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8369A -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8369A
KR20050008369A KR1020030048437A KR20030048437A KR20050008369A KR 20050008369 A KR20050008369 A KR 20050008369A KR 1020030048437 A KR1020030048437 A KR 1020030048437A KR 20030048437 A KR20030048437 A KR 20030048437A KR 20050008369 A KR20050008369 A KR 20050008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kiosk
server
user
digit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봉학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8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8369A/ko
Publication of KR20050008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36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는 이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사진 이미지파일을 저장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부터 사진 이미지파일을 전송받아 이를 즉석 인화하여 출력하는 포토 키오스크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서버와 상기 포토 키오스트 간의 데이터통신을 매개하는 통신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포토 키오스크는 즉석촬영이 가능하도록 디지털 카메라 및 영상입력부와, 메모리카드로부터 디지털이미지를 읽어들일 수 있도록 메모리카드 리더부 및, 이동통신 단말기과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직접 접속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읽어들일 수 있는 데이터케이블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가 지정한 웹 상의 서버에 접속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전송받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동작을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나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사진 및 웹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야외나 거리에 설치된 키오스크를 통해 즉석에서 인화하여 출력하거나 온라인 인화 주문 또는 웹에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 service system for printing photo using kiosk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오스크를 통해 사진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되어 있다시피, 반도체 기술과 영상신호처리기술의 진보로 기존의 필름 카메라보다 간편하고 기능이 뛰어난 디지털 카메라가 개발되었고, 근래에는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가 기존의 필름 카메라를 급속히 대체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찍은 즉시 확인할 수 있고 촬영한 사진의 보관이 용이하며편집이 자유로워 전문적인 지식과 장비가 없어도 개인용 컴퓨터와 편집 프로그램만 있으면 쉽게 전자앨범으로 제작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은 보관 및 편집이 편리하지만, 실제 사진을 출력해야하는 경우에는 사진출력 전용의 프린터를 구비해야하고 이 사진출력 전용의 프린터를 통해 출력되는 사진의 품질이 만족스럽지 못하며 프린터의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인터넷 등의 웹상에서 디지털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이를 인화 출력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장소까지 배송 해주는 온라인 인화 서비스가 등장하여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온라인 인화 서비스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업로드하기 위해 컴퓨터 단말기가 필요하고 서비스업체에서 인화출력한 사진을 배송받는데 며칠씩 소요되기 때문에, 야외나 거리에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즉시로 인화하여 받을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야외나 거리에 설치된 키오스크를 통해 사진을 즉석 인화 출력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토 키오스크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포토 키오스크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업체의 서버를 다수개의 서버로 나누어 구성한 경우를 예시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즉석 촬영한 사진을 포토 키오스크를 통해 즉석에서 출력하는 과정에 대한 플로우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포토 키오스크를 통해 즉석 촬영한 사진, 이용자의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찍은 사진, 웹 상의 저장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각각 포토 키오스크를 통해 즉석에서 출력하거나 온라인 인화를 주문하거나 웹 상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플로우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포토 키오스크의 원격 점검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플로우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포토 키오스크 110: 디지털 카메라
112: 영상입력부 114: 메모리 리더부
116: 데이터 케이블 접속부 118: 조작부
120: 제어부 122: 저장부
130: 통신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사운드 출력부 160: 사진 출력부
200, 600: 이동통신 단말기 210: 컴퓨터 단말기
300: 서비스업체의 서버 400: 결제 인증 서버
500: 웹 저장장소 제공 서버 N1: 정보통신망
N2: 이동통신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은,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는 이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사진 이미지파일을 저장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부터 사진 이미지파일을 전송받아 이를 즉석 인화하여 출력하는 포토 키오스크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서버와 상기 포토 키오스트 간의 데이터통신을 매개하는 통신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방법은, 이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하는 스텝과, 이용자가 상기 촬영된 사진의 이미지파일을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스텝과, 이용자가 포토 키오스크를 조작하여 인화주문을 하는 스텝과, 상기 이용자의 인화주문에 따라 상기 포토 키오스크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이용자가 전송한 사진 이미지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스텝과, 상기 포토 키오스크가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사진 이미지파일을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진용지에 즉석 인화하여 출력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토 키오스크(100)와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의 컴퓨터단말기(210)와 이용자의 디지털 카메라(도시되지 않음)와 서비스 업체의 서버(3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제 인증 서버(4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 저장장소제공 서버(500)와 관리자용 이동통신 단말기(600)와 정보통신망(N1)과 이동통신망(N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토 키오스크(photo kiosk)(100)는, 야외나 거리에서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요지에 설치되며, 즉석 인화 출력, 즉석 촬영, 웹으로부터 사진 다운로드, 웹으로 사진 업로드 등을 수행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포토 키오스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10)와 영상 입력부(112)와 메모리 리더부(114)와 데이터 케이블 접속부(116)와 조작부(118)와 제어부(120)와 저장부(122)와 통신부(130)와 디스플레이부(140)와 사운드 출력부(150)와 사진인화 출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110)는 포토 키오스크(100)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어 제어부(120)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여 이를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영상 입력부(112)는 디지털 카메라(110)로부터 획득된 디지털 이미지를 제어부(120)로 입력한다.
