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185A - Warp weav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rp weav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185A
KR20050009185A KR1020040054688A KR20040054688A KR20050009185A KR 20050009185 A KR20050009185 A KR 20050009185A KR 1020040054688 A KR1020040054688 A KR 1020040054688A KR 20040054688 A KR20040054688 A KR 20040054688A KR 20050009185 A KR20050009185 A KR 20050009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ember
fixing mechanism
loom according
tension
anv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6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75492B1 (en
Inventor
미슈타크레지미르
피셔요아힘
브로쉬안드레아스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09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1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492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Loom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PURPOSE: A warp weaving loom contains a fixing device operating on a tension member. Therefore, the warp weaving loom reduces affection generated by interference. CONSTITUTION: A warp weaving loom contains: yarn guiding parts(2) capable of being moved horizontally in a transitional direction by a driving part(21); a pattern stitching bar(1) containing a tension member(12); the tension member set between the driving part and the yarn guiding part; and a fixing device(13) operating on the tension member. The fixing device is a clamp device. The fixing device contains a pressure spring, a tension driving part(20) and a head part(15) operated with an anvil(14). A guiding part(16) is set on an area of the fixing device.

Description

경사 직기{Warp weaving machine}Warp Weaving Machine

본 발명은 구동부를 사용하여 전이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한 다수의 실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 안내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인장부재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뜨기 바(bar)를 구비하는 경사 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lined loom having a plurality of thread guides which are movable left and right in a transition direction using a drive unit and having at least one pattern knitting bar in which a tension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thread guide unit and the drive unit. will be.

이러한 종류의 경사 직기는 DE 101 37 601 A1에 잘 알려져 있다. 경사 직기에서, 실 안내부는 양단에서 인장리본(tension ribbon)을 따라 인장부재에 연결된 와이어(wire) 또는 와이어 로프(wire rope)에 현가되므로 상기 와이어 로프의 양단에는 동일한 힘이 가해진다. 구동모터의 임펠러(impeller) 주위에는 인장리본이 감겨져 있으므로 상기 실 안내부를 이동하는 데에 필요한 힘이 발생해야한다. 그러나, 상기 구동모터는 스프링 또는 또다른 인장장치를 잡아당기는 데에 필요한 힘을 발생해서는 안된다. 이때, 상기 인장장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장력(tension)이 유지되는 공기실린더로 형성된다.Inclined weaving looms of this kind are well known in DE 101 37 601 A1. In warp looms, the thread guides are suspended on wires or wire ropes connected to the tension members along the tension ribbon at both ends so that the same forc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wire ropes. Since a tension ribbon is wound around the impeller of the drive motor, the force necessary to move the seal guide must be generated. However, the drive motor should not generate the force necessary to pull the spring or another tensioning device. In this case, the tension device is formed of an air cylinder in which the tension is maintained by the pressure of the air.

이러한 종류의 기계에서는 예를 들어, 설치중에 또는 작동시 압축공기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기계를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운송할 경우에도 상기 기계에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인장부재는 횡방향 강성(剛性)이 결여됨으로 인해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인장부재는 그 위치에서 이탈하여 서로 겹쳐져 얽힐 위험이 있다. 이는 구현시 추가비용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상기 인장부재는 재구현 이전에 분리되거나 그 위치에 삽입되어야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실 안내부의 또다른 분할부가 구비한 단위 바(bar)를 교체할 때에도 상기 인장부재는 얽히고 손상될 수 있다.In this kind of machine, for example, the compressed air supply can be cut off during installation or during operation. Even when the machine is transported from the producer to the consumer, the compressed air is not supplied to the machine. In this state, the tension member cannot maintain its position due to the lack of lateral rigidity. Therefore, there is a risk that the tension membe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ntangled with each other. This results in an additional cost in the implementation. The tension member must be removed or inserted in place prior to reimplementation. Further, for example, the tension member may be entangled and damaged when replacing the unit bar provided with another division of the seal guide.

본 발명의 목적은 간섭으로 인한 영향을 줄이는 데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effects of interference.

도 1은 인장부재를 구비한 경사 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clined loom with a tensioning member,

도 2a 및 도 2b는 다수의 인장부재를 구비한 경사 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며,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warp loom having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도 3은 두 개의 고정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wo fasteners;

도 4는 인장부재의 말단에 위치한 회전롤러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며,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rotating roller located at the end of the tension member,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고,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도 6은 도 4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4.

상기 목적은, 인장부재에 작용하는 고정기구를 구비한 처음에 언급한 종류의 경사 직기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This object is solved by providing an inclined loom of the kind mentioned at the beginning with a fixing mechanism acting on the tension member.

