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5119A - 다층형 치아미백 첩포제 - Google Patents

다층형 치아미백 첩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119A
KR20050005119A KR1020030044968A KR20030044968A KR20050005119A KR 20050005119 A KR20050005119 A KR 20050005119A KR 1020030044968 A KR1020030044968 A KR 1020030044968A KR 20030044968 A KR20030044968 A KR 20030044968A KR 20050005119 A KR20050005119 A KR 20050005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peroxide
layer
whitening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7015B1 (ko
Inventor
백인섭
조인식
김우정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30044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0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05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약물층과 다른 약물층에 각각 특정의 조성물이 함유되고 각 약물층 사이에는 격리층을 삽입함으로써 약물층 성분들 간의 부적절한 유동과 반응을 차단하고 사용시 보다 짧은 시간 내에 보다 높은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치아 미백용 첩포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치아미백 첩포제는 약물의 유동을 막아주어 안정성을 높이고 유통, 보관 중의 훼손을 방지하는 지지층, 건조 타입(dry type)의 필름 (Film) 형태로 구성된 2개 층 이상의 약물층, 상기 2개 층 이상의 약물층을 분리, 안정화시키는 격리층, 약물의 안정성을 높이고 약물이 손 등에 묻지 않아 치아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배면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층형 치아미백 첩포제는 각 약물층 성분들 간의 부적절한 유동과 반응을 차단함으로 타약물층에 함유된 치아미백 성분으로 사용되는 과산화물이 고온에서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과산화물 및 활성화제의 함량을 낮게 사용할 수 있어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치아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치아 미백용 첩포제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다층형 치아미백 첩포제{Multilayer patch for whitening a tooth}
본 발명은 다층형 치아 미백용 첩포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의 약물층으로 되어 일약물층과 다른 약물층에 각각 특정의 조성물이 함유되어 보다 짧은 시간 내에 보다 높은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함유성분의 고온에서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각 함유성분의 함량이 낮아 인체에 안전하며 치아 부착 및 탈착 등이 간편한 치아 미백용 첩포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치아 변색의 원인은 크게 외인성 요인과 내인성 요인으로 나누어지고, 각각의 원인과 정도에 따라 원래의 치아 색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 방법은 달라질 수 있다. 치아 변색이 미약한 수준일 경우에는 일상적인 양치질과 스케일링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는 극히 제한적이며 일단 변색을 인지할 수 있는 수준일 경우, 적절한 미백 시술을 받아야만 원래의 색상으로 회복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치아 미백을 위해 활용해 왔던 성분들은 다양한데, 과거 유럽에서는 치아 미백을 위해 요산(uric acid)을 비롯, 질산(nitric acid), 옥살산(oxalic acid), 염산(hydrochloric acid) 등을 사용했으며, 약 100년 전에 이르러서야 고농도의 과산화수소수를 치아에 바르고 열 또는 빛을 쪼이는 방법이 등장하게 됐다. 최근에는 규산염류(silica), 알루미나(alumina)와 같은 기본적인 연마제 성분부터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hydroxyapatite)와 같은 치아 구성 성분, 덱스트라나아제(dextranase), 글루코오즈 옥시다아제(glucose oxidase)와 같은 기능성 효소, 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산성피로인산나트륨(sodium acid pyrophosphate)과 같은 축합 인산염류까지 매우 다양한 치아 미백 또는 보조 미백 성분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치아 미백제를 다양한 형태의 과산화물이 함유된 제품이라 정의할 만큼, 비교적 사용이 용이하고 효과가 우수한 치아 미백 성분은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요소(cabarmide peroxide), 과산화칼슘(calsium peroxide) 등과 같은 과산화물로 알려져 있다.
미백 기전은 아직까지도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과산화수소의 경우,조건의 변화에 따라 방출하게 되는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이 미백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유 라디칼은 매우 불안정하여 상당한 전자 친화성을 가지며 다른 유기질 분자와 결합하여 안정성을 얻으면서 계속적으로 자유 라디칼을 생성함으로써 미백 작용이 진행된다. 과산화수소는 치아 표면의 삼투성을 증가시켜 이온(ion)이 치아 내부로 쉽게 이동하도록 하고, 치아 경조직의 유기 성분 및 색소 분자는 유입된 이온과 산화-환원 반응을 비롯한 일련의 반응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된다.
