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663A - 기계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강 - Google Patents

기계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663A
KR20050001663A KR1020030041933A KR20030041933A KR20050001663A KR 20050001663 A KR20050001663 A KR 20050001663A KR 1020030041933 A KR1020030041933 A KR 1020030041933A KR 20030041933 A KR20030041933 A KR 20030041933A KR 20050001663 A KR20050001663 A KR 20050001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injection
machinability
steel
mold
mol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1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1663A/ko
Priority to CNB2004100618759A priority patent/CN1269985C/zh
Priority to US10/886,762 priority patent/US7340387B2/en
Publication of KR2005000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66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에 사용되는 금형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계가공성 향상을 통해 금형제작 기간의 단축이 가능하고, 금형 제작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기계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계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강은, 중량%로, C: 0.10 ~ 0.30%, Si: 0.40~0.70%, Mn: 0.90~1.50, S: 0.005~0.020%, Cr: 1.0~2.5%, Ni : 0.10 ~ 0.50%, Mo : 0.20 ~ 0.5%, V: 0.001 ~ 0.20%, 나머지가 Fe인 합금조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금형강은 종래의 SCM4계, SNCM4계를 개량한 금형강과 기계적 성질은 동등하면서, 우수한 기계가공성으로 인해 금형의 가공시간 절감과 보수시간 단축 등을 이룰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작 납기 단축도 가능하다.

