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212A - 홍채 검진 시스템 및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홍채 검진 시스템 및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212A
KR20050002212A KR1020030043561A KR20030043561A KR20050002212A KR 20050002212 A KR20050002212 A KR 20050002212A KR 1020030043561 A KR1020030043561 A KR 1020030043561A KR 20030043561 A KR20030043561 A KR 20030043561A KR 20050002212 A KR20050002212 A KR 20050002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is
information
image
diagnosis
org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3787B1 (ko
Inventor
김태준
김상호
Original Assignee
김태준
김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준, 김상호 filed Critical 김태준
Priority to KR10-2003-0043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787B1/ko
Publication of KR20050002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7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16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for diagnostics of the ir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홍채 검진 시스템 및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채 검진 시스템은 홍채학에 근거한 건강 진단 시스템으로서 홍채영상 촬영장치와 촬영된 홍채영상을 분석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피검진자 정보, 홍채의 위치 정보, 홍채의 특이 증상에 관한 정보, 질병 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홍채영상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홍채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피측정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진단 프로그램이 저장된 진단 프로그램 모듈 및 검진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홍채 진단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홍채 영상 정보를 읽고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홍채 위치정보 및 특이 증상에 관한 정보 등과 비교하여 자동으로 피검진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escription

홍채 검진 시스템 및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SYSTEM FOR IRIS DIAGNOSI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READABLE PROGRAM FOR IRIS DIAGNOSIS IS RECORDED}
본 발명은 홍채 검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홍채학(iridology)에 근거하여 피측정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홍채 검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홍채는 뇌의 연장으로서 수십만 가닥의 신경말단(자율신경, 동안신경, 감각신경)과 모세혈관 및 근섬유조직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홍채는 뇌(腦와) 신경계(神經系)를 통하여 모든 장기(臟器)와 조직(組織)에 연결되어 있어서 전신건강에 대한 직접적인 진단지표(診斷指標)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인간의 홍채는 생후 18개월 이후로는 변하지 않으나, 건강의 이상 징후에 따라 홍채 곳곳에 특유의 증상이 나타난다.
홍채학(iridology)에서는 바로 이점에 착안하여 홍채상에 나타난 모든 변화로부터 연관된 조직의 질병상태를 진단하고 신체의 요구가 무엇인가를 알아내게 된다. 다시 말하면, 홍채는 우리 몸에서 가장 복잡한 섬유막 구조로 되어있고 신경을 통하여 대뇌(大腦)와 신체 각 부위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 내의 각 조직(組織) 및 장기(臟器)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화학적 변화에 따른 정보가 바이브레이션(vibration)으로 전달되어 섬유조직의 형태를 변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홍채상의 색상과 구조상의 변화에 대한 분석으로 신체 기관의 건강상태, 신진대사 과정의 최종산물인 노폐물이나 외부에서 흡입한 독소의 축적정도와 축적부위 및 신체의 체질구별(體質區別) 등이 가능하다. 이를 이용하여 개인적 건강의 수준이나 치료에 대한 반응, 인체골격, 질병의 회복 및 진행에 관한 상태를 판독하고 진단하는 방법을 홍채진단이라 하는데, 그 모든 체계를 하나의 학문으로 정립한것이 홍채학이다.
