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832A - Elevator apparatus and speed adjusting rope - Google Patents

Elevator apparatus and speed adjusting ro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832A
KR20050002832A KR10-2004-7013159A KR20047013159A KR20050002832A KR 20050002832 A KR20050002832 A KR 20050002832A KR 20047013159 A KR20047013159 A KR 20047013159A KR 20050002832 A KR20050002832 A KR 20050002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governor
governor rope
rop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27540B1 (en
Inventor
오카다미네오
오카모토겐이치
구기야다쿠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8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540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승강로(2)에 세워 설치된 가이드 레일(12)로 안내하여, 승강로(2) 내에서 카(6)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100)에 있어서, 조속기(22)와, 조속기 로프(26)와, 비상 정지 장치(28)를 구비한다. 조속기(26)는 카(6)의 이동 속도에 따라서 카(6)의 승강을 정지시킨다. 또한, 비상 정지 장치(28)는 카(6)에 구비되어, 조속기 로프(26)의 1개소에 접속되고, 조속기 로프(26)의 동작에 따라서 카(6)의 승강을 정지시킨다. 조속기 로프(26)는 무단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속기(22)에 권취되어 있다. 또한, 조속기 로프(26)의 단면 형상을 변화시켜서 구성됨으로써 카(6)의 위치에 따라서 조속기(22)의 동작 속도를 변화시킨다.In the elevator apparatus 100 which guides to the guide rail 12 installed in the hoistway 2, and raises and lowers the car 6 in the hoistway 2, the governor 22, the governor rope 26, Emergency stop device 28 is provided. The governor 26 stops the lifting of the car 6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speed of the car 6. Moreover, the emergency stop device 28 is provided in the car 6, is connected to one place of the governor rope 26, and stops the lifting of the car 6 according to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26. As shown in FIG. The governor rope 26 is formed in an endless shape and is wound around the governor 22. In addition, it is comprised by chang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overnor rope 26, and changes the operation speed of the governor 22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r 6.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및 조속기 로프{ELEVATOR APPARATUS AND SPEED ADJUSTING ROPE}ELEVATOR APPARATUS AND SPEED ADJUSTING ROPE}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조속기, 비상정지 장치, 완충기 등 여러가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Generally, in order to ensure safety, elevator apparatuses are provided with various apparatuses, such as a governor, an emergency stop device, and a shock absorber.

예를 들면, 조속기는 엘리베이터 장치 내에서, 카의 승강 속도가 소정의 제 1 과속도(Vs) 이상으로 된 경우, 그것을 검출하여, 권상기의 전동기의 전원을 차단한다. 권상기의 전원이 차단되면, 권상기의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회전이 정지하여, 카의 승강이 정지한다.For example, the governor detects when the lifting speed of the car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overspeed V s in the elevator apparatus, and cuts off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motor of the hoisting machine.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hoisting machine is cut off, the brake of the hoisting machine is operated to stop the rotation,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r stops.

또한, 예를 들면 카에 접속하는 로프가 절단되어 있는 경우 등의 고장에 의해, 권상기의 브레이크에서는, 카의 하강을 정지시킬 수 없는 경우가 고려된다. 이 경우, 또한 카의 하강 속도는 빠르게 된다. 카의 하강 속도가 소정의 제 2 과속도(Vt)에 도달하면, 조속기에 설치된 시브(sheave)의 회전이 강제적으로 정지한다. 시브의 회전이 정지하면,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마찰이 걸려, 조속기 로프의 일부에 접속된 비상 정지 장치가 작동한다. 즉, 조속기 로프는 그 장력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의 레버를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슈(shoe)가 가이드 레일에 가압된다. 이에 의해, 카의 하강을 정지시킨다.In addition, the case where the descending of the car cannot be stopped by the brake of the hoisting machine is considered, for example, by a failure such as when the rope connected to the car is cut. In this case, the descending speed of the car also becomes high. When the descending speed of the car reaches the predetermined second overspeed V t , the rotation of the sheave provided in the governor is forcibly stopped. When the rotation of the sheave stops, friction is applied to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connected to a part of the governor rope is operated. That is, the governor rope rotates the lever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by the tension, and the shoe is pressed against the guide rail. As a result, the lowering of the car is stopped.

또한, 일반적으로 비상 정지 장치에 의한 감속도는 카내의 안전을 위해, 카의 평균 감속도가 1G 이내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여기서 G는 중력 가속도를 의미하고, 약 9.8m/s2이다.In general, the deceleration by the emergency stop device is set so that the average deceleration of the car is within 1G for safety of the car. In addition, where G is the mean acceleration of gravity, and about 9.8m / s 2.

또한, 어떠한 원인으로 카가 최하층을 지나가버린 경우를 고려하여, 승강로 아래쪽에는 완충기가 설치되어 있다. 완충기는 승강로 바닥부에 카가 충돌하는 경우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완충기는 카의 평균 감속도가 비상 정지 장치와 마찬가지로 1G 이내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카가 최하층에 도달하더라도 카의 하강 속도가 제 2 과속도(Vt)까지 도달하지 않고, 비상 정지 장치가 최하층까지 작동하지 않은 경우, 카가 완충기에 충돌하는 속도는 최고속이고, 제 2 과속도(Vt)가 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 경우를 상정하면, 완충기에 의해 카의 정지까지의 완충 동작 거리(SB)도 비상 정지 장치에 의한 정지 거리(SA)와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In addition, a shock absorber is provided below the hoistway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car has passed the lowest floor for some reason. The shock absorber mitigates the impact when a car collides with the bottom of the hoistway. The shock absorber is set such that the average deceleration of the car is within 1 G as in the emergency stop device. In addition, even if the car reaches the lowest floor, when the car descending speed does not reach the second overspeed V t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does not operate to the lowest floor, the speed at which the car collides with the shock absorber is the highest speed, and the second overspeed Is considered to be (V t ). Assuming this case, the shock absorber operating distance SB to the stop of the car by the shock absorber is also set to the same length as the stop distance SA by the emergency stop device.

