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545A -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세라믹심지를 구비한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세라믹심지를 구비한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545A
KR20050001545A KR1020030041733A KR20030041733A KR20050001545A KR 20050001545 A KR20050001545 A KR 20050001545A KR 1020030041733 A KR1020030041733 A KR 1020030041733A KR 20030041733 A KR20030041733 A KR 20030041733A KR 20050001545 A KR20050001545 A KR 20050001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cover
wick
fragranc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4355B1 (ko
Inventor
추승원
황현숙
장인훈
전도중
Original Assignee
(주)아로마솔루션
동문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로마솔루션, 동문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아로마솔루션
Priority to KR10-2003-0041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355B1/ko
Publication of KR2005000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많은 향을 머금을 수 있고, 바람의 세기에 따라 머금은 향을 배출하는 양이 대략적으로 비례하는 특성을 갖는 세라믹 재질을 카트리지의 심지로 이용함으로써, 펌핑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송풍과 와류를 발생하는 향배출덕트 경로로 향을 발현할 수 있는,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세라믹 심지를 구비하는 향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체 향을 함유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도록 위치되는 세라믹 심지와, 상기 심지의 외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수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세라믹 심지를 통과하여 향이 발현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향배출덕트; 및 향발현의 종류 및 시간 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향을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장착되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세라믹 심지; 상기 심지의 외부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심지를 개폐하는 커버가 이동하더라도 심지 및 카트리지 전체에서 이탈하지 않게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세라믹 심지를 구비하는 향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세라믹 심지를 구비한 카트리지{Aroma diffuser without pumping device and cartridge having ceramic wick used therein}
본 발명은 향 발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향 오일을 많이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의 세기에 대략 비례하게 향을 확산 시킬 수 있는 세라믹 심지를 구비하는 향 카트리지를 구비하여, 펌핑 장치가 없이도 향의 확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펌핑장치가 없는 향 발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향기는 실내 생활자들의 기분을 좌우하고, 스트레스해소 및 업무 효율등에 영향을 미친다. 근래에는 향기를 이용한 치료도 많이 성행하고 있다.
종래의 향 발현 장치는 주로 치료나, 악취제거를 위한 것으로 향의 증발을통해 향을 확산 시킨다. 전통적인 방법으로써 이러한 향의 확산을 위해 접시 또는 유리에 향을 담아 자연 증발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양초, 알코올 램프를 통해 열을 가하여 증발을 촉진 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근래의 향 발현 장치는 주로 전기를 이용하여 향에 열을 가하고, 카트리지 내의 액체 향을 소정량 펌핑하여, 팬에 의해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여 향의 확산을 촉진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하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카트리지형 향 발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상적인 향 발현장치는 액체향을 저장한 카트리지(10); 상기 카트리지(10) 내의 향을 배출 시키도록 펌핑하는 펌핑수단(20); 및 상기 카트리지(10) 및 펌핑수단(20)을 수용하는 하우징(1)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펌핑수단은 카트리지의 펌핑캡을 두드리도록 수직 왕복운동하는 펌핑축(21)을 구비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카트리지(10)는 향을 발현하기 위하여, 상기 액체의 향이 저장되는 탱크(12); 상기 탱크의 향을 삼투압에 의해 외부로 젖어 나오게 하는 심지(13); 심지(13)를 통해 배출되는 향에 열을 가하여 증발시키는 증발기(15); 상기 펌핑축(21)에 의해 카트리지 내부에 양압과 음압을 계속적으로 발생시키는 탄력적인 재질로 이루어지는 펌핑캠(11); 상기 펌핑캡(11)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13); 및 상기 펌핑캡(11) 내부의 압력변화에 의해 증발기(15)에서 증발된 향을 배출시키는 배출구(14)를 포함한다.
즉, 펌핑캡이 펌핑축에 의해 두드려져 펌핑캡 내부에 양압이 발생되면 배출구가 개방되어 증발기 내부의 향이 배출되고, 음압이 발생되면, 흡입구가 개방되어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향을 발현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의 펌핑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접 향을 펌핑하는 수단 등과 같은 다른 공지된 펌핑수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향 발현장치는 펌핑장치의 메커니즘이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펌핑장치가 차지하는 부피에 의해 향 발현 장치 전체의 부피가 증가하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액체향에 열을 가하여 증발시키는 수단이 필요하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제작이 까다롭고,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많은 향을 머금을 수 있고, 바람의 세기에 따라 머금은 향을 배출하는 양이 대략적으로 비례하는 특성을 갖는 세라믹 재질을 카트리지의 심지로 이용함으로써, 펌핑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송풍과 와류를 발생하는 향배출 덕트경로로 향을 발현할 수있는,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세라믹 심지를 구비하는 향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향발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향발현장치의 카트리지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 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펌핑장치가 없는 향 발현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배면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펌핑장치가 없는 향 발현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6a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심지를 구비한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 구성중 세라믹 심지가 밀봉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6b는 상기 도6a의 측단면도.