Description

기계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강{Mold steel for plastic injection molding having outstanding cutting characteristic}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에 사용되는 금형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계가공성 향상을 통해 금형제작 기간의 단축이 가능하고, 금형 제작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기계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강은 종래에 S55C, SCM4, SNCM4 및 그 개량종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강의 개발 동향은 금형 제작 기간의 단축, 용도를 고려한 소재의 기능성이 강조되는 등 금형제작자 및 금형사용자의 사용상편의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증가 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새로운 강종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금형의 사용상 편의성이란, 제작경비를 절감하거나 제작기간을 단축하는 데 필요한 것으로, 예를들어 용접보수성이 우수할 것, 기계가공성이 우수할 것, 부식가공성이 뛰어날 것, 경면성이 우수할 것 등이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의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은 정밀화, 복잡화, 대형화 되고 있고, 그 제작 납기 또한 짧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른 가공시간 절감, 보수시간 단축 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S55C, SCM4계, SNCM4계 및 그 개량종으로는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기계가공성과 용접보수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금형강과 종래의 금형강에 대한 피삭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기계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강은, 중량%로, C: 0.10 ~ 0.30%, Si: 0.40~0.70%, Mn: 0.90~1.50, S: 0.005~0.020%, Cr: 1.0~2.5%, Ni : 0.10 ~ 0.50%, Mo : 0.20 ~ 0.5%, V: 0.001 ~ 0.20%, 나머지가 Fe인 합금조성으로 구성된다.
이하에 기본적인 합금성분을 구성하는 성분의 작용 및 조성범위를 한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C : 0.10 ~0.30%
탄소는 담금질과 뜨임후 경도와 내마모성을 얻기위해 필요한 성분으로 플라스틱 사출금형강에 요구되는 충분한 강도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0.10%이상이 강중에 존재해야 한다. 또한 0.3%이상으로 과다하게 존재하면 기계가공성의 저하 및 대형강괴에 있어서의 편석에 의한 부식얼룩이 발생하므로 0.3%로 상한을 둔다.
Si:0.40~0.70%,
Si는 탈산제로서 사용되는 원소로서 강중에 아주 소량 존재하게 되면 담금질+뜨임후의 기계가공성을 저하시키므로 적어도 0.40%이상 첨가되어야 한다.
첨가량이 0.7%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금형 사용온도에서의 인성치를 저하시키므로 그 상한치를 0.70%로 한다.
Mn : 0.90~1.50%
Mn 또한 탈산제로서 이용되는 원소로서, 담금질성 향상 및 담금질+뜨임후 경도확보를 위해 필요하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위해서는 0.9%이상 강중에 함유되어 있어야 하며, 1.5%이상 과도하게 첨가되면 기계가공성의 저하, 담금질 균열민감성을 높이게 되므로 1.50%로 상한을 둔다.
S: 0.005~0.020%
응고시 Mn과 결합하여 MnS라는 비금속 개재물을 형성하여 기계가공시 응력집중부 및 윤활작용을 하여 기계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0.05%이상 첨가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첨가하면 대형강괴에 있어서 MnS의 불균일 분포로 인해 기계적 성질의 이방성 조장 및 방전가공성을 저해하므로 그 상한을 0.020%로 한다.
Cr : 1.0~2.5%
Cr은 탄화물을 형성해서 기지조직을 강화하는 작용과 더불어 탄화물에 의한 내마모성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Mn과 함께 담금질성을 확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1.0%이상 첨가되어져야 하며, 2.5%이상 지나치게 첨가되면 기계가공성 및 부식가공성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상한으로서 2.5%을 설정한다.
Ni : 0.10 ~ 0.5%
Ni는 오오스테나이트 영역확대작용을 하여 담금질성 향상작용을 하며, 다량 첨가시 담금질+뜨임후 기계가공성을 저하시키므로 0.50%이하로 한정한다.
Mo : 0.20 ~ 0.5%
Mo는 Cr과 같은 탄화물 형성원소로서, 기지조직의 강화 및 탄화물 형성을 통한 내마모성 향상 및 담금질성 확보에 있어서 중요한 성분이다. 그러나 다량의 Mo는 고온인성을 저하시키므로 상한을 0.5%로 한다.
V : 0.20%이하
V은 미세탄화물 형성원소로서, 결정립 미세화를 통해 인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0.20%이상으로 과다하게 투입하면 효과에 비해 제조비용의 투입이 증가하므로 0.20%로 그 상한을 둔다.
<실시예>
종래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재로서 널리 사용되는 SCM4계, SNCM4계를 개량한 금형강과 본 발명에 의한 금형강의 특성 비교를 위해, 이하에서 발명하는 동일한 제작공정을 적용하여 제작하였다.
먼저, [표 1]에 기재된 합금조성의 강재를 전기로에서 용해하고 진공정련로에서 정련한 다음 25Ton 강괴를 주조한 다음, 강괴를 1170℃로 가열해 단조비 4이상 적용되는 칫수인 폭1200mm, 두께 430mm의 각재를 제작하였으며, 이때 단조종료온도는 850℃였으며 단조완료후 880℃ 가열하여 불림처리를 실시하였다.
담금질시 동일한 냉각조건을 부여하기 위해 단조 흑피 상태에서 담금질 +뜨임 열처리를 실시하였으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C Si Mn S Ni Cr Mo V 비고
1 0.33 0.26 0.88 0.001 0.45 1.66 0.45 0.03 종래강
2 0.36 0.24 0.87 0.001 0.12 0.96 0.30 0.03
3 0.25 0.44 1.12 0.010 0.30 1.65 0.28 0.03 본기술강
구분 담금질 + 뜨임 조건 표면경도
실시예 850℃ ×8시간, 수냉 →595℃ ×12시간, 공냉 HS41~43
담금질+뜨임 열처리후 기계적 특성 및 기계가공성을 조사하였다. 열처리 목표 경도는 HS 39~45로 하였다.
기계적 특성 시험온도는 상온에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경도(HS) 항복강도(kgf/mm2) 인장강도(kgf/mm2) 충격에너지(kgf-m) 비고
1 40 81.0 92.2 8.6 종래강
2 43 97.1 106.0 7.2
3 39 76.3 92.6 11.2 본기술강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금형강은 종래의 SCM4계, SNCM4계 개량강과 동등한 수준의 강도와 인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계가공성 시험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기계가공성(피삭성) 시험은, 미쯔비시 M101 머시니 센터 장비에서, OSG사 코발트 하이스(HISS) 엔드밀 CC-EMS 4날/ 엔드밀 직경 10mm를 사용하여, 종래의 금형강과 본 발명에 의한 금형강을 절삭하고, 공구마모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절삭속도는 15m/min, 이송속도는 95mm/min, 절입량은 Ad: 5mm/Rd: 6mm, 절삭유는 수용성 절삭유를 사용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금형강에 대한 공구마모량이 종래의 금형강에 비하여 적음을 확인하였다.
공구마모량이 적다는 것은 그만 큼 기계가공성(피삭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금형강은 종래의 금형강과 기계적성질은 동등하면서 피삭성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금형강은 종래의 SCM4계, SNCM4계를 개량한 금형강과 기계적 성질은 동등하면서, 우수한 기계가공성으로 인해 금형의 가공시간 절감과 보수시간 단축 등을 이룰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작 납기 단축도 가능하다.

