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778B1 -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778B1
KR100973778B1 KR20070129890A KR20070129890A KR100973778B1 KR 100973778 B1 KR100973778 B1 KR 100973778B1 KR 20070129890 A KR20070129890 A KR 20070129890A KR 20070129890 A KR20070129890 A KR 20070129890A KR 100973778 B1 KR100973778 B1 KR 100973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radio signal
measurement
communication terminal
measurement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29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5695A (ko
Inventor
데쓰오 시모무라
유키히코 오쿠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80055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026Route selection considering the moving speed of individu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속도에 관계없이, 패스 타이밍이나 수신 레벨의 측정 정밀도를 확보함으로써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상태를 취득하는 이동 상태 취득부(120)와, 이동 상태 취득부(120)에 의하여 취득된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의 전반로(傳搬路)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송신 측과 수신 측에서 그 설정치가 사전에 알려진 기지(旣知) 신호의 개수, 또는 무선 신호의 측정 간격 Tm을 포함하는 측정 조건을 결정하는 패스 서치부(131)와, 패스 서치부(131)에 의해 결정된 측정 조건에 기초하여, 무선 신호를 사용한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수신 레벨 측정부(135) 및 복조부(137)를 구비한다.
이동 통신, 멀티 패스, 통신 네트워크, 패스 타이밍, 신호 처리, 통신 품질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방법{MOBILE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수신한 무선 신호의 전반로(傳搬路)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송신 측과 수신 측에서 설정치가 알려진 기존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무선 신호를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의 상태에 기초하여 통신 제어를 실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체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방향이나 이동 속도에 따라 최적인 무선 기지국을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선택시키기 위해,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의 시계열 데이터를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구체적으로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시계열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수신 전계 강도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최적인 수신 전계 강도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무선 기지국을 선택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제3481101공보(3페이지, 도 4)
그런데,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는, 역확산 처리에 의해 분리된 멀티 패스(multi path)의 기준 타이밍에 대한 시간차를 나타낸 패스 타이밍이나 무선 신호의 수신 레벨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측정된다.
패스 타이밍이나 수신 레벨의 측정에서는, 수신한 무선 신호의 전반로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송신 측과 수신 측에서 그 설정치가 기존에 알려진 파일럿 심볼(기존에 알려진 신호) 개수를 증가시킬수록, 페이징(phasing)의 영향 등이 억제되고, 무선 신호의 S/N비가 개선된다. 그러므로, 패스 타이밍나 수신 레벨의 측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한편, 측정에 사용되는 파일럿 심볼의 개수를 증가시키면, 패스 타이밍나 수신 레벨의 측정 시간이 길어진다. 그러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가 고속(예를 들면, 100km/h이상)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이하, 「고속 이동시」로 약칭한다), 도플러 시프트에 의하여 측정 대상의 파일럿 심볼의 위상이 시프트되며, 패스 타이밍나 수신 레벨의 측정 정밀도가 저하된다. 이와 같은 측정 정밀도의 저하는, 2GHz대역과 같은 높은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가 초고속(예를 들면, 200km/h이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특히 잘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측정 대상의 파일럿 심볼의 위상이 시프트되는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패스 타이밍나 수신 레벨의 측정 시간을 짧게 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 가 정지 또는 저속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이하, 「저속 이동시」로 약칭한다)의 무선 신호의 S/N비가 악화되며, 패스 타이밍의 측정 정밀도가 저하된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속 이동시 및 저속 이동시의 양 쪽 경우에, 패스 타이밍나 수신 레벨의 측정 정밀도를 확보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패스 타이밍의 측정 정밀도가 저하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복조에 사용하는 멀티 패스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수신 레벨의 측정 정밀도가 저하되면, 적절한 무선 기지국을 선택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통신 품질이 열화 된다(예를 들면, SIR이나 BLER의 열화 및 스루풋의 저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이율배반적인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이동 속도에 관계없이, 패스 타이밍나 수신 레벨의 측정 정밀도를 확보함으로써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수신한 무선 신호의 전반로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송신 측과 수신 측에서 그 설정치가 사전에 알려진 기지 신호(파일럿 심볼 P)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무선 신호 S)를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의 상태에 기초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이동 통신 단말기(100))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상태(예를 들면, 이동 속도 v)를 취득하는 이동 상태 취득부(이동 상태 취득부(120))와, 상기 이동 상태 취득부에 의하여 취득된 상기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 신호의 개수(파일럿 심볼의 개수 Ns), 또는 상기 무선 신호의 측정 간격(측정 간격 Tm)을 포함하는 측정 조건을 결정하는 측정 조건 결정부(패스 서치부(131))와, 상기 측정 조건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측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사용한 상기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신호 처리부(수신 레벨 측정부(135), 복조부(137))를 구비한 것을 요지로 한다.
