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7044A -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7044A
KR20050007044A KR1020030047072A KR20030047072A KR20050007044A KR 20050007044 A KR20050007044 A KR 20050007044A KR 1020030047072 A KR1020030047072 A KR 1020030047072A KR 20030047072 A KR20030047072 A KR 20030047072A KR 20050007044 A KR20050007044 A KR 20050007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ervice
seller
data
warran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8868B1 (ko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주)웨스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웨스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웨스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030047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868B1/ko
Publication of KR20050007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868B1/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매하기 위한 상품에 대해 에프터 서비스를 보장함으로써 소비자가 신뢰하고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상품 구매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해주는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품 판매자가 구매자를 수익자로 하여 판매하기 위한 상품에 대하여 보험사와 에프터 서비스 보증보험 계약을 체결하여, 소비자에게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를 보장함으로 써 상품 판매자 입장에서는 상품 구매력을 증진시키고, 상품 구매자 입장에서는 에프터 서비스를 확실하게 보장받을 수 있어, 상품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에게 이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guaranteeing an after service and a system for embody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판매하기 위한 상품에 대해 에프터 서비스를 보장함으로써 소비자가 신뢰하고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상품 구매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해주는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이용자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상품의 거래도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인터넷을 통한 전자 상거래에서는 구매자가 직접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에 방문하지 않고 인터넷 상에 개설된 가상 공간인 인터넷 쇼핑몰과 같은 웹사이트에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품에 대한 구매를 결정하여 주문 및 결제하고, 판매자는 그 상품을 구매자에게 배송 하는 방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자 상거래에서 판매자에 대한 신뢰성이 구매자가 구매를 결정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물론, 오프라인 거래에 있어서도 판매자에 대한 신뢰성이 구매자가 구매를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소비자에게 인지도가 낮은 중소기업은 소비자에게 자사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한다 하더라도 그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기업은 소비자에게 어느 정도의 신뢰성을 구축하고 있어 신제품을 개발하더라도 판매하기가 수월하지만, 경쟁 제품이 있는 경우에 소비자는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가 어느 정도 잘 이루어지는가를 염두에 두고 상품의 구매를 결정한다. 즉, 대기업의 경우에도 판매하는 제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가 매우 중요하다.
소비자 보호법상 전자제품에 대하여 1~2년의 무상 서비스가 규정되어 있으나 전자제품의 제조사 등이 자체적으로 에프터 서비스의 세부사항을 정하여 무상처리되는 부분이 한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구매자의 관점에서 볼 때 판매된 제품에 대하여 얼마만큼 에프터 서비스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는 상품 구매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를 보장하는데 도움을 주어 소비자에게는 에프터 서비스 만족을, 상품 판매자에게는 판매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는데 도움이 되는 에프터 서비스 보장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상품 판매자에 의한 본 발명의 실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에 대한 보험사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에 대한 구매자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의 전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 112 : 제 1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
114 : 제 2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 120 : 판매자 관리서버
122, 132, 192 : 사원 피씨 130 : 보험사 관리서버
140 : 판매자 웹서버 150 : 구매자 피씨
160 : 인터넷 170 : 보험사 웹서버
180 :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생성서버
190 : 서비스센터 관리서버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은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상품에 대해 에프터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품을 판매하기 전에 판매자가 보험사와 상품 구매자를 수익자로 하여 판매하기 위한 상품들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 보증보험 계약을 체결하는 계약체결단계, 보증보험 대상상품들에 대한보증보험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 베이스 구축단계, 보증보험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의 데이터를 보험사로 송신하여 보험사가 보증보험 대상상품의 데이터를 공유하게 하는 데이터 베이스 공유단계, 판매자가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 보증내용을 홍보하는 홍보단계, 보험사가 상품에 대해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발행하는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발행단계, 발행된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데이터를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보증번호 데이터 저장단계, 판매된 상품에 하자가 발견된 경우 상품 구매자가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를 요청하도록 하는 에프터 서비스 요청단계, 에프터 서비스 요청된 상품의 애프터 서비스 보증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하여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확인하는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확인단계 및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가 확인된 에프터 서비스 요청된 상품에 대해 에프터 서비스를 실시하는 에프터 서비스 실시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에프터 서비스 실시단계에서 홍보된 내용의 에프터 서비스가 불이행되거나 불완전하게 이행된 경우 상품 구매자가 보험사에 에프터 서비스 불이행 또는 불완전이행에 따른 보험금 청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보험금 청구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계약체결단계에는 보험대상 상품의 종류, 상품별 에프터 서비스 보증기간, 보험금액, 보상금액, 정산방법 등의 기본적인 사항과 기타 보험금 지급 방법과 지급일시, 보상금 지급방법과 지금일시, 정산시기 등의 부수적인 사항들에 대하여 계약을 체결하면 된다.