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5180A -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180A
KR20050005180A KR1020030045851A KR20030045851A KR20050005180A KR 20050005180 A KR20050005180 A KR 20050005180A KR 1020030045851 A KR1020030045851 A KR 1020030045851A KR 20030045851 A KR20030045851 A KR 20030045851A KR 20050005180 A KR20050005180 A KR 20050005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orming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573B1 (ko
Inventor
조종환
박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5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573B1/ko
Publication of KR20050005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화소영역을 갖는 제1글래스기판 상에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각 화소영역에 상기 게이트라인 및 상기 데이터라인과 연결되는 제1스위칭소자를 형성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광에 의해 위치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광 감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연결되는 콘택부를 롤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각 화소영역에 복수 색상의 컬러필터를 형성하고, 상기 콘택부를 통해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전극을 형성하여 제1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2글래스기판의 상기 제1글래스기판과 마주하는 면에 공통전극을 형성하여 제2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과의 사이에 액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광 감지부의 광 인식 효율 및 광학적 특성이 향상시키고, 박형화 및 표시품질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제조공정의 간소화 및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 감지부의 광 인지 감도 향상, 디스플레이 품질 및 제품의 신뢰성 향상, 작업공수의 감소 및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방식의 화상표시장치는 화면상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이나 물체를 이용하여 선택하면, 선택된 지시 내용에 해당하는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러한, 터치방식의 화상표시장치에는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부피가 큰 입력장치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표시장치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터치방식의 화상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 및 사용자가 선택한 지시내용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은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기판(first substrate) 및 제2기판(second substrate)과, 이들 제1기판 및 제2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을 포함한다.
제1기판에는 데이터라인 및 게이트라인에 의해 정의되어지는 복수의 화소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각 화소영역에는 데이터라인 및 게이트라인과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소자가 마련된다. 스위칭소자는 스위칭소자와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화소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절연막의 형성시 마스킹 기법을 통해 콘택홀을 형성하여 스위칭소자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그 상부에 화소전극을 도포함으로써, 스위칭소자와 화소전극이 연결된다.
제2기판은 스위칭소자, 데이터라인 및 게이트라인과 대응되는 부분에 매트릭스 상으로 형성되어 광을 차단하는 블랙매트릭스와, 화소전극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컬러필터와, 제2기판의 전면에 형성되는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터치패널은 화상이 표시되는 액정표시패널의 표시면 위에 적층된다. 터치패널은 제1기판과, 제1기판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제2기판과, 제1및 제2기판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투명전극 및 제2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정표시패널에 터치패널을 적층 시키면 액정표시패널과 터치패널 사이에 공기가 존재하게 되고, 상기 공기로 인해 터치방식의 화상표시장치의 광학적 특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터치방식의 화상표시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가격도 상승된다.
또한, 종래의 액정표시패널의 경우 화소전극과 신호선 사이에 발생되는 기생 캐패시터의 용량을 줄이기 위해서 화소전극과 신호선들 사이의 간격을 넓게 형성하기 때문에 화소영역의 개구율이 작아져 액정표시패널의 해상도가 저하된다.
그리고, 액정표시패널의 제1기판과 제2기판을 부착시킬 때 블랙매트릭스와 스위칭소자, 데이터라인 및 게이트라인을 정확히 일치시키기 어려워 얼라인 미스가 많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스위칭소자와 화소전극을 연결시키기 위해 절연막에 콘택홀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고가의 마스크, 노광기 및 현상기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 감지부의 광 인식 효율 및 광학적 특성이 향상시키고, 박형화 및 표시품질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제조공정의 간소화 및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일 영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일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다른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기판 110 : 제1글래스기판
111 : 데이터라인 112 : 게이트라인
113 : 제1스위칭소자 120 : 광 감지부
121 : 제1센서라인 122 : 제2센서라인
123 : 제2스위칭소자 124 : 제3스위칭소자
131,132,133 : 컬러필터
140 : 콘택부 150 : 화소전극
160 : 광차단패턴 200 : 제2기판
210 : 제2글래스기판 220 : 공통전극
G1,G2,G3 : 게이트 전극부 S1,S2,S3 : 소오스 전극부
C1,C2,C3 : 채널층 D1,D2,D3 : 드레인 전극부
PA : 화소영역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영역을 갖는 제1글래스기판 상에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각 화소영역에 상기 게이트라인 및 상기 데이터라인과 연결되는 제1스위칭소자를 형성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광에 의해 위치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광 감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연결되는 콘택부를 롤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각 화소영역에 복수 색상의 컬러필터를 형성하고, 상기 콘택부를 통해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전극을 형성하여 제1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2글래스기판의 상기 제1글래스기판과 마주하는 면에 공통전극을 형성하여 제2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과의 사이에 액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광 감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1센서라인 및 제2센서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광에 의해 구동되는 제2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2센서라인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3스위칭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각 컬러필터는 롤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판을 제조하는 단계는, 롤프린팅 방식에 의해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기판을 제조하는 단계는, 롤프린팅 방식에 의해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택부는 도전성 페이스트(Conductive Paste)와 수지를 포함하는 콘택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콘택재는 Ni-Au 도금된 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100), 제2기판(200) 및 액정(300)을 포함한다.