이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기지 신호, 구체적으로는 파일럿 심볼의 개수, 또는 무선 신호의 상태의 측정 간격을 포함하는 측정 조건이 결정된다.
그러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속 이동시에는, 무선 신호의 전반로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일럿 심볼의 개수를 줄이거나, 무선 신호 상태의 측정 간격(측정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저속 이동시에는, 파일럿 심볼의 개수를 늘리거나 무선 신호 상태의 측정 간격을 길게 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이동 속도에 관계없이 패스 타이밍이나 수신 레벨의 측정 정밀도가 확보되어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과 관련되어, 상기 신호 처리부는, 소정의 기준 타이밍(기준 타이밍 T)에 대한 멀티 패스(예를 들면, 멀티 패스 MP1, MP2)의 시간차를 나타낸 패스 타이밍(패스 타이밍 Tp)의 측정, 또는 상기 무선 신호에 관한 상기 수신 레벨의 측정과, 상기 무선 신호를 사용한 복조를 실행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과 관련되어, 상기 이동 상태 취득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이동 속도 v)를 취득하고, 상기 측정 조건 결정부는, 상기 이동 상태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이동 속도가 소정의 임계치(예를 들면, 1OOkm/h)보다 낮은 경우, 상기 무선 신호의 상태의 측정에 사용되는 상기 기존 신호의 개수를 늘리고, 상기 이동 상태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이동 속도가 소정의 임계치(예를 들면, 200km/h)보다 높은 경우, 상기 무선 신호의 상태의 측정에 사용되는 상기 기존 신호의 개수를 줄이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과 관련되어, 상기 이동 상태와 상기 기지 신호의 개수와 상기 측정 간격이 대응된 측정 조건 테이블(측정 조건 테이블 TB)을 가지고, 상기 측정 조건 결정부는, 상기 측정 조건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 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수신한 무선 신호의 전반로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송신 측과 수신 측에서 그 설정치가 사전에 알려진 기지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의 상태에 기초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이동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상태를 취득하는 단계와, 취득된 상기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 신호의 개수 또는 상기 무선 상호의 측정 간격을 포함하는 측정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상기 측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사용한 상기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이동 속도에 관계없이, 패스 타이밍이나 수신 레벨의 측정 정밀도를 확보함으로써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각의 치수의 비율 등은 실제와는 상이함에 유의해야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만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물론 포함되어 있다.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크워크(10), 무선 기지국(11, 12) 및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의해 구성된다.
통신 네크워크(10)는, 무선 기지국(11)과 무선 기지국(12)을 접속하기 위한 유선 통신 네트워크이다.
무선 기지국(11) 및 무선 기지국(12)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소정의 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기지국(11, 12) 및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에 따른 2GHz대역의 무선 신호 S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기지국(11, 12) 및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수신한 무선 신호 S의 전반로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송신 측과 수신 측에서 그 설정치가 사전에 알려진 파일럿 심볼 P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S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일럿 심볼 P는, 기지 신호를 구성한다.
파일럿 심볼 P는, "마사무라 다쓰로(正村 達郞)가 편집한 「무선 기술과 그 응용2 이동체 통신」(2-2-2절, 마루젠 주식회사)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신 측의 장치,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송신 데이터 변조 위상은 미리 알려진 심볼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파일럿 심볼 P의 수신 위상 및 진폭을 참조 위상 및 진폭으로서 사용한다. 또한, 파일럿 심볼 P의 구성으로서는, 전술한 서적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코드 다중형 외에, 시간 다중형이나 주파수 다중형일 수도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신호 S를 무선 기지국(11)(또는 무선 기지국(12))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무선 신호 S 상태에 기초하여 신호 처리, 예를 들면, 무선 신호 S, 구체적으로는, 무선 신호 S의 수신 레벨 L의 측정을 실행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 구성)
다음에,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기능 블록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체 기능 블록 구성, 및 신호 처리부의 상세 기능 블록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주로 본 발명과의 관련이 있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해당 장치로서의 기능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필 수적인, 도시하지 않거나, 혹은 설명을 생략한 기능 블록(조작키부 등)을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1) 전체 기능 블록 구성
도 2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체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이동 상태 취득부(120), 신호 처리부(130), 통신 제어부(140) 및 배터리(150)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무선 기지국(11, 12)과 CDMA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부(110)는, 무선 기지국(11, 12)과 무선 신호 S를 송수신한다.