이러한 미백 작용의 과정을 볼 때, 과산화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보다 높은 치아 미백 효과를 얻게 됨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자극성이 있는 성분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치은과 치수 부위 및 구강 점막에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등의 부작용 또한 증대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과산화물을 이용, 치아 미백 효과를 기대하는 경우,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농도와 방법, 제형 등에 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건에 비교적 부합하며 치아 미백 목적으로 활용되는 방법으로는, 전문가가 치의원 등에서 비교적 고농도(30~40%)의 과산화수소수인 치아 미백제를 치아 표면에 도포하는 치아 미백술(in-office professional bleaching)이 있다. 이 방법은 확실한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비교적 높은 농도의 과산화수소를 이용해야 하므로 전문가로부터 직접 시술 받기 위하여 치의원을 수 차례 방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적지 않은 비용 부담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또한 보다 높은 효과를 얻기 위해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에 빛을 쪼이거나 열을 가하기도 하는데 이 과정에서 치은, 치수부 또는 구강 점막 등에 상당한 자극을 줄 수 있다. 개인이 가정에서 비교적 간편한 방법으로 치아 미백을 시행할 수도 있다. 자신의 치아모양에 맞는 전달 장치(tray)에 적정 농도의 과산화요소 용액을 담아 치아에 적용하는 것인데, 이 방법은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의 과산화물을 사용하므로 과민증 등의 부작용이 적고 비교적 만족할 만큼의 치아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개인에게 맞는 전달 장치의 제작을 위해 우선적으로 치의원을 방문하여야 하며 전달 장치의 심한 이물감 및 장시간 착용에 따른 불편함 등을 단점으로 꼽을 수 있다. 전달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미백제가 함유된 겔 타입의 제품을 직접 치아 표면에 도포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씻어내는 방식의 시술도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전달 장치로 인한 이물감은 없으나 치아에 도포한 미백제가 잇몸, 입술 안쪽의 점막 등에 묻어 자극을 일으킬 수 있고 이 시술을 하고 있는 동안 다른 일상적인 활동을 하는데 적지 않은 제약이 따르는 불편이 있다. 가장 최근에는 기존 방법의 단점들을 보완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치아 미백을 시행하고자 미백제가 얇게 도포된 부착대(Strip)를 치아 표면에 부착하는 방법이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3% 미만의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치아 미백용 첩포제를 의약외품으로 분류함으로써 보다 폭넓은 연구와 제품 개발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일본 특허 제10,017,448호(라이온(Lion)사)는 시트 형태의 구강 첩부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 특허는 치아 부착층과 지지체층으로 구성된 1제형 시스템이며 미백제로는 코직산(kojic acid) 및 그 유도체류,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및 그 유도체, 과산화요소 등을 사용하며 그 중에서도 코직산이 매우 효과적이라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코직산, 아스코르빈산 등은 강한 산성 조건에서만 유효한 미백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구강내 환경에서는 그 효과를 나타내는데 어려움이 예상되며 특히 이들 성분이 고온에서의 안전성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실제 치아 미백 제품으로의 사용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제12,281,548호(라이온사)는 치아 미백 세트를 기술하고 있다. 이는 조성물을 치아에 적용하는 용구로서 수불용성 테이프, 시트, 필름, 트레이, 마우스피스, 팩 등을 기재하고 있는데 실제로 명세서 상의 주요 내용은 미백 성분이 함침된 겔 상을 지지체에 얇게 도포한 습윤 타잎(wet type)의 부착물로써 이는 사용시 손, 잇몸 등 원하지 않는 부위에 약물이 묻어 자극을 일으킬 우려가 높다. 특히 미백제로 과산화물을 제외하고 폴리인산염, 음이온 계면활성제, 저급 알코올을 사용하는데 통상 폴리인산염은 가벼운 정도의 오염에는 효과를 보이지만 내인성 오염이나 심한 정도의 외인성 오염에는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엔지(P&G)社는 미국 특허 제5,879,691호, 제5,891,453호 및 제5,989,569호와 WO 98/55044호에서 얇고 투명하며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스트립에 미백 성분의 겔을 도포하여 치아에 부착하는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사용이 불편한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고 착용시 얇고 투명하여 일상 생활에 지장이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 시스템 역시 습윤 타잎으로서 부착시 손, 잇몸 등 원하지 않는 부위에 약물이 묻어 자극을 일으킬 우려가 높고 제형 내 과산화물의 안정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고온 또는 장기 보관시 미백 효과의 감소가 예상된다.