홍채를 이용한 진찰법(診察法)은 이것을 진료에 활용하는 의사의 활용도에 따라 그 가치가 매우 다르게 평가된다. 긍정적인 측면에서 수용하여 활용하는 이들은 환자가 현재 자각(自覺)하고 있는 체감증상(體感症狀)의 약 70??80%를 문진(問診)없이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장점을 이용해 불문진단(不問診斷)의 한 방편으로 홍채학을 이용하고 있기도 하고, 어떤 이들은 개개의 병명에 국한된 질병의 진단뿐만 아니라 유기체(有機體)로서의 인체를 전체적으로 파악하여 환자가 자각(自覺)하지 못하는 신체적 불균형까지도 진단하고 조정하게 되므로 전인적 치료(全人的治療)를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見地)하고 있는 사람들도 많다. 부정적인 입장은 질병을 해부학적(解剖學的), 형태학적(形態學的) 이상(異常)으로만 파악하려는 경향이 강한 사람들에게서 보여지는데, 이는 홍채학의 특징에 대해 잘못 이해했기 때문에 해부학적, 형태학적 변화에 따른 병명을 홍채진단이 제공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들어 진단적 가치가 없다고 여기는 것이다. 홍채진단은 X-ray, C-T scan, MRI, 초음파진단기, 등과 같은 형태학적 검사장비를 대체(代替)하기 위한 진단법이 아니다. 오히려 그것들과는 상호보완적(相互補完的)입장에 있기 때문에 그 진단적 가치를 서로 무시할 필요는 없다. 홍채에 나타난 표식(Marking)들은 형태학적 진단장비에 아직 나타나지 않은 극히 초기 단계의 병적 상황까지도 반영하기 때문에 조기진단(早期診斷) 및 예방의학적(豫防醫學的) 측면은 물론 질병치료의 측면에서도 결코 그 가치가 적지 않다고 하겠다.
상기한 홍채진단을 통해서 파악할 수 있는 것들로는 1)감염의 존재 위치, 2)약물의 축적 여부, 3)몸의 산성 상태, 4)장기의 상태, 5)유전적 강약, 6)건강의 단계, 7)영양학적 필요, 8)치료에 따른 환자의 상태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홍채 진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홍채 상의 위치와 신체 조직/장기의 관계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1에서 ㄱ은 뇌하수체, ㄴ은 유방, ㄷ은 십이지장 하행부, ㄹ은 췌장 좌측 미부, ㅁ은 췌장 좌측 체부, ㅂ은 췌장 우측 체부, ㅅ은 췌장 두부, ㅇ은 편도를 가리킨다. 종래에는 의사가 환자의 홍채를 육안으로 관찰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홍채 도표 이용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였다. 그러므로 의사 개개인의 경험적 주관적인 요소가 많이 작용하여 검진을 하는 의사들의 개인적 판단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서 정확하고 객관적인 근거 자료로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임상실험 결과의 기준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이를 환자의 홍채 촬영 영상과 비교하여 객관적인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홍채 검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홍채 상의 위치와 신체 조직/장기의 관계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홍채 검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 프로그램 모듈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홍채 검진 결과의 출력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 도면 중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컴퓨터 시스템 110 : 진단 프로그램 모듈
120 : 데이터베이스 121 : 피검진자 정보 DB
122 : 홍채 위치 정보 DB 123 : 홍채 증상 정보 DB
124 : 질병 정보 DB 130 : 출력 장치
200 : 홍채 영상 촬영장치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피검진자의 홍채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홍채 영상 촬영장치 및 촬영된 홍채 영상을 분석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피검진자의 정보, 신체의 조직과 장기에 따른 홍채 상의 위치 정보, 신체의 조직과 장기별 홍채의 특이 증상에관한 정보, 홍채의 부위별 특이 증상에 따른 질병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홍채 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피검진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진단 프로그램이 저장된 진단 프로그램 모듈 및 상기 진단 프로그램에 의한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검진 시스템이다.
한편 상기한 홍채 검진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홍채 영상 촬영장치 또는 정보 저장 매체에 저장된 파일로부터 홍채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자동 진단 또는 수동 진단을 위하여 상기 홍채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홍채 영상을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신체의 조직과 장기에 따른 홍채 상의 위치 정보, 신체의 조직과 장기별 홍채의 특이증상에 관한 정보, 홍채의 부위별 특이 증상에 따른 질병에 관한 정보들과 비교하여 피검진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홍채 영상 처리 단계는 수동 진단을 위해서 명암 조절 기능, 영상 확대 기능,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의 시각 좌표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홍채 영상 처리 단계는 자동 진단을 위해서 홍채 영상의 컬러 이미지를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로 변환하는 기능, 동공과 홍채와의 경계 및 홍채와 흰동자와의 경계 타원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산출된 타원을 기준으로 시각좌표에 따라 홍채 영상을 스캔하면서 이상 부위를 탐지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홍채 검진 시스템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홍채 검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홍채영상 촬영장치(200)와 촬영된 홍채영상을 분석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1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은 피검진자 정보(121), 홍채의 위치 정보(122), 홍채의 특이 증상에 관한 정보(123), 질병 정보(124)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정보와 홍채영상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홍채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피측정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진단 프로그램 모듈(110) 및 검진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130)로 구성된다.
