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3091A - 무선 스피커 출력 절환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스피커 출력 절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3091A
KR20050003091A KR1020030043219A KR20030043219A KR20050003091A KR 20050003091 A KR20050003091 A KR 20050003091A KR 1020030043219 A KR1020030043219 A KR 1020030043219A KR 20030043219 A KR20030043219 A KR 20030043219A KR 20050003091 A KR20050003091 A KR 20050003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audio signal
signal
output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30043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3091A/ko
Publication of KR20050003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09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어떤 음원이라도 5.1 채널 이상으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돌비 프로로직 오디오 장치는, 디지털 입력단과 연결된 기기로부터 압축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IC 3으로부터 외부 입력 신호, 스테레오 또는 모노 신호를 입력받으며, 디지털 신호, 외부 입력 신호, 스테레오 모노 신호를 압축 처리 및 디코딩하여 하나의 시리얼 데이터 라인을 통해 송출하는 IC 1과, IC 1에서 출력되는 신호들 중에서 좌우측 서라운드 및 센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처리하여 좌우측 서라운드 및 센터 스피커로 출력하고, 메인 좌우측 신호와 우퍼 신호를 송출하는 IC 2 및 IC 2에서 출력되는 메인 좌우측 신호와 우퍼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처리하여 메인 좌우측 및 우퍼 스피커로 출력하고, 스테레오, 모노 또는 외부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IC 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스피커 출력 절환 장치{APPARATUS FOR CONVERTING OUTPUT OF WIRELESS SPEAKER}
본 발명은 오디오 리시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앰프에 의한 증폭 처리 없이 무선 스피커로 송신할 수 있는 무선 스피커 출력 절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오디오 처리 기술 중에서 가장 널리 보급되었으며, 음질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는 것이 돌비 AC-3 방식이다. 예를 들어, 극장용 영화에서 돌비 AC-3 방식에 의한 음향 처리가 행해지고 있다. 이것은 돌비 스테레오라고도 불리는 영화용 5.1 채널의 사운드 트랙을 필름의 트랙에 인코딩하여 기록하고 다시 이를 재생한다.
상술한 돌비 서라운드는 원래 영화관에서 재생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멀티 채널 방식이다. 이러한 멀티 채널 방식을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AC-3 방식으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AC-3 방식으로 디코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오디오 리시버가 필요하며, 이러한 오디오 리시버에는 전방 좌측, 전방 우측 채널과 대사를 중심으로 한 전방 센터 채널, 후방의 좌우 채널과 서라운드 채널을 벽면에 배치하는 다수의 스피커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오디오 리시버에 다수의 스피커를 연결할 경우, 오디오 리시버와 스피커간의 선처리가 매우 복잡하여 외관상으로 보기 안 좋은 문제점이 있다. 이런 이유로 최근 들어서는 무선 스피커가 도입되었다.
이러한 무선 스피커를 갖는 오디오 리시버에 관한 설명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오디오 리시버에서의 무선 스피커 출력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오디오 리시버에서의 무선 스피커 출력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 처리부(10), 앰프(12), 신호 감소기(14), 무선 송신기(16), 마이컴(18), 유선 스피커(20) 및 무선 스피커(30)를 포함한다. 이때 마이컴(18)은오디오 리시버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며, 특히 오디오 신호 처리부(10) 및 신호 감소기(14)를 제어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10)는 마이컴(18)의 제어 하에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멀티 채널로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각각의 채널로 분리한 후 앰프(12)에 출력시킨다. 앰프(12)는 각각의 채널로 분리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고, 분리된 오디오 신호 중에서 해당되는 채널에 연결된 유선 스피커(20)로 출력하거나 나머지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신호 감소기(14)로 출력한다.
