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3291A -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3291A
KR20050013291A KR1020030051899A KR20030051899A KR20050013291A KR 20050013291 A KR20050013291 A KR 20050013291A KR 1020030051899 A KR1020030051899 A KR 1020030051899A KR 20030051899 A KR20030051899 A KR 20030051899A KR 20050013291 A KR20050013291 A KR 20050013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urrent
unit
driving
referenc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7498B1 (ko
Inventor
김한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1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498B1/ko
Publication of KR20050013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4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16H2061/0255Solenoid valve using PWM or duty-cycl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함에 있어 MCU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VFS 밸브의 구동을 위한 기준 전류로 설정하고, VFS 밸브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다음 설정된 기준 전류와의 비교를 통해 VFS 밸브를 직접 전류 제어하도록 하는 것으로,
차량의 각종 상태 정보를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한 다음 현재의 변속단에서 듀티압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MCU와, MCU의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다음 전류 소스와 리셋 신호를 이용하여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를 생성하는 기준 전류 생성부와,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가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를 생성할 수 있도록 기준 전류 생성부내의 콘덴서(C5)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리셋부와,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를 샘플 & 홀드하여 신호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샘플 & 홀드부와, VFS 밸브의 구동에 따른 구동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상기 샘플 & 홀드부를 통해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와 전류 검출부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 전류를 히스테리시스를 가진 비교기를 통해 비교하여 VFS 밸브의 실질 구동에 필요한 상한 기준 전류와 하한 기준 전류를 생성하여 VFS 밸브의 구동을 드라이브 하는 구동부와, 상기 샘플 & 홀드부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와 전류 검출부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 전류를 비교하여 구형파의 신호로 MCU에 VFS 밸브의 고장 진단 신호로 출력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VARIABLE FORCE SOLENOID VALVE CONTROL APPARATUS OF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Variable Force Solenoid Valve ; 이하 'VFS 밸브' 라 한다.)를 제어함에 있어 MCU(Main Control Unit)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VFS 밸브의 구동을 위한 기준 전류로 설정하고, VFS 밸브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다음 설정된 기준 전류와의 비교를 통해 VFS 밸브를 직접 전류 제어하도록 하는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에서 선간 전압 강하 및 전압 변동 등에 무관하게VFS 밸브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류 제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VFS 밸브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그 양을 제어하는 전류 피드백 제어가 적용된다.
따라서, MCU에서 VFS 밸브를 전류 구동을 위한 일정 주파수를 생성하여 이를 가변 듀티(Duty)로 사용하고, VFS 밸브의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피크 전류를 샘플(Sample)/홀드(Hold)를 통해 피드백 검출한 다음 VFS 밸브 구동 제어를 위해 출력되는 가변 듀티 신호를 조정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 자동 변속기의 VFS 밸브 제어장치는 첨부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검출수단에서 검출되는 차량의 각종 상태 정보에 따라 VFS 밸브 구동을 위한 PWM 듀티 신호를 출력하는 MCU(10)와, 상기 MCU(10)에서 인가되는 PWM 듀티 신호에 따라 VFS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 상기 MCU(10)에 출력되는 VFS 밸브 구동에 대한 인에이블 신호(EN)에 따라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VFS 밸브 구동신호의 출력을 단속하는 출력 허용부(30)와,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VFS 밸브 구동신호를 드라이브 하는 구동부(40)와, 제어부(20)에 공급되는 전원(Vbatt)을 안정화시키는 안정화 회로부(50) 및 상기 제어부(20)의 동작 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6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자동 변속기의 VFS 밸브 제어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MCU(10)에서 검출되는 차량의 각종 상태 정보에 따라 생성한 PWM 듀티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20)측에 인가하면, 제어부(20)는 입력 포트에 저항(R56,R57)과 콘덴서(C27,C28)로 구성되는 주파수 생성부(60)에 의해 동작 주파수가 결정되며,상기 MCU(10)에서 인가되는 PWM 듀티 신호를 센싱 저항(RS2)을 통해 피드백 검출되는 VFS 밸브의 구동 전류에 따라 보상하며, VFS 밸브 구동을 드라이브 하는 신호를 ZD단자를 통해 구동부(40)에 출력한다.
