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505A -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505A
KR20050001505A KR1020030041687A KR20030041687A KR20050001505A KR 20050001505 A KR20050001505 A KR 20050001505A KR 1020030041687 A KR1020030041687 A KR 1020030041687A KR 20030041687 A KR20030041687 A KR 20030041687A KR 20050001505 A KR20050001505 A KR 20050001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door
inspection
heat exchanger
ai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욱
강광옥
강완석
이호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1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1505A/ko
Publication of KR2005000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50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는 본체케이스(5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내부점검 및 내부의 부품교환 창구가 되는 점검구(104)가 형성되는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점검구(104)를 차폐하는 점검도어(110)와, 상기 점검도어(110)의 좌우이동을 방지하는 좌우위치 고정수단과, 상기 점검도어(110)의 상하이동을 방지하는 상하위치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점검도어(110)의 좌측단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좌측단 좌우고정브라켓(120)과, 상기 점검도어(110)의 우측단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우측단 좌우고정브라켓(1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점검도어(110)의 좌측단 상하 설치위치를 가이드하는 좌측단 상하위치 고정수단과, 상기 점검도어(110)의 우측단 상하 설치위치를 가이드하는 우측단 상하위치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점검도어의 결합불량으로 인한 열교환 효율의 감소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 { A inspection door mounting structure of ventilation system }
본 발명은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시스템의 본체케이스 전면에 형성되는 점검구를 차폐하는 점검도어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방편과 소음 등의 문제로 점차 인간의 주거공간은 기밀화 및 단열화 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폐쇄공간의 공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이산화탄소로 변함과 동시에 오염되어 생명체의 호흡을 저해하게 한다.
따라서, 사무실이나 차량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된 곳은 수시로 환기를 시켜야 한다, 이 때 통상적으로 전열교환 방식을 이용한 환기장치가 이용된다. 이것은 실내공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외부공기를 급기하고, 실내공기를 배기하기 위해서이다.
도 1에는 종래 환기장치의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고 있는 본체케이스(10) 한 측면에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있도록 외부공기 흡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공(12)으로부터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안내하는 통로가 되는 흡입덕트(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이러한 흡입덕트에 의해 안내된 공기는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와의 열교환을 위해 전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로 이동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점검도어(30)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점검도어(30)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열교환기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환기장치 내부의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전면 우측단에는 콘트롤박스(16)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박스(16)의 내부에는 환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부품이 장착된다.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로부터 전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본체케이스(10)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공기 급기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흡입공(12)과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공기 급기공(18)을 통해 실내로 급기된다.
한편, 상기 외부공기 급기공(18)의 측면에는 실내의 공기가 상기 환기장치의 본체케이스(10)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공기 흡입구(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의 측면에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20)로부터 환기장치의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실내공기 배기공(22)이 형성된다.
도 2에는 상기 점검도어(30)의 장착구조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도 3에는 상기 점검도어(30)가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전면에는 상기 전열교환기 등이 출입할 수 있는 점검구(40)가 형성되고, 이러한 점검구(40)를 점검도어(30)가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상기 점검도어(30)는 대략 사각평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점검구(40)를 직접 차폐하는 차폐면(32)과, 상기 차폐면(32)의 측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측면가이드(34,34')로 구성되고, 상하단에도 사용자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곡단부(36)가 상기 차폐면(32)의 상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점검도어(30)의 좌측면가이드(34)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좌측브라켓(38)이 삽입 장착되는 브라켓삽입홈(34a)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케이스(10)에는 좌측브라켓(38)이 더 설치되어 상기 점검도어(30)의 좌측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삽입홈(34a)에는 좌측브라켓(38)이 삽입되어 상기 점검도어(30)를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좌측브라켓(38)의 우측단은 상기 브라켓삽입홈(34a)에 삽입되고 좌측단은 상기 본체케이스(10)에 체결되어 상기 점검도어(30)의 좌측부가 상기 본체케이스(10)에 밀착되게 한다.