제1기판(100)은 제1글래스기판(110)과, 데이터라인(111) 및 게이트라인(112)과, 각 화소영역(PA)에 마련된 스위칭소자와, 광 감지부(120) 및 컬러필터(131,132,133)를 포함한다.
제1글래스기판(110)은 광투과율이 높은 투명 유리기판으로, 복수의 화소영역(PA)(Pixel Area)을 갖는다. 화소영역(PA)은 화상을 표시하는데 필요한 기본 단위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의 해상도가 1024×768 일 경우, 화소영역(PA)은 제1글래스기판(110)에 1024×768×3 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각 화소영역(PA)을 통과한 광은 모자이크 형태로 조합되고, 사용자는 각 화소영역(PA)을 통과한 광에 의하여 화상을 인식한다.
각 화소영역(PA)에는 게이트라인(112), 데이터라인(111) 및 제1스위칭소자(113)가 형성된다.
게이트라인(112)은 제1글래스기판(110)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화소영역(PA)의 안쪽으로 형성된다. 데이터라인(111)은 제1글래스기판(110)에서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며, 화소영역(PA)들의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액정표시장치의 해상도가 1024×768일 때, 게이트라인(112)은 제1글래스기판(110)에 768개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데이터라인(111)은 제1글래스기판(110)에 1024×3 개가 나란하게 형성된다.
제1스위칭소자(113), 예컨대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는 화소영역(PA) 중 게이트라인(112) 및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제1스위칭소자(113)는 게이트 전극부(G1), 채널층(C1), 소오스 전극부(S1) 및 드레인 전극부(D1)를 포함한다. 게이트 전극부(G1)는 게이트라인(112)으로부터 제2방향을 따라 각 화소영역(PA)으로 연장된다. 채널층(C1)은 게이트 전극부(G1)와 절연된 상태로 게이트 전극부(G1)의 상면에 배치된다. 채널층(C1)은 바람직하게 비정질 실리콘 박막(amophous silicon film) 및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상면에 배치된 n+비정질 실리콘 박막(n+amophous silicon film)에 의해 형성된다. n+비정질 실리콘 박막은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표면에 2 개로 나뉘어져 형성된다. 소오스 전극부(S1)는 각 데이터라인(111)으로부터 각 화소영역(PA)을 향해 1개씩 연장된다. 각 소오스 전극부(S1)는 2 개로 나뉘어진 n+비정질 실리콘 박막 중 하나에 접촉된다. 드레인 전극부(D1)는 2 개로 나뉘어진 n+비정질 실리콘 박막 중 나머지 하나에 접촉된다.
광 감지부(120)는 제1센서라인(121), 제2센서라인(122) 및 감지소자(123,124)를 포함한다.
제1센서라인(121)은 화소영역(PA)의 안쪽에서 제1글래스기판(110)의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센서라인(121)은 데이터라인(111)과 동일 층에 형성되고 데이터 라인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2센서라인(122)은 화소영역(PA)들 사이에서 제1글래스기판(110)의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센서라인(122)은 게이트라인(112)과 동일 층에 형성되고, 게이트라인(112)과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감지소자(123,124)는 복수 개의 화소영역(PA)들 중 선택된 일부화소영역(PA)에만 형성되며, 액정표시장치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광에 반응하여 위치정보를 갖는 신호를 제1센서라인(121)으로 출력한다. 감지소자(123,124)는 제2스위칭소자(123) 및 제3스위칭소자(124)를 포함하며, 제1스위칭소자(113)와 마찬가지로 박막트랜지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스위칭소자(123)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광에 반응하며, 게이트 전극부(G2), 채널층(C2), 소오스 전극부(S2) 및 드레인 전극부(D2)로 이루어진다.