또한 피엔지는 WO 00/54699에서 스트립의 모양을 일반적인 치아 모양 기준에 맞춰 디자인함으로써 보다 잘 밀착되는 시스템으로써 미백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지만 개개인의 치아 모양은 상이하며, 비교적 잘 들어맞는다 하여도 본래 제품의 부착력이 낮아 부착중에도 부적절한 이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며 치아 뒤쪽으로 접어 넘긴 부분에 의해 이물감이 더욱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콜게이트(Colgate)사는 미국 특허 제5,310,563호, 제5,639,445호에서 다우코닝 3179라는 물질에 미백 성분을 혼합하여 치아에 부착시켰다가 떼어내는 시스템을 언급하고 있다. 이는 폴리머에 의해 미백 성분이 캡슐화됨으로써 안정성에는 상승 효과가 기대되지만 짧은 시간 내에 미백 성분이 캡슐로부터 빠져 나오지 못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미백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장시간 접촉 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지적될 수 있다.
엘지생활건강(LG)사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10022호, 제2002-45224호, 제2002-97297호 및 WO 01/68045 등에서 상술한 종래 특허 기술의 단점들을 보완하여 과산화물을 친수성 글라스폴리머에 함침시켜 안정화를 도모하고 구강 내 수분에 의해 수화되면서 강한 접착력이 생성되어 치아 미백에 효과적이며, 적정 조건에서 일정 시간 동안 건조시킨 건조 타잎(dry type)의 첩부제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사용시 손, 잇몸 등 원하지 않는 부위에 과산화물이 묻는 단점을 최소화하였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친수성 글라스폴리머에 의한 강한 접착력은 인정되나 반대로 사용 후 떼어낼 때 치아 표면에 잔여물의 제거를 위해 추가로 브러싱 등의 작업이 필요하여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강한 접착력에 의해 과산화물의 치아 미백효과가 증대된다고 하였으나 과산화물의 반응 특성상, 상기의 기존 특허 기술과 대동소이하게 비교적 장시간 부착을 요하는 단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엘지생활건강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1297호에서 과산화물이 포함된 약물층 이외의 다른 층에 수산화나트륨, 중탄산나트륨, 금속염류 등의 과산화물 활성화제를 함유하는 다층형 치아 미백용 패취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 과산화물이 포함된 약물층과 이와는 별개의 다른 층에 활성화제가 함유되어 있고 그 사이에 일종의 격리 장치로서 보호층을 만들어 구강 내 수분에 의해 차례로 용해되면서 과산화물과 활성화제 간의 반응이 일어나, 상대적으로 단시간 내에 치아 미백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실험실 내에서 제작된 시제품 간의 미백 효능 평가를 통해 과산화물 단독 처방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치아 미백 효과를 얻게 됨을 보여주고 있지만 보호층의 성분, 다층 구조의 제조 과정, 구강 내 수분에 의해 일어나는 순차적 용해 여부에 대한 검증 및 이러한 제품의 보관, 유통 과정, 특히 고온 다습 조건에서의 부적절한 용해와 혼합 가능성에 대한 상세한 고찰은 없는 것으로 보아 본 기술 내용은 단순한 아이디어 특허에 불과하다. 특히 당 특허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A, B 두 개의 약물층을 확실하게 차단해 줄 수 있는 격리층에 대한 아이디어나 구체적인 설명 없이 단순히 다층 구조임을 소구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제조물 상태에서 두 개 약물층의 안정성은 적지 않은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치아 미백 시술의 시간적, 경제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잇몸, 치수 부위 및 구강내 점막에 자극이 적어 안전하며, 사용 시간이 비교적 짧으면서도 미백 효과가 탁월한 치아 미백 첩포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에 제공되는 활성 물질이 충분한 시간 동안 치아 표면에 고정되고 구강 내부에서의 물리적, 화학적인 침식으로부터 보호됨으로써 안정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치아 미백 첩포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과산화물과 과산화물 활성화제를 별도의 약물층에 함유시켜 구성함으로 일 약물층에 함유된 과산화물 활성화제로 인해 보다 짧은 시간 내에, 보다 높은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계면활성제의 작용으로 치아 표면의 막을 제거하여 활성 성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며, 타약물층에 함유된 치아미백 성분으로 사용되는 과산화물이 고온에서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과산화물 및 활성화제의 함량이 낮아 인체에 안전하며, 치아 부착 및 탈착 등이 간편한 치아 미백용 첩포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자 등은 과산화물과 과산화물 활성화제를 별도의 약물층으로 분리시키고 그 사이에 격리층을 삽입함으로써 약물층 성분들 간의 부적절한 유동과 반응을 차단하는 다층형 치아 미백 첩포제 시스템을 제시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형 치아미백 첩포제의 층상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첩포제와 타사 제품간의 시간별 미백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층 2 : 격리층