한편, 상기 점검구(40)의 우측에는 상기 점검도어(30)의 우측면가이드(34')를 고정하는 우측브라켓(42)이 구비된다. 상기 우측브라켓(42)은 상기 본체케이스(10)에 체결되는 부분인 장착부(42a)와, 상기 장착부(42a)로부터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측면부(42b)와, 상기 측면부(42b)의 선단으로부터 좌측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면부(42c)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우측브라켓(42)의 장착부(42a)는 스크류(screw) 등에 의해 상기 본체케이스(10)에 장착되면, 상기 우측브라켓(42)의 전면부(42c)가 상기 점검도어(30)의 우측면가이드(34') 선단에 접하여 상기 점검도어(30)의 우측부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기장치 점검도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종래의 점검도어(30) 장착구조에서는 점검도어(30)의 좌측부는 상기 좌측브라켓(38)에 의해 고정되고, 우측부는 상기 우측브라켓(42)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우측브라켓(42)의 전면부(42c)와 상기 본체케이스(10) 전면 사이에 상기 점검도어(30)의 우측면가이드(34')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점검도어(30)의 자체 무게에 의해 상기 전면부(42c)와 우측면가이드(34')의 선단부 사이에는 슬라이딩이 일어나게 되고 결국, 상기 점검도어(30)의 우측부가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상기 점검도어(30)의 처짐 현상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점검도어(30)는 상기 점검구(40)를 완전히 차폐하지 못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점검구(40)의 우측 상단이 일정부분 개방된다. 따라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공기가 환기장치 내부로 유입되어 실내의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편, 환기장치의 열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점검도어(30)의 처짐현상은 작업자의 작업불량으로 상기 우측브라켓(42)이 정확하게 장착되지 못한 경우에 일어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상기 점검도어(30)가 처음에는 정확하게 장착된 경우라도 사용을 계속함에 따라 상기 우측브라켓(42)과 상기 점검도어(30)의 우측면가이드(34')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경우에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기시스템의 점검구를 차폐하는 점검도어가 정확하게 장착되는 점검도어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환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환기장치 점검도어 장착구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환기장치 점검도어 장착구조의 실시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 점검도어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환기시스템의 주요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 점검도어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환기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절결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주요구성인 전열교환기의 설치상태를 보인 부분 정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 점검도어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 점검도어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전열환기 모드 작동시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일반환기 모드 작동시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본체케이스 52. 외부공기 흡입구
54. 좌측흡입덕트 56. 실내공기 배출구
58. 배기팬하우징 60. 전열교환기
61. 지지프레임 62. 소자지지부
63. 필터지지부 68. 프리필터
71. 손잡이 73. 고성능필터
80. 배기팬 82. 외부공기 송출구
84. 송출구장착홀 86. 급기팬하우징
88. 실내공기 흡입구 90. 실내흡입구장착홀
92. 우측흡입덕트 94. 댐퍼
96. 급기팬 100. 콘트롤박스
102. 천장고정구 104. 점검구
110. 점검도어 112. 차폐판
114. 좌측가이드면 114'. 고정홀
116. 우측가이드면 116'. 고정홈
120. 좌측단 좌우고정브라켓 122. 좌측단 상하고정브라켓
122'. 선단절곡부 130. 우측단 좌우고정브라켓
130'. 브라켓고정홈 132. 우측단 상하고정브라켓
132a. 장착부 132b. 연결부
132c. 삽입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는, 본체케이스의 일측면에는 내부점검 및 내부의 부품교환 창구가 되는 점검구가 형성되는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점검구를 차폐하는 점검도어와, 상기 점검도어의 좌우이동을 방지하는 좌우위치 고정수단과, 상기 점검도어의 상하이동을 방지하는 상하위치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우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점검도어의 좌측단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점검도어의 좌우유동을 차단하는 좌측단 좌우고정브라켓과, 상기 점검도어의 우측단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점검도어의 좌우유동을 차단하는 우측단 좌우고정브라켓을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하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점검도어의 좌측단 설치위치를 가이드하고, 상하유동을 차단하는 좌측단 상하위치 고정수단과; 상기 점검도어의 우측단 설치위치를 가이드하고, 상하유동을 차단하는 우측단 상하위치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에 의하면, 점검도어의 결합불량으로 인한 열교환 효율의 감소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일예가 분해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열교환기와 지지프레임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7a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점검도어 