그러나, 이와 같이 완충 동작 거리(SB)를 확보하면, 완충기 자체가 매우 긴 것으로 되게 된다. 특히, 고속 엘리베이터에서는 완충기의 완충 동작 거리(SB)가 10m를 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완충기의 전체 높이가 20m를 넘는 것으로 된다.However, if the shock absorbing distance SB is secured in this way, the shock absorber itself becomes very long. In particular, in a high speed elevator, the shock absorber operating distance SB of the shock absorber sometimes exceeds 10 m. In this case, the total height of the shock absorber will exceed 20 m.

완충기 자체의 높이가 높아지면, 완충기의 제조비용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 장치의 건축비도 증가되게 된다.As the height of the shock absorber itself is increase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hock absorber is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elevator apparatus.

또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최하층보다 아래쪽에, 이와 같이 높이가 높은 완충기를 설치하는 만큼 스페이스를 확보해야 한다. 또한, 카가 속도(Vt)에서 완충기에 충돌하면, 최하층보다 더욱 아래쪽에, 완충 동작 거리(SB) 만큼 카가 내려가게 된다. 이 때, 반대로 균형추는 최상층보다 더욱 상측으로, 완충 동작 거리(SB) 만큼 상승한다. 따라서, 승강로 상방에는 균형추가 상승하는 스페이스로서 완충 동작 거리(SB) 만큼의 스페이스를 설치하여야 하다. 즉,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완충기의 높이 만큼 승강로의 아래쪽에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완충 동작 거리(SB) 만큼 상측에 스페이스를 확보해야 한다.In addition, a space must be ensured below the lowest floor of the elevator apparatus as much as the high shock absorber is provided. Further, when the car collides with the shock absorber at the speed V t , the car goes down by the shock absorbing operation distance SB further below the lowermost layer. At this time, on the contrary, the counterweight rises further by the buffer operating distance SB to the upper side than the uppermost layer. Therefore, a space equal to the cushioning operation distance SB should be provided above the hoistway as the space where the balance weight rises. That is, in the elevator apparatus, the space must be secured below the hoistway by the height of the shock absorber, and the space should be secured upward by the shock absorbing operation distance SB.

따라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이즈가 크게 되어, 건축비, 제조비가 상승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와 같은 완충기의 설치 및 그 동작에 필요한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서, 최상층이나, 최하층이 설치될 수 없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size of an elevator apparatus becomes large and a building cost and a manufacturing cost rise.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such a shock absorber, it is considered that the uppermost layer and the lowermost layer cannot be provided.

이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승강로 하측에서, 카의 승강 속도를 강제적으로 감속하도록 제어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고려되고 있다. 이 엘리베이터 장치에 따르면, 카가 완충기에 충돌하는 경우의 최고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완충기의 완충 동작 거리(SB)를 짧게 할 수 있다.As a countermeasure, for example,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trolled to forcibly decelerate the lifting speed of a car under the hoistway is considered. According to this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maximum speed when a car collides with a shock absorber can be slowed down, the shock absorbing operation distance SB of a required shock absorber can be shortened.

그러나, 권상기의 브레이크 자체가 고장난 경우나, 로프가 파단된 경우 등에는, 이러한 감속 제어를 행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면, 완충 동작 거리(SB)는 제 2 과속도(Vt)에서 충돌기에 카가 충돌하는 경우를 고려하고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such deceleration control cannot be performed when the brake itself of the hoisting machine is broken or when the rope is broken.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such a case, it is preferable to consider and secure the case where the car collides with the collider at the second overspeed V t at the second overspeed V t .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필요한 완충 동작 거리를 확보하면서, 완충기를 짧게 하여, 승강로 상하부에서의 필요 스페이스를 작게 하는 것이 목적이며, 개량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elevator apparatus by solving the above problems, shortening the shock absorber while reducing the required shock absorbing operation distance and reducing the required space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hoistway.

따라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에 세워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상기 승강로를 승강하는 카와, 상기 카의 이동 속도에 따라서 상기 카의 승강을 정지시키는 조속기와, 무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속기에 권취된 조속기 로프와, 상기 카에 구비되고, 상기 조속기 로프의 1개소에 접속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카의 승강을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조속기 로프는 그 단면 형상을 변화시켜 구성되어, 상기 카의 위치에 의해, 상기 조속기의 동작 속도를 변화시킨다.Therefore,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uided to a guide rail mounted on a hoistway, a car for elevating the hoistway, a governor for stopping the hoisting of the car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speed of the car, and formed in an endless shape to the governor. It is provided with the governor rope wound up,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provided in the said car, and connected to one place of the said governor rope, and stopping the lifting of the said car according to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said governor rope. Further, the governor rope is configured by changing its cross-sectional shape, and changes the operating speed of the governor by the position of the car.

이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카의 승강을 정지시키거나, 혹은 비상 정지 장치를 작동시키는 경우의 카의 승강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완충기의 완충동작 거리를 짧게 할 수가 있어, 엘리베이터 장치의 상하로 필요한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lifting speed of the car in the case of stopping the lifting of the car or operating the emergency stop device can be adjusted. Therefore, the buffering operation distance of a shock absorber can be shortened, and the space required up and down of an elevator apparatus can be made small.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 및 조속기 로프(governor rope)에 관한 것이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비상 정지 장치(emergency stopping device)와 조속기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및 이 장치 내에서 이용되는 조속기 로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and a governor rop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having an emergency stopping device and a governor, and a governor rope used in th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elevator apparatus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설치된 조속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It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governor provided in the elevator apparatus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조속기의, A-A' 방향의 단면 모식도,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governor in FIG. 2 in the A-A 'direction;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조속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4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governor in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속기 로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governor rop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비상 정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6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 emergency stop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의 승강 속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7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lifting speed of a ca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참조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In addition, in each figur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 and the description is simplified or abbreviate |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vator apparatus 10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승강로(2) 및 기계실(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있어서, 승강로(2)에 설치된 각 승차장은 승강로 최상부(2a)측으로부터 순서대로 2A1, 2A2, 2A3로 하고, 최하부(2b)측으로부터 순서대로 2B1, 2B2, 2B3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elevator apparatus 100 includes a hoistway 2 and a machine room 4. 1, each stand is hoistway top (2a) side from the order 2A 1, 2A 2, a 2A 3, 2B 1, 2B 2 , in this order from the bottom (2b) side, and 2B 3 installed in the elevator shaft (2) Shall be.

