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5619A - 용선혼입 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용선 폭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용선혼입 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용선 폭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619A
KR20050005619A KR1020030045572A KR20030045572A KR20050005619A KR 20050005619 A KR20050005619 A KR 20050005619A KR 1020030045572 A KR1020030045572 A KR 1020030045572A KR 20030045572 A KR20030045572 A KR 20030045572A KR 20050005619 A KR20050005619 A KR 20050005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pond
molten iron
weight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45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5619A/ko
Publication of KR20050005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61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021/0057Security or safety devices, e.g. for protection against heat, noise, pollution or too much duress; Ergonomic aspects
    • F27D2021/0071Security or safety devices, e.g. for protection against heat, noise, pollution or too much duress; Ergonomic aspects against explo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슬래그 처리설비내의 용선혼입 검지장치를 이용한 용선 폭발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광로에서 배출된 용융물 중 슬래그에 함유된 용선이 흘러가는 유선 폰드 내에서의 용선 존재 유/무를 정확히 검출하여 수처리 설비 및 드라이 피트에서의 용선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고로 슬래그 탕도의 배재구 런너와 슬래그 런너 사이에 분리형으로 유동 가능하게 유선폰드를 설치하고, 상기 유선폰드의 배면에 중량 감지를 위한 무게감지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무게감지수단을 무게 표시/제어기를 통해 피엘시로 연결하여, 상기 유선폰드 내의 용선 및 슬래그 유입상태를 피엘시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피엘시에 수처리설비의 펌프 제어기를 연결하여 상기 피엘시에서 감지되는 용선 및 슬래그의 무게에 의해 수처리 설비의 수비를 조정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피엘시에 괴재처리설비(드라이 피트)의 펌프 제어기를 연결하여, 상기 피엘시에서 측정된 용선 및 슬래그의 무게에 의해 드라이 피트의 스프레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용선혼입 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용선 폭발방지장치{Steel mixing detector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burst make use of it}
본 발명은 슬래그 처리설비에 용선이 혼입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제거함으로써 괴재처리설비(드라이 피트)나 수처리설비에서의 용선혼입에 의한 폭발을 미연에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광로에서 용선과 함께 배출된 슬래그(Slag) 처리시 배재구 침식과 기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슬래그 탕도내의 용선유입 및 그로 인한 용선과 냉각수와의 접촉에 따른 대형 용선 폭발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슬래그 처리설비의 용선혼입 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용선폭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광로 내에 용해되어 노저에 고여 있는 용융물은 일정시간 경과 후 굴착작업에 의해 관통된 출선구를 통하여 대탕도로 배출되는데, 이를 출선작업이라고 한다. 이때 상기 출선구는 부정형 내화물로 폐쇄되어 있으며 개공기를 이용하여 굴착작업을 실시함으로써 관통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슬래그 처리설비에서의 유선폰드 설치상태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광로(1)에서 배출된 용융물은 대탕도(2)를 거치면서 슬래그와 용선의 비중 차이(약3:7정도)에 의하여 용선은 바닥으로 가라 앉아 스키머(3)을 통하여 2블록(4) 방향으로 배출되며, 슬래그는 배재구(5)를 통하여 배재구 탕도(13)와 유선 폰드(7)와 슬래그 탕도(6)를 경유하여 흐르게 된다. 상기 도 1의 미설명 부호 8은 잔선 런너이고 10은 잔선공이다.
상기 슬래그는 슬래그 처리설비의 조업여건에 따라 다량의 냉각수를 분사시켜 슬래그를 미립화하는 수처리 설비나 야드에 저장한 후 냉각수를 뿌려 천천히 냉각시키는 드라이 피트(DRY-PIT)로 괴재 처리하여 냉각된 후 반출작업을 하게 되는 조업과정을 필연적으로 거치게 된다.
