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306B1 -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306B1
KR101833306B1 KR1020160078341A KR20160078341A KR101833306B1 KR 101833306 B1 KR101833306 B1 KR 101833306B1 KR 1020160078341 A KR1020160078341 A KR 1020160078341A KR 20160078341 A KR20160078341 A KR 20160078341A KR 101833306 B1 KR101833306 B1 KR 101833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insertion hole
ballpoint pen
touch pen
auxiliar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754A (ko
Inventor
권충호
김기인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60078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30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6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contro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 라이닝에 장착한 보조 손잡이에 터치 펜 또는 볼펜을 끼워놓고 때에 따라 빼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 안에 들어와서 앉은 상태에서도 쉽게 손이 닿는 보조 손잡이에서 터치 펜이나 볼펜을 꺼내서 쉽고 편리할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근래 들어서 개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터치스크린을 갖춘 휴대용 단말, 예를 들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그리고 PDA와 같은 휴대용 단말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터치 펜을 보조 손잡이에서 꺼내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이러한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노인이나 노약자들도 터치 펜을 통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ASSIST HAND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실내의 천장에 장착한 헤드 라이닝에 구성하는 보조 손잡이에 볼펜이나 터치 펜을 보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주행 중에도 자동차 안에서 터치스크린을 가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도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때에 따라 볼펜을 통해 쉽게 수기할 수 있게 하여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실내에는 운전자와 탑승자가 주행 중에도 편리하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게 여러 가지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다. 그 중에서, 보조 손잡이(Assist Handle)는 헤드 라이닝의 가장자리 부분에 장착하여 주행 중 탑승자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손으로 잡거나 자동차에 내리고 탈 때 편리하게 이용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보조 손잡이에는 옷걸이를 걸 수 있게 구성하여 편의성을 높이기도 한다. 이러한 보조 손잡이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구성과 여러 가지 보조적인 기능을 추가하여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제작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380562호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실내에 설치되는 보조 손잡이에 램프 기능과 발열 기능을 구성함으로써, 탑승자가 손잡이 기능 이외에도 부수적인 라이팅 및 전열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하여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차량용 보조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LED 램프가 독서용·유도용 또는 무드용 램프로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야간에도 램프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 차량용 보조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라이팅 및 전열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기를 구성하되, 이러한 제어기가 차량에 이미 구비된 ECU를 이용함으로써, 구성을 최소화하면서도 최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한 라이팅 및 전열 기능을 갖는 차량용 보조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4617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내측 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양단이 상기 결합부에 힌지 결합한 핸들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의 각각의 한쪽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칭되게 돌출 형성된 힌지부에 결합하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결합하여 상기 핸들부의 리턴 속도를 감쇄하는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628520호
