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5409A -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용 자동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용 자동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409A
KR20050005409A KR10-2004-7012715A KR20047012715A KR20050005409A KR 20050005409 A KR20050005409 A KR 20050005409A KR 20047012715 A KR20047012715 A KR 20047012715A KR 20050005409 A KR20050005409 A KR 20050005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s
pinch grip
pinch
loading
individua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탠리 에프. 굴드슨
올라프 올크
제프리 알. 솔라넥
Original Assignee
스탠리 에프. 굴드슨
올라프 올크
제프리 알. 솔라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076,789 external-priority patent/US6711808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0/076,790 external-priority patent/US7121439B2/en
Application filed by 스탠리 에프. 굴드슨, 올라프 올크, 제프리 알. 솔라넥 filed Critical 스탠리 에프. 굴드슨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03/004563 external-priority patent/WO2003070421A1/en
Publication of KR20050005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4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407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47G25/14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identification means connected to the hook member
    • A47G25/1421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identification means connected to the hook member at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407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47G25/14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identification means connected to the hook member
    • A47G25/1435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identification means connected to the hook member at a web between the stem and hanger bod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442Handling hangers, e.g. stacking,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47G25/483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with pivoting clamps or clips having axis of rotation parallel with the hanger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47G25/483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with pivoting clamps or clips having axis of rotation parallel with the hanger arms
    • A47G25/485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with pivoting clamps or clips having axis of rotation parallel with the hanger arms with a plurality of clips integral with, or supported by, the trouser-supporting b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47G25/483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with pivoting clamps or clips having axis of rotation parallel with the hanger arms
    • A47G2025/484Hangers for trousers or skirts with clamps comprising protection means against inadvertent opening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치 그립 옷걸이의 중첩체(300, 400)로부터의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100, 200)에 의복을 적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동종의 옷걸이들의 집합체(stack)와 서로 연결되도록 동종의 옷걸이들의 집합체 내에 중첩되어 있는 상기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로 이루어진 상기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nest)들을 수용하기 위한 호퍼(406); 상기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로부터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를 개별화(singulation)하기 위한 개별화 기구(416a, 416b), 및 상기 개별화된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에 의복을 걸기 위한 적재 기구(4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용 자동 적재 장치{AUTOMATIC LOADING APPARATUS FOR NESTABLE PINCH-GRIP HANGERS}
소비자의 요망에 따라, 소비자의 기호 및 취향에 적합한 의류들이 대량 생산되어 왔으며, 그러한 의류들은 미국 전역에 보급, 판매되어 왔다. 미국의 대형 의류 소매업자들은 주로 복수의 의류 제조업자들과 규격화되고 표준화된 의류를 생산하는 계약을 맺어, 비록 각기 다른 회사에서 제조되더라도 그 의류들은 배치간에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이들 제조업자는 자체 공장에서 의류를 생산하거나, 또는 많은 경우에 예를 들어 홍콩, 대만, 싱가폴 및 한국과 같은 극동 지역의 의류 제조업자에게 의복 제조 하청을 주기도 한다.
의류 소매업계에서는 대체로 구입 시점에 의류들이 옷걸이에 걸려 있다. 이러한 종류의 옷걸이는 흔히 염가의 선적용(ship-on) 형태이며, 옷걸이에 의류를 적재(garment-on-hanger)하는 일반적인 생산 공정에 따라, 의류는 옷걸이에 걸린 채로 제조업자로부터 소매업자에게 출하된다. 종래의 바지 및 치마용 옷걸이에 있어서는, 바지 또는 치마를 옷걸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 위치에 수동으로 밀어 넣는 스프링 클립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옷걸이에 있어서는, 의복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패각(clamshell)형 의류 그립에 철제 고정 클립이 수동으로 죄어졌다. 이러한 장치에서 옷걸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패각형 그립 상에 철제 클립을 슬라이딩시켜 의복 위에 고정 클립을 죄기 위한 수작업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핀치 그립 옷걸이는 보편화되지 못하였는데, 그 이유는, 두꺼운 웨이스트 밴드 상에 옷걸이를 채우는 데 필요한 물리적인 힘으로 인하여 옷걸이를 선적하기 위한 시간과 인건비의 상승을 초래하였으며, 작업 중에 손톱이 부러지는 등에 대한 불만이 종종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최근 핀치 그립 옷걸이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핀치 그립 옷걸이는 일반적으로 클립 옷걸이보다 두께가 크고, 이로 인하여 선적시에 로드(rod)당 또는 루프(loop)당 걸 수 있는 의류 수가 적으며, 통상의 경우보다 많은 의류들을 선적하여야 할 경우에는 서로 인접한 의류들이 서로 부딪혀 하나 이상의 핀치 그립이 개방되므로, 의복이 우발적으로 떨어지게 되는 경향이 있다.
종래 기술의 핀치 그립 옷걸이는 일반적으로 옷걸이에 걸린 의복의 구입 후에 재활용된다. 옷걸이는 일반적으로 수송 컨테이너에 대량으로 선적된다. 옷걸이를 선적하기 위한 비용은 컨테이너의 중량 및 크기(용적)에 의하여 결정된다. 종래의 핀치 그립 옷걸이는 그 크기 및 형상으로 인하여, 옷걸이들을 수용하는 컨테이너의 용적이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하여 수송 비용의 증가가 초래된다.
