 음악적 의미를 가지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XML형식의 악보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악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미디변환장치로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미디파일을 XML형식의 악보파일로 변환하여,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그 악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악보 파일들을 검색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를 구축하는 서비스 준비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인증 또는 회원가입을 수행하는 접속단계와; 상기 접속한 회원이 작곡 소프트웨어와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를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받으며, 다운받는 경우에 한하여 결재를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단계와; 상기 회원이 일반검색, 회원악보검색, 회원악보 업로드 메뉴를 선택하는 서비스 선택단계와; 상기 서비스 선택단계에서 일반검색을 선택한 경우, 회원이 입력하는 검색정보를 포함하는 악보를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악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검색한 악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일반검색단계와; 상기 서비스 선택단계에서 회원악보검색을 선택한 경우, 회원이 입력하는 검색정보를 포함하는 악보를 회원들이 창작한 악보를 저장하는 회원 악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검색한 악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회원악보검색단계와; 상기 서비스 선택단계에서 업로드를 선택한 경우, 회원이 창작한 악보를 선택하고, 전송하여 상기 회원 악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업로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및 순서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악보 제공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및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악보를 표현하는 XML형식 파일의 일실시 예도.
도 7은 제너럴 미디 파일의 데이터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용자 컴퓨터 200 : 인터넷망
300 : 사업자 서버 400 : 악보 데이터베이스
500 : 미디 변환부 600 : 사용자 악보 데이터베이스
700 : 회원 데이터베이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악보를 편집 또는 새로운 악보를 생성할 수 있는 작곡 소프트웨어와, 악보가 가지는 음악적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재생하는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며, 인터넷(200) 접속이 가능한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100)와; 상기 인터넷(200)상에서 접속한 사용자들이 악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악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와 작곡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를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300)와; 상기 사업자 서버(300)에 연결되어 XML형식의 악보데이터를 저장하는 악보 데이터베이스(400)와; 미디 음악파일을 XML형식의 악보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악보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는 미디 변환부(500)와; 상기 사업자 서버(30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100)에 설치된 작곡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작곡한 악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악보 데이터베이스(600)와; 상기 사업자서버(300)가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가입한 회원의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700)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방법의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100)를 이용하여 사업자 서버(300)가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S510)와; 상기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인지 판단하는 단계(S511)와; 상기 판단결과 회원이 아니면 유/무료 회원을 가입하는 단계(S512)와; 상기 S511단계의 판단결과 회원이면 작곡 소프트웨어 및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513)와; 상기 작곡 소프트웨어 및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의 설치를 선택한 경우, 결재 화면을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절차를 통해 결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14)와; 상기 결재가 완료되면 상기 작곡 소프트웨어 및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15)와; 상기 S513단계에서 소프트웨어 설치를 선택하지 않거나, 상기 다운로드 및 설치가 완료된 후에, 사용자가 일반 악보를 검색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S520)와; 상기 일반 악보 검색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검색어, 리듬 또는 선율을 입력하고,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S521)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리듬 또는 선율에 해당하는 악보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S522)와; 상기 목록 중에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원하는 악보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523)와; 상기 다운로드의 요청이 있으면, 소정의 결재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결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34)와; 상기 결재가 완료되었으면 선택한 악보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S525)와; 상기 다운로드가 완료되거나, 다운로드를 원하지 않은 경우, 다른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 아니면 종료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S550)와; 상기 사용자가 다른 서비스를 원하는 경우 해당위치로 화면을 이동하도록 하는 단계(S551)와; 사이 S520단계에서 사용자가 일반 검색을 원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들이 업로드 한 악보를 검색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S530)와; 상기 사용자들이 업로드 한 악보를 검색하는 경우, 사용자가 검색어, 리듬 또는 선율을 입력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S531)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리듬 도는 선율에 부합하는 악보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S532)와; 상기 검색결과 중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원하는 악보가 있는지 판단하여 다운로드 하지 않으면 상기 S550단계로 이동하는 단계(S533)와; 상기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선택하였으면 결재화면으로 이동하여 결재를 수행하는 단계(S534)와; 상기 결재가 완료되었으면 선택한 악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S535)와; 상기 다운로드된 악보를 업로드한 사용자에게 악보의 사용료를 송금하고, 상기 S550단계로 이동하는 단계(S536)와; 상기 S530단게의 판단결과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악보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악보를 업로드할 것인지 판단하여 업로드를 하지 않을 것이면, S550단계로 이동하는 단계(S540)와; 상기 업로드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작곡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작곡한 악보를 선택하는 단계(S541)와; 선택한 악보를 전송하는 단계(S542)와; 상기 업로드한 악보를 사용자 악보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한 후, 상기 S550단계로 이동하는 단계(S543)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S510단계에서는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100)를 이용하여 상기 사업자 서버(300)가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다.