3 : 배면층
A : A 약물층 B : B 약물층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층형 치아미백 첩포제은;
약물의 유동을 막아주어 안정성을 높이고 유통, 보관 중의 훼손을 방지하는지지층, 건조 타입(dry type)의 필름 (Film) 형태로 구성된 2층 이상의 약물층, 상기 2층 이상의 각 약물층을 분리, 안정화시키는 1층 이상의 격리층, 약물의 안정성을 높이고 약물이 손 등에 묻지 않아 치아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배면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2층 이상의 약물층은 A약물층 및 B약물층의 두 층의 약물층으로 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A, B약물층을 분리, 안정화시키는 하나의 격리층이 상기 약물층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다층 구조의 패취(Patch)를 사용함으로써 치아 부착 전에는 A약물층 및 B약물층이 격리층에 의해 분리되어 각각의 성분들의 안정화를 유지하고 부착 후에는 화학적, 물리적 방법에 의해 격리층이 용해되어 A약물층과 B약물층의 성분들이 확산, 혼합됨으로써 미백 작용의 효과를 더욱 높이게 된다. 이와 같이, 치아 부착 이전의 건조 상태에서는 격리층에 의해 2개의 약물층 내에 포함된 활성 성분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가 수분이 유입되는 상태, 즉 치아에 부착하게 되면 격리층의 용해로 인해 2개의 약물층의 활성 성분들이 혼합되어 반응하게 되는 기작을 가지고 있으므로 A약물층과 B약물층의 성분 및 조성은 서로 맞바꾸어 제조하여 치아에 적용해도 사용의 편의성, 미백 효과 및 안정성, 안전성 등에는 유의할 만한 차이를 가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에서 A약물층 또는 B약물층에 사용할 수 있는 과산화물은 과산화수소, 과산화요소, 과산화칼슘, 과탄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등에서 1종 이상 선택된다. 이들 약물층의 필름 형성 기제로는, 격리층의 용해를 방지하기 위해 알코올 용해성 폴리머인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피롤리돈 -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상품명eudragit), 폴리알킬비닐에테르 - 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폴리머들은 필름 형성시 적절하게 건조되면 점착력이 다소 낮아지지만 수분과 접촉하게 되면 점착성이 증대되어 치아 표면에 부착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의 폴리머들에 대한 용매로서 물보다는 알코올을 사용함으로써 필름 형성시 건조 시간이 대폭 단축되어 불안정한 상태의 과산화물 등의 안정성 확보에도 상당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물리,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의 과산화물이 중성 또는 알칼리성 조건보다는 산성 상태에서 더욱 안정하다는데 착안하여 산성 피로인산나트륨(SAPP), 산성 메타폴리인산염(상품명 Sporix, Multiphos) 등의 산성계 축합 인산염을 사용함으로써 과산화물의 안정성 향상에 기여함과 동시에 축합 인산염류가 가지는 고유의 치석 생성 억제 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에서 A약물층 또는 B약물층에 사용할 수 있는 과산화물 활성화제라 함은 과산화물의 라디칼 방출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로서 수산화나트륨(NaOH),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 활성탄, 각종 금속염류 중에서 1종 이상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활성화제는 과산화물의 반응을 폭발적으로 촉진시키므로 본 발명에서는 약물층의 층 분리를 통해 사용 전에는 두 종류의 성분이 반응할 수 없도록 격리층을 구성함으로써 안정성, 유효성의 보전을 꾀하게 된다. 또한 필름 형성 기제로는 앞에서 언급한 알코올 용해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격리층에 사용되는 필름 형성 기제로는, 알코올에는 쉽게 용해되지 않고 물에서는 용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플루란(pullulan),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오즈(HMC),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HEC),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HPC),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HPMC), 알지네이트(sodium alginate), 젤라틴(gelatin), 펙틴(pectin),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을 사용하여 알코올 베이스로 제조된 A약물층과 B약물층의 성분들이 유동, 혼합되는 것을 억제한다.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고온, 고열 조건에서도 필름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성분을 사용하여 보관 및 유통 과정에서 유발될 수 있는 부적절한 용해를 최소화한다. 또한 개인에 따라 사용 중에 과산화물 및 활성화제에 의해 느낄 수 있는 나쁜 맛이나 냄새를 보완하기 위해 적정 수준의 감미료 및 향료 성분을 추가할 수 있다.