관심이 가는 의복을 더 잘 보기 위하여 고객이 의복을 한쪽으로 밀 경우에, 핀치 그립이 부득이하게 개방되는 일이 소매점 환경에서 일어날 수도 있다. 핀치 그립이 부주의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여러 가지 방지책들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러한 방지책들은 제품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종래 기술의 핀치 그립 옷걸이는 수동으로 선적되는데, 핀치 그립은 대개 스프링에 의하여 닫힌 위치로 유지되도록 가압되고, 그립 내에 옷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핀치 그립이 개방되어야 한다. 이로 인하여, 현재로서는 작업자가 4개의 단계를 실시하여야 한다. 작업자는 한쪽 손을 사용하여 제1 핀치 그립을 열고, 다른 손을 사용하여 의류를 걸고, 의류의 한편을 그립 내에 배치한다. 다른 핀치 그립에 대해서도 이러한 과정을 반복한다. 작업자는 제2 핀치 그립을 사용하면서 그와 동시에 클립들 사이의 의류에 장력을 가하여야 하는데, 이미 양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장력을 가하는 단계는 추가적인 수작업 동작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적재되는 각각의 의복에는 최소한 4단계의 수작업 단계 또는 동작이 필요하고, 결과적으로 의복을 적재하는 데에 비교적 높은 인건비가 들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옷걸이는 저장소에 제품을 겹쳐 넣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자동화하기가 곤란하고, 종종 한 쌍의 돌출 정점들을 가지고 있어, 이로 인하여 저장소에 옷걸이가 균일하게 적재되지 못한다. 또한, 정점들로 인하여, 자동 이송 기구에서 다음에 공급되는 옷걸이에 걸리게 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옷걸이에 의복을 적재하기 위한 자동화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중첩 가능한(nestable) 핀치 그립 옷걸이에 의복을 적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핀치 그립 옷걸이는, 바지 및 치마 등을 걸어서 소매업자들에게 출하하고 소매점에서 이들 옷을 전시하는 데 사용된다. 개량형 핀치 그립 옷걸이는 집합체(stack)의 형태로 중첩 가능하며, 옷을 걸거나 걸지 않았거나 여부에 상관없이 출하 비용이 감소하고, 옷을 걸기 위한 자동 생산 기기에 더욱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본 출원은 2002년 2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10/076,789호, 2002년 2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10/076,790호 및 2002년 11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0/292,128호의 부분 계속 출원이며, 상기 출원 발명의 내용이 참조되어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출원은 동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10, , 호(문서 정리번호 14785YZ)와 관련이 있으며, 상기 출원의 내용 전체가 참조되어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
도 1a는 일체로 성형된 갈고리(hook) 부재를 가지는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의 정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a는 옷걸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금속 와이어 갈고리 부재를 구비한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의 평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a의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4-4를 따라 절단한 도 3의 핀치 그립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의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집합체의 정면도이다.
도 5b는 도 2a에 도시한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집합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a의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집합체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도 5a의 선7a-7a를 따라 절단한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집합체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5a의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집합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a의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복수 개의 집합체를 구비하는 수송 컨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집합체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도를 포함하는 도 8의 수송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1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옷걸이의 제1 웹에 계합되는 본 발명의 치수 표시부(indicator)의 제1 실시 형태의 제1 단면(端面)도이다.
도 10b는 도 10a 및 도 10c의 치수 표시부의 평면도이다.
도 10c는 도 1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옷걸이의 제1 웹에 계합되는 본 발명의 치수 표시부의 제1 실시 형태의 제2 단면(端面)도이다.
도 11a는 도 1a의 제1 웹의 확대도이다.
도 11b는 치수 표시부가 고정된 도 11a의 웹의 확대도이다.
도 12a는 도 11a의 웹의 선12a-12a를 따라 절단되어 있고 웹 상에 제2 치수 표시부가 고정되어 있는 도 11a의 웹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b는 선회 걸쇠가 선회되어 치수 표시부가 선회 걸쇠로부터 분리되는 도 12a의 제1 웹 및 치수 표시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핀치 그립 옷걸이에 의복을 적재하기 위한 자동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14는 보다 명확한 도시를 위하여 브라켓과 공압 실린더를 생략한 도 13의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생산 기기의 저장소 내에 수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집합체 내에 포개어 적재할 수 있는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자동 생산 기기는 핀치 그립 옷걸이들을 상기 집합체로부터 추가 처리를 위한 생산 기기로 이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nest)로부터의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에 의복을 적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들을 수용하기 위한 호퍼로서, 상기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는, 본체, 의복을 유지하기 위해 본체 상에 배치된 2개의 핀치 그립, 및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가 동종의 옷걸이들의 집합체(stack)와 서로 연결되도록 동종의 옷걸이들의 집합체 내에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를 중첩시키기 위한 중첩 수단을포함하는 호퍼, 상기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로부터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를 개별화(singulation)하기 위한 개별화 수단, 및 상기 개별화된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 상에 의복을 걸기 위한 적재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로부터의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에 옷을 적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면, 상기 방법은, (a) 본체, 의복을 유지하기 위해 본체 상에 배치된 2개의 핀치 그립, 및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가 동종의 옷걸이들의 집합체와 서로 연결되도록 동종의 옷걸이들의 집합체 내에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를 중첩시키기 위한 중첩 수단을 구비하는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로 이루어진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를 적재하는 단계, (b) 상기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로부터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를 개별화하는 단계, 및 (c) 상기 