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3831A - 주파수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주파수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3831A
KR20050003831A KR1020030045342A KR20030045342A KR20050003831A KR 20050003831 A KR20050003831 A KR 20050003831A KR 1020030045342 A KR1020030045342 A KR 1020030045342A KR 20030045342 A KR20030045342 A KR 20030045342A KR 20050003831 A KR20050003831 A KR 20050003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difference
measuring device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371B1 (ko
Inventor
김영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5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371B1/ko
Priority to US10/879,204 priority patent/US20050002450A1/en
Priority to EP20040015619 priority patent/EP1494386B1/en
Priority to JP2004197278A priority patent/JP3882085B2/ja
Priority to CNA2004100621925A priority patent/CN1578203A/zh
Publication of KR2005000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16Stabilisation of local oscil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24Carrier regulation at the receiver end
    • H04L2027/0026Correction of carrier offset
    • H04L2027/003Correction of carrier offset at baseband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44Control loops for 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63Elements of loops
    • H04L2027/0067Phase error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Measuring Frequencies, Analyzing Spect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TDD(Time Devision Duplex :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이동통신 방법에 있어서, 인접 신호되지 않은 신호 간의 위상 차를 검출하여 현재 수신 주파수와 수신된 송신 주파수의 차이를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수신측에서 정확한 복호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안테나로 송신측의 송출 신호가 수신되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복조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복조된 베이스밴드 신호에서 위상 성분만을 추출하는 제2 단계와, 인접되지 않는 신호 간의 위상 차를 검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검출된 각각의 위상 차에 대한 각각의 주파수 차를 계산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계산된 각각의 주파수 차를 합산한 후 평균하여 최종 주파수 차를 산출하는 제5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파수 측정 방법{METHOD FOR MEASURING FREQUENCY}
본 발명은 이동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파수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송신측과 수신측이 미리 정해진 주파수로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때, 양측에서 신호 송수신을 위한 주파수는 주파수 발생기에서 발생되는데상기 주파수 발생기는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특성이 변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가 움직이면 도플러(dopler) 효과에 따라 수신되는 주파수가 변할 수 있으므로 송수신되는 주파수는 서로 정확히 같을 수는 없다.
따라서, 주파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므로 수신측에서는 수신된 주파수를 정확히 측정하고 이를 감안하여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성능저하를 막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AFC(Automatic Frequency Control) 구조의 주파수 측정 장치는 도1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 주파수를 기준으로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를 출력하는 복조기(110)와,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여 상기 복조기(110)로 입력시키는 주파수 발생기(120)와, 상기 복조기(110)의 베이스 밴드를 입력으로 송신신호와 수신신호의 주파수 차를 산출하는 주파수 차 측정기(130)로 구성된다.
상기 주파수 발생기(120)는 전압제어 발진기(VCO)로 구성할 수 있다.
도1의 장치를 구비하여 수신측에서 기준주파수와 수신주파수와의 차이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신주파수를, 수신주파수를이라 하면 송수신 주파수의 차이()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만일, 송신측이라는 신호를 송신주파수()에 실어 송신했을 때 수신측이 송신주파수()를 이용하여 복조한다면(단, 송수신 주파수가 같다면) 수신측에는가 성공적으로 수신된다.
그런데, 수신측이 송신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이용한다면 수신측에서 복조한 신호는가 아니라가 된다.
이때,는 파일롯(pilot)과 같이 알려진(known) 신호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만 남게 된다.
따라서, 복조된 신호 중의 위상 변화를 관찰하여 주파수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주파수 측정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복조 신호의의 위상 성분()을 시간축에 따라 그려보면 도2의 파형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처럼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 그래프의 기울기를 추정하기만 하면 주파수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도2의 파형도와 같은 직선 기울기를 추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1) 복조 신호에서 정보(information)가 제거된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 n=1,2,...,N
2) 인접한 신호에 대해 아래의 [수학식 3]의 연산을 수행하여 도3의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신호 간의 위상 차이만을 추출한다.
3) 상기 [수학식 3]으로 구한 위상 차이에 대해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은 연산으로 주파수 차이를 계산한다.
4) 상기 [수학식 4]를 이용하면 N개의 각 주파수 차이가 얻어짐으로 이를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은 연산으로 평균하여 최종 주파수 차이를 구한다.
즉, 상기 과정은 처음과 마지막 신호의 값만을 이용하여 주파수 차이를 계산하는 것으로,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편의를 위하여 위상 성분만 예를 들면, N개의 위상은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 ...,
이때, 인접한 신호 간의 위상 차이는 아래와 같다.
....