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발행단계는 판매된 상품에 대해 상품 구매자가 인터넷을 통해 상품 판매자의 웹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의 모델넘버와 상품구매자의 인적사항과 연락처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여 판매된 상품에 대해 등록하도록 하는 구매상품 등록단계, 구매상품 등록단계에서 수신된 등록데이터를 보험사의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등록데이터 송신단계, 보험사가 등록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유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보험대상 상품인지를 확인하고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생성단계, 생성된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데이터를 상품 판매자의 관리서버로 송신하도록 하여 생성된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보증번호 데이터 수신단계, 수신된 보증번호 데이터를 상품 구매자에게 송신하는 보증번호 데이터 송신단계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보증번호 데이터 송신단계에는 보증번호 데이터를 보험증권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발행단계는 상품이 판매되기 전에 보험사가 인쇄물 형태로 발행하도록 하는 보증번호 인쇄단계, 상품 판매자가 보험사로부터 보증번호가 인쇄된 인쇄물을 수령하는 인쇄물 수령단계 및 수령된 인쇄물을 판매되는 상품과 함께 제공하는 인쇄물 제공단계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상품 판매자와 보험사가 에프터 서비스 보증보험 계약을 체결 후 미리 보증보험 대상물품에 대해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보험증권형태로 인쇄하여 상품 판매시 그 인쇄물을 제공하여 인터넷을 통해 그 번호를 등록하도록 하는 과정을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시스템은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 구매자를 수익자로 하여 판매자가 보험사와 체결하는 판매하기 위한 상품들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 보증보험 계약의 내용에 따라 구축되고 판매자와 보험사가 보험 대상상품들과 각 대상상품들에 대해 발행된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된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 인터넷에 연결되고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가 구매상품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해주는 판매자 웹서버, 대상상품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와 판매자 웹서버에 연결되고 데이터 관리를 위한 판매자 관리서버, 판매자 관리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된 데이터 관리를 위한 보험사 관리서버, 보험사 관리서버와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되고 구매상품 등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생성하는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생성서버 및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하여 에프터 서비스 요청하는 대상상품의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확인하기 위한 보증번호 확인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보증번호 확인수단은 서비스센터에 설치되어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 가능하고, 서비스 센터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 서비스 센터 관리서버이고,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는 판매자 관리서버에 연결되어 판매자 관리서버의 관리를 받는 제 1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와 보험사 관리서버에 연결되어 보험사 관리서버의 관리를 받고 대상상품과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제 1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와 동일하게 구비하는 제 2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로 분리하여 구성하는 것이 현실적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여 상품 판매자와 보험사가 원격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생성서버는 보험사 관리서버에 통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험사 관리서버에 대상물품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하여서 보증번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보증번호 생성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보증번호 생성서버를 대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의 기본 개념은 상품 판매자(S)가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 보장을 위해 보험사(I)와 에프터 서비스 보증보험 계약을 체결하여 상품 구매자(C)가 구매한 상품에 대해 약속된 에프터 서비스를 받지 못하거나 불완전한 서비스를 받은 경우 보험사를 상대로 에프터 서비스 하자에 대한 보상금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품 판매자(S)의 입장에서는 상품에 대한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품 구매자(C)의 입장에서는 구매한 상품에 하자가 있는 경우 충분한 에프터 서비스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여 상품 판매자와 상품 구매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의 과정을 더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품 판매자(S)가 보험사(I)와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 보증보험 계약을 체결하고, 보험금 납입, 보상금 지급 등에 따른 비용 정산을 정기적으로 한다. 또, 상품 판매자(S)는 보증보험 대상물품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보험사(I)에 제공하여 대상물품에 대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구매자가 등록한 구매상품 등록 데이터가 있는 경우 보험사(I)로 전송한다. 보험사(I)는 구매상품 등록 데이터에 대응되는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발행하여 상품 판매자(S)에게 통보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품 구매자(C)에게도 이메일 등을 통해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통지한다.