본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120)는 다음과 같은 정보들로 구성된다.
피검진자 정보는 피검진자에 관한 기본 정보로서 성명, 생년월일, 성별, 왼손잡이 여부 등의 신상 정보와 검진 이력 등을 포함한다.
홍채의 위치 정보는 신체의 조직/장기에 따른 홍채도표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데, 특정 조직/장기는 성별, 나이 등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으므로 성별 및 나이의 범위에 관한 정보도 함께 관리된다.
예) 십이지장은 자율신경환의 두상돌기 부분에 관련이 있으며, 좌측 눈의 6:00 ~ 7:20, 우측 눈의 6:00 ~ 7:30 임.
홍채의 특이 증상에 관한 정보는 신체의 조직/장기별 홍채의 특이 증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 홍채의 십이지장 영역에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발견되면 십이지장의 특이한 변화를 초래한 경우임.
- 자율신경환이 규정된 한도 내에서 편평해짐.
- 동공 영역의 반 정도에 색소 입자가 없어지는 자율신경환의 퇴축
- 동공 영역의 반 정도에 색소 침착이 발생한 자율신경환의 퇴축
- 색소 침착된 자율신경환의 퇴축이 동공까지 이르며 퇴측 끝부분은 붕괴됨
- 췌장두상돌기 영역의 우측 부위에서 자율신경환의 붕괴
질병 정보는 홍채의 부위별 각종 특이 증상의 조합으로 결정되는 질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1) 십이지장 기능 무력증, 만성 십이지장염은 왼쪽 눈 및 오른쪽 눈 홍채의 십이지장 영역에 똑같이 자율신경환이 규정된 한도 내에서 편평해지면 나타나는 변화임.
예2) 십이지장궤양, 만성 췌장염은 왼쪽 눈의 홍채 영역의 십이지장 영역이 췌장 두상돌기 영역의 우측 부위에서 자율신경환이 붕괴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오른쪽 눈의 홍채의 십이지장 영역에 색소 침착된 자율신경환의 퇴축이 동공까지 이르며 퇴축 끝 부분은 붕괴되어 있으면 나타나는 변화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 프로그램의 작동 순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면서 진단 프로그램의 작동 단계에 따라 홍채 진단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진단프로그램은 피검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검진자의 정보를 획득한다.(301) 피검진자의 정보는 진단 프로그램 상에서 관련 정보들을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얻어진다.
다음으로 진단 프로그램은 홍채영상 촬영장치를 이용해 촬영한 홍채영상을 획득한다.(302) 실시간으로 촬영된 홍채영상을 이용하는 외에도 미리 촬영하여 저장된 것을 읽어 들일 수도 있다. 촬영장치로는 통상의 디지털 카메라 또는 무비 카메라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정밀도 높은 영상을 바탕으로 정확한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전용 홍채 촬영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단 프로그램은 상기 홍채영상을 이용해 다음의 작업들을 수행한다. 첫째, 영상 이미지를 자세히 보기 위하여 이미지를 확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홍채의 이상 징후가 보이는 부분을 확대하여 육안으로 자세히 관찰할 수 있으며, 홍채 도표와 비교하여 신체 장기의 이상 징후를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육안으로 홍채 도표와 비교하는 경우에 참고하기 위해,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의 시각 좌표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셋째, 홍채영상을 분석하여 진단을 위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예를 들면, 동공의 크기 및 위치 홍채의 중심으로부터의 동공의 변위 편평도 등을 수치화한다. 넷째, 진단에 적합하도록 홍채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밝기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홍채 영상을 획득하면 진단프로그램은 홍채 영상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피검진자의 건강 상태 진단하게 된다.(303) 상기 홍채 영상을 분석한 결과 특정 위치에 이상이 발견된 경우 이를 데이터베이스상의 홍채의 위치정보 및 홍채의 특이증상에 관한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특이 증상에 따른 질병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피검진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한다. 한편 피검진자가 왼손잡이인 경우 좌,우 홍채의 위치정보를 반대로 해석하게 된다.