상기 사업자 서버(300)가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는 다양한 수익모델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중 악보를 검색하고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악보 제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사업자 서버(300)에서 악보 제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악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악보 데이터베이스(400)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회원의 확인과 결재정보의 확인을 위한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700)를 구비한다.
상기 악보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는 악보 데이터는 기존의 비트맵 이미지 파일 또는 pdf형식의 파일이 아닌 음악적인 의미를 가지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의 형태이며, 플러그 인을 설치한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악보로 표시할 수 있는 형식의 파일이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파일의 예로는 XML형식의 파일을 예로 할 수 있다.
상기 XML형식의 파일은 1996년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제안하였다. HTML보다 홈페이지 구축 기능, 검색 기능 등이 향상되었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복잡한 데이터 처리를 쉽게 한다. 또한 인터넷 사용자가 웹에 추가할 내용을 작성, 관리하기에 쉽게 되어 있다.
이밖에 HTML은 웹 페이지에서 데이터베이스처럼 구조화된 데이터를 지원할 수 없지만 XML은 사용자가 구조화된 데이터베이스를 뜻대로 조작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 XML 문서들은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문서 형식을 따르고 있다. XML은 SGML의 부분집합이라고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응용판 또는 축약된 형식의 SGML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악보를 표현하기 위한 XML형식의 파일의 예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에서 <movement-title></movement-title> 태그 내에 위치하는 텍스트는 곡의 제목을 뜻하며, 작곡자는 <rights></rights> 태그 내에 정의 된다.
또한, 상기 악보의 첫 음인 '라'음을 나타내는 경우 <pitch></pitch>태그내의 <step></step>태그에 '라'의 영문 표기인 'A'가 기재되고, 그 음의 길이가 <duration></duration> 태그에 정의된다.
다음 음인 '시'역시 <pitch></pitch> 태그 내의 <step></step> 태그 내에 'B'로 정의 된다.
이와 같은 XML 형식의 악보는 사업자가 직접 그 XML 형식의 악보를 만들 수 있지만, 이는 악보의 입력시간이 지연되어 악보 데이터베이스(400)를 구축하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미디파일을 XML 형식의 악보로 변환하는 미디변환부(500)를 사용한다.
상기 미디변환부(500)는 악보 데이터베이스(400)를 구축하기 위한 하나의 시스템으로 미디변환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으며, 악보 데이터베이스(400)에 그 변환된 악보를 저장할 수 있는 컴퓨터를 그 예로 할 수 있다.
상기 미디변환부(500)는 기존의 미디파일이 가지고 있는 음악적 의미를 가지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상기 악보를 표현하는 XML 형식의 파일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사업자는 보다 용이하게 악보 데이터베이스(400)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제너럴 미디 파일의 데이터 구조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너럴 미디 데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디 데이터는 16비트의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전체적인 구성은 헤더(510), 트랙 헤더(520), 트랙 데이터(530)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헤더(510)는 아이디와, 헤더의 길이를 지정하는 부분, 미디 파일의 포맷 형식, 트랙의 수, 시간 분할 등의 기본적인 미디파일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분이다.
상기 트랙 헤더(520)는 아이디와, 트랙 헤더의 크기를 지정하는 사이즈 부분, 트랙의 박자를 설정하는 박자 기호 부분, 키를 지정하는 키 기호 부분, 트랙의 끝을 지정하는 트랙 종료 부분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트랙 데이터(530)부분은 음악적 의미를 가지는 데이터 부분으로서, 상기 미디변환부(500)는 상기 트랙 데이터(530)의 음악적 의미를 가지는 데이터 부분에 XML 파일의 태그를 지정하여 XML 파일에서 음의 높이, 길이, 강약을 표시하는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미디변환부(500)는 빠른 시간내에 다수의 악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악보 데이터베이스(400)의 구축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상기 사업자가 사업자 서버(300)를 통한 서비스 공간을 마련하고, 그 악보 데이터베이스(400)를 용이하게 구축하여 컨텐츠를 마련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들을 회원으로 확보하고, 악보 제공서비스를 하게 된다.
그 다음, S511단계에서는 상기 S510단계에서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인지 확인한다.
그 다음, S512단계에서는 상기 S511단계의 판단결과 회원이 아니면 회원가입을 유도한다.