승강로(2)에는 카(6) 및 균형추(8)가 로프(10)에 의해 매달려 있다. 또한, 승강로(2)에는 2개의 가이드 레일(12)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각 카(6)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벽은, 각각, 각 가이드 레일(12)에 접한다. 카(6)는 이 가이드 레일(12)에 안내되어, 승강로(2)내를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hoistway 2, a car 6 and a counterweight 8 are suspended by a rope 10. In addition, two guide rails 12 are mounted on the hoistway 2. Two side walls of each car 6 which face each other are in contact with each guide rail 12, respectively. The car 6 is guided by this guide rail 12, and it is made to raise and lower the inside of the hoistway 2. As shown in FIG.

또한, 기계실(4)에는 권상기(14)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14)에는 로프(10)가 권취되어 있다. 권상기(14)는 그 회전에 의해 권취된 로프(10)를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로프(10)에 고정된 카(6) 및 균형추(8)가 승강한다. 또한, 기계실(4)에는 제어반(16)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반(16)은 권상기(14)에 접속되어, 권상기(14)의 전기적인 제어를 한다.Moreover, the hoist 14 is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4. A rope 10 is wound around the hoist 14. The hoist 14 moves the rope 10 wound by the rotation, and the car 6 and the counterweight 8 fixed to the rope 10 are lifted by this.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16 is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4. The control panel 16 is connected to the hoist 14 to perform electrical control of the hoist 14.

또한, 기계실(4)에는 조속기(2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승강로(2)의 플로어부에는 인장 풀리(24)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22)와 인장 풀리(24)에는 루프 형상으로 구성된 무단 형상의 조속기 로프(26)가 권취되어 있다. 즉, 조속기 로프(26)는 조속기(22)와 인장 풀리(24)에 인장 설치되고, 장력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카(6)의 아래쪽에는 비상 정지 장치(28)가 설치되고, 비상 정지 장치(28)는 조속기 로프(26)의 1개소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2)의 플로어부의 카(6)의 하측 부분에는 완충기(30)가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governor 22 is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4. On the other hand, the tension pulley 24 is provided in the floor of the hoistway 2. An endless governor rope 26 formed in a loop shape is wound around the governor 22 and the tension pulley 24. That is, the governor rope 26 is tensioned by the governor 22 and the tension pulley 24, and is given tension. In addition, an emergency stop device 28 is provided below the car 6,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28 is connected to one position of the governor rope 26. Moreover, the shock absorber 30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r 6 of the floor part of the hoistway 2. As shown in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속기(22)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3은 도 2의 조속기(22)의 A-A' 방향에서의 단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4는 조속기(22)가 회전을 정지시킬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있어서 투시 부분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governor 22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in the A-A 'direction of the governor 22 of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state when the governor 22 stops rotation, and is a figure corresponding to FIG. In addition, in FIG. 2 and FIG. 4, the perspective part is shown with the dotted lin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속기(22)는 시브(32)가 그 중심에 설치된 시브 차축(34)에 의해 시브 기대(3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브(32)의 측면에는 한쌍의 플라이웨이트(38a, 38b)(flyweights)가 시브 차축(34)을 중심으로 점 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각각 핀(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시브(32)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플라이웨이트(38a, 38b)는 링크(42)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플라이웨이트(38a)에는 작동 갈고리(4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브 기대(36)에는 카 정지용 스위치(48)가 설치되고, 카 정지용 스위치(48)에는 스위치 레버(50)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레버(50)는 작동 갈고리(46)에 의해 조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라이웨이트(38a)의 작동 갈고리(46)가 설치된 위치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평형 스프링(52)의 일단이 고정되고, 평형 스프링(52)의 타단은 시브(3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플라이웨이트(38a)의 평형 스프링(52)의 고정부 부근에는 래치부(5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브 기대(36)에는 필요시에 래치부(54)와 결합하는 래칫(56)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4, the governor 22 is comprised so that the sheave 3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heave base 36 by the sheave axle 34 provided in the center. In addition, a pair of flyweights 38a and 38b (flyweights)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heave 32 at a point symmetrical position about the sheave axle 34, so that the sheaves rotatably by the pins 40, respectively. 32). In addition, the flyweights 38a and 38b are interconnected by links 42. Moreover, the working hook 46 is provided in one fly weight 38a. In addition, the car stop switch 48 is provided in the sheave base 36, and the switch lever 50 is provided in the car stop switch 48. The switch lever 50 is disposed at a position operated by the operation hook 46. In addition, one end of the balance spring 52 is fixed to the end opposite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working hook 46 of the flyweight 38a is installed, and the other end of the balance spring 52 is fixed to the sheave 32. Moreover, the latch part 54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fixed part of the balanced spring 52 of the flyweight 38a. The sheave base 36 is provided with a ratchet 56 that engages with the latch portion 54 when necessary.