상품 구매자(C)는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품 판매자(S)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구매상품 등록을 하고, 상품에 하자가 발생된 경우 에프터 서비스를 신청하고, 상품 판매자(S)는 에프터 서비스 기간 내이고 정당한 사유인 경우 무상 수리, 교체 등 약속된 에프터 서비스를 실시한다. 또, 보험사(I)가 상품 구매자(C)에게 발행된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직접 통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품 판매자(S)가 통지한다.
한편, 상품 구매자(C)는 구매한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가 불이행되거나 불완전하게 이행된 경우에 보험사(I)에 에프터 서비스 불이행 또는 불완전 이행에 따른 보상금 청구를 하고, 보험사(I)는 보상금 청구가 정당한가를 판단하고, 정당한 청구인 경우 상품 구매자(C)에게 보상금을 지급한다.
물론, 상품 판매자(S)가 에프터 서비스를 불이행하거나 불성실하게 이행하여 보상금 지급금이 일정 이상 초과하는 경우에는 당사자간의 계약 내용에 따라 상품판매자(S)와 비용 정산을 하여야 한다. 상품 판매자(S)는 보상금 지급 건수를 줄이기 위해 에프터 서비스 품질을 높여야 한다.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에프터 서비스 보장시스템을 통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시스템(100)은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0)는 에프터 서비스 보증보험의 대상이 되는 상품의 종류, 모델넘버, 가격, 보상금액, 구매자의 성명, 연락처,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품 판매자 관리서버(120)에 직접 연결되어 관리되는 제 1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2)와 보험사 관리서버(130)에 직접 연결되어 관리를 받고 제 1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2)와 동일한 내용을 가지는 제 2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4)로 구분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만 구축하고 어느 일측에서는 원격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러한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0)는 초기에는 상품 판매자(S)에 의해 구축되어 보험사(I)로 제공되고, 보험사(I)에서 발행된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에 대한 데이터는 보험사와 보험사에서 통지를 받는 상품 판매자가 같이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하면 된다. 물론,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별도로 구축할 수 있지만 비능률적이다. 경우에 따라 대상물품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상품 등록 시에 제공되는 상품 구매자의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성명, 주소 등에 대한 데이터가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시스템(100)은 판매자 관리서버(120)와 판매자 웹서버(140)를 구비한다. 판매자 관리서버(120)는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0)와 판매자 웹서버(140)에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 수신, 입력, 삭제, 검색, 수정 등과 같은 데이터 관리를 위한 것이다. 이러한 판매자 관리서버(120)에는 회원 데이터 베이스(116), 상품 데이터 베이스(117), 기타 사내 사원 피씨(122)들이 연결된다. 판매자 웹서버(140)는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가 인터넷(160)에 접속 가능한 구매자 피씨(150)를 통해 구매상품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시스템(100)은 보험사 관리서버(130)와 보험사 웹서버(170)를 구비하고 있다. 보험사 웹서버(170)는 보험사 자체의 광고, 보험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등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보험사 관리서버(130)는 판매자 관리서버(120)와 인터넷(160)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보험사 웹서버(170) 및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0)와 연결되어 있다. 이 보험사 관리서버(130) 역시 보험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송, 수신, 입력, 삭제 검색하는 등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험사 관리서버(130)에 보험상품 데이터 베이스(118), 보험가입자 데이터 베이스(119), 사원 피씨(132) 등이 더 연결되어 있다.