상기 메모리 리더부(114)는 이용자가 소지한 디지털 카메라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이미지를 읽어들여 제어부(120)로 입력하고, 상기 데이터케이블 접속부(116)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직접 연결이 가능한 데이터 케이블을통해 직접 접속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읽어들여 제어부(120)로 입력한다.
상기 조작부(118)는 이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이를 제어부(120)로 입력하는 것으로, 예컨대, 다수의 조작키로 구성된 키보드(Key board) 입력장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기능을 선택하는 마우스(Mouse) 입력장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조작부(118)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명령에 따라 포토 키오스크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저장부(122)는 영상입력부(112)와 메모리 리더부(114)와 데이터 케이블 접속부(116)과 통신부(130) 등을 통해 입력받은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한다.
상기 통신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정보통신망(N1)을 통해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 포토 키오스크의 작업 상태, 메뉴, 웹 게시판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15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포토 키오스크(100)의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음, 안내 음성 등을 출력하고, 상기 사진 출력부(16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를 사진으로 출력한다.
참고적으로, 상기한 사진 출력부(160)로는, LCD·DLP·MLVA·LASER 방식을 이용하여 실제 필름사진과 같은 약물에 의해 사진 용지(Photo paper) 상에 사진을 인화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인화기이거나, 잉크젯 방식으로 잉크젯 용지 상에 사진을 인쇄하여 출력하는 포토 잉크젯 프린터일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자체에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하여 포토 키오스크(100)를 통해 인화할 사진을 즉석에서 촬영하여 이동통신망(N2)을 통해 전송하는 것으로, 이동통신용 통신규약(예컨대, CDMA, CDMA 2000, IMT 2000 등)에 따른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데이터통신 및 메시지 송수신과 데이터 디스플레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현재까지 개발된 어떤 종류의 단말기라도 이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한 이동통신 단말(10)로는, 휴대전화 단말기, 이동통신 모듈이 장착된 개인정보단말기(PDA),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이용자용 컴퓨터 단말기(210)는 포토 키오스크(100)를 통해 서버(300)에 업로드하여 저장한 디지털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것으로, 정보통신망(N1)을 통해 웹을 서핑하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인 것이 일반적이나, 정보통신망(N)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의 컴퓨터 단말 장치도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서비스 업체의 서버(300)는 정보통신망(N1)과 이동통신망(N2)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포토 키오스크(100) 또는 이용자의 컴퓨터 단말기(210)로 전송하며 결제 인증 서버(400)와의 통신을 통해 사진 인화 수수료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 업체의 서버(300)는 정보통신망(N1)을 통해 포토 키오스크(100)로부터 보고되는 점검 결과를 저장함과 더불어 점검 결과가 해당 포토 키오스크(100)의 담당 관리자를 호출할 조건인 경우 정보통신망(N1)과 이동통신망(N2)을 통해 해당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600)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호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비스 업체의 서버(300)를 단일 개체로 설정하여 예시하였으나, 다수의 서버로 구성하여 각 서버 별로 기능을 분담하여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서비스업체의 서버(이하, "서버"라 약칭함)(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인화 사진명함 서비스를 위한 상위의 서버로서 각 서버에 대한 메인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서버(310)와, 정보통신망(N1)을 통해 접속하는 포토 키오스크(100)와 컴퓨터 단말기(210)들에 대한 웹 서비스를 담당하는 웹서버(320)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디지털 인화장비를 구비하여 정보통신망(N1)을 통해 접속하는 포토 키오스크(100)와 컴퓨터 단말기(210) 및 이동통신 단말기(200)들로부터의 인화주문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인화 및 이에 대한 배송처리를 담당하는 온라인 인화 서버(330)와, 결제 인증 서버(400)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인화 