상기한 수처리 제조 공정중 물리적 특성을 제어하는 중요한 인자는 냉각수 유량 및 온도이며, 특히 적정 입도 제어를 위해서는 냉각수 유량의 관리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슬래그 당 냉각수 유량을 나타내는 지수인 수비(Water Ratio)는 8:1 ~10:1로 관리되고 있는데, 수비가 낮을 경우에는 슬래그가 냉각수와 접촉하는 기회가 적어 입도가 커지는 경향이 있으며, 냉각효율 저하로 스프레이 박스 전방에 고온의 슬래그가 침적되어 심할 경우 폭발현상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상기의 수처리설비를 통한 냉각과정에서 슬래그 내에 일정량의 용선이 함유되어 있게 되면, 상기의 수처리 작업 중에 살수중인 냉각수와 슬래그에함유된 용선이 만나 대형폭발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으며, 그에 따른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이 심각한 문제점이다.
또한 괴재처리설비인 상기 드라이 피트는 피트 내부에 고여 있는 냉각수가 있을 경우나 과도한 증기가 발생되는 시점에서 용선이 혼입되면 수소폭발과 같은 엄청난 폭발사고가 발생되며 이로 인해 주변설비의 화재발생과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용광로에서 배출된 용융물 중 슬래그에 함유된 용선이 흘러가는 유선 폰드 내에서의 용선 존재 유/무를 정확히 검출하여 피엘시로 전달하는 용선혼입 검지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용선혼입 검지장치에서의 용선 존재유/무 검출결과를 이용하여 수처리 설비에서의 수비 조정 및 드라이 피트에서의 스프레이를 제어하여 용선에 의한 폭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슬래그 처리설비내의 용선혼입 검지장치를 이용한 용선 폭발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슬래그 처리설비에서의 유선폰드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처리설비에서의 유선폰드 내 용선혼입 검지장치 및 그 측면의 잔선공 굴착기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처리설비에서의 용선혼입 검지에 따른 드라이 피트의 용선폭발 방지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처리설비에서의 용선혼입 검지에 따른 수처리 설비의 용선폭발 방지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배재구 6 : 슬래그 런너
7 : 유선 폰드 8,10d : 잔선 런너
10 : 잔선공 10a : 잔선공 굴착기
10b : 에어구동모터 10c : 개공기
11,22 : 슬래그(괴재) 12 : 용선
13 : 배재구 런너 15 : 무게 표시/제어기
16 : 피엘시(PLC) 17 : 스프레이펌프
20 : 펌프 제어기 21 : 모터제어박스
25 : 드라이 피트 30 : 전자변
31 : 비상 살수라인 32 : 스프레이 박스
33 : 냉각수 공급펌프 34 : 냉각수
200 : 무게감지수단(로드 셀) 201 : 유선폰드 베이스
202 : 유선폰드 받침대 204 : 브라켓
205 : 체결볼트 206 : 컨트롤 판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로 슬래그 탕도의 배재구 런너와 슬래그 런너 사이에 분리형으로 유동 가능하게 유선폰드를 설치하고, 상기 유선폰드의 배면에 중량 감지를 위한 무게감지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무게감지수단을 무게 표시/제어기를 통해 피엘시로 연결하여, 상기 유선폰드 내의 용선 및 슬래그 유입상태를 피엘시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슬래그 처리설비 내의 용선혼입검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용선혼입 검지장치는, 상기 유선폰드의 일측에 잔선공을 형성하고, 상기 잔선공을 관통하는 잔선공 굴착기를 상기 유선폰드의 측면에 잔선 런너와 함께 설치하며, 상기 피엘시에는 상기 잔선공 굴착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어구동모터를 연결하여 상기 피엘시에서 측정되는 유선폰드내의 용선 및 슬래그 무게에 의해 상기 잔선공 굴착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선혼입 검지장치의 피엘시에 수처리설비의 펌프 제어기를 연결하여 상기 피엘시에서 감지되는 용선 및 슬래그의 무게에 의해 수처리 