보험사 관리서버(130)와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0) 사이에는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생성서버(180)가 구비된다. 이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생성서버(180)는 구매자에 의한 구매상품 등록 데이터를 통지 받는 경우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0)의 자료를 참고하여 그 대상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보험사 관리서버(130)에 일체로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시스템(100)은 서비스센터 관리서버(190)를 구비한다. 이 서비스센터 관리서버(190)는 상품의 에프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센터에 설치되며,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0)에 접속 가능하고 서비스 센터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 것이다. 이 서비스센터 관리서버(190)에 사원 피씨(192)들이 연결된다. 이 서비스센터 관리서버(190)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사원 피씨(192)를 이용해 본사의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0)에 접속하여 필요한 사항을 확인 및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에프터 서비스센터가 없는 회사인 경우 상품 판매처를 통해 에프터 서비스 대상상품을 회수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인터넷(160)에 연결된 상품 판매처의 피씨를 통해 본사의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0)에 접속하여 필요한 사항을 확인하여 처리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02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에프터 서비스 보장시스템을 이용해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이 실현되는 과정을 도 3∼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상품 판매자에 의한 본 발명의 실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품 판매자는 먼저 판매할 상품에 대하여 상품 구매자를 수익자로 하여 보험사와 에프터 서비스 보증보험 계약을 체결한다(단계 1). 이 때의 계약 내용으로는 보증보험 대상상품, 보험금, 구매자가 보상금 청구 시 지급해야 보상금, 보상금 심사절차, 보상금 지급절차, 보상금 지급이 건수가 일정 이상 초과하는 경우의 정산절차 및 내용 등이 있다.
에프터 서비스 보증보험 계약을 체결 후, 상품 판매자는 보험 대상물품들에 대한 대상물품 데이터 베이스(110)를 구축한다. 대상물품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상품의 종류, 상품의 모델넘버, 보상금액, 무료 에프터 서비스 보장기간 등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구축된 대상물품 데이터 베이스(110)는 보험사에도 제공된다. 이러한 대상물품 데이터 베이스(110)는 보험사와 체결한 에프터 서비스 보증보험 계약의 내용에 의거 구축된다(단계 2).
단계 1과 단계 2를 완료 후, 상품 판매자는 에프터 서비스 보장내용에 대한 홍보를 하면서 대상물품들을 상품 구매자에게 판매한다(단계 3).
상품 판매 후, 상품 구매자가 구매자 피씨(150)를 이용해 인터넷(160)에 접속하여 판매자 웹서버(140)를 통해 구매상품 등록하는 것이 있으면(단계 4) 그 데이터를 보험사에 통지한다(단계 5). 물론, 판매자가 구매상품 등록 데이터를 직접 제 1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2)에 입력하고, 보험사에서 정기적으로 제 2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4)를 갱신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구매상품 등록 데이터를 보험사에 통지 후에는 보험사로부터 구매상품에 대하여 발행된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단계 6) 대상물품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한편, 상품 구매자에게도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이메일이나, 전호 등을 통해 통지한다(단계 7).
위 단계 4∼7은 판매자 관리서버(120)와 보험사 관리서버(13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일괄처리 될 수 있다.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발행 후에는 서비스센터나 상품 판매처 등을 통해 에프터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단계 8), 서비스센터 관리서버에 연결된 사원 피씨(192) 등을 이용해 에프터 서비스 요청된 상품이 구매상품으로 등록된 상품인지 즉,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가 있는 상품인지를 확인한다(단계 9).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가 없는 상품인 경우 보험 대상상품에 해당되는가를 확인하여(단계 10), 구매상품등록을 하고,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부여받는다(단계 11).
대상상품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비보험 상품의 일반적인 처리절차에 따라 처리한다(단계 12).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가 있는 경우 에프터 서비스 요건에 해당되는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품의 하자가 구매자의 과실로 인한 것이 아닌지 등을 확인한다(단계 13).
에프터 서비스 요건에 해당되는 경우, 그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를 실시한다(단계 14).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에 대한 보험사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보험사는 상품 판매자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에프터 서비스 보증보험 계약을 체결하고(단계 21),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0)를 상품 판매자와 공유한다(단계 22).
보험사는 상품 판매자 또는 상품 구매자로부터 구매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발행요청이 있으면(단계 23), 그 구매상품이 대상상품에 해당되는가를 확인하고(단계 24), 대상상품이 아니면 그 사실을 상품 판매자 또는 상품 구매자에게 통지하고 종료한다(단계 25). 대상상품에 해당되는 경우,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발행하고, 그 데이터를 상품 판매자에게 통지한다. 경우에 따라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상품 구매자에게도 통지할 수 있다. 물론,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에 대한 데이터는 보험사에서 대상물품 데이터 베이스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단계 26).