동시에 GATE 단으로 이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데, 이때 MCU(10)에서 VFS 밸브 구동을 위한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출력 허용부(30)는 MCU(10)에서 인가되는 인에이블 신호와 제어부(20)의 GATE 단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부정 논리곱(NOR) 연산하여 구동부(40)에 인가한다.
따라서, 구동부(40)는 출력 허용부(30)에서 인가되는 신호가 VFS 밸브 구동 드라이브 신호인 경우 FET(Q11)가 스위칭 온되며, 이에 따라 전원(Vbatt)이 VFS 밸브에 공급되어 VFS 밸브의 구동이 수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자동 변속기의 VFS 밸브 제어장치는 MCU의 PWM 듀티 신호에 따라 VFS 밸브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집적회로라는 특성에 의해 일정 전압, 대략 8V 미만의 전압에서 동작이 불가능하며, 공급 전원의 전압 변동에 민감한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안정된 전원의 공급을 위해 별도의 전원 안정화 회로를 구비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제작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제어부의 동작 주파수가 저항과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시정수 회로에 의해 결정되므로, 부품 편차 및 주변 온도 등에 의해 동작 주파수의 변동이 발생되는 문제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 변속기에 장착되는 VFS 밸브를 제어함에 있어 MCU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VFS 밸브의 구동을 위한 기준 전류로 설정하고, VFS 밸브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다음 설정된 기준 전류와의 비교를 통해 VFS 밸브를 직접 전류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가능 전압 범위를 증대하고 사양 변경에 따른 회로 변경에 있어 편리성 및 신뢰성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에 대한 상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자동 변속기에 적용되는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에 대한 구성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각종 상태 정보를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한 다음 현재의 변속단에서 듀티압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MCU와; MCU의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다음 전류 소스와 리셋 신호를 이용하여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를 생성하는 기준 전류 생성부와;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가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를 생성할 수 있도록 기준 전류 생성부내의 콘덴서(C5)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리셋부와;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를 샘플 & 홀드하여 신호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샘플 & 홀드부와; VFS 밸브의 구동에 따른 구동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상기 샘플 & 홀드부를 통해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와 전류 검출부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 전류를 히스테리시스를 가진 비교기를 통해 비교하여 VFS 밸브의 실질 구동에 필요한 상한 기준 전류와 하한 기준 전류를 생성하여 VFS 밸브의 구동을드라이브 하는 구동부와; 상기 샘플 & 홀드부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와 전류 검출부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 전류를 비교하여 구형파의 신호로 MCU에 VFS 밸브의 고장 진단 신호로 출력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는, MCU(100)와 기준 전류 생성부(200), 리셋부(300), 샘플 & 홀드부(400), 전류 검출부(500), 구동부(600) 및 진단부(700)로 이루어지는데, MCU(100)는 자동 변속기 차량에서 도시되지 않은 각종 검출수단에서 검출되는 정보를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한 다음 현재의 변속단에서 듀티압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기준 전류 생성부(200)는 MCU(100)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다음 전류 소스(Current Soure)와 리셋 신호 및 샘플 & 홀드를 이용하여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를 생성한다.
상기의 기준 전류 생성부(200)는 상기 MCU(100)의 출력단자에 병렬로 연결되어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전류를 제한하여 안정하게 유지하는 저항(R3)(R4)과, 상기 저항(R3)(R4)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고, 그라운드에 에미터 단자가 연결되는 NPN 형 트랜지스터(Q2)와, 상기 NPN 형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단자에 저항(R2)을 통해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고, 컬렉터 단자에 일측단자가 그라운드로 연결되는콘덴서(C5)가 접속되며, 에미터 단자에 저항(R1)을 통해 전원(Vcc)이 연결되는 PNP형 트랜지스터(Q1)와,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Q1)에 공급되는 전원단과 베이스 단자에 병렬로 접속되는 콘덴서(C1) 및 제너 다이오드(ZD1)로 구성된다.