도7a는 상기 도6a의 카트리지에서 세라믹 심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7b는 상기 도7a의 측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하우징 200a, 200b, 200c : 카트리지 수용부
300 : 카트리지 400 : 향배출덕트
240 : 카트리지 개폐수단 230 : 이송수단
310 : 액체 향 탱크 311 : 세라믹 심지
330 : 커버 430 : 향배출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체 향을 함유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도록 위치되는 세라믹 심지와, 상기 심지의 외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수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세라믹 심지를 통과하여 향이 발현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향배출덕트; 및 향발현의 종류 및 시간 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카트리지 수용부는 복수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배출덕트의 일단에는 향을 배출시키도록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팬(fa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의 개폐수단은 카트리지의 커버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커버를 개폐하도록 이동하는 커버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에 의한 카트리지의 커버의 이동에 의해 개방된 카트리지의 심지가 향배출덕트에 노출되도록 개폐부재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개폐부재를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은 하우징의 후면에 위치하며,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이송 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커버 개폐부재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이송스크류의 나선형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위치조절편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커버 개폐부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카트리지를 전자적으로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카트리지 수용부에 형성된 카트리지 감지 센서; 및 카트리지 내의 향의 종류에 따라 카트리지의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는 향 종류 구별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는 하우징의 카트리지 수용부에서 카트리지의 하면이 접촉하는 접촉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구별단자는 향의 종류에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각 감지 센서가 상기 구별단자의 위치에 따라 향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향발현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액체 향을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장착되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세라믹 심지; 상기 심지의 외부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심지를 개폐하는 커버가 이동하더라도 심지 및 카트리지 전체에서 이탈하지 않게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세라믹 심지를 구비하는 향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커버가 심지를 개폐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에는 커버의 개폐방향으로 형성되는 커버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 슬라이딩 홈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커버의 심지를 둘러싸는 심지 수용부가 심지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는 심지가 탱크와 접하는 탱크 입구 주위의 면과 접촉하여, 전체적인 밀봉을 이루는 제1커버부재; 상기 제1커버부재에서 하측방향으로 직교하게 절곡되어 탱크 입구를 측면에서 접촉하여 감싸는 제2커버부재; 및 상기 제1커버부재의 끝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직교하게 절곡되어 탱크의 외주면을 접촉하여 감싸는 제3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8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향발현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세라믹 심지를 구비한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 구성을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4는 상기 도3에 도시된 실시예를 후측에서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5a 및 도5b는 상기 도3 및 도4에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의 카트리지가 밀봉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7a 및 도7b는 상기 도6a 및 도6b의 카트리지가 향 발현을 위해 개방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향발현장치의 카트리지의 향종류 인식단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3에서는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수용부를,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향을 발현하는 상태, 향발현을 하지 않는 상태, 내부를 알 수 있도록 단면으로 나타낸 상태로 나누어 도시하였으며, 각각 도면부호 (200a), (200b), (200c)로 나타내었다.
도3 내지 도7b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는 액체 향을 함유하는 탱크(310)와, 상기 탱크(31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도록 위치되는 세라믹심지(311)와, 상기 심지의 외부를 개폐하는 커버(330)를 구비하는 카트리지(300); 상기 카트리지(300)를 수용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330)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수용부(200a, 200b, 200c)를 구비하는 하우징(100); 상기 세라믹 심지(311)를 통과하여 향이 발현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향배출덕트(400); 및 향발현의 종류 및 시간 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100)의 카트리지 수용부(200a, 200b, 200c)는 복숙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300)의 심지(311)를 세라믹으로 하는 이유는, 세라믹에는 미세한 수많은 공동이 형성된 모세관이 있어서, 상기 모세관에 향을 보유하고, 향을 투과시킬 수 있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세라믹은 바람의 세기에 따라, 향을 확산 시키는 양이 거의 비례하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펌핑 장치가 없이도 향을 발현할 수 있는 소재로서 적합하다.