개별화된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에 의복을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개별화 단계는, 옷걸이들의 중첩체로부터 제1 옷걸이를 분리하면서 옷걸이들의 중첩체에 남아있는 개개의 옷걸이들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된 제1 핀치 그립 옷걸이는 개별화된 개개의 옷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개별화된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에 의복을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화된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에 의복을 적재하기 위하여 상기 개별화된 개개의 옷걸이를 적재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은, 상기 의복 적재 방법은, 핀치 옷걸이들의 중첩체 내의 잔존하는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에 대하여 상기 (b)의 단계와 (c)의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핀치 그립 옷걸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 1a 내지도 1c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이 도면부호 100과 도면부호 200으로 표시되어 있다. 개량형 핀치 그립 옷걸이(100, 200)는 플라스틱으로 주형 성형되고, 걸어서 진열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102, 202)을 구비한다. 옷걸이는 지지 수단(102, 202)에 의해 지지되는 본체(104, 204)를 또한 구비한다. 본체(104, 204) 상에는 의복을 고정하기 위한 2개의 핀치 그립(106, 206)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옷걸이(100, 200)는 동종의 옷걸이들의 집합체 내에서 옷걸이를 중첩시키기 위한 중첩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옷걸이는 동종의 옷걸이들의 집합체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호 연결(interlock)"이라는 용어는, 집합체 내의 옷걸이들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이 어느 정도 제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한의 정도에 따라 옷걸이들을 서로 분리하기 위하여 힘을 가할 필요가 있기는 하나, 그와 같은 힘을 반드시 가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집합체 내의 중첩 가능한 옷걸이들은 서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나, 각 옷걸이는 집합체 내의 적어도 다른 옷걸이와 "끼워맞춤(fit)"되거나 중첩되도록 형상화되고, 그리고/또는 구성되는데, 이는 야외용 레진 의자의 중첩 방식과 유사하다. 또한, 중첩 가능한 옷걸이는, 동종 옷걸이들의 집합체의 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에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종 옷걸이들의 집합체의 면과 동일한 면에 중첩된다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동종 옷걸이들의 집합체의 면과 동일한 면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에 옷걸이를 중첩시키는 것을 수직 중첩이라고 칭하기로 하고, 동종 옷걸이들의 집합체의 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동일한 면에 중첩시키는 것을 수평면중첩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수평면 중첩 배열의 중첩 가능한 옷걸이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주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내지 도 1c의 옷걸이에 있어서, 지지 수단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본체(104)와 일체형으로 주형 성형된 상향 연장 갈고리 부재(108)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또 다른 옷걸이(200)가 예시되어 있으며,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방식으로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금속 와이어 갈고리(208)가 옷걸이에 부착되어 있다. 갈고리 부재(108)는, 미국 특허 제5,604,97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갈고리 부재(108)에 영구적으로 부착된 치수 표시부 또는 미국 특허 제5,794,97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갈고리 부재(108)에 탈착식으로 고정된 치수 표시부와 같은 옷걸이에 걸려 있는 의복의 특징을 표시하는 치수 표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직립 플랜지 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특허들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게 양도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들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들은 본 명세서에 인용되어 포함되어 있다.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출원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6,260,745호에 개시되어 있는 사항인 측부 치수 표시부를 수용하는 선회형 플랜지가 본 발명에 또한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들도 본 명세서에 인용되어 포함되어 있다. 그와 같은 측부 치수 표시부는 옷걸이(100)의 갈고리 부재(108)와 본체(104) 사이의 천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핀치 그립 옷걸이의 본체(104, 204)는 수평으로 뻗은 지지 바(bar)(110, 210)이다. 지지 바(110, 210)는 양 단부(110a, 110b, 210a, 210b)에 위치하는 핀치 그립(106)들을 포함한다. 단면적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중앙 지지 바(110, 210)는 옷걸이의 수직 축을 따라 상당한 강도를 제공하는 각진 M형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치 그립(106, 206)들 각각은 제1 및 제2 핀치 그립 조(jaw)(106a, 106b, 206a, 206b)를 포함하고, 제1 조 부재(106a, 206a)는 지지 바(104, 204)와 함께 일체형으로 주형 성형된다. 제2 조 부재(106b, 206b)는, 선회 장착부(112, 212)에서 스프링 부재(114, 214)에 의하여 제1 조 부재(106a, 206a)에 선회 가능하도록 고정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핀치 그립 조(106a, 106b, 206a, 206b)들 각각에는 의복 계합 영역(116, 216)이 구획되어 있다. 가동성(可動性) 제1 및 제2 조 부재(106a, 106b, 206a, 206b)들 각각은, 핀치 그립(106, 206)을 개방하는 데 사용되는 작동 단부(118a, 118b, 218a, 218b) 및 핀치 단부(119a, 119b, 219a, 219b)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조 부재(106a, 106b, 206a, 206b)들 각각은 치형부(120, 220)와 함께 일체형으로 주형 성형되며, 치형부(120, 220)들은 서로 직접 대면하지 않도록 교차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인 방법으로서, 제1 및 제2 조 부재(106a, 106b, 206a, 206b)들에 주형 성형된 미끄럼 방지 패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핀치 단부(119a, 119b, 219a, 219b)들은 스프링 부재(114, 214)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가압되고, 작동 단부(118a, 118b, 218b, 218b)에 가해진 작동력에 의하여 서로 이격된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옷걸이(100, 200)들의 집합체가 각각 도면부호 300과 도면부호 400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옷걸이(100, 200)들이 수평면 또는 수직 중첩 배열로 중첩될 수 있으나, 수평면 배열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옷걸이(100, 200)의 중첩체(300, 400)가 중첩체(300, 400) 내의 3개의 개개의 옷걸이(100, 200)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주를 일탈하지 않더라도, 2개보다 많은 수의 개개의 옷걸이(100, 200)들이 중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6과 도 7a에는 옷걸이(100, 200)들의 중첩 상태가 옷걸이(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에, 옷걸이(200)들의 중첩 상태는 옷걸이(100)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한 중첩 상태와 유사하게 배열된다.