서비스 수수료에 대한 과금처리를 담당하는 과금처리 서버(340)와, 디지털 이미지의 저장을 담당하는 파일 서버(350)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이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 및 컴퓨터 단말기(210)들과의 전자메일 송수신을 담당하는 메일 서버(360)와, 이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600)에 대한 단문 문자 메시지 전송을 담당하는 SMS(Short Massaging Server) 서버(370) 및, 포토 키오스크(100)에 대해 점검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포토 키오스크(100)로부터 점검 결과를 수신받아 관리하는 키오스크 관리서버(380)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제인증 서버(400)는 온라인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신용카드·전자화폐·선불카드·휴대전화 결제 방식 등 현재까지 개발된 온라인 결제처리방식에 의한 결제를 수행한다.
상기 웹 저장장소제공 서버(500)는, 각 이용자들 별로 할당된 데이터 및 파일 저장영역을 할당하여 정보통신망(N1)을 통한 호출에 응답하여, 포토 키오스크(100) 및 컴퓨터 단말기(210)을 통해 전송하는 디지털 이미지 등과 같은 데이터나 파일들을 저장하고 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나 파일들을 포토 키오스크(100) 및 컴퓨터 단말기(210)로 전송하는 서버 장치로, 흔히 웹 폴더(Web Folder) 또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라 불려지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이다.
상기 관리자용 이동통신 단말기(600)는 포토 키오스크(100)의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 담당자가 포토 키오스크(100)의 이상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호출 메시지를 수신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정보통신망(N1)은 포토 키오스크(100)와 컴퓨터 단말기(210) 및 각 서버(300∼50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함과 더불어 이동통신망(N2)에 연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 600)와 서버(300)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것으로, 예컨대, 인터넷(Internet)일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망(N2)은 이동통신 단말기(200, 600)들 간의 음성통화와 메시지송수신을 매개하고 정보통신망(N1)에 연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 600)와 서버(300)간의 메시지 및 메일 송수신과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기지국과 교환기 및 중계기를 포함한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통해 즉석 촬영한 사진, 포토 키오스크(100)를 통해 즉석 촬영한 사진, 이용자의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찍은 사진, 웹 상의 저장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각각 포토 키오스크(100)를 통해 즉석에서 출력하거나 온라인 인화를 주문하거나 웹 상에 저장할 수 있고, 서버(300)에서 포토 키오스크(100)의 원격 점검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중,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통해 즉석 촬영한 사진을 포토 키오스크(100)를 통해 즉석에서 출력하는 과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사진을 촬영한다(S10). 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은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이미지 프로세싱과정을 거쳐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다음, 이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을 통해 포토 메일을 작성하여 이 작성된 포토 메일에 상기 스텝(S10)에서 촬영한 디지털 이미지를 첨부하여 이동통신망(N2)과 정보통신망(N1)을 통해 서버(300)로 전송한다(20). 참고적으로,상기한 포토 메일(Photo Mail)은 사진을 첨부하여 발송하는 전자메일의 형태이다.
상기 이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의 포토 메일은 서버(300)에서 수신되어 첨부된 디지털 이미지가 저장되며, 서버(300)에서는 상기 포토 메일로부터 이를 발신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화번호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이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포토 메일을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수신확인 문자메시지(S30)을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서버(300)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수신확인 문자메시지에 의해 해당 이용자는 포토 메일이 서버(300)에 정상적으로 전송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포토 키오스크(100)의 조작부(118)를 조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통해 찍은 사진에 대한 즉석 인화를 선택하고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S40).
