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207A -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 - Google Patents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207A
KR20050002207A KR1020030043550A KR20030043550A KR20050002207A KR 20050002207 A KR20050002207 A KR 20050002207A KR 1020030043550 A KR1020030043550 A KR 1020030043550A KR 20030043550 A KR20030043550 A KR 20030043550A KR 20050002207 A KR20050002207 A KR 20050002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division
training symbol
preamble structure
division multiplexing
orthogonal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6532B1 (ko
Inventor
서정욱
위정욱
최광호
조용수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43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532B1/ko
Publication of KR20050002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2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preamble design, i.e. with negotiation of the synchronisation sequence with transmitter or sequence linked to the algorithm used at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2Symbol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5Pilot or known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방식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을 사용하는 IEEE 802.11a 무선랜 시스템에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기법을 적용하는 경우 동기부를 위한 새로운 프리앰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는 짧은 훈련심볼을 모든 송신 안테나에서 동시에 전송하는 단계, 긴 훈련심볼을 모든 송신 안테나에서 동시에 전송하는 단계 및 직교 패턴을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는 다양한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기법 및 다이버시티 기법에 적용이 가능하며, 신호검출, 심볼옵셋추정 및 보정, 주파수 옵셋 추정 및 보정, 채널추정 등의 동기부 설계에 효과적이므로 시스템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The preamble structure for the synchronization of WLAN systems using MIMO-OFDM}
본 발명은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와 제시된 프리앰블을 구성하기 위해 심볼간 직교 프리앰블 패턴이 적용된 프리앰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은 멀티캐리어 변조 방식의 일종으로, 멀티패스(Multi-path) 및 이동수신 환경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이 때문에 지상파 디지털 TV 및 디지털 음성 방송에 적합한 변조방식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의 IEEE 802.11 무선 랜은 직접 확산방식(DSSS,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주파수 도약방식(FHSS,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IR(Infrared) 방식을 사용하여 2.4 GHz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에서 2 Mbps의 전송률을 지원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규격으로는 증가해 가는 높은 전송속도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어, 1999년 IEEE 802.11a와 IEEE 802.11b의 새로운 물리계층 표준안이 확정되었다. IEEE 802.11b는 2.4 GHz 대역에서 기존의 DSSS 방식을 확장한 CCK(Complementary Code Keying) 방식을 사용하여 11 Mbps의 전송률을 지원하며 현재 상품화가 되어 널리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IEEE 802.11a는 5 GHz 대의 U-NII(Unlicenced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비면허 대역에서 DSSS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높은 전송속도를 얻기 위하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변조방식을 채택하였다. 에러정정을 위하여는 부호율 1/2, 2/3, 3/4의 컨볼루션 부호기와 컨볼루션 코드를 디코딩 하기 위해 1/2 비터비 복호기를 사용하며, 부반송파 변조에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을 사용한다.
프리앰블은 네트워크 통신에서 두 개 이상의 시스템간에 전송타이밍을 동기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로, 적절한 타이밍은 모든 시스템들이 정보 전달의 시작을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프리앰블은 대략적 동기(coarse synchronization)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짧은 프리앰블과 미세 주파수 동기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긴 프리앰블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종래기술인 공개특허 제 2001-0105898호는 대칭구조의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신호의 심볼/주파수 동기를 획득하는 대칭구조의 프리앰블을 적용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신호의 심볼/주파수 동기 방법을 이용하여 잡음 및 진폭과 위상 왜곡을 야기시키는 다중경로 채널을 통과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수신신호의 타이밍 동기와 미세 주차수 동기의 정확도를 높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신호의 심볼/주파수 동기가 가능한 프리앰블에 관한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인 공개특허 제 2003-0035843호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주기적 순환 다중화 코드를 이용하여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리앰블 방식들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을 위한 무선랜 시스템의 사용에는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기존의 IEEE 802.11a 무선랜 시스템의 프리앰블 구조이다. 도 1을 살펴보면 프리앰블에는 주기가 각각 16, 64 샘플인 두 종류의 훈련심볼이 정의되어 있다. t1부터 t10까지는 주기가 16샘플인 짧은 훈련심볼을, T1과 T2는 주기가 64 샘플인 긴 훈련심볼을 나타낸다. t1 ~ t7 구간(100)에서 신호검출(Signal Detection), 자동 이득 조절(AGC, Automatic Gain Control), 다이버시티 선택(Diversity Selection)의 과정을 수행하고, t8 ~ t10 구간(100)에서 대략적인 반송파 주파수 옵셋추정(Coarse Frequency Offset Estimation) 및 심볼동기(Timing Synchronization) 옵셋추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긴 훈련심볼인 T1, T2 구간(110) 동안 세밀한 반송파 주파수 옵셋추정(Fine Frequency Offset Estimation) 및 채널추정(Channel Estimatioin)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의 전송은 심볼 단위로 이루어지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이 다중경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동안 이전 심볼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심볼간 간섭(ISI, Inter Symbol Interference)을 방지하기 위해 연속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 사이에 채널의 최대지연 확산보다 긴 보호구간(GI, Guard Interval)(120)을 삽입한다.