설비의 수비를 조정하도록 구성한 슬래그 처리설비 내의 용선혼입 검지장치를 이용한 용선 폭발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선혼입 검지장치의 피엘시에 드라이 피트의 펌프 제어기를 연결하여, 상기 피엘시에서 측정된 용선 및 슬래그의 무게에 의해 드라이 피트의 스프레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슬래그 처리설비 내의 용선혼입 검지장치를 이용한 용선 폭발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래그 처리설비에서의 유선폰드 내의 용선 혼입 검지장치 및 그 측면의 잔선공 굴착기의 설치상태 사시도로서, 배재구런너(13)를 통과한 용선이 고이도록 사각틀 형태로서 고로 슬래그 탕도의 배재구 런너(13)와 슬래그 런너(6) 사이에 분리형으로 유동 가능하게 유선폰드(7)를 설치하고, 상기 유선폰드(7)의 배면에 중량 감지를 위한 무게감지수단(200)을 설치하며, 중앙 운전실에는 무게 표시/제어기(15; 도 3 참조)에서 검지된 평량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피엘시(16; 도 3 참조)를 설치하여 상기 무게감지수단(200)을 무게 표시/제어기(15)를 통해 피엘시(16)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유선폰드 내의 용선 및 슬래그 유입상태를 피엘시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 상기 유선폰드(7)의 일측면 하부에는 잔선 런너(10d)와 함께 잔선공(10)을 형성하고, 상기 잔선공(10)을 관통하기 위한 잔선공 굴착기(10a) 및 개공기(10c)를 상기 유선폰드(7)의 일측에 설치하며, 상기 피엘시(16)에는 상기 잔선공 굴착기(10a)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어구동모터(10b) 및 그 모터제어박스(21: 도 3참조)를 연결하여 상기 피엘시(16)에서 측정되는 유선폰드 내의 용선 및 슬래그 무게에 의해 상기 잔선공 굴착기(10a)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유선폰드(7)가 위치하는 배재구 런너(13)와 슬래그 런너(6) 사이의 하부 바닥에는 상기 유선 폰드를 안착시킬 수 있는 유선폰드 베이스(201)를 설치하여 두고, 상기 유선 폰드는 그 하부에 부착된 받침대(202)를 기초로 하여 브라켓(204) 및 체결볼트(205)를 이용하여 상기 무게감지수단(20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선폰드 베이스(201)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미설명부호 206은 컨트롤 판넬이다.
여기서 상기 무게감지수단(200)은, 유선 폰드 배면의 다수개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여 실린더 형태로서 상기 유선폰드의 중량에 따라 승강되면서 유선폰에 존재하는 용선의 유/무를 감지하는 출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로드 셀(rodcell)로 구성할수 있으며, 상기 유선폰드 베이스(201)에 브라켓트(204)를 이용하여 체결볼트(205)로 고정시킨 후 그 고정된 상태의 유선폰드(7)를 기준으로 로드셀의 영점을 조정하여 웨잉(weighing) 값을 맞춘다. 이때 모든 유선폰드 웨잉값은 로드 셀에서 무게 표시/제어기(15)로 연결되어 피엘시(16) 등 모든 기기의 상호 제어 및 조작을 위한 제어 조작부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의 무게 표시/제어기(15)는 상기 로드셀로 공급하는 10볼트(V) 내외의 정밀한 전원공급과 로드셀에서 나오는 3~30밀리볼트(MV)의 미세한 신호를 증폭하는 고정밀 직류증폭기(DC AMPLIFIER)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 변화되는 입력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해주는 변환기(A/D CONVERTOR)가 내장되어 있으며, 하중 값을 표시해주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CPU)등이 내장되어 있는 것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피엘시(16)와 무게 표시/제어기(15)와의 통신은 주로 RS-232나 RS-422방식으로 제어되며, 표시기(INDICATOR)의 경우는 주기적으로 현재 계량치를 일반적으로 보내오거나 특정명령어에 의해 보내오는 커멘드(COMMAND) 방식으로 읽을 수 있다.
