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613A -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제어기, 기기 및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제어기, 기기 및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613A
KR20050002613A KR1020040049404A KR20040049404A KR20050002613A KR 20050002613 A KR20050002613 A KR 20050002613A KR 1020040049404 A KR1020040049404 A KR 1020040049404A KR 20040049404 A KR20040049404 A KR 20040049404A KR 20050002613 A KR20050002613 A KR 20050002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base station
connec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2900B1 (ko
Inventor
츠시마츠네히토
신타니야스유키
마츠모토미치히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2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종래, 무선 통신 기기가 접속 인증을 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소정의 기기 인증 방식에 근거한 신뢰 관계를 맺을 필요가 있다.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개별의 개인적인 PIN 코드를 서로 설정하여, 신뢰 관계를 맺지만, 전지 구동의 센서 기기 등, 염가의 기기는 PIN 코드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갖지 않는다. 또한, 서로 동일한 PIN 코드를 설정하는 번잡함을 수반하고 있다.
제어기(1) 및 무선 기기(3)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동시에 접속 인증 개시 지시를 부여하고, 접속 상대를 특정하며, 패스워드 없음으로 첫 번째 접속 인증을 행한다. 다음에, 제어기(1)로부터 패스워드를 무선 기지국(2)과 무선 기기(3)에 배신하고, 접속 인증을 해제한다. 배신된 패스워드로 다시 접속 인증을 하여, 거의 자동적으로 접속 인증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접속 인증 작업의 번잡함을 경감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제어기, 기기 및 제어 프로그램{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CONTROLLER, DEVICE AND CONTROL PROGRA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제어기, 기기 및 그들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접속 인증하는 기기의 패스워드 설정, 및 패스워드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제어기, 기기 및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Bluetooth)나 IEEE802. 1lb, 적외선 통신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전파의 특성상, 동시에 복수의 기기와 접속이 가능하고, 안전(security), 비화성(秘話性)의 확보 등에 관해서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안전(security) 시스템으로는, 종래,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무선 단말 안전 시스템이나, 인터넷(Internet) 등에서 이용되는 원타임(one time) 패스워드 방식이 알려지고 있다. 이들 안전 시스템은, 전자 열쇠와 무선 단말 장치로 이루어지는 안전 시스템에 있어서,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서, 동일 열쇠의 연속 사용을 금지하여, 분실이나 도난에 대하여 안전성을 높인 것이다.
블루투스의 사용자 인증 방식은, 기기에 설정하는 유니큐(unique)한 인증 패스워드(이것은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라 불린다), 및 이 인증 패스워드와 기기 고유의 ID(IEEE가 관리, 발번하는 48비트의 어드레스 등의 정보)에 의해 작성된 암호 열쇠(이것은 링크 키(link key)라 불린다)의 두 개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여기서, 기기 A가 기기 B에 대하여 억세스(access)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기기 A와 기기 B가 처음으로 접속되는 상황에서는, 기기 A는 기기 B의 PIN 코드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 기기 B는, 기기 A로부터 PIN 코드가 입력되면, 이 PIN 코드에 의한 인증을 행하고, 기기 A에 대하여 링크 키를 작성하여, 링크 키를 기기 A의 고유 어드레스와 함께 저장한다. 한편, 기기 A가 이전에 기기 B에 접속된 적이 있으면, 기기 B에는 이미 링크 키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 링크 키에 의해 인증을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에서는, 기기에 유니큐한 PIN 코드와, 그것을 바탕으로 작성된 링크 키의 테이블의 쌍방을 이용한 인증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PIN 코드는, 유니큐하나, 그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서 임의의 문자열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 문헌 1] 특허 제2872996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1에 개시된 안전 시스템이나 인터넷 등에서 이용되고 있는 원타임(one time) 패스워드 방식, 또 블루투스에 사용되고 있는 사용자 인증 방식은, 안전 강화를 위한 패스워드 관리, 및 인증 방식이며, 어드 혹 네트워크(ad hoc network) 환경에서 상기 인증 방식을 이용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여기서는, 블루투스에서 채용되고 있는 사용자 인증 방법에 대해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예로서, 가정 내에서 기기를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가정 내 네트워크 시스템을 고려한다. 이때 일반적인 기기는, 전술한 기기 인증 방식에 근거한 신뢰 관계를 맺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개인적인 PIN 코드를 서로 알림으로써 신뢰 관계를 맺게 되지만, 전지 구동의 센서 기기 등, 염가의 기기는, PIN 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지 않다. 기기의 접속 인증을 할 때는, 반드시, 서로 동일한 PIN 코드를 설정하여야 하며, 기기를 접속하는 사용자의 접속 준비 작업에 번잡함을 수반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된 것으로, 사용자가 패스워드나 PIN 코드를 입력하는 등의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특정한 기기를 반자동적으로 접속 인증할 수가 있는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제어기, 기기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제어기(1)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무선 기지국(2)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무선 기기(3)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블루투스에서의 사용자 인증에 이용하는 테이블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제어기(1)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무선 기지국(2)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무선 기기(3)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구성도,
도 15는 제어기와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복수의 무선 기기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억세스 포인트가 구비하는 어드레스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기 2 : 무선 기지국
3 : 무선 기기 10 : 기기 등록 개시부
11 : 패스워드 배신부 12 : 기기 등록 완료 통지부
13 : 단말 ID 배신부 14 : 암호 처리부
15 : 접수 시간 계측부 16 : 무선 기지국 선택 접수부
17 : 인증 모드 전환부 20 : 접속 인증부
21 :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 22 : 기지국 패스워드 배신부
23 : 단말 ID 유지부 24 : 다이제스트 값 인증부
25 : 기지국 암호 처리부 26 : 인증 모드 유지부
30 : 기기 인증 개시부 31 :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
32 : 기기 패스워드 유지부 33 : 접속 인증 완료 통지부
34 :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부 35 : 기기 암호 처리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장치와, 상기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제어기와, 상기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기기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기의 등록을 개시하는 기기 등록 개시 수단과, 해당 제어기가 결정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기에 배신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과, 상기 기기를 접속 인증하는 접속 인증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기는, 상기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개시하는 기기 인증 개시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송신된 인증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기기의 접속을 허가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어기의 기기 등록 개시 수단에 의해서, 기기의 등록이 개시되면,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해당 제어기가 결정하는 인증용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배신된다.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된 인증용 정보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된다.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기기에 배신된다.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는, 기기의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된다. 그리고 기기의 기기 인증 개시 수단에 의해서,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가 개시되면,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이 요구된다.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해서,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가 요구된다.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판독되고, 판독된 인증용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송신된다.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해서,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 송신된 인증용 정보가 수신되고, 수신된 인증용 정보와,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기기의 접속이 허가된다.
따라서, 기기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행해지면, 제어기에 의해서 해당 기기의 인증용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배신되고, 배신된 인증용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의해서 유지되고 또한, 기기에 배신되어, 배신된 인증용 정보가 기기에 의해서 유지되고, 이 인증용 정보를 사용하여 기기와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이 확립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패스워드나 PIN 코드를 입력하는 등의 번잡한 조작을 할 필요가 없고, 특정한 기기를 반자동적으로 접속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치와 상기 기기는,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지국 장치와 기기가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안전 레벨이 요청되는 무선 통신에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증용 정보는, 패스워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어기에 의해서 결정되는 인증용 정보로서 패스워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인증 전에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 없음의 상태로 접속을 허가하고,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인증용 정보가 상기 기기에 배신되면, 상기 기기와의 접속을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증 전에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 없음의 상태로 접속이 허가되고,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인증용 정보가 기기에 배신되면, 기기와의 접속이 절단된다. 그리고 다시,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가 요구된다.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판독되고, 판독된 인증용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송신된다.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해서,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 송신된 인증용 정보가 수신되고, 수신된 인증용 정보와,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기기의 접속이 허가된다.
