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3178A - Seat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Seat construction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3178A
KR20050013178A KR10-2005-7000533A KR20057000533A KR20050013178A KR 20050013178 A KR20050013178 A KR 20050013178A KR 20057000533 A KR20057000533 A KR 20057000533A KR 20050013178 A KR20050013178 A KR 20050013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seat back
frame member
mo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5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01765B1 (en
Inventor
후지타에츠노리
지즈카가즈요시
가와사키세이지
다카타야스히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
Publication of KR2005001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1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76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11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of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shape, e.g. hammock-like, plastic shells,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통상 사용시에 있어서 주로 진동 흡수 기능을 담당하는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가, 시트백 (20) 에 가해지는 후방 모멘트에 의한 그 시트백 (20) 의 변형과 함께 후방으로 변위되는 지지 프레임재 (130) 에 걸어맞춰지고, 타단이, 쿠션 프레임의 앞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된 앞가장자리 프레임 (102) 에 걸어맞춰진 구조이다.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소정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그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는, 시트백 (20) 에 가해지는 후방 모멘트에 의해 장력이 상승하여, 쿠션 프레임 (100) 의 사이드 프레임 (101) 의 변형에 의해 저하된 시트백 (20) 의 후방 모멘트 강도를 재상승시키는 기능을 한다.Shaped spring member 40 mainly for absorbing the vibration during normal use is formed on the support frame member 130 which is displaced rearward together with the deformation of the seat back 20 due to the rear moment applied to the seat back 20, And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the front edge frame 102 formed near the front edge of the cushion frame. Therefore, when a predetermined or greater impact force is applied from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the tension of the flat spring member 40 is increased by the rear moment applied to the seat back 20, and the side frame 101 of the cushion frame 100 The rear moment strength of the seat back 20 is reduced.

Description

좌석 구조{SEAT CONSTRUCTION}SEAT CONSTRUCTION {SEAT CONSTRUCTION}

항공기, 열차, 선박,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좌석에서는, 전방 충돌이나 후방 충돌에 의해 큰 충격력이 가해졌을 때에 시트백이 필요 이상으로 뒤로 쓰러지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 시트백이 지나치게 뒤로 쓰러지면, 뒷자리에 탑승한 사람이 부상을 입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 다리부분이 스티어링에 끼워져 허리부분 등에 부담이 가해져 상해를 입을 위험성이 늘어나고, 또한 뒷자리에 놓인 짐 등에 의해 머리부분에 상해를 입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의 쓰러짐을 억제하고, 등이 백 프레임에 설치된 쿠션재를 밀어 인체의 변위를 억제함으로써 충격 흡수성을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 이러한 시트백에 가해지는 후방으로의 회전 모멘트에 대한 내력 (후방 모멘트 강도) 을 높이는 대책이 여러 가지로 실시되어 있지만, 시트 프레임 구조의 개량에 의존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같은 시트 프레임 구조를 사용한 경우라도 더욱 후방 모멘트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In a seat used for an aircraft, a train, a ship, an automobile, etc., it is required that a seatback does not fall back more than necessary when a large impact force is applied due to a front collision or a rear collision. If the seatback falls too far back, there may be a case where a person on the back seat is injured. In addition, the leg portion is caught by the steering, and the burden on the waist portion is increased, so that the risk of injury is increased. In addition, the head portion may be injured by a load placed on the back seat.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uppress collapse of the seat back and to increase the shock absorbability by suppressing the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by pushing the cushioning material provided on the back frame. Conventionally, various countermeasures have been taken to increase the proof stress (back moment strength) against the backward moment applied to the seat back. However, most of them depend on the improvement of the seat frame structure. It has been desired to develop a technique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back moment strength.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트백의 후방 모멘트 강도를 종래보다도 높일 수 있고, 경량화를 꾀한 시트 프레임을 사용한 경우라도 더더욱 내충격성의 개선을 꾀한 좌석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t structure in which the strength of a rear moment of a seatback can be made high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seatback, and the impact resistance is further improved even when a seat frame is used.

본 발명은 좌석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 열차, 선박, 포크리프트, 자동차 등의 수송기기용 좌석 구조로서 적합한 동시에, 주거 안팎에서 사용되는 각종 의자나 휠체어로도 적용 가능한 좌석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 structure suitable for an aircraft, a train, a ship, a forklift, an automobile, .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좌석 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내고, 소정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의 개략 측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a sea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좌석 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내고, 소정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진 후의 상태의 개략 측면도,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tate after a predetermined impact force is applied, showing a main part of a sea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는 도 1 의 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3(b) 는 도 2 의 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Fig. 3 (a) is a view see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in Fig. 1, Fig. 3 (b)

도 4 는, 쿠션재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태양의 입체 편물을 나타내고, (a) 는, 시트 프레임에 장착한 상태로서, 소정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 는 이면측 (裏面側) 그라운드 편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c) 는 표면측 그라운드 편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Fig. 4 shows a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suitable for use as a cushioning material. Fig. 4 (a) shows a state before the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seat frame, (C)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rface side ground letter,

도 5 는, 소정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진 후의 입체 편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5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a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after an impact force of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is applied,

도 6 은, 후방 모멘트 강도의 측정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asurement result of the rear moment strength,

도 7 은, 후방 모멘트 강도의 측정 결과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measurement result of rear moment strength, Fig.

도 8 은, 면형상 스프링부재로서 사용한 2 차원 네트재의 인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8 is a view showing a tensile characteristic of a two-dimensional net material used as a planar spring member,

도 9 는, 쿠션재와 면형상 스프링부재를 함께 토션바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지지된 지지 프레임에 지지시켰을 때의 무부하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및,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a no-load state when the cushioning member and the surface-shaped spring member are supported together by a support frame elastically supported rearward by a torsion bar,

도 10 은, 도 9 의 쿠션재에 사람이 착석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erson is seated on the cushioning material of Fig. 9;

본 출원인은, 최근, 두께가 수 밀리미터에서 수십 밀리미터 정도인 입체 편물 (立體編物) 을 시트 프레임에 장착한 좌석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이 좌석 구조에 의하면, 입체 편물이 장력 구조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경량인 동시에, 스프링기구를 통하여 지지함으로써, 장력 구조체의 감쇠 기능에 의해 수송기기용 좌석 구조로서 충분한 진동 흡수성을 구비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들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스프링기구는 주로 진동 흡수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전방 충돌 또는 후방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의 소정 이상의 충격력에 견뎌 내기 위한 내충격재로서의 기능을 적극적으로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도, 상기한 후방 모멘트 강도의 향상은 주로 시트 프레임의 구조에 의해 대응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통상시에 있어서 진동 흡수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프링기구 및 감쇠기구를, 전방 충돌 또는 후방 충돌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소정 이상의 충격력을 받았을 때에 시트 프레임의 구조와 함께 후방 모멘트 강도를 높이는 내충격재로서 유효하게 작용시키고, 그럼으로써, 시트 프레임 구조가 동일한 경우에 있어서 보다 높은 후방 모멘트 강도를 발휘할 수 있는 구조에 착안하였다.The present applicant has recently proposed a seat structur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having a thickness of several millimeters to several tens of millimeters is mounted on a seat frame. According to this seat structure, since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is made of a tension structure, it is light in weight and can be provided with sufficient vibration absorbability as a seat structure for a transport machine by the damping function of the tension structure by supporting it through a spring mechanism . However, various spring mechanisms used in these are mainly responsible for the vibration absorbing function and actively have a function as an impact resistant material to withstand a predetermined impact force from forward or backward generated by a frontal impact or a rearward impact no. Also in such a structure, the improvement of the above-described rear moment strength mainly corresponds to the structure of the seat frame.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ound that when the spring mechanism and the damping mechanism used for absorbing vibration in a normal state are subjected to a collision force from the front or rear by a front collision or a rear collision, Height is effectively applied as an impact resistant material so that a higher rear moment strength can be exerted when the seat frame structure is the same.