게이트 전극부(G2)는 제2센서라인(122)으로부터 제2방향을 따라 각 화소영역(PA)으로 연장된다. 채널층(C2)은 게이트 전극부(G2)와 절연된 상태로 게이트 전극부(G2)의 상면에 배치된다. 채널층(C2)은 바람직하게 비정질 실리콘 박막(amophous silicon film) 및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상면에 배치된 n+비정질 실리콘 박막(n+amophous silicon film)으로 이루어진다. n+비정질 실리콘 박막은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표면에 2 개로 나뉘어져 형성된다. 비정질 실리콘 박막 및 n+비정질 실리콘 박막은 외부에서 인가된 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제2스위칭소자(123)를 연결시킨다. 소오스 전극부(S2)는 데이터라인(111)으로부터 화소영역(PA)을 향해 연장된다. 각 소오스 전극부(S2)는 2 개로 나뉘어진 n+비정질 실리콘 박막 중 하나에 접촉된다. 드레인 전극부(D2)는 2 개로 나뉘어진 n+비정질 실리콘 박막 중 나머지 하나에 접촉되며, 제3스위칭소자(124)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스위칭소자(124)는 게이트 전극부(G3), 채널층(C3), 소오스 전극부(S3) 및 드레인 전극부(D3)를 포함한다.
게이트 전극부(G3)는 게이트라인(112)으로부터 제2방향을 따라 각 화소영역(PA)으로 연장된다. 채널층(C3)은 게이트 전극부(G3)와 절연된 상태로 게이트 전극부(G3)의 상면에 배치된다. 채널층(C3)은 바람직하게 비정질 실리콘 박막(amophous silicon film) 및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상면에 배치된 n+비정질 실리콘 박막(n+amophous silicon film)으로 이루어진다. n+비정질 실리콘 박막은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표면에 2 개로 나뉘어져 형성된다. 소오스 전극부(S3)는 제2스위칭소자(123)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스위칭소자(123)의 드레인 전극부(D2)과 연결된다. 소오스 전극부(S3)는 2 개로 나뉘어진 n+비정질 실리콘 박막 중 하나에 접촉된다. 드레인 전극부(D3)는 2 개로 나뉘어진 n+비정질 실리콘 박막 중 나머지 하나에 접촉되며 제1센서라인(121)으로부터 제1방향을 따라 화소영역(PA)으로 연장된다.
제2스위칭소자(123)에 형성된 채널층(C2)은 레드파장에 대해 광 인식효율이 가장 좋다. 따라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광의 인지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후술할 컬러필터(131,132,133) 중 레드 컬러필터(131)가 형성될 화소영역(PA) 들 중 선택된 화소영역(PA)에만 감지소자(123,1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러필터(131,132,133)는 각 화소영역(PA)에 형성되며, 각컬러필터(131,132,133)들 사이에는 화소영역(PA)의 사이로 누설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블랙매트릭스(도 4a 내지 도 4f 참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각 컬러필터(131,132,133)의 에지부위를 화소영역(PA) 사이에서 상호 오버랩시키는 경우, 오버랩된 영역은 화소영역(PA)의 사이로 누설되는 광을 차단하게 되는바, 이 경우 별도의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할 필요는 없게 된다.
컬러필터(131,132,133)는 레드 컬러필터(131), 그린 컬러필터(132) 및 블루 컬러필터(133)를 포함한다. 레드 컬러필터(131)는 레드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는 물질을 포함하고, 그린 컬러필터(132)는 그린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는 물질을 포함하며, 블루 컬러필터(133)는 블루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는 물질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화소영역(PA) 중 임의의 n 번째(단, n은 자연수) 화소영역(PA)은 레드 컬러필터(131)를 포함하고, n+1 번째 화소영역(PA)은 그린 컬러필터(132)를 포함하며, n+2 번째 화소영역(PA)은 블루 컬러필터(133)를 포함한다.
화소전극(150)은 화소영역(PA)에 형성되며, 컬러필터(131,132,133)의 상면에 배치된다. 화소 전극은 투명하면서 도전성인 산화 주석 인듐(Indium Tin Oxide, 이하, ITO) 패턴 또는 산화 아연 인듐(Indium Zinc Oxide, 이하, IZO)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화소전극(150)은 콘택부(140)을 통해 제1스위칭소자(113)의 드레인 전극부(D1)와 연결되어, 제1스위칭소자(113)로부터 구동전압을 인가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부(140)는 컬러필터(131,132,133)의 형성전 단계에서, 롤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롤프린팅 방식이란, 인쇄용 롤의 표면에 기판 상에막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패턴 도포한 후, 인쇄용 롤을 제1글래스기판 상에서 일정 압력 및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서, 막형성 및 패터닝을 동시에 행하는 방식이다. 또한, 롤프린팅 방식은 인쇄물질의 접착력과 패턴형성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쇄물질에 양(+) 또는 음(-)의 특성를 부여하고, 인쇄할 대상면에 반대 극성을 부여함으로써, 전기적 힘에 의해 인쇄물질을 전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콘택부(140)는 실버 페이스트(Ag Paste)와 같은 전도성 페이스트(Conductive Paste)와 수지를 혼합하거나, 니켈-금(Ni-Au) 도금 볼(Ball)과 수지를 혼합하여 형성된 콘택재를 롤프린팅 방식에 의해 제1스위칭소자(113)의 드레인 전극부(D1)에 인쇄하여 형성된다.