따라서,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인증용 정보 없음의 상태로 기지국 장치와 기기가 접속되고,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가설정된 경우, 기지국 장치와 기기의 접속이 절단되기 때문에,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더라도 기지국 장치와 기기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를 인증 있음 및 인증 없음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하는 인증 모드 전환 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인증 모드 전환 수단에 의해서 전환된 상기 인증 모드를 유지하는 인증 모드 유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증 모드 전환 수단은, 인증 전에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를 인증 없음으로 전환하고, 두 번째 이후에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를 인증 있음으로 전환하고,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인증 모드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는 인증 모드에 따라서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증 모드 전환 수단에 의해서,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가 인증 있음 및 인증 없음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되고, 인증 모드 유지 수단에 의해서, 전환된 인증 모드가 유지된다. 그리고 인증 전에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가 인증 없음으로 전환되고, 두 번째 이후에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가 인증 있음으로전환된다.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해서,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인증 모드에 따라서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할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인증 없음 상태와,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가 설정된 인증 있음의 상태를 인증 모드를 전환함에 따라 식별할 수 있어, 기지국 장치가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할지의 여부를 이 인증 모드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상기 기지국 장치로의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을 상기 제어기에 통지하는 접속 인증 완료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접속 인증 완료 통지 수단으로부터 완료 통지를 받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기기 등록 완료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의 접속 인증 완료 통지 수단에 의해서, 기지국 장치로의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이 제어기에 통지되고, 제어기의 기기 등록 완료 통지 수단에 의해서, 접속 인증 완료 통지 수단으로부터의 완료 통지를 받아, 기기의 기지국 장치로의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따라서 기기의 기지국 장치로의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이 사용자에게 통지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기기와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이 완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접속 인증 완료 통지 수단은, 상기 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기기 특정 정보를 상기 제어기에 통지하고, 상기 기기는, 해당기기의 기기 특정 정보와,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유지하는 인증용 정보와, 해당 기기가 갖는 소정의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을 산출하는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 수단과, 상기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 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과 상기 난수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다이제스트 값 배신 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기로부터 수취한 상기 기기 특정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기기 특정 정보 배신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배신되는 상기 기기 특정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특정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기 특정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기기 특정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기로부터 수취한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다이제스트 값과 상기 기기로부터 수취한 상기 다이제스트 값을 비교하는 다이제스트 값 인증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다이제스트 값 인증 수단에 의해서, 산출한 다이제스트 값과 상기 기기로부터 수취한 상기 다이제스트 값이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기기의 상기 기지국 장치에 대한 접속을 허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속 인증 완료 통지 수단에 의해서, 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기기 특정 정보가 제어기에게 통지된다. 기기의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 수단에 의해서, 해당 기기의 기기 특정 정보와,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와, 해당 기기가 갖는 소정의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이 산출되고, 다이제스트 값 배신 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과 상기 난수가 기지국 장치에 배신된다. 제어기의 기기 특정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기기로부터 수취한 기기 특정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배신되고, 기지국 장치의 기기 특정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제어기로부터 배신되는 기기 특정 정보가 유지된다. 다이제스트 값 인증 수단에 의해서, 기기 특정 정보와, 인증용 정보와, 기기로부터 수취한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이 산출되고,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과 기기로부터 수취한 다이제스트 값이 비교된다. 그리고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과 기기로부터 수취한 다이제스트 값이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해서, 기기의 기지국 장치에 대한 접속이 허가된다.
따라서 기기측에서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과, 기지국 장치측에서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을 비교하여, 양 다이제스트 값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기기의 기지국 장치에 대한 접속이 허가되기 때문에, 기기와 기지국 장치의 접속에 관한 안전 레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인증용 정보를 암호화하는 인증용 정보 암호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기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배신되는 암호화된 인증용 정보를 복호화 하는 인증용 정보 복호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암호화된 인증용 정보가 제어기로부터 배신되고, 이 암호화된 인증용 정보가 기기에 의해 복호화된다. 따라서 제어기에 의해서 배신되는인증용 정보가 암호화 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기와 기기의 통신에 있어서, 인증용 정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기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는 시간을 계측하는 접수 시간 계측 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은, 접수 시간 계측 수단에 의해서 계측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기기의 인증용 정보를 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어기의 접수 시간 계측 수단에 의해서, 기기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는 시간이 계측되고, 이 계측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경우,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기기의 인증용 정보가 배신된다. 따라서 기기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가 기지국 장치에 있고, 그 통지가 제어기에 통지되지 않는 경우이더라도, 미리 결정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면 기기의 인증용 정보를 배신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치의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복수의 상기 기기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받은 경우, 접속을 허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기기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받은 경우, 접속이 허가되지 않기 때문에, 등록을 소망하는 기기이외의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가 설정되어, 등록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해당 제어기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상기 기지국 장치를 리스트 표시하여, 리스트 표시된 복수의 기지국 장치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상기 기지국 장치의 선택을 접수하는 기지국 선택 접수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지국 선택 접수 수단에 의해서, 해당 제어기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기지국 장치가 리스트 표시되고, 리스트 표시된 복수의 기지국 장치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지국 장치의 선택이 접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 중에서 기기와 접속하는 기지국 장치를 선택할 수 있어, 복수의 기기가 하나의 기지국 장치에 집중하여 접속하여, 통신 트래픽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은, 기지국 장치와, 상기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제어기와, 상기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기기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기가,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상기 기기의 등록을 개시하는 기기 등록 개시 단계와, 해당 제어기가 결정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인증용 정보 배신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장치가, 상기 인증용 정보 배신 단계에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에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기에 배신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단계와, 상기 기기를 접속 인증하는 접속 인증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가, 사용자로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상기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개시하는 기기 인증 개시 단계와, 상기 제어기로부터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와, 상기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접속 인증 요구 단계를 구비하되, 상기 접속 인증 단계는, 상기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접속 인증 요구 단계는, 상기 접속 인증 단계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에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접속 인증 단계는, 상기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서 송신된 인증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에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기기의 접속을 허가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어기의 기기 등록 개시 단계에서, 기기의 등록이 개시되면, 인증용 정보 배신 단계에서, 해당 제어기가 결정하는 인증용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배신된다. 인증용 정보 배신 단계에서 배신된 인증용 정보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에서 유지된다.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에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단계에서 기기에 배신된다.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단계에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는, 기기의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에서 유지된다. 그리고 기기의 기기 인증 개시 단계에서,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가 개시되면,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서,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이 요구된다. 접속 인증 단계에서,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가 요구된다.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서, 접속 인증 단계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에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판독되고, 판독된 인증용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송신된다. 접속 인증 단계에서,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해 송신된 인증용 정보가 수신되고, 수신된 인증용 정보와,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에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기기의 접속이 허가된다.
따라서 기기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행하여지면, 제어기에 의해서 해당 기기의 인증용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배신되고, 배신된 인증용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의해서 유지되고 또한, 기기에 배신되어, 배신된 인증용 정보가 기기에 의해서 유지되고, 이 인증용 정보를 사용하여 기기와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이 확립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패스워드나 PIN 코드를 입력하는 등의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특정한 기기를 반자동적으로 접속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 단계는, 인증 전에 상기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 없음의 상태로 접속을 허가하고,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단계에 의해서 인증용 정보가 상기 기기에 배신되면, 상기 기기와의 접속을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증 전에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 없음의 상태로 접속이 허가되고,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단계에서 인증용 정보가 기기에 배신되면, 기기와의 접속이 절단된다. 그리고 다시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가 요구된다.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서, 접속 인증 단계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에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판독되고, 판독된 인증용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송신된다. 접속 인증 단계에서,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해 송신된 인증용 정보가 수신되고, 수신된 인증용 정보와,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에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기기의 접속이 허가된다.
따라서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인증용 정보 없음의 상태로 기지국 장치와 기기가 접속되고,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가 설정된 경우, 기지국 장치와 기기의 접속이 절단되기 때문에,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더라도 기지국 장치와 기기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를 인증 있음 또는 인증 없음으로 전환하는 인증 모드 전환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장치가, 상기 인증 모드 전환 단계에 있어서 전환된 상기 인증 모드를 유지하는 인증 모드 유지 단계를 더 구비하되, 상기 인증 모드 전환 단계는, 인증 전에 상기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를 인증 없음으로 전환하고, 두 번째 이후에 상기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를 인증 있음으로 전환하고, 상기 접속 인증 단계는, 상기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인증 모드 유지 단계에 있어서 유지되고 있는 인증 모드에 따라서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증 모드 전환 단계에서,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가 인증 있음 및 인증 없음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되고, 인증 모드 유지 단계에서, 전환된 인증 모드가 유지된다. 그리고 인증 전에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가 인증 없음으로 전환되고, 두 번째 이후에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가 인증 있음으로 전환된다. 접속 인증 단계에서,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인증 모드에 따라서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할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인증 없음의 상태와,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가 설정된 인증 있음의 상태를 인증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식별할 수 있어, 기지국 장치가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할지의 여부를 이 인증 모드에 따라서 결정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상기 기지국 장치로의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을 상기 제어기에 통지하는 접속 인증 완료 통지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접속 인증 완료 통지 단계으로부터 완료 통지를 받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기기 등록 완료 통지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의 접속 인증 완료 통지 단계에서, 기지국 장치로의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이 제어기에 통지되고, 제어기의 기기 등록 완료 통지 단계에서, 접속 인증 완료 통지 단계으로부터의 완료 통지를 받아, 기기의 기지국 장치로의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따라서 기기의 기지국 장치로의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이 사용자에게 통지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기기와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이 완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접속 인증 완료 통지 단계는, 상기 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기기 특정 정보를 상기 제어기에 통지하고, 상기 기기가, 해당 기기의 기기 특정 정보와,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에 유지하는 인증용 정보와, 해당 기기가 갖는 소정의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을 산출하는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 단계와, 상기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 단계에 있어서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과 상기 난수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다이제스트 값 배신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가, 상기 기기로부터 수취한 상기 기기 특정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기기 특정 정보 배신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장치가, 상기 제어기로부터 배신되는 상기 기기 특정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특정 정보 유지 단계와, 상기 기기 특정 정보 유지 단계에 있어서 유지되는 기기 특정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에 있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기로부터 수취한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다이제스트 값과 상기 기기로부터 수취한 상기 다이제스트 값을 비교하는 다이제스트 인증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다이제스트 인증 단계에 있어서, 산출한 다이제스트 값과 상기 기기로부터 수취한 상기 다이제스트 값이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접속 인증 단계는, 상기 기기의 상기 기지국 장치에 대한 접속을 허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속 인증 완료 통지 단계에서, 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기기 특정 정보가 제어기에게 통지된다. 기기의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 단계에서,해당 기기의 기기 특정 정보와,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에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와, 해당 기기가 갖는 소정의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이 산출되고, 다이제스트 값 배신 단계에서,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과 상기 난수가 기지국 장치에 배신된다. 제어기의 기기 특정 정보 배신 단계에서, 기기로부터 수취한 기기 특정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배신되고, 기지국 장치의 기기 특정 정보 유지 단계에서, 제어기로부터 배신되는 기기 특정 정보가 유지된다. 다이제스트 인증 단계에서, 기기 특정 정보와, 인증용 정보와, 기기로부터 수취한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이 산출되고,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과 기기로부터 수취한 다이제스트 값이 비교된다. 그리고,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과 기기로부터 수취한 다이제스트 값이 일치한 경우, 접속 인증 단계에서, 기기의 기지국 장치에 대한 접속이 허가된다.