즉, 청구항 1 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일단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소정 이상의 충격력을 받음으로써 시트백을 변형시키는 후방 모멘트에 의해 후방으로 변위되는 임의의 프레임부재에 걸어맞춰지고, 타단이, 쿠션 프레임의 앞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된 프레임부재에 걸어맞춰져 배치되고, 상기 시트백의 변형에 따라서 장력이 상승하는 면형상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구조를 제공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one end is engaged with an arbitrary frame member which is displaced rearward by a rear moment for deforming the seat back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impact force from the front or rear side, And a flat spring member which is arranged to be engaged with a frame member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front edge and whose tension increases in accordance with the deformation of the seat back.

청구항 2 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소정 이상의 충격력을 받음으로써 변형되는 프레임부재를 구비한 쿠션 프레임과,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shion frame comprising: a cushion frame having a frame member deformed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or greater impact force from the front or rear;

일단이, 상기 시트백에 가해지는 후방 모멘트에 의한 그 시트백의 변형과 함께 후방으로 변위되는 임의의 프레임부재에 걸어맞춰지고, 타단이, 쿠션 프레임의 앞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된 프레임부재에 걸어맞춰져 배치되고, 상기 시트백의 변형에 따라서 장력이 상승하여, 시트백의 후방 모멘트 강도를 높이는 기능을 완수하는 면형상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구조를 제공한다.One end is engaged with an arbitrary frame member which is displaced rearward together with the deformation of the seat back by the rear moment applied to the seat back and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the frame member provided near the front edge of the cushion frame, And a planar spring member that increases the tension in accordance with the deformation of the seat back and fulfills the function of increasing the back moment strength of the seat back.

청구항 3 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면형상 스프링부재의 일단이 걸어맞춰지고, 상기 시트백에 대한 후방 모멘트에 의해 후방으로 변위되는 임의의 프레임부재가, 백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 에 기재된 좌석 구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invention, an arbitrary frame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one end of the flat spring member and displaced rearward by a rear moment with respect to the seat back is a frame member constituting a back frame A sea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is provided.

청구항 4 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면형상 스프링부재의 일단이 걸어맞춰지고, 상기 시트백에 대한 후방 모멘트에 의해 후방으로 변위되는 임의의 프레임부재가, 백 프레임과는 독립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인체의 둔부 부근에서 허리부 부근에 대응하는 위치에 좌석의 폭방향을 따라 설치된 프레임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 에 기재된 좌석 구조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an arbitrary frame member, one end of which is engaged with the one end of the flat spring member and is displaced rearward by a backward moment with respect to the seat back, is resiliently supported independently of the back frame The sea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rame structure is a frame member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a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icinity of the waist at the hip portion of the human body.

청구항 5 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트백에 대한 후방 모멘트에 의해 후방으로 변위되는 임의의 프레임부재가, 상기 쿠션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부재로서, 상기 시트백에 대한 소정 이상의 충격력에 의해 변형되는 부위에, 폭방향을 따라 배치된 토션바 (torsion bar) 에 의해, 통상 상태에 있어서 뒤로 쓰러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아암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 에 기재된 좌석 구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bitrary frame member displaced rearward by a rear moment with respect to the seat back is a frame member constituting the cushion frame, and the frame member, which is deformed by a predetermined impact force or more, Wherein the seat is supported by an arm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backward collapsing state in a normal state by a torsion bar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청구항 6 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소정 이상의 충격력을 받았을 때의 쿠션 프레임 및 백 프레임의 변형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 에 기재된 좌석 구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aspect,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topper for restricting deformation of the cushion frame and the back frame when an impact force is applied from the front or rear side.

청구항 7 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면형상 스프링부재가, 2 차원 네트재 및 입체 편물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그들의 2 종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 에 기재된 좌석 구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aspect, wherein the flat spring member is composed of one kind selected from a two-dimensional net material and a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do.

청구항 8 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면형상 스프링부재의 상부에, 2 차원 네트재, 입체 편물 및 우레탄재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그들의 2 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시트백에 가해지는 후방 모멘트에 의한 그 시트백의 변형과 함께 후방으로 변위되는 임의의 프레임부재에 걸어맞춰지고, 타단이, 쿠션 프레임의 앞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된 프레임부재에 걸어맞춰져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 에 기재된 좌석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8 is characterized in tha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spring member, one member selected from a two-dimensional net material, a three-dimensional knitted material and a urethane material,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And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a frame member provided near the front edge of the cushion frame so as to be engaged with an arbitrary frame member displaced rearward together with the deformation of the seat back by the rear moment. As a seat structure.

청구항 9 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쿠션재가, 표리 (表裏) 2 층의 그라운드 편지(編地) 끼리를 연결사 (連結絲) 로 결합하여 형성되어 있는 입체 편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 에 기재된 좌석 구조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9, the cushioning material is a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formed by connecting ground letters (knitted fabrics) on two front and back sides with a connecting yarn. Provide seat structure.

청구항 10 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체 편물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임의 부위에, 연결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라운드 편지끼리 직접 서로 대향하고 있는 연결사 비배치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9 에 기재된 좌석 구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0, there is provided a knitting yar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9,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ng yarn is not formed at any portion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hree- As a seat structure.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좌석 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좌석 구조를 구성하는 시트 쿠션 (10) 과 시트백 (20) 은, 각각 쿠션 프레임 (100) 과 백 프레임 (200) 을 갖고 구성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Fig. 1 and Fig. 2 are views showing a main part of a sea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seat cushion 10 and the seat back 20 constituting the seat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each have a cushion frame 100 and a back frame 200.

쿠션 프레임 (100) 은, 폭방향으로 이간 (離間) 하여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 (101) 과, 그 사이드 프레임 (101) 의 앞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앞가장자리 프레임 (102) 등의 복수의 프레임부재에 의해, 전체적으로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각형 내지는 대략 コ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 (101) 에는, 그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장착 브래킷 (103) 이 고정되어 있고, 이 장착 브래킷 (103) 을 통하여, 슬라이드 조절자 (adjuster) (110) 를 구성하는 레일 (111) 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cushion fram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frame members 101 such as a front frame 102 dispos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side frame 101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or a substantially U-shaped shape in plan view as a whole. A mounting bracket 103 is fixed to the side frame 101 along the lower edge of the side frame 101 and is fixed to the rail 111 constituting the slide adjuster 110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103 And is slidably supported.

쿠션 프레임 (100) 의 프레임부재 중 하나인 사이드 프레임 (101) 은,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충돌 또는 후방 충돌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소정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졌을 때, 시트백 (20) (백 프레임 (200)) 에 대한 후방으로의 회전 모멘트 (후방 모멘트) 에 의해 변형된다. 사이드 프레임 (101) 의 이러한 변형에 의해 시트백 (20) 의 후방 모멘트 강도가 변화한다. 이 때, 사이드 프레임 (101) 에는, 변형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도 1 및 도 3(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 (101) 의 상단 가장자리 부근에서, 전후 방향 중앙부보다도 후단 근처의 위치에 있어서 바깥쪽으로 팽출 (膨出) 하도록 굴곡된 비드부 (101a) 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백 (20) 에 소정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그 후방 모멘트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 (101) 이 그 전후 방향의 중간에서부터 슬라이드 조절자 (110) 의 레일 (111) 에 대하여 하부 방향으로 굴곡되지만, 이 때, 도 2 및 도 3(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비드부 (101a) 가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사이드 프레임 (101) 의 파단 (破斷) 진행이 억제되고, 충격이 완화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side frame 101, which is one of the frame members of the cushion frame 100, is subjected to a forward or rearward collision by a forward impact or a rear impact, (Backward moment) with respect to the backward moment (backward moment). This deformation of the side frame 101 changes the back moment strength of the seat back 20. At this time, in the side frame 101, as shown in Fig. 1 and Fig. 3 (a), in order to alleviate the impact at the time of deformation, A bead portion 101a bent to bulge outward is formed. As a result, when the seat back 20 is subjected to an impact forc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e rear frame 101 is moved from the midd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the rail 111 of the slide adjuster 110 by the rear moment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2 and 3 (b), the bead portion 101a is stretch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progress of breakage of the side frame 101 is suppressed And the impact is mitigated.