장착구조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b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점검도어의 장착구조의 실시상태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대략 사각박스 형상의 본체케이스(50)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케이스(50)는 제품 전체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구조물의 설치를 지지하여 보호하고, 외부로부터 이물이 제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좌측면에는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가 되는 외부공기 흡입구(52)가 측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좌측면 선단부에는 흡입구장착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52)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52)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52)로부터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아래에서 설명할 전열교환기(60)로 도달할 수 있도록 전열교환기(60)와의 사이에 좌측흡입덕트(5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좌측흡입덕트(54)는 흡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원할하게 흐르도록 안내하는 흡입통로의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케이스(50)의 내부 중앙부에는 전열교환기(60)가 구비된다. 상기 전열교환기(60)는 육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직교류형 플레이트 타입의 구조를 가진다. 즉, 특수 가공지의 칸막이 판으로 급,배기 통로를 분리시켜 외기와 실내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전열교환기(60)는 통상 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각각의 공기를 서로 다른 유로를 통하게 함으로써, 상기 서로 다른 유로의 층을 형성하는 고효율의 열교환막에 의하여 잠열을 교환하는 습기와 현열을 교환하는 열에 의해서 전열교환을 일으키게 된다. 즉, 상기 전열교환기(60)에 사용되는 특수가공지는 공기는 통과하지 않고, 열과 수분만 통과하는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열교환기(60)는 장치내의 급기와 배기 사이의 전열교환을 시행하여 실외로 배기로부터 공기의 전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에 전달하여 실내 공기의 상태가 외부공기로부터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한다.
이러한 전열환기 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시행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실내외의 온도차가 큰 여름과 겨울에 주로 상기와 같은 전열환기 모드가 사용되어 지며, 봄이나 가을과 같이 실내외의 온도차가 그다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댐퍼(94)에 의해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통로를 변경하여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하지 않게 하여, 보통환기 모드로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육각기둥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상하단부에는 전후로 길게 전열교환기(60) 지지프레임(61)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61)은 상기 전열교환기(60)의 하중을 지지하여 전열교환기(60)가 견고히 지지되게 함과 동시에 전열교환기(60)의 전후방 착탈시 가이드레일 역할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지지프레임(61)은 전열교환기(6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전후방 이동을 안내하는 소자지지부(62)와, 상기 소자지지부(62)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필터지지부(63)로 구성된다.
상기 소자지지부(62)는 상기 본체케이스(50)와 접하는 본체접촉면(62')과, 상기 본체접촉면(62')의 양단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소자접촉면(62")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소자지지부(62)는 중앙부가 함몰되어 터널형상을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터널형상의 하단부가 상기 본체케이스(50)과 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터지지부(63)는 상기 소자지지부(62)의 측단으로부터 측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사면(63')과, 상기 경사면(63')으로부터 수직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리브(63")로 구성된다.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측단 모서리에는 측면가이드(64)가 구비된다. 상기 측면가이드(64)는 상기 전열교환기(60)의 모서리를 감싸는 소자지지부(65)와, 상기소자지지부(65)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필터지지부(66)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지지부(66)는 상기 소자지지부(65)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수직면(66')과, 상기 수직면(66')으로부터 측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리브(66")로 구성된다.
즉, 상기 측면가이드(64)의 소자지지부(65)는 상기 전열교환기(60)의 모서리에 구비되어 모서리 양측 두면에 동시에 접촉되도록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ㄱ'자 형상의 소자지지부(65) 각면에 한 쌍의 필터지지부(65)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지지프레임(61)과 측면가이드(64)의 필터지지부(63) 사이에는 프리필터(68)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프리필터(68)는 공기속의 이물을 걸러내는 여과작용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전열교환기(6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다.