이에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제어하여 정보통신망(N1)을 통해 서버(300)에 접속하고(S50), 서버(300)로 이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전송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받은 포토 메일에 첨부되어 있던 디지털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한다.
상기 포토 키오스크(100)의 제어부(1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서버(300)의 이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받은 포토 메일에 첨부되어 있던 디지털 이미지를 검색하여 이를 정보통신망(N1)을 매개로 포토 키오스크(100)로 전송한다(S60).
상기 서버(300)로부터 포토 키오스크(100)로 전송되어온 디지털 이미지는 제어부(120)에 의해 저장부(122)에 저장됨과 더불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다.
원할 경우, 이용자는 포토 키오스크(100)의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디지털 이미지에 대해 편집을 할 수 있으며(S70), 편집이 완료되면 원하는 결제수단을 선택하여 자신의 결제수단에 대한 식별정보와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결제요청을 한다.
이에 제어부(120)는 이용자가 선택, 입력한 결제수단에 대한 정보에 따라 토인부(130)를 제어하여 결제 인증 서버(400)에 접속하여 이용자가 입력한 식별정보와 비밀번호 등의 정보와 인화 수수료에 대한 결제금액의 정보를 결제 인증 서버(400)로 전송하고 결제 처리를 요청한다(S80).
이때, 포토 키오스크(100)와 결제 인증 서버(400) 간의 결제 처리는 서버(300)를 경유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결제 인증 서버(400)는 포토 키오스크(100)로부터 요청된 결제금액에 대해 결제 승인 처리를 수행하고 결제 승인 결과를 정보통신망(N1)을 매개로 포토 키오스크(100)로 전송한다(S90).
상기 결제 인증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결제 승인 결과에 따라 제어부(120)는 이용자의 디지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사진 출력부(160)를 제어하고, 이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사진 출력부(160)에서는 이용자의 디지털 이미지가 사진으로 출력된다(S100).
다음으로, 포토 키오스크(100)를 통해 즉석 촬영한 사진, 이용자의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찍은 사진, 웹 상의 저장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각각 포토 키오스크(100)를 통해 즉석에서 출력하거나 온라인 인화를 주문하거나 웹 상에 저장하는 과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는 포토 키오스크(100)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에 대해 조작부(118)를 통해 조작명령을 입력함으로써 a) 즉석촬영, b) 자신의 디지털 카메라로 찍을 사진이 저장된 메모리카드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로드(Load), c) 웹 상에서 디지털 이미지 다운로드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조작부(11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이용자가 선택하는 메뉴를 인식하며, 인식결과 이용자가 즉석 촬영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S110), 포토 키오스크(100)의 디지털 카메라(110)와 영상 입력부(112)를 제어하여 사진을 즉석 촬영한다.
즉,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110)와 영상 입력부(112)가 동작되면 포토 키오스크(100) 정면의 화상이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이용자 또는 이용자와 그 일행이 포토 키오스크(100)의 정면에 포즈를 잡은 다음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확인하면서 조작부(118)를 조작하여 촬영을 선택하면, 디지털 카메라(110)를 통해 이용자 또는 이용자와 그 일행의 사진이 촬영된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사진은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되어 영상 입력부(112)를 통해 제어부(120)로 입력되고,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22)에 저장된다.
만약, 이용자가 자신의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디지털 이미지가 저장된 메모리 카드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로드하도록 선택한 경우, 제어부(120)는 이를 판단하여(S120), 메모리카드를 삽입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안내메시지는 음성의 형태로서 사운드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안내메시지에 따라 이용자는 자신의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사진이 저장된 메모리 카드를 메모리 리더부(114)로 삽입하고(S122), 메모리 리더부(114)에서 상기 이용자가 삽입한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인 디지털 이미지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22)에 저장된다(S124).