쿠션 프레임 (100) 의 사이드 프레임 (101) 후단에는, 제 1 브래킷 (104) 이 연결되어 있다. 제 1 브래킷 (104) 은, 리클라이닝 조절자 (reclining adjuster) (30) 를 통하여 제 2 브래킷 (201) 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브래킷 (201) 은, 백 프레임 (200) 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백 프레임 (200) 은, 리클라이닝 조절자 (30) 를 통하여 쿠션 프레임 (100) 에 대해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브래킷 (104) 은쿠션 프레임 (100) 의 일부를 구성하고, 제 2 브래킷 (201) 은 백 프레임 (200) 의 일부를 구성한다. 물론, 리클라이닝 조절자 (30) 를 갖지 않는 구조인 경우에는, 제 1 브래킷 (104) 과 제 2 브래킷 (201) 은 볼트 등에 의해 직접 연결된다.A first bracket 104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ide frame 101 of the cushion frame 100. The first bracket 104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cket 201 via a reclining adjuster 30. The second bracket 201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back frame 200. Thus, the back frame 200 is provided so as to be reclinable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100 via the reclining adjuster 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bracket 104 constitutes a part of the cushion frame 100, and the second bracket 201 constitutes a part of the back frame 200. Of course, in the structure without the reclining adjuster 30, the first bracket 104 and the second bracket 201 are directly connected by bolts or the like.

쿠션 프레임 (100) 을 구성하고, 사이드 프레임 (101) 의 후단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브래킷 (104) 에는, 안쪽을 향하여 돌출시킨 돌출판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판에, 토션바 배치용 브래킷 (105) 이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고정되어 있다.A protrusion (not shown) protruding inward is formed in the first bracket 104 constituting the cushion frame 100 and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side frame 101, And the bar placing bracket 105 is fix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토션바 배치용 브래킷 (105) 은, 쿠션 프레임 (100) 의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간하여 배치된 각 사이드 프레임 (101) 에 형성되어 있고, 일방의 토션바 배치용 브래킷 (105) 에 형성된 구멍부에 토션바 (120) 의 일단부 (고정단) 가 끼워지고, 타방의 토션바 배치용 브래킷 (105) 의 구멍부에 토션바 (120) 의 타단부 (자유단) 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토션바 (120) 는, 시트 쿠션 (10) 내지는 쿠션 프레임 (100) 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자유단측이 비틀림으로써 소정의 스프링 특성을 발휘한다.The torsion bar positioning bracket 105 is formed on each side frame 101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shion frame 100 and is provided with a hole portion 105 formed in one of the torsion bar placement brackets 105, And the other end (free end) of the torsion bar 12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le portion of the other torsion bar positioning bracket 105. The other end (free end) Therefore, the torsion bar 120 is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at cushion 10 or the cushion frame 100, and the free end side is twisted to exhibit a predetermined spring characteristic.

토션바 (120) 의 각 단부 부근에는 아암 (121) 이 장착되어 있다. 토션바 (120) 의 고정단측에 배치되는 일방의 아암 (121) 은, 그 기단부가 토션바 (120) 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토션바 (120) 의 자유단측에 배치되는 타방의 아암 (121) 은, 그 기단부가 토션바 (120) 에 직접 연결되어, 그 비틀림 토크에 의해 뒤로 쓰러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또한, 각 아암 (121) 의 상단부 사이에는, 지지 프레임 (130) 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지지 프레임 (130) 은, 아암 (121) 을 통하여 토션바 (120) 의 스프링 특성에 의해, 통상 상태에 있어서 뒤로 쓰러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탄성지지된다.An arm 121 is mounted near each end of the torsion bar 120. One arm 121 disposed on the fixed end side of the torsion bar 120 has a proximal end dispos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torsion bar 120 and another arm 121 disposed on the free end side of the torsion bar 120. [ The base end portion 12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orsion bar 120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of backward collapse by the torsional torque. Further, a support frame 13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arms 121. Thus, the support frame 13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121 of the torsion bar 120 through the arm 121 so as to be urged in a backward collapsing state in a normal state.