즉,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상기 전열교환기(60)의 하부 좌측에 구비되는 프리필터(68)는 외부공기에 섞여있는 이물을 걸러내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청정도를 높이는 한편, 상기 전열교환기(60)를 이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전열교환기(60)의 하부 우측에 구비되는 프리필터(68)는 실내에서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에 섞여있는 이물을 걸러내므로서, 상기 전열교환기(60)를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전열교환기(60)는 전후에 두 개가 구비됨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전열교환기(60)는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지지프레임(61)에 의해 지지되며 전후로 슬라이딩 된다. 따라서,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전면에는 전후방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손잡이(7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상부 우측에는 고성능필터(73)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고성능필터(73)는 흡입되는 외부공기 속의 분진입자를 다시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섬유매트 형태의 프리필터(68)에 의해 공기 중의 크기가 큰 먼지가 일차적으로 걸러진 다음, 상기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하면서 전열이 이루어지고, 상기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고성능필터(73)에 의해 다시 미세한 이물까지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좌측 후단부에는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 배출구(56)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배출구(56)는 상기 본체케이스(50)에 형성되는 배출구장착홀(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장착홀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배기팬(80)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실내공기를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56)로 안내하는 배기팬하우징(58)이 형성된다.
상기 배기팬하우징(58)의 내측에는 실내공기 배기팬(80)이 구비된다. 상기 배기팬(80)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공기 흡입구(88)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배출구(56)로 강제 송풍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시로코팬(sirroco fan)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우측 선단부 즉,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52)가 설치되는 위치와 반대측에는 외부공기 송출구(82)가 형성된다. 상기 송출구(82)는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송출구장착홀(84)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우측면으로부터 우측방으로 소정크기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송출구장착홀(84)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급기팬(96)으로부터 강제 송풍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송출구(82)로 안내하는 급기팬하우징(86)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우측 후단부 즉,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56)가 설치되는 위치의 반대측에는 실내공기 흡입구(88)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는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우측면으로부터 우측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우측면 후단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실내흡입구장착홀(9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흡입구장착홀(90)의 내부에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전열교환기(60)로 안내하는 우측흡입덕트(9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우측흡입덕트(92)의 내부에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가 선택적으로 상기 전열교환기(60)로 흘러가도록 하는 댐퍼(94)가 구비된다. 즉, 상기 댐퍼(94)는 아래에서 설명할 콘트롤박스(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우측흡입덕트(92)를 개폐한다. 따라서, 상기 댐퍼(94)가 상기 우측흡입덕트(92)를 차폐하면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는 상기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5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공기 송출구(82)와 실내공기 배출구(56) 사이에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외부공기 송출구(82)로 강제 송출하는 급기팬(96)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52)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급기팬(96)에 의해 상기 외부공기 송출구(8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콘트롤박스(100)가 구비되고, 환기시스템이 가옥의 천장에 설치되도록 하는 천장고정구(102)가 더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전면 중앙부에는 점검구(104)가 형성되고, 상기 점검구(104)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점검도어(110)가 구비되어 상기 점검구(10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환기시스템의 전면 좌측에는 전면장착홀(108)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전면장착홀(108)은 상기와 같은 환기시스템이 장착될 때, 건물의 구조상 공기의 유입통로를 전방으로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52)를 좌측면에 설치하지 아니하고 상기 전면장착홀(108)에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장착홀(108)에는 사용치 않을 경우에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차단판(108')이 설치되어 상기 전면장착홀(108)을 차폐한다.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우측 선단에는 콘트롤박스(100)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박스(100)의 내부에는 제어부가 형성되어, 환기시스템의 운전조건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전원을 단속하여 환기시스템을 온(on)/오프(off)시키며, 상기 급기팬(96)과 배기팬(80)의 팬 회전수를 제어하여 풍량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댐퍼(94)의 드라이버(도시되지 않음)를 조절하여 전열교환 모드 또는 보통환기 모드의 선택이 가능토록 환기방식 등을 제어한다.
