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0354A - 머위 추출물 함유하는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머위 추출물 함유하는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0354A
KR20050000354A KR1020040047683A KR20040047683A KR20050000354A KR 20050000354 A KR20050000354 A KR 20050000354A KR 1020040047683 A KR1020040047683 A KR 1020040047683A KR 20040047683 A KR20040047683 A KR 20040047683A KR 20050000354 A KR20050000354 A KR 20050000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utterbur
memory
crud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6318B1 (ko
Inventor
박진규
고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ublication of KR20050000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3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억력 증강기능을 갖는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의 소재인 머위 추출물을 주·부원료로 이용하여 제조되거나 각종 기호성 식품에 첨가하여 제조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머위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은 청소년, 성인 및 노인층의 광범위한 계층까지 기억력 증강을 기대 할 수 있다.

Description

머위 추출물 함유하는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HEALTHY FOODS CONTAINING BUTTERBUR EXTRACT FOR MEMORY ABILITY IMPROVEMENT}
본 발명은 기억력 증강 효과를 갖는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의 소재인 머위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인지기능은 일상적인 생활의 활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신적 과정(central process)의 하나로, 집중력, 단기기억(short term memory, working memory) 장기기억(long term memory), 논리성(reasoning), 운동조절능력 및 작업의 계획성 등 정신적인 과정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과정들이 명확하게 운영되도록 하는 효율성은 매일 우리의 지적인 활동능력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어 궁극적으로는 QOL(Quality of Life)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현대사회는 무한 경쟁시대로서 현대인은 하루도 쉬지 아니하고 자기 자신 또는 타인과의 경쟁을 끊임없이 하고 있어,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 살아가면서 하루 세 끼 밥을 먹는 것과 마찬가지로 피할 수 없는 일이 되었다. 이런 스트레스는 기억에 관계하는 뇌 '해마'의 노화를 촉진하여 기억의 감퇴를 야기한다.
그러므로 현대인들에 있어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억력의 감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처 방안으로 꾸준히 운동을 하는 방법도 있으나 극소수 사람들에 불과하며, 약물로 해결하고자 하는 방법은 약물에 대한 거부감 및 약물 남용의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기억력 증강 효과를 갖는 기능성 소재를 찾아 수요자가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지금까지 기억력 증진과 관련된 기능성 소재로서 기억학습중추신경계의 대사량을 증가시킨다고 판단되어지는 약물에 대한 연구들이 있어 왔다. 이들은 대개 감마아미노부트릭산(α-amino butyric acid)의 유도체들로서, 이와 같은 약물들은 콜린계에 작용하여 아세틸콜린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의 합성과 배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고, 현재까지 개발된 약물들에는 아세틸콜린 합성전구체(acetylcholine precursor), 수용체 활성제(Receptor agonist), 니코틴 등이 있으나, 그 효과가 일시적이고 제한적이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비타민 C나 E, 베타카로틴, 세닐린(seniline), 은행잎 추출물(Egb 761)등은 산화억제 기능을 통해 뇌 기능 장애에 효과를 나타낸다고 추측되어지나,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하여 그 효과에 대해서는 좀 더 많은 조사가 필요한 상태이다.
중추신경계의 대사량 촉진제 또는 항산화제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천연소재로부터 부작용이 적은 효과적인 소재를 찾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명확한 효과를 가진 소재는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이에 대한 천연소재의 개발에는 일차 검증된 기능성 소재가 반드시 신경계질환들의 혈뇌장벽(BBB ; Blood Brain Barrier)을 통과해야만 효과를 발휘 할 수 있으나, BBB에 대한 연구가 현재 매우 낮은 수준에 있다는 점도 개발의 어려운 점의 하나이다.
현재 BBB 문제를 우회하는 유일한 대안은in vivo실험을 통한 경험적 효과검증이다. 이러한 점에서 수 천년 동안 경험적으로 검증되어 온 뇌 신경계 관련 천연물들은 기억력 증강과 관련된 건강기능식품으로의 개발이 기대되어진다.