만약, 이용자가 웹으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읽어들이도록 선택한 경우, 제어부(120)는 이를 판단하여(S120), 디지털 이미지가 저장된 웹 주소를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안내메시지는 음성의 형태로서 사운드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안내메시지에 따라 이용자는 조작부(118)를 통해 자신의 디지털 이미지가 저장된 웹 주소를 입력하고(S130), 제어부(120)는 상기 이용자가 입력한 웹 주소에 따라 통신부(130)를 제어하여 정보통신망(N1)을 통해 웹 저장장소제공 서버(500)에 접속한다(S132).
이때, 해당 웹 저장장소제공 서버(500)에서의 로그인 요청에 따라 이용자는 자신의 식별정보와 비밀번호를 조작부(118)를 통해 입력하면, 제어부(120)를 이를 통신부(130)를 통해 웹 저장장소제공 서버(500)로 전송한다.
상기 식별정보와 비밀번호에 의해 이용자의 신원이 식별된 경우 웹 저장장소제공 서버(500)는 해당 이용자에게 할당된 기억장소에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정보통신망(N1)을 매개로 포토 키오스크(100)로 전송한다.
상기 웹 저장장소 제공 서버(500)로부터 전송되어온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이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중 인화하고자 원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선택한다.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130)로부터 정보통신망(N1)을 매개로 웹 저장장소 제공 서버(500)로 전송되고, 웹 저장장소 제공 서버(500)는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이미지를 정보통신망(N1)을 매개로 포토 키오스크(100)로 전송한다(S134).
상기 웹 저장장소 제공 서버(500)로부터 전송되어온 디지털 이미지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22)에 저장된다.
저장부(122)에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에 대해 이용자가 원할 경우,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편집을 할 수 있으며(S140), 편집이 완료되면 이용자는 디지털 이미지에 대해 인화를 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한다(S150).
만약, 상기 스텝(S150)에서 이용자가 디지털 이미지를 인화하지 않고 웹에 저장하는 것을 원하여 이를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제어하여 저장부(122)에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정보통신망(N1)을 매개로 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포토 키오스크(100)로부터 전송되어온 디지털 이미지는 서버(300)의 기억장소에 저장되고(S160), 이후 이용자는 컴퓨터 단말기(210)를 서버(300)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서버(300)의 기억장소에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210)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만약, 상기 스텝(S150)에서 이용자가 디지털 이미지의 인화를 선택하면,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에 결제수단에 대한 정보를 선택/입력하도록 하는 안내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안내메시지에 따라 이용자는 원하는 결제수단을 선택하여 자신의 결제수단에 대한 식별정보와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결제요청을 한다.
이에 제어부(120)는 이용자가 선택, 입력한 결제수단에 대한 정보에 따라 토인부(130)를 제어하여 결제 인증 서버(400)에 접속하여 이용자가 입력한 식별정보와 비밀번호 등의 정보와 인화 수수료에 대한 결제금액의 정보를 결제 인증 서버(400)로 전송하고 결제 처리를 요청한다.
이때, 포토 키오스크(100)와 결제 인증 서버(400) 간의 결제 처리는 서버(300)를 경유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결제 인증 서버(400)는 포토 키오스크(100)로부터 요청된 결제금액에 대해 결제 승인 처리를 수행하고 결제 승인 결과를 정보통신망(N1)을 매개로 포토 키오스크(100)로 전송함으로써, 결제 처리가 완료된다(S170).
다음, 이용자는 디지털 이미지에 대해 포토 키오스크(100)를 통해 즉석 출력과 온라인 인화 주문을 선택할 수 있는 바(S180), 이용자가 즉석 출력을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이용자의 디지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사진 출력부(160)를 제어하고, 이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사진 출력부(160)에서는 이용자의 디지털 이미지가 사진으로 출력된다(S190).
만약, 상기 스텝(S180)에서 이용자가 온라인 인화 주문을 선택하고 사진을 배송받을 주소를 입력하면,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제어하여 저장부(122)에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와 배송지의 주소를 정보통신망(N1)을 매개로 서버(300)로 전송한다(S200).
상기 포토 키오스크(100)로부터 전송되어온 디지털 이미지와 배송지의 주소는 서버(300)의 기억장소에 저장되며, 서버(300)에 연결된 디지털 인화기를 통해 사진으로 인화되어 이용자가 원하는 배송지로 배송 처리된다.