도 2는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의 예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에 있어서 소스 코딩 및 채널 코딩(coding) 방식과 변조(modulation) 방식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통신 시스템 방식과 동일하다. 변조된 데이터는 시공간 코드(STC, Space Time Code)(210) 인코더를 거친 후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220)한 후 보호구간을 삽입하는 형태로 전송함으로써,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다른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비하여 광대역 신호를 비교적 간단한 하드웨어로 전송할 수 있다.
보호구간의 삽입은 역고속 푸리에 변환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이 그대로 전송되게 되면 이전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과 현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간에 간섭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보호구간의 삽입 방식으로는 시간 영역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의 마지막 1/n 비트들을 복사하여 유효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에 삽입하는 형태의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230) 방식이나 혹은 시간 영역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의 처음 1/n 비트들을 복사하여 유효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에 삽입하는 사이클릭 포스트픽스(Cyclic Postfix)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에 다중입력 다중출력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수신 안테나의 수가 송신 안테나의 수보다 많아야 하고 독립적인 페이딩 채널이 형성되기 때문에 송, 수신단의 거리가 비교적 작고 노트북과 같이 다중 수신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는 무선 랜과 같은 환경에 적합하게 된다.
도 3은 기존의 IEEE 802.11a 방식을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에 적용한 프리앰블 구조이다. 도 1에서 제시한 프리앰블 구조를 수정 없이 도 3과 같이 각 송신 안테나에서 전송한다면, 기존의 칩셋을 여러 개 연결하여 다중 안테나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구현이 용이하긴 하지만 송신 안테나에서의 긴 훈련심볼 신호가 동시에 송신되어 다른 송신 안테나에서 송신된 훈련심볼 간의 간섭이 존재하게 되어 수신단에서 안테나 하나 당 N개의 심볼수를 갖는 M개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N*M개의 독립적인 채널추정이 불가능해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송신안테나의 신호가 잡음성분으로 작용하여 신호 검출, 주파수 옵셋 추정 등 동기부 성능이 열화(degradation)되어 사용하기 어려운 시스템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는 다양한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기법 및 다이버시티 기법에 적용이 가능하며, 신호검출, 심볼옵셋추정 및 보정, 주파수 옵셋 추정 및 보정, 채널추정 등의 동기부 설계에 효과적이게 하여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IEEE 802.11a 무선랜 시스템에 맞는 프리앰블이 구성되도록 하여 신뢰성 있는 성능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인 IEEE 802.11a 프리앰블 구조.
도 2는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의 예.
도 3은 종래 방식을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에 적용한 프리앰블 구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짧은 훈련심볼과 긴 훈련심볼이 송신 안테나 개수만큼 전송되는 프리앰블 구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짧은 훈련심볼을 첫 번째 송신 안테나에서 널링 방식으로 전송되는 프리앰블 구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짧은 훈련심볼이 동시에 전송되는 프리앰블 구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한 심볼 길이의 긴 훈련심볼을 전송하는 프리앰블 구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긴 훈련심볼이 빗 구조로 전송되는 프리앰블 구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짧은 훈련심볼을 안테나마다 다른 신호로 전송해 주는 프리앰블 구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직교 프리앰블 패턴이 적용된 프리앰블 구조.
도 11은 안테나가 2개인 경우의 시공간 블록 부호 직교 패턴.
도 12는 안테나가 2개인 경우의 실수 직교 패턴.