상기 향배출덕트(400)의 일단에는 향을 배출시키도록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수단(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수단은 팬(fa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의 개폐수단은 카트리지(300)의 커버(33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홈(210)이 형성되며, 커버를 개폐하도록 이동하는 커버 개폐부재(240); 상기 개폐부재(240)에 의한 카트리지의 커버(330)의 이동에 의해 개방된 카트리지의 심지(311)가 향배출덕트(400)에 노출되도록 개폐부재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220); 및 상기 개폐부재(240)를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구비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커버 개폐부재(240)의 이동방향이 수직 방향으로 도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심지의 배치 상태에 따라서, 좌우, 또는 기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수단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후면에 위치하며, 나선형 홈(231)이 형성된 이송 스크류(230);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232); 및 상기 커버 개폐부재(240)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이송스크류(230)의 나선형 홈(23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위치조절편(233)을 구비한다. 즉, 상기 모터(232)가 구동하여 이송스크류(2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이송스크류의 나선형 홈을 따라 상기 위치조절편(233)이 이동하여, 상기 개폐부재(24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상기 커버 개폐부재(240)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 홈(24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200a, 200b, 200c)의 상면이 개방될 수도 있으나, 가이드 홈(241)이 형성되어 개폐부재(240)의 이동을 가이드 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덕트(400)는 송풍수단에 의해 형성된 공기 유동이 지나가는 통로가 되며, 도5b에서 처럼 덕트내에서 덕트의 넓이 차이에 의해서 감압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트리지 수용부의 형상을 따라, 덕트의 너비가 대체적으로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변형된 덕트(401)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6a 내지 도8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향 발현장치에 사용되는 카트리지(300)의 일 실시예 구성을 설명한다.
도6a 내지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및 본 실시예는 액체 향을 수용하는 탱크(310); 상기 탱크(310)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장착되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세라믹 심지(311); 상기 심지(311)의 외부를 개폐하는 커버(330); 및 심지(311)를 개폐하는 커버(330)가 이동하더라도 심지 및 카트리지 전체에서 이탈하지 않게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320)는 커버를 지지하기도 하지만, 이와 동시에, 카트리지(300)가 상기 하우징(100)에 수용되는 경우, 심지가 개방 되었을 때, 향이 덕트 방향으로만 배출되도록 덕트 반대측을 막는 기능을 한다.
상기 커버가 심지를 개폐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320)에는 커버의 개폐방향으로 형성되는 커버 슬라이딩 홈(32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 슬라이딩 홈(321)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33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의 개폐수단에 의해 카트리지의 커버가 개폐되는 경우, 상기 커버의 슬라이딩부재(331)가 슬라이딩 홈(321) 내에서 가이드 되어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330)가 이탈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330)의 심지(311)를 둘러싸는 심지 수용부(332)도 심지(311)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커버(330) 개폐시 심지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 이때,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카트리지 수용부(200a, 200b, 200c)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331) 및 원통형의심지수용부(332)가 통과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관통홀(250, 2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심지(311)와 커버(330)의 밀봉을 이루는 것은 원하는 향을 발현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트리지(300)의 커버(330)는 심지(311)가 탱크(310)와 접하는 탱크 입구 주위의 면과 접촉하여, 전체적인 밀봉을 이루는 제1커버부재(333); 상기 제1커버부재(333)에서 하측방향으로 직교하게 절곡되어 탱크 입구를 측면에서 접촉하여 감싸는 제2커버부재(335); 및 상기 제1커버부재(333)의 끝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직교하게 절곡되어 탱크(310)의 외주면을 접촉하여 감싸는 제3커버부재(336)을 포함하여, 3중으로 향을 저장하는 탱크 및 심지(311) 주위를 밀봉하게 된다. 즉, 제1커버부재(333)의 심지 주위측 접촉면(334)에서 1차적으로 밀봉이 이루어지고, 제2커버부재(335)가 탱크 주위를 2차적으로 밀봉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제3커버부재(336)가 탱크 입구 주위에 묻어 있는 향이 외부로 세어나가지 않도록 3차적으로 밀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커버부재(335, 336)은 커버의 개폐작동시,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닫히는 경우, 탱크와 커버가 요동하지 않고 확실히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밀봉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는 하우징(100) 내에 수용되어 향의 발현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지만, 세라믹 재질의 특성상 공기의 유동이 있으면, 향을 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만으로도 수동으로 원하는 향을 발현시킬 수 있다.
최근의 향 발현 방법으로 다수개의 향을 구비하여 각 향을 소정 시간 만큼소정 순서로 발현하여, 스트레스 및 불안감 해소 등을 실현할 수 있는 기능성 향 발현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향발현 장치에 있어서도, 장착된 향의 종류를 인식하는 기능이 필요로 하게 된다.