이동 상태 취득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동 상태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상태 취득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동 속도 v를 측정하거나, 혹은 추정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동 상태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이동 상태 취득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동에 수반하는 도플러 시프트에 기인하는 파일럿 심볼 P의 위상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이동 속도 v를 추정한다. 또한, 이동 상태 취득부(120)는, 단위시간 내에 검출하는 무선 기지국(셀)의 개수나,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존재하는 셀을 변경하는 빈도에 기초하여, 이동 속도 v를 검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상태 취득부(120)는,Global Positioning System(GPS)을 사용하여 이동 속도 v를 측정해도 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 자동차의 차속 펄스를 사용하여 이동 속도 v를 측정해도 된다.
또한, 이동 상태 취득부(120)는, 가속도 센서나 IC 태그 리더를 구비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이동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이동 상태를 취득해도 된다.
신호 처리부(130)는,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출력된 수신 신호, 및 무선 통신부(110)에 입력되는 송신 신호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13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 타이밍 T에 대한 멀티 패스(예를 들면, 멀티 패스 MP2)의 시간차를 나타낸 패스 타이밍 Tp의 측정을 실행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30)는, 무선 신호 S에 관한 수신 레벨 L, 구체적으로는, 무선 신호 S에 포함되는 파일럿 채널(도시하지 않음)의 RSCP 또는 Ec/N0의 측정과 무선 신호 S를 사용한 복조를 실행한다. 신호 처리부(130)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통신 제어부(140)는, 무선 신호 S를 사용한 통신 제어를 실행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 처리부(130)에 의해 결정된 무선 신호 S의 상태의 측정 조건에 기초하여 통신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140)는, 수신 레벨 L의 값이 양호한 무선 기지국을 선택하거나, 선택한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음성 통화의 발착신 처리 등을 실행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140)는, 핸드 오버에 관한 제어, 통신 품질(SIR, BLER)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는 무선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등을 실행한다.
배터리(150), 무선 통신부(110), 이동 상태 취득부(120), 신호 처리부(130) 및 통신 제어부(14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2) 신호 처리부(130)의 상세 기능 블록 구성
도 3은, 신호 처리부(130)의 상세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130)는, 패스 서치부(131), RAKE 합성부(133), 수신 레벨 측정부(135), 복조부(137) 및 테이블 기억부(139)를 구비한다.
패스 서치부(131) 및 이동 상태 취득부(120)에 의해 취득된 이동 상태, 구체적 이동 속도 v에 기초하여, 무선 신호 S의 상태의 측정 조건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패스 서치부(131)는 측정 조건 결정부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패스 서치부(131)는, 무선 신호 S에 포함되는 소정 개수의 파일럿 심볼 P를 취득하고, 취득한 파일럿 심볼 P에 기초하여, 무선 신호 S의 역확산 상관치의 연산, 및 패스 타이밍 Tp(도 7 참조)의 측정을 실행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패스 서치부(131)는, 이동 상태 취득부(120)에 의하여 취득된 이동 속도 v에 기초하여, 무선 신호 S의 전반로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일럿 심볼 P의 개수(파일럿 심볼의 개수 Ns) 또는 파일럿 심볼 P의 측정 간격 Tm을 포함하는 측정 조건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패스 서치부(131)는, 테이블 기억부(139)에 기억되어 있는 측정 조건 테이블 TB에 기초하여,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 및 측정 간격 Tm을 결정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 조건 테이블 TB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 조건 테이블 TB에서는, 이동 상태와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와 측정 간격 Tm이 대응하고 있다. 또한, 측정 조건 테이블 TB에서는, 상태 0 ∼ 2까지의 3개의 이동 상태가 규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지 또는 10Okm/h이하의 이동 상태(상태 O), 100km/h초과 ∼ 200km/h의 고속 이동 상태(상태 1), 및 200km/h초과의 초고속 이동 상태(상태 2)가 규정되어 있다.
패스 서치부(131)는, 이동 상태 취득부(120)에 의해 취득된 이동 속도 v가 소정의 임계치(예를 들면, 100km/h)보다 낮은 경우, 측정 조건 테이블 TB에 기초하여 측정 간격 Tm을 길게(40ms → 100ms)하는 동시에,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를 증가시킨다(6 → 10).