상기 인장부재에 대한 장력(tension)이 매우 줄어들거나 소멸될 위험이 존재하면, 상기 고정기구는 릴리스(release)된다.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인장부재를 단단히 소정의 위치에 고정한다. 상기 인장부재에 중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위치에서 상기 인장부재를 제거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재구현은 실질적으로 더 간단해진다. 단지 상기 고정기구만을 릴리스해야한다. 이러한 동작은, 상기 인장부재를 장력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힘 또는 압력이 다시 발생된 후에 수행된다. 상기 인장부재가 잡아당겨지면, 자체 위치를 더 이상 벗어날 수 없다.If there is a risk that the tension on the tension member is greatly reduced or extinguished, the fastener is released. The fixing mechanism firmly fixes the tension member in a predetermined position. Even if gravity acts on the tension member, the tension member cannot be removed at the position. As a result, reimplementation is substantially simpler. Only release the fasteners. This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the force or pressure necessary to keep the tension member in tension is generated again. Once the tension member is pulled out, it can no longer be out of its posi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기구는 클램프기구로 형성된다. 이는 고정기구의 매우 간단한 실시예이다. 상기 인장부재는 간단하게 고정된다. 이때 발생하는 마찰력은 상기 인장부재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기에 충분하다.Preferably, the fixing mechanism is formed of a clamp mechanism. This is a very simple embodiment of the fastener. The tension member is simply fixed.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at this time is sufficient to fix the tension member in a desired posi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장부재는 적어도 상기 고정기구의 영역에서 리본 형태로 형성된다. 리본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편평한 두 개의 측면을 구비하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상기 고정기구가 클램프기구로 형성되는 경우, 간단한 조작이 가능하다. 필요한 마찰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충분한 힘이 상기 리본의 양측에 작용하는 도구만을 사용해야한다.Preferably, the tension member is formed in the form of a ribbon at least in the region of the fastener. The ribbon has the advantage of having two sides that are substantially parallel and flat. In particular, when the fixing mechanism is formed of a clamp mechanism, simple operation is possible. In order to form the required friction surface, only tools with sufficient force acting on both sides of the ribbon should be used.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인장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기구는 동시에 인장부재의 그룹에 작용한다. 각각의 인장부재에는 개개의 고정기구가 구비되어야 한다. 오히려, 상기 인장부재를 그룹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고 다수의 인장부재에는 공통 고정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고 제어를 간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항상 모든 인장부재에는, 즉, 적어도 한 그룹의 모든 인장부재에는 상기 고정기구가 동시에 사용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Preferably,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are provided and the fasteners act on groups of tension members at the same time. Each tension member is to be provided with an individual fastener. Rather, the tension members may be combined in a group manner and a common fixing mechanism may be used for the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This can reduce installation space and simplify control.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fasteners must always be used simultaneously on all tension members, ie on all tension members of at least one group.

여기서, 상기 인장부재의 그룹은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이는, 특히, 상기 인장부재가 상기 고정기구의 영역에서 리본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이 경우, 개개의 리본을 연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지나치게 크지 않은 적절한 힘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리본이 그 위치에 안정되게 고정된다.Here, the group of tension members is arranged continuously. This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when the tension member is formed in the form of a ribbon in the region of the fastener. In this case, individual ribbons can be pressed continuously. This operation, when performed with a suitable force that is not too large, ensures that the ribbon is securely held in position.

여기서, 상기 고정기구의 영역에는 안내부가 배치되며 상기 인장부재는 상기 고정기구의 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안내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고정기구가 예를 들어 클램프기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안내부는 상기 리본이 동시에 압박될 때 측방향으로 이탈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상기 고정기구는 고정동작을 해제할 때에도 상기 리본이 그 위치에 남을 수 있도록 상기 안내부와 함께 보장한다.Here, the guide portion is disposed in the region of the fixing mechanism and the tension member is guided to be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xing mechanism. Alternatively, if the fastening mechanism is for example formed as a clamp mechanism, the guide ensures that the ribbon can be laterally released when the ribbon is pressed at the same time. The fastening mechanism ensures with the guide so that the ribbon remains in its position even when releasing the fastening oper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기구는 동시에 다수의 인장부재의 그룹에 작용하며 상기 그룹은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예를 들어, 두 개 또는 세 개의 인장부재 그룹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고정기구에 의해 가동될 수 있다. 이로써, 공간을 더 줄일 수 있다. 경사 직기가 다수의 인장부재, 예를 들어, 64개의 인장부재 및 이에 대응하는 수의 실 안내 그룹을 구비할 경우, 각각 8개의 인장부재는 서로 겹쳐져 그룹으로 배치되고 이러한 종류의 두 개의 그룹이 연속적으로 배치된다면, 4개의 고정기구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그룹의 16개의 인장부재는 하나의 고정기구에 의해 가동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astening mechanism acts on a plurality of groups of tension members at the same time and the groups have the same height. For example, two or three groups of tension members can be arranged in succession and thus can be actuated by the same fastener. This can further reduce the space. If the warp loom has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for example 64 tension members and a corresponding number of thread guide groups, each of the eight tension members overlaps one another and is arranged in groups and two groups of this kind are continuous If fixed, four fasteners may be required. The sixteen tension members of the two groups can be actuated by one fasten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기구는 고정방향으로 바이어스(bias)되며 인장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보조에너지, 예를 들어, 압축공기 또는 전류가 소멸되거나 매우 줄어들어 상기 고정기구의 고정력을 더 이상 제어할 수 없을 경우, 상기 고정기구는 자동으로 릴리스된다. 전류강하를 위해서, 상기 고정기구를릴리스할 수 있는 또다른 방법을 찾아서는 안된다. 상기 보조에너지가 소멸되면, 상기 인장부재는 고정된다.Preferably, the fastener is biased in the fixed direction and has a tension drive. In this embodiment, when the auxiliary energy, eg compressed air or current, is extinguished or greatly reduced so that the clamping force of the fixture can no longer be controlled, the fixture is automatically released. For a drop in current, another way to release the fixture should not be found. When the auxiliary energy disappears, the tension member is fixed.