다음으로, 포토 키오스크(100)의 원격 점검 및 관리하는 과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버(300)는 미리 설정된 예약시간에, 또는 서버 관리자의 지시명령에 따라 정보통신망(N1)을 매개로 원격 점검 신호를 각 포토 키오스크(100)로 전송한다(S210).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송되어온 원격 점검 신호는 포토 키오스크(100)의 통신부(130)를 통해 제어부(120)로 입력되고, 제어부(120)는 포토 키오스크(100)의 각 구성부에 대한 정상 작동여부를 점검하여 이 점검결과를 정보통신망(N1)을 통해 서버(300)로 전송한다(S220).
여기서, 제어부(120)가 포토 키오스크(100)의 각 구성부에 대한 정상 작동여부를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체크해두었다가, 상기 서버(300)로부터 원격 점검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서버(300)는 각 포토 키오스크(100)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점검 결과를 기억장소에 저장함과 더불어(S230), 그 점검 결과가 관리자를 호출할 미리 설정된 조건(예컨대, 고장, 사진 용지의 부족 등)인지를 판단한다(S240).
상기 스텝(S240)에서의 판단결과 관리자를 호출한 조건이면 서버(300)는 그와 연결된 특정의 단말을 통해 포토 키오스크(100)의 식별정보와 점검 결과를 디스플레이함과 더불어, 상기 포토 키오스크(100)의 식별정보와 점검 결과 중 주요 사항을 단문 문자메시지로 작성하여 이를 정보통신망(N1)과 이동통신망(N2)을 통해 해당 포토 키오스크(100)의 관리 담당자용 이동통신 단말기(600)로 송신한다(S250).
상기 서버(300)로부터 송신되는 단문 문자메시지는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6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해당 포토 키오스크(100)의 관리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6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단문 문자메시지를 통해 자신이 담당하는 포토 키오스크(100)의 점검결과 중 주요사항을 확인함으로써, 포토 키오스크(100)의 고장 및 용지 부족 등의 상태를 신속히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나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사진 및 웹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야외나 거리에 설치된 키오스크를 통해 즉석에서 인화하여 출력하거나 온라인 인화 주문 또는 웹에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토 키오스크의 점검 및 관리를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는 이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오는 디지털이미지를 저장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전송받아 이를 즉석에서 사진으로 출력하는 포토 키오스크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서버와 상기 포토 키오스트 간의 데이터통신을 매개하는 통신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키오스크는,
    이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이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사진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를 사진으로 출력하는 사진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키오스크는, 즉석촬영이 가능하도록 디지털 카메라 및 영상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키오스크는, 메모리카드로부터 디지털이미지를 읽어들일 수 있도록 메모리카드 리더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서비스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가 지정한 웹 상의 서버에 접속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전송받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서비스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키오스크는, 이동통신 단말기과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직접 접속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읽어들일 수 있는 데이터케이블 접속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서비스 시스템.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토 키오스크의 각 구성부에 대한 정상 작동여부를 점검하여 이 점검결과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동작을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서비스 시스템.