도 6과 도 7a를 참조하면, 중첩 수단은, 핀치 단부(199a, 119b, 219a, 219b)의 크기와 형태보다 큰 크기와 형태를 갖는 포켓(124)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 단부(118a, 118b, 218a, 218b)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핀치 단부(119a, 119b, 219a, 219b)는 옷걸이들의 집합체(300, 400) 내의 개개의 옷걸이(100, 200)의 대응 포켓(124) 내에 수용된다. 포켓(124)은 중첩 옷걸이들의 일단(300, 400)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핀치 단부(119, 119b, 219a, 219b)의 충분한 부분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당해 분야의 당업자라면, 핀치 단부(119a, 119b, 219a, 219b)가 가압 끼워맞춤 또는 포켓(124)의 돌출부와의 간섭 등에 의해 포켓 내에 확고히 고정될 필요는 없으며, 핀치 단부(119a, 119b, 129a, 129b)가 포켓(124) 내에 느슨하게 고정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b와 도 2b를 참조하면, 중첩 수단은, 단독으로 또는 전술한 구성 요소 이외에, 제1 방향(화살표 A로 표시)으로 갈고리(108, 208)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고 본체(104, 204)의 양단에 위치하고, 또한 각각의 동종 옷걸이들의 집합체(300, 400) 내에서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화살표 B로 표시)으로 대응 갈고리 부재(104, 204)의 적어도 일부의 두께와 같은 거리만큼 편위되어 있는 핀치 그립(106, 206)을 포함할 수 있다. 화살표 B 방향으로의 편위량은 대응 갈고리 부재(104, 204)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편위에 의하여 수평면 중첩 배열 내의 옷걸이(100, 200)들의 중첩이 용이해진다.
지지 수단이 일체형 갈고리 부재(108)를 포함하는 도 1c, 도 5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중첩 수단은, 단독으로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 요소와의 함께, 동종 옷걸이들의 집합체(300, 400) 상의 갈고리 부재(104)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절제부(122)를 구비하는 본체(104)를 또한 포함하며, 옷걸이들이 집합체 내에 서로 중첩될 때에 동종 옷걸이들의 집합체(300, 400) 내에서 갈고리 부재(104)가 절제부 내에 수용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옷걸이(100, 200)는, 의복이 핀치 단부(119a, 119b, 129a, 129b)들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에, 핀치 단부(119a, 119b, 129a, 129b)의 우발적인 작동을 방지하는 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핀치 단부(119a, 119b,129a, 129b)의 우발적인 작동을 방지하는 수단은, 제1 조(106a, 206a)의 작동 단부(118a, 118b, 128a, 128b)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재(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재(124)는 제1 조(106a, 206)로부터 외측으로 제2 조(106b, 206b)의 작동 단부(118b, 218b)를 향해 돌출함으로써, 제2 조(106b, 206b)의 작동 단부(118b, 218b)에 우발적인 힘 F가 작용하는 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지한다. 핀치 단부(119a, 119b, 129a, 129b)의 우발적 작동을 방지하는 수단은, 단독으로 또는 전술한 구성요소와 함께, 회전축 R에 수직인 방향으로 핀치 그립(106, 206)의 최대폭 부위 W가 회전축 R의 하방에 위치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조(106a, 206a, 106b, 206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핀치 그립(106, 206)의 최대폭 부위 W가 볼록한 만곡부(126)에 의해 제2 조(106b, 206b)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2 조(106b, 206b)에 대하여 가압되는 어떠한 물체라도 볼록한 만곡부(126)와 접촉하게 될 것이며, 제1 및 제2 조(106a, 206a, 106b, 206b)들은 계합 상태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어 조들이 개방되지 않을 것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옷걸이들의 컨테이너가 도시되어 있고, 컨테이너는 그 전체가 도면부호 500으로 표시되어 있다. 컨테이너 내에는 옷걸이(100)들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해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 또는 사상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더라도, 옷걸이(200)들도 컨테이너 내에 배치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500)는 선적 컨테이너이고, 내부(504)를 구획하는 벽(502)(바닥을 포함)을 구비한다. 컨테이너는 상부(506)를 구비하거나 상방이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500)는 선적 컨테이너의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재료, 예를 들면 판지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수의 옷걸이들의 집합체(300)들이 내부(504)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옷걸이들 집합체(300)들 각각은 전술한 다수의 중첩 가능한 옷걸이(100)들을 포함한다. 옷걸이들의 집합체(300)는 각각의 옷걸이(100)를 수평면 중첩 배열로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당해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 또는 사상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더라고, 하나보다 많은 수의 개개의 옷걸이들을 수평면 또는 수직 중첩 배열로 배치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100) 내에는 수 개의 옷걸이들의 집합체(300)들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 또는 사상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더라도, 하나보다 많은 수의 옷걸이들의 집합체(300)들을 컨테이너(500) 내에 배치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라면, 새로운 중첩형 옷걸이(100, 200) 및 중첩형 옷걸이들의 집합체(300, 400)에 의하여, 컨테이너 내에 느슨하게 충진된 종래 기술에 따른 핀치 그립 옷걸이에 비하여 적재 밀도가 증가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라면, 특히 전술한 편위 및 절제부에 의한 중첩 수단에 의하여, 의복이 옷걸이에 배치되고 옷걸이가 진열대에 걸려 있을 때에, 진열 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우발적 작동을 방지하는 수단은, 의복이 핀치 그립(106, 206)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옷걸이(100, 200)가 진열대에 걸려 있는 경우 및 의복이 핀치 그립에 고정된 상태로 운반되는 도중에, 핀치 그립(106, 206)의 우발적 작동을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옷걸이(100)는 고정 걸쇠(140)와 선회 걸쇠(142)를 구비하는 웹(128)을 구비한다. 선회 걸쇠(142)는 웹(128)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고정 걸쇠(140)는 선회 걸쇠(142)의 적어도 일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걸쇠(140)는, 도 1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회 걸쇠(142)의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접촉부(abutment)(140a, 140b)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a와 도 1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회 걸쇠(142)는 웹(128)의 제1 측부(144)로부터 돌출하고, 고정 걸쇠(140)는 웹(128)의 반대쪽 측부(146)로부터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a을 다시 참조하면, 선회 걸쇠(142)는 웹(128)을 통해 절개된 슬롯(148)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롯은 적어도 2개의 측부(148a, 148b)들에 의해 한정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회 걸쇠(142)는, 슬롯(148)의 형상을 폐곡화하는 점선(130)으로 나타낸 작동 힌지에 의해 또한 한정된다. 