따라서 기기측에서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과, 기지국 장치측에서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을 비교하여, 양 다이제스트 값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기기의 기지국 장치에 대한 접속이 허가되기 때문에, 기기와 기지국 장치의 접속에 관한 안전 레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인증용 정보를 암호화하는 인증용 정보 암호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기가, 상기 제어기로부터 배신되는 암호화 인증용 정보를 복호하는 인증용 정보 복호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암호화된 인증용 정보가 제어기로부터 배신되어, 이 암호화된 인증용 정보가 기기에 의해 복호화된다. 따라서 제어기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가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기와 기기의 통신에 있어서, 인증용 정보가 외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치가, 상기 기기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는 시간을 계측하는 접수 시간 계측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증용 정보 배신 단계는, 접수 시간 계측 단계에 있어서 계측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기기의 인증용 정보를 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지국 장치의 접수 시간 계측 단계에서, 기기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는 시간이 계측되고, 이 계측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경우, 인증용 정보 배신 단계에서, 기기의 인증용 정보가 배신된다. 따라서, 기기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가 기지국 장치에 있고, 그 통지가 제어기에 통지되지 않는 경우이더라도, 미리 결정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면 기기의 인증용 정보를 배신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치의 상기 접속 인증 단계는, 복수의 상기 기기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받은 경우, 접속을 허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기기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받은 경우, 접속이 허가되지 않기 때문에, 등록을 소망하는 기기 이외의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가 설정되어, 등록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해당 제어기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상기 기지국 장치의 식별 정보를 리스트 표시하고, 리스트 표시된 복수의 기지국 장치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상기 기지국 장치의 선택을 접수하는 기지국 선택 접수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지국 선택 접수 단계에서, 해당 제어기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기지국 장치가 리스트 표시되고, 리스트 표시된 복수의 기지국 장치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지국 장치의 선택이 접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 중에서 기기와 접속하는 기지국 장치를 선택할 수가 있어, 복수의 기기가 하나의 기지국 장치에 집중하여 접속하여, 통신 트래팩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는, 기기의 등록을 개시하는 기기 등록 개시 수단과, 인증용 정보를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을 구비하는 제어기와,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개시하는 기기 인증 개시 수단과,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을 구비하는 기기에 접속되는 기지국 장치로서, 상기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기에 배신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과, 상기 기기를 접속 인증하는 접속 인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송신된 인증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기기의 접속을 허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은, 기기의 등록을 개시하는 기기 등록 개시 수단과, 인증용 정보를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제어기와,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개시하는 기기 인증 개시 수단과,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접속 인증 요구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기기에 접속되는 기지국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기에 배신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과, 상기 기기를 접속 인증하는 접속 인증 수단으로서 상기 기지국 장치를 기능시키고,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송신된 인증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기기의 접속을 허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는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개시하는 기기 인증 개시 수단과,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을 구비하는 기기에 접속되어,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기기에 배신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과, 기기를 접속 인증하는 접속 인증 수단을 구비하는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제어기로서, 상기 기기의 등록을 개시하는 기기 등록 개시 수단과, 해당 제어기가 결정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송신된 인증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기기의 접속을 허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은,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개시하는 기기 인증 개시 수단과,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접속 인증 요구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기기에 접속되어,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기기에 배신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과, 기기를 접속 인증하는 접속 인증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제어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기기의 등록을 개시하는 기기 등록 개시 수단과, 해당 제어기가 결정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으로서 상기 제어기를 기능시키고,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하며,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송신된 인증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기기의 접속을 허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는, 기기의 등록을 개시하는 기기 등록 개시 수단과, 인증용 정보를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을 구비하는 제어기에 접속되어, 상기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기에 배신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과, 상기 기기를 접속 인증하는 접속 인증 수단을 구비하는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기기로서, 상기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개시하는 기기 인증 개시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송신된 인증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기기의 접속을 허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은, 기기의 등록을 개시하는 기기 등록 개시 수단과, 인증용 정보를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제어기에게 접속되어, 상기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기에 배신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과, 상기 기기를 접속 인증하는 접속 인증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개시하는 기기 인증 개시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접속 인증 요구 수단으로서 상기 기기를 기능시키고,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송신된 인증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기기의 접속을 허가한다.
이들의 구성에 의하면, 제어기의 기기 등록 개시 수단에 의해서, 기기의 등록이 개시되면,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해당 제어기가 결정하는 인증용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배신된다.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된 인증용 정보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된다.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기기에 배신된다.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는, 기기의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된다. 그리고 기기의 기기 인증 개시 수단에 의해서,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가 개시되면,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이 요구된다.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해서,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가 요구된다.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판독되고, 판독된 인증용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송신된다.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해서,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 송신된 인증용 정보가 수신되어, 수신된 인증용 정보와,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기기의 접속이 허가된다.
따라서 기기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행해지면, 제어기에 의해서 해당 기기의 인증용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배신되고, 배신된 인증용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의해서 유지되고, 또한 기기에 배신되어, 배신된 인증용 정보가 기기에 의해서 유지되고, 이 인증용 정보를 사용하여 기기와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이 확립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패스워드나 PIN 코드를 입력하는 등의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특정한 기기를 반자동적으로 접속 인증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기지국(2)이 무선 기기(3)를 처음으로 접속 인증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어기(1)와, 무선 기지국(2)과, 무선 기기(3)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기(1)는, 무선 기지국(2)과유선으로 접속되고, 무선 기기(3)는, 무선 기지국(2)으로부터 접속이 허가됨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접속된다. 사용자는, 제어기(1)를 조작하여, 무선 기지국(2)을 경유하여 무선 기기(3)를 제어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2)이 기지국의 일예에 상당하며, 무선 기기(3)가 기기의 일예에 상당한다.
제어기(1)는, 무선 기기(3)의 접속 인증의 접수를 개시하는 기기 등록 개시부(10)와, 미리 패스워드(제어기가 결정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고, 스스로가 유지하는 패스워드를 무선 기지국(2), 및 무선 기기(3)에 배신하는 패스워드 배신부(11)를 구비한다.
무선 기지국(2)은, 무선 기기(3)로부터의 접속 인증 요구에 따라 접속 인증 처리를 하는 접속 인증부(20)와, 패스워드 배신부(11)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유지하는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와,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의해서 유지된 패스워드를 무선 기기(3)에 배신하는 기지국 패스워드 배신부(22)를 구비한다.
무선 기기(3)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무선 기지국(2)으로 접속 인증 처리를 개시하는 기기 인증 개시부(30)와, 기기 인증 개시부(30)로부터의 지시로 무선 기지국(2)으로의 접속 인증 요구를 하여, 접속 인증 처리를 하는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와, 패스워드 배신부(11)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유지하는 기기 패스워드 유지부(32)를 구비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기 등록 개시부(10)가 기기 등록 개시 수단의 일예에 상당하고, 패스워드 배신부(11)가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의 일예에 상당하며,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가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의 일예에 상당하고, 기지국 패스워드 배신부(22)가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의 일예에 상당하며, 접속 인증부(20)가 접속 인증 수단의 일예에 상당하고, 기기 인증 개시부(30)가 기기 인증 개시 수단의 일예에 상당하며, 기기 패스워드 유지부(32)가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의 일예에 상당하고,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가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의 일예에 상당한다.
도 2는, 제어기(1)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무선 기지국(2)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은, 무선 기기(3)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먼저, 기기 등록 개시부(10)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으로 무선 기기(3)의 기기 등록 접수를 개시하고(단계 S01), 패스워드 배신부(11)에 기기 등록 접수를 개시하는 것을 통지한다. 패스워드 배신부(11)는, 첫 번째의 패스워드 배신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02). 첫 번째의 패스워드 배신인 경우, 패스워드 배신부(11)는, 무선 기지국(2)의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패스워드 없음의 설정을 지시한다(단계 S04). 패스워드 배신부(11)는, 이 때 첫 번째의 패스워드 배신이기 때문에, 미리 유지하고 있는 패스워드는 사용하지 않고, 패스워드 없음의 설정을 지시하는 것으로 한다.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는, 패스워드 없음을 유지한다.