지지층은 유통, 보관 중에 약물층의 훼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치아 부착시에는 떼어낸 후, 사용하게 되며 여타의 약물 성분들과 반응성이 적은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올레핀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배면층은 약물층의 안정적인 고정은 물론, 자극적인 성분으로부터 잇몸, 입술 안쪽의 점막 등을 보호하고 약물이 손 등에 묻지 않게 함으로써 치아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역시 여타의 약물 성분들과 반응성이 적은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올레핀계 화합물을 사용하게 된다.
A약물층, B약물층 및 격리층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과 같은 폴리올(polyol)류의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각 층 및 첩포제 전체의 유연성 및 사용 편의성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 가능하게 된다. 또한 타액, 음식물의 잔여물, 미생물 등에 의해 치아 표면에 생성되는 얇은 막을 제거하기 위해 적절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미백 활성 성분의 치아 표면 및 내부로의 접촉, 침투를 원활하게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치아 미백용 첩포제는 건조 상태, 즉 사용 전에는 격리층에 의해 2개의 약물층의 활성 성분들이 분리되어 있다가 수분이 유입되는 상태, 즉 치아에 부착하게 되면 격리층의 용해로 인해 2개의 약물층의 활성 성분들이 혼합되어 반응하게 되므로 A약물층과 B약물층의 성분 조성은 서로 맞바꾸어 제조하여 치아에 적용해도 미백 효과 및 안정성, 안전성 등에 별다른 차이가 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치아 미백용 첩포제는 B약물층에 함유된 과산화물 활성화제로 인해 보다 짧은 시간 내에, 보다 높은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계면활성제의 작용으로 치아 표면의 막을 제거하여 활성 성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며, A약물층에서 치아미백 성분으로 사용되는 과산화물이 고온에서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과산화물 및 활성화제의 함량이 낮아 인체에 안전하며, 치아 부착 및 탈착 등이 간편하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8 및 비교예 1~4를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하였고 각 제조물에서 배면층 및 지지층의 성분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로 한정하였다.