여기서, 상기 고정기구는 압력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스프링은 구조적으로 간단한 부재이다. 작동시, 즉, 간섭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압력 스프링은 예를 들어, 압축공기 또는 자력에 의해 팽팽해진다. 상기 보조에너지가 소멸되고 그에 따라 상기 압력 스프링이 더 이상 팽팽해질 수 없는 경우, 상기 인장부재는 상기 고정기구에 의해 고정된다.Here, the fixing mechanism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ressure spring. The pressure spring is a structurally simple member. In operation, ie in the absence of interference, the pressure spring is tensioned, for example by compressed air or magnetic force. When the auxiliary energy is extinguished and thus the pressure spring can no longer be tightened, the tension member is fixed by the fixing mechanism.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기구는 앤빌(anvil)과 함께 작용하는 작동가능한 헤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부는 예를 들어, 전술한 압력 스프링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물론, 마찬가지로 또다른 구동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가 상기 앤빌과 반대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앤빌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인장부재를 고정한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fastener has an actuable head that works with the anvil. The head portion can be moved by, for example, the pressure spring described above. Of course, another drive may likewise be used. When the head portion proceed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nvil, the head portion fixes the tension member existing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anvil.

여기서, 상기 헤드부는 변형가능한 전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형가능한 전면은 상기 인장부재의 외곽에 적합하고 상기 인장부재를 고정한다. 상기 변형가능한 헤드부는 인접한 그룹간의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차이를 보상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인장부재의 그룹이 상기 고정기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head portion preferably has a deformable front surface. The deformable front face is adapted to the outside of the tension member and secures the tension member. Since the deformable head portion can compensate for a relatively small height difference between adjacent groups, a plurality of groups of tension members can be fixed by the fastening mechanism.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부는 폴리머(polymer)로 형성된다. 폴리머 플라스틱은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헤드부를 때때로 교체할 수 있는 마모부로 간주할 수 있다. 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머 플라스틱은 상기 인장부재 가동시 표면차이를 줄일 수 있을 정도로 가요성이 충분하다.Preferably, the head portion is formed of a polymer. Polymer plastic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inexpensive. The head part can sometimes be regarded as a wearable part that can be replaced. Polymers, for example polymer plastics, are flexible enough to reduce surface differences when operating the tensioning member.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앤빌은 상기 헤드부로 이동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헤드부와 상기 앤빌이 모두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인장부재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앤빌을 고정함으로써 너무 세게 조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인장부재의 부하가 감소된다.According to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anvil is movable to the head portion. In this case, both the head portion and the anvil move. Therefore, the tension member is not adjusted too hard by fixing the head portion and the anvil. That is, the load of the tension member is reduced.

여기서, 고정부가 상기 앤빌의 경로제한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앤빌은 소정의 위치까지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위치는, 상기 인장부재가 최적으로 진행되도록 선택된다. 특히, 짧은 인장부재에서는 이러한 조정동작이 제한된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art is provided as a path limiting part of the anvil. The anvil can only be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position is selected so that the tension member proceeds optimally. In particular, this adjustment operation is limited in the short tension member.

여기서, 상기 앤빌은 상기 헤드부의 구동부보다 성능이 우수한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어, 상기 앤빌이 이에 대응하여 전부 두 개의 압력 스프링을 구비하는 두 개의 동일한 형태의 구동부재에 의해 가동되는 동안, 상기 헤드부가 예를 들어 압력 스프링을 구비한 구동부재에 의해 가동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앤빌의 위치가 상기 고정부에 의해서만 정의되고 상기 헤드부의 힘에 의해 변경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vil includes a driving unit having better performance than the driving unit of the head unit. This is achieved by, for example, the head being actuated by, for example, a drive member with a pressure spring while the anvil is actuated by two identically shaped drive members with all two pressure springs corresponding thereto. Can be realized.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of the anvil is defined only by the fixing portion and cannot be changed by the force of the head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장부재는 일측에 구동부를 구비하는 반면에 다른 측에서는 회전롤러에 의해 인장부재로 안내되며 상기 회전롤러는 적어도 중력방향으로 그 하단에서 정적 고정부재에 의해 차폐되는 순환 홈(nut)을 구비한다. 상기 인장부재는 두 개의 인장부재 사이에서 더 이상 팽팽해지지 않고 말단의 구동부와 또다른 말단의 인장부재사이에서만 고정된다. 상기 인장부재가 장력을 상실할 경우, 상기 인장부재는 상기 구동부의 영역에서 상기 고정기구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는 달리, 또다른 말단에서는 고정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는, 상기 인장부재가 상기 말단에서 상기 회전롤러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정동작은 구조적으로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상기 말단에서 예를 들어, 와이어 로프(wire rope)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인장부재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회전롤러의 홈에 간단히 고정된다.Preferably, the tension member is provided with a driving part on one side while the other side is guided to the tension member by a rotating roller, and the rotating roller is at least circumferentially circulated by a static fixing member at its lower end. It is provided. The tension member is no longer taut between the two tension members and is fixed only between the distal drive and the other tension member. When the tension member loses tension, the tension member is fixed by the fixing mechanism in the region of the drive portion. In contrast,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 fixing operation at the other end. This is because the tension member is fixed to the rotary roller at the end. This fastening operation is relatively simple in structure. It is simply fixed to the groove of the rotating roller so that the tension member, which can be formed at the end, for example, as a wire rope, does not escape.

여기서, 다수의 회전롤러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인접한 회전롤러 사이의 갭(gap)은 상기 갭의 영역에 있는 상기 인장부재의 최소 횡단면치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회전롤러의 안내 홈이 상기 영역에서 상기 인접한 회전롤러에 의해 차폐되므로, 상기 인장부재는 상기 회전롤러를 측방향으로 이탈할 수 없다. 최외곽 회전롤러에서만 또다른 차폐동작이 요구된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rotating rollers is smaller than the minimum cross sectional dimension of the tension member in the region of the gap. In this case, since the guide groove of the rotating roller is shielded by the adjacent rotating roller in the area, the tension member cannot detach the rotating roller laterally. Only the outermost rotating rollers require another shielding a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은 실 안내부(2)를 포함하는 패턴뜨기 바(bar)(1)를 구비한 경사 직기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경사 직기에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패턴뜨기 바가 구비된다. 각각의 패턴뜨기 바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실 안내부(2)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경사 직기의 사시도는 간단한 설명을 위한 것이다.1 schematically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inclined loom with a pattern weaving bar 1 comprising a thread guide 2. Inclined looms are generally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pattern knitting bars. Each patterning bar generally has one or more thread guides 2. The perspective view of the warp loom shown in FIG. 1 is for brief description.