지지 프레임 (130) 은,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 일단 (41) 을 걸어맞추는 프레임부재로서 사용된다.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 타단 (42) 은, 쿠션 프레임 (100) 을 구성하는 프레임부재의 하나인 앞가장자리 프레임 (102) 에 걸어맞춰져 있다. 따라서,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는, 타단 (42) 이 앞가장자리 프레임 (102) 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한편, 일단 (41) 이 토션바 (120) 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지지되기 때문에, 시트 쿠션 (10) 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장력을 갖고 장착된다.The support frame 130 is used as a frame member for engaging one end 41 of the flat spring member 40. The other end 42 of the surface shape spring member 40 is engaged with the front edge frame 102 which is one of the frame members constituting the cushion frame 100. The one end 41 of the planar spring member 40 is elastically supported rear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bar 120 while the other end 42 is supported by the front edge frame 102, And is mounted with a predetermined tens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eat cushion 10.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가 이렇게 해서 소정 장력을 갖고 장착된 결과, 법선방향으로 입력되는 통상 범위의 진동에 대해서는 이것을 면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가, 지지 프레임 (130) 및 아암 (121) 을 통하여 토션바 (120) 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다. 즉, 토션바 (120) 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아암 (121) 을 통하여 지지 프레임 (130) 을 뒤로 쓰러뜨리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를 장착시키지만, 그 첫 장력은, 착석시의 평형 상태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 (130) (아암 (121)) 이 불안정한 균형 위치가 되도록 조정된다. 이 결과, 미소 진동에 대해서도 민감하게 반응시킬 수 있는 동시에, 토션바 (120) 의 복원력에 의해 높은 스트로크감을 창출한다. 특히, 토션바 (120) 는, 무부하 상태에서 평형 상태에 도달하기까지의 변위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복원력이 작용하여균형 상태를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진동 흡수 기능이 높다. 또, 전방 충돌 또는 후방 충돌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소정 이상의 큰 충격력이 가해졌을 때의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및 토션바 (120) 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s a result of mounting the surface-type spring member 40 with a predetermined tension in this way, vibration in a normal range to be inputted in the normal direction can be dispersed in the plane direction, thereby efficiently absorbing the vibr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at spring member 4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torsion bar 120 through the support frame 130 and the arm 121. That is, the torsion bar 120 elastically supports the support frame 130 in the backward direction through the arm 121 as described above, and mounts the flat spring member 40, The support frame 130 (arm 121) is adjusted to be in an unstable balanced position in an equilibrium state at the time of sittin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spond sensitively to microvibration, and a high stroke feeling is crea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bar 120. Particularly, the torsion bar 120 has a high vibration absorbing function because a restoring force acts efficiently on the displacement from the no-load state to the equilibrium state to create a balanced state. The action of the planar spring member 40 and the torsion bar 120 when a large impact forc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rear direction due to a frontal impact or a rearward impact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는, 본 발명의 과제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소정 이상의 큰 충격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시트 프레임 (쿠션 프레임 (100) 및 백 프레임 (200)) 의 변형에 의해 발휘되는 내충격기능을 보충하여 좌석 구조의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장착되어야 하는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입력 진동에 대해서도 충분한 진동 흡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는, 이러한 기능을 구비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사용하고 있다.Here, the surface-type spring member 40 is a member which is exerted by the deformation of the seat frames (the cushion frame 100 and the back frame 200) when a large impact forc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is applied to the front- It should be mounted so as to enhance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seat structure by supplementing the impact resistance function, and it should be able to exhibit a sufficient vibration absorbing function even for a normal input vib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urface shape spring member 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such a function, but the following i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즉,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는, 탄성사(絲)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날실과 씨실 중 어느 일방이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등의 탄성사로 구성되고, 타방이 탄성사보다 탄성이 작은 나일론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의 보통사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사의 배치 방향을 따라 잡아 당겼을 때의 인장 특성으로서 연화(軟化) 스프링 특성을 나타내고, 보통사의 배치 방향으로 잡아 당겼을 때의 인장 특성으로서 선형 스프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전후 방향으로 소정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져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가 점점 늘어나 마침내 보통사가 파단된 경우에는, 연화 스프링 특성에 의해 감쇠비를 높일 수 있다. 또,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통사의 재료나 선 직경을 선택하는 것 등에 의해, 보통사의 배치 방향인 원반(原反)의 롤방향으로 잡아 당겼을 때의 선형 스프링 특성으로는, 롤방향 1 과 같이 전혀 비선형 특성을 갖지 않는 구조로 할 수도 있고, 초기 휨 영역 (통상은, 휨량 10㎜ 이하의 영역 (롤방향 2), 최대 경우에도 휨량이 20㎜ 이하인 영역 (롤방향 3)) 에 있어서 비선형 특성을 갖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초기 휨 영역에서 비선형 특성을 갖는 구조로 함으로써 착석시의 스트로크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도 8 에 나타낸 인장 특성은, 상기한 2 차원 네트재를, 길이 200㎜, 폭 50㎜ 로 잘라낸 시험편을 사용하여, 이 시험편의 길이 방향 각 단부로부터 각각 50㎜ 안쪽 부위까지를 취할값으로 하고 시험기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50㎜/분의 속도로 잡아 당김으로서 측정하여 얻어지는 특성이다. 이 때, 탄성사의 배치 방향에 따른 인장 특성은, 탄성사의 배치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도록 잘라낸 시험편을 사용하고, 보통사의 배치 방향에 따른 인장 특성은, 보통사의 배치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도록 잘라낸 시험편을 사용한다.That is, the flat spring member 40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elastic yarns, and one of the warp yarns and the weft yarns is made of elastic yarn such as polyester-based elastomer fiber or polyurethane fiber, A nylon fiber having a smaller elasticity than the elastic yarn, and a polyester yarn. Preferably, as shown in Fig. 8, softening spring characteristics are shown as tensile characteristics when pulled along the direction of placement of the elastic yarns, and linear characteristics are shown as tensile characteristics when pulled in the direction of placement of normal yarns It shows the spring characteristic. The damping ratio can be increased by the softening spring characteristic when the flat spring member 40 is gradually extended by the application of the predetermined impact forc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finally the normal yarn is broken. As shown in Fig. 8, the linear spring characteristic when pulled in the roll direction of the raw material, which i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ordinary yarns, by selecting the material of ordinary yarn or the line diameter, (In the region of the warpage of 10 mm or less (roll direction 2), or in the region of the maximum warpage of 20 mm or less (roll direction 3)), It may be a structure having nonlinear characteristics. By making the structure having the nonlinear characteristic in the initial deflection area, the sense of stroke at the time of sitting can be increased. The tensile properties shown in Fig. 8 were obtained by cutting the above-described two-dimensional net material to a length of 200 mm and a width of 50 mm, and taking values from each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st piece to 50 mm inside And pulling it at a speed of 50 mm / mi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testing machine. At this time, a test piece cut out in such a manner that the direction of placement of the elastic yarns wa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as used, and the tensile properti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ordinary yarns were determined by cutting the test pieces use.

본 실시형태의 좌석 구조에 의하면, 통상 사용시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및 토션바 (120) 의 작용에 의해 진동 흡수가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 전방 충돌 또는 후방 충돌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소정 이상의 큰 충격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인체가 시트 벨트 등에 의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어찌되었든 간에 시트백 (20) 을 후방으로 쓰러뜨리는 방향으로 큰 하중이 발생한다. 이 시트백 (20) 를 후방 회전 방향으로 쓰러뜨리는 후방 모멘트에 의해, 쿠션 프레임 (100) 의 사이드 프레임 (101) 이,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중앙부 부근에서 후단 부근까지의 임의의 부위에서,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통상 상태에서의 배치 위치보다도 하방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하부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변형된다. 이 때, 사이드 프레임 (101) 의 상단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된 비드부 (101a) 가 도 3(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 사이드 프레임 (101) 의 파단의 진행이 억제된다.According to the seat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during normal use, the vibration is absorbed by the action of the flat spring member 40 and the torsion bar 120 as described above. On the other hand, when a large impact forc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is appli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due to a forward collision or a rearward collision, a large load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atback 20 is tilted backward do. 2, the side frame 101 of the cushion frame 100 is bent at a certain position from the vicinity of the approximate central portion to the vicinity of the rear end by the rear moment that causes the seat back 20 to fall in the backward rotational direction, And is deformed to bend downward about the region below the position of the shape spring member 40 in the normal state. At this time, the bead portion 101a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edge of the side frame 101 is stretch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shown in Fig. 3 (b), and the progress of the side frame 101 is prevented from progressing.

사이드 프레임 (101) 이 변형될 때에는, 마찬가지로 사이드 프레임 (101) 을 슬라이드 조절자 (110) 의 레일 (111) 에 지지시키고 있는 장착 브래킷 (103) 도 점차 구부러진다. 이 때, 사이드 프레임 (101) 과 장착 브래킷 (103) 의 강도 차이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 (101) 의 변형량이 크기 때문에, 사이드 프레임 (101) 의 후단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제 1 브래킷 (104) 의 하단이 장착 브래킷 (103) 의 후단부 (103a) 에 맞닿아, 사이드 프레임 (101) 의 변형이 일단 억제된다. 따라서, 장착 브래킷 (103) 의 후단부 (103a) 는, 사이드 프레임 (101) 의 변형을 억제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완수한다.When the side frame 101 is deformed, the mounting bracket 103 supporting the side frame 101 to the rail 111 of the slide adjuster 110 is gradually bent as well. At this time, since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side frame 101 is large due to the difference in strength between the side frame 101 and the mounting bracket 103, the strength of the first bracket 104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ide frame 101 The lower end abuts against the rear end 103a of the mounting bracket 103 and the deformation of the side frame 101 is temporarily suppressed. Therefore, the rear end portion 103a of the mounting bracket 103 fulfills a function as a stopper for suppressing the deformation of the side frame 101. [