치아 미백용 첩포제의 조성 (중량 %)
성 분 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A약물층 PVP 20.0 20.0 20.0 20.0
PVP/VA - - - -
카보머 - - - -
프로필렌글리콜 5.0 5.0 - 5.0
글리세린 - - 5.0
과산화수소 3.0 6.0 3.0 -
과산화요소 - - - 10.0
산성피로인산나트륨 2.0 4.0 2.0 2.0
피로인산나트륨 - - - -
Tween 80 1.0 2.0 1.0 1.0
Xanthan Gum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알코올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소 계 100.0 100.0 100.0 100.0
격리층 플루란 18.0 18.0 18.0 18.0
HPMC - - - -
Tween 80 1.0 1.0 1.0 1.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소 계 100.0 100.0 100.0 100.0
B약물층 PVP 20.0 20.0 20.0 20.0
PVP/VA - - - -
카보머 - - - -
NaOH 1.0 2.0 1.0 1.0
금속염(Fe) - - - -
프로필렌글리콜 5.0 5.0 5.0 5.0
SLS 1.0 1.0 1.0 1.0
에탄올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소 계 100.0 100.0 100.0 100.0
치아 미백용 첩포제의 조성 (중량 %)
성 분 명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A약물층 PVP 20.0 20.0 - 20.0
PVP/VA - - 20.0 -
카보머 - - - -
프로필렌글리콜 5.0 5.0 5.0 5.0
글리세린 - - -
과산화수소 3.0 3.0 3.0 3.0
과산화요소 - - - -
산성피로인산나트륨 - 2.0 2.0 2.0
피로인산나트륨 2.0 - - -
Tween 80 1.0 1.0 1.0 1.0
Xanthan Gum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알코올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소 계 100.0 100.0 100.0 100.0
격리층 플루란 18.0 - 18.0 18.0
HPMC - 15.0 - -
Tween 80 1.0 1.0 1.0 1.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소 계 100.0 100.0 100.0 100.0
B약물층 PVP 20.0 20.0 - 20.0
PVP/VA - - 20.0 -
카보머 - - - -
NaOH 1.0 1.0 1.0 -
금속염(Fe) - - - 0.1
프로필렌글리콜 5.0 5.0 5.0 5.0
SLS 1.0 1.0 1.0 1.0
에탄올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소 계 100.0 100.0 100.0 100.0
치아 미백용 첩포제의 조성 (중량 %)
성 분 명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A약물층 PVP 20.0 20.0 - 20.0
PVP/VA - - - -
카보머 - - 10.0 -
프로필렌글리콜 5.0 5.0 5.0 5.0
글리세린 - - -
과산화수소 3.0 3.0 3.0 3.0
과산화요소 - - - -
산성피로인산나트륨 2.0 2.0 2.0 -
피로인산나트륨 - - - -
Tween 80 1.0 1.0 1.0 1.0
Xanthan Gum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알코올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소 계 100.0 100.0 100.0 100.0
격리층 플루란 - - 18.0 18.0
HPMC - - - -
Tween 80 - - 1.0 1.0
정제수 - - 잔량 잔량
소 계 0.0 0.0 100.0 100.0
B약물층 PVP - 20.0 - 20.0
PVP/VA - - - -
카보머 - - 2.0 -
NaOH 1.0 3.0 1.0
금속염(Fe) - - - -
프로필렌글리콜 - 5.0 5.0 5.0
SLS - 1.0 1.0 1.0
에탄올 - 잔량 잔량 잔량
소 계 0.0 100.0 100.0 100.0
시험예 1. 치아 미백 효과의 평가
IR프레스를 이용,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HAP) 파우더로 적정 크기의 타블렛을 제조한 후, TSB용액에 담가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것을 시편으로 사용하였다. 오염시킨 HAP 타블렛 시편의 초기 L값(L은 명도를 나타내며 100일 때를 순백색, 0일 때를 흑색으로 정함)을 색차계로 측정하고,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와 같이 제조한 치아 미백용 첩포제를 물에 가볍게 적신 시편에 붙이고 일정 조건(37℃, RH 90%) 하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첩포제를 떼어낸 시편을 세척, 건조한 후 다시 L값을 측정하여 첩포제를 부착하기 전후의 L값의 차이인 △L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
오염시킨 HAP타블렛의 백도 변화
△L(초기 L값 대비 첩포제 부착 후의 L값의 편차)
실시예 1 34.05 2.96
실시예 2 47.49 3.40
실시예 4 26.75 2.63
실시예 6 30.43 2.74
실시예 8 28.68 2.94
비교예 1 20.69 2.06
비교예 2 18.06 1.93
비교예 4 22.43 2.19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과산화수소 및 과산화요소와 같은 과산화물이 치아 미백 효과가 있으며 함량이 늘어남에 따라 미백 효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8에서와 같이 과산화물 활성화제로서 수산화나트륨 또는 금속염류를사용하였을 때, 비교예 1과 같은 과산화물 단독 처방보다 현저하게 높은 정도로 미백 효과가 나타나며 금속염류보다는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2, 4와 같이 격리층이 없거나 과산화물의 안정화제로서 인산염류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과산화물의 경시 안정성에 해를 끼쳐 결과적으로 미백 효과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과산화물의 경시 안정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와 같이 제조한 치아 미백용 첩포제의 고온 다습 조건(45℃, RH 90%)에서의 과산화물의 경시 안정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플라스크에 무게를 측정한 첩포제(1제) 시료와 용매를 넣고 완전히 용해시킨 후, 6N 염산 5ml과 요오드화 칼륨 2g을 더해 녹인 다음, 냉암소에 1시간 정도 방치했다가 50mM 티오설페이트 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하여 첩포제(1제) 내의 과산화물 함량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과산화물의 잔존 비율(초기 함량 대비) 단위(%)