헤드 라이닝과 어시스트 핸들을 사전에 조립하여 차체에 조립할 때 사용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 라이닝 모듈을 위해 헤드 라이닝과 어시스트 핸들을 사전에 조립하여 차체에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 어시스트 핸들을 차체에 고정할 때 조립이 용이하도록 수직 방향에 가깝게 조립 각도를 변경하는 구조, 조립된 핸들을 용이하게 해체하기 위한 클립 탈거 구조 등을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핸들 고정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헤드 라이닝 모듈화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헤드 라이닝의 꺽임을 방지하여 조립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어시스트 핸들의 탈부착을 통해 정비성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보조 손잡이는 다양한 보조 기능을 추가하여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편의성과 편리함을 제공하나, 최근 휴대용 단말 등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에 알맞은 보조 기능을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자동차 안에서 볼펜 등을 이용하여 수첩 등에 메모해야 할 때가 있는 데, 자동차가 주행 중일 때는 탑승자가 볼펜과 같은 필기도구를 지참하지 않으면 수기에 불편함이 생긴다. 물론, 조수석의 글로브 박스나 팔걸이(Armrest) 등에 필기도구를 보관하기도 하지만, 주행 중에 글로브 박스나 팔걸이를 열고서 필기도구를 찾는 데 어려움과 더불어 안전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380562호 (등록일 : 2014.03.25)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4617호 (공개일 : 2015.07.02) 한국등록특허 제1628520호 (등록일 : 2016.06.01)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헤드 라이닝에 장착한 보조 손잡이에 터치 펜 또는 볼펜을 끼워놓고 때에 따라 빼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 안에 들어와서 앉은 상태에서도 쉽게 손이 닿는 보조 손잡이에서 터치 펜이나 볼펜을 꺼내서 쉽고 편리할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근래 들어서 개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터치스크린을 갖춘 휴대용 단말, 예를 들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그리고 PDA와 같은 휴대용 단말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터치 펜을 보조 손잡이에서 꺼내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이러한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노인이나 노약자들도 터치 펜을 통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는, 헤드 라이닝에 장착하는 보조 손잡이에서, 손으로 잡는 그립 부분(100)에는 미리 정한 길이로 삽입 구멍(110)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 구멍(110)에는 터치스크린에 사용하는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을 삽입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삽입 구멍(110)과,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은, 강제로 끼우거나 빼내는 방식으로 삽입과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 구멍(110)은, 내벽에 탄성 변형되면서 강제로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탄성 부재(111)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탄성 부재(111)는, 연질의 실리콘, 스펀지,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자동차 실내에 미리 갖춘 터치 펜이나 볼펜을 원할 때 아무 때나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2) 특히, 운전자나 탑승자가 실내에 앉았을 때 손을 뻗음에 따라 닿을 수 있는 위치인 보조 손잡이에 이처럼 터치 펜이나 볼펜을 갖춰 놓음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는 언제든지 손만 뻗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터치 펜이나 볼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게다가, 자동차가 주행 중일 때도 통상 보조 손잡이 위치를 알고 있으므로 쉽게 손을 뻗어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터치 펜이나 볼펜을 사용할 수 있다.
(4) 또한, 근래 들어 많이 보급되어 사용하는 터치스크린을 갖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그리고 PDA와 같은 휴대용 단말도 터치 펜을 이용하여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5) 특히, 터치 펜은 노약자나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이용자들에게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휴대용 단말 등을 사용할 수 있게 안전성과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헤드 라이닝에 보조 손잡이를 장착한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헤드 라이닝의 저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손잡이에서 터치 펜 또는 볼펜을 삽입하거나 뺄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빠진 상태를 보여주는 보조 손잡이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펜 또는 볼펜을 삽입 구멍에 수납한 상태를 보여주는 보조 손잡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터치 펜 또는 볼펜을 삽입 구멍에 끼워서 수용하거나 인출하게 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터치 펜 또는 볼펜을 삽입 구멍에 끼워서 수용하거나 인출하게 하기 위한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헤드 라이닝(H)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며, 손으로 잡아서 사용하는 그립 부분(1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그립 부분(100)에는 삽입 구멍(110)을 형성하고, 이 삽입 구멍(110)에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을 끼워놓았다가 필요할 때 꺼내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립 부분(10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헤드 라이닝(H)에 장착한 것으로, 통상 사용하지 않을 때는 탄성 지지를 받아 헤드 라이닝(H)과 밀착하게 하고, 사용할 때는 손으로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말한다.
특히, 상기 그립 부분(10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손으로 잡아서 사용하기 위한 부분이므로, 손바닥의 폭 정도의 길이로 바 형상의 부분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제 손바닥이 맞닿게 형성한 이 바 부분에 삽입 구멍(110)을 형성한다.