신호 감소기(14)는 마이컴(18)의 제어 하에 앰프(12)로부터 제공받은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무선 송신에 적합 형태로 감소시켜 무선 송신기(16)에 출력하고, 무선 송신기(16)는 신호 감소기(14)에 의해서 감소된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무선 스피커(30)에 송출한다. 무선 스피커(30)는 무선 송신기(16)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무선 스피커로 송신하기 위해서는 앰프와 무선 송신기 사이에 출력 감소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앰프와 오디오 신호 처리부 사이에 스위칭부를 설치하여 무선 스피커로 출력될 오디오 신호를 증폭 없이 무선 송신부로 출력할 수 있는 무선 스피커 출력 절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입력단과 연결된 기기로부터 압축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IC 3으로부터 외부 입력 신호, 스테레오 또는 모노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디지털 신호, 외부 입력 신호, 스테레오 모노 신호를 압축 처리 및 디코딩하여 하나의 시리얼 데이터 라인을 통해 송출하는 IC 1; 상기 IC 1에서 출력되는 신호들 중에서 좌우측 서라운드 및 센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처리하여 좌우측 서라운드 및 센터 스피커로 출력하고, 메인 좌우측 신호와 우퍼 신호를 송출하는 IC 2; 및 상기 IC 2에서 출력되는 메인 좌우측 신호와 우퍼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처리하여 메인 좌우측 및 우퍼 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스테레오, 모노 또는 외부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IC 3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오디오 리시버에서 무선 스피커 출력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스피커 출력 절환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오디오 신호 처리부 102 : 마이컴
104 : 스위칭부 106 : 앰프
108 : 무선 송신기 109 : 키 조작부
110 : 유선 스피커 120/1∼120/n : 무선 스피커
122/1∼122/n : 무선 수신기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스피커 출력 절환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스피커 출력 절환 장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100), 마이컴(102), 스위칭부(104), 앰프(106), 무선 송신부(108), 키 조작부(110) 및 후방 R(Right) 스피커(120a), 후방 L(Left) 스피커(120b), 전방 L(Left) 스피커(120c), 전방 R(Right) 스피커(120d), 우퍼(120e) 및 센터 스피커(120f)를 포함한다.
마이컴(102)은 무선 스피커 출력 절환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며, 특히 스위칭부(104)를 제어하여 오디오 신호 처리부(100)에서 출력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중 일부를 무선 송신부(108)로 출력시키고, 다른 일부의 오디오 신호를 앰프(106)로 출력시킨다. 스위칭부(104)의 제어에 있어서 마이컴(102)은 키 조작부(11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스위칭부(104)를 제어하거나 기 설정된 프로그램대로 스위칭부(104)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마이컴(102)은 오디오 리시버에 후방 R, L 스피커(120a, 120b)가 무선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오디오 신호 처리부(100)에서 출력되는 멀티 채널의 오디오 신호 중 후방 R, L 오디오 신호가 무선 송신부(108)로 출력되도록 스위칭부(104)를 제어하고, 전방 R, L 오디오 신호, 우퍼 신호 및 센터 신호가 앰프(106)로 출력되도록 스위칭부(104)를 제어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1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멀티 채널로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각각의 채널 오디오 신호로 분리한 후, 각각의 채널로 분리된 오디오 신호를 각각의 다른 출력 라인을 통해 스위칭부(104)에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100)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5.1채널용 오디오 신호인 경우에 전방 R 오디오 신호는 라인①을 통해 출력하고 전방 L 오디오 신호는 라인②를 통해 출력하고 후방 R 오디오 신호는 라인③을 통해 출력하고 후방 L 오디오 신호는 라인④를 통해 출력하고 우퍼 신호는 라인⑤를 통해 출력하고 센터 신호는 라인⑥으로 출력한다.
스위칭부(104)는 마이컴(102)의 제어 하에 스위칭 동작하여 오디오 신호 처리부(100)의 출력 라인 중 일부를 무선 송신부(110)로 연결시키고, 다른 일부를 앰프(106)로 연결시킨다.
예를 들면, 후반 R, L 스피커(120a, 120b)가 무선 스피커인 경우에, 스위칭부(104)는 라인①, ②를 라인⑦과 ⑧에 연결시키고 나머지 라인③, ④, ⑤, ⑥을 앰프(106)와 연결된 라인⑨, ⑩, ⑪, ⑫에 연결시킴으로써, 전방 R, L 오디오 신호, 우퍼 신호 및 센터 신호를 앰프(106)에 제공하고 후방 R, L 오디오 신호를 무선 송신부(108)에 제공한다.
무선 송신부(108)는 스위칭부(104)에서 제공받은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무선 스피커인 후방 R, L 스피커(120a, 120b)에 송신한다. 이때 무선 스피커인 후방 R, L 스피커(120a, 120b)에는 무선 수신기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 송신부(108)에서 송신되는 무선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만큼 증폭하여 출력한다.