이 때, 백 프레임 (200) 의 후방 회전 방향에 대한 내력인 후방 모멘트 강도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충격력을 받고 난 후 서서히 상승해 가고, A 점에서 쿠션 프레임 (100) 의 사이드 프레임 (101) 및 백 프레임 (200) 이 변형되기 시작한다. 이것에 의해, A 점부터 약간 후방 모멘트 강도의 기울기가 변화한다.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이 때 후방 모멘트 강도의 변화가 크게 저하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쿠션 프레임 (100) 의 변형에 따라서, 백 프레임 (200) 의 후방 변위와 함께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 장력이 상승하여 후방 모멘트 강도를 더욱 상승시켜 간다. 비드부 (101a)가 완전히 늘어나거나, 사이드 프레임 (101) 에 균열이 생기거나 하는 변형이 나타나는 것이 B 점으로, B 점부터는 후방 모멘트 강도가 저하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 (101) 이 장착 브래킷 (103) 의 후단부에 맞닿으면 사이드 프레임 (101) 의 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에, 맞닿은 시점 (C 점) 부터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 장력이 크게 작용하여 후방 모멘트 강도가 다시 상승하기 시작한다. 또, 사이드 프레임 (101) 의 변형이 진행되면, 완전히 늘어난 비드부 (101a) 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또는 먼저 발생되어 있던 균열이 확대되거나 하기 때문에 D 점부터 다시 모멘트 강도가 저하되기 시작하지만,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 장력이 커지기 때문에 E 점부터 후방 모멘트 강도가 다시 상승으로 전환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the rear moment strength, which is the proof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back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back frame 200, gradually increases after receiving the predetermined impact force, The frame 101 and the back frame 200 start to be deformed. As a result, the slope of the rear moment strength slightly changes from point A.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ushion frame 100 is deformed, the rear moment of the back frame 200 is not deformed, The tension of the flat spring member 40 increases with the displacement to further increase the rear moment strength. It is point B that the bead 101a is completely stretched or the side frame 101 is deformed to cause cracking and the back moment strength starts to decrease from point B.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ide frame 10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bracket 103, deformation of the side frame 101 is suppressed, The back moment strength starts to increase again. In addition, when the deformation of the side frame 101 progresses, cracks are generated in the fully extended bead portion 101a, or cracks generated earlier are enlarged. Therefore, the moment strength begins to decrease again from point D, Since the tension of the shape spring member 40 is increased, the back moment strength is switched again from E point.

사이드 프레임 (101) 의 상기한 바와 같은 변형에 의해, 백 프레임 (200) 의 후방 모멘트 강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변화한다. 종래라면, 이러한 시트 프레임의 변형 거동에 의해 백 프레임 (200) 의 후방 모멘트 강도를 소정 기준으로 유지하고, 그 사이에, 인체의 둔부로부터 허리부분에 걸친 부근이 백 프레임 (200) 에 장착되는 입체 편물 등의 박형 쿠션재를 눌러 백 프레임 (200) 내에 매몰되도록 동작시킴으로서 인체의 반동을 억제했었지만, 시트 프레임의 변형 거동만을 이용한 충격 흡수 기구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었다.By the above-described deformation of the side frame 101, the back moment strength of the back frame 200 changes 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the rear moment strength of the back frame 200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standard by the deformation behavior of the seat frame, and a space around the waist portion of the human body from the hip portion is attached to the back frame 200, A thin cushion material such as a knitted fabric is pressed to be buried in the back frame 200 to suppress the recoil of the human body. However, this is a limitation because it is a shock absorbing mechanism using only the deformation behavior of the seat frame.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 (101) 의 변형이 진행되어 하부 방향으로 구부러져 가면, 사이드 프레임 (101) 에 장착된 토션바 배치용 브래킷 (105) 이 함께 비스듬하게 하부 방향으로 변위해 가기 때문에,백 프레임 (200) 이 뒤로 쓰러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과 함께, 아암 (121) 이 뒤로 젖혀져, 지지 프레임 (130) 을 후방으로 변위시킨다. 지지 프레임 (130) 에는,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 일단이 지지되어 있는 한편, 그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 타단은 앞가장자리 프레임 (102) 에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 장력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 (101) 의 변형의 확대에 의해 후방 모멘트 강도의 기울기가 변하더라도,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사이드 프레임 (101) 의 변형량의 확대 및 백 프레임 (200) 이 뒤로 쓰러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양이 늘어남에 따라서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 장력이 상승하기 때문에,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 장력에 의해 후방 모멘트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결과, 시트백 (20) 의 쓰러짐이 억제되어, 백 프레임 (200) 에 장착된 입체 편물 등의 쿠션재에 의해 인체의 등부를 지지하는 것이 종래보다도 확실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는, 통상시에 있어서는 주로 진동 흡수 기능을 담당하고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큰 충격력의 입력이 있을 때에는, 백 프레임 (200) 의 후방 모멘트 강도를 높이는 내충격재로서 기능한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formation of the side frame 101 progresses and is bent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bracket 105 for placing the torsion bar mounted on the side frame 101 is inclined downward The arm 121 is tilted backward and the support frame 130 is displaced rearward while the back frame 200 is displaced in the backward collapsing direction. One end of the flat spring member 40 is supported on the support frame 130 and the other end of the flat spring member 40 is engaged with the front edge frame 102, 40 increases. Therefore, even if the inclination of the rear moment is changed by the deformation of the side frame 101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side frame 101 is increased, As the amount of deformation in the backward collapsing direction increases, the tension of the planar spring member 40 increases, so that the backward moment strength can be increased by the tension of the flat spring member 40. As a result, collapse of the seat back 20 is suppressed, and it becomes more certain that the back portion of the human body is supported by the cushioning material such as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attached to the back frame 200.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rface-type spring member 40 mainly performs the vibration absorbing function in the normal state. However, when there is input of a large impact force as described above, And functions as an impact resistant material for increasing strength.

도 7 은, 쿠션 프레임 (100) 및 백 프레임 (200) 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재로서 도 6 의 시험에 사용한 것보다도 약간 강도가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상기한 장착 브래킷 (103) 의 후단부 (103a) 와 같이 쿠션 프레임 (100) 의 변형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를 형성하지 않은 시트 프레임 구조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를 배치하여 측정한 후방 모멘트 강도를 나타낸다.7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mounting bracket 103 (Fig. 7)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slightly higher strength than that used in the test of Fig. 6 as each of the frame members constituting the cushion frame 100 and the back frame 200 103a of the cushion frame 100, the rear moment strength measured by arranging the flat spring member 40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seat frame structure in which the stopper for stopping the deformation of the cushion frame 100 is not formed.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양태의 경우에는, F 점에서 쿠션 프레임 (100) 및 백 프레임 (200) 에 변형이 생기고, 그 후,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 장력의 작용이 가해져 3000Nㆍm 를 웃도는 후방 모멘트 강도가 발생되어 있다. 그리고, G 점에서는, 쿠션 프레임 (100) 또는 백 프레임 (200) 에 큰 변형, 비드부의 신장 또는 균열 등이 생겨 후방 모멘트 강도가 저하되지만, 다시,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 장력이 커져, H 점부터 다시 후방 모멘트 강도가 상승한다. 다시 쿠션 프레임 (100) 또 백 프레임 (200) 의 변형이나 균열 등이 커지면, 후방 모멘트 강도는 I 점부터 다시 저하되기 시작하고, J 점에 이르러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 장력 증가에 의해 다시 후방 모멘트 강도가 상승하기 시작한다.As shown in Fig. 7, in this embodiment, the cushion frame 100 and the back frame 200 are deformed at point F, and then the action of the tension of the flat spring member 40 is applied, m < / RTI > At the point G, the cushion frame 100 or the back frame 200 undergoes large deformation, elongation or cracking of the bead portion, and the strength of the rear moment is lowered. However, The back moment moment increases from point H again. When the deformation, crack, or the like of the cushion frame 100 or the back frame 200 increases again, the back moment strength begins to decrease again from point I, and reaches J point again to increase the tension of the flat spring member 40 The back moment strength starts to increase.

쿠션 프레임 (100) 또 백 프레임 (200) 의 강도에만 의지한 경우에는 3000Nㆍm 이상의 후방 모멘트 강도를 달성하기가 쉽지 않고, 가령 그와 같은 구조로 한 경우에는 상당히 중량이 무거워질 것이 예상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내충격성부재로서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를 부가한 구조로 함으로써 3000Nㆍm 이상의 후방 모멘트 강도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쿠션 프레임 (100) 또 백 프레임 (200) 은 약간 높은 강도를 갖는 것을 선택하기만 하면 되고, 경량이라도 높은 후방 모멘트 강도를 갖는 구조로 할 수 있다.It is not easy to achieve a back moment strength of 3000 Nm or more when the cushion frame 100 or the back frame 200 is limited only to the strength thereof.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rear moment strength of 3000 N · m or more can be easily achieved by adopt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flat spring member 40 is added as the impact resistant memb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shion frame 100 or the back frame 200 may be selected to have a slightly higher strength and a structure having a high rear moment strength even if it is lightweight.