Claims (1)

  1. 중량%로, C: 0.10 ~ 0.30%, Si: 0.40~0.70%, Mn: 0.90~1.50, S: 0.005~0.020%, Cr: 1.0~2.5%, Ni : 0.10 ~ 0.50%, Mo : 0.20 ~ 0.5%, V: 0.001 ~ 0.20%, 나머지가 Fe인 합금조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강.
KR1020030041933A 2003-06-26 2003-06-26 기계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강 KR20050001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933A KR20050001663A (ko) 2003-06-26 2003-06-26 기계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강
CNB2004100618759A CN1269985C (zh) 2003-06-26 2004-06-25 机械加工性优异的塑料注射成型模具用钢
US10/886,762 US7340387B2 (en) 2003-06-26 2004-07-08 Control rod driving simulator for verification of control rod driving mechanism control system of atomic power 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933A KR20050001663A (ko) 2003-06-26 2003-06-26 기계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663A true KR20050001663A (ko) 2005-01-07

Family

ID=34617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933A KR20050001663A (ko) 2003-06-26 2003-06-26 기계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001663A (ko)
CN (1) CN126998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516A (ko) * 2013-11-27 2015-06-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금형강 및 그 제조방법
CN104674134A (zh) * 2013-11-30 2015-06-03 宁波九天重型锻造有限公司 一种新型塑料模具钢及其制备方法
CN108728723A (zh) * 2017-04-14 2018-11-02 芬可乐父子公司 塑料注射成型工具及其制造方法
CN107699801B (zh) * 2017-09-04 2019-04-05 唐山志威科技有限公司 一种模芯用含v塑料模具钢zw616及其制备方法
CN109811251A (zh) * 2018-10-26 2019-05-28 如皋市宏茂重型锻压有限公司 一种高抛光预硬化模具钢及其制备工艺
CN111961985B (zh) * 2020-08-19 2022-03-15 合肥工业大学 一种低成本且高温下具有高热导率的模具钢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9985C (zh) 2006-08-16
CN1576382A (zh) 200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5777B1 (en) Steel for mold and mold
JP5276330B2 (ja) 冷間金型用鋼および冷間プレス用金型
CN100443614C (zh) 耐延迟断裂特性优良的钢、螺栓及其制造方法
CN110184545B (zh) 一种布氏硬度为400hb级别低温半淬透耐磨钢及生产方法
JP5655366B2 (ja) ベイナイト鋼
CN100366779C (zh) 一种石材切割锯片钢及其制造方法
CN111809115B (zh) 耐冲击腐蚀磨损性能优异的特厚塑料模具钢及其制备方法
US20040037731A1 (en) Cast steel and casting mold
JP2014025103A (ja) 熱間工具鋼
KR20050001663A (ko) 기계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강
JP2002121643A (ja) ダイカスト金型用鋼およびその用いてなるダイカスト金型の製造方法、ならびにダイカスト金型
JP2001294973A (ja) 粉末放電加工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成形金型用鋼
JP3780690B2 (ja) 被削性および工具寿命に優れた熱間工具鋼
JPS62149811A (ja) 直接焼入れによるプレハ−ドン鋼の製造方法
KR20080096203A (ko) 다이 캐스트용 열간 공구 강철
JP4305891B2 (ja) 熱間鍛造金型用鋼および熱間鍛造金型
JP5776959B2 (ja) 熱間加工性に優れた金型用鋼
US6461452B1 (en) Free-machining, martensitic, precipitation-hardenable stainless steel
KR101379058B1 (ko) 고경도 및 고인성 석출경화형 금형강 및 그 제조방법
CN115161554B (zh) 一种hb500级别高耐磨可冷弯钢板及其生产方法
KR101463312B1 (ko) 충격 인성 및 절삭 가공성이 우수한 석출 경화형 금형강 및 그 제조방법.
JPH03115523A (ja) 直接焼入型プレハードン鋼の製造方法
JP4576976B2 (ja) 高強度ボルト用鋼
KR101909501B1 (ko) 굽힘강도가 우수한 주강 및 이를 이용한 금형 및 공구
KR101605964B1 (ko) 금형강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