이때, 삽입 구멍(11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을 끼웠을 때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제작한다. 도면에서는,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의 한쪽 끝이 삽입 구멍(110)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함으로써, 이용자가 이 노출된 부분을 잡고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을 삽입 구멍(110)에서 쉽게 빼내서 사용할 수 있다.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삽입 구멍(110)에 끼워놓았다가 필요할 때 빼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의 폭 단면 형상은 삽입 구멍(110)의 폭 단면 형상과 같은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상기 터치 펜 또는 볼펜(200)과 삽입 구멍(110)의 폭 단면을 같은 형상으로 제작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는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을 삽입 구멍(110)에 쉽게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상기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은 삽입 구멍(110)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고, 이 삽입 구멍(100)의 밖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조금 두껍게 형성하여 삽입 구멍(200)에 강제로 끼워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터치 펜은 통상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단말기, 예를 들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그리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휴대용 단말을 이용할 때 펜 대신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으로, 볼펜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필기 기구를 각각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상기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은, [도 4]와 같이, 그 지름(D)을 상술한 삽입 구멍(110)의 지름(D')보다 조금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을 강제로 삽입 구멍(110)에 끼워서 고정하고 필요할 때 강제로 빼내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때의 지름(D)은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의 길이 전체에 걸쳐 형성하기보다는 길이의 한쪽, 바람직하게는 삽입 구멍(110) 밖으로 돌출하는 쪽의 일부에 형성함으로써, 삽입할 때 마찰을 최소화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항상 자동차 실내에 구성하는 보조 손잡이에 터치 펜이나 볼펜을 갖춤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가 손을 뻗음에 따라 닿을 수 있어 사용에 편리함과 더불어 야간에도 쉽게 터치 펜이나 볼펜의 위치를 찾아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을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쉽게 터치 펜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이같이 이루어진 삽입 구멍(110)의 내벽에 탄성 부재(111)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탄성 부재(111)는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이 삽입 구멍(110) 안에서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하여 소음을 방지하고, 또한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을 삽입 구멍(110)에 끼울 때 그 사이에서 눌리면서 고정하게 하는 기능을 갖게 한다. 그리고,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이 삽입 구멍(110)에 끼울 때 이 삽입 구멍(110)과 맞닿으면서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한다.
이러한 탄성 부재(111)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연질의 실리콘, 스펀지,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를 예로 들 수 있다.
100 : 그립 부분
110 : 삽입 구멍
200 : 터치 펜 또는 볼펜

Claims (4)

  1. 헤드 라이닝에 장착하는 보조 손잡이에서,
    손으로 잡는 그립 부분(100)에는 미리 정한 길이로 삽입 구멍(110)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 구멍(110)에는 터치스크린에 사용하는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을 삽입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2. 제1 항에서,
    상기 삽입 구멍(110)과, 터치 펜 또는 볼펜(200)은,
    강제로 끼우거나 빼내는 방식으로 삽입과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3. 제1 항에서,
    상기 삽입 구멍(110)은,
    내벽에 탄성 변형되면서 강제로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탄성 부재(111)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4. 제3 항에서,
    상기 탄성 부재(111)는,
    연질의 실리콘, 스펀지,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KR1020160078341A 2016-06-23 2016-06-23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KR101833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41A KR101833306B1 (ko) 2016-06-23 2016-06-23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41A KR101833306B1 (ko) 2016-06-23 2016-06-23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754A KR20180000754A (ko) 2018-01-04
KR101833306B1 true KR101833306B1 (ko) 2018-03-02

Family

ID=60997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341A KR101833306B1 (ko) 2016-06-23 2016-06-23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852A (ko) 2022-06-28 2024-01-04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의 어시스트핸들용 마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852A (ko) 2022-06-28 2024-01-04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의 어시스트핸들용 마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754A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23411A1 (en) Knob structure of glove box for vehicle
WO2008136509A1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833306B1 (ko)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US20140125097A1 (en) Vehicle Armrest Mounted Control Device with Remote Display
US6276737B1 (en) Storage assembly for an overhead console
CN101580042A (zh) 棒状物的保持装置
JP5758704B2 (ja) 振出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2018167744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KR20160003519U (ko) 코트 후크 작동 이음의 발생이 방지되는 헤드라이닝 어시스트 핸들
JP6714843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
US9587418B2 (en) Door inside handle apparatus with pull handle
KR970026135A (ko) 차량용 도어의 암 레스트
CN103072503B (zh) 交通工具折叠式桌子的支撑系统及工业或商业交通工具
KR100589258B1 (ko) 자동차용 펜 홀더
KR20240028613A (ko) 자동차용 어시스트핸들
KR200247551Y1 (ko) 자동차용 화장지 홀더
JP3083466U (ja) 自動車用筆記台
CN204595699U (zh) 平板电脑套
KR100346463B1 (ko) 자동차의 가변형 도어 트림 맵 포켓
JP2016155508A (ja) 自動車用傘保持具
JP2007022228A (ja) 自動車用ハンドル装置
JPH0717183A (ja) 筆記具における把持部構造
JPH074193U (ja) 小型携帯電話機における送受話器のホルダー
KR100496392B1 (ko) 자동차용 메모지 홀더
JP4283008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