또, 도 6 및 도 7 에 나타낸 후방 모멘트 강도는, 모두 3 차원 마네킹의 백 팬에 부하 지그를 형성한 장치의 설계 힙 포인트 (H.P) 를 좌석 구조의 설계 착석 위치에 세팅하고, H.P 주위에 588Nㆍm/인(人)의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부하 (부하 스피드 0.5deg/s) 를 시트백에 대하여 후방으로 가함으로써 실시하였다.The rear moment strengths shown in Figs. 6 and 7 were obtained by setting the design heap point HP of the apparatus in which the load jig was formed on the back fan of the three-dimensional mannequin to the design seating position of the seat structure, The load (load speed: 0.5 deg / s) generating the moment of m / person (person) was applied to the seat back to the rear.

여기서, 쿠션 프레임 (100) 에 형성한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 상부 및 백 프레임 (200) 에는 각각 우레탄재나 입체 편물 등의 쿠션재가 배치된다. 이들 쿠션재는 그대로 표피재를 겸용하는 경우도 있고, 피혁 등의 별도의 표피재에 의해 추가적으로 피복하는 경우도 있음은 물론이다.Here, a cushioning material such as a urethane material or a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anar spring member 40 formed on the cushion frame 100 and the back frame 200, respectively. These cushioning materials may be used as a skin material as they are, or they may be additionally coated with a separate skin material such as leather.

쿠션재로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입체 편물 (400) 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체 편물 (400) 은, 서로 이간하여 배치된 표리 2 층의 그라운드 편지 (410, 420) 사이에 연결사 (430) 을 왕복시켜 양자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입체 편물 (400) 에 의하면, 경량이고 통기성이 좋고, 두께가 수 밀리미터에서 수십 밀리미터정도라도, 연결사 (430) 의 쓰러짐에 의한 복원력, 연결사 (430) 끼리의 실간 마찰, 연결사 (430) 과 그라운드 편지 (410, 420) 를 구성하는 실의 실간 마찰, 그라운드 편지 (410, 420) 의 그물코의 변형 등에 의해, 쿠션재로서 충분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As the cushioning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400 as shown in Fig. 4 and Fig.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400 is formed by reciprocating the connecting yarn 430 between the ground letters 410 and 420 on two front and rear surfaces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upling them.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400, even if the knitted fabric 400 is lightweight and has good air permeability and its thickness is several millimeters to tens of millimeters, The ground letters 410 and 420, and the deformation of the meshes of the ground letters 410 and 420. In addition,

이층(裏層)에 사용되는 그라운드 편지 (410) 는, 예를 들어, 도 4(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섬유를 꼰 실로부터 웨일 방향 및 코스 방향의 어느 방향에도 연속된 플랫 편지 조직 (가는 코)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표층에 사용되는 그라운드 편지 (420) 는, 예를 들어, 도 4(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섬유를 꼰 실로부터 벌집형상 (육각형) 의 메시를 갖는 그물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편지 조직은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가는 코 조직이나 벌집형상 외의 편지 조직을 채용할 수도 있다. 연결사 (430) 는, 표층의 그라운드 편지 (420) 와 이층의 그라운드 편지 (410) 가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그 한 쌍의 그라운드 편지 (410, 420) 사이에 짜 넣은 것으로, 이 입체 편물 (400) 에 소정의 강성을 부여하고 있다.As shown in Fig. 4 (b), for example, the ground letter 410 used in the two layers (back layer) is a flat letter structure continuous in any direction of the wale direction and the course direction Thin nose).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c), the ground letter 420 used in the surface layer is formed into a mesh structure having honeycomb (hexagonal) meshes from the yarns of short fibers . As a matter of course, the letter organization may adopt a nose structure other than a honeycomb structure. The connecting yarn 430 is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ground letters 410 and 420 so that the ground letter 420 of the surface layer and the ground letter 410 of the two lay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a predetermined rigidity.

상기한 입체 편물 (400) 은, 쿠션 프레임 (100) 에 장착하는 경우, 도 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앞단을 앞가장자리 프레임 (102) 에 걸어맞추고, 후단을 백 프레임 (200) 의 하부에 설치한 하부 프레임 (202) 에 걸어맞춰 장착된다. 또, 도시하지 않았지만 측가장자리부는 사이드 프레임 (101) 에 걸어맞춘다. 또한, 이 쿠션 프레임 (100) 에 장착하는 입체 편물 (400) 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부에 연결사 (430) 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그라운드 편지 (410, 420) 끼리 직접 서로 대향하고 있는 연결사 비배치부 (440) 를 구비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4 (a), for example, when the front end of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400 is engaged with the front edge frame 102 and the rear end of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400 is a back frame 200 mounted on a lower frame 202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202. Although not shown, the side edge portion is engaged with the side frame 101. [ As shown in Fig. 4,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400 to be attached to the cushion frame 100 is not provided with a connecting yarn 430 at a part thereof, and the ground letters 410 and 420 are directly opposed to each other And a connection terminal non-distribution portion 440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이러한 입체 편물 (400) 을 사용한 경우, 전후 방향으로 소정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져 쿠션 프레임 (100) 및 백 프레임 (200) 이 도 1 에 나타낸 상태에서 도 2 에 나타낸 상태에 도달하면, 하부 프레임 (202) 이 후방으로, 정확하게는 후방의 비스듬한 하부 방향으로 변위되기 때문에, 입체 편물 (400) 은, 도 4(a) 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늘어난다. 이 결과, 입체 편물 (400) 의 전후 방향의 장력이 높아져, 상기한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 장력에 의해 상승되는 후방 모멘트 강도를 더욱 보강적으로 상승시키는 기능을 한다.When the cushion frame 100 and the back frame 200 reach the state shown in Fig. 2 and reach the state shown in Fig. 2 when the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cushion frame 100 and the back frame 2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400 is stretch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shown in Fig. 5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 (a). As a result, the tens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400 is increased, and the function of increasing the rear moment strength, which is raised by the tension of the flat spring member 40, is further reinforced.

단, 연결사 비배치부 (440) 를 갖지 않는 구조인 경우에는, 그라운드 편지 (410, 420) 가 늘어나는 동시에 연결사 (430) 가 기울어져, 전체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고, 두께 방향 (법선 방향) 의 면강성이 높아져 법선 방향의 완충력이 저하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와 같이 연결사 비배치부 (440) 를 갖는 구조인 경우에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라운드 편지 (410, 420) 중, 연결사 비배치부 (440) 에 있어서 직접 서로 대향하고 있는 부위가 집중적으로 늘어나게 되기 때문에, 연결사 비배치부 (440) 이외의 부위에 배치되어 있는 연결사 (430) 는 그다지 기울어지지 않아, 충격력을 받기 전 상태와 거의 동일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결과, 전후 방향의 신장에 따르는 법선 방향의 완충력의 저하가 억제되고, 충격을 받았을 때에, 특히 상하 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력의 감쇄 기능을 높일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structure not having the connecting yarn non-distribution portion 440, the ground letters 410 and 420 are stretched and the connecting yarns 430 are inclined to become thin as a whole, The rigidity increases and the buffering force in the normal direction decreas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having the connecting yarn non-distribution portion 44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mong the ground letters 410 and 420, as shown in FIG. 5, The connecting yarn 430 disposed at a portion other than the connecting yarn non-distribution portion 440 is not so tilted and remain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ate before receiving the impact force. As a result, the reduction of the buffering force in the normal direction due to elonga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is suppressed, and the function of attenuating the impact force generated in the up-down direction can be enhanced particularly when the impact is applied.