끝으로 진단 프로그램이 진단을 완료하면 피검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그결과를 출력한다.(304) 이 경우 홍채학에 익숙한 전문의는 개인적인 소견을 검진 결과에 추가할 수 있다. 도 4는 홍채 진단 결과의 출력예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단에 피검진자의 이름과 기본적인 신상정보를 표시하고, 그 아래 좌, 우 홍채 영상과 각각의 홍채의 증상을 표시하며, 하단에 진단 결과 나타난 질병 증상 및 전문의의 소견을 표시한다. 이 경우 홍채학에 익숙한 전문의는 개인적인 소견을 검진 결과에 추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진단 프로그램이 홍채영상을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읽어 들인 홍채 영상정보를 이용해 다음의 작업을 수행한다.
1) 홍채영상의 컬러이미지를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 이미지로 변환한다.
2) 동공과 홍채와의 경계 및 홍채와 흰동자와의 경계 타원을 산출한다.
3) 산출된 타원을 기준으로 시각좌표에 따라 홍채영상을 스캔하면서 이상 부위를 찾는다.
다음으로, 상기 홍채영상을 분석한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한다. 홍채영상에서 특이 상황이 있는 부분에 대해 홍채의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해당되는 신체의 조직/장기 부분을 확인하고, 이 확인된 부분을 이용해 홍채의 특이 증상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특이 상황의 내용을 확인한다.
끝으로 상기의 결과로부터 이상 신체 장기를 파악하고, 그 이상 신체 장기의 왼쪽눈의 홍채 특징과 오른쪽 눈의 홍채 특징의 조합을 만들어 낸다. 예를 들면 신체 장기 십이지장의 기능 무력증은 L1*R1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L1은 왼쪽 눈의 홍채 부분의 십이지장 영역의 자율신경환이 규정된 한도 내에서 편평해 졌다는 표시이고, R1은 오른쪽 눈의 홍채 부분의 십이지장 영역의 자율신경환이 규정된 한도 내에서 편평해졌다는 표시이며, *는 AND 조건을 표시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인바,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채 검진 시스템에 의할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홍채상에 나타난 특이 증상들을 분석하고 이를 홍채학 정보 데이터와 비교하여 피검진자의 건강 상태를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으므로, 일반인의 자가진단 목적은 물론 전문가의 홍채진단 보조수단으로도 활용되어 질 수 있다.

Claims (4)

  1. 피검진자의 홍채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홍채 영상 촬영장치; 및
    촬영된 홍채 영상을 분석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피검진자의 정보, 신체의 조직과 장기에 따른 홍채 상의 위치 정보, 신체의 조직과 장기별 홍채의 특이 증상에 관한 정보, 홍채의 부위별 특이 증상에 따른 질병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홍채 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피검진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진단 프로그램이 저장된 진단 프로그램 모듈; 및
    상기 진단 프로그램에 의한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검진 시스템.