리셋부(300)는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200)에서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를 생성할 수 있도록 기준 전류 생성부(200)내의 콘덴서(C5)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리셋부(300)는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200)에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병렬로 접속되는 콘덴서(C3)와, 이 콘덴서(C3)의 다른 단자에 저항(R7)을 통해 베이스 단자가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가 그라운드로 접속되며, 컬렉터 단자는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200) 및 샘플 & 홀드부(400)에 접속되는 NPN 트랜지스터(Q4)로 이루어진다.
샘플 & 홀드부(400)는 기준 전류 생성부(200)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를 샘플 & 홀드하여 신호의 안정성을 유지하여 준다.
상기 샘플 & 홀드부(400)는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200)내의 NPN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단자에 병렬로 접속되는 콘덴서(C2)와, 이 콘덴서(C2)의 다른 일측단자에 접속되며 일측단자가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저항(R5)과, 상기 콘덴서(C2) 및 저항(R5)의 사이에 병렬로 게이트 단자(G)가 접속되고 소오TM 단자(S)에 리셋부(300)내 켈럭터 단자가 기준 전류 생성부(200)의 콘덴서(C5)의 출력 공통으로 접속되며, 드레인 단자(D)에 저항(R3)을 통해 출력신호를 반전 입력으로 하는 반전 증폭기(U1)의 일측단자(+)가 접속되는 JFET(Q3)로 구성된다.
전류 검출부(500)는 VFS 밸브의 구동에 따른 구동 전류를 검출한다.
상기 전류 검출부(500)는 구동부(600)의 출력단과 VFS 밸브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VFS 밸브의 구동 전류를 검출하는 센싱 저항(RS11)과, 상기 센싱 저항(RS11)의 양단간 전류를 입력으로 하며, 저항(R14)을 통해 출력단의 신호를 반전 입력받아 적절한 상태로 반전 증폭하는 증폭기(U2)와, 상기 증폭기(U2)의 입력단 전류를 조정하는 복수개의 저항(R10)(R11)(R13)(R16)으로 이루어진다.
구동부(600)는 상기 샘플 & 홀드부(400)를 통해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와 전류 검출부(500)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 전류를 히스테리시를 가진 비교기를 통해 비교하여 VFS 밸브의 실질 구동에 필요한 상한 기준 전류와 하한 기준 전류를 생성하여 VFS 밸브의 구동을 드라이브 한다.
상기 구동부(600)는 상기 샘플 & 홀드부(400)의 출력신호를 저항(R15)을 통해 입력받고, 출력단자의 신호를 저항(R17)을 통해 일측단자(+)의 반전 입력으로 하고, 전류 검출부(500)의 출력신호를 저항(R12)을 통해 다른 일측단자(-)의 입력으로 하는 히스테리스 특성을 갖는 비교기(U4)로 이루어진다.
진단부(700)는 상기 샘플 & 홀드부(400)를 통해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와 전류 검출부(500)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 전류를 단순 비교하여 VFS 밸브에 흐르는 전류를 구형파의 형태로 변환시켜, MCU(100)측에 VFS 밸브의 고장 진단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진단부(700)는 상기 샘플 & 홀드부(400)를 통해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를 저항(R20)을 통해 일측단자(+)의 입력으로 하고, 전류 검출부(500)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 전류를 저항(R21)을 통해 다른 일측단자(-)의 입력으로 하며, 양단간의 전류값을 단순 비교하여 구형파로 변환한 다음 MCU(100)측에 하는 비교기(U3)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에서 VFS 밸브 제어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MCU(100)가 도시되지 않은 각종 검출수단의 정보로부터 추출된 결과에 따라 VFS 밸브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기준 전류 생성부(200)측에 출력하게 되면, 이 제어 신호가 "하이" 일 때 NPN 트랜지스터(Q2)가 턴 온 되며, 이에 따라서 전류 소오스가 동작된다.