상기 회원은 유료 회원과 무료 회원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유료 회원의 경우에는 사업자 서버(300)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와,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무료 회원의 경우에는 그 이용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 S513단계에서는 회원에 대하여 작곡 소프트웨어와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것인지 확인한다.
상기 작곡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컴퓨터(10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작곡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그 작곡된 악보의 저장형식을 XML파일의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작곡 소프트웨어는 XML파일 이외의 파일 형식으로 악보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나타낼 수 있는 XML파일 형식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작곡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작곡을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작곡된 곡의 악보는 음악적 의미를 가지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XML파일로 저장되며, 이는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에 의해 해석되어 음으로 재생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직접 작곡한 곡의 악보를 상기 사업자 서버(300)로 전송하여, 사용자 악보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자신이 작곡한 곡의 악보가 다운로드 될 때마다 소정의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이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 다음, S514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작곡 소프트웨어와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경우, 그 소프트웨어들의 사용료를 지불할 수 있는 결재 화면으로 이동한다.
사용자는 카드, 온라인 입금 등의 결재 수단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의 사용료를 결재한다.
그 다음, S515단계에서는 상기 결재가 정상적으로 처리된 후, 그 소프트웨어들을 사용자 컴퓨터(100)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허용 한다.
상기 사용자는 다운로드 받은 작곡 소프트웨어와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를 사용자 컴퓨터(100)에 설치하고 사용한다.
그 다음, S520단계, S530단계 및 S540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어떤 서비스를 이용할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실제 사업자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에서는 사용자가 특정한 서비스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상기 S520단계는 사용자가 일반 검색을 선택한 것이며, 일반 검색이라 함은상기 사업자 서버(300)의 악보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악보를 검색하는 것을 뜻한다.
상기 사용자가 일반 검색을 선택하면, S521단계를 수행하며 사용자는 곡의 이름, 작곡자 등의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악보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악보들을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악보 검색인 특정한 리듬이나 선율을 가지는 악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일반검색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자바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리듬 또는 선율을 직접 입력하고, 검색을 실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검색을 위한 자바 응용프로그램은 오선이 표시되며, 다양한 음표와, 쉼표, 박자표 등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그 오선에 순차적으로 입력/표시되는 형태로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입력한 후, 검색을 실행하면 상기 사업자 서버(300)는 악보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악보 중 일치하는 악보를 검색한다.
그 다음, S522단계에서는 그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또는 검색 리듬, 선율과 일치하는 악보의 목록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상기 표시되는 악보의 목록을 선택하면 악보의 상세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거나, 직접 그 악보의 일부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S523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이 찾고자 하는 악보를 찾은 경우,그 악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다운로드 받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서비스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S550단계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S523단계에서 사용자가 특정한 악보를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S524단계의 결재를 수행하고, 결재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후, S535단계에서 그 악보를 사용자 컴퓨터(100)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허용한다.
상기 다운로드 되는 악보는 복사 등이 불가능하도록 소정의 방법으로 암호화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컴퓨터(100)로 다운로드된 악보는 사용자가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직접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으며, 작곡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악보를 편집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일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자신이 작곡한 곡의 악보를 업로드하여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S540단계에서 악보의 업로드를 선택한다.
그 다음, S541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업로드할 악보를 사용자 컴퓨터(100)에 저장된 악보 XML파일을 선택한다.
그 다음, S542단계에서는 선택한 악보 파일을 상기 사업자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 다음, S543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악보 파일을 전송받은 사업자 서버(300)는 그 악보 파일을 사용자 악보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악보 데이터베이스(600)를 저장하면서, 그 악보를 업로드한 사용자의 회원 아이디 등의 저작권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상기의 서비스 이외에 상기 사용자 악보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된 악보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S530단계에서 사용자가 업로드한 악보의 검색을 선택한다.
그 다음, S531단계에서는 상기 S521단계에서와 같이 곡의 제목의 일부 또는 전부, 저작권자 등의 텍스트 정보를 사용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정한 리듬이나 선율을 포함하는 악보를 검색할 수 있다.
그 다음, S532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검색 리듬 또는 선율에 부합하는 사용자 악보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된 악보가 있으면 그 악보의 목록을 표시한다.
그 다음, S533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검색결과를 확인하여, 특정한 악보를 다운로드 받을 것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악보를 다운로드 받지 않는 경우에는 S550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S550단계는 사용자가 서비스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일반검색, 사용자 업로드 악보 검색, 업로드 등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페이지를 표시한다.
그 다음, S534단계에서는 사용자가 S533단계에서 특정한 악보를 다운로드 받고자 하면 결재를 수행하고, 그 결재가 완료되면 S535단계에서 선택한 악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허용한다.