도 4에 있어서, 기기 인증 개시부(30)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으로 무선 기기(3)로부터 무선 기지국(2)으로의 접속 인증 처리를 개시하여(단계 S21),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접속 인증 처리를 개시하는 것을 통지한다.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는, 무선의 전파가 도달하는 범위에 무선 기지국(2)으로의 접속 인증 요구 데이터(무선 기기(3)는, 무선 기지국(2)을 통해서 제어기(1)와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무선 기지국(2)으로부터 접속 인증의 허가를 얻어야 한다. 무선 기지국(2)에 대하여, 접속 인증의 허가를 얻기 위해서 송신하는 데이터를 접속 인증 요구 데이터라 부른다)를 송신한다(단계 S22).
도 3에 있어서, 접속 인증부(20)는,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로부터 송신된 접속 인증 요구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계 S11),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로부터 패스워드를 판독하여, 패스워드 없음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고(단계 S12), 패스워드 없음으로 무선 기기(3)의 접속을 허가한다. 이것이 무선 기기(3)의 첫 번째 인증으로 되고, 패스워드 없음, 즉 특히 인증의 처리를 하지 않고서 접속하게 된다. 계속해서 접속 인증부(20)는, 패스워드 배신부(11)와,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접속을 허가한 것을 통지한다(단계 S16, 단계 S05).
도 2에 있어서, 패스워드 배신부(11)는, 미리 패스워드를 유지하고 있다. 이 패스워드는, 출하시에 고정의 패스워드가 할당된다. 물론, 가변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자동적으로 기기마다 패스워드를 랜덤하게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패스워드 배신부(11)는, 미리 유지하고 있는 패스워드를 무선 기지국(2)의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송신한다(단계 S03).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는, 패스워드 배신부(11)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를 유지한다. 무선 기지국(2)의 기지국 패스워드 배신부(22)는, 패스워드 배신부(11)에 의해 송신되고,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의해 유지된 패스워드를 무선 기기(3)의 기기 패스워드 유지부(32)에 송신한다. 기기 패스워드 유지부(32)는, 기지국 패스워드 배신부(22)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를 유지한다.
도 3에 있어서, 접속 인증부(20)는, 패스워드가 변경된 것을 인식하고(단계 S17), 이미 접속을 허가하고 있는 무선 기기(3)에 대한 접속 인증의 허가를 취소, 통신을 절단하는 것을,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통지한다(단계 S15).
도 4에 있어서,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는, 무선 기지국(2)으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허가가 취소된 것을 인식하여 (단계 S27), 다시 무선의 전파가 도달하는 범위로 접속 인증 요구 데이터를 송신한다(단계 S22).
도 3에 있어서, 접속 인증부(20)는, 접속 인증 요구 데이터를 수신하여(단계 S11),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l)에 의해, 패스워드를 판독하고, 패스워드의 설정을 위해서(단계 S12), 패스워드를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요구한다(단계 S13).
도 4에 있어서,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는, 접속 인증부(20)로부터의 패스워드 요구를 받아(단계 S23), 기기 패스워드 유지부(32)로부터 패스워드를 판독하고, 접속 인증부(20)에 송신한다(단계 S 24).
도 3에 있어서, 접속 인증부(20)는, 수신한 패스워드를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유지하고 있는 패스워드와 비교한다(단계 S14). 여기서, 수신한 패스워드와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유지하고 있는 패스워드가 일치한 경우, 접속 인증부(20)는, 무선 기기(3)의 접속을 허가한다. 이것이 무선 기기(3)에 대한 두번째의 접속 인증 허가가 된다. 접속 인증부(20)는, 무선 기기(3)의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접속을 허가한 취지를 통지한다 (단계 S16). 또, 수신한 패스워드와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유지하고 있는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접속 인증부(20)는, 무선 기기(3)의 접속을 허가하지 않고, 접속 인증이 불허가라는 취지를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통지한다(단계 S15).
도 4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2)으로부터의 접속 인증 허가가 통지되면 (단계 S25), 접속 인증이 완료한다(단계 S26).
이와 같이, 제어기(1)의 기기 등록 개시부(10)에 의해서, 무선 기기(3)의 등록이 개시되면, 패스워드 배신부(11)에 의해서, 무선 기기(3)의 패스워드가 무선 기지국(2)에 배신된다. 패스워드 배신부(11)에 의해서 배신된 패스워드는,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의해서 유지된다.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의해서 유지되는 패스워드는, 기지국 패스워드 배신부(22)에 의해서 무선 기기(3)에 배신된다. 기지국 패스워드 배신부(22)에 의해서 배신되는 패스워드는, 무선 기기(3)의 기기 패스워드 유지부(32)에 의해서 유지된다. 그리고 무선 기기(3)의 기기 인증 개시부(30)에 의해서, 무선 기기(3)의 접속 인증의 요구가 개시되면,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의해서, 무선 기지국(2)에 접속 인증이 요구된다. 접속 인증부(20)에 의해서,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무선 기기(3)에 대하여 패스워드가 요구된다.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의해서, 접속 인증부(20)에 의한 패스워드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기 패스워드 유지부(32)에 의해서 유지되는 패스워드가 판독되고, 판독된 패스워드가 무선기지국(2)에 송신된다. 접속 인증부(20)에 의해서,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의해 송신된 패스워드가 수신되어, 수신된 패스워드와,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의해서 유지되는 패스워드와가 일치하는 경우에 무선 기기(3)의 접속이 허가된다.
따라서, 무선 기기(3)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행해지면, 제어기(1)에 의해서 해당 무선 기기(3)의 패스워드가 무선 기지국(2)에 배신되어, 배신된 패스워드가 무선 기지국(2)에 의해서 유지되고 또한, 무선 기기(3)에 배신되어, 배신된 패스워드가 무선 기기(3)에 의해서 유지되어, 이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무선 기기(3)와 무선 기지국(2)의 접속 인증이 확립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패스워드나 PIN 코드를 입력하는 등의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특정한 무선 기기(3)를 반자동적으로 접속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전에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무선 기기(3)에 대하여 패스워드 없음의 상태로 접속이 허가되어, 기지국 패스워드 배신부(22)에 의해서 패스워드가 무선 기기(3)에 배신되면, 무선 기기(3)와의 접속이 절단된다. 그리고 다시,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로부터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무선 기기(3)에 대하여 패스워드가 요구된다.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의해서, 접속 인증부(20)로부터 패스워드의 요구가 접수되면, 기기 패스워드 유지부(32)에 의해서 유지되는 패스워드가 판독되고, 판독된 패스워드가 무선 기지국(2)에 송신된다.
접속 인증부(20)에 의해서,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로부터 송신된 패스워드가 수신되어, 수신된 패스워드와,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의해서 유지되는 패스워드와가 일치하는 경우에 기기의 접속이 허가된다.
따라서, 무선 기기(3)에 대하여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패스워드 없음의 상태로 무선 기지국(2)과 무선 기기(3)가 접속되고, 무선 기기(3)에 대하여 패스워드가 설정된 경우, 무선 기지국(2)과 무선 기기(3)의 접속이 절단되기 때문에, 무선 기기(3)에 대하여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더라도 무선 기지국(2)과 무선 기기(3)를 접속할 수가 있다.
또, 첫 번째에는,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가 패스워드를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패스워드 없음으로 무선 기기(3)의 접속을 허가하고, 두 번째는,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가 패스워드를 유지함으로써, 패스워드 인증을 하는 구성을 취한다. 여기서, 제어기(1)내에, 무선 기기(3)의 인증 모드를 전환하는 인증 모드 전환부를 마련하여, 첫 번째는 인증 없음 모드를 설정하고, 두 번째는 인증 있음 모드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패스워드 인증을 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도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더하여, 제어기(1)가 인증 모드 전환부(17)를 구비하고, 무선 기지국(2)이 인증 모드 유지부(26)를 구비한다. 또, 도 5에 있어서 도 1과 동일의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하는 인증 모드 전환부(17)는, 기지국(2)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를 인증 있음 또는 인증 없음으로 전환한다. 인증 모드 유지부(26)는, 인증 모드전환부(17)에 의해서 전환된 인증 모드를 유지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인증 모드 전환부(17)가 인증 모드 전환 수단의 일예에 상당하고, 인증 모드 유지부(26)가 인증 모드 유지 수단의 일예에 상당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 1의 동작과는 다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패스워드 배신부(11)는, 첫 번째의 패스워드 배신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첫 번째의 패스워드 배신인 경우, 인증 모드 전환부(17)는, 무선 기지국(2)의 인증 모드를 인증 없음으로 전환한다. 무선 기지국(2)의 인증 모드 유지부(26)는, 인증 모드를 인증 없음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인증 모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접속 인증부(20)는,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로부터 송신된 접속 인증 요구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증 모드 유지부(26)로부터 인증 모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인증 모드가 인증 없음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인지하고, 패스워드 없음의 상태로 무선 기기(3)의 접속을 허가한다.
한편, 첫 번째의 패스워드 배신이 아닌 경우, 인증 모드 전환부(17)는, 무선 기지국(2)의 인증 모드를 인증 있음으로 전환한다. 무선 기지국(2)의 인증 모드 유지부(26)는, 인증 모드를 인증 있음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인증 모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접속 인증부(20)는,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로부터 송신된 접속 인증 요구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증 모드 유지부(26)로부터 인증 모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인증 모드가 인증 있음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여, 패스워드 있음의 상태로 무선 기기(3)의 접속을 허가한다.