상기 점검구(104)의 전방에는 점검도어(110)가 설치되어 상기 점검구(104)를 차폐한다. 따라서, 상기 전열교환기(60)를 비롯한 내부의 부품을 교환하거나 점검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점검도어(110)를 열고 전열교환기(60)등을 인출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점검도어(110)는 대략 사각평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점검구(104)를 직접 차폐하는 차폐판(112)과, 상기 차폐판(112)의 좌측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좌측가이드면(114)과, 상기 차폐판(112)의 우측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우측가이드면(11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판(112)의 상단과 하단에는 전방으로 절곡된 절곡단부(118)가 더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점검도어(110)는 점검도어(110)의 좌우이동을 방지하는 좌우위치 고정수단과, 상기 점검도어(110)의 상하이동을 방지하는 상하위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케이스(50)에 정확하게 장착된다.
상기 좌우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점검도어(110)의 좌측단과 접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50)에 형성된 점검구(104)의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단 좌우고정브라켓(120)과, 상기 점검도어(110)의 우측단과 접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50)에 형성된 점검구(104)의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단 좌우고정브라켓(13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좌우고정브라켓(120,130)은 상기 점검구(104)의 좌우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점검도어(110)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점검도어(110)의 상하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점검도어(110)의 좌측단 상하 설치위치를 가이드하는 좌측단 상하위치 고정수단과, 상기 점검도어(110)의 우측단 상하 설치위치를 가이드하는 우측단 상하위치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단 상하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점검도어(110)의 좌측단이 정확한 위치에 체결되어 상하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점검도어(110)의 좌측가이드면(114)에는 소정크기의 고정홀(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단 좌우고정브라켓(12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좌측단 상하고정브라켓(12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좌측단 상하고정브라켓(122)은 상기 좌측단 좌우고정브라켓(12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다음 선단부가 우측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선단절곡부(122')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단절곡부(122')가 상기 좌측가이드면(114)의 고정홀(114')에 삽입되어 상기 점검도어(110)의 좌측단을 고정하여 상하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우측단 상하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점검도어(110)의 우측단이 정확한 위치에 체결되어 상하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점검도어(110)의 우측가이드면(116) 선단에는 소정크기의 고정홈(1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점검구(104)의 우측에는 우측단 상하고정브라켓(132)이 구비된다. 즉, 상기 우측단 상하고정브라켓(132)은 상기 본체케이스(50)에 체결되는 장착부(132a)와, 상기 장착부(132a)의 좌측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132b)와, 상기 연결부(132b)의 선단으로부터 좌측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삽입부(132c)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132c)가 상기 점검도어(110)의 우측가이드면(116)에 형성된 고정홈(116')에 삽입되어 상기 점검도어(110)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점검도어(110)가 후방의 본체케이스(50)에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우측단 좌우고정브라켓(130)의 선단 중앙부에는 상기 우측가이드면(116)의 고정홈(116')과 대응되는 브라켓고정홈(130')이 더 형성되어 상기 우측단 상하고정브라켓(132)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을 통해 실내외의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는 전열환기 모드가 작동되는 경우의 환기시스템을 통한 공기 유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열환기 모드는 일반적으로 여름이나 겨울과 같이 실내와 실외의 온도 및 습도 차이가 많을 경우에 사용된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라 환기 상태를 설명하면, 사용자의 전열환기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콘트롤박스(100) 내부의 제어부 명령에 따라 상기 댐퍼(94)가 상기 우측흡입덕트(92)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팬(96)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52)를 통해 환기시스템 내부로 흡입되고, 이러한 외부의 공기는 상기 좌측흡입덕트(54)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전열교환기(60)의 하부 좌측면을 통해 전열교환기(60)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외부공기는 상기 전열교환기(60)의 하부 좌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프리필터(68)를 통과하게 되므로 공기중의 이물이 일차적으로 걸러진 다음, 상기 전열교환기(6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전열교환기(6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배출되는 실내공기로부터 열과수분을 교환한 다음 전열교환기(60)의 상부 우측면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상부 우측에는 고성능필터(7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한 공기의 이물이 다시 걸러지게 되어 보다 청정한 공기가 된다.