한편으로는, 에프터 서비스 보증보험 대상물품과 관련하여 보상금 청구가 있으면(단계 27), 심사를 거쳐(단계 28), 보상금을 지불해야할 사안이면(단계 29), 규정된 보상금을 지불하고 종료한다(단계 3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에 대한 구매자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품 구매자는 판매자의 홍보내용 등을 보고 상품을 구매(단계 41)한 후에 구매자 피씨(150)를 이용해 인터넷(160)에 접속하여 판매자 웹서버(140)를 통해 구매상품 등록을 한다(단계 42). 그런 다음 상품 판매자 또는 보험사로부터 구매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통지를 수령하여 저장하여 두거나 프린터로 인쇄하여 제품의 필요한 곳에 붙여 둔다(단계 43).
구매한 상품을 사용하다가 하자가 발생된 경우(단계 44) 서비스센터 등에 방문하여 에프터 서비스 요청을 한다(단계 45). 에프터 서비스가 홍보한 내용대로 이행이 되었으면 종료하고, 이행되지 않았으면(단계 46), 보험사에 에프터 서비스 불이행 또는 에프터 서비스 불완전이행에 따른 보상금 청구를 하여(단계 47), 에프터 서비스 불이행 등에 따른 보상금을 보험사로부터 수령하고(단계 48)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의 전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의 전체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품 판매자가 상품 구매자를 수익자로 하여 보험사와 상품별 보증기간, 보험금액, 보상금액, 보상금 지급방법, 보험금 지급을 위한 심사절차, 비용정산방법과 시기 등을 결정하여 에프터 서비스 보증보험 계약을 체결한다(단계 71). 그런 다음 상품 판매자는 에프터 서비스 대상물품 데이터 베이스(110)를 구축하여 보험사와 공유하고(단계 72), 상품을 판매한다(단계 73).
상품 구매자는 상품 판매자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구매상품 등록을 한다(단계 74). 그러면 상품 판매자는 구매자가 입력하는 구매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단계 75) 보험사로 송신한다(단계 76). 보험사는 수신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상품이 보험의 대상상품에 해당되는 가를 확인하여(단계 77), 보험 대상상품에 해당되지 않으면 그 상품이 보험 대상상품에 해당되지 않음을 상품 판매자 또는 상품구매자에게 통지하고, 종료한다(단계 78).
수신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상품이 보험 대상상품에 해당되는 경우, 보험사는 그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발행하여 상품 판매자에게 통지한다. 물론, 상품 구매자에게도 발행된 보증번호를 통지할 수 있다(단계 79). 여기에서,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는 보험증권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품 판매자는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제 2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4)에 저장함과 아울러 구매자에게도 이메일 등을 통해 통지한다(80).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통지 받은 구매자는 그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인쇄하여 구매한 상품에 부착하여 둔다(단계 81).
구매자는 구매한 상품을 사용하다가 구매자의 과실을 원인으로 하지 않는 제품의 하자가 발생되는 경우 서비스센터 등을 방문하여 그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를 요청한다(단계 82). 그러면 서비스센터 직원은 서비스센터 관리서버(190)에 연결된 사원 피씨(192)를 이용해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110)에 접속하여 구매상품 등록된 상품인가를 확인하여(단계 83), 구매상품 등록된 상품, 즉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가 발행된 상품이 아니면 구매상품 등록 가능한 상품인가를 확인하여(단계 84) 그에 해당되면 구매상품 등록을 하여 그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부여받는다(단계 85). 구매상품 등록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비보험대상물품의 처리규정에 따른 처리한다(단계 86).