이와 같이, 인증 모드 전환부(17)에 의해서, 무선 기지국(2)의 접속 인증의인증 모드가 인증 있음 및 인증 없음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되고, 인증 모드 유지부(26)에 의해서, 전환된 인증 모드가 유지된다. 그리고 인증 전에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무선 기지국(2)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가 인증 없음으로 전환되고, 두 번째 이후에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무선 기지국(2)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가 인증 있음으로 전환된다. 접속 인증부(20)에 의해서,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가 접수되면, 인증 모드에 따라서 무선 기기(3)에 대하여 패스워드를 요구하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무선 기기(3)에 대하여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인증 없음 상태와, 무선 기기(3)에 대하여 패스워드가 설정된 인증 있음의 상태를 인증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식별할 수가 있어, 무선 기지국(2)이 무선 기기(3)에 대하여 패스워드를 요구하는지의 여부를 이 인증 모드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각 부간의 통신으로, 송신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응답이 없는 경우는, 임의의 시간 간격 후에, 임의의 회수의 재송을 행함으로써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하더라도 좋다.
또한, 무선 기지국(2)의 접속 인증부(20)는, 복수의 무선 기기(3)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받은 경우, 접속을 허가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복수의 무선 기기(3)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받은 경우, 접속이 허가되지 않기 때문에, 등록을 소망하는 무선 기기(3)이외의 무선 기기(3)에 대하여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등록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번 접속 인증한 무선 기기(3)에 관해서는, 링크를 개설하여, 무선 기기(3)에 대하여 링크 키를 작성한다. 그리고 이 작성한 링크 키를 무선 기기(3)의 고유 어드레스와 함께, 지금까지 무선 기지국(2)에 접속된 기기의 고유의 어드레스와 링크 키가 기재되어 있는 도 6을 일예로 하는 테이블의 리스트에 저장한다. 다음 번 이후, 무선 기기(3)로부터 무선 기지국(2)으로의 접속 인증은, 이미 링크 키가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 링크 키에 의해 인증을 행한다.
실시예 2
도 7은, 제어기(1)에 기기 등록 완료 통지부(12)가 추가되고, 무선 기기(3)에 접속 인증 완료 통지부(33)가 추가된 형태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1과 동일의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무선 기기(3)는, 무선 기지국(2)으로부터의 두 번째의 접속 인증을 패스워드 있음 (또는, 인증 있음 모드)으로 허가되었을 때에,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을 무선 기지국(2)을 경유하여 제어기(1)에 통지하는 접속 인증 완료 통지부(33)를 구비한다.
제어기(1)는, 접속 인증 완료 통지부(33)로부터 접속 인증 완료 통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기기 등록이 완료한 것을 통지하는 기기 등록 완료 통지부(12)를 구비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 인증 완료 통지부(33)가 접속 인증 완료 통지 수단의 일예에 상당하고, 기기 등록 완료 통지부(12)가 기기 등록 완료 통지 수단의 일예에 상당한다.
도 8은, 제어기(1)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무선 기지국(2)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무선 기기(3)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 ~ 도 10에 있어서 도 2 ~ 도 4와 동일의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접속 인증부(20)가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패스워드 있음으로 접속을 허가한 취지를 통지(단계 S16, 단계 S25)하고, 접속 인증이 완료한다(단계 S26).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는, 접속 인증 완료 통지부(33)에 접속 인증 완료를 통지한다. 접속 인증 완료 통지부(33)는, 무선 기지국(2)을 경유하여, 기기 등록 완료 통지부(12)에 무선 기기(3)가 접속 인증 완료한 취지를 통지한다(단계 S28, 단계 S29). 기기 등록 완료 통지부(12)는,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단계 S06, 단계 S07).
이와 같이, 무선 기기(3)의 접속 인증 완료 통지부(33)에 의해서, 무선 기지국(2)으로의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이 제어기(1)에 통지되고, 제어기(1)의 기기 등록 완료 통지부(12)에 의해서, 접속 인증 완료 통지부(33)로부터의 완료 통지를 받아, 무선 기기(3)의 무선 기지국(2)으로의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따라서 무선 기기(3)의 무선 기지국(2)으로의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이 사용자에게 통지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무선 기기(3)와 무선 기지국(2)의 접속 인증이 완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11)은, 제어기(1)에 단말 ID 배신부(13)가 추가되고, 무선 기지국(2)에 단말 ID 유지부(23) 및 다이제스트 값 인증부(24)가 추가되며, 무선 기기(3)에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부(34)가 추가된 형태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7과 동일의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지만, 일부 처리 내용이 다른 부분은 설명을 한다.
제어기(1)는, 무선 기기(3)로부터 수신한 단말 ID(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기기 특정 정보)를 유지하여, 무선 기지국(2)에 송신하는 단말 ID 배신부(13)를 구비한다.
무선 기지국(2)은, 제어기(1)의 단말 ID 배신부(13)로부터 수신한 단말 ID를 유지하는 단말 ID 유지부(23)와, 단말 ID 유지부(23)에 유지하는 단말 ID와,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유지하는 패스워드와,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로부터 수신한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을 산출하고, 무선 기기(3)로부터 수신한 다이제스트 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접속 인증부(20)에 통지하는 다이제스트 값 인증부(24)를 구비한다.
무선 기기(3)는, 무선 기기(3)의 단말 ID와 기기 패스워드 유지부(32)가 유지하는 패스워드와 미리 유지하는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을 산출하는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부(34)를 구비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부(34)가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 수단의 일예에 상당하고, 무선 접속 인증 요구 수단(31)이 다이제스트 값배신 수단의 일예에 상당하며, 단말 ID 배신부(13)가 기기 특정 정보 배신 수단의 일예에 상당하고, 단말 ID 유지부(23)가 기기 특정 정보 유지 수단의 일예에 상당하며, 다이제스트 값 인증부(24)가 다이제스트 값 인증 수단의 일예에 상당한다.
접속 인증부(20)는, 첫 번째의 접속 인증을 패스워드 없음으로 허가했을 때, 패스워드 배신부(11)와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접속을 허가한 것을 통지한다.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는, 접속 인증 완료 통지부(33)에 접속이 허가된 것을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접속 인증 완료 통지부(33)는, 무선 기지국(2)을 경유하여, 무선 기기(3)의 단말 ID를 기기 등록 완료 통지부(12)에 통지한다. 기기 등록 완료 통지부(12)는, 수신한 무선 기기(3)의 단말 ID를 단말 ID 배신부(13)에 통지하여,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단말 ID 배신부(13)는, 무선 기기(3)의 단말 ID를 유지하여, 단말 ID 유지부(23)에 송신한다. 단말 ID 유지부(23)는, 수신한 단말 ID를 유지한다.
접속 인증부(20)는, 두 번째의 접속 인증을 패스워드 있음으로 허가했을 때, 무선 기기(3)의 단말 ID와 난수와 다이제스트 값을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요구한다.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부(34)는,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로부터 요구를 받아, 무선 기기(3)의 단말 ID와 기기 패스워드 유지부(32)가 유지하는 패스워드와 미리 유지하는 난수를 입력으로 하여 소정의 함수를 사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을 산출한다.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는,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부(34)로부터 무선 기기(3)의 단말 ID와 난수와 다이제스트 값을 수취하여, 접속 인증부(20)에 송신한다. 접속 인증부(20)로부터 요구를 받은 다이제스트 값 인증부(24)는,단말 ID 유지부(23)에 유지하는 무선 기기(3)의 단말 ID와,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유지하는 패스워드와, 수신한 난수를 입력으로 하여 소정의 함수를 사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다이제스트 값 인증부(24)는, 산출한 다이제스트 값과,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로부터 수신한 다이제스트 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접속 인증부(20)에 통지한다. 접속 인증부(20)는, 비교가 일치한 경우,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접속 인증 허가를 통지하여, 접속 인증이 완료한다. 접속 인증 완료 통지부(33)는,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로부터 접속 인증 완료의 통지를 받아,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을 무선 기지국(2)을 경유하여 기기 등록 완료 통지부(12)에 통지한다. 기기 등록 완료 통지부(12)는, 사용자에게 기기 등록이 완료한 것을 통지한다.
이와 같이, 접속 인증 완료 통지부(33)에 의해서, 무선 기기(3)의 단말 ID가 제어기(1)에 통지된다. 무선 기기(3)의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부(34)에 의해서, 해당 무선 기기(3)의 단말 ID와, 기기 패스워드 유지부(32)에 의해서 유지되는 패스워드와, 해당 무선 기기(3)가 갖는 소정의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이 산출되어,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의해서,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과 상기 난수가 무선 기지국(2)에 배신된다. 제어기(1)의 단말 ID 배신부(13)에 의해서, 무선 기기(3)로부터 수취한 단말 ID가 무선 기지국(2)에 배신되어, 무선 기지국(2)의 단말 ID 유지부(23)에 의해서, 제어기(1)로부터 배신되는 단말 ID가 유지된다. 다이제스트 값 인증부(24)에 의해서, 단말 ID와, 패스워드와, 무선 기기(3)로부터 수취한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이 산출되어,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과 무선 기기(3)로부터 수취한 다이제스트 값이 비교된다. 그리고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과 무선 기기(3)로부터 수취한 다이제스트 값이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접속 인증부(20)에 의해서, 무선 기기(3)의 무선 기지국(2)에 대한 접속이 허가된다.