실시예1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7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1주 98 96 97 97 93 94 94
2주 96 90 95 95 86 89 90
4주 92 83 90 90 73 78 81
6주 88 77 85 84 60 65 71
8주 85 72 80 80 46 51 60
상기 표5에서와 같이 실시예 1, 7 및 실시예 5와 비교예 4를 비교할 때, 과산화물의 안정성 향상에 인산염류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산성 피로인산나트륨(SAPP)과 같은 산성계 축합 인산염을 사용하면 과산화물의 경시 안정성이 더욱 양호해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5, 7과 실시예 4를 비교할 때, 과산화요소 보다는 과산화수소의 고온에서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과산화요소의 특성상 고온에서 상당히 불안정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비교예 2와 같이 격리층이 없는 경우, 고온에서 약물 성분 간의 유동과 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과산화물의 경시 안정성에 해악을 끼치게 된다. 또한 비교예 4와 같이 별도의 과산화물 안정화제를 처방하지 않았을 경우, 과산화수소의 경시 안정성은 매우 불량해지며 이는 미백 효과의 소실로 이어짐을 예상할 수 있다.
시험예 3. 치아 미백 효과의 소요 시간 평가
일정 수준의 치아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데 필요한 시간을 비교하기 위해 상기 시험예 1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방법이지만 제조물의 부착 시간에 차이를 두어 상대적인 미백 효과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6과 같다.
오염시킨 HAP 타블렛의 시간 편차에 따른 백도 변화
△L(15분) △L(30분) △L(1시간)
실시예 1 25.72 2.39 34.05 2.96 42.18 3.86
실시예 6 19.94 2.05 30.43 2.74 40.83 3.65
비교예 1 14.89 1.49 20.69 2.06 29.36 2.67
비교예 2 12.67 0.06 18.06 1.93 26.17 0.18
상기 표 6에서 실시예 1, 6과 비교예 1을 비교할 때, 활성화제의 작용에 의한 미백 촉진 작용을 알 수 있다. 상대적으로 빠른 미백 효과를 보임으로써 첩포제의 치아 부착 시간을 절반 수준으로 줄여도 대등한 수준의 결과를 얻게 된다. 실시예 1, 6과 비교예 2를 비교해 보면 격리층의 유무로 인해 과산화물의 경시 안정성에 현격한 차이가 생김에 따라 결과적으로 미백 효과에서도 큰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과 6을 비교할 때, 격리층의 기제로서는 플루란이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플루란이 HPMC에 비해 일정량 이상의 수분 유입시 물 또는 타액에 대한 용해 속도가 보다 빠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4. 시간별 미백효과 비교
상기 실시예1에 따른 치아 미백용 첩포제와 현재 시중에 시판되는 있는 타사의 치아 미백용 첩포제에 대한 시간 경과에 따른 치아 미백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치아 미백첩포제를 일정시간 동안 치아에 부착한 후, 부착 이전의 백도(L값)과 비교하여 개선 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본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용 첩포제는 시간 경과에 따른 미백효과가 타사제품에 비해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층형 치아미백 첩포제는 과산화물과 과산화물 활성화제를 별도의 약물층에 함유시켜 분리시키고 그 사이에 격리층을 삽입함으로써 약물층 성분들 간의 부적절한 유동과 반응을 차단하는 구성함으로 일 약물층에 함유된 과산화물 활성화제로 인해 보다 짧은 시간 내에 보다 높은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계면활성제의 작용으로 치아 표면의 막을 제거하여 활성 성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며, 타약물층에 함유된 치아미백 성분으로 사용되는 과산화물이 고온에서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과산화물 및 활성화제의 함량을 낮게 사용할 수 있어 인체에 안전하며, 치아 부착 및 탈착 등이 간편하며, 또한 치아에 제공되는 활성 물질이 충분한 시간 동안 치아 표면에 고정되고 구강 내부에서의 물리적, 화학적인 침식으로부터 보호됨으로써 안정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치아 미백용 첩포제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약물의 유동을 막아주어 안정성을 높이고 유통, 보관 중의 훼손을 방지하는 지지층, 건조 타입(dry type)의 필름 (Film) 형태로 구성된 2층 이상의 약물층, 상기 2층 이상의 각 약물층을 분리, 안정화시키는 1층 이상의 격리층, 약물의 안정성을 높이고 약물이 손 등에 묻지 않아 치아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배면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형 치아미백 첩포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층에 사용되는 필름 형성 기제로는 플루란(pullulan),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오즈(HMC),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HEC),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HPC),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HPMC), 알지네이트(sodium alginate), 젤라틴(gelatin), 펙틴(pectin), 폴리비닐알코올(PVA)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형 치아미백 첩포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 및 상기 배면층은 각각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올레핀계 화합물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형 치아미백 첩포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층은 과산화물 및 과산화물 활성화제를 함유하고, 과산화물 안정화제로서 산성 피로인산나트륨(SAPP), 산성 메타폴리인산염(상품명 Sporix, Multiphos)과 같은 산성계 축합 인산염류를 1종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형 치아미백 첩포제.