한편 머위는 국화과(숙근초)에 속하며 습한 들이나 논, 밭 및 산기슭 등지에 자생하는 봉두근, 사두초, 야남곡으로 불리기도 하는 식물로써 어린잎과 어린 꽃줄기를 식용으로 이용하며, 기침, 담, 기관지천식, 건위, 해열, 종기와 뱀·벌레 물린 상처 치료 및 화상에 좋으며, 중독(복어탕)과 주독을 푸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머위의 꽃봉오리는 건위, 진해, 해열, 고혈압에 효과가 있으며, 이 외에도 식욕을 증진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며, 차로 만들어 이용하기도 하고 술에담그어 약술을 만들기도 하고 어린 꽃봉오리를 베어서 음건하여 튀김을 만들어 먹기도 하지만, 머위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결과들은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물에서in vivo실험을 통한 효과검증으로 혈뇌장벽의 문제를 해결하고 기억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기능성 소재를 찾기 위해 연구하던 중 머위 추출물을 동물에 투여하여 기억력의 증강 효과를 확인하고 기억력의 전기생리학적 파라메타인 장기간 강화(LTP ; Long Term Potentiation)가 유의성 있게 증가되며, 기억학습의 신호전달 기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BDNF(Brain Derived Neurotropic Factor) 및 CREB(cAMP 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의 발현이 증가되어 기억력 개선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천연물에서 기억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소재로서 머위 추출물을 주·부원료로 하여 제조되거나 기호성 식품에 첨가하여 제조된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머위 조추출물을 음수로 투여한 실험동물과 대조군의 LTP(Long Term Potentiation) 유발 정도를 비교한 그래프,
도 2는 머위 조추출물을 사료로 투여한 결과에 대한 LTP 유발 정도 비교 그래프,
도 3은 머위 조추출물 투여가 뇌 피질의 BDNF(Brain Derived Neurotropic Factor)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사진,
도 4는 머위 조추출물 투여가 뇌 해마의 CREB(cAMP 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사진,
도 5는 머위 조추출물을 음수로 투여한 정상 랫드에 대한 모리스 수미로 학습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머위 조추출물을 음수로 투여한 정상 노령 랫드에 대한 모리스 수미로 학습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정상 노령 랫드의 작업 기억에 대한 머위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머위 조추출물을 투여한 노령 랫드의 유영 궤적 사진,
도 9는 머위 조추출물을 용량별 음수로 투여한 정상 랫드에 대한 모리스 수미로 학습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머위 분획추출물을 용량별 음수로 투여한 정상 랫드에 대한 모리스 수미로 학습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머위 분획추출물을 용량별 음수로 투여한 모래쥐에 대한 수동회피반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억력의 증강을 위한 머위 추출물 함유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머위 추출물은 기억력의 증강 효과를 갖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머위는 한국산 머위(Petasites japonicus) 및 서양 머위(Petasites officinalis)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기억력의 증강 효과를 갖는 머위 추출물은 머위에 물 또는 알코올을 첨가하여 추출한 머위의 조추출물 뿐만 아니라 상기 추출물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제거하고 수(Water)층에서 분리된 머위 분획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머위 조추출물은 머위에 물을 첨가하여 열수추출하거나 알코올을 첨가하여 냉침 또는 저온 가열하여 추출함으로서 제조되는 것으로서 감압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머위 조추출물을 추출하는데 첨가되는 알코올은 5 내지 100% 에탄올 또는 메탄올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머위에 물 또는 알코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물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제거하고 수(Water)층을 분리하여 수층에서 수득되는 추출물에서 머위 분획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머위 분획추출물은 컬럼박층크로마토그래프 확인 시험에서 이동상을 부탄올:메탄올:수산화암모늄:물=3:2:1:2의 비율로 하여 전개한 다음 254nm의 UV를 쬐이면 Rf값 0.5~0.8에서 암갈색으로 흡수가 일어나며, 10% 황산에 적신 후 100℃로 가열하면, Rf값 0.6에서 흑갈색 반점을 나타내고, 요오드 발색 시 Rf값 0.5~0.8에서 갈색 반점을 나타내며, 닌히드린발색시약과 드라겐드로프 발색시약의 정색 반응에서 음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머위 분획추출물은 수용액에서 pH가 5.0~8.0이며,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에 불용이며 메탄올에 약간(0.1%) 녹고 증류수에는 용해되는 성질을 가진다.