한편, 패스 서치부(131)는, 이동 상태 취득부(120)에 의해 취득된 이동 속도 v가 소정의 임계치(예를 들면, 200km/h)보다 높은 경우,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를 줄인다(6 → 4). 그리고, 패스 서치부(131)는, 이동 상태 취득부(120)에 의해 취득된 이동 속도 v가 소정의 임계치(예를 들면, 200 km/h)보다 높은 경우, 측정 간격 Tm을 줄여도 된다(예를 들면, 40ms → 30ms).
RAKE 합성부(133)는, 패스 서치부(131)로부터 출력된 패스 타이밍 Tp나 역확산 상관치를 사용하여, 멀티 패스 MP1 ∼ MP3 (도 7 참조)의 RAKE 합성을 실행한다.
수신 레벨 측정부(135)는, 무선 신호 S의 수신 레벨 L을 측정한다. 수신 레벨 측정부(135)는, 패스 서치부(131)로부터 통지된 측정 간격 Tm마다 무선 신호 S의 수신 레벨 L을 측정한다.
복조부(137)는, RAKE 합성부(133)에 의해 RAKE 합성이 실행된 수신 신호의 복조 처리를 실행한다.
테이블 기억부(139)는, 측정 조건 테이블 TB를 기억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다음에,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1) 이동 상태 취득 동작, (2) 패스 타이밍·수신 레벨 취득 동작, 및 (3) 복조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이동 상태 취득 동작
도 4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의한 이동 상태 취득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1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동 상태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동에 수반하는 도플러 시프트에 기인하는 파일럿 심볼 P의 위상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이동 속도 v를 추정한다.
단계 S2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취득한 이동 속도 v에 따른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 및 측정 간격 Tm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취득한 이동 속도 v와, 측정 조건 테이블 TB(도 8 참조)에 기초하여,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 및 측정 간격 Tm을 설정한다.
(2) 패스 타이밍·수신 레벨 취득 동작
도 5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의한 패스 타이밍·수신 레벨 취득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11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동 상태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동 속도 v에 기초하여, 이동 통신 단말 기(100)의 이동 상태가 상태 0 내지 상태 2(도 8 참조)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판정한다.
단계 S12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측정 조건 테이블 TB에 기초하여, 판정한 이동 상태(상태 0 ∼ 상태 2)에 따른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를 취득한다.
단계 S13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신호 S의 역확산 상관치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S120에서 취득한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에 기초하여 소정 개수(예를 들면, 6개)의 파일럿 심볼 P를 사용하고, 무선 신호 S의 역확산 상관치를 연산한다.
단계 S14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패스 타이밍 Tp(도 7 참조)를 측정한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멀티 패스 MP1과 멀티 패스 MP2 사이의 시간 간격을 측정한다.
단계 S15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연산한 역확산 상관치의 적분을 실행함으로써, 무선 신호 S의 수신 레벨 L을 취득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전술한 단계 S110 ∼ S150의 처리를 측정 간격 Tm마다 반복한다.
(3) 복조 동작
도 6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의한 복조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21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패스 타이밍 Tp나 역확산 상관치를 사용하여, 멀티 패스 MP1 ∼ MP3의 RAKE 합성을 실행한다.
단계 S22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RAKE 합성이 실행된 수신 신호의 복조 처리를 실행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산기 단계 S210 및 상기 단계 S220의 처리를 측정 간격 Tm마다 반복한다.
(작용·효과)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동 상태(이동 속도 v)에 기초하여 무선 신호 S의 전반로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 또는 무선 신호 S의 상태의 측정 간격 Tm을 포함하는 측정 조건이 결정된다.
그러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고속 이동시에는,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를 줄이거나 무선 신호 S 상태의 측정 간격 Tm(측정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저속 이동시에는,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를 늘리거나 무선 신호 S의 상태의 측정 간격 Tm을 길게 할 수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의하면, 이동 속도 v에 관계없이 패스 타이밍 Tp나 수신 레벨 L의 측정 정밀도가 확보되고, 통신 품질, 구체적으로는, SIR이나 BLER 및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저속 이동시에는, 무선 신호 S의 상태의 측정 간격 Tm을 길게 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150)의 소모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동 상태와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와 측정 간격 Tm이 대응하고 있는 측정 조건 테이블 TB가 사용된다. 그러므로, 테이블 기억부(139)에 기억되어 있는 측정 조건 테이블 TB의 내용을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무선 신호 S의 상태의 측정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예)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는 다양한 대체 실시예를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측정 조건 테이블 TB를 사용하여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와 측정 간격 Tm이 결정되고 있지만,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이하와 같은 연산식을 사용하여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와 측정 간격 Tm을 결정해도 된다.