또, 플라이웨이트(38a, 38b)는 시브(32)가 회전하면, 그 회전에 의해 외측으로 원심력을 받는다. 한편, 평형 스프링(52)은 그 탄성력이 플라이웨이트(38a)가 받는 원심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브(32)의 회전의 각속도가 ωs에 도달한 경우에, 플라이웨이트(38a)의 작동 갈고리(46)가 스위치 레버(50)를 가압하고, 또한 각속도가 ωt에 도달한 경우에, 래치부(54)가 래칫(56)에 결합하도록, 평형 스프링(52)의 탄성력은 조정된다.Moreover, when the sheave 32 rotates, the flyweights 38a and 38b receive centrifugal force to the outside by the rotation. On the other hand, the balance spring 52 is provided so that the elastic force may operate in a direction against the centrifugal force received by the flyweight 38a. In addition, when the angular velocity of rotation of the sheave 32 reaches ω s , when the operating hook 46 of the flyweight 38a presses the switch lever 50, and when the angular velocity reaches ω t . The elastic force of the balance spring 52 is adjusted so that the latch portion 54 engages the ratchet 56.

도 5는 조속기 로프(26)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5의 (a)는 정면에서 본 상태이며, 도 5의 (b) 및 (c)는 각각 도 5의 (a)에 있어서의, B-B' 방향, C-C'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FIG. 5: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governor rope 26, FIG. 5 (a) is a front view, FIG. 5 (b) and (c) are each in FIG. 5 (a), The cross section of BB 'direction and CC' direction is show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속기 로프(26)는 직경이 작은 소직경 영역(62)과, 대직경 영역(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직경 영역(62)은 중앙부에 코어 부재(66)를 구비하고, 주위에 스트랜드(68)를 한층으로 나란하게 합계 8개 배치하고, 이것을 꼬아서 합쳐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코어 부재(66)는 삼(hemp) 등의 섬유에 의해 형성되고, 로프의 녹 방지를 위해, 오일(그리스) 등을 스며들게 하고 있다. 또한, 스트랜드(68)는 소선이라고 불리는 가는 강선을 꼬아서 합쳐서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 영역(64)은 소직경 영역(62)에 그대로 접속하는 영역이다. 대직경 영역(64)은 소직경 영역(62)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또한 2층으로 스트랜드(68)를 배치하여, 이것을 꼬아서 합쳐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조속기 로프(26)는 루프 형상으로 단부와 단부가 접속된 무단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26)는 카(6)의 승강에 동기하여 이동한다. 또한, 카(6)가 도 1의 조속기 로프 직경 변동점(C)보다도 상측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조속기(22)의 시브(32)에는 조속기 로프(26)의 대직경 영역(64)이 권취되어 있고, 카(6)가 조속기 로프 직경 변동점(C)보다도 아래쪽에 있는 경우에는 소직경 영역(62)이 권취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governor rope 26 includes a small diameter region 62 having a small diameter and a large diameter region 64. The small diameter area 62 is provided with the core member 66 in the center part, and arrange | positions eight strands 68 side by side in total, and is twisted together, and is comprised. Here, the core member 66 is formed of fibers, such as hemp, and soaks in oil (grease) etc. in order to prevent rust of a rope. The strands 68 are formed by twisting thin steel wires called strands together. The large diameter region 64 is a region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mall diameter region 62. The large-diameter region 64 is formed by arranging the strands 68 around the small-diameter region 62 in two layers and twisting them together.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 the governor rope 26 is comprised by the endless shape by which the edge part was connected in the loop shape. The governor rope 26 mov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r 6. In addition, when the car 6 is located above the governor rope diameter change point C of FIG. 1, the large diameter area 64 of the governor rope 26 is wound on the sheave 32 of the governor 22. When the car 6 is below the governor rope diameter change point C, the small diameter region 62 is wound up.

도 6은 비상 정지 장치(28)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6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emergency stop device 28.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 정지 장치(28)는 카(6)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비상 정지 장치(28)는 축 지지대(72)와, 이것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레버74)와, 레버(74) 선단에 가이드 레일(12)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브레이크 슈(78)로 구성된다. 레버(74)는 그 일부가 조속기 로프(26)의 1개소에 접속하여 필요시에 조속기 로프(26)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emergency stop device 28 is provided below the car 6. The emergency stop device 28 is comprised from the shaft support 72, the lever 74 rotatably arrange | positioned at this, and the brake shoe 78 provided so that the guide rail 12 may be opposed to the lever 74 tip. A part of the lever 74 is connected to one position of the governor rope 26 and rotates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26 as needed.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의 비상시에서의 정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stop in the emergency of the elevator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권상기(14)는 제어반(16)에 의해 제어된다. 권상기(14)에 전류가 흐르면, 권상기(14)는 회전을 개시하고, 이것에 의해서 로프(10)가 이동하고, 카(6)와 균형추(8)가 승강로(2)내를 승강한다.The hoist 14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panel 16.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hoist 14, the hoist 14 starts to rotate, whereby the rope 10 moves, and the car 6 and the counterweight 8 move up and down the hoistway 2.

도 7은 카(6)의 승강 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운행이 행하여지고, 또한 카(6)의 도중층에서의 정지가 없을 때, 카(6)는 상측에서 3단째의 승차장(2A3) 부근의 A 지점, 및 하방에서 3단째의 승차장(2B3) 부근의 B 지점에서 감속을 개시하고, 카(6) 바닥부가 최상층의 승차장(2A1), 혹은 최하층의 승차장(2B1)에 올 때에 정지하도록 제어된다.7 is a graph showing the lifting speed of the car 6. As shown in FIG. 7, when 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re is no stop on the middle floor of the car 6, the car 6 is located at the point A near the 3rd stage boarding point 2A 3 from the upper side, and stand at the third stage from the bottom (2B. 3) starts to decelerate from point B in the vicinity, and is controlled to stop when it comes to the car (6) stop the additional floor top layer (2A 1), or the lowest layer of the stand (2B 1).