상기 실 안내부(2)는 와이어 로프(wire rope)(3)에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 로프(3)가 좌우로 이동하면, 상기 실 안내부(2)는 마찬가지로 전이방향으로 좌우로 이동한다. 상기 전이방향은 상기 와이어 로프(3)의 종방향과 평행하게 신장된다.The thread guide 2 is fixed to a wire rope 3. When the wire rope 3 moves to the left and right, the seal guide 2 similarly moves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transition direction. The transition direction extend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rope 3.

말단(도 1의 우측)에는 상기 와이어 로프(3)가 회전롤러(4)에 의해 복원부(5)로 안내된다. 상기 복원부(5)는 상기 와이어 로프(3)에서 경로길이와 무관한 장력을 발생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복원부(5)는 예를 들어, 압축공기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At the end (right side of FIG. 1), the wire rope 3 is guided to the restoring portion 5 by the rotary roller 4. The restoration unit 5 generates a tension in the wire rope 3 irrespective of the path length. To this end, the restoring unit 5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compressed air cylinder.

또다른 말단에는 상기 와이어 로프(3)가, 분리가능한 커플링(coupling)(7)에 의해 인장리본(tension ribbon)(6)에 연결된다. 상기 인장리본(7)은, 기어부(10)의 출구회전축(9)에 배치된 드럼(8)에 감겨져 있다. 상기 기어부(10)의 입구측에는 모터(11)가 배치된다. 상기 모터(11)는 전기모터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서보모터, 영구자석여기된 동기모터 또는 스텝모터로 형성된다. 원칙적으로, 작은 각도증분(increment)으로 제어가능한 모든 모터가 상기 모터(11)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터(11)를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 제어공학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모터(11)와 상기 기어부(10)는 상기 드럼(8)과 함께 구동부(21)를 형성한다.At the other end the wire rope 3 is connected to a tension ribbon 6 by means of a detachable coupling 7. The tension ribbon 7 is wound around a drum 8 arranged on the outlet rotation shaft 9 of the gear portion 10. The motor 11 is disposed at the inlet side of the gear unit 10. The motor 11 is formed of an electric motor, preferably a servo motor, a permanent magnet excited synchronous motor or a step motor. In principle, any motor controllable with a small angular increment can be used as the motor 11. The control engineering used to control the motor 11 is not shown. The motor 11 and the gear unit 10 together with the drum 8 form a drive unit 21.

상기 와이어 로프(3)는 상기 인장리본(6)과 함께 인장부재(12)를 형성한다. 상기 인장부재(12)는 가동시 상기 복원부(5)에 의해 장력으로 유지된다. 상기 모터(11)는 상기 복원부(5)에 대해서만 작동한다. 따라서, 상기 기어부(10)가 작용과 연관된다하더라도, 상기 기어부(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상기 인장부재(12)의 이동방향과 무관하게 항상 상기 동일한 방향으로 감소된다.The wire rope 3 forms a tension member 12 together with the tension ribbon 6. The tension member 12 is maintained in tension by the restoring portion 5 during operation. The motor 11 operates only for the restoration part 5. Thus, even if the gear portion 10 is associated with the action, the gear portion 10 can be used. This action is always reduced in the same direction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ension member 12.

가동시뿐만 아니라 구현단계에서도 간섭은 불가피하다. 예를 들어, 상기 복원부(5)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인장부재(12)의 장력은 감소되고, 상기 인장부재(12)가 그 도시된 위치를 떠나는 위험이 존재한다.Interference is inevitable not only during operation but also at the implementation stage. For example, when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restoring portion 5, the tension of the tension member 12 is reduced,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tension member 12 leaves its depicted position.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간섭이 발생할 때 구동되는 고정기구(13)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기구(13)는 앤빌(anvil)(14)을 구비하며 상기 앤빌(14)과 함께헤드부(15)를 작용시킨다. 상기 헤드부(15)는 폴리머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15)는 소정의 한계로 경사져 있다. 상기 앤빌(14)에는, 예를 들어, 요크(yoke)의 형태로 두 개의 첨단부(17, 18)에 의해 안내부(16)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첨단부(17, 18)는 상기 헤드부(15)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신장된다.In order to prevent this risk, a fixing mechanism 13 is provided which is driven when interference occurs. The fixing mechanism 13 has an anvil 14 and acts on the head 15 with the anvil 14. The head portion 15 is made of polymer plastic. The head portion 15 is inclined to a predetermined limit. The guide 16 is fixed to the anvil 14 by two tips 17 and 18 in the form of a yoke, for example. The tip portions 17 and 18 extend in parallel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ead portion 15.