도8은 이러한 향 인식수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에 담긴 향의 종류를 전자적으로 인식하기 위해, 하우징(200)의 카트리지 수용부에 형성된 카트리지 감지 센서(미도시); 및 카트리지 내의 향의 종류에 따라 카트리지의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는 향 종류 구별단자(3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향 인식수단은 하우징(100)의 카트리지 수용부(200a, 200b, 200c)에서 카트리지(300)의 하면이 접촉하는 접촉면 형성된 4개의 감지센서(미도시); 및 카트리지(300)의 하면에 형성된 4개의 향 종류 구별단자(340)를 포함하는데, 이로인해 구별할 수 있는 향의 종류는 상기 향 종류 구별단자의 위치 및 갯수에 따라서 카트리지 비 장착 상태를 제외한 15가지의 향 종류를 구별할 수 있게된다.
이하, 상기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세라믹 심지를 구비한 향 카트리지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 발현 장치는 사람이 거주하는 건물을 시공할 때, 향이 효과적으로 발현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매입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최근의 아파트는 주거환경의 편의성 및 안락함 등이 중요한 요소이므로 향 발현장치를 기본 옵션으로 설치하여 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 발현 장치의 향 발현과정을 살펴보면, 향 카트리지(300)를 상기 하우징(100)의 카트리지 수용부(200a, 200b, 200c)에 설치하면, 카트리지 인식수단에 의해 카트리지의 장착상태 및 향의 종류가 인식되게 된다. 이때, 장착된 카트리지의 커버(330)는 끝단이 상기 개폐수단(240의 수용홈(210)에 수용되어 개폐수단(240)에 부착된다.
사용자가 향의 발현 시간, 종류 및 향발현 순서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향발현이 제어되게 된다. 따라서, 해당 향을 발현할 순서가 되어 카트리지를 개방해야 하는 경우, 해당되는 카트리지 수용부(도3에서 200a)의 개폐수단(240)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모터(232)가 스크류(230)을 회전시키면, 위치조절편(233)이 상기 스크류(230)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형 홈(231)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위치조절편(233)은 상기 개폐수단(24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개폐수단이 이동하여, 상기 커버(330)를 개방시켜, 심지(311)가 노출되게 한다.
상기 개폐수단의 관통홀(220)은 개폐수단의 이동에 의해 향 배출 덕트(400)와 연통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노출된 심지(311)에서 확산되는 향은 개폐수단(240)의 관통홀(220)을 통해 상기 덕트(400)로 확산된다.
상기 송풍수단(110)에서 공기의 유동이 형성되면, 향이 덕트를 따라 이동하여, 향 배출구(430)를 통해 배출되게 되어 실내에 확산되게 된다. 이때, 도5b에서 처럼 덕트(401)에 대해 개폐수단(240)의 관통홀(220)이 개방되는 경우, 카트리지(300) 내의 세라믹 심지(311)의 주위에 화살표 방향으로 와류가 형성되어 향 발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세라믹 심지는 풍량에 따라 향을 배출하는 양이 거의 비례하게 달라지므로,설정치에 따라 상기 송풍수단에서 형성되는 풍량이 제어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어원하는 향을 원하는 강도로 발현시키게 된다.
또한, 설정된 시간 동안 향을 발현한 후, 향 발현을 중지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모터(232)가 스크류(23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개폐수단(240)을 원위치 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카트리지(300)의 커버(330)가 심지(311)를 밀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330)의 제1 내지 제3커버부재(333, 335, 336)가 심지(311)를 삼중으로 밀폐함으로써, 밀봉상태가 견고히 유지되어, 향이 세어나가지 않게 함으로써, 잔류향에 의해 다른 향의 발현시 혼합되어 향이 외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펌핑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송풍과 와류를 발생하는 향배출덕트 경로로 향을 발현할 수 있으므로, 향발현장치의 부피가 감소되고, 향발현 메커니즘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고, 또한, 향 발현 메커니즘의 간단화로 인해 부품수가 줄어들어 제작비용이 줄어드는 다른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액체 향을 함유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도록 위치되는 세라믹 심지와, 상기 심지의 외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수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세라믹 심지를 통과하여 향이 발현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향배출덕트; 및
    향발현의 종류 및 시간 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카트리지 수용부는 복수개인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배출덕트의 일단에는 향을 배출시키도록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수단이 구비되는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팬으로 이루어지는
    펌핑장치가 없는 향 발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의 개폐수단은 카트리지의 커버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커버를 개폐하도록 이동하는 커버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에 의한 카트리지의 커버의 이동에 의해 개방된 카트리지의 심지가 향배출덕트에 노출되도록 개폐부재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개폐부재를 이동시키는 이송수단
    을 구비하는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하우징의 후면에 위치하며, 나선형 홈이 형성된 이송 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커버 개폐부재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이송스크류의 나선형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위치조절편
    을 구비하는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커버 개폐부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전자적으로 향 종류에 따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카트리지 수용부에 형성된 카트리지 감지 센서; 및