상기 MCU(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NPN 트랜지스터(Q2)가 턴 온 되면 켈렉터 단자의 전위가 "로우"로 형성되므로, PNP형 트랜지스터(Q1) 역시 턴 온 된다.
이때, 제너다이오드(ZD1)의 양단에 일정 전압이 걸리게 되므로, PNP형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단자에 연결되는 저항(R1)의 양단에는 (ZD1-0.7)V의 전압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ZD1-0.7)V/R1에 상당하는 전류가 컬렉터 단자를 통해 콘덴서(C5)에 흘러 충전되며, 콘덴서(C5)에 충전되는 전압은 일정한 기울기를 갖으며 증가한다.
이때, MCU(1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병렬로 접속된 리셋부(300)에 인가되므로, 리셋부(300)내의 콘덴서(C3) 및 저항(R7)은 상기 MCU(10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미분하여 출력하므로, MCU(100)에서 인가되는 출력 신호의 상승 에지(Rising Edge)에서 NPN형 트랜지스터(Q4)를 일시적으로 턴 온 시킨다.
따라서, 상기 리셋부(300)내의 NPN형 트랜지스터(Q4)가 턴 온 됨에 따라 기준 전류 생성부(200)내의 콘덴서(C5)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으며 충전된 전압이 방전되므로, 상기 콘덴서(C5)의 충전 및 방전에 따라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가 생성된다.
상기와 같이 콘덴서(C5)의 충전 및 방전에 따라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가 생성된 상태에서 NPN형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단자에 병렬로 접속된 콘덴서(C2)가 충전되며, 저항(R5)에 의해 방전되는 동작으로 인하여 미분된 전원이 JFET(Q3)의 게이트 단자에 트리거 신호로 인가된다.
따라서, NPN형 트랜지스터(Q2)의 출력이 상승 에지 시에 JFET(Q3)가 턴 온되어 소오스 단자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콘덴서(C5)에 충전된 전압이 드레인 단자를 통해 콘덴서(C4)에 충전되어 홀드 되며, 상기 콘덴서(C4)에 충전된 전압은 저항(R6)을 통해 반전 증폭기(U1)의 비반전 단자(+)에 입력되고, 출력 신호의 반전 증폭을 통해 설정된 소정의 전압으로 증폭되어 구동부(600)측에 인가된다.
이때, VFS 밸브에 흐르는 전류는 센싱 저항(RS11)에 검출되며, 양단간의 전류가 전류 검출부(500)내의 반전 증폭기(U2)에 인가되어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되어 구동부(600)측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구동부(600)내의 비교기(U4)는 상기 샘플 & 홀드부(400)에서 저항(R15)을 통해 일측단자(+)인가되는 기준 전류를 샘플 & 홀드한 전류와 전류 검출부(500)에서 저항(R12)를 통해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에 대한 전류를 히스테리시스를 가진 비교기(U4)를 통해 비교하여 VFS 밸브 구동에 실질적으로 사용할 상한기준 전류와 하한 전류를 생성하여 VFS 밸브 구동을 위한 신호로 출력한다.
따라서, FET(Q5)는 구동부에서 상한 기준 전류와 하한 기준 전류로 생성되어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며, 이에 따라 VFS 밸브의 구동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VFS 밸브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진단부(700)내의 비교기(U3)는 저항(R20)을 통해 전류 검출부(500)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에 대한 전류와 저항(R21)을 통해 샘플 & 홀드부(400)에서 인가되는 기준 전류를 비교하여 구형파의 신호로 생성한 다음 MCU(100)측에 인가하여 MCU(100)로 하여금 VFS 밸브의 고장 상태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VFS 밸브의 구동을 제어함에 있어 MCU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로부터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를 생성한 후 실질적인 VFS 밸브 구동 전류와의 비교를 통해 VFS 밸브를 직접 전류 제어함으로써 제어에 안정성 및 신뢰성이 제공된다.
또한, VFS 밸브 제어를 드라이브 하는 콘트롤러가 배제되어 사용 전압의 범위를 확대되고, 사양 변경에 따른 회로 변경에 자유도를 증가시켜, 설계에 있어 편리성을 제공한다.