따라서, 무선 기기(3)측에서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과, 무선 기지국(2)측에서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을 비교하여, 양 다이제스트 값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무선 기기(3)의 무선 기지국(2)에 대한 접속이 허가되기 때문에, 무선 기기(3)와 무선 기지국(2)의 접속에 관한 안전 레벨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4
도 12는, 제어기(1)에 암호 처리부(14)가 추가되고, 무선 기지국(2)에 기지국 암호 처리부(25)가 추가되며, 무선 기기(3)에 기기 암호 처리부(35)가 추가된 형태이다. 도12에 있어서 도 11과 동일의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기(1)는, 암호 처리부(14)를 구비하고, 무선 기지국(2)은, 기지국 암호 처리부(25)를 구비하며, 무선 기기(3)는, 기기 암호 처리부(35)를 구비한다.
암호 처리부(14)는, 제어기(1)로부터의 송신 데이터의 암호화와, 제어기(1)의 수신 데이터의 복호를 행한다. 기지국 암호 처리부(25)는, 무선 기지국(2)으로부터의 송신 데이터의 암호화와, 무선 기지국(2)의 수신 데이터의 복호를 행한다. 기기 암호 처리부(35)는, 무선 기기(3)로부터의 송신 데이터의 암호화와, 무선 기기(3)의 수신 데이터의 복호를 행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호 처리부(14)가 인증용 정보 암호화 수단의 일예에 상당하고, 기기 암호 처리부(35)가 인증용 정보 복호화 수단의 일예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암호화된 패스워드가 제어기(1)에 의해 배신되고, 이 암호화된 패스워드가 무선 기기(3)에 의해 복호화된다. 따라서 제어기(1)에 의해서 배신되는 패스워드가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기(1)와 무선 기기(3)의 통신에 있어서, 패스워드가 외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3은, 제어기(1)에 접수 시간 계측부(15)가 추가된 형태이다. 도 13에 있어서 도 12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수 시간 계측부(15)가 접수 시간 계측 수단의 일예에 상당한다.
제어기(1)는, 접수 시간 계측부(15)를 구비한다. 기기 등록 개시부(10)는, 사용자로부터, 무선 기기(3)의 기기 등록 지시를 받았을 때에, 접수 시간 계측부(15)에 대하여 대기 시간의 계측 개시를 지시한다. 접수 시간 계측부(15)는, 무선 기지국(2)이 무선 기기(3)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는 대기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여 접수를 마감하고, 패스워드 배신부(11)에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패스워드 배신부(11)는,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미리 유지하고 있는 패스워드를 송신한다.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는, 패스워드를보관하여, 접속 인증부(20)에 패스워드가 변경된 것을 통지한다. 접속 인증부(20)는, 패스워드 없음으로 접속되어 있는 무선 기기(3)에 대한 접속 인증의 허가를 취소하고, 통신을 절단하여, 무선 기기(3)의 접속 인증 작업을 강제적으로 종료하도록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통지한다.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는, 접속 인증 허가의 대기를 중단하여, 기동 후의 상태로 천이한다.
이와 같이, 제어기(1)의 접수 시간 계측부(15)에 의해서, 무선 기기(3)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는 시간이 계측되어, 이 계측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경우, 패스워드 배신부(11)에 의해서, 무선 기기(3)의 패스워드가 배신된다. 따라서, 무선 기기(3)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가 무선 기지국(2)에 있고, 그 통지가 제어기(1)에 통지되지 않은 경우이라도, 미리 결정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면 무선 기기(3)의 패스워드를 무선 기지국(2)에 배신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14는, 제어기(1)에 무선 기지국 선택 접수부(16)가 추가된 형태이다. 도 14에 있어서 도 13과 동일의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 선택 접수부(16)가 기지국 선택 접수 수단의 일예에 상당한다.
제어기(1)는, 무선 기지국 선택 접수부(16)를 구비한다. 무선 기지국 선택 접수부(16)는, 무선 기지국이 복수 접속된 시스템 구성으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무선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리스트 표시하여,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접수한다. 사용자는, 리스트 표시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의 식별 정보 중에서, 무선 기기(3)의 접속을 인증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을 선택한다. 또, 1대의 무선 기지국에 접속 인증한 접속 인증 정보를 모든 무선 기지국에 배신함으로써, 모든 무선 기지국으로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 l리스트 표시와 사용자에 의한 선택은 하지 않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무선 기지국 선택 접수부(16)에 의해서, 해당 제어기(1)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무선 기지국(2)이 리스트 표시되어, 리스트 표시된 복수의 무선 기지국(2)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무선 기지국(2)의 선택이 접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2) 중에서 무선 기기(3)와 접속하는 무선 기지국(2)을 선택할 수가 있어, 복수의 무선 기기(3)가 하나의 무선 기지국(2)에 집중하여 접속하여, 통신 트래픽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5는, 제어기와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복수의 무선 기기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어기(1a)와, 무선 기지국의 일예인 억세스 포인트(2a, 2b)와, 무선 기기의 일예인 에어콘(air conditioner)(3a, 3b)과, HUB(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어기(1a)와 HUB(4)은, 예컨대 이더넷(등록 상표) 등에 의해 접속되고, 복수의 억세트 포인트(2a, 2b)와 HUB(4)는, 예컨대 이더넷(등록 상표)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에어콘(3a, 3b)과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2a, 2b)는, 예컨대 블루투스 등의 무선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어기(1a)의 구성은 도 14에 도시하는 제어기(1)의 구성과 같으며, 억세스 포인트(2a, 2b)의 구성은 도 14에 도시하는 무선 기지국(2)의 구성과 같고, 에어콘(3a, 3b)의 구성은 도 14에 도시하는 무선 기기(3)의 구성과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억세스 포인트(2b)에 에어콘(3a)을 등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사용자는 제어기(1a)에 마련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에어콘(3a)의 등록 개시 지시를 입력한다. 기기 등록 개시부(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입력된 등록 개시 지시를 접수한다. 그리고 기기 등록 개시부(10)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억세스 포인트의 검색을 행한다. 각 억세스 포인트(2a, 2b)는, 제어기(1a)로부터의 검색 요구에 대하여 응답한다. 제어기(1a)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각 억세스 포인트(2a, 2b)로부터의 응답에 근거하여, 현재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억세스 포인트를 표시 장치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되는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 중에서 에어콘(3a)과 접속하는 억세스 포인트를 선택한다. 여기서는, 억세스 포인트(2b)에 에어콘(3a)을 등록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 중에서 억세스 포인트(2b)가 선택된다.
다음에, 패스워드 배신부(11)는, 억세스 포인트(2b)의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패스워드 없음의 설정을 지시한다. 그리고, 접수 시간 계측부(15)는, 등록 접수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수 시간 계측부(15)가 등록 접수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나서 종료하기까지의 시간은, 예컨대 3분으로 설정되어 있다.
사용자에 의해서 에어콘(3a)의 주 전원이 ON되면,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는, 억세스 포인트(2b)에 대하여 접속 인증 요구 데이터를 송신한다. 억세스 포인트(2b)의 접속 인증부(20)는,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로부터 송신된 접속 인증 요구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로부터 패스워드를 판독하여, 패스워드 없음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고 패스워드 없음으로 에어콘(3a)의 접속을 허가한다.
접속 인증 완료 통지부(33)는,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을 제어기(1a)의 기기 등록 완료 통지부(12)에 통지한다. 이때, 접속 인증 완료 통지부(33)는 에어콘(3a)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 ID를 제어기(1a)에 송신한다. 제어기(1a)의 기기 등록 완료 통지부(12)는, 수신한 에어콘(3a)의 단말 ID를 단말 ID 배신부(13)에 통지한다. 단말 ID 배신부(13)는, 에어콘(3a)의 단말 ID를 유지하고, 유지된 단말 ID를 억세스 포인트(2b)의 단말 ID 유지부(23)에 송신한다. 억세스 포인트(2b)의 단말 ID 유지부(23)는, 수신한 단말 ID를 유지한다. 또, 제어기(1a)의 패스워드 배신부(11)는, 미리 유지하고 있는 패스워드를 억세스 포인트(2b)의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송신한다. 억세스 포인트(2b)의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는, 패스워드 배신부(11)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를 유지한다. 억세스 포인트(2b)의 기지국 패스워드 배신부(22)는, 패스워드 배신부(11)에 의해 송신되고,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의해 유지된 패스워드를 에어콘(3a)의 기기 패스워드 유지부(32)에 송신한다. 에어콘(3a)의 기기 패스워드 유지부(32)는, 기지국 패스워드 배신부(22)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를 유지한다. 그리고 억세스 포인트(2b)의 접속 인증부(20)는, 패스워드 없음으로 접속되어 있는 에어콘(3a)에 대한 접속 인증의 허가를 취소하고, 통신을 절단하고, 무선 기기(3)의 접속 인증 작업을 강제적으로 종료하도록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통지한다.
