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8101A - 차량용 펜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펜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8101A
KR20050008101A KR1020030047944A KR20030047944A KR20050008101A KR 20050008101 A KR20050008101 A KR 20050008101A KR 1020030047944 A KR1020030047944 A KR 1020030047944A KR 20030047944 A KR20030047944 A KR 20030047944A KR 20050008101 A KR20050008101 A KR 20050008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frame
inlet
vehicl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섭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7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8101A/ko
Publication of KR20050008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10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펜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계기판의 틀을 형성하며 전면에 통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후측에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 통공을 통하여 삽입된 펜을 탄성적으로 고정시키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를 통과한 펜이 수납 고정되기 위하여 경사진 내측홈이 형성된 수납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일측에 수납되는 펜이 차량용 계기판 내측으로 꽂는 타입으로 전개시켜 수납된 펜의 외관 노출을 최소화 하고 공간 활용을 극대화 시키며 다양한 사이즈의 펜도 수납할 수 있게 되어 향상된 호환성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펜홀더{Pen-holder of car}
본 발명은 차량용 펜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펜을 수납하기 위한 펜홀더의 구조를 펜이 꽂는 타입으로 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며 나팔 형상의 탄성편을 구비하여 다른 외경을 갖는 펜의 보관도 용이하게 되어 호환성이 향상된 펜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전시 펜이 필요하게 될 경우, 운전자들은 앞쪽 글로브 박스를 열고 펜을 찾게 되며, 이 경우 각종 서류들과 함께 뒤섞여 있는 펜을 찾게 되는 바 안전운전에 방해가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시트밸트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이면, 운전자는 글로브박스에 있는 펜을 찾기 위하여 운행중 시트밸트를 풀고 손을 뻗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글로브박스 내측에 보관된 펜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에 의하여 자동차의 주행중 흔들리게 되어 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일측의 지지대(1)에 탄성적 재질로 형성된 펜홀더(3)를 구비하여 펜을 수납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펜홀더(3)는 측면으로 삽입하여 꽂는 타입으로 비교적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며, 외관상으로도 차 실내 인테리어와 어울리지 않는 펜이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미려하지 못한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 펜홀더(3)는 일반적인 펜 사이즈의 외경에 맞도록 펜홀더(3)의 사이즈를 제조하는 것에 의하여 다른 외경을 갖는 펜의 수납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 열거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활용도를 높이며 임의 외경 사이즈의 펜도 수납이 용이하게 되는 차량용 펜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차량 일측에 설치된 펜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펜홀더가 계기판 프레임 후측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의한 펜홀더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펜홀더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펜 7:프레임
10: 펜홀더 20: 파지부
22: 전면고정부 24: 제1유입구
26: 탄성편 30: 수납부
32: 상측고정부 34: 몸체부
36: 가이드부 38: 제2유입구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계기판의 틀을 형성하며 전면에 통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후측에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 통공을 통하여 삽입된 펜을 탄성적으로 고정시키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를 통과한 펜이 수납 고정되기 위하여 경사진 내측홈이 형성된 수납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통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입구 주변을 감싸고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면 후측에 고정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전면고정부와, 상기 전면고정부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유입구에서 점차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며 펜 삽입시 탄성적 성질에 의하여 일정 파지력을 제공하는 탄성편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파지부로 유입된 펜이 삽입되며 외측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된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로 유입된 펜이 삽입 장착되기 위하여 일정 각도 경사진 내측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측과연결되며 상기 프레임 하측에 고정되기 위하여 체결공이 형성된 상측고정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일측에 수납되는 펜이 차량용 계기판 내측으로 꽂는 타입으로 전개시켜 수납된 펜의 외관 노출을 최소화 하고 공간 활용을 극대화 시키며 다양한 사이즈의 펜도 수납할 수 있게 되어 향상된 호환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펜홀더가 계기판 프레임 후측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의한 펜홀더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펜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참조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펜홀더(10)는 계기판의 외측을 형성하는 프레임(7)의 후측에 고정되며, 상기 펜홀더(10)에는 펜(5)이 삽입되어 보관되어 진다.
상기 프레임(7)은 계기판의 틀을 형성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이 삽입되기 위한 통공이 하측에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7) 후측에는 상기 프레임(7)의 통공을 통하여 삽입된 펜(5)을 1차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파지부(20)가 장착된다.
상기 파지부(20)가 상기 프레임(7) 후측에 고정되기 위하여 체결공이 형성된 전면고정부(22)가 구비되며, 상기 전면고정부(22)의 내측은 상기 프레임(7)의 통공과 연통된 제1유입구(24)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유입구(24)로 삽입된 펜(5)을 파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유입구(24)로 부터 점차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갖으며 여러 갈래의 편으로 이루어진 탄성편(26)은 외경이 다른 펜(5)도 탄성적 성질에 의하여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편(26)은 스프링강 재질의 스틸을 사용하기로 하며, 이는 실시예에 의한 것일뿐 다른 탄성 성질을 갖는 재질도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탄성편(26)으로 사용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상기 파지부(20)를 통과한 펜(5)은 수납부(30)에 의하여 고정이 되며, 상기 수납부(30)를 계기판 하측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체결공이 형성된 상측고정부(32)가 수납부(30) 상측에 구비된다.