상기 헤드부(15)는 태핏(tappet)(19)을 지나 구동실린더(20)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구동 실린더(20)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압력 스프링이 배치된다. 상기 압력 스프링은 저항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헤드부(15)를 상기 앤빌(14)의 방향으로 압박한다. 물론, 상기 태핏(19)은 보조에너지, 예를 들어, 압축공기 활성화시 상기 앤빌(14)로부터 이격되므로, 상기 헤드부(15)가 상기 앤빌(14)에 대한 충분한 간격을 가지며 상기 리본(6)이 상기 앤빌(14)에 대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 공급이 중단된다면, 상기 복원부(5)의 작용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 실린더(20)에 배치된 압력 스프링이 더 이상 압축되지 않고, 상기 태핏(19)이 상기 헤드부(15)에 의해 상기 앤빌(14) 방향으로 밀어 움직여지며 상기 헤드부(15)는 상기 리본(6)의 중간위치에서 상기 앤빌(14)에 고정된다. 상기 안내부(16)는, 상기 리본(6)이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head portion 15 is driven by a drive cylinder 20 through a tappet 19.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drive cylinder 20 is provided with a pressure spring. The pressure spring urges the head portion 15 in the direction of the anvil 14 when no resistive force is applied. Of course, the tappet 19 is spaced apart from the anvil 14 upon the activation of auxiliary energy, for example compressed air, so that the head 15 has a sufficient distance to the anvil 14 and the ribbon 6. Can move freely with respect to the anvil 14. If the compressed air supply is stopped, not only the action of the restoring unit 5 is reduced, but also the pressure spring disposed on the driving cylinder 20 is no longer compressed, and the tappet 19 is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15. The head portion 15 is fixed to the anvil 14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ribbon 6 by pushing in the direction of the anvil 14. The guide portion 16 prevents the ribbon 6 from deviating laterally.

물론, 상기 구동실린더(20)는 또 다른 실시예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앤빌(14)과 상기 헤드부(15) 사이에는 자석 커플링(coupling)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석 커플링에서 상기 헤드부(15)는 자력에 의해 상기 앤빌(14)로부터 인출된다. 이 경우, 마찬가지로, 압축공기에 의해 발생된 저항력이 상기 구동실린더(20)에서 발생된다. 상기 저항력은 다르게 발생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마찬가지로 자력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실린더(20)를 전기선형모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전기선형모터는, 간섭없는 가동시 상기 헤드부(15)를 상기 앤빌(14)에 대해 충분한 간격을 두고 유지하기 위해서, 스프링에 의해 형성된 저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간섭이 발생하고 상기 복원부(5)가 더 이상 작동을 수행할 수 없으면, 상기 고정기구(13)는 릴리스되고, 상기 헤드부(15)는 그 자체와 상기 앤빌(14) 사이에 리본(6)을 고정한다. 그 결과, 상기 인장부재(12)는 그 위치를 떠날 수 있고 또다른 인장부재(12)(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와 함께 얽히지 않는다.Of course, the drive cylinder 20 may be provided with another embodiment. For example, a magnetic coupling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nvil 14 and the head portion 15. In the magnet coupling the head portion 15 is drawn out of the anvil 14 by magnetic force. In this case, similarly, a resistive force generated by the compressed air is generated in the drive cylinder 20. The resistance may occur differently, for example, may be generated by magnetic force as well. The drive cylinder 20 may be formed of an electric linear motor. The electric linear motor can reduce the resistive force formed by the spring in order to maintain the head portion 15 at sufficient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anvil 14 during operation without interference. However, if interference occurs and the restoring portion 5 can no longer perform the operation, the fixing mechanism 13 is released, and the head portion 15 is ribbon between itself and the anvil 14. Secure (6). As a result, the tension member 12 may leave its position and does not get entangled with another tension member 12 (not shown in detail).

도 2a 및 도 2b는 다수의 인장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간섭없는 작동과 간섭받은 작동을 대비하여 도시한다. 도 1과 같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한다.2A and 2B illustrate the interference free operation and the interference operation when using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The same parts as in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각각의 인장부재(12) 말단에는 자체의 복원부(5)가 구비되고 또다른 말단에는 상기 드럼(8)에서 식별할 수 있는 자체 구동부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기구(13)는 도 2a에서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 상기 헤드부(15)는 상기 앤빌(14)과 충분한 간격을 가지므로, 상기 구동부(21)의 작동중에 상기 인장부재(12)와 상기 복원부(5)와의 말단 및 상기 인장부재(12)의 또다른 말단에서 상기 실 안내부(2)가 전이방향으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At the end of each tension member 12 is provided its own restoration 5 and at its other end is provided its own drive which can be discerned from the drum 8. The fixing mechanism 13 is not activated in FIG. 2A. Since the head portion 15 has a sufficient distance from the anvil 14, the end of the tension member 12 and the restoring portion 5 and the tension member 12 during operation of the driving portion 21. At the other end the thread guide 2 can move from side to side in the transition direction.

상기 복원부(5)에 의해 발생된 힘이 감소되면, 예를 들어 상기 개개의 인장부재(12)가 그 표준위치에서 이탈되므로 서로 겹쳐져 얽히는 위험이 존재한다. 이러한 위험은, 도 2b에서 활성화된 위치로 도시된 상기 고정기구(13)에 의해 방지된다. 상기 헤드부(15)는 상기 앤빌(14) 위로 이동하였고 이제 상기 인장부재(12)를 고정한다. 보다 정확히 말해서, 상기 헤드부(15)는 상기 인장부재(12)의 리본 형태의 단면부(6)를 자체와 상기 앤빌(14) 사이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안내부(16)는 상기 인장부재(12)가 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기구(13)는 동시에 다수의 인장부재,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6개의 인장부재에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인장부재(12)는 상기 경사 직기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서로 고정되므로, 상기 인장부재(12)가 서로 겹쳐져 얽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If the force generated by the restoring portion 5 is reduced, there is a risk that, for example, the individual tension members 12 are displaced from their standard positions so that they are overlapped and entangled with each other. This risk is prevented by the fastener 13 shown in the activated position in FIG. 2b. The head portion 15 has moved above the anvil 14 and now secures the tension member 12. More precisely, the head portion 15 secures the ribbon-shaped cross-section 6 of the tension member 12 between itself and the anvil 14. At this time, the guide portion 16 prevents the tension member 12 from being separated laterally. The fastening mechanism 13 acts on a number of tension members at the same time, ie six tension member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refore, since the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12 are relatively fixed to each other as well as to the warp loom, the tension members 12 do not overlap and entangle with each other.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고정기구(13)에 대응하는 두 개의 고정기구를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헤드부(15)는 정적 앤빌(14)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상기 앤빌(14)과 상기 헤드부(15) 사이에 존재하는 인장부재(12)는 여기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3 shows an embodiment with two fasteners corresponding to the fasteners 13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The head 15 is movable relative to the static anvil 14. The tension member 12 existing between the anvil 14 and the head portion 15 is not shown here.