본 발명의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머위 조추출물 및 머위의 분획추출물이 식품의 주·부원료로 하여 제조되거나 다른 식품에 첨가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식품보조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뇌 기능과 관련된 기능성 소재의 작용은 장기간 강화(LTP ; Long Term Potentiation) 변화와 해마 및 내측피질(inferior temporal cortex)과 같은 국소적 영역에서의 BDNF(Brain Derived Neurotropic Factor)발현증가 및 TrkB수용체 활성화와 관련되어 있으며, BDNF의 박탈은 학습 및 기억의 손상을 가져오므로 기억학습에는 BDNF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또한 CREB(cAMP 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은 뇌 손상 보호 외에도 공간(space) 및 사회적(social) 학습 등 여러 가지 다양한 기억 형성의 조절인자로 알려져 있다.
상기 머위 조추출물을 랫드에 투여하여 모리스 수미로 학습 후 뇌 기능에 미치는 결과를 살펴 본 결과 기억력의 전기생리학적 파라메타인 LPT(Long TermPotentiation)를 유의성 있게 증가시키고(도 1 및 도 2), 기억학습의 신호전달 기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BDNF(Brain Derived Neurotropic Factor) 및 CREB(cAMP 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의 발현을 증가시키므로(도 3 및 도 4) 상기 머위 추출물이 기억력 증강기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머위 조추출물 및 머위 분획추출물을 랫드에 투여하여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기억력 증강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5). 특히 머위 조추출물에 비해 머위 분획추출물의 기억력 증강 효과가 뛰어나므로 머위 분획추출물에 기억력 증강활성성분이 농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도 9 내지 도 11). 또한 머위 조추출물을 노령 랫드에 투여하여 모리스 수미로 학습을 시킨 결과 기억력 개선효과를 나타냈다(도 6 내지 도 8).
그러므로 본 발명의 머위 추출물은 기억력 증강을 위한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서 청소년, 성인 및 노인층의 광범위한 계층까지 기억력 증강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향후 노인성 뇌질환(건망증, 치매, 알츠하이머병 등)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 개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머위 추출물은 급성독성 및 아급성 독성시험 결과 식품에 첨가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억력 증강기능이 기대되는 머위 추출물의 유효량은 성인(60kg 체중)에 대해 1일 0.8g 내지 3.2g 이고, 바람직하기로는 1일 1.6g 내지 3.2g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머위 조추출물의 제조
건조되지 않은 머위 1.8t을 깨끗이 세척하고 길이 10cm 내외로 잘라 건조시킨 머위 98kg을 얻었으며, 이것에 70%의 에탄올 370L를 가하여 55℃~60℃ 사이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섞으면서 추출한 후 다시 같은 양의 에탄올을 가하여 재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수분함량 약 31%(67~68˚Brix)의 머위 조추출물 42kg(수율 42%)를 얻었다.
<실시예 2> 머위의 분획추출물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머위의 조추출물 4kg에 증류수 20L를 현탁하여 에틸아세테이트 18L로 2회 진탕추출 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분획(36L)을 제거하고 분리된 수층을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머위 분획추출물(pH : 6.7) 2.8kg(수율 70%)을 얻었다.
상기 머위 분획추출물을 실리카겔 TLC (Merck)에 점적한 다음 이동상을 부탄올:메탄올:수산화암모늄:물=3:2:1:2의