상기 전열교환기(60)와 고성능필터(73)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급기팬(96)에 의해 강제로 송풍되어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우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공기 송출구(8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실내의 공기는 상기 배기팬(80)의 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기되는데, 실내공기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를 통해 환기시스템 내부로 흡입된 다음 상기 우측흡입덕트(92)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전열교환기(60)의 하부 우측을 통해 전열교환기(60)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상기 전열교환기(60)의 하부 우측면에는 프리필터(68)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실내공기 중의 이물이 걸러진다. 따라서, 상기 전열교환기(60) 내부로는 청정된 공기가 흡입되므로 전열교환기(60)가 보호되어 수명이 보다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전열교환기(60)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외기에 열 및 수분을 교환한 다음 전열교환기(60)의 하부 좌측면을 통해 빠져나간다. 상기 전열교환기(60)를 빠져나온 실내공기는 상기 배기팬(80)에 의해 강제 송풍되어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좌측면 후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실내공기 배출구(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다음으로는 도 9를 참조하여 일반환기 모드에 의하는 경우의 공기 유동 상태를 설명한다. 일반환기 모드는 봄이나 가을과 같이 실내와 실외의 온도 및 습도 차이가 적을 경우에 실내의 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60)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bypass)되어 바로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반환기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콘트롤박스(100) 내부의 제어부 명령에 따라 상기 댐퍼(94)가 상기 우측흡입덕트(92)를 차폐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전열교환기(60)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기팬(80)에 의해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56)로 강제 송풍되어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외부공기의 유동을 살펴보면, 상기 급기팬(96)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52)를 통해 환기시스템 내부로 흡입되고, 이러한 외부의 공기는 상기 좌측흡입덕트(54)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전열교환기(60)의 하부 좌측면을 통해 전열교환기(60)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외부공기는 상기 전열교환기(60)의 하부 좌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프리필터(68)를 통과하게 되므로 공기중의 이물이 일차적으로 걸러진 다음, 상기 전열교환기(6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전열교환기(6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배출되는 실내공기가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열과 수분의 교환없이 전열교환기(60)의 상부 우측면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상부 우측에는 고성능필터(7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한 공기의 이물이 다시 걸러지게 되어 보다 청정한 공기가 된다.
상기 전열교환기(60)와 고성능필터(73)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급기팬(96)에의해 강제로 송풍되어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우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공기 송출구(8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일반환기 모드에서는 전열환기 모드의 경우와는 달리, 전열교환기(60) 내부에서 열 및 수분의 교환이 일어나지 않게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점검도어(110)의 장착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전면에 상기 좌측단 좌우고정브라켓(120)과 우측단 좌우고정브라켓(130)을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점검도어(110)를 전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점검도어(110)의 좌측단을 상기 좌측단 좌우고정브라켓(120)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좌측단 상하고정브라켓(122)의 선단절곡부(122')가 상기 점검도어(110)의 좌측가이드면(114)에 형성된 고정홀(114')에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점검도어(110)의 우측단을 후방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우측단 상하고정브라켓(132)의 삽입부(132c)가 상기 우측가이드면(116)의 고정홈(116')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우측단 상하고정브라켓(132)의 장착부(132a)를 상기 본체케이스(50)에 체결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점검도어(110)는 상기 좌측단 좌우고정브라켓(120)과 우측단 좌우고정브라켓(130)에 의해 좌우 유동이 방지되고, 상기 좌측단 상하고정브라켓(122)과 우측단 상하고정브라켓(132)에 의해 상하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좌측단 상하고정브라켓(122)을 상기 좌측단 좌우고정브라켓(120)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이렇게 하지 아니하고 상기 좌측단 상하고정브라켓(122)은 상기 좌측단 좌우고정브라켓(120)과 분리되어 상기 본체케이스(50)에 장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우측단 상하고정브라켓(132)을 상기 우측단 좌우고정브라켓(130)과는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케이스(50)에 체결되도록 하였으나, 이렇게 하지 아니하고 상기 우측단 상하고정브라켓(132)을 상기 우측단 좌우고정브라켓(130)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좌측단과 우측단의 좌우고정브라켓(120,130) 및 상하고정브라켓(122,132)을 상기 점검도어(110)의 좌우 및 상하방향의 유동을 방지하는 목적이 실현가능한 범위내에서는 다양하게 형상을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상기 점검도어(110)와 상기 본체케이스(50)의 전면 사이에는 실링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점검도어(110)와 본체케이스(50)와의 결합을 보다 부드럽게 하고, 상기 점검구(104)를 통해 환기시스템 내외부의 공기가 서로 교환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에 의하면, 상기 점검도어의 좌우 측단부에 점검도어의 상하유동 및 좌우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브라켓을 설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점검도어가 설치될 때 정확한 위치에 장착이 가능하고, 또한 외부의 충격에도 좌우유동 및 상하유동이 방지되므로 상기 점검구의 밀폐가 보다 확실해지는 효과가 있다.