한편, 에프터 서비스 신청한 제품이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가 발행된 제품으로 확인된 경우, 상품의 하자가 구매자 과실에 의한 것이 아닌지 등 에프터 서비스 요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단계 87)하여, 에프터 서비스 요건에 대하여 상품 판매자와 구매자 간에 의견 충돌이 있는 경우(단계 88) 구매자는 보험사에 보상금 청구를 한다(단계 89). 보험사는 보상금을 지급해야될 사안인가를 심사하여(단계 90) 보상금을 지급해야할 사안이면 해당 보상금을 상품 구매자에게 지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보상금을 지급하지 않고 종료한다(단계 91). 보상금 지급을 받지 못한 구매자는 보험사의 결정에 대하여 불복이 있는 경우 별도의 사법절차를 통해 법원 등에 소송을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에프터 서비스 신청한 상품이 에프터 서비스 요건에 해당되는 경우 판매자는 약속된 에프터 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92). 에프터 서비스 후, 에프터 서비스에 불만이 없는 경우 종료하고, 불만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88로 돌아가(단계 93) 보험사에 보상금 청구를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상품 판매자가 비록 인지도가 낮은 중소기업이라 하더라도 소비자에게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어 판매하는 상품의 구매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록 인지도가 높은 대기업일지라도 에프터 서비스를 보다 확실하게 보장함으로 써 경쟁사에 비해 상품 구매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구매하는 제품에 대해 에프터 서비스를 보다 확실하게 보장받을 수 있고, 상품의 선택범위를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및 그 시스템은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개발하고도 소비자들에게 인지도가 낮아 제품 판매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이 자사제품에 대한 판매활로를 개척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Claims (8)

  1.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상품에 대해 에프터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품을 판매하기 전에 상기 판매자가 보험사와 상기 상품 구매자를 수익자로 하여 판매하기 위한 상품들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 보증보험 계약을 체결하는 계약체결단계;
    상기 보증보험 대상상품들에 대한 보증보험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 베이스 구축단계;
    상기 보증보험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의 데이터를 상기 보험사로 송신하여 상기 보험사가 보증보험 대상상품의 데이터를 공유하게 하는 데이터 베이스 공유단계;
    상기 판매자가 상기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 보증내용을 홍보하는 홍보단계;
    상기 보험사가 상기 상품에 대해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발행하는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발행단계;
    상기 발행된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데이터를 상기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보증번호 데이터 저장단계;
    상기 판매된 상품에 하자가 발견된 경우 상기 상품 구매자가 상기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를 요청하도록 하는 에프터 서비스 요청단계;
    상기 에프터 서비스 요청된 상품의 애프터 서비스 보증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하여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확인하는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확인단계; 및
    상기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가 확인된 에프터 서비스 요청된 상품에 대해 에프터 서비스를 실시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에프터 서비스 실시단계에서 홍보된 내용의 에프터 서비스가 불이행되거나 불완전하게 이행된 경우 상기 상품 구매자가 상기 보험사에 에프터 서비스 불이행 또는 불완전이행에 따른 보험금 청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보험금 청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체결단계에는 보험대상 상품의 종류, 상품별 에프터 서비스 보증기간, 보험금액, 보상금액, 정산방법에 대하여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발행단계는 상기 판매된 상품에 대해 상기 상품 구매자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상품 판매자의 웹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의 모델넘버와 상품구매자의 인적사항과 연락처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여 판매된 상품에 대해 등록하도록 하는 구매상품 등록단계, 상기 구매상품 등록단계에서 수신된 등록데이터를 보험사의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등록데이터 송신단계, 상기 보험사가 상기 등록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보험대상 상품인지를 확인하고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생성단계, 상기 생성된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데이터를 상기 상품 판매자의 관리서버로 송신하도록 하여 생성된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보증번호 데이터 수신단계, 상기 수신된 보증번호 데이터를 상기 상품 구매자에게 송신하는 보증번호 데이터 송신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증번호 데이터 송신단계에는 상기 보증번호 데이터를 보험증권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발행단계는 상기 상품이 판매되기 전에 상기 보험사가 인쇄물 형태로 발행하도록 하는 보증번호 인쇄단계, 상기 상품 판매자가 상기 보험사로부터 상기 보증번호가 인쇄된 인쇄물을 수령하는 인쇄물 수령단계 및 상기 수령된 인쇄물을 상기 판매되는 상품과 함께 제공하는 인쇄물 제공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6.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품 구매자를 수익자로 하여 상기 판매자가 보험사와 체결하는 판매하기 위한 상품들에 대한 에프터 서비스 보증보험 계약의 내용에 따라 구축되고 상기 판매자와 상기 보험사가 보험 대상상품들과 각 대상상품들에 대해 발행된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된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
    인터넷에 연결되고 상기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가 구매상품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해주는 판매자 웹서버;
    상기 대상상품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와 판매자 웹서버에 연결되고 데이터 관리를 위한 판매자 관리서버;
    상기 판매자 관리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상기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된 데이터 관리를 위한 보험사 관리서버;
    상기 보험사 관리서버와 상기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구매상품 등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생성하는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생성서버; 및
    상기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하여 에프터 서비스 요청하는 대상상품의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를 확인하기 위한 보증번호 확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터 서비스 보장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증번호 확인수단은 상기 서비스센터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 가능하고, 서비스 센터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 서비스 센터 관리서버이고, 상기 대상물품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판매자 관리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판매자 관리서버의 관리를 받는 제 1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보험사 관리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보험사 관리서버의 관리를 받고 상기 대상상품과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제 1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와 동일하게 구비하는 제 2대상상품 데이터 베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터 서비스 보장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터 서비스 보증번호 생성서버는 상기 보험사 관리서버에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터 서비스 보장시스템.