상기 고정기구(13)의 구동실린더(20)가 고정되는 동일한 캐리어(carrier)(22)에는 또다른 고정기구(23)가 배치된다. 상기 고정기구(23)는 앤빌(24)을 구비한다. 상기 앤빌(24)과 함께 헤드부(25)가 작용하며, 상기 헤드부(25)는 구동실린더(20a)에 의해 이동한다. 상기 구동실린더(20a)는 상기 고정기구(13)의 구동실린더(20)와 일치한다.Another fixing mechanism 23 is arranged on the same carrier 22 to which the driving cylinder 20 of the fixing mechanism 13 is fixed. The fixing mechanism 23 has an anvil 24. The head portion 25 acts together with the anvil 24, and the head portion 25 is moved by the driving cylinder 20a. The drive cylinder 20a coincides with the drive cylinder 20 of the fixing mechanism 13.

상기 앤빌(24)은 두 개의 또다른 구동실린더(20b, 20c)에 의해 상기 헤드부(25)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이때, 상기 구동실린더(20a, 20b, 20c)는 상기 고정기구(13)의 구동실린더(20)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물론, 상기 앤빌(24)은그에 상응하게 경로길이제한부를 형성하는 고정부(26)까지만 진행가능하다. 상기 고정부(26)는 상기 캐리어(22) 위에 고정된다.The anvil 24 i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the head portion 25 by two further drive cylinders 20b and 20c. In this case, the driving cylinders 20a, 20b, 20c ar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driving cylinder 20 of the fixing mechanism 13. Of course, the anvil 24 can only proceed up to the stationary part 26 correspondingly forming a path length limit. The fixing part 26 is fixed on the carrier 22.

상기 압축공기 공급이 중단되면, 전체 구동 실린더(20, 20a, 20b, 20c)가 작동된다. 상기 앤빌(24)은 상기 두 개의 구동 실린더(20b, 20c)에 의해 상기 고정부(26)까지, 다시 말해서, 상기 헤드부(25)와 반대방향으로 진행된다. 동시에, 상기 헤드부(25)는 상기 앤빌(24) 방향으로 진행되므로, 상기 인장부재(12)는 상기 앤빌(24)과 상기 헤드부(25) 사이에 고정된다. 두 개의 구동 실린더(20b, 20c)가 상기 앤빌(24)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앤빌(24)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헤드부(25)에 작용하는 힘보다 크다. 상기 헤드부(25)가 상기 인장부재(12)를 상기 앤빌(24)에 고정하더라도 상기 앤빌(24)은 상기 고정부(26)에 고정되어 머문다.When the compressed air supply is stopped, the entire drive cylinders 20, 20a, 20b, 20c are activated. The anvil 24 is advanced by the two drive cylinders 20b, 20c to the fixing part 26, i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head part 25. At the same time, since the head portion 25 runs in the direction of the anvil 24, the tension member 12 is fixed between the anvil 24 and the head portion 25. As two drive cylinders 20b and 20c act on the anvil 24, the force acting on the anvil 24 is greater than the force acting on the head 25. Although the head portion 25 fixes the tension member 12 to the anvil 24, the anvil 24 remain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26.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25)는 두 개의 인장부재(12)의 그룹을 가동하고, 상기 각각의 인장부재(12)의 그룹은 다수의 연속적으로 배치된 리본을 구비한다. 상기 두 개의 그룹은 동일한 높이를 가지므로, 상기 인장부재(12)의 모든 그룹은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불규칙성 또는 공차(tolerance)는 상기 헤드부(25)의 탄성 또는 휨 강도(bending strength)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head portion 25 operates two groups of tension members 12, each group of tension members 12 having a plurality of consecutively arranged ribbons. Since the two groups have the same height, all groups of the tension member 12 can be securely fixed. Relatively small irregularities or tolerances can be mitigated by the elasticity or bending strength of the head portion 25.

상기 앤빌(24)의 작동가능성측면에서 보면, 상기 인장부재(12)는, 예를 들어, 도 2b에서 알 수 있는 것보다 약하게 조정되어야만 하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특히, 짧은 인장부재(12)에서 응력(stress)이 감소된다.In view of the operability of the anvil 24, the tension member 12 has the advantage that it must be weakly adjusted, for example, as seen in FIG. 2B. Thus, in particular, stress is reduced in the short tension member 12.

도 4 내지 도 6은 상기 인장부재(12)가 또다른 말단에 위치하는 상황을 도시한다.4 to 6 show the situation in which the tension member 12 is located at another end.