결국, 상기 점검구를 통한 외부와 내부 공기의 교류가 방지되므로, 상기 점검구의 오결합에 의한 열교환 효율의 감소가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는 상기 점검구를 통해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본체케이스의 일측면에는 내부점검 및 내부의 부품교환 창구가 되는 점검구가 형성되는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점검구를 차폐하는 점검도어와,
    상기 점검도어의 좌우이동을 방지하는 좌우위치 고정수단과,
    상기 점검도어의 상하이동을 방지하는 상하위치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점검도어의 좌측단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점검도어의 좌우유동을 차단하는 좌측단 좌우고정브라켓과,
    상기 점검도어의 우측단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점검도어의 좌우유동을 차단하는 우측단 좌우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점검도어의 좌측단 설치위치를 가이드하고, 상하유동을 차단하는 좌측단 상하위치 고정수단과;
    상기 점검도어의 우측단 설치위치를 가이드하고, 상하유동을 차단하는 우측단 상하위치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
KR1020030041687A 2003-06-25 2003-06-25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 KR20050001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687A KR20050001505A (ko) 2003-06-25 2003-06-25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687A KR20050001505A (ko) 2003-06-25 2003-06-25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505A true KR20050001505A (ko) 2005-01-07

Family

ID=3721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687A KR20050001505A (ko) 2003-06-25 2003-06-25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15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512B1 (ko) * 2006-05-26 2007-10-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내부 부품의 정비가 용이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3308A (ja) * 1992-02-14 1993-08-31 Toshiba Corp 熱交換器付換気扇
JPH0626683A (ja) * 1992-07-13 1994-02-04 Toshiba Corp 熱交換換気ユニット
JPH0681614U (ja) * 1994-05-12 1994-11-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ィル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3308A (ja) * 1992-02-14 1993-08-31 Toshiba Corp 熱交換器付換気扇
JPH0626683A (ja) * 1992-07-13 1994-02-04 Toshiba Corp 熱交換換気ユニット
JPH0681614U (ja) * 1994-05-12 1994-11-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ィル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512B1 (ko) * 2006-05-26 2007-10-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내부 부품의 정비가 용이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75686A (ko) 환기장치가 구비된 창
US20050287945A1 (en) Ventilating system
KR102052348B1 (ko) 환기장치
KR100838891B1 (ko) 환기시스템
KR100543596B1 (ko) 환기시스템의 전열교환기 지지구조
KR101129751B1 (ko) 환기시스템
KR20060098281A (ko) 환기시스템
KR20070019279A (ko) 환기시스템
KR100895136B1 (ko) 환기시스템
KR100518429B1 (ko)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
KR20050001505A (ko)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
KR100556313B1 (ko) 환기시스템
KR102202404B1 (ko) 환기장치
KR100936224B1 (ko) 환기시스템의 댐퍼장치
KR100548927B1 (ko)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
KR20050014269A (ko)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
KR20060098284A (ko) 환기시스템
KR20050010569A (ko) 환기시스템의 팬하우징 고정구조
KR100907999B1 (ko) 환기장치
KR20060098286A (ko) 환기시스템
KR20050001508A (ko)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
KR20060098280A (ko) 환기시스템
KR102235582B1 (ko) 환기장치
KR20060098274A (ko) 환기시스템
KR20050010568A (ko) 환기시스템의 콘트롤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