에어컨(3a)의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는, 억세스 포인트(2b)로부터의 접속 인증 허가가 취소된 것을 인식하고, 다시 억세스 포인트(2b)에 접속 인증 요구 데이터를 송신한다.
억세스 포인트(2b)의 접속 인증부(20)는, 두 번째의 접속 인증을 패스워드 있음으로 허가한 때, 에어콘(3a)의 단말 ID와 난수와 다이제스트 값을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요구한다.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가 접속 인증부(20)로부터의 요구를 접수하면,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부(34)는, 에어콘(3a)의 단말 ID와 기기 패스워드 유지부(32)가 유지하는 패스워드와 미리 유지하는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을 산출한다.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는,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부(34)로부터 무선 기기의 단말 ID와 난수와 다이제스트 값을 수취하고, 억세스 포인트(2b)의 접속 인증부(20)에 송신한다.
접속 인증부(20)로부터 요구를 받는 다이제스트 값 인증부(24)는, 단말 ID 유지부(23)에 유지하는 에어콘(3a)의 단말 ID와, 기지국 패스워드 유지부(21)에 유지하는 패스워드와, 수신한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다이제스트 값 인증부(24)는, 산출한 다이제스트 값과, 무선 접속인증 요구부(31)로부터 수신한 다이제스트 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접속 인증부(20)에 통지한다. 접속 인증부(20)는, 비교가 일치한 경우, 에어콘(3a)의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에 접속 인증 허가를 통지하여, 접속 인증이 완료한다.
에어콘(3a)의 접속 인증 완료 통지부(33)는, 무선 접속 인증 요구부(31)로부터 접속 인증 완료의 통지를 받아,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을 제어기(1a)의 기기 등록 완료 통지부(12)에 무선 기지국(2)을 경유하여 통지한다. 기기 등록 완료 통지부(12)는, 에어콘(3a)이 억세스 포인트(2b)에 등록된 취지를 표시 장치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기기 등록이 완료한 것을 통지한다.
도 17은, 억세스 포인트가 구비하는 어드레스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7(a)는, 패스워드 있음으로 접속이 허가되기까지의 억세스 포인트(2b)가 기억하는 어드레스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7 (b)는, 패스워드 있음으로 접속이 허가되고 나서의 억세스 포인트(2b)가 기억하는 어드레스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7 (a) 및 도17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드레스 테이블에는, 무선 기기의 고유 어드레스와 링크 키가 대응지어 기억되어 있다. 에어콘(3a)이 접속 인증되기까지의 억세스 포인트(2b)는, 도17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콘(3a)의 고유 어드레스인 「A36B35」만이 기억되어 있고, 링크 키는 기억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억세스 포인트(2b)는, 에어콘(3a)과의 접속이 인증되면, 에어콘(3a)의 링크 키를 작성한다. 이 작성된 링크 키는, 에어콘(3a)의 고유 어드레스에 대응지어 기억된다. 도 17 (b)에서는, 에어콘(3a)의 고유 어드레스「A36B35」와, 링크 키「23bc」가 대응지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콘(3a)으로부터 억세스 포인트(2b)로의 접속 인증은, 어드레스 테이블을 이용하여 행하여진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2)과 무선 기기(3)는, 무선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특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기지국(2)과 무선 기기(3)를 유선에 의해서 접속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제어기, 기기 및 제어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패스워드나 PIN 코드를 입력하는 등의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특정한 기기를 반자동적으로 접속 인증할 수가 있어, 기기의 기지국 장치에 대한 접속 인증을 하는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제어기, 기기 및 제어 프로그램 등으로 유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기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행해지면, 제어기에 의해서 해당 기기의 인증용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배신되고, 배신된 인증용 정보가 기지국 장치에 의해서 유지되고, 또한 기기에 배신되어, 배신된 인증용 정보가 기기에 의해서 유지되고, 이 인증용 정보를 사용하여 기기와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이 확립되기 때문에, 기기를 접속 인증할 때, 사용자가 패스워드나 PIN 코드를 입력하는 등이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특정한 기기를 반자동적으로 접속 인증할 수가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를 필요 최저한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존의 기지국 장치를 활용할 수 있고, 메이커(maker)의 개발 경비를 경감할 수가 있다.

Claims (26)

  1. 기지국 장치와, 상기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제어기와, 상기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기기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기의 등록을 개시하는 기기 등록 개시 수단과, 당해 제어기가 결정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기에 배신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과, 상기 기기를 접속 인증하는 접속 인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기는, 상기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개시하는 기기 인증 개시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송신된 인증용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기기의 접속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치와 상기 기기는,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용 정보는, 패스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인증 전에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 없음 상태로 접속을 허가하여,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인증용 정보가 상기 기기에 배신되면, 상기 기기와의 접속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를 인증 있음 및 인증 없음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하는 인증 모드 전환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인증 모드 전환 수단에 의해서 전환된 상기 인증 모드를 유지하는 인증 모드 유지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인증 모드 전환 수단은, 인증 전에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를 인증 없음으로 전환하고, 두 번째 이후에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를 인증 있음으로 전환하며,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인증 모드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는 인증 모드에 따라서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상기 기지국 장치로의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을 상기 제어기에 통지하는 접속 인증 완료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접속 인증 완료 통지 수단으로부터 완료 통지를 받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기기 등록 완료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접속 인증 완료 통지 수단은, 상기 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기기 특정 정보를 상기 제어기에게 통지하고,
    상기 기기는, 당해 기기의 기기 특정 정보와,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유지하는 인증용 정보와, 당해 기기가 갖는 소정의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을 산출하는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 수단과, 상기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 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과 상기 난수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다이제스트 값 배신 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기로부터 수취한 상기 기기 특정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기기 특정 정보 배신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배신되는 상기 기기 특정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특정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기 특정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기기 특정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기로부터 수취한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다이제스트 값과 상기 기기로부터수취한 상기 다이제스트 값을 비교하는 다이제스트 값 인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다이제스트 값인증 수단에 의해서, 산출한 다이제스트 값과 상기 기기로부터 수취한 상기 다이제스트 값이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기기의 상기 기지국 장치에 대한 접속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인증용 정보를 암호화하는 인증용 정보 암호화 수단을더 구비하되,
    상기 기기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배신되는 암호화된 인증용 정보를 복호화 하는 인증용 정보 복호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기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는 시간을 계측하는 접수 시간 계측 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은, 접수 시간 계측 수단에 의해서 계측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기기의 인증용 정보를 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치의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복수의 상기 기기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받은 경우, 접속을 허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당해 제어기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상기 기지국 장치를 리스트 표시하고, 리스트 표시된 복수의 기지국 장치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상기 기지국 장치의 선택을 접수하는 기지국 선택 접수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2. 기지국 장치와, 상기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제어기와, 상기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기기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기가,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상기 기기의 등록을 개시하는 기기 등록 개시 단계와, 당해 제어기가 결정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인증용 정보 배신 단계를 구비하되,
    상기 기지국 장치가, 상기 인증용 정보 배신 단계에 있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단계에 있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기에 배신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단계와, 상기 기기를 접속 인증하는 접속 인증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가,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상기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개시하는 기기 인증 개시 단계와, 상기 제어기로부터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와, 상기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접속 인증 요구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 인증 단계는, 상기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접속 인증 요구 단계는, 상기 접속 인증 단계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에 있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접속 인증 단계는, 상기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있어서 송신된 인증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에 있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기기의 접속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 단계는, 인증 전에 상기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 없음의 상태로 접속을허가하고,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단계에 의해서 인증용 정보가 상기 기기에 배신되면, 상기 기기와의 접속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를 인증 있음 및 인증 없음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하는 인증 모드 전환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장치가, 상기 인증 모드 전환 단계에 있어서 전환된 상기 인증 모드를 유지하는 인증 모드 유지 단계를 더 구비하되,
    상기 인증 모드 전환 단계는, 인증 전에 상기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를 인증 없음으로 전환하고 두 번째 이후에 상기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지국 장치의 접속 인증의 인증 모드를 인증 있음으로 전환하고,
    상기 접속 인증 단계는, 상기 접속 인증 요구 단계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인증 모드 유지 단계에 있어서 유지되어 있는 인증 모드에 따라서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상기 기지국 장치로의 접속 인증이 완료한 것을 상기 제어기에 통지하는 접속 인증 완료 통지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접속 인증 완료 통지 단계로부터 완료 통지를 받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기기 등록 완료 통지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접속 인증 완료 통지 단계는, 상기 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기기 특정 정보를 상기 제어기에 통지하고,
    상기 기기가, 당해 기기의 기기 특정 정보와,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에 유지하는 인증용 정보와, 당해 기기가 갖는 소정의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을 산출하는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 단계와, 상기 기기 다이제스트 값 산출 단계에 있어서 산출된 다이제스트 값과 상기 난수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다이제스트 값 배신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가, 상기 기기로부터 수취한 상기 기기 특정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기기 특정 정보 배신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장치가, 상기 제어기로부터 배신되는 상기 기기 특정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특정 정보 유지 단계와, 상기 기기 특정 정보 유지 단계에 있어서 유지되는 기기 특정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단계에 있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기로부터 수취한 난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이제스트 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다이제스트 값과 상기 기기로부터 수취한 상기 다이제스트 값을 비교하는 다이제스트 인증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다이제스트 인증 단계에 있어서, 산출한 다이제스트 값과 상기 기기로부터 수취한 상기 다이제스트 값이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접속 인증 단계는, 상기 기기의 상기 기지국 장치에 대한 접속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인증용 정보를 암호화하는 인증용 정보 암호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기가, 상기 제어기로부터 배신되는 암호화 인증용 정보를 복호하는 인증용 정보 복호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기기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는 시간을 계측하는 접수 시간 계측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증용 정보 배신 단계는, 접수 시간 계측 단계에 있어서 계측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기기의 인증용 정보를 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치의 상기 접속 인증 단계는, 복수의 상기 기기로부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받은 경우, 접속을 허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당해 제어기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상기 기지국 장치의 식별 정보를 리스트 표시하고, 리스트 표시된 복수의 기지국 장치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상기 기지국 장치의 선택을 접수하는 기지국 선택 접수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21. 기기의 등록을 개시하는 기기 등록 개시 수단과, 인증용 정보를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을 구비하는 제어기와,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개시하는 기기 인증 개시 수단과,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을 구비하는 기기에 접속되는 기지국 장치로서,