상기 인장부재(12)는 상기 회전롤러(4)에 의해 안내된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롤러(4)는 캐리어부재(27)에 고정되고 외주 홈(nut)(28)을 구비한다. 상기 외주 홈(28)에는 상기 인장부재(12)가 존재한다. 상기 캐리어부재(27)에는 핀(pin)(29)이 고정되고 중력방향으로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핀(29)은 상기 외주 홈(28)을 덮으므로 상기 인장부재(12)가 상기 외주 홈(28)에서 이탈할 수 없다. 이외에도, 상기 핀(29)은 상기 회전롤러(4)와 함께 작동하지 않으므로, 추가로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The tension member 12 is guided by the rotary roller 4. As can be seen in FIG. 5, each rotary roller 4 is fixed to the carrier member 27 and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nut 28. The tension member 12 is present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28. A pin 29 is fixed to the carrier member 27 and positioned at the lowest position in the direction of gravity. Since the pin 29 covers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28, the tension member 12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28. In addition, since the pin 29 does not work together with the rotary roller 4, no additional friction occurs.

상기 복원부(5)의 장력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인장부재(12)는 중력의 영향하에 약간 하부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장부재(12)는 상기 회전롤러(4) 주위에 있는 외주 홈(28)을 떠날 수 없다. 이는, 상기 인장부재(12)가 상기 핀(29)에 의해 상기 외주 홈(28)에서 간섭받기 때문이다.When the tension of the restoring portion 5 decreases, the tension member 12 may slide slightly downward under the influence of gravity. However, the tension member 12 cannot leave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28 around the rotary roller 4. This is because the tension member 12 is interfered with the outer groove 28 by the pin 29.

도 6으로부터 또다른 방법을 알 수 있다. 인접한 회전롤러(4)는 상기 영역에서 상기 인장부재(12)의 최소 횡단면치수보다 작은 간격(a)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인접한 회전롤러(4)는 상기 인장부재(12)를 자체간에 고정한다.Another method can be seen from FIG. 6. Adjacent rotating rollers 4 have a spacing a less than the minimum cross sectional dimension of the tension member 12 in this region. Thus, the adjacent rotating roller 4 fixes the tension member 12 between itself.

상기 인장부재(12)를 고정하기 위한 인접 회전롤러가 최외곽 회전롤러(4a)에서만 결여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핀(29)과 대조할만한 방식으로 상기 외주 홈(28)을 차폐하는 핀(30)이 구비될 수 있다.Adjacent rotary rollers for fixing the tension member 12 are lacking only in the outermost rotary roller 4a. Here, the pin 30 may be provided to shield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28 in a manner that contrasts with the pin 29.

상기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관점이 유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13, 23)는 두 개 이상의 인장부재(12)의 그룹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앤빌(14, 24)을 탄력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헤드부(15, 25)를 덜 가요적이거나 덜 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앤빌(14, 24)에 대한 부정확성이 완화된다. 또한, 상기 앤빌(24)을 이동하거나 상기 헤드부(25)를 고정할 수도 있다.Various aspects can be leaked from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xing mechanisms 13 and 23 may fix a group of two or more tension members 12. In addition, since the anvils 14 and 24 may be elastically formed and the heads 15 and 25 may be less flexible or less flexible, inaccuracies to the anvils 14 and 24 are alleviated. In addition, the anvil 24 may be moved or the head 25 may be fixed.

보조에너지로 사용된 압축공기 대신에, 상기 헤드부(15, 25)와 상기 앤빌(14, 24) 사이의 갭(gap)을 개방하기 위해서 전기에너지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에너지가 손실될 때, 상기 고정기구(13, 23)를 반드시 릴리스해야한다.Instead of compressed air used as auxiliary energy, electrical energy may also be used to open the gap between the heads 15, 25 and the anvils 14, 24. When the auxiliary energy is lost, the fixtures 13 and 23 must be released.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부재에 작용하는 고정기구를 구비한 처음에 언급한 종류의 경사 직기를 제공함으로써 간섭으로 인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due to the interference can be reduced by providing the warp weaving loom of the kind mentioned above with the fixing mechanism acting on the tension member.

Claims (17)