그 다음, S536단계에서는 상기 다운로드된 악보를 업로드한 특정 사용자의 계좌로 그 악보의 사용료를 송금한다.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와 사용자의 계좌정보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700)에 저장되어 있으며, 자동으로 다운로드된 악보의 저작권자의 계좌에 소정의 금액이 즉시 입금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음악을 작곡하고, 자신이 작곡한 음악을 공개하여 그 음악에 대한 여러 사용자들의 평가를 들을 수 있으며, 수익의 창출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운로드 받은 악보는 사용자가 작곡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편집을 하거나, 출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청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악보의 파일형식을 XML형식으로 하여, 텍스트 및 특정한 리듬이나 선율을 이용하여 악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악보 검색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악보를 설명하는 텍스트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음으로써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디 파일이 가지는 음악적 의미를 가지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직접 XML 파일 형식의 악보로 변환함으로써,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보다 빠르고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곡을 작곡하고, 이를 용이하게 출판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인터넷연결이 가능한 사용자 컴퓨터와,
    자바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율 또는 리듬을 입력하여, 악보를 검색할 수 있는 악보 제공사이트를 운영하는 사업자 서버와,
    상기 사업자 서버와 연결되어 미디파일을 변환한 XML형식의 악보 파일들을 저장하는 악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업자 서버와 연결되며 회원들이 창작하여, 업로드한 악보를 저장하는 회원 악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악보 제공사이트에 가입한 회원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데이터베이스와,
    미디 파일에서 음악적 의미를 가지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태그에 의해 정의되는 음악적 의미를 가지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XML형식의 악보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악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미디변환장치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는 XML형식의 파일로 작곡한 곡의 악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작곡 소프트웨어와, XML형식의 악보를 해석하여 곡으로 재생할 수 있는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가 셋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곡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작곡한 곡의 악보를 XML파일 또는 미디파일로 저장하며, 작곡한 악보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업자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검색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자바 응용프로그램은 오선과, 악보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아이콘을 포함하여, 그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이 순차적으로 오선에 표시되며, 표시가 완료된 후 검색을 수행하면, 회원이 표시한 악보를 XML형식으로 변환하여 악보 데이터베이스 또는 회원 악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변환장치는 미디파일의 종류를 분석하여, 제너럴 미디파일인지 확인한 후, 그 미디파일의 음악적인 의미를 가지는 데이터 부분을 추출하여 악보를 표현하는 XML파일의 태그에 맞춰 가공하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데이터베이스는 회원이 업로드한 악보파일의 다운로드 회수에 따라 사업자 서버에서 그 회원에게 악보파일의 사용료를 지급할 수 있도록 회원의 계좌번호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7. XML형식의 악보파일을 저장하여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그 악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악보 파일들을 검색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를 구축하는 서비스 준비단계와;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인증 또는 회원가입을 수행하는 접속단계와;
    상기 회원이 일반검색, 회원악보검색, 회원악보 업로드 메뉴 중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서비스 선택단계와;
    상기 서비스 선택단계에서 일반검색을 선택한 경우, 회원이 입력하는 검색정보를 포함하는 악보를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악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검색한 악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일반검색단계와;
    상기 서비스 선택단계에서 회원악보검색을 선택한 경우, 회원이 입력하는 검색정보를 포함하는 악보를 회원들이 창작한 악보를 저장하는 회원 악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검색한 악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회원악보검색단계와;
    상기 서비스 선택단계에서 업로드를 선택한 경우, 회원이 창작한 악보를 선택하고, 전송하여 상기 회원 악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업로드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계를 수행한 후, 접속한 회원이 작곡 소프트웨어와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를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받으며, 다운받는 경우에 한하여 결재를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단계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준비단계에서 악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XML형식의 악보파일들은 미디파일을 변환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검색단계는 회원이 일반검색 메뉴를 선택한 후, 검색어 입력창 또는 자바 응용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리듬 또는 선율 검색 프로그램에 검색하고자 하는 텍스트나, 리듬, 선율을 직접 입력하는 검색정보 입력단계와;
    상기 검색정보 입력단계에서 텍스트를 입력한 경우, 악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XML형식의 악보 파일 각각에서 음악적 의미를 가지지 않는 태그 부분과 비교하여 검색정보와 일치하는 악보 파일을 검색하는 텍스트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정보 입력단계에서 리듬 또는 선율을 입력한 경우, 악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XML형식의 악보 파일 각각에서 음악적 의미를 가지는 태그 부분과 비교하여 검색정보와 일치하는 악보 파일을 검색하는 리듬/선율검색단계와;
    상기 텍스트 검색단계 또는 리듬/선율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악보의 목록을 표시하는 검색결과 표시단계와;