앰프(106)는 스위칭부(104)에서 제공받은 전방 R, L 오디오 신호, 우퍼 신호 및 센터 신호를 증폭한 후에, 이를 유선으로 연결된 스피커인 전방 R, L 스피커(120c, 120d), 우퍼(120e) 및 센터 스피커(120f)에 출력한다. 전방 R, L 스피커(120c, 120d), 우퍼(120e) 및 센터 스피커(120f)는 앰프(106)에서 제공받은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키 조작부(110)는 무선 스피커가 설치된 위치를 설정할 수 설정키를 제공하며, 설정키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마이컴(102)에 제공한다. 마이컴(102)은 키 조작부(110)에서 제공되는 조작 신호에 의거하여 스위칭부(104)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무선 스피커가 전방 R, L에 설치된 경우에 사용자는 키 조작부(110)에 설치된 설정키를 이용하여 무선 스피커의 위치를 설정하면, 키 조작부(110)는 사용자의 설정키 조작에 따른 신호를 마이컴(102)에 전송한다. 마이컴(102)은 키 조작부(11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스위칭부(104)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스위칭부(104)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스위칭부(104)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100)의 출력라인①, ②를 라인⑦, ⑧에 연결시키고, 나머지 출력라인③, ④, ⑤, ⑥을 라인⑨, ⑩, ⑪, ⑫에 연결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각 채널의 오디오 신호 중에서 무선 송신이 필요한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무선 송신부로 출력함으로써, 불필요한 신호 증폭을 없애 앰프의 로드를 줄일 수 있어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때문에 신호 감소기를 설치가 필요 없어 제품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Claims (2)

  1. 무선 수신부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스피커 및 소정 개수의 유선 스피커가 연결된 오디오 리시버의 무선 신호 출력 절환 장치에 있어서,
    멀티 채널로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멀티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각각의 채널 오디오 신호로 분리한 후 상기 각각의 채널에 대응되는 출력라인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와,
    상기 무선 스피커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입력되는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무선 스피커에 출력하는 무선 송신부와,
    상기 유선 스피커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유선 스피커로 출력하는 앰프와,
    상기 출력 라인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송신부 및 앰프에 연결시키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마이컴과,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라인들 중 일부를 상기 무선 송신부에 연결시키고, 상기 출력 라인들 중 다른 일부를 상기 앰프로 연결시키는 스위칭부
    를 포함하는 무선 스피커 출력 절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스피커 출력 절환 장치는,
    상기 무선으로 연결된 무선 스피커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키를 제공하고, 상기 설정키의 조작에 따라 신호를 상기 마이컴에 제공하는 키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이컴은, 상기 조작 신호를 토대로 상기 스위칭부에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피커 출력 절환 장치.
KR1020030043219A 2003-06-30 2003-06-30 무선 스피커 출력 절환 장치 KR20050003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219A KR20050003091A (ko) 2003-06-30 2003-06-30 무선 스피커 출력 절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219A KR20050003091A (ko) 2003-06-30 2003-06-30 무선 스피커 출력 절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091A true KR20050003091A (ko) 2005-01-10

Family

ID=3721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219A KR20050003091A (ko) 2003-06-30 2003-06-30 무선 스피커 출력 절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30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178B1 (ko) * 2006-07-10 2007-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시어터 시스템의 무선 리어 스피커 확장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178B1 (ko) * 2006-07-10 2007-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시어터 시스템의 무선 리어 스피커 확장 장치 및 방법
US8811908B2 (en) 2006-07-10 2014-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xpanding wireless rear speaker in home theate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1781B2 (en) A/V amplifier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H03270600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US7978865B2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US7024003B2 (en) Wireless speaker system suitable for hard-wired audio system
US5737427A (en) Surround sound processor unit
KR20060030713A (ko) 홈 씨어터 시스템의 무선 헤드폰 신호 송/수신 장치
KR20050003091A (ko) 무선 스피커 출력 절환 장치
US20020048378A1 (en) Deep bass sound booster device
US8494183B2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US8135151B2 (en) Audio signal reproduction device and audio signal reproduction system
JP3436681B2 (ja) Avアンプ
KR20030019814A (ko) 무선 서라운드 스피커를 갖는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음향출력장치
US5123051A (en) Sound field reproducing apparatus
KR100589602B1 (ko) 무선 홈씨어터 시스템의 오디오 조정 방법 및 장치
EP1471771A2 (en) Audio reproduction apparatus and video receiving apparatus
JPH10215500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多チャンネル音声出力回路
KR100536717B1 (ko) 오디오 시스템의 볼륨 조절 장치
US20230093582A1 (en) Av amplifier
JP2549986Y2 (ja) 音場再生装置
KR101782980B1 (ko) 모바일 기기와 채널 스피커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05501A (ko) 무선 홈씨어터 시스템의 오디오 지연 시간 조정 방법
KR100551381B1 (ko) 헤드폰 출력을 위한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무선 디지털리시버
KR100551378B1 (ko) 헤드폰 출력을 위한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지털 리시버
JPS6228110Y2 (ko)
KR920002607Y1 (ko) 다중 스피커 헤드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