    상기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기에 배신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과,
    상기 기기를 접속 인증하는 접속 인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송신된 인증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기기의 접속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2. 기기의 등록을 개시하는 기기 등록 개시 수단과, 인증용 정보를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제어기와,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개시하는 기기 인증 개시 수단과,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접속 인증 요구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기기에 접속되는 기지국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기에 배신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과,
    상기 기기를 접속 인증하는 접속 인증 수단으로서 상기 기지국 장치를 기능시키고,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송신된 인증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기기의 접속을 허가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
  23.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개시하는 기기 인증 개시 수단과,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을 구비하는 기기에 접속되어,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기기에 배신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과, 기기를 접속 인증하는 접속 인증 수단을 구비하는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제어기로서,
    상기 기기의 등록을 개시하는 기기 등록 개시 수단과,
    당해 제어기가 결정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송신된 인증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기기의 접속을 허가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24.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개시하는 기기 인증 개시 수단과,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접속 인증 요구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기기에 접속되어,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기기에 배신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과, 기기를 접속 인증하는 접속 인증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제어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기기의 등록을 개시하는 기기 등록 개시 수단과,
    해당 제어기가 결정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으로서 상기 제어기를 기능시키고,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하며,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송신된 인증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기기의 접속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
  25. 기기의 등록을 개시하는 기기 등록 개시 수단과, 인증용 정보를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을 구비하는 제어기에 접속되어, 상기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기에 배신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과, 상기 기기를 접속 인증하는 접속 인증 수단을 구비하는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기기로서,
    상기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개시하는 기기 인증 개시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송신된 인증용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기기의 접속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6. 기기의 등록을 개시하는 기기 등록 개시 수단과, 인증용 정보를 기지국 장치에 배신하는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제어기에 접속되어, 상기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기에 배신하는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과, 상기 기기를 접속 인증하는 접속 인증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기기의 접속 인증의 요구를 개시하는 기기 인증 개시 수단과,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배신 수단에 의해서 배신되는 인증용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접속 인증을 요구하는 접속 인증 요구 수단으로서 상기 기기를 기능시키고,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한 접속 인증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에 대하여 인증용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용 정보의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기기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인증용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접속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 인증 요구 수단에 의해서 송신된 인증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증용 정보와, 상기 기지국 인증용 정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는 인증용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기기의 접속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
KR1020040049404A 2003-06-30 2004-06-29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제어기, 및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012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86809 2003-06-30
JP2003186809 2003-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613A true KR20050002613A (ko) 2005-01-07
KR101012900B1 KR101012900B1 (ko) 2011-02-08

Family

ID=34074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404A KR101012900B1 (ko) 2003-06-30 2004-06-29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제어기, 및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07418B2 (ko)
KR (1) KR101012900B1 (ko)
CN (1) CN15785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4690B1 (en) * 2000-04-28 2006-04-04 3Com Corporation Protected mutual authentication over an unsecured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JP2006295872A (ja) * 2005-03-18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固有鍵の生成方法、これを用いた機密情報処理機能を備えた機密情報lsi、これを搭載したホスト機器、これに用いられる認証機能付き記録媒体、および認証機能を備えた記録媒体付き携帯端末
JP4455418B2 (ja) * 2005-06-13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パラメータ設定方法及び通信装置
US7630386B2 (en) * 2006-09-11 2009-12-08 Eci Telecom Ltd. Method for providing broadband communication service
JP4777229B2 (ja) * 2006-12-20 2011-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当該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181055B2 (en) 2007-09-27 2019-01-15 Clevx, Llc Data security system with encryption
US10778417B2 (en) * 2007-09-27 2020-09-15 Clevx, Llc Self-encrypting module with embedded wireless user authentication
US10783232B2 (en) 2007-09-27 2020-09-22 Clevx, Llc Management system for self-encrypting managed devices with embedded wireless user authentication
US11190936B2 (en) 2007-09-27 2021-11-30 Clevx, Llc Wireless authentication system
JP4999736B2 (ja) * 2008-03-13 2012-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JP2009290329A (ja) * 2008-05-27 2009-12-10 Toshiba Corp Ip通信システム、サーバユニット、端末デバイスおよび認証方法
US8826397B2 (en) * 2009-01-15 2014-09-02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Secure remote authentication through an untrusted network
US8943552B2 (en) 2009-04-24 2015-01-27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discov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networking environment
US8619735B2 (en) 2009-07-16 2013-12-31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register with external networks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s
US8467359B2 (en) 2010-05-13 2013-06-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authenticate requests for network capabilities for connecting to an access network
US8665842B2 (en) 2010-05-13 2014-03-04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discover network capabilities for connecting to an access network
US8644276B2 (en) 2010-05-13 2014-02-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network capabilities for connecting to an access network
JP5225412B2 (ja) * 2011-03-03 2013-07-03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2421202A (zh) * 2011-12-06 2012-04-18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无线设备与上行网络接入设备自动连接的方法
WO2013180044A1 (ja) 2012-05-29 2013-12-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キーシステム
JP6111713B2 (ja) * 2013-02-06 2017-04-12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認証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105167A (zh) * 2013-04-15 2014-10-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Wi-Fi热点接入处理方法及装置
KR20150049596A (ko) * 2013-10-30 2015-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입력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6232202B (zh) * 2014-04-24 2018-09-25 3M创新有限公司 用于维护和监测过滤系统的系统和方法
WO2017009915A1 (ja) 2015-07-10 2017-01-19 富士通株式会社 機器認証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機器認証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5307A1 (fr) * 1995-05-01 1996-11-07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e de communication mobile et dispositif a station de base associe
JPH09271066A (ja) * 1996-03-29 1997-10-14 Sony Corp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及び通信管理装置
JP3544918B2 (ja) 2000-04-28 2004-07-21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及びユーザ認証方法
US7123719B2 (en) * 2001-02-16 2006-10-1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02291033A (ja) 2001-03-23 2002-10-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3070062A (ja) 2001-08-24 2003-03-07 Tdk Corp 無線通信機器及びその認証情報の変更方法
JP2003179699A (ja) 2001-12-12 2003-06-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ネットワーク家電遠隔操作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認証システム
JP2003299146A (ja) * 2002-02-01 2003-10-17 Canon Inc 無線通信装置
JP4024052B2 (ja) 2002-02-07 2007-12-19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端末の通信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7209466B2 (en) * 2002-06-06 2007-04-24 Symbol Technologies, Inc. Software method utilizing gateways for maintaining connectivity during communications over distinct wireless networks by mobile computer termi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07418B2 (en) 2010-04-27
CN1578533A (zh) 2005-02-09
KR101012900B1 (ko) 2011-02-08
CN1578533B (zh) 2010-09-08
US20050021959A1 (en)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900B1 (ko)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제어기, 및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78818B1 (ko) 단말기에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방법, 인증시스템, 단말기, 및 인증 장치
JP5422571B2 (ja) 無線機器の登録方法及び装置
US7986642B2 (en) Wireless network system, and wireless device included in the system
KR2015009725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H09503895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真正証明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4355611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基地局装置、コントローラ、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4580235A (zh) 用于设备连接的认证方法和认证系统
CN105451298A (zh) 网络共享的方法及系统、接入的方法及系统和电子设备
KR10079652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입자식별모듈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US88000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in wireless networks by means of one-time passwords
US11818775B2 (en) Communication system, electronic device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JP4646080B2 (ja) 無線端末を認証する認証システム、その認証方法及び無線基地局
KR1023908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
JP3851781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接続認証方法
JP6640949B2 (ja) 接続情報送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8741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인증 장치 및 방법
JP2009223389A (ja) 接続制御装置、接続制御方法及び接続制御プログラム
WO2019186417A1 (en) Control of a utility
KR20160031083A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 방법
JP2019190111A (ja) 鍵情報生成システム及び鍵情報生成方法
US11849326B2 (en) Authentication of a user of a software application
US20030217260A1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customer premises apparatus and gateway
JP6273737B2 (ja) 機器登録システム、機器管理装置、無線通信装置、登録装置及び機器管理プログラム
JP6499122B2 (ja) 接続情報送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