또한, 인장 풀리(34)와 조속기(22) 사이에서 조속기 로프(26)는 장력이 부여되어, 카(6)의 승강에 동기하여 이동한다. 조속기(22)는 조속기 로프(26)의 이동과 동시에 회전을 개시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조속기 로프(26)는 카(6)가 조속기 로프 직경 변동점(C)보다도 아래쪽에 있을 때에는, 시브(32)에 조속기 로프(26)의 소직경 영역(62)이 권취되고, 카(6)가 조속기 로프 직경 변동점(C)보다도 상측에 있을 때에는, 대직경 영역(64)이 권취된다.In addition, the governor rope 26 is tensioned between the tension pulley 34 and the governor 22 to mov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r 6. The governor 22 starts to rotate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26.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 the governor rope 26 has the small diameter area 62 of the governor rope 26 in the sheave 32 when the car 6 is below the governor rope diameter change point C. FIG. When the car 6 is wound and the car 6 is located above the governor rope diameter change point C, the large diameter region 64 is wound.

도 2를 참조하면, 시브(32)가 회전하면, 플라이웨이트(38a, 38b)는 시브(32)의 각속도에 비례하는 원심력을 받는다. 그러나, 카(6)의 승강 속도가 정격 속도(V0) 이내인 경우에는, 이 원심력보다 평형 스프링(52)의 탄성력이 크게 되도록 탄성력이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플라이웨이트(38a, 38b)는 조속기(22)의 시브(32)에 거의 고정된 상태에 있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sheave 32 rotates, the flyweights 38a and 38b receive centrifugal force proportional to the angular velocity of the sheave 32. However, when the lifting speed of the car 6 is within the rated speed V 0 , since the elastic force is adjusted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balance spring 52 becomes larger than this centrifugal force, the flyweights 38a and 38b are governed by the governor. It is in the state fixed almost to the sheave 32 of 22.

카(2)의 승강 속도가 증가되면, 시브(32)의 각속도도 증가된다. 또한, 이것에 따라서, 플라이웨이트(38a, 38b)에 가해진 원심력도 보다 강해지고, 평형 스프링(52)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플라이웨이트(38a, 38b)는 핀(40)을 회전축으로서 서서히 외측으로 움직인다. 여기서, 시브(32)의 각속도가 ωs까지 도달하면, 플라이웨이트(38a)의 일단에 설치된 작동 갈고리(46)가 스위치 레버(50)를 가격하여, 스위치 레버(50)가 가압된다. 스위치 레버(50)가 가압되면, 카 정지 스위치(48)는 권상기(14)의 전류를 차단한다. 이것에 의해서, 권상기(14)의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권상기(14)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카(6)의 승강은 정지된다. 또한, 동기적으로, 조속기 로프(26)의 이동도 정지하여, 조속기(22)의 시브(32)의 회전도 정지한다.As the lifting speed of the car 2 increases, the angular speed of the sheave 32 also increases. Moreover, according to this, the centrifugal force applied to the flyweights 38a and 38b also becomes stronger, and the flyweights 38a and 38b gradually move outward as the axis of rotation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balance spring 52. . Here, whe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sheave 32 reaches ω s , the working hook 46 provided at one end of the flyweight 38a strikes the switch lever 50, and the switch lever 50 is pressed. When the switch lever 50 is pressed, the car stop switch 48 cuts off the current of the hoist 14. Thereby, the brake of the hoisting machine 14 is activated, the rotation of the hoisting machine 14 is stopped, and the lifting of the car 6 is stopped. 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26 is also stopped synchronously, and the rotation of the sheave 32 of the governor 22 is also stopped.

그러나, 로프(10)의 파단이나 권상기(14)의 고장 등의 원인에 의해, 카(6)의 하강이 정지하지 않는 경우, 또한 카(6)의 하강 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조속기(22)의 회전 속도도 빨라지게 된다. 이에 의해, 플라이웨이트(38a, 38b)에는 원심력이 더욱 가해져, 플라이웨이트(38a, 38b)는 외측으로 더 개방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속기(22)의 각속도가 ωt에 도달하면, 플라이웨이트(38a)의 래치부(54)가 시브(32)에 설치된 래칫(56)에 결합한다. 이에 의해, 시브(32)의 회전은 강제적으로 정지한다.However, when the lowering of the car 6 does not stop due to breakage of the rope 10 or failure of the hoisting machine 14, the lowering speed of the car 6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governor 22 is increased. The speed of rotation will also be faster. As a result, centrifugal force is further applied to the flyweights 38a and 38b, and the flyweights 38a and 38b are further opened to the outside. Here, as shown in FIG. 4, whe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governor 22 reaches ω t , the latch portion 54 of the flyweight 38a engages with the ratchet 56 provided in the sheave 32. As a result, the rotation of the sheave 32 is forcibly stopped.

조속기(22)의 회전이 강제적으로 중지되면, 조속기 로프(26)의 이동이 마찰력에 의해 중지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조속기 로프(26)의 이동이 중지되면, 카(6) 바닥부에 설치된 비상 정지 장치(28)의 축지지대(74)를 축으로 해서, 레버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레버(76)가 회전하면, 브레이크 슈(78)가 가이드 레일(12)에 가압되고, 웨지 효과에 의해 카(6)의 하강은 정지한다. 그런데, 조속기(22)의 시브(32)의 각속도(ω)는 다음 식 1로 표시된다.When the rotation of the governor 22 is forcibly stopped,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26 is stopped by the frictional force. Referring to FIG. 6, when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26 is stopped, the lever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with the shaft support 74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28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ar 6 as an axis. When the lever 76 rotates, the brake shoe 78 is pressed against the guide rail 12, and the lowering of the car 6 is stopped by the wedge effect. By the way, the angular velocity omega of the sheave 32 of the governor 22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식 1ω= V/R Equation 1 ω = V / R

또, 여기서 V는 카(6)의 승강 속도, 즉 조속기 로프(26)의 이동 속도이며, R은 시브(32)의 중심에서 조속기 로프(26)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In this case, V is the lifting speed of the car 6, that is, the moving speed of the governor rope 26, and R represent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heave 32 to the center of the governor rope 26.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조속기 로프(26)의 소직경 영역(62)이 시브에 권취되어 있는 경우에 시브(32)의 중심에서 조속기 로프(26)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R1로 하고, 대직경 영역(64)이 시브(32)에 권취되어 있는 경우에 시브(32)의 중심에서 조속기 로프(26)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R2로 한다.3, when the small diameter region 62 of the governor rope 26 is wound around the sheav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heave 32 to the center of the governor rope 26 is R1. When the large diameter region 64 is wound around the sheave 32,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heave 32 to the center of the governor rope 26 is set to R2.