상기한 입체 편물 (400) 은,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 상부에 배치되지만, 입체 편물 (400) 자체를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로서 사용하고, 입체 편물 (400) 의 후단을 토션바에 의해 지지된 지지 프레임 (130) 에 걸어맞추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라도, 연결사 비배치부 (440) 를 구비한 구조로 함으로써 연결사 비배치부 (440) 에 상당하는 부위의 그라운드 편지 (410, 420) 가 늘어나고, 그것에 의해, 쿠션 프레임 (100) 및 백 프레임 (200) 의 변형을 억제하여 시트백 (20) 의 후방 모멘트 강도를 높이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연결사 (430) 가 지나치게 쓰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하 방향의 완충력도 충분히 기능시킬 수 있다.Although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400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planar spring member 40,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400 itself is used as the planar spring member 40 and the rear end of the three- It is also possible to engage with the support frame 130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130. The ground letters 410 and 420 at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yarn non-distribution portion 440 are extended by the structure having the connecting yarn non-distribution portion 440, whereby the cushion frame 100 and the back frame The function of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back moment of the seat back 20 by suppressing the deformation of the seat back 200 can be exhibited and the connecting yarn 4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collapsed and the buffering forc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can sufficiently function.

또한,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형상 스프링부재 (40) 의 일단 (41) 과 입체 편물 (400) 의 후단을 함께 토션바에 의해 지지된 지지 프레임 (130) 에 걸어맞춘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무부하시에 있어서는, 토션바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 프레임 (130) 이 뒤로 쓰러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기 때문에, 표측에 장착된 입체 편물 (400) 의 외관이 불필요한 수축이나 주름 등을 나타내지 않는다. 한편, 사람이 착석했을 때에는,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 (130) 이 앞으로 쓰러지기 때문에, 입체 편물 (400) 의 장력이 증가하지 않고 느슨함이 발생한다. 따라서, 입체 편물 (400) 이 갖는 두께 방향의 완충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또, 이 양태에 있어서도, 입체 편물 (400) 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지만, 비교적 두께가 얇은 우레탄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9, one end 41 of the flat spring member 40 and the rear end of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400 may be structured to be engaged with the support frame 130 supported by the torsion bar together. In this case, at the time of no load, the support frame 13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bar in the direction of backward collapse,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400 mounted on the table side does not show unnecessary shrinkage or wrinkles . On the other hand, when the person is seated, as shown in Fig. 10, since the support frame 130 falls forward, the tension of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400 does not increase and looseness occurs. Therefore, the buffering for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400 can be sufficiently exhibited. Also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400 as described above,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urethane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small thickness.

본 발명의 좌석 구조는, 통상 사용시에 있어서 주로 진동 흡수 기능을 담당하는 면형상 스프링부재가, 시트백에 가해지는 후방 모멘트에 의한 그 시트백의 변형과 함께 후방으로 변위되는 임의의 프레임부재에 걸어맞춰지고, 타단이, 쿠션 프레임의 앞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된 프레임부재에 걸어맞춰진 구조이다.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소정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그 면형상 스프링부재는 시트백에 가해지는 후방 모멘트에 의해 장력이 상승하여, 시트백의 후방 모멘트 강도를 상승시키는 기능을 완수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비교하여 높은 후방 모멘트 강도를 발휘할 수 있어, 내충격성의 추가적 개선을 꾀할 수 있다.The sea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normal use, a surface-shaped spring member mainly responsible for a vibration absorbing function is engaged with an arbitrary frame member which is displaced rearward together with deformation of the seat back caused by a rear moment applied to the seat back And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a frame member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front edge of the cushion frame. Therefore, when an impact forc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is applied from the front or rear side, the tension spring is raised by the rear moment applied to the seat back, thereby completing the function of raising the back moment strength of the seat back.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hibit a high rear moment strength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impact resistance.

Claims (10)

일단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소정 이상의 충격력을 받음으로써 시트백을 변형시키는 후방 모멘트에 의해 후방으로 변위되는 임의의 프레임부재에 걸어맞춰지고, 타단이, 쿠션 프레임의 앞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된 프레임부재에 걸어맞춰져 배치되고, 상기 시트백의 변형에 따라서 장력이 상승하는 면형상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구조.One end is engaged with an arbitrary frame member which is displaced rearward by a rear moment that deforms the seat back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impact force from the front or rear side and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a frame member provided near the front edge of the cushion frame And a sheet-like spring member which is arranged on the seat back and whose tension increases in accordance with the deformation of the seat back.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소정 이상의 충격력을 받음으로써 변형되는 프레임부재를 구비한 쿠션 프레임과,A cushion frame provided with a frame member which is deformed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impact force from front or rear, 일단이, 상기 시트백에 가해지는 후방 모멘트에 의한 그 시트백의 변형과 함께 후방으로 변위되는 임의의 프레임부재에 걸어맞춰지고, 타단이, 쿠션 프레임의 앞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된 프레임부재에 걸어맞춰져 배치되고, 상기 시트백의 변형에 따라서 장력이 상승하여, 시트백의 후방 모멘트 강도를 높이는 기능을 완수하는 면형상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구조.One end is engaged with an arbitrary frame member which is displaced rearward together with the deformation of the seat back by the rear moment applied to the seat back and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the frame member provided near the front edge of the cushion frame, And a flat spring member that increases the tension in accordance with the deformation of the seat back and fulfills the function of increasing the back moment strength of the seat back.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면형상 스프링부재의 일단이 걸어맞춰지고, 상기 시트백에 대한 후방 모멘트에 의해 후방으로 변위되는 임의의 프레임부재가, 백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구조.3. The seat belt retractor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an arbitrary frame member whose one end of the flat spring member is engaged and rearwardly displaced by a rear moment with respect to the seat back is a frame member constituting a back frame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면형상 스프링부재의 일단이 걸어맞춰지고, 상기 시트백에 대한 후방 모멘트에 의해 후방으로 변위되는 임의의 프레임부재가, 백 프레임과는 독립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인체의 둔부 부근에서 허리부 부근에 대응하는 위치에 좌석의 폭방향을 따라 설치된 프레임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구조.3. The seat belt retracto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one of the frame members is engaged and rearwardly displaced by a rear moment with respect to the seat back is elastically moved independently of the back frame And is a frame member which is supported and is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a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icinity of the waist near the buttocks of the human bod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에 대한 후방 모멘트에 의해 후방으로 변위되는 임의의 프레임부재가, 상기 쿠션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부재로서, 상기 시트백에 대한 소정 이상의 충격력에 의해 변형되는 부위에, 폭방향을 따라 배치된 토션바에 의해, 통상 상태에 있어서 뒤로 쓰러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아암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구조.5. The cushion fram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ny frame member that is displaced rearward by a backward moment with respect to the seat back is a frame member constituting the cushion frame, the frame member being deformed by a predetermined or greater impact force against the seat back, Is supported by an arm that is resiliently supported by a torsion bar disposed along the seat back in a backward collapsing state in a normal sta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소정 이상의 충격력을 받았을 때의 쿠션 프레임 및 백 프레임의 변형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구조.The sea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for restricting deformation of the cushion frame and the back frame when an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seat back from a front or rear sid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면형상 스프링부재가, 2 차원 네트재 및 입체 편물 (立體編物)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그들의 2 종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구조.The sea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lat spring member is composed of one kind selected from a two-dimensional net material and a three-dimensional knitted material,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면형상 스프링부재의 상부에, 2 차원 네트재, 입체 편물 및 우레탄재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그들의 2 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시트백에 가해지는 후방 모멘트에 의한 그 시트백의 변형과 함께 후방으로 변위되는 임의의 프레임부재에 걸어맞춰지고, 타단이, 쿠션 프레임의 앞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된 프레임부재에 걸어맞춰져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구조.The sea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on the top of the flat spring member,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embers selected from a two-dimensional net material, a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and a urethane material, And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a frame member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front edge of the cushion frame so as to be engaged with an arbitrary frame member displaced rearward together with the deformation of the seat back caused by the applied rearward moment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가, 표리 2 층의 그라운드 편지 (編地) 끼리를 연결사 (連結絲) 로 결합하여 형성되어 있는 입체 편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구조.The sea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said cushioning material is a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formed by joining ground letters (knitted fabrics) on two front and back layers with connecting yarn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물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임의 부위에, 연결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라운드 편지끼리 직접 서로 대향하고 있는 연결사 비배치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구조.10. The sea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 connection yarn is not formed at any portion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and the connection yarns are arranged so that the ground letters directly face each other.
KR1020057000533A 2002-07-17 2003-07-17 Seat construction KR1006017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08957 2002-07-17
JP2002208957 2002-07-17
PCT/JP2003/009089 WO2004007238A1 (en) 2002-07-17 2003-07-17 Seat constr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178A true KR20050013178A (en) 2005-02-02
KR100601765B1 KR100601765B1 (en) 2006-07-19