그리고 에어구동모터(10b)로 구동되는 잔선공 굴착기(10a) 및 개공기(10c)가 잔선공(10) 및 잔선런너(10d)와 동일선상에서 고정 설치되며 에어구동모터(10b) 및 모터제어박스(21)에 의해 조정되고 이는 다시 피엘시(16)의 명령을 받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처리설비에서의 용선혼입 검지에 따른 드라이피트(괴재)의 용선폭발 방지장치의 개략 구성도로서, 배재구 런너(13)와 슬래그 런너(6) 사이에 분리형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유선폰드(7)의 배면에 중량 감지를 위한 로드 셀(200)을 설치하고, 상기 로드 셀을 무게 표시/제어기(15)를 통해 피엘시(16)로 연결하여, 상기 유선폰드 내의 용선 및 슬래그 유입정도를 피엘시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엘시(16)에는 드라이 피트의 펌프 제어기(20)를 연결하여, 상기 피엘시에서 측정된 용선 및 슬래그의 무게에 의해 드라이 피트(25)의 스프레이펌프(17)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미설명 부호 11과 12는 유선 폰드 내의 슬래그와 용선이며, 22는 드라이피트 내의 슬래그(괴재)이고, 34는 냉각수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처리설비에서의 용선혼입 검지에 따른 수처리설비의 용선폭발 방지장치의 개략 구성도로서, 배재구 런너(13)와 슬래그 런너(6) 사이에 분리형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유선폰드(7)의 배면에 중량 감지를 위한 로드 셀(200)을 설치하고, 상기 로드 셀(200)을 무게 표시/제어기(15)를 통해 피엘시(16)로 연결하여, 상기 유선폰드 내의 용선 및 슬래그 유입정도를 피엘시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엘시에는 수처리설비로 연결된 펌프 제어기(60)를 연결하여 상기 피엘시에서 감지되는 용선 및 슬래그의 무게에 따라 냉각수 공급펌프(33) 및 전자변(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처리 설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살수 라인(31)과 전자변(30) 및 냉각수 공급펌프(33) 및 그 펌프 제어기(60)가 설치되어 냉각수(34) 유량을 적정 수비(Water Ratio)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32는 스프레이 박스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선작업이 개시되면 비중차이(약3:7정도)에 의해 용선(12)과 분리된 슬래그(11)가 배재구(5)와 그 탕도(13) 및 유선 폰드(POND)(7)와 슬래그 탕도(6)를 경유하여 수처리 및 괴재처리 설비로 유입된다.
그리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유선폰드(7) 내부에 용선이 혼입될 시에 용선(12)과 슬래그(11)는 비중차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며 일정량의 용선이 하부에 누적되기 시작한다.
상기한 내용은 용광로 조업상황에 따라 유선폰드(7) 내부에 누적되는 용선량도 차이가 발생되는데 이는 슬래그 성분 중 염기도(CaO/SiO2)가 저하하여 용선 중 규소(Si)의 함량이 0.50%를 초과하거나 정기수리 후 노열을 높게 관리하는 조업여건에서 스키머 배면에 규소(Si) 성분이 응집되는 현상이 가중되거나 저유동성 슬래그와 함께 유실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의 본 발명에서 유선 폰드(7)의 하부에 장착된 무게감지수단(200)을 이용하여 슬래그 중 혼입되는 용선량을 검지하여 무게 표시/제어기(15)를 통해 피엘시(16)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피수처리 설비 및 드라이 피트(Dry Pit)에서의 용선에 의한 폭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유선 폰드(7) 배면에 설치된 로드 셀(200)이 폰드 내에 존재하는 용선의 무게를 검지하게 되며, 상기 유선폰드(7) 내에 포함된 용선량이 증가함과 동시에 무게 표시/제어기(15)에서는 상기 로드셀(200)이 검지한 값을 연산한 후 중앙 운전실에 설치된 피엘시(16)로 평량치(SET치:1TON)를 전송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엘시(16)의 신호를 받은 드라이 피트(괴재처리설비)의 펌프 제어기(20)에서는 스프레이 펌프(17)의 조작반 스위치(N.F.B SWITCH)를 차단하여 드라이 피트에 살수를 하는 스프레이 펌프(17)의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드라이 피트에서의 용선과 냉각수가 접촉되는 기회를 차단하여 드라이 피트에서의 용선 혼입에 의한 폭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냉각수 스프레이가 중단된 후 무게 표시/제어기(15)에 의해 계산된 평량치 값보다 상향으로 표기되면 피엘시(PLC)(16)가 모터제어박스(21)에 지령을 보내 에어구동모터(10b)를 작동시킴으로써 잔선공 굴착기(10a)에 의해 개공기(10d)가 자동으로 잔선공(10)을 굴착하게 된다.