도 13 및 도 14는 안테나가 4개인 경우의 실수 직교 패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짧은 훈련심볼 110 : 긴 훈련심볼
120 : 보호구간 210 : 시공간코드 인코더
220 : 역고속 푸리에 변환 230 : CP
400 : 빗 구조
410 : 직교 패턴을 이용한 다중입력 다중출력 채널추정 프리앰블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짧은 훈련심볼을 모든 송신 안테나에서 동시에 전송하는 단계, 긴 훈련심볼을 모든 송신 안테나에서 동시에 전송하는 단계 및 직교 패턴을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프리앰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4를 살펴보면 각각의 송신 안테나에서 짧은 훈련심볼과 긴 훈련심볼 신호를 모두 전송해 수신 안테나에서 짧은 훈련심볼과 긴 훈련심볼이 각각 송신 안테나의 개수만큼 전송되는 구조이다. 평균을 취해 다이버시티 이득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이므로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각 송신 안테나에서 프리앰블 신호가 나갈 때 다른 송신 안테나에서는 아무런 데이터도 송신되지 않는 널링(Nulling) 방식으로 송신 안테나 사이의 간섭을 제거해 줄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첫 번째 송신 안테나에서만 짧은 훈련심볼을 전송하고 긴 훈련심볼은 널링 방식으로 전송하여 송신 안테나 사이의 간섭을 제거하는 구조로서 수신 안테나에서 보면 처음에 짧은 훈련심볼 신호가 한번 수신되고 긴 훈련심볼 신호가 송신 안테나의 개수만큼 수신되게 된다.
도 6을 살펴보면 짧은 훈련심볼을 모든 송신 안테나에 같이 보내고 긴 훈련심볼은 널링 방식으로 전송하게 된다. 짧은 훈련심볼을 모든 안테나에 전송하는 이유는 첫 번째 송신 안테나의 채널 상황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신호가 검출되지 않아 그 뒤에 따라오는 모든 신호를 검출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도 7은 첫 번째 안테나에서만 짧은 훈련심볼과 두 심볼 동안의 긴 훈련심볼을 전송하고 두 번째 안테나부터는 한 심볼 길이의 긴 훈련심볼을 전송하는 구조이다. 이 구조는 두번째 안테나에서부터 전송되는 긴 훈련심볼의 길이가 절반 정도의 수준이기 때문에 나머지 길이만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전송률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채널추정을 위한 긴 훈련심볼을 인접한 안테나에서 빗(Comb) 구조(400)로 전송하여 프리앰블의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이는 방식이다. 상기 빗 구조(400)는 긴 훈련심볼 중 하나는 홀수번째에 데이터를, 다른 하나는 짝수번째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두 가지가 합쳐지면 총 데이터를 알 수 있는 구조이다.
도 9의 프리앰블 구조는 송신 안테나에서 같은 짧은 훈련심볼을 보낼 경우 신호 검출블럭에서는 심볼 옵셋 추정 블럭이나 정수배 주파수 옵셋 추정 블럭에서는 다이버시티 이득이 증가하여 성능이 향상되지만, 증가된 오버헤드에 비하여 시스템이 미치는 성능 증가가 크지 않게 나타나므로 프리앰블 구조의 좀 더 효과적인 활용을 위하여 짧은 훈련심볼을 안테나마다 다른 신호로 전송해 신호를 검출하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송신 안테나가 4개인 경우 순환확장 방법을 이용하여 송신 안테나마다 서로 다른 짧은 훈련심볼을 생성하여 전송할 경우를 설명한다. 짧은 훈련심볼은 표 1의 값으로 수학식 1에 대입하여 이것을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생성된다. 도 9에 제시한 프리앰블에서 수학식 1에 나타낸 짧은 훈련심볼을 사용한다고 하자. 표 1은 각각 802.11a, 502.16, HIPERLAN/2 A-16, M-Sequence에서의 C00~C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순환이동을 이용해 서로 다른 짧은 훈련심볼을 생성하는 방법은 송신 안테나가 4개일 경우 첫 번째 안테나는 C00~C11 순서의 신호를, 두 번째 안테나는 C03~C11, C00~C12 순서의 신호를, 세 번째 안테나는 C06~C11, C00~C05 순서의 신호를, 네 번째 안테나는 C09~C11, C00~C08 순서의 신호를 조합한 후 역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과시켜 송신 안테나로 전송하게 된다.
sequence
802.11a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802.16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A-16(HL/2)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1-j
도 10에서 제시한 프리앰블은 신호 검출 및 심볼 옵셋 추정, 대략적 반송과 주파수 옵셋 추정을 위한 짧은 훈련심볼을 모든 송신 안테나에서 전송하며 채널추정 과정 이전에 미세 주파수 추정을 위한 긴 훈련심볼을 모든 안테나에서 전송하게 된다. 그 후 다중입력 다중출력 채널 추정(410)을 위해 서로 직교 패턴을 사용하여 서로 독립적인 채널추정이 이루어진다.