조속기(22)가 권상기(14)의 전원을 차단할 때의 시브(32)의 각속도는 조속기(22)의 평형 스프링(52) 등에 의해 조정되어 결정할 수 있었던 고정값이며, 여기에서 ωs이다. 또한, 카(6)가 조속기 로프 직경 변동점(C)보다 아래쪽에 있는 경우, 즉 소직경 영역(62)이 시브(32)에 권취되어 있는 경우, 각속도(ωs)에 대응하는 카(6)의 승강 속도를 Vs1로 하고, 카(6)가 조속기 로프 직경 변동점(C)보다 상측에 있는 경우, 즉 대직경 영역(64)이 시브(32)에 권취되어 있는 경우, 각속도(ωs)에 대응하는 카의 승강 속도를 Vs2라고 하면, 식 1로부터 다음 식 2를 구할 수 있다.The angular velocity of the sheave 32 when the governor 22 cuts off the power supply of the hoist 14 is a fixed value determined and adjusted by the balance spring 52 of the governor 22, where is ω s . Further, when the car 6 is below the governor rope diameter change point C, that is, when the small diameter region 62 is wound around the sheave 32, the car 6 corresponding to the angular velocity ω s Angular velocity (ω) when the raising / lowering speed of) is V s1 and the car 6 is above the governor rope diameter change point C, that is, when the large diameter region 64 is wound on the sheave 32. If the lifting speed of the car corresponding to s ) is V s2 , the following equation 2 can be obtained from equation (1).

식 2ωs=Vs1/R1=Vs2/R2 Equation 2 ω s = V s1 / R 1 = V s2 / R 2

이에 의해, 소직경 영역(62)이 시브(32)에 권취되어 있는 경우의 카(6)의 승강 속도(Vs1)는 다음 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As a result, the lifting speed (V s1) of the car (6) in the case where the small-diameter region 62 is wound around the sheave 32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식 3Vs1=Vs2(R1/R2) Equation 3 V s1 = V s2 (R 1 / R 2 )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조속기(22)가 시브(32)의 회전을 강제적으로 정지할 때의 각속도는 평형 스프링(52) 등에 의해 조정되어 결정할 수 있었던 고정값이며, 여기에서 ωt이다. 이 때, 카(6)가 조속기 로프 직경 변동점(C)보다 아래쪽에 있는 경우, 즉 소직경 영역(62)이 시브(32)에 권취되어 있는 경우, 각속도(ωt)에 대응하는 카(6)의 승강 속도를 Vt1하고, 카(6)가 C점보다 상측에 있는 경우, 즉 대직경 영역(64)이 시브(32)에 권취되어 있는 경우, 각속도(ωt)에 대응하는 카의 승강 속도를 Vt2라고 하면, 식 1로부터 다음 식 4를 구할 수 있다.Similarly, the angular velocity when the governor 22 forcibly stops the rotation of the sheave 32 is a fixed value determined and adjusted by the balance spring 52 or the like, and is ω t here. At this time, when the car 6 is below the governor rope diameter change point C, that is, when the small diameter region 62 is wound around the sheave 32, the car corresponding to the angular velocity ω t ( When the lifting speed of 6) is V t1 and the car 6 is above the point C, that is, when the large-diameter region 64 is wound on the sheave 32, the car corresponding to the angular speed ω t is obtained. If the lifting speed of is taken as V t2 , the following equation 4 can be obtained from equation (1).

식 4ωt=Vt1/R1=Vt2/R2 Equation 4 ω t = V t1 / R 1 = V t2 / R 2

이에 의해, 소직경 영역(62)이 시브(32)에 권취되어 있는 경우의 카(6)의 승강 속도(Vt1)는 다음 식 5로 나타낼 수 있다.Thereby, the lifting speed V t1 of the car 6 when the small diameter area 62 is wound up by the sheave 32 can be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5).

식 5Vt1=Vt2(R1/R2) Equation 5 V t1 = V t2 (R 1 / R 2 )

그런데, R1은 시브(32)에 소직경 영역(62)이 권취되어 있는 경우이며, R2는 시브(32)에 대직경 영역이 권취되어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다음 식 6의 관계가 성립된다.However, R 1 is a case, which is the small-diameter region 62 wound around the sheave 32, R 2 is a case that is a large-diameter area to the take-up sheave 32. Therefore, the relationship of the following expression 6 is established.

식 6R1<R2 Equation 6 R 1 <R 2

식 3, 식 5 및 식 6에 의해, 권상기가 소직경 영역(62)에 권취되어 있는 경우, Vs1및 Vt1은 대직경 영역(64)이 권취되어 있는 경우의 Vs2및 Vt2보다도 작아지는 것을 알았다. 즉, 카(6)가 조속기 로프 직경 변동점(C)보다도 아래쪽에 있는 경우에는 상측에 있는 경우에 비교하여, 카(6)의 승강 속도가 느린 단계에서, 조속기(22)에 의한 권상기(14)의 전원 차단, 및 조속기(22)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28)의 작동의 동작이 행해진다.According to equations 3, 5 and 6, when the winding machine is wound in the small diameter region 62, V s1 and V t1 are smaller than V s2 and V t2 when the large diameter region 64 is wound. I knew to lose. That is, when the car 6 is below the governor rope diameter change point C, the hoisting machine 14 by the governor 22 is carried out at a stage where the lifting speed of the car 6 is slow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it is on the upper side. Operation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28 by the governor 22 is performed.