또한, 잔선공(10)의 개공이 완료된 시점에서 무게 표시/제어기(15)에 의해 실린더형태의 로드 셀(200) 일측(잔선공 반대측)을 들어 올려 유선 폰드(7) 내부의 용융물이 잔선공을 통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유선 폰드(7)의 배면에 설치된 로드 셀(200)이 용선의 무게를 검지하여 유선폰드(POND)(7) 내에 포함된 용선량이 증가함과 동시에 무게 표시/제어기(15)에서 로드셀(200)이 검지한 값을 연산한 후 중앙운전실에 설치된 피엘시(16)로 평량치(SET치:1TON)를 전송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처리 설비에서는 상기 피엘시(16)의 신호를 받은 펌프 제어기(60)에서 운전 대기중인 냉각수 공급펌프(33)를 가동시켜 냉각수 유량을 급속히 증대하여 출선말기나 용선혼입시 적정 수비를 유지함으로서 용선폭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엘시(PLC)(16)의 명령을 받아 작동되는 담수 비상살수 라인(31)의 전자변(30)이 열리면서 슬래그가 떨어지는 낙구(11a) 지점에 다량의 냉각수를 공급하여 스프레이 박스(32) 내에서 미립화된 수재가 결합되지 못하게 하여 미립화된 수재의 유속을 증대시켜 줄 수 있게 한다.
한편, 냉각수 공급펌프(33)가 가동된 후 무게 표시/제어기(15)에 의해 계산된 평량치 값보다 상향으로 표기되면 피엘시(16)가 잔선공 굴착기(10a)의 에어구동모터(10b) 및 그 모터제어박스(21)에 지령을 보내 개공기(10d)가 자동으로 잔선공(10)을 굴착하게 된다.
또한, 잔선공(10) 개공이 완료된 시점에서 무게 표시/제어기(15)에 의해 로드 셀(200) 일측(잔선공 반대측)을 들어 올려 유선폰드(7) 내부의 용융물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출선작업 중 유선 폰드 내의 용선의 존재 유/무를 측정할 수 있는 배재구 런너(13)와 슬래그 런너(6) 사이 분리형으로 설계된 유선 폰드(POND)(7)와 로드 셀(200)을 이용하여 용선혼입을 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잔선공(10)을 자동으로 개공하는 굴착기(10a)를 제공하여 유선 폰드 내의 용선을 적절히 처리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수비제어 및 각 종 펌프를 제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조업상황에 맞는 적절한 조치를 수행하므로 수처리 설비와 드라이 피트에서의 용선 혼입에 의한 대형 폭발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한 물적, 인적피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고로 슬래그 탕도의 배재구 런너와 슬래그 런너 사이에 분리형으로 유동 가능하게 유선폰드를 설치하고, 상기 유선폰드의 배면에 중량 감지를 위한 무게감지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무게감지수단을 무게 표시/제어기를 통해 피엘시로 연결하여, 상기 유선폰드 내의 용선 및 슬래그 유입상태를 피엘시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설비 내의 용선혼입 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폰드가 위치하는 배재구 런너와 슬래그 런너 사이에 상기 유선 폰드를 안착시킬 수 있는 유선폰드 베이스를 설치하고,
    상기 유선 폰드는 그 하부에 받침대를 부착한 후 브라켓 및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무게감지수단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선폰드 베이스에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설비 내의 용선혼입 검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폰드의 일측에 잔선공을 형성하고, 상기 잔선공을 관통하는 잔선공 굴착기를 상기 유선폰드의 측면에 설치하며, 상기 피엘시에는 상기 잔선공 굴착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어구동모터를 연결하여 상기 피엘시에서 측정되는 유선폰드내의 용선 및 슬래그 무게에 의해 상기 잔선공 굴착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설비 내의 용선혼입 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감지수단은,