도 10에서 제시한 프리앰블을 구성하기 위해 심볼간 직교 프리앰블 패턴이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직교 프리앰블 패턴이 적용된 프리앰블 구조를 제안한다. 심볼간 직교 프리앰블 패턴으로는 시공간 블록 부호(STBC, Space-Time Block Coding)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시공간 블록 부호 직교 프리앰블의 구조를 이용하는 방식과 실수로 구성된 직교 프리앰블을 사용해서 디코딩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는 방식이 있다.
도 11은 송수신 안테나가 2개일 때의 시공간 블록 부호 직교 프리앰블 패턴의 구조를 나타낸다. 시공간 블록 부호 직교 패턴의 경우, 두 번째 안테나에서 전송되는 프리앰블 구조의 보호구간은 긴 훈련심볼의 16샘플을 순환 확장하여 얻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직교 코딩에 의해 두 번째 안테나에서 보내는 2개의 긴 훈련심볼의 데이터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지기 때문에 첫 번째 안테나 구조와 같이 마지막 훈련심볼의 32샘플을 순환 확장하게 되면 직교성이 파괴되므로 각 훈련심볼의 마지막 16샘플을 보호구간으로 순환 확장하는 구조로 구성되어야 한다.
직교 패턴을 적용하기 위해서 첫 번째 안테나에서 전송되는 프리앰블의 16샘플 이후 64샘플을 T3라고 가정한다. 두 번째 안테나에서 전송되는 두 번째 심볼은 도면과 같이 T3 심볼의 복소공액된 심볼이 전송되게 된다. 수신단에서 수신된 신호는 16샘플의 보호구간을 제거한 후 64샘플을 수신신호로 수신하게 된다.
도 12는 송수신 안테나가 2개일 때의 실수(Real)로 구성된 직교 프리앰블 구조이다. 긴 훈련심볼의 각 샘플 값이 실수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실수 직교 패턴을 사용해서 채널추정이 가능하며 계산의 복잡도가 줄어든다.
도 13과 도 14는 송, 수신단의 안테나 구조가 4개로 증가하게 되었을 때의 실수 직교 패턴의 2가지 프리앰블 구조의 형태이다. 안테나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수신단의 다이버시티 이득을 높여준다. 이동통신 등 무선 전파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전파 경로상의 건물이나 지형등에 의한 영향으로 다중 경로 현상이 생기고, 이는 수신된 신호의 진폭이 변동되는 페이딩 현상을 초래하게 되는데, 페이딩에 의한 전송품질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이버시티 방식을 사용한다. 즉 다이버시티란2개 이상의 독립된 전파경로를 통해 전송된 여러개의 수신 신호중에서 가장 양호한 특성을 가진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는 다양한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기법 및 다이버시티 기법에 적용이 가능하며, 신호검출, 심볼옵셋추정 및 보정, 주파수 옵셋 추정 및 보정, 채널추정 등의 동기부 설계에 효과적이므로 시스템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에 있어서,
    짧은 훈련심볼을 모든 송신 안테나에서 동시에 전송하는 단계;
    긴 훈련심볼을 모든 송신 안테나에서 동시에 전송하는 단계; 및
    직교 패턴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훈련심볼과 긴 훈련심볼은 각각의 송신 안테나에서 널링 방식으로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훈련심볼은 첫 번째 송신 안테나에서만 전송하고 상기 긴 훈련심볼은 널링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훈련심볼은 모든 송신 안테나에서 같이 보내고 상기 긴 훈련심볼은 널링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훈련심볼은 첫 번째 송신 안테나에서만 전송하고 상기 긴 훈련심볼은 첫 번째 송신 안테나에서 두 심볼 동안 전송하고 두 번째 안테나부터는 한 심볼 길이의 긴 훈련심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훈련심볼은 첫 번째 송신 안테나에서 전송하고 상기 긴 훈련심볼을 인접한 송신 안테나에 빗 구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훈련심볼은 송신 안테나마다 다른 신호로 전송하고 상기 긴 훈련심볼을 모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패턴은 시공간 블록 부호 방식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시공간 블록 부호 직교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블록 부호 직교 패턴은 두 번째 안테나에서 전송되는 프리앰블 구조의 보호구간이 긴 훈련심볼의 16샘플을 순환 확장하여 얻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패턴은 긴 훈련심볼의 샘플 값이 실수로 이루어진 실수 직교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
KR1020030043550A 2003-06-30 2003-06-30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 KR100586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550A KR100586532B1 (ko) 2003-06-30 2003-06-30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550A KR100586532B1 (ko) 2003-06-30 2003-06-30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207A true KR20050002207A (ko) 2005-01-07
KR100586532B1 KR100586532B1 (ko) 2006-06-07

Family

ID=3721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550A KR100586532B1 (ko) 2003-06-30 2003-06-30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5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999B1 (ko) * 2005-03-25 2006-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안테나를 갖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 반송파 주파수 동기화 및 안테나가중치 벡터 추정 방법 및 그 장치
CN100454917C (zh) * 2005-03-21 2009-01-21 东南大学 基于异种间距频域训练序列的频偏估计方法
KR100946928B1 (ko) * 2006-12-12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신호 송수신 및 채널 추정장치 및 방법
KR101006395B1 (ko) * 2007-12-11 2011-0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의 채널 추정을 위한 송신기와 수신기 및 이에 적용되는 통신 방법