· Ns = P1/v …(식 1)
· Tm = P2/v …(식 2)
여기서, P1 및 P2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방식 등에 따라 결정되는 파라미터이다. 또한, v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동 속도(단위: s·km/h)이다. 예를 들면, P1으로서 800(단위: km/h), P2로서 8(단위: s·km/h)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식 1 및 식 2를 사용하여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 및 측정 간격 Tm을 결정하는 경우,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 및 측정 간격 Tm의 상한치나 하한치를 설정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이동 상태 취득 동작(도 4 참조)을 소정의 주기로 반복하고,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 또는 측정 간격 Tm이 경 신된 경우, 경신된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 또는 측정 간격 Tm을 사용하여 패스 타이밍·수신 레벨 취득 동작(도 5 참조)을 실행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지만, 단계 S110에서 이동 상태 취득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이 경우, 단계 S110에서의 이동 상태 취득 동작에 의해 파일럿 심볼의 개수 Ns도 설정되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S120을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통신 시스템은, CDMA 방식이 이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CDMA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통속 시스템에서는, 2GHz대역의 무선 신호 S가 이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대는, 2GHz대역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 기재하고 있지 않은 다양한 실시예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관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체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의 상세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한 이동 상태 취득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한 패스 타이밍·수신 레벨 취득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한 복조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수신하는 멀티 패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조건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 통신 네트워크 11, 12: 무선 기지국
100: 이동 통신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20: 이동 상태 취득부 130: 신호 처리부
131: 패스 서치부 133: RAKE 합성부
135: 수신 레벨 측정부 137: 복조부
139: 테이블 기억부 ` 140: 통신 제어부
150: 배터리 MP1 ∼ MP3: 멀티 패스
P: 파일럿 심볼 S: 무선 신호
TB: 측정 조건 테이블 Tp: 패스 타이밍

Claims (7)

  1. 수신한 무선 신호의 전반로(傳搬路)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송신 측과 수신 측에서 그 설정치가 사전에 알려진 기지(旣知)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무선 신호를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의 상태에 기초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취득하는 이동 상태 취득부와,
    상기 이동 상태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 신호의 개수 또는 상기 무선 신호의 측정 간격을 포함하는 측정 조건을 결정하는 측정 조건 결정부와,
    상기 측정 조건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측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사용한 상기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조건 결정부는, 상기 이동 속도와 상기 기지 신호의 개수와 상기 측정 간격이 대응된 측정 조건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 조건을 결정하되, 상기 이동 속도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측정 간격 및 상기 기지 신호의 개수 중 하나 이상을 늘이고, 상기 이동 속도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측정 간격 및 상기 기지 신호의 개수 중 하나 이상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소정의 기준 타이밍에 대한 멀티 패스(multi path)의 시간차를 나타낸 패스 타이밍의 측정,
    또는 상기 무선 신호에 관한 수신 레벨의 측정과, 상기 무선 신호를 사용한 복조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3. 삭제
  4. 삭제
  5. 수신한 무선 신호의 전반로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송신 측과 수신 측에서 그 설정치가 사전에 알려진 기지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의 상태에 기초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가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이동 통신 방법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취득하는 단계와,
    취득된 상기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 신호의 개수 또는 상기 무선 신호의 측정 간격을 포함하는 측정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상기 측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사용한 상기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이동 속도와 상기 기지 신호의 개수와 상기 측정 간격이 대응된 측정 조건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 조건을 결정하되, 상기 이동 속도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측정 간격 및 상기 기지 신호의 개수 중 하나 이상을 늘이고, 상기 이동 속도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측정 간격 및 상기 기지 신호의 개수 중 하나 이상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방법.