따라서, 상기 각각의 위상 차이를 아래의 [수학식 6]과 같이 모두 덧셈하면 최종 위상차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결과를 평균하면 아래의 [수학식 7]과 같이 주파수 차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평균을 취하는 과정에서 중간신호의 값이 모두 사라지고 처음과 마지막 신호의 값만을 이용하여 주파수 차이를 계산하게 됨으로 최종 얻어진 주파수 차이 값이 부정확할 수밖에 없어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작용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TDD(Time Devision Duplex :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이동통신 방법에 있어서, 인접 신호되지 않은 신호 간의 위상 차를 검출하여 현재 수신 주파수와 수신된 송신 주파수의 차이를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수신측에서 정확한 복호가 이루어지도록 창안한 주파수 측정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주파수 측정 장치의 블록도.
도2는 도1의 복조신호의 위상성분에 대한 시간축 기울기를 보인 그래프.
도3은 종래 기술에서의 위상차 검출 동작을 보인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위상차 검출 동작을 보인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파수 측정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0 : 복조기 120 : 주파수 발생기
130 : 주파수 차 측정기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파수 측정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의 송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신호에서 위상 성분만을 추출하는 단계와, 인접되지 않는 신호 간의 위상 차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위상 차로부터 각각의 주파수 차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주파수 차를 평균하여 최종 주파수 차를 산출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인접한 신호와 위상 변화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최소 2샘플(sample) 이상 떨어진 신호 간을 비교하여 상대적인 위상 변화를 계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DD(Frequency Devision Duplexing : 주파수 분할 이중화) 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는 업링크(uplink), 다운링크(downlink)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하게 된다. 따라서, 다운링크의 특정 채널을 사용한다면 언제나 기지국에서 단말쪽으로 known 신호를 전달해 줄 수가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단말측에서 언제나 충분한 양의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DD 방식을 사용하는 W-CDMA 시스템의 경우에서는 common 채널 중의 하나인 CPICH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채널은 기지국이 살아 있는 한 항상 송신하는 채널이다.
따라서, 단말측에서 주파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CPICH를 이용한다면 확산 이득(spreading gain)에 따라서 높은 수준의 SNR(신호대 잡음비)을 가지는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10ms 동안 150symbol(=38400chip)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TDD 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는 업링크, 다운링크가 서로 시간을 나누어서 통신하게 된다.
따라서, 업링크를 사용하는 시간에는 다운링크를 사용하지 못하므로 기지국에서 단말쪽으로 known 신호를 전달해 줄 수 있는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
예를 들어, TDD 방식을 사용하는 TD-SCDMA 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는 다운링크를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이용할 수 있는 known 신호로는 통화채널(traffic channel)이 전송될 때 함께 전송되는 midamble 신호 밖에 없다.
그런데, 12.2kbps 채널의 경우 midamble 신호가 차지하는 비율은 2.11%(5ms 동안 총 6800chip 중에서 144chip) 밖에 되지 않고 이도 chip level의 신호이므로 SNR이 낮은 저품질의 신호만을 이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TD-SCDMA 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는 기존 방법 보다 저품질의적은 양의 신호를 이용하여 좀더 정확히 주파수 차이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다.
본 발명은 입력신호에 잡음이 많을 경우에도 정확히 주파수 차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장치는 도1의 블록도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5의 동작 순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로 송신측의 송출 신호가 수신되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복조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복조된 베이스밴드 신호에서 위상 성분만을 추출하는 제2 단계와, 인접되지 않는 신호 간의 위상 차를 검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검출된 각각의 위상 차에 대한 각각의 주파수 차를 계산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계산된 각각의 주파수 차를 합산한 후 평균하여 최종 주파수 차를 산출하는 제5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도4의 예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파수 차 측정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복조 신호에서 정보(information)가 제거된 아래의 [수학식 11]와 같이 표현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 n=1,2,...,N
2) 도4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샘플 이상 떨어진 신호에 대해 아래의 [수학식 12]의 연산을 수행하여 위상 차이를 추출한다.
3) 상기 [수학식 12]와 같이 구한 위상 차이로부터 아래의 [수학식 13]와 같은 연산으로 각각의 주파수 차이를 계산한다.
4) 상기 [수학식 13]를 이용하여 얻어진 N개의 각 주파수 차이값에 대해 아래의 [수학식 14]와 같은 연산으로 평균하여 최종 주파수 차이를 구한다.
즉,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과정은 k개 샘플만큼 떨어진 신호 간의 위상차를 구하여 주파수 차이를 계산하는 것으로,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편의를 위하여 위상 성분만 예를 들면, N개의 위상은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 ...,
이때, k개 샘플만큼 떨어진 신호 간의 위상 차이는 아래와 같다.
....
따라서, 상기 각각의 위상 차이를 아래의 [수학식 15]와 같이 모두 덧셈하면 최종 위상차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수학식 15]와 같이 얻어진 위상차를 평균하여 주파수로 변환하면 최종적으로 원하는 주파수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k값에 따라 다르지만, (+)항목에서 k개, (-)항목에서 k개의 신호 성분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좀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접한 신호들끼리의 위상차를 계산하는 종래 방법이 아닌 k개 떨어진 신호들 간의 위상차이를 계산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중간에 위치한 신호들이 사라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입력신호에 잡음이 많을 경우에도 좀 더 정확히 주파수 차이를 측정할 수 있어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TD-SCDMA 통신 환경에서 주파수 측정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의 송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신호에서 위상 성분만을 추출하는 단계와,
    인접되지 않는 신호 간의 위상 차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각각의 위상 차에 대해 각각의 주파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주파수를 합산, 평균하여 최종 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최종 주파수는 아래의 식과 같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측정 방법.