US8483235B2 (en) 2007-12-11 2013-07-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estimation in MIMO syste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910B1 (ko) 2017-10-19 2019-11-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 초광대역 통신의 프리앰블 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54917C (zh) * 2005-03-21 2009-01-21 东南大学 基于异种间距频域训练序列的频偏估计方法
KR100587999B1 (ko) * 2005-03-25 2006-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안테나를 갖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 반송파 주파수 동기화 및 안테나가중치 벡터 추정 방법 및 그 장치
US7675989B2 (en) 2005-03-25 2010-03-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carrier frequency synchronization and antenna weight vector estimation in OFDMA system having smart antenna
KR100946928B1 (ko) * 2006-12-12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신호 송수신 및 채널 추정장치 및 방법
US8345786B2 (en) 2006-12-12 2013-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reamble signal and estimating channel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systems using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cheme
KR101006395B1 (ko) * 2007-12-11 2011-0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의 채널 추정을 위한 송신기와 수신기 및 이에 적용되는 통신 방법
US8483235B2 (en) 2007-12-11 2013-07-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estimation in MIMO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6532B1 (ko)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7274B2 (ja) 高速データ通信のためのデータ送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US7233625B2 (en) Preamble design for multiple input—multiple output (MIMO),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
US85831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frame timing acquisition i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US8363696B2 (en) Low-rate long-range mode for OFDM wireless LAN
US84832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estimation in MIMO systems
WO2005081487A1 (en) Transmission signals, methods and apparatus
US200402580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gning a dedicated pilot channel for identification of a base station in an OFDM communication system
EP15303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ncelling interference signals in a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s
EP15739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yclic delay diversity
EP14966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nel estimation in an OFDM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60057969A1 (en) Delay divers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6613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lti-carrier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output signal from a received multi-carrier signal
KR100586532B1 (ko) 다중입력 다중출력-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동기부를 위한 프리앰블 구조
KR100902698B1 (ko) Stfbc-ofdm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KR100646553B1 (ko) 멀티-캐리어 전송 방법 및 장치
EP0922350B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diversity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environ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Moose et al. A COFDM-based radio for HDR LOS networked communications
US20060077944A1 (en) Backward compatible transmitter diversity scheme for use in an ofdm communication system
You et al. Training sequence design and channel estimation of OFDM-CDMA broadband wireless access networks with diversity techniques
Zhang Channel and frequency offset estimation for OFDM-based systems
Uchiumi et al. Iterative Superimposed Pilot-Assisted Channel Estimation Using Sliding Wiener Filtering for Single-Carrier Block Transmission
Plass et al. Resulting channel characteristics from time-varying cyclic delay diversity in OFD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