  6. 수신한 무선 신호의 전반로(傳搬路)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송신 측과 수신 측에서 그 설정치가 사전에 알려진 기지(旣知)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무선 신호를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의 상태에 기초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취득하는 이동 상태 취득부와,
    상기 이동 상태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 신호의 개수 또는 상기 무선 신호의 측정 간격을 포함하는 측정 조건을 결정하는 측정 조건 결정부와,
    상기 측정 조건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측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사용한 상기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조건 결정부는, 하기의 수식;
    Ns = P1/v,
    Tm = P2/v,
    (여기서, Tm은 측정 간격이고, Ns는 기지 신호의 개수이며, P1 및 P2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방식 등에 따라 결정되는 파라미터이고, v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이다)
    에 의해 상기 측정 간격 및 상기 기지 신호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7. 수신한 무선 신호의 전반로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송신 측과 수신 측에서 그 설정치가 사전에 알려진 기지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의 상태에 기초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이동 통신 방법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상태를 취득하는 단계와,
    취득된 상기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 신호의 개수 또는 상기 무선 신호의 측정 간격을 포함하는 측정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상기 측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사용한 상기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하기의 수식;
    Ns = P1/v,
    Tm = P2/v,
    (여기서, Tm은 측정 간격이고, Ns는 기지 신호의 개수이며, P1 및 P2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방식 등에 따라 결정되는 파라미터이고, v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이다)
    에 의해 상기 측정 간격 및 상기 기지 신호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방법.
KR20070129890A 2006-12-13 2007-12-13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방법 KR100973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6279 2006-12-13
JPJP-P-2006-00336279 2006-12-13
JP2007321385A JP2008172768A (ja) 2006-12-13 2007-12-12 移動通信端末及び移動通信方法
JPJP-P-2007-00321385 2007-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695A KR20080055695A (ko) 2008-06-19
KR100973778B1 true KR100973778B1 (ko) 2010-08-03

Family

ID=3970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29890A KR100973778B1 (ko) 2006-12-13 2007-12-13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172768A (ko)
KR (1) KR100973778B1 (ko)
CN (1) CN1013125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5416A1 (zh) * 2009-03-17 2010-09-23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上报测量报告、及获取速度状态的方法和装置
JP5371810B2 (ja) * 2010-01-26 2013-12-18 京セラ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通信方法
US9763162B2 (en) * 2015-01-30 2017-09-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ell detec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0774A (ja) 1998-02-03 1999-08-10 Fujitsu Ltd 移動速度に基づく通信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20010051111A (ko) * 1999-10-29 2001-06-25 이데이 노부유끼 수신장치와 수신처리방법
JP2005253055A (ja) 2004-02-05 2005-09-15 Nec Corp 同期判定制御装置および同期判定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755B2 (ja) * 1994-11-25 2000-05-22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移動局のゾーン移行制御方法
JP2002094413A (ja) * 2000-09-18 2002-03-29 Toshiba Corp Rake受信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0774A (ja) 1998-02-03 1999-08-10 Fujitsu Ltd 移動速度に基づく通信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20010051111A (ko) * 1999-10-29 2001-06-25 이데이 노부유끼 수신장치와 수신처리방법
JP2005253055A (ja) 2004-02-05 2005-09-15 Nec Corp 同期判定制御装置および同期判定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72768A (ja) 2008-07-24
CN101312572A (zh) 2008-11-26
KR20080055695A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6212B1 (en) Movement sensor uses in communication systems
KR100728894B1 (ko)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기지국과 이를 이용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631668B1 (ko) 고속 데이터 전송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국수신 다이버시티 장치 및 방법
EP1933480A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CN1874597B (zh) 移动通信系统、其压缩模式控制方法以及基站和移动站
CN100493224C (zh) 一种频率校正的方法和装置
JPH0998465A (ja) 携帯無線電話制御法及び携帯無線電話機
US8831526B2 (en) Mobile station having multiple antennas to account for movement between time of quality measurement and time of data reception
EP1376963A2 (en) Detection of valid paths
JP2005012429A (ja) 移動通信端末及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KR100575973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불연속전송구간 검출방법 및 장치
US7508862B2 (en) Determination and selection of transmission paths as a function of the operating situation for setting up rake fingers for rake receiver unit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6914932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radio reception method
KR100934832B1 (ko) 이동체 통신 시스템,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단말, 그 제어 프로그램 및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동기 확립 판정 방법
US7643547B2 (en) Radio quality estim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radio quality estimation method
KR10097377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방법
WO2009118635A4 (en) Boosted, dedicated reference signal
US8483331B2 (en) Receiving device and radio quality calculation method
KR100979830B1 (ko) 무선 기지국,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의 이동 속도 추정 방법
US71070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movement speed of mobile unit
US20100248743A1 (en) Frequency control device, frequency control method, and base transceiver station
EP1628409B1 (en) A power level measuring device and a mobile station
JP2000124847A (ja) Cdma方式移動通信受信機
KR100548371B1 (ko) 주파수 측정 방법
JP4418289B2 (ja) ジオメトリ測定方法、無線受信装置及び移動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