    실린더 형태로서 유선 폰드 배면의 다수개소에 설치되며, 상기 유선폰드의 중량에 따라 승강되면서 유선폰드에 존재하는 용선의 유/무를 감지하는 출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로드 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설비 내의 용선혼입 검지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용선혼입 검지장치의 상기 피엘시에 수처리설비의 펌프 제어기를 연결하여, 상기 피엘시에서 감지되는 용선 및 슬래그의 무게에 의해 수처리 설비의 수비를 조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설비 내의 용선혼입 검지장치를 이용한 용선 폭발방지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용선혼입 검지장치의 상기 피엘시에 드라이 피트의 펌프 제어기를 연결하여, 상기 피엘시에서 측정된 용선 및 슬래그의 무게에 의해 드라이 피트의 스프레이펌프를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설비 내의 용선혼입 검지장치를 이용한 용선 폭발방지장치.
KR1020030045572A 2003-07-07 2003-07-07 용선혼입 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용선 폭발방지장치 KR20050005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572A KR20050005619A (ko) 2003-07-07 2003-07-07 용선혼입 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용선 폭발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572A KR20050005619A (ko) 2003-07-07 2003-07-07 용선혼입 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용선 폭발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619A true KR20050005619A (ko) 2005-01-14

Family

ID=3721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572A KR20050005619A (ko) 2003-07-07 2003-07-07 용선혼입 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용선 폭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56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5657A (zh) * 2019-04-03 2019-05-31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高炉熔渣出渣量在线检测装置及方法
CN111256444A (zh) * 2020-01-16 2020-06-09 郑州职业技术学院 一种plc控制的自动化干燥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5657A (zh) * 2019-04-03 2019-05-31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高炉熔渣出渣量在线检测装置及方法
CN111256444A (zh) * 2020-01-16 2020-06-09 郑州职业技术学院 一种plc控制的自动化干燥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8708B2 (en) Transferring molten metal from one structure to another
CA1212238A (en) Continuous steelmaking and casting
KR20050005619A (ko) 용선혼입 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용선 폭발방지장치
CN102899442A (zh) 转炉出钢过程检测与控制装置
US5020778A (en) Apparatus for stirring molten metal
CN106978198A (zh) 一种安全、快速更换干熄炉水封槽的辅助装置和方法
CN215668076U (zh) 一种用于欧冶炉铁口氧枪系统
CA2521705A1 (en) Direct smelting plant
KR100832425B1 (ko) 전기로 출강구 개공장치
KR100862037B1 (ko) 대탕도의 침식부위 검지 및 집중 냉각장치
JP4327124B2 (ja) 溶融メタル出湯時の安全対策システム
KR20020053508A (ko) 대탕도용 스키머제어장치
CN101713005A (zh) 一种炼钢高炉开炉操作方法
CN201686706U (zh) 高炉开口机雾化水装置
KR100825613B1 (ko) 에어모타를 이용한 고로 압력검출단 개공시스템
JP2011195781A5 (ko)
CN219934654U (zh) 一种电炉的出钢口自动填引流砂装置
CN219063848U (zh) 钢水测温枪水冷装置
RU2061199C1 (ru) Печь для плавки и обработки материалов в ванне расплава
CN203602641U (zh) 一种高炉开铁口机的雾化装置
KR20120057968A (ko) 래들의 칼슘 와이어 투사 가이드 장치
JPH06322420A (ja) 出銑口開孔機
JPH0826389B2 (ja) 炉体水冷装置
JP3263928B2 (ja) 連続的加熱溶解方法
KR200222954Y1 (ko) 회전식 연속 주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