광차단패턴(160)은 화소전극(150) 상에 형성되며,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네오디뮴(Al-Nd)으로 이루어진다. 광차단패턴(160)은 데이터라인(111), 게이트라인(112), 제1스위칭소자(113), 제1센서라인(121), 제2센서라인(122), 제3스위칭소자(124)와 대응되는 부분을 커버하여 제1기판(100)에서 제2기판(200) 쪽으로 누설되는 광을 차단함과 아울러, 제1스위칭소자(113) 및 제3스위칭소자(124)가 외부에서 고의적으로 제공되는 광에 반응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2스위칭소자(123)와 화소전극(150)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광차단패턴(160)을 개구시켜 화소영역(PA)으로 입사된 광은 통과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고의적으로 제공되는 광이 제2스위칭소자(123)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제2기판(200)은 제2글래스기판(210) 및 공통전극(220)을 포함한다. 공통전극(220)은 제2글래스기판(210)의의 전면적에 걸쳐 형성되며, ITO 또는 IZO로이루어진다.
제1기판(100) 및 제2기판(200)은 화소전극(150) 및 공통전극(220)이 상호 마주하도록 도시되지 않은 밀봉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액정(300)은 결합된 제1기판(100) 및 제2기판(200)의 사이에 배치되며, 화소전극(150) 및 공통전극(220) 사이에 형성된 전위차에 의해 배열이 변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화소영역(PA)을 포함하는 제1기판(100)에 데이터라인(111), 게이트라인(112), 제1스위칭소자(113), 컬러필터(131,132,133), 광 감지부(120), 화소전극(150) 및 광차단패턴(160)을 형성하고, 제2기판(200)에 공통전극(220)만을 형성함으로써,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의 결합이 용이하고, 미스 얼라인에 의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화소영역(PA)에 형성된 컬러필터(131,132,133)로 인해 게이트라인(112) 및 데이터라인(111)과 화소전극(150)의 사이가 멀어져 화소영역(PA)의 개구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터치방식의 화상표시장치에서 보다 해상도가 좋아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는 액정(300)표시패널 내부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광에 의해 위치정보신호를 출력하는 광 감지부(120)가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터치방식의 화상표시장치에 비해 광 특성이 향상되고, 두께가 얇아지며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광 감지부(120)가 레드 컬러필터(131)가 마련되는 화소영역(PA)에만 형성됨으로써, 광 감지부(120)의 광 인지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제조방법을, 도 4a 내지 도 4f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글라스기판 상에 게이트라인(112), 데이터라인(111) 및 제1스위칭소자(113)를 형성한다. 여기서, 게이트라인(112)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광 감지부(120)의 제1센서라인(121)을 함께 형성하고, 데이터라인(111)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광 감지부(120)의 제2센서라인(122)이 함께 형성되며, 제1스위칭소자(113)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광 감지부(120)의 제2스위칭소자(123) 및 제3스위칭소자(124)가 함께 형성된다. 도 4a 내지 도 4f의 A 영역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게이트라인(112), 데이터라인(111), 제1스위칭소자(113) 및 광 감지부(120)가 형성된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a 내지 도 4f의 B 영역은 제1스위칭소자(113)의 드레인 전극부(D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런 다음, 제1글래스기판(110) 상에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랙매트릭스는 롤프린팅 방식에 의해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적인 마스크 기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제1스위칭소자(113)의 드레인 전극부(D1) 상에 콘택부(140)를 인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부(140)는 전술한 롤프린팅 방식에 의해 인쇄된다.