도 1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롯(148)은 실질적으로 2개의 측부(148a, 148b)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작동 힌지(130)가 슬롯(148)의 형상을 폐곡화함으로써 3각형 선회 걸쇠(142)를 형성한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a를 함께 참조하면, 선회 걸쇠(142)는 도 11b에 도시되어 있는 화살표 A를 중심으로 선회 걸쇠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계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합 수단은, 분리력(FR)이 가해졌을 때에 치수 표시부와의 계합 상태로부터의 선회 걸쇠(142)의 이동을 위한 기계적 장점을 제공하는 선회 걸쇠(142)의 외팔보 단부(1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선회 걸쇠(142)의 반대측은 치수 표시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더 이상 고정 걸쇠(140)와 계합되지 않는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a를 함께 참조하면, 치수 표시부의 2가지 형태가 도면부호 150과 도면부호 150a로 도시되어 있고, 치수 표시부(150)는 일반적으로 면(160)과 2개의 측부(162, 164)들을 구비하고 그에 따라 일반적으로 C형 채널(166)을 형성한다. 측부(162, 164)들 각각은 최원단 가장자리(131, 132)에서 종결된다. 최원단 가장자리(162, 164)는, 치수 표시부(150)가 웹(128)에 고정되었을 때에 선회 걸쇠(142)의 외팔보 단부(168)가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수 표시부(150)는, 치수 표시부가 통상의 사용 중에 웹 상에 고정되도록, 고정 걸쇠(140)와 선회 걸쇠(142)를 각각 계합시키기 위한 핑거 수단(134)을 포함하여, 그러나, 치수 표시부는 웹(128) 상에 탈착식으로 고정됨으로써, 분리력(FR)이 작용하여 선회 걸쇠(142)가 치수 표시부의 핑거 수단(134)과의 계합 상태로부터 선회되었을 때에 치수 표시부가 웹(128)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핑거 수단(134)은, 최원단 가장자리(131, 132)들 각각에 배치되고 치수 표시부(150)의 채널(166)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한 내향 융기부(134a, 134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인 형태로서, 제1 실시예의 제2 치수 표시부(150a)가 도 10c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c에서 동일 도면부호는 유사한 특징부를 나타내고 제2 치수 표시부는 그 전체가 도면부호 150a로 표시되어 있다. 제2 치수 표시부(150a)는 측부(162, 164)의 내측으로부터 돌출한 계합 접촉부(162a, 164a)를 구비하여, 웹(128)에 고정되었을 때에 고정 걸쇠(140) 및 선회 걸쇠(142)의 측벽과 접촉하게 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치수 표시부(150a)는 면(16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한 한 쌍의 이격된 돌출부(160a, 160b)들을 또한 구비한다.
도 11a와 조합된 도 11a를 참조하면, 웹(128)은 치수 표시부(150a) 하방에 웹(128)을 가로질러 연장된 보호부(136)를 또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부(136)는 외팔보 단부(168)의 윤곽을 따르는 하향 전환부(138)를 구비하여 치수 표시부의 가장자리로의 접근이 가능해지고, 계합 수단은 선회 걸쇠(142)의 우발적 작동을 방지한다. 외팔보 단부(168)와 계합 수단은, 분리력(FR)을 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미도시)와 계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합 수단은 외팔보 단부(168)의 측부에 형성된 오목부(141)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구는 오목부(141)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적합한 선단을 구비하고, 보호부(136)에 의하여 오목부(141)와의 계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폭을 갖는다.
웹은, 소정 단면의 최외측부(128e)를 갖는 최외측 가장자리(128d)를 또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수 표시부의 제1 형태(150)는, 치수 표시부(150)가 웹(128)에 고정되었을 때에 E-E 방향(도 12a)을 따른 치수 표시부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외측부(128e)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정합 단면을 갖는 홈부(170c)(도 10a)를 구비한다. 최외측부(128e)와 홈부(170) 모두의 소정 단면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치수 표시부의 제2 형태(150a)는, 면(16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돌출부(160a, 160b)들을 각각 구비한다. 제1 및 제2 돌출부(160a, 160b)들은, 치수 표시부(150a)가 웹(128) 상에 고정되었을 때에 최외측부(128e)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있으며, E-E 방향(도 12a에 도시)을 따른 치수 표시부(150a)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계합 접촉부(162a, 164b)들은 홈부(170) 또는 제1 및 제2 이격 돌출부(106a, 160b)들과 협동 작용을 하여, 웹상에서의 치수 표시부의 측부-대-측부 이동을 방지하고, 치수 표시부가 옷걸이에 안정적으로 확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기여한다.
도 11b를 참조하면, 웹(128)은, 치수 표시부(150a, 150a)를 웹(128)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시키기 위한 위치 설정 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위치 설정 수단은 제1 및 제2 안내부(146a, 146b)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및 제2 안내부들은 치수 표시부(150, 150a)의 각 측부 가장자리(148a, 148b)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웹 상에 치수 표시부 배치 중에 치수 표시부를 사이에 정렬시키면서 중심 정렬시키도록 이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안내부(146a, 146b)는 치수 표시부의 측부 가장자리(148a, 148b)의 전체 길이까지 연장되지 않지만, 치수 표시부의 측부 가장자리(148a, 148b)를 노출시키는 긴 개구부(150a, 150b)를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a와 도 12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복 옷걸이(100)의 작용을 치수 표시부(150a)와 관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치수 표시부(150a)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웹(128) 상에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웹(128) 상에 장착된다. 화살표 C 방향으로 장착 시에, 핑거 수단(134)의 내향 융기부(134a, 134b)들이 고정 및 선회 융기부(140, 142)들을 지날 때까지, 선회 걸쇠(142)는 화살표 G 방향으로 선회한다. 그 후, 내향 핑거(134a, 134b)들은 안내부(136)와 고정 및 선회 융기부(140, 142)들의 저부 가장자리에 의해 한정된 영역 내의 위치에 스냅식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치수 표시부(150a)는 웹(128) 상에 탈착식으로 고정된다.