구동부를 사용하여 전이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한 다수의 실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 안내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인장부재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뜨기 바(bar)를 구비하는 경사 직기에 있어서,In the warp loom having a plurality of yarn guides that can be moved left and right in the transition direction by using a drive unit and having at least one pattern knitting bar in which a tension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yarn guide and the drive unit, 상기 인장부재(12)에 작용하는 고정기구(13, 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Slant loo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chanism (13, 23) acting on the tension member (12)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13, 23)는 클램프기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The warp loo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chanism (13, 23) is formed as a clamp mechanis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12)는 적어도 상기 고정기구(13, 23)의 영역에서 리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The warp loo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nsion member (12) is formed in the form of a ribbon at least in the region of the fixing mechanism (13, 23).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인장부재(12)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기구(13, 23)는 동시에 인장부재(12)의 그룹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4. The warp loom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ensioning members (12) are provided and the fixing mechanism (13, 23) acts on a group of tensioning members (12) at the same tim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12)의 그룹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5. The warp loom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groups of tensioning members are arranged continuously.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13)의 영역에는 안내부(16)가 배치되며 상기 인장부재(12)는 상기 고정기구(13)의 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The inclined loom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guide portion (16) is disposed in an area of the fixing mechanism (13), and the tension member (12) is guided to be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xing mechanism (13).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13, 23)는 동시에 다수의 인장부재(12)의 그룹에 작용하며 상기 그룹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5. The warp loom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ixing mechanism (13, 23) acts on a group of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12) simultaneously and the groups have the same h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13, 23)는 고정방향으로 바이어스(bias)되며 인장구동부(20, 20a, 20b, 20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The warp loo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chanism (13, 23) is biased in the fixed direction and has a tension driving portion (20, 20a, 20b, 20c).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13, 23)는 압력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10. The warp loom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xing mechanism (13, 23) is provided with a pressure sp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13, 23)는 앤빌(anvil)(14, 24)과 함께 작용하는 작동가능한 헤드부(15, 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4. The warp loom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er (13, 23) has an operable head (15, 25) that works with anvil (14, 2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5, 25)는 변형가능한 전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11. The warp loom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head portion (15, 25) has a deformable front surfa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5, 25)는 폴리머(polymer)로 형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11. The warp loom according to claim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portion (15, 25) is formed of a polym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24)은 상기 헤드부(25)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11. The warp loom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said anvil (24) is movable to said head portion (25). 제13항에 있어서, 고정부(26)가 상기 앤빌(24)의 경로제한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14. The warp loom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fixing part (26) is provided as a path limiting part of the anvil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24)은 상기 헤드부(25)의 구동부보다 성능이 우수한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15. The warp loom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said anvil (24) has a drive section that performs better than a drive section of said head section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12)는 일측에 구동부(21)를 구비하는 반면에 다른 측에서는 회전롤러(4)에 의해 복원부(5)로 안내되며 상기 회전롤러(4)는 적어도 중력방향으로 그 하단에서 정적 고정부재(29)에 의해 차폐되는 순환 홈(nut)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2. The tension member (12)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nsion member (12) has a drive part (21) on one side while the other side is guided to the restoring part (5) by a rotary roller (4) and the rotary roller (4) is at least gravity. And a circulation groove (nut) shielded by the static holding member (29) at its lower end in the direction. 제16항에 있어서, 다수의 회전롤러(4)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인접한 회전롤러(4) 사이의 갭(gap)(a)은 상기 갭(a)의 영역에 있는 상기 인장부재(12)의 최소 횡단면치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The tension member (12)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a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4)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gap (a) between the adjacent rotating rollers (4) is in the region of the gap (a). Slant loom,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the minimum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KR1020040054688A 2003-07-16 2004-07-14 Warp weaving machine KR1005754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2234A DE10332234B4 (en) 2003-07-16 2003-07-16 Warp knitting machine
DE10332234.5 2003-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185A true KR20050009185A (en) 2005-01-24
KR100575492B1 KR100575492B1 (en) 2006-05-03

Family

ID=33461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688A KR100575492B1 (en) 2003-07-16 2004-07-14 Warp weaving machin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98530A1 (en)
JP (1) JP3976753B2 (en)
KR (1) KR100575492B1 (en)
CN (1) CN1320188C (en)
DE (1) DE10332234B4 (en)
TW (1) TWI27946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1614B4 (en) * 2009-07-03 2012-01-26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Raschel
EP2623653A1 (en) * 2012-02-04 2013-08-07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Position bar assembly for a knitwear machine
CN103266410B (en) * 2013-05-14 2015-03-11 常州市武进五洋纺织机械有限公司 Warp knitting machine used for fully fashioned clothing production
CN104032477A (en) * 2014-06-30 2014-09-10 常州市龙春针织机械科技有限公司 Steel wire rope guide wheel for warp knitting machine
CN105671780A (en) * 2016-04-01 2016-06-15 卡尔迈耶(中国)有限公司 Precise fixed-point zeroing device for steel wire flower comb of warp knit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3967C2 (en) * 1993-02-10 1995-03-30 Liba Maschf Warp knitting machine with individually movable thread guides attached to a bar
WO1998038368A1 (en) * 1997-02-26 1998-09-03 Nippon Mayer Co., Ltd. Guide drive unit in warp knitting machine
DE10035160B4 (en) * 2000-07-19 2004-06-03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arp knitting machine with at least one bar
DE10137601B4 (en) * 2001-08-01 2006-09-07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arp knitting machine with at least one pattern laying b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332234B4 (en) 2008-05-21
EP1498530A1 (en) 2005-01-19
DE10332234A1 (en) 2005-02-24
CN1576426A (en) 2005-02-09
TWI279465B (en) 2007-04-21
TW200519249A (en) 2005-06-16
KR100575492B1 (en) 2006-05-03
JP3976753B2 (en) 2007-09-19
JP2005036381A (en) 2005-02-10
CN1320188C (en) 2007-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041C (en) Yarn knitting machine with individually movable yarn guides arranged on guide bar
KR100461624B1 (en) Warp knitting machine with at least a pattern guide bar
CN101418494B (en) Jacquard device to selectively shift thread guides in a textile machine
EP1529861A3 (en) Apparatus for high speed beaming of elastomeric yarns
KR102520881B1 (en) Filament winding device
KR100575492B1 (en) Warp weaving machine
TW200722571A (en) Neddle loom with automatic change of the weft thread
GB2275932B (en) Warp knitting machine having a guide bar with individually movable thread guides mounted thereon
JPH01502762A (en) gripper loom
KR100617365B1 (en) Warp weaving machine
KR100348690B1 (en) Patterning device in warp knitting machine
US6418976B2 (en) Thread brake system with a linear electric motor for weaving looms
KR101085793B1 (en) Cord or Spangle Embroidering Machine
GB1586534A (en) Apparatus for traversing yarn or thread on winding machines
DE59709710D1 (en) Embroidery machine creel with side tension bars
KR20060046074A (en) Device for driving meshing needles and weaving loom equipped with such a device
SU903402A1 (en) Weft brake to shuttleless loom
US4220020A (en) Warp knitting machine with weft inserters
US20040108013A1 (en) Device for driving one or several pile carriers for the selection of one or several file yarns
KR19990025906A (en) New building weaving device
CN113699652B (en) Weft insertion system
JP6470808B2 (en) Partial sample warping machine
WO2023120600A1 (en) Warp-feeding device
EP1688521B1 (en) Device for actuating the gripper supporting tape for inserting weft thread in fabric-making machines
JP2023095300A (en) Slack removing mechanism for warp fee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