    상기 표시되는 검색결과 중 회원이 특정한 악보를 선택하여 다운로드 하는 경우, 그 다운로드에 대한 결재를 수행하고,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 컴퓨터의 작곡 소프트웨어로 편집하거나,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재생/청취하는 악보 다운로드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 표시단계는 악보의 목록만을 나열하며 표시하며, 사용자가 그 목록 중 특정한 악보 목록을 선택하면, 악보의 일부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악보검색단계는 회원이 회원악보검색 메뉴를 선택한 후, 검색어 입력창 또는 자바 응용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리듬 또는 선율 검색 프로그램에 검색하고자 하는 텍스트나, 리듬, 선율을 직접 입력하는 검색정보 입력단계와;
    상기 검색정보 입력단계에서 텍스트를 입력한 경우, 회원 악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XML형식의 악보 파일 각각에서 음악적 의미를 가지지 않는 태그 부분과 비교하여 검색정보와 일치하는 악보 파일을 검색하는 텍스트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정보 입력단계에서 리듬 또는 선율을 입력한 경우, 회원 악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XML형식의 악보 파일 각각에서 음악적 의미를 가지는 태그 부분과 비교하여 검색정보와 일치하는 악보 파일을 검색하는 리듬/선율검색단계와;
    상기 텍스트 검색단계 또는 리듬/선율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악보의 목록을 표시하는 검색결과 표시단계와;
    상기 표시되는 검색결과 중 회원이 특정한 악보를 선택하여 다운로드 하는 경우, 그 다운로드에 대한 결재를 수행하고,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 컴퓨터의 작곡 소프트웨어로 편집하거나,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재생/청취하는 악보 다운로드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된 악보를 창작하여 업로드한 회원에게 소정의 사용료를 사업자가 지급하는 사업자결재단계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방법.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단계에서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악보파일은 XML 또는 미디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방법.
  15.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계에서 사용자의 컴퓨터는 사용자가 작곡을 수행 할 수 있으며, 그 작곡된 곡의 악보를 XML 또는 미디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 작곡 소프트웨어가 설치됨과 아울러 XML 또는 미디파일을 재생하는 악보 재생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방법.
KR1020030051973A 2003-07-28 2003-07-28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13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973A KR20050013351A (ko) 2003-07-28 2003-07-28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973A KR20050013351A (ko) 2003-07-28 2003-07-28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351A true KR20050013351A (ko) 2005-02-04

Family

ID=3722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973A KR20050013351A (ko) 2003-07-28 2003-07-28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33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8405A1 (en) * 2005-05-02 2006-11-09 Silentmusicband Corp. Internet music composition application with pattern-combination method
KR20170058504A (ko) * 2015-11-18 2017-05-29 김준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52386A (ko) * 2021-10-13 2023-04-20 박정은 인증코드를 갖는 악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악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8405A1 (en) * 2005-05-02 2006-11-09 Silentmusicband Corp. Internet music composition application with pattern-combination method
US7792782B2 (en) 2005-05-02 2010-09-07 Silentmusicband Corp. Internet music composition application with pattern-combination method
KR20170058504A (ko) * 2015-11-18 2017-05-29 김준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52386A (ko) * 2021-10-13 2023-04-20 박정은 인증코드를 갖는 악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악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3893B1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ally creating and publishing music instrument instructional material using a computer network
US7428534B2 (e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n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using network
KR100361680B1 (ko) 맞춤형 콘텐츠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8035020B2 (en) Collaborative music creation
US70750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on of musical preferences
JP4583406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ウェブブックシステム
CN101657816B (zh) 用于分布式音频文件编辑的门户网站
US9147352B1 (en) Digital sheet music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JP2004522177A (ja) 音楽に対する好みを予測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700423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WO2000042555A9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nd licensing works over a network
EP10626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nd licensing works over a network
JP2002197069A (ja)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
US20010036620A1 (en) On-line Notation system
KR20180025084A (ko) 음원 제공 서버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 및 음원 제작 단말
KR102014639B1 (ko) 키워드 기반 맞춤형 음악 창작자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개 방법
KR10050031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공동 작곡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사업방법
KR20050013351A (ko) 인터넷을 통한 악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60168299A1 (en) Music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and program
JP2002092348A (ja) 音楽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2163560A (ja) 記録媒体、商品注文方法および装置、商品注文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2002297136A (ja) 楽曲作成装置、音楽配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2220744A (ja) 楽曲の評価のための方法、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10102861A (ko) 악보제공서비스방법
JP5720451B2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