치수 표시부(150, 150a)를 웹(128)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오목부(141)를 분리 도구(미도시)에 계합시킴으로써, 분리력(FR)을 선회 걸쇠(142)의 외팔보 단부(168)에 가한다. 분리력(FR)에 의하여, 선회 걸쇠(142)가 작동 힌지(130)를 중심으로 화살표 G 방향으로 선회한다. 도 12a와 도 12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회 걸쇠(142)의 평면 측벽은 치수 표시부(150, 150a)의 핑거 수단(134)의 내측 융기부(134a)를 고정 걸쇠(140)의 가장 먼 연장부를 지나 연장시킨다. 이 시점에서, 치수 표시부(150, 150a)는 웹(128)으로부터 수동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핀치 그립 옷걸이(100)에 의복을 적재(삽입이라고 표현하기도 함)하기 위한 자동 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장치는 그 전체가 도면부호 400으로 표시되어 있다. 옷걸이(100)가 장치(400) 내에 적재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 또는 사상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더라고, 옷걸이(200)도 사용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장치(400)가 옷걸이들의 수평면 중첩체(300)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수직 중첩체를 수용하고 공급하도록 변형된 장치에 수직 중첩체가 사용될 수도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장치(400)는 플랫폼(404)을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402)를 구비한다. 플랫폼(404)은, 플랫폼(404)으로부터 위로 향한 가동성 조 부재(106b)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옷걸이들의 중첩체(300)를 수용하기 위한 사각형 트레이(tray)부(406)를 구비한다. 트레이부(406)는, 트레이부(406) 내로 중첩체(300)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는 페이퍼가 형성된 도입부(408)를 구비할 수도 있다. 플랫폼(404)은, 핀치 그립(106)의 제1 및 제2 조 부재(106a, 106b)들 사이에서 의복이 중첩체(300) 내의 개개의 옷걸이(100)에 적재되는 적재부(410)를 또한 구비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다리부(402)에는 장치(400)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버팀대가 제공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부(406)는 옷걸이들의 중첩체(300)가 놓이는 하면(412)을 구비하고, 하면(412)은 옷걸이가 트레이부(406)로부터 적재부(410)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의 의해 이송되도록 경사져 있다. 트레이부(406)와 적재부(410) 사이의 하면(412)의 천이부(412a)는 만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와 같은 만곡부는 매우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것, 즉 반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폼은 하면(412)에 2개의 채널(414)들을 구비함으로써, 가압 및 위치 설정 핀들(이에 대해서는 후술)이 저면(412)의 하방으로부터 옷걸이(100)와 통할 수 있다.
옷걸이들의 중첩체(300) 내의 개개의 옷걸이(100)는 중첩체(300)로부터 개별화되어 적재부(410)에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옷걸이들의 중첩체(300)는 전방 및 후방의 쌍을 이룬 위치 설정 핀(416a, 416b)들에 의하여 트레이부(406)에 수용된다. 각각의 위치 설정 핀(416a, 416b)은 제1 및 제2 쌍의 공압 실린더(420a, 420b)들의 샤프트(418)에 각각 연결되거나 일체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각 쌍의 위치 설정 핀들 모두는 하나의 공압 실린더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쌍의 공압 실린더(420a, 420b)는, 핀(416a, 416b)들이 채널(414)과 통하도록, 플랫폼(404)의 저면(412)의 아래의 소정 위치에 브라켓(422)에 의하여 유지된다. 제1 및 제2 공압 실린더(420a, 420b)는, 핀(416a, 416b)들을 저면(412) 아래로 수축시키거나 저면(412) 위로 신장시켜 옷걸이(100)와 계합시키도록, 각각 수축 및 신장 위치들 사이에서 작동한다.
제1 위치 설정 핀(416a)들 각각은 중첩체 내의 제1 옷걸이(100)의 지지 바(110)의 하부 가장자리(110c)와 계합되고, 제2 위치 설정 핀(416b)들 각각은 중첩체(300) 내의 제2 옷걸이(100)의 지지 바(110)의 하부 가장자리(110c)와 계합된다. 한 쌍의 제1 위치 설정 핀(416a)은 수축되어 트레이부(406)의 경사면으로부터의 중력의 영향에 의해 중첩체(300)로부터 중첩체 내의 옷걸이(100)를 자유롭게 하고, 한 쌍의 제2 위치 설정 핀(416b)은 신장되어 중첩체(300) 내의 제2 옷걸이와 남은 옷걸이(100)의 이동을 제한한다. 중첩체(300) 내의 제1 옷걸이(100)가 중첩체(300)로부터 자유롭게 된 후에, 한 쌍의 제1 위치 설정 핀(416a)들은 다시 신장되고, 한 쌍의 제2 위치 설정 핀(416b)들은 수축되어 중첩체 내의 남은 옷걸이(100)가 중력의 영향에 의해 한 쌍의 제1 위치 설정 핀(416a)과 계합된다. 필요한 것은 아니나, 제1 쌍의 위치 설정 핀(416a)이 신장되기 전에 중첩체(300) 내의 제1 옷걸이(100)가 중첩체로부터 개별화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하여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중첩체(300)로부터의 제1 옷걸이의 개별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센서와 함께 또는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면(412)을 진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저면(412)과 계합되어 작동되는 편심 모터와 같은 그러한 수단은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중첩체(300) 내의 제1 옷걸이가 중첩체로부터 개별화되면, 한 쌍의 가압 핀(424)이 채널(414)을 통해 이동하여 개별화된 옷걸이(110)를 만곡 천이부(412a)를 통해 적재부(410)로 가압한다. 개별화된 옷걸이(100)는, 고정 조 부재(106)의 전방 가장자리 각각에 대응하는 한 쌍의 높이가 작은 정지부(426)들에 대하여 개별화된 옷걸이(100)를 가압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적재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시점에서 가압 핀(424)은 이동을 멈추게 되는데, 가압 모터(이하에서 설명) 내의 소정의 토크 초과 또는 정지부(426)나 적재부(410) 근방의 플랫폼(404)의 저면(412) 상의 적절한 위치에 센서 배치에 의하여 그 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