  8. 이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하는 스텝과,
    이용자가 상기 촬영된 사진의 디지털 이미지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스텝과,
    이용자가 포토 키오스크를 조작하여 인화주문을 하는 스텝과,
    상기 이용자의 인화주문에 따라 상기 포토 키오스크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이용자가 전송한 디지털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 스텝과,
    상기 포토 키오스크가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즉석에서 사진으로 출력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포토 키오스크가 그에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즉석 촬영을 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는 스텝과,
    상기 획득된 디지털 이미지를 즉석에서 사진으로 출력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이용자가 상기 포토 키오스크에 구비된 메모리 리더부로자신의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는 스텝과,
    상기 포토 키오스크가 상기 메모리 리더부로부터 이용자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읽어들이는 스텝과,
    상기 메모리 카드로부터 읽어들인 디지털 이미지를 즉석에서 사진으로 출력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이용자가 디지털 이미지가 웹 상의 스토리지 서버 주소를 상기 포토 키오스크로 입력하는 스텝과,
    상기 포토 키오스크가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가 입력한 주소의 스토리지 서버에 접속하여 이 스토리지 서버로부터 이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이미지를 전송받는 스텝과,
    상기 스토리지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디지털 이미지를 즉석에서 사진을 출력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이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데이터케이블을 통해 상기 포토 키오스크에 연결하는 스텝과,
    상기 포토 키오스크가 상기 데이터케이블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하여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이미지를 읽어들이는 스텝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읽어들인 디지털 이미지를 즉석에서 사진으로 출력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방법.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키오스크가 포토 키오스크 각 구성부에 대한 정상 작동여부를 점검하여 이 점검결과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서버는 상기 포토 키오스크로부터 전송받은 점검결과를 저장함과 더불어 점검결과가 관리자를 호출할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스텝과,
    상기 판단결과 관리자를 호출할 조건이면 상기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신호는, 문자메시지이고 포토 키오스크의 점검결과 중 주요 사항에 대한 기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방법.
KR1020030048437A 2003-07-15 2003-07-15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08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437A KR20050008369A (ko) 2003-07-15 2003-07-15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437A KR20050008369A (ko) 2003-07-15 2003-07-15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369A true KR20050008369A (ko) 2005-01-21

Family

ID=3722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437A KR20050008369A (ko) 2003-07-15 2003-07-15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83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465A (ko) 2014-11-10 2016-05-18 (주) 디스플레이이엔지 전자 초상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휴대폰의 즉석 유화 제작 장치 및 방법
KR20160056576A (ko) 2014-11-12 2016-05-20 (주) 디스플레이이엔지 전자 초상화 키오스크 장치 및 즉석유화 제작방법
KR20180067073A (ko) *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세류 포토카드 자동판매장치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465A (ko) 2014-11-10 2016-05-18 (주) 디스플레이이엔지 전자 초상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휴대폰의 즉석 유화 제작 장치 및 방법
KR20160056576A (ko) 2014-11-12 2016-05-20 (주) 디스플레이이엔지 전자 초상화 키오스크 장치 및 즉석유화 제작방법
KR20180067073A (ko) *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세류 포토카드 자동판매장치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6930B2 (en) Digital camera with communications interface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images over a cellular phone network and a wireless LAN network to a destination
JP2016154015A (ja) 印刷制御システム、印刷制御方法および多機能携帯端末用の制御装置
KR20050008369A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사진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7182372A (ja) 画像提供システム、画像提供装置、画像提供プログラム
EP1453292A1 (en) Image data improvement for wirelessly transmitted digital image data
JP2007334629A (ja) Idカード発行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2111926A (ja) プリントシステム、プリント受付装置、画像送信端末、ユーザー情報登録方法
KR100451678B1 (ko) 휴대용 디지털 카메라에 녹화된 화상을 출력하는 공중통신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0518356B1 (ko) 프린팅 자동 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0201291A (ja) 画像撮影印刷システム
KR20010097719A (ko) 사진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JP4946674B2 (ja) 画像サーバ装置、画像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画像サーバ装置制御プログラム、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画像送信システム、画像送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画像送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70055388A (ko) 이동통신 기반의 포토프린터 시스템
KR100924119B1 (ko) Scws 멀티미디어 주소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20220018839A (ko) 스마트기기의 온라인 사진 출력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4078311A (ja) フォトサーバーを用いたプリントシステム
CN117939028A (zh) 图像形成设备的控制方法、系统及图像形成设备
JP2002207888A (ja) 画像データサービス仲介サーバ、画像データサービス仲介システム及び画像データサービスの仲介方法
JP2001290619A (ja) プリントシステムおよびプリント受注方法
JP2003110978A (ja) 画像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9001945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인화 방법
KR20020067953A (ko)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즉석 촬영 및 전송 방법
JP2002342449A (ja) 画像印刷サービスシステム、画像印刷サービス方法、画像印刷サービス用記録媒体、及びプリント装置
JP2006004360A (ja) プリント方法及びプリントシステム
KR20080025829A (ko) 디지털 카메라의 온라인 인화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