상기 상측고정부(32) 하측에는 일정 각도로 경사진 내측홈이 형성된 몸체부(34)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34)로 펜(5)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파지부(20)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부(36)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36) 내측에는 상기 제1유입구(24)와 동일 중심선 상에 제2유입구(38)가 형성되어 펜(5)이 이동되는 통로가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파지부(20)와 수납부(30)는 펜(5)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동선과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후에 상기 프레임(7) 후측에 고정시킨다.
이 경우, 상기 파지부(7)와 수납부(30)의 상호 간격은 펜(5)이 삽입 장착된 상태와 펜홀더(10)에 수납된 펜(5)의 남은 뒷부분이 파지하기 용이한 상태를 고려하여 정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7) 일측의 통공을 통하여 파지부(20)의 제1유입구(24)로 삽입된 펜(5)은 탄성편(26)을 거쳐서 수납부(30)의 몸체부(34)에 삽입 장착되며, 이 경우 펜(5)의 측면은 상기 탄성편(26)에 의하여 파지되는 것에 의하여 일정한 외측 힘이 가해지기 전에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펜(5)이 파지부의 제1유입구(24)를 나와서 수납부의 제2유입구(38)로 이동함에 있어서, 가이드부(36)가 경사지게 형성된 것에 의하여 펜(5)이 몸체부(34)로 슬라이딩 되어 안착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펜홀더(10)에 장착된 펜(5)을 인출하게 될 경우, 펜(5)을 프레임(7) 외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펜(5)이 펜홀더(10)에 장착된 역순으로 펜(5)이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펜(5)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펜(5)을 홀딩하는 방식이 수직으로 꽂는 구조로 되는 것과 수납부(30)와 파지부(20)를 각각 구비하여 펜(5)이 안정성을 갖고 수납되는 것, 그리고, 탄성편(26)에 의하여 펜(5)의 외경에 관계없이 펜(5)을 파지할 수 있게 되는 기술사상안에서 장착형태나 설치 위치등의 변화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펜홀더에 의하면, 펜의 수납이 차량 일측에 측면으로 장착되는 것이 아닌 꽂는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에 의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 하며 미려환 외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탄성적 성질을 갖으며 외측으로 벌어지는 성질의 탄성편을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다른 외경을 갖는 펜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되어 종래보다 향상된 호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 계기판의 틀을 형성하며 전면에 통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후측에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 통공을 통하여 삽입된 펜을 탄성적으로 고정시키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를 통과한 펜이 수납 고정되기 위하여 경사진 내측홈이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펜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통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입구 주변을 감싸고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면 후측에 고정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전면고정부와,
    상기 전면고정부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유입구에서 점차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며 펜 삽입시 탄성적 성질에 의하여 일정 파지력을 제공하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펜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파지부로 유입된 펜이 삽입되며 외측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가구비된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로 유입된 펜이 삽입 장착되기 위하여 일정 각도 경사진 내측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측과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 하측에 고정되기 위하여 체결공이 형성된 상측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펜홀더.
KR1020030047944A 2003-07-14 2003-07-14 차량용 펜홀더 KR20050008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944A KR20050008101A (ko) 2003-07-14 2003-07-14 차량용 펜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944A KR20050008101A (ko) 2003-07-14 2003-07-14 차량용 펜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101A true KR20050008101A (ko) 2005-01-21

Family

ID=3722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944A KR20050008101A (ko) 2003-07-14 2003-07-14 차량용 펜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81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6595A1 (ko) * 2021-03-03 2022-09-09 김엽 살균기능을 갖는 데스크 및 살균이 가능한 데스크펜 및 살균이 가능한 거치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6595A1 (ko) * 2021-03-03 2022-09-09 김엽 살균기능을 갖는 데스크 및 살균이 가능한 데스크펜 및 살균이 가능한 거치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6352A1 (en) Portable Accessory Holder
US5666702A (en) Helical torsion spring with an attached clip
DE10359294A1 (de) Halterung für Getränkebehälter für Fahrzeuge
US20180252002A1 (en) Magnetic key assembly
KR20050008101A (ko) 차량용 펜홀더
EP0694419A1 (en) A pen holder
KR100374130B1 (ko) 자동차용 부품의 부착장치
CN210912228U (zh) 一种储物装置及车辆
KR100589258B1 (ko) 자동차용 펜 홀더
KR101833306B1 (ko)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KR20030041322A (ko) 자동차 선바이저의 티켓 홀더
CN214467966U (zh) 一种隐藏式夹持结构和笔灯
JPH11291827A (ja) 物品ホルダのフロントピラー部への取付構造
KR100510301B1 (ko) 글로브박스의 티켓 홀더
KR200247551Y1 (ko) 자동차용 화장지 홀더
KR0126280Y1 (ko) 콘솔박스 장착형 컵 홀더
TWI315660B (en) Reel unit and cover member for a spinning reel
JP3003441B2 (ja) 自動車用容器支持装置
US6007131A (en) Writing instrument holder
JP4530403B2 (ja) 筆記具
KR200394779Y1 (ko) 손잡이 구조가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모듈 패널
TW329413B (en) Pen cap
JP5750315B2 (ja) 振出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H0121893Y2 (ko)
KR970002713Y1 (ko) 자동차 실내용 화장지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