Family

ID=3011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533A KR100601765B1 (en) 2002-07-17 2003-07-17 Seat construction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03229B2 (en)
EP (1) EP1552981B1 (en)
JP (1) JP4554362B2 (en)
KR (1) KR100601765B1 (en)
CN (1) CN100421989C (en)
TW (1) TWI231750B (en)
WO (1) WO2004007238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904B1 (en) * 2005-06-13 2008-10-09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 Seat structure
KR100901674B1 (en) * 2005-06-13 2009-06-08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 Base net supporting mechanism for seat and seat structure thereof
KR101394742B1 (en) * 2012-09-19 2014-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eat control device and method be considered human engineer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5976A (en) * 2004-12-22 2006-07-06 Tachi S Co Ltd Impact absorbing seat structure for vehicle
JP4860932B2 (en) * 2005-02-04 2012-01-25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Shock-absorbing automotive seat
JP4757553B2 (en) 2005-07-14 2011-08-24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Sheet
DE102006038771A1 (en) * 2006-08-17 2008-02-21 Recaro Aircraft Seating Gmbh & Co. Kg seat device
JP5179798B2 (en) 2007-05-22 2013-04-10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Seat structure
US7527334B2 (en) * 2007-06-18 2009-05-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otive seat reclining system
JP5255831B2 (en) 2007-12-27 2013-08-07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Shock absorbing structure, shell-type frame member and seat structure
US8500196B2 (en) * 2008-04-15 2013-08-06 Britax Child Safety, Inc. Child seat having a crush zone
JP5408688B2 (en) * 2008-05-28 2014-02-05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Sheet
US8371655B2 (en) * 2008-10-20 2013-02-12 Nhk Spring Co., Ltd. Seat cushion frame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and seat for vehicle with seat cushion frame structure
DE102009056731A1 (en) 2009-12-04 2011-06-09 Rev Renewable Energy Ventures, Inc. Halogenated polysilanes and polygermanes
US8172320B2 (en) * 2010-02-11 2012-05-08 Nissan North America, Inc. Impact absorption block for vehicle seatback assembly
CN101905664B (en) * 2010-03-23 2012-01-11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Anti-rear collision neck protection seat
EP2616272B1 (en) * 2010-09-14 2017-06-21 Basf Se Energy absorbing bracket for a seat of a vehicle
DE102010051325B4 (en) * 2010-11-16 2020-11-26 Grammer Aktiengesellschaft Seat base for a person seat
JP5788216B2 (en) * 2011-05-13 2015-09-30 日本発條株式会社 Cushion seat frame structure for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having the structure
JP6166643B2 (en) * 2013-01-23 2017-07-19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Vehicle seat
JP6111471B2 (en) * 2013-08-09 2017-04-1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Vehicle seat
SE541442C2 (en) 2015-09-07 2019-10-01 Ningbo Geely Automobile Res & Development Co Ltd Method and vehicle seat arrangement comprising a deformation portion
DE102016209053B4 (en) 2016-05-25 2020-01-02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with end stop with clearance to improve rigidity and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seat
US10843602B2 (en) * 2016-09-27 2020-11-24 Proma S.P.A. Seat for vehicles having an engagement edge
CN106813916B (en) * 2017-03-03 2023-05-23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Tractor seat and safety belt strength test system
GB2561548B (en) * 2017-03-31 2019-07-17 Acro Aircraft Seating Ltd Energy absorb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62002B1 (en) * 1984-03-27 1986-08-22 Peugeot Cycles DEVICE FOR LOCALLY ADJUSTING THE TENSION OF AN ELASTIC SHEET AND ELASTIC SHEET, PARTICULARLY FOR A SEAT BACKREST, PROVIDED WITH SUCH A DEVICE
US5295729A (en) * 1992-02-18 1994-03-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High retention seat back
DE4436139C1 (en) * 1994-10-10 1996-03-21 Autoliv Dev Motor vehicle passenger seat with side impact protection
NL9401985A (en) * 1994-11-25 1996-07-01 Johannes Theodorus Marie Rasen Seat and vehicle equipped with it.
AU716487B2 (en) * 1995-09-14 2000-02-24 Autoliv Development Ab A seat for use in a vehicle
US5810417A (en) * 1995-09-28 1998-09-22 Mongkol Jesadanont Automatic safety car seats and sheet-type safety-belt
US6485098B1 (en) * 1998-10-30 2002-11-26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Restraint system for a school bus seat
JP2002012072A (en) * 2000-06-30 2002-01-15 Takata Corp Seat for moving body
JP4666724B2 (en) * 2000-07-10 2011-04-06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Folding seat
US6378939B1 (en) * 2000-09-25 2002-04-30 East/West Industries, Inc. Variable energy attenuating apparatus
JP2003180481A (en) 2001-12-20 2003-07-02 Delta Tooling Co Ltd Sea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904B1 (en) * 2005-06-13 2008-10-09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 Seat structure
KR100901674B1 (en) * 2005-06-13 2009-06-08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 Base net supporting mechanism for seat and seat structure thereof
KR101394742B1 (en) * 2012-09-19 2014-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eat control device and method be considered human engine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31750B (en) 2005-05-01
JPWO2004007238A1 (en) 2005-11-10
US7303229B2 (en) 2007-12-04
US20050231011A1 (en) 2005-10-20
CN1668489A (en) 2005-09-14
EP1552981B1 (en) 2012-09-12
EP1552981A4 (en) 2010-09-29
TW200402277A (en) 2004-02-16
CN100421989C (en) 2008-10-01
KR100601765B1 (en) 2006-07-19
EP1552981A1 (en) 2005-07-13
WO2004007238A1 (en) 2004-01-22
JP4554362B2 (en)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765B1 (en) Seat construction
EP1415853B1 (en) Seat structure with anti-submarining device
JP4050511B2 (en) Seat structure
US6302487B1 (en) Seat having a three-dimensional net
US6854805B2 (en) Seat structure
US7618096B2 (en) Seat structure
US6921132B2 (en) Seat structure
US7503627B2 (en) Seat
KR100587745B1 (en) Low frequency vibration structure and low frequency vibration seat
US6817674B2 (en) Seat structure
JP4169599B2 (en) Seat structure
JP4520300B2 (en) Thin sheet
JP6557462B2 (en) Lumber support structure and seat structure
JP2004188164A (en) Seat structure
US6932432B2 (en) Seat structure
JP5210043B2 (en) Seat structure
JP2005046355A (en) Flat support member for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