다음, 각 화소영역(PA)에 컬러필터(131,132,133)를 도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러필터(131,132,133)는 롤프린팅 방식에 의해 각 화소영역(PA)에 인쇄될 수 있다. 이 때, 콘택부(140)는 컬러필터(131,132,133)가 도포된 후에도 그 일측 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 일정 압력 및 스피드로 외전하는 도시되지 않은 롤러에 의해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131,132,133) 및 콘택부(140)의 상면을 평판화 한 다음, 컬러필터(131,132,133)의 상부에 화소전극(150)을 형성한다. 여기서, 화소전극(150)은 컬러필터(131,132,133) 상에서 외부로 노출된 콘택부(140)와 연결됨으로써, 제1스위칭소자(113)와 연결된다.
그런 다음, 광차단패턴(160)을 화소전극(150) 상에 형성함으로써, 제1기판(100)이 제조된다.
그런 다음, 제1글래스기판(110) 상에 공통전극(220)을 형성하여 제2기판(200)을 제조하고,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을 결합한 후, 제1기판(100)과 제1기판(100) 사이에 액정(300)을 주입한 후 밀봉함으로써, 액정(300)표시패널이 제조되며, 도시되지 않은 백라이트 유니트 조립, PCB 및 드라이브 IC 실장 등의 공정을 통해 액정표시장치가 제조가 완료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블랙매트릭스가 제1글래스기판(110) 상에 형성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제2글래스기판(210) 상에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글래스기판(110) 상에 콘택부(140)와 컬러필터(131,132,133)를 롤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마스크 방식에 의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 감지부의 광 인식 효율 및 광학적 특성이 향상시키고, 박형화 및 표시품질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제조공정의 간소화 및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8)

  1.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영역을 갖는 제1글래스기판 상에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각 화소영역에 상기 게이트라인 및 상기 데이터라인과 연결되는 제1스위칭소자를 형성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광에 의해 위치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광 감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연결되는 콘택부를 롤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각 화소영역에 복수 색상의 컬러필터를 형성하고, 상기 콘택부를 통해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전극을 형성하여 제1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2글래스기판의 상기 제1글래스기판과 마주하는 면에 공통전극을 형성하여 제2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과의 사이에 액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광 감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1센서라인 및 제2센서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광에 의해 구동되는 제2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2센서라인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3스위칭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각 컬러필터는 롤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을 제조하는 단계는,
    롤프린팅 방식에 의해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을 제조하는 단계는,
    롤프린팅 방식에 의해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부는 도전성 페이스트(Conductive Paste)와 수지를 포함하는 콘택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재는 Ni-Au 도금된 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정표시장치.
KR1020030045851A 2003-07-07 2003-07-07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68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851A KR100968573B1 (ko) 2003-07-07 2003-07-07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851A KR100968573B1 (ko) 2003-07-07 2003-07-07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180A true KR20050005180A (ko) 2005-01-13
KR100968573B1 KR100968573B1 (ko) 2010-07-08

Family

ID=3721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851A KR100968573B1 (ko) 2003-07-07 2003-07-07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5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141B1 (ko) * 2003-11-27 201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 시스템
US8462307B2 (en) 2008-04-23 2013-06-11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gate or data pad portions arranged in a zigzag or an oblique line format
US8576359B2 (en) 2008-12-23 2013-11-05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1282B2 (ja) * 1994-05-31 2000-03-1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3698749B2 (ja) * 1995-01-11 2005-09-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セルの作製方法およびその作製装置、液晶セルの生産システム
JPH11326954A (ja) * 1998-05-15 1999-11-2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
KR100397671B1 (ko) * 2001-03-07 2003-09-1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잉크젯 방식 컬러필터를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141B1 (ko) * 2003-11-27 201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 시스템
US8462307B2 (en) 2008-04-23 2013-06-11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gate or data pad portions arranged in a zigzag or an oblique line format
KR101386574B1 (ko) * 2008-04-23 2014-04-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US8576359B2 (en) 2008-12-23 2013-11-05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573B1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5601B2 (en) Upper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825894B2 (en) Display device with display panel processing input data
US8159641B2 (en) Array substrate having common electrode with slits that overlap data lin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array substrate
TWI399582B (zh) 液晶顯示裝置
JP4142058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39077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58009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050263762A1 (en) Amorphous silicon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116407B2 (en)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JP2008298815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US855897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EP1267198A2 (en) Transflective electro-optical device
US9285647B2 (en) TFT array substrate, E-paper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581253B2 (en)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22227136A1 (zh) 阵列基板和显示面板
JP2007304519A (ja) 液晶表示装置
KR10096857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508255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70065065A (ko)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2323704A (ja) 液晶表示装置
KR10096264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I782629B (zh) 指紋感測顯示裝置
US20230258989A1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JP2007094030A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90000948A (ko) 표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