Claims (9)

  1. 자동 변속기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각종 상태 정보를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한 다음 현재의 변속단에서 듀티압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MCU와;
    MCU의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다음 전류 소스와 리셋 신호를 이용하여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를 생성하는 기준 전류 생성부와;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가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를 생성할 수 있도록 기준 전류 생성부내의 콘덴서(C5)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리셋부와;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를 샘플 & 홀드하여 신호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샘플 & 홀드부와;
    VFS 밸브의 구동에 따른 구동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상기 샘플 & 홀드부를 통해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와 전류 검출부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 전류를 히스테리시스를 가진 비교기를 통해 비교하여 VFS 밸브의 실질 구동에 필요한 상한 기준 전류와 하한 기준 전류를 생성하여 VFS 밸브의 구동을 드라이브 하는 구동부와;
    상기 샘플 & 홀드부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와 전류 검출부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 전류를 비교하여 구형파의 신호로 MCU에 VFS 밸브의 고장 진단 신호로 출력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는 상기 MCU의 출력단자에 병렬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의 전류를 제한하여 안정하게 유지하는 저항(R3)(R4)과;
    상기 저항(R3)(R4)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고, 그라운드에 에미터 단자가 연결되는 NPN 형 트랜지스터(Q2)와;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단자에 저항(R2)을 통해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고, 컬렉터 단자에 일측단자가 그라운드로 연결되는 콘덴서(C5)가 접속되며, 에미터 단자에 저항(R1)을 통해 전원(Vcc)이 연결되는 PNP형 트랜지스터(Q1)와;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단자에 연결되는 전원단과 베이스 단자에 병렬로 접속되는 콘덴서(C1) 및 제너 다이오드(ZD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는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에 인가되는 MCU의 제어신호와 병렬로 접속되는 콘덴서(C3)와;
    이 콘덴서(C3)의 다른 단자에 저항(R7)을 통해 베이스 단자가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가 그라운드로 접속되며, 컬렉터 단자는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 및 샘플 & 홀드부에 접속되는 NPN 트랜지스터(Q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 홀드부는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내의 NPN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단자에 병렬로 접속되는 콘덴서(C2)와;
    이 콘덴서(C2)의 다른 일측단자에 접속되며 일측단자가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저항(R5)과;
    상기 콘덴서(C2) 및 저항(R5)의 사이에 병렬로 게이트 단자(G)가 접속되고 소오드 단자(S)에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 내의 콘덴서(C5)와 접속되며, 드레인 단자(D)에 저항(R6)을 통해 출력신호를 반전 입력으로 하는 반전 증폭기(U1)의 일측단자(+)가 접속되는 JFET(Q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부는 상기 구동부의 출력단과 VFS 밸브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VFS 밸브의 구동 전류를 검출하는 센싱 저항(RS11)과;
    상기 센싱 저항(RS11)의 양단간 전류를 입력으로 하며, 저항(R14)을 통해 출력단의 신호를 반전 입력받아 적절한 상태로 반전 증폭하는 증폭기(U2)와;
    상기 증폭기(U2)의 입력단 전류를 조정하는 복수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샘플 & 홀드부의 출력신호를 저항(R15)을 통해 입력받고, 출력단자의 신호를 저항(R17)을 통해 일측단자(+)의 반전 입력으로 하고, 전류 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저항(R12)을 통해 다른 일측단자(-)의 입력으로 하는 히스테리스 특성을 갖는 비교기(U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샘플 & 홀드부를 통해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에 대한 기준 전류를 저항(R20)을 통해 일측단자(+)의 입력으로 하고, 전류 검출부에서 인가되는 VFS 밸브 구동 전류를 저항(R21)을 통해 다른 일측단자(-)의 입력으로 하며, 양단간의 전류값을 단순 비교하여 구형파로 출력하는 비교기(U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내의 콘덴서(C3) 및 저항(R7)은 MCU의 제어신호를 미분하여 상승 에지시에 트랜지스터(Q4)를 턴 온시켜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내의 콘덴서(C5)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 