KR1020030047072A 2003-07-11 2003-07-11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68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072A KR100568868B1 (ko) 2003-07-11 2003-07-11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072A KR100568868B1 (ko) 2003-07-11 2003-07-11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044A true KR20050007044A (ko) 2005-01-17
KR100568868B1 KR100568868B1 (ko) 2006-04-10

Family

ID=3722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072A KR100568868B1 (ko) 2003-07-11 2003-07-11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8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24B1 (ko) * 2007-10-11 2008-01-30 주식회사 다나와 조립 pc의 as제공방법 및 시스템
WO2016024729A1 (ko) * 2014-08-12 2016-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온 점착력 및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158257A1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얼리셀 스마트 애프터서비스 보증금 예치를 활용한 렌탈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24B1 (ko) * 2007-10-11 2008-01-30 주식회사 다나와 조립 pc의 as제공방법 및 시스템
WO2016024729A1 (ko) * 2014-08-12 2016-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온 점착력 및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158257A1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얼리셀 스마트 애프터서비스 보증금 예치를 활용한 렌탈 서비스 시스템
KR20230123687A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얼리셀 스마트 애프터서비스 보증금 예치를 활용한 렌탈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8868B1 (ko) 2006-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5629B2 (en) Computerized valuation of electronic equipment
US20080027836A1 (en) Inventory Equalization System
US200200197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turning merchandise
US20060195563A1 (en) Peer-to-peer inventory management system
KR20010102612A (ko) 인터넷을 통한 전자 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50909A (ko) 이알피 연계형 전자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2019236A1 (en) Internet based method for asset recovery maximization through reverse logistics optimization and utilizing new seller incentive methodology
KR20000053815A (ko) 인터넷을 이용한 무역 거래 장치 및 방법
KR20160075017A (ko) 온라인상에서 물품 직거래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0638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nding/receiving data, central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hereof
KR100800420B1 (ko) 온라인상에서 구매자와 판매자의 인증 서비스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101908908B1 (ko) 셀러 중심의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거래물량 전환 가능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KR100568868B1 (ko) 에프터 서비스 보장방법 및 그 시스템
EP1854058A2 (en) Inventory equalization system
KR20200073934A (ko) 원자재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방법
KR101681889B1 (ko) 기업 간 거래 정보 공유 및 중개 시스템 운용 방법
KR100749884B1 (ko) 구매자측의 신용카드단말기를 이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38060A (ko) 네트워크 및 it기술을 활용하여 약국경영관리db,전자상거래db, 데이터분석db, 택배정보db,커뮤니케이션db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약품 유통시스템및 방법
KR20050008144A (ko) 편의점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의 주문배달시스템 및 방법
KR102620369B1 (ko) 전자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267402A (ja) 株主優待システムおよび株主優待支援方法
KR100435169B1 (ko)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
KR20130013082A (ko) 인터넷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71931A (ko) 전자 상거래를 위한 상품 보증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23992A (ko) 네트워크 기반의 전자 상거래용 보험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