  2. 피검진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홍채 영상 촬영장치 또는 정보 저장 매체에 저장된 파일로부터 홍채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자동 진단 또는 수동 진단을 위하여 상기 홍채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홍채 영상을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신체의 조직과 장기에 따른 홍채 상의 위치 정보, 신체의 조직과 장기별 홍채의 특이증상에 관한 정보, 홍채의 부위별 특이 증상에 따른 질병에 관한 정보들과 비교하여 피검진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홍채 영상 처리 단계는 수동 진단을 위하여 명암 조절 기능, 영상 확대 기능,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의 시각 좌표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홍채 영상 처리 단계는 자동 진단을 위하여 홍채 영상의 컬러 이미지를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로 변환하는 기능, 동공과 홍채와의 경계 및 홍채와 흰동자와의 경계 타원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산출된 타원을 기준으로 시각좌표에 따라 홍채 영상을 스캔하면서 이상 부위를 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3-0043561A 2003-06-30 2003-06-30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533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561A KR100533787B1 (ko) 2003-06-30 2003-06-30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561A KR100533787B1 (ko) 2003-06-30 2003-06-30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212A true KR20050002212A (ko) 2005-01-07
KR100533787B1 KR100533787B1 (ko) 2005-12-06

Family

ID=3721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561A KR100533787B1 (ko) 2003-06-30 2003-06-30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7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815A (ko) * 2004-09-08 2006-03-13 박래복 홍채학을 이용한 영양발란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28921B1 (ko) * 2004-07-20 2006-09-2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안구의 비틀림 운동 측정 방법
EP2020206A1 (de) * 2007-07-28 2009-02-04 Petra Perner Verfahren und Anordnung zur automatischen Erkennung und Interpretation der Irisstruktur als eine Zustandsbestimmung einer Pers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575B1 (ko) 2007-12-10 2009-06-11 박성일 홍채를 촬영한 이미지를 4타입으로 분류하는 홍채 이미지 분석방법
KR20160002516A (ko) 2014-06-30 2016-01-08 최정민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921B1 (ko) * 2004-07-20 2006-09-2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안구의 비틀림 운동 측정 방법
KR20060022815A (ko) * 2004-09-08 2006-03-13 박래복 홍채학을 이용한 영양발란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P2020206A1 (de) * 2007-07-28 2009-02-04 Petra Perner Verfahren und Anordnung zur automatischen Erkennung und Interpretation der Irisstruktur als eine Zustandsbestimmung einer Pers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3787B1 (ko) 200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7117B2 (ja) 医用画像処理方法及び医用画像処理装置
US9563742B2 (en) Apparatus for diagnosis of optically identifiable ophthalmic conditions
US77084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optically identifiable ophthalmic conditions
CN111310851A (zh) 一种人工智能超声辅助系统及其应用
CN102959579A (zh) 医疗信息显示装置、操作方法及程序
JPH10510187A (ja) 網膜検査及び治療のための電子造影装置
US200902707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optically identifiable ophthalmic conditions
KR102071774B1 (ko) 안구영상을 이용한 심뇌혈관 질환 예측방법
CN211862821U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孤独症辅助评估系统
WO2023012818A1 (en) A non-invasive multimodal screening and assessment system for human health monitoring and a method thereof
KR100533787B1 (ko)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10019992A (ko)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및 방법
WO2019172181A1 (ja) 診断支援装置、プログラム、学習済みモデル、および学習装置
US20230143229A1 (en) Method for diagnostic ultrasound of carotid artery
KR20160002516A (ko)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128958A (ja) アイリス・アイリドロジ健康診断管理システム
JP2010005152A (ja) 健診システム及び眼科健診装置
KR20180133091A (ko) 혀 및 문진을 통한 건강진단 시스템
Kreiser et al. Decision graph embedding for high-resolution manometry diagnosis
Garcia et al. Automated pupillometer using edge detection in opencv for pupil size and reactivity assessment
KR102522172B1 (ko) 사전 문진용 음성 분석을 통한 주관적 통증의 임상 연계성 분석 시스템
Kochina et al.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extraocular muscle pathology
KR101887296B1 (ko) 홍채 진단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스트레스 진단 방법
JP2024011476A (ja) 医療データ処理システム、医療データ処理装置、医療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Rodriguez-Garcia The Inevitable Adv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Aiding the Diagnosis of Eye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