이와 같이 하면, 카(6)가 승강로(2) 아래쪽에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빠른 단계에서 권상기(14)의 브레이크 혹은 비상 정지 장치(28)를 작동시킬 수 있어, 완충기(30)로의 카(6)의 충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카(6)가 최하층에 도달해도 카(6)의 하강 속도가 비상 정지 장치를 작동시키는 속도까지는 도달하지 않고, 비상 정지 장치(28)가 최하층까지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도, 카(6)가 완충기에 충돌하는 속도는 최고속에서 Vt1로 된다.In this way, when the car 6 is below the hoistway 2, the brake of the hoisting machine 14 or the emergency stop device 28 can be operated at a relatively early stage, and the car 6 to the shock absorber 30 can be operated. ) Collision can be suppressed. Further, even when the car 6 reaches the lowest floor, the falling speed of the car 6 does not reach the speed at which the emergency stop device is operated, and even when the emergency stop device 28 does not operate to the lowest floor, the car 6 Speed at the shock absorber becomes V t1 at the highest speed.

또한, 로프 직경 변동 조속기 로프 직경 변동점(C)은 이하와 같이 결정한다. 카(6)의 바닥부가 조속기 로프 직경 변동점(C)에 도달한 때의 카(6)의 위치와, 완충기(28)에 카(6)가 충돌할 때의 카(6)의 위치의 높이의 차이를 L이라고 하면, L은 다음 식 7과 같이 설정된다.In addition, the rope diameter change governor rope diameter change point C is determined as follows. The height of the position of the car 6 when the bottom of the car 6 reaches the governor rope diameter change point C, and the height of the position of the car 6 when the car 6 collides with the shock absorber 28. Let L be the difference, L is set as in the following expression (7).

식 7L=(Vt2 2-Vt1 2)/2×G Equation 7 L = (V t2 2 -V t1 2 ) / 2 x G

여기서, G는 비상 정지 장치(28)에 의한 감속도이며, 중력 가속도와 동일한 값, 약 9.8m/s2이다.Here, G is the deceleration by the emergency stop device 28, and is the same value as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about 9.8 m / s 2 .

이와 같이 하면, 카(6)가 조속기 로프 직경 변동점(C)의 바로 위에서, 속도(Vt2)에 도달하여, 조속기(22)가 동작하는 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28)가 제동 동작하는 경우에도, 카(6)는 완충기(30)에 충돌할 때까지 속도를 Vt1까지 감속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ar 6 reaches the speed V t2 just above the governor rope diameter change point C, and the governor 22 operates so that the emergency stop device 28 brakes. Even in this case, the car 6 can decelerate the speed to V t1 until it collides with the shock absorber 30.

따라서, 완충기(30)는 속도(Vt2)에 대응한 것이 아니라, Vt2보다도 느린 속도(Vt1)에 대응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완충기(30)의 완충 동작 거리(SB)를 짧게 할 수 있다.Thus, the shock absorber 30 is not corresponding to the speed (V t2), may be that all corresponds to a slower speed (V t1), V t2, is due to shorten the buffering operation distance (SB) of the shock absorber 30 can do.

이상의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특별히 전기적인 제어 기구를 추가하는 일 없이, 완충기(30)의 완충 동작 거리(SB)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완충기(30)를 짧게 할 수가 있어, 엘리베이터 장치의 최하부(2b)의 완충기(30)를 설치를 위해 필요한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완충 동작 거리(SB)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균형추(8)가 상승하는 만큼의 최상부(2a)의 스페이스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승강로(2)의 하방에서는 비교적 느린 속도일 때에 비상 정지 장치(28)를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완충기(30)의 완충 동작 거리(SB)를 짧은 것으로 해도, 권상기(22)의 고장이나 로프의 파단 등의 고장인 경우에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hock absorbing operation distance SB of the shock absorber 30 can be shortened without adding an electrical control mechanism in particular to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Therefore, the shock absorber 30 can be shortened, and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ing the shock absorber 30 of the lowest part 2b of an elevator apparatus can be made small. In addition, since the buffering operation distance SB can be shortened, the space of the uppermost part 2a as much as the counterweight 8 rises can also be made small. Therefore, the elevator apparatus can be miniaturized. In addition, since the emergency stop device 28 can be operated below the hoistway 2 at a relatively slow speed, even if the shock absorbing operation distance SB of the shock absorber 30 is short, the failure of the hoisting machine 22 can be prevented. Even in the case of a failure such as a breakage of the rope, it is possible to respond appropriatel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조속기(22)의 형상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상 정지 장치(28)의 형상도, 조속기 로프에연동하여 작동하는 타입의 것이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비상 정지 장치(28) 및 완충기(30)에 의한 감속도를 1G로 했지만, 본 발명은 카(6) 내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이 감속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the shape of the governor 22 is not limited to what was demonstrated in embodiment. In addition, as long as the shape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28 is a type which operates by interlocking with a governor rope, it is not limited to what was demonstrated in embodiment.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deceleration by the emergency stop device 28 and the shock absorber 30 was 1 G, this invention is limited to this deceleration as long as the safety | security in the car 6 can be ensured. no.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속기 로프(26)에 있어서, 소직경 영역(62)은 한층에 합계 8개의 스트랜드(68)를 꼬아서 합쳐서 구성하고, 대직경 영역은 스트랜드(68)를 합계 3층으로 하여 꼬아서 합쳐서 구성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조속기 로프는 이러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속기 로프는 필요한 강도, 조속기(22)의 시브(32)가 로프를 통과시키는 부분의 폭, 또는 완충기의 설치 스페이스 등을 고려하여, 그 소직경 영역(62)과, 대직경 영역(64)의 직경의 차이를 갖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in the governor rope 26, the small diameter area | region 62 is comprised by twisting eight strands 68 in total in one layer, and the large diameter area | region consists a total of 3 strand 68 in total. Twist it into a layer and put together. However, the governor rop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governor rope takes into account the required strength, the width of the portion where the sheave 32 of the governor 22 passes the rop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shock absorber, and the like. It can make a difference in diameter.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종단부 부근에는,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속기 로프 직경 변동점(C)보다 하방이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조속기의 동작 속도는 조속기가 권상기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또는 비상 정지 장치를 작동시키거나 하는 시점에서의, 카(6)의 속도를 의미하여,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Vs1, Vs2, 또는 Vt1, Vt2가 해당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portion corresponds, for example, below the governor rope diameter change point C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the operation speed of a governor means the speed of the car 6 at the time when a governor cuts off the power supply of the hoisting machine or operates the emergency stop device, for example, this embodiment For V corresponds to V s1 , V s2 , or V t1 , V t2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조속기 로프는 그 단면 형상을변화시켜 구성되어, 카의 위치에 의해 조속기의 동작 속도를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카의 승강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비상 정지 장치를 작동시키는 경우의 카의 승강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완충기의 완충 동작 거리를 짧게 할 수가 있어, 엘리베이터 장치의 상하로 필요한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유용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overnor rope is configured by changing its cross-sectional shape and changes the operating speed of the governor by the position of the car. As a result, the lifting speed of the car can be adjusted when stopping the lifting of the car or when the emergency stop device is operated. Therefore, the buffering operation distance of a shock absorber can be shortened, and the space required up and down of an elevator apparatus can be made smal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as an elevator device.