KR1020030044968A 2003-07-03 2003-07-03 다층형 치아미백 첩포제 KR100967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968A KR100967015B1 (ko) 2003-07-03 2003-07-03 다층형 치아미백 첩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968A KR100967015B1 (ko) 2003-07-03 2003-07-03 다층형 치아미백 첩포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119A true KR20050005119A (ko) 2005-01-13
KR100967015B1 KR100967015B1 (ko) 2010-06-30

Family

ID=3721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968A KR100967015B1 (ko) 2003-07-03 2003-07-03 다층형 치아미백 첩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0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5419A (zh) * 2014-01-18 2014-04-23 阮仕星 水合凝胶增白牙齿贴膜
CN104173197A (zh) * 2014-08-24 2014-12-03 秦俊远 一种高效美白牙贴
KR20150057722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전이 방지층이 포함된 치아 부착용 패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9691A (en) * 1997-06-06 1999-03-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livery system for a tooth whitener using a strip of material having low flexural stiffness
US6682721B2 (en) * 2000-03-17 2004-01-27 Lg Household & Healthcare Ltd. Patches for teeth whitening
US6946142B2 (en) * 2001-06-23 2005-09-20 Lg Household & Healthcare Ltd. Multi-layer patches for teeth whitening
KR100471919B1 (ko) * 2001-07-04 2005-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연한 치아 미백 용 패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722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전이 방지층이 포함된 치아 부착용 패치
CN103735419A (zh) * 2014-01-18 2014-04-23 阮仕星 水合凝胶增白牙齿贴膜
CN104173197A (zh) * 2014-08-24 2014-12-03 秦俊远 一种高效美白牙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015B1 (ko) 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7812B1 (en) Patches for teeth whitening
KR100458336B1 (ko) 여러 층으로 된 치아 미백 용 패취
US6689344B2 (en) Patches for teeth whitening
US20090238778A1 (en) Tooth whitening compositions,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778557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eeth whitening using a dry type adhesive
US20180289606A1 (en) Multi-film delivery system for multi-component teeth whitening, desensitization and remineralization compositions
KR20040103043A (ko) 젤리형 치아미백용 패치
KR100455228B1 (ko) 반투명한 치아 미백용 패취
KR100471919B1 (ko) 유연한 치아 미백 용 패취
KR100471918B1 (ko) 치아 미백 용 패취
KR101154932B1 (ko) 안전성이 강화된 치아미백용 패취
KR100967015B1 (ko) 다층형 치아미백 첩포제
KR20050082187A (ko) 사용이 편리한 건식 치아 미백 패취
KR20040095898A (ko) 치아 미백용 첩포제
ES2427090T3 (es) Parches blanqueantes, del tipo seco, seguros, para las encías
KR20070071225A (ko) 치아 미백용 조성물
KR100471920B1 (ko) 드라이 타입의 치아 미백 패취
KR101197673B1 (ko) 산화효소를 이용한 치아미백제
KR20060048130A (ko) 건식 부착제를 사용한 치아 미백 장치
KR20160148308A (ko) 과산화물 캡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