    카트리지 내의 향의 종류에 따라 카트리지의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는 향 종류 구별단자
    를 더 포함하는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하우징의 카트리지 수용부에서 카트리지의 하면이 접촉하는 접촉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구별단자는 향의 종류에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각 감지 센서가 상기 구별단자의 위치에 따라 향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10. 액체 향을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장착되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세라믹 심지;
    상기 심지의 외부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심지를 개폐하는 커버가 이동하더라도 심지 및 카트리지 전체에서 이탈하지 않게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세라믹 심지를 구비하는 향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심지를 개폐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에는 커버의 개폐방향으로 형성되는 커버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 슬라이딩 홈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되는
    세라믹 심지를 구비하는 향 카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심지를 둘러싸는 심지 수용부가 심지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세라믹 심지를 구비하는 향 카트리지.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는 심지가 탱크와 접하는 탱크 입구 주위의 면과 접촉하여, 전체적인 밀봉을 이루는 제1커버부재;
    상기 제1커버부재에서 하측방향으로 직교하게 절곡되어 탱크 입구를 측면에서 접촉하여 감싸는 제2커버부재; 및
    상기 제1커버부재의 끝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직교하게 절곡되어 탱크의 외주면을 접촉하여 감싸는 제3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세라믹 심지를 구비하는 향 카트리지.
KR10-2003-0041733A 2003-06-25 2003-06-25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세라믹심지를 구비한 카트리지 KR100514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733A KR100514355B1 (ko) 2003-06-25 2003-06-25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세라믹심지를 구비한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733A KR100514355B1 (ko) 2003-06-25 2003-06-25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세라믹심지를 구비한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545A true KR20050001545A (ko) 2005-01-07
KR100514355B1 KR100514355B1 (ko) 2005-09-14

Family

ID=3721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733A KR100514355B1 (ko) 2003-06-25 2003-06-25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세라믹심지를 구비한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3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912B1 (ko) 2006-03-22 2007-09-14 주식회사 코즈 향 공조장치
CN105432589A (zh) * 2015-12-13 2016-03-30 重庆金合蚊香制品有限公司 能持续有效的电热蚊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749B1 (ko) * 2019-12-19 2022-11-29 코너랩스 주식회사 방향용 전기식 디퓨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160B1 (ko) * 1999-10-29 2001-09-22 최중호 향발현장치 및 방법
KR100766252B1 (ko) * 2001-12-05 2007-10-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방향 휘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912B1 (ko) 2006-03-22 2007-09-14 주식회사 코즈 향 공조장치
CN105432589A (zh) * 2015-12-13 2016-03-30 重庆金合蚊香制品有限公司 能持续有效的电热蚊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4355B1 (ko) 200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571B2 (en) Flameless candle incorporating insect repellant diffuser and an ambient light sensor
ES2727249T3 (es) Dispensador de fragancia
AU2004243239B2 (en) Apparatus for emitting a chemical agent
EP2464390B1 (en) Wearable chemical dispenser
EP2160206B1 (en) Wearable chemical dispenser
US20090173799A1 (en) Volatile Liquid Emitting Device
KR101414822B1 (ko) 방향제 확산장치
JP2019130030A (ja) アロマディフューザ
KR100514355B1 (ko)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세라믹심지를 구비한 카트리지
JP2016073464A (ja) オイル容器および芳香拡散器
CN100394985C (zh) 汽化物分配装置
CN108042835B (zh) 一种扩香设备及香味盒
JPH08126693A (ja) 芳香装置
CN210485958U (zh) 一种空气加湿器
WO2017175307A1 (ja) オイル容器および芳香拡散器
AU2012273739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emanating liquids
KR102234971B1 (ko) 조명기능이 내장된 디퓨져 장치
KR100515569B1 (ko) 발향장치
CN218154712U (zh) 扩香机
CN211060303U (zh) 加湿器
KR100898761B1 (ko) 방향제 휘산장치
CN219271704U (zh) 一种烟雾香薰机
GB2406792A (en) Apparatus for emitting a chemical agent as a vapour
CN216963118U (zh) 一种香薰机
KR200327468Y1 (ko) 개폐 장치를 가지는 향 발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