홀드 내의 콘덴서(C2) 및 저항(R5)은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 내의 트랜지스터(Q2)의 스위칭에 따라 컬렉터 단자의 신호를 미분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2)의 턴 온에 따른 상승 에지시에 JFET(Q3)를 턴 온시켜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 내의 콘덴서(C5)에 충전된 전압을 콘덴서(C4)로 홀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KR10-2003-0051899A 2003-07-28 2003-07-28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KR100507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899A KR100507498B1 (ko) 2003-07-28 2003-07-28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899A KR100507498B1 (ko) 2003-07-28 2003-07-28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291A true KR20050013291A (ko) 2005-02-04
KR100507498B1 KR100507498B1 (ko) 2005-08-17

Family

ID=3722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899A KR100507498B1 (ko) 2003-07-28 2003-07-28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4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535B1 (ko) * 2012-09-20 2014-05-27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한 변속기
KR102325579B1 (ko) 2021-07-13 2021-11-15 주식회사 딜리 하이브리드 잉크젯 프린터용 출력매체 안정화장치
KR102325571B1 (ko) 2021-07-13 2021-11-15 주식회사 딜리 연속출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잉크젯 프린터
CN113969841A (zh) * 2021-10-27 2022-01-25 中国人民解放军第五七一九工厂 基于滞环控制的航空发动机电磁阀控制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3708B3 (de) 2005-07-19 2007-02-08 Siemens Ag Vorrichtung zum Laden und Entladen wenigstens eines Piezoaktors für ein Einspritzventil einer Brennkraftmaschin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535B1 (ko) * 2012-09-20 2014-05-27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한 변속기
KR102325579B1 (ko) 2021-07-13 2021-11-15 주식회사 딜리 하이브리드 잉크젯 프린터용 출력매체 안정화장치
KR102325571B1 (ko) 2021-07-13 2021-11-15 주식회사 딜리 연속출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잉크젯 프린터
WO2023286920A1 (ko) 2021-07-13 2023-01-19 주식회사 딜리 연속출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잉크젯 프린터
CN113969841A (zh) * 2021-10-27 2022-01-25 中国人民解放军第五七一九工厂 基于滞环控制的航空发动机电磁阀控制仪
CN113969841B (zh) * 2021-10-27 2022-09-02 中国人民解放军第五七一九工厂 基于滞环控制的航空发动机电磁阀控制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7498B1 (ko)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2532E1 (en) Synchronous-rectified DC to DC converter with improved current sensing
US7183737B2 (en) Motor control device and motor control method
CN100454709C (zh) 用于检测车辆中马达的过电流的设备
US6184663B1 (en) Apparatus for driving electric load
JP2006511082A5 (ko)
CN109062304B (zh) 一种恒流负载电路和一种电子负载及相关系统
US20060238169A1 (en) Temperature controlled current regulator
JP3901698B2 (ja) 電流検出機能付き半導体集積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
KR100507498B1 (ko) 자동 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US6483684B2 (en) Current limiting apparatus
US6833535B2 (en) Method and control structure for a sensor heater
US200700697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regulator capable of quick feedback from load
CN217769454U (zh) 短路保护电路和驱动电源
KR100457841B1 (ko) 증폭기및부하의존재검출방법
US20100033247A1 (en) True current limiting
JP2009229254A (ja) 電気化学式ガス検知装置
KR0183292B1 (ko) 전압 안정기의 출력 제어회로
JP3750911B2 (ja) 電流制御回路
KR100443844B1 (ko)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장치
JP3111878B2 (ja) 煙感知器用led電流制御回路
US20050151569A1 (en) Output circuit and operational amplifier
KR100513532B1 (ko) 자동변속기에서 가변력 솔레노이드 구동장치
JPH11164549A (ja) Dc−dcコンバータ
KR0154842B1 (ko) 온도 보상이 되는 센스-트랜지스터 적용 전류 감지 회로
JP3532335B2 (ja) 増幅用素子の出力電流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