    여기서,,이다. 단, n= 1,2,...,k,...,N이다.
KR1020030045342A 2003-07-04 2003-07-04 주파수 측정 방법 KR100548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342A KR100548371B1 (ko) 2003-07-04 2003-07-04 주파수 측정 방법
US10/879,204 US20050002450A1 (en) 2003-07-04 2004-06-30 Frequency difference measuring method
EP20040015619 EP1494386B1 (en) 2003-07-04 2004-07-02 Improved measurement of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4197278A JP3882085B2 (ja) 2003-07-04 2004-07-02 周波数差測定方法
CNA2004100621925A CN1578203A (zh) 2003-07-04 2004-07-02 频差测量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342A KR100548371B1 (ko) 2003-07-04 2003-07-04 주파수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831A true KR20050003831A (ko) 2005-01-12
KR100548371B1 KR100548371B1 (ko) 2006-02-02

Family

ID=33432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342A KR100548371B1 (ko) 2003-07-04 2003-07-04 주파수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02450A1 (ko)
EP (1) EP1494386B1 (ko)
JP (1) JP3882085B2 (ko)
KR (1) KR100548371B1 (ko)
CN (1) CN15782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320B1 (ko) * 2009-06-29 2013-12-11 지티이 코포레이션 서브 밴드 인덱스 확정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41826B (zh) * 2009-03-20 2012-04-2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终端afc的测试方法和终端测试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159A (ja) * 1993-03-29 1994-10-07 Toshiba Corp ディジタル復調器
US5654982A (en) * 1995-06-29 1997-08-05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arrier frequency offset and timing frequency offset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JP3511798B2 (ja) * 1996-05-08 2004-03-29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DE69733706T2 (de) * 1996-05-30 2005-12-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Empfänger für digitalen Rundfunk
US5982809A (en) * 1997-01-23 1999-11-09 Cwill Tele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recovery and compensation i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US5999561A (en) * 1997-05-20 1999-12-07 Sanconix, Inc.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method, computer-based product, apparatus and system tolerant to frequency reference offset
WO2001086904A1 (en) * 2000-05-05 2001-11-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to estimate frequency offset in a receiver
US7218901B1 (en) * 2001-09-18 2007-05-15 Scientific-Atlanta, Inc. Automatic frequency control of multiple channe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320B1 (ko) * 2009-06-29 2013-12-11 지티이 코포레이션 서브 밴드 인덱스 확정 방법 및 장치
US8817720B2 (en) 2009-06-29 2014-08-26 Zte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subband inde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82085B2 (ja) 2007-02-14
EP1494386A3 (en) 2008-06-11
EP1494386A2 (en) 2005-01-05
US20050002450A1 (en) 2005-01-06
CN1578203A (zh) 2005-02-09
KR100548371B1 (ko) 2006-02-02
JP2005033791A (ja) 2005-02-03
EP1494386B1 (en)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8588B1 (ko) 무선통신장치및무선통신방법
KR100321865B1 (ko) 수신sir측정방법,장치및송신전력컨트롤러
US6928274B2 (en) Receiver device for a mobile radiocommunication unit employing a speed estimator
US5799005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ceived pilot power and path loss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JPH0998465A (ja) 携帯無線電話制御法及び携帯無線電話機
US7508862B2 (en) Determination and selection of transmission paths as a function of the operating situation for setting up rake fingers for rake receiver unit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A2590022A1 (en) Channel estimator with extended channel bandwidth
KR100575973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불연속전송구간 검출방법 및 장치
US65840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FDM communication
KR2007004983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옵셋 추정 방법 및 그 장치
EP12802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IR in a Rake-receiver
US8107564B2 (en) Device for detecting a frequency offset
US8737550B1 (en) Estimating optimal linear regression filter length for channel estimation
KR10164395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0548371B1 (ko) 주파수 측정 방법
JP2000078110A (ja) Rake受信機,無線受信装置およびrake受信機のパス検出方法
US8483331B2 (en) Receiving device and radio quality calculation method
US6724808B1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of measuring Eb/N0 after weighted signals are combined
KR10097377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방법
KR100690107B1 (ko) Tdd 방식의 중계기에서 상하향링크 비율 절체 방법
EP1082868B1 (en) Method of measuring signal timing, and radio system
EP1998523A1 (en) Dynamic DC offset canceling apparatus and dynamic DC offset canceling method
KR20060066877A (ko) 휴대인터넷 tdd방식중계기의 상,하향 링크 스위칭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식
KR101741355B1 (ko) Lte 통신시스템의 커버리지 확장 장치 및 방법
JP2019021963A (ja) 復調器及び復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