Claims (4)

승강로에 세워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상기 승강로를 승강하는 카와,Kawa who is guided to the guide rail which is built up in the hoistway and lifts the hoistway, 상기 카의 이동 속도에 따라서, 상기 카의 승강을 정지시키는 조속기와,A governor for stopping the lifting of the car in accordance with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car; 무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속기에 권취된 조속기 로프와,A governor rope formed in an endless shape and wound around the governor; 상기 카에 구비되고, 상기 조속기 로프의 1개소에 접속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카의 승강을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장치를 포함하며,An emergency stop device provided in the car, connected to one position of the governor rope, and stopping the lifting of the ca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governor rope; 상기 조속기 로프는 그 단면 형상을 변화시켜 구성되어, 상기 카의 위치에 의해 상기 조속기의 동작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governor rope is configured by changing the cross-sectional shape,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operating speed of the governor by the position of the car.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속기 로프는 상기 카의 승강과 동기해서 이동하고,The governor rope mov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r, 상기 카가 상기 승강로의 종단부 부근에 있는 경우에, 단면이 가는 부분이 상기 권상기에 권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When the car is near the end of the hoistway, a thin section of the cross section is wound around the hoisting machine.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조속기 로프는 직경이 변화하는 원형 단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governor ro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of varying diameter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복수의 스트랜드에 의해 한층으로 형성된 부분과, 상기 한층으로 형성된 부분에 접속되고, 복수의 스트랜드에 의해 2층 이상으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 part formed in one layer by a plurality of strands, and a part connected to the part formed in the said one layer, and the part formed in two or more layers by the some strand are included, 조속기 로프.Governor rope.
KR1020047013159A 2002-12-25 2002-12-25 Elevator apparatus and speed adjusting rope KR10062754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13515 WO2004058620A1 (en) 2002-12-25 2002-12-25 Elevator apparatus and speed adjusting ro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832A true KR20050002832A (en) 2005-01-10
KR100627540B1 KR100627540B1 (en) 2006-09-21

Family

ID=3267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159A KR100627540B1 (en) 2002-12-25 2002-12-25 Elevator apparatus and speed adjusting rop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77248B1 (en)
JP (1) JPWO2004058620A1 (en)
KR (1) KR100627540B1 (en)
CN (1) CN100352753C (en)
WO (1) WO200405862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2112B2 (en) * 2006-12-06 2011-12-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governor rope steady rest
JP5735504B2 (en) 2009-07-20 2015-06-17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overnor
JP2017100865A (en) * 2015-12-03 2017-06-0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Governor device and elevator device having the same
KR101955788B1 (en) * 2017-02-22 2019-03-0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Multistage variable lift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7876B2 (en) * 1992-06-18 1998-03-18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governor
FI95021C (en) * 1993-06-08 1995-12-11 Kone Oy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an elevator gripping device
JPH0867447A (en) * 1994-08-30 1996-03-1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Elevator speed governor
JP3954173B2 (en) * 1997-10-21 2007-08-08 東芝It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Pit installation type governor
JP2001354372A (en) * 2000-06-14 2001-12-25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77248A1 (en) 2005-09-21
KR100627540B1 (en) 2006-09-21
CN1620400A (en) 2005-05-25
EP1577248B1 (en) 2013-03-06
JPWO2004058620A1 (en) 2006-04-27
EP1577248A4 (en) 2011-06-01
CN100352753C (en) 2007-12-05
WO2004058620A1 (en) 200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403B1 (en) Elevator device
JP6633208B2 (en) Elevator equipment
KR101617572B1 (en) Elevator device
JP5873884B2 (en) elevator
JP6012596B2 (en) Elevator equipment
KR101920546B1 (en) Elevator device
JP5205428B2 (en) Double deck elevator device
JP2017160023A (en) Elevator device
JP5771746B2 (en) Elevator equipment
JP6062009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627540B1 (en) Elevator apparatus and speed adjusting rope
JP6126953B2 (en) Elevator
KR100727631B1 (en) Elevator brake for preventing fall of elevator car
WO2000055085A1 (en) Safety device of elevator
JP5191825B2 (en) Self-propelled elevator
WO2022172406A1 (en) Elevator device
CN113401762B (en) Speed limiter rope tensioning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0486192B1 (en) A vibration reducing apparatus for governor of elevator
JPWO2018179182A1 (en) Elevator equipment
KR100544989B1 (en) Elevator
JP2005206278A (en) Speed governing device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