가압 핀(424)을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수단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수단은,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채널(414) 근방의 저면(412) 아래에 지지된 가압 모터(428a)와 주(主) 활차(428b)를 포함한다. 가압 모터(428a)와 주 활차(428b)는 벨트(43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가압 핀(424)은 벨트(430)에 지지되어 있고, 채널(412)과 같은 종방향으로 이동한다. 벨트의 형상을 그에 대응하는 플랫폼(404)의 저면(312)의 형상에 따르도록 하기 위하여 유동(遊動) 활차(432)가 필요할 수도 있다. 개별화된 옷걸이(100)가 중첩체로부터 자유롭게 되면, 가압 모터(428a)가 활성화되어 벨트(4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후방의 가압 핀(424a)이 저면(412)으로부터 돌출하여 개별화된 옷걸이(100)와 계합된다. 후방 가압 핀(424a)이 적재부(410)를 향해 이동을 계속하여, 개별화된 옷걸이(1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재부(410)에서 적절히 위치할 때까지 개별화된 옷걸이를 적재부(410)에 대하여 가압한다. 후방 가압 핀(424a)이 개별화된 옷걸이(100)를 적재부(410)를 향해 가압하는 동안, 전방 가압 핀(424b)은 전방 위치를 향하여 자유로이 이동한다(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전의 개별화된 옷걸이에 의복이 걸린 후에 옷걸이가 제거되었고, 그에 따라 전방 가압 핀(424b)의 연속적인 이동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가압 핀(424)은 선형 모터, 볼 나사 등에 의하여 선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장치(400)는 제1 및 제2 핀치 그립 작동기(434)(도 14에 파선(破線)으로 도시)를 또한 구비한다. 제1 및 제2 핀치 그립 작동기(434)는 공압 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고, 개별화된 옷걸이(100)의 핀치 그립(106)들 각각의 가동성 조 부재(106)의 작동 단부(118b)에 대응하는 작동 로드(436)를 구비한다. 작동 로드(436)가 가동성 조 부재(106b)의 작동 단부(118b)에 연결되도록 개별화된 옷걸이(100)가 적재부(410)에 배치되면,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동 로드(436)가 연장되어 고정 조 부재(106a)에 대하여 가동성 조 부재(106b)를 개방시킨다. 작동 로드(436)가 이동하는 동안에 가동성 조 부재(106b)가 회전하므로, 작동 로드 단부에 롤러(438)가 제공되어 작동 로드(436)의 단부와 가동성 조 부재(106b)의 작동 단부(118b) 사이의 상대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핀치 그립(106)이 일단 개방되면, 작업자는 수작업으로 의복을 개방 핀치 그립(106) 내에 화살표 A 방향으로 삽입한다. 의복 삽입시에, 의복은 레버 센서(440)와 계합되고, 레버 센서는 작동기 로드(436)를 수축시켜 의복 상에 핀치 그립(106)이 닫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옷걸이(100) 상에 의복이 고정된다. 그 후 작업자는 수작업으로 의복을 잡아당김으로써 의복이 걸린 옷걸이(100)를 적재부로부터 빼내고, 그에 따라 의복과 레버 센서(440)의 계합이 해제된다. 의복과 레버 센서(440)의 계합의 해제 시에, 제1 쌍의 위치 설정 핀(416a)들은 옷걸이 중첩체(300) 내의 다음 옷걸이(100)를 개별화시키기 위하여 수축된다. 전술한 절차가 중첩체(300) 내의 모든 옷걸이들에 대하여 반복된다. 이전의 중첩체로부터의 모든 옷걸이(100)가 처리되기 전에 트레이부(406)에 별도의 중첩체(300)가 적재될 수 있는데, 이는 새로운 중첩체(300)가 이전 중첩체(300)의 잔존 옷걸이(100)와 중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옷걸이(100)를 적재하기 위하여 의복 적재 공정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수 개의 옷걸이 중첩체(300)들이 트레이부 상에서 서로 쌓일 수 있고, 이전 중첩체가 처리된 후에 중첩체 또는 트레이 자체가 도 13에 도시된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장치(400)의 구성요소의 동력 및 절차가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처리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중앙 처리 장치(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트레이부(406) 내에 옷걸이 중첩체(300)를 적재하는 경우, 핀치 그립(106)의 개방 조 부재(106a, 106b) 사이에 의복을 삽입하는 경우, 및 의복 상에 조 부재(106a, 106b)를 닫은 후에 플랫폼으로부터 의복이 걸린 옷걸이를 제거하는 경우에만 수동 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 고려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수정예와 형태 또는 세부적인 사항에 대한 변경예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하여 예시한 형태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예를 포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Claims (20)

  1.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nest)로부터의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에 의복을 적재하는 장치로서,
    상기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는, 본체, 의복을 유지하기 위해 본체 상에 배치된 2개의 핀치 그립, 및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가 동종의 옷걸이들의 집합체(stack)와 서로 연결되도록 동종의 옷걸이들의 집합체 내에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를 중첩시키기 위한 중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의복 적재 장치는,
    상기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nest)들을 수용하기 위한 호퍼,
    상기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로부터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를 개별화(singulation)하기 위한 개별화 수단, 및
    상기 개별화된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에 의복을 걸기 위한 적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기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를 저면에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부를 구비하는 플랫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를 트레이부 내에 용이하게 싣기 위한 테이퍼가 형성된 도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개별화된 핀치 그립 옷걸이에 상기 의복이 적재되는 적재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트레이부와 상기 적재부 사이에 천이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은 적재부를 향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화 수단은,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 내에 잔존 옷걸이들을 유지시키면서, 개별화될 제1 핀치 그립 옷걸이를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신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제1 및 제2 쌍의 위치 설정 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쌍의 위치 설정 핀은, 수축 위치에 있을 때에,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 내의 개별화될 제1 핀치 그립 옷걸이와 계합되고,
    상기 제2 쌍의 위치 설정 핀은, 잔존 핀치 그립 옷걸이들을 유지시키기 위한 신장 위치에 있을 때에,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 내의 잔존 핀치 그립 옷걸이들과 계합되는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수단은, 개별화된 핀치 그립 옷걸이를 트레이부로부터 천이부를 통해 적재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적재 장치는, 개별화된 핀치 그립 옷걸이를 상기 적재부에서의 소정의 적재 위치에 배치시키기 위한 위치 설정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장치는 상기 개별화된 옷걸이의 2개의 핀치 그립들 각각에 대응하는 높이가 작은 정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화된 옷걸이는 상기 높이가 작은 정지부에 대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개별화된 핀치 그립 옷걸이와 선택적으로 계합 가능하고 트레이부로부터 적재부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적재 핀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적재 핀은, 트레이부 내로 신장되어 상기 개별화된 핀치 그립 옷걸이와 계합되고 상기 개별화된 핀치 그립 옷걸이를 적재부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수단은, 상기 개별화된 핀치 그립 옷걸이가 적재부에 위치하는 동안에 상기 개별화된 핀치 그립 옷걸이의 2개의 핀치 그립들을 개방시키기 위한 수단을 또한 포함함으로써, 상기 의복이 핀치 그립들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핀치 그립들을 개방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개별화된 핀치 그립 옷걸이의 2개의 핀치 그립들 각각에 대응하는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실린더는 상기 2개의 핀치 그립들 각각의 가동성 조 부재와 계합되어 상기 가동성 조 부재를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2개의 핀치 그립들 각각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을 고정시키는 상기 핀치 그립을 닫기 위하여, 상기 개별화된 핀치 그립 옷걸이 상의 의복 적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단은, 의복이 적재된 상기 개별화 핀치 그립 옷걸이의 제거 및 상기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 내의 잔존 핀치 그립 옷걸이의 후속적 개별화의 개시를 또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장치.
  17.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로부터의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 상에 의복을 적재하는 방법으로서,
    (a) 본체, 의복을 유지하기 위해 본체 상에 배치된 2개의 핀치 그립, 및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가 동종의 옷걸이들의 집합체와 서로 연결되도록 동종의 옷걸이들의 집합체 내에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를 중첩시키기 위한 중첩 수단을 구비하는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로 이루어진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를 적재하는 단계,
    (b) 상기 핀치 그립 옷걸이들의 중첩체로부터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를 개별화하는 단계, 및
    (c) 상기 개별화된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에 의복을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화 단계는, 옷걸이들의 중첩체로부터 제1 핀치 그립 옷걸이를 분리하면서 옷걸이들의 중첩체에 잔존하는 개개의 옷걸이들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된 제1 핀치 그립 옷걸이는 개별화된 개개의 옷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화된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에 의복을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화된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에 의복을 적재하기 위하여 상기 개별화된 개개의 옷걸이를 적재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적재 방법은, 핀치 옷걸이들의 중첩체 내의 잔존하는 개개의 핀치 그립 옷걸이에 대하여 상기 (b)의 단계와 (c)의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적재 방법.
KR10-2004-7012715A 2002-02-15 2003-02-14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용 자동 적재 장치 KR200500054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76,789 2002-02-15
US10/076,789 US6711808B2 (en) 2002-02-15 2002-02-15 Pinch grip hanger loading mechanism
US10/076,790 US7121439B2 (en) 2002-02-15 2002-02-15 Pinch grip hanger
US10/076,790 2002-02-15
US10/292,128 2002-11-12
US10/292,128 US6923350B2 (en) 2002-02-15 2002-11-12 Pinch grip hanger
PCT/US2003/004563 WO2003070421A1 (en) 2002-02-15 2003-02-14 Automatic loading apparatus for nestable pinch-grip hang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409A true KR20050005409A (ko) 2005-01-13

Family

ID=4944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715A KR20050005409A (ko) 2002-02-15 2003-02-14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용 자동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54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1439B2 (en) Pinch grip hanger
US7455203B2 (en) Nestable pinch-grip hangers
US5236109A (en) Multigarment hanger with plural clips
JPS5921619B2 (ja) 物品ハンガ用クランプ
KR20060105671A (ko) 합체형 루프 행거를 위한 2-부분 설계
US6779695B2 (en) Garment hanger
KR20050005409A (ko) 중첩 가능한 핀치 그립 옷걸이용 자동 적재 장치
US6896163B2 (en) Pinch-grip hanger
EP1485229B1 (en) Automatic loading apparatus for nestable pinch-grip hangers
US7100807B2 (en) Elongated pinch-grip hanger
US4978012A (en) Apparatus for mounting clips and fixture therefor
US7191922B1 (en) Hanger with non-slip pads
US20050092786A1 (en) Hanger for an article
CA2456618A1 (en) Garment hanger
GB2605800A (en) Garment hanger packs and associated methods of supply
KR200245040Y1 (ko) 옷걸이
CS257461B1 (en) Dosing head interstage hanger for coat suspension conveyors
KR19990008175U (ko) 벨트 행거
JP2000128226A (ja) バンド類の止め具
ITTV20100045A1 (it) Struttura di pinza, particolarmente per il supporto temporaneo di prodotti.
SK71898A3 (sk) Vešiak na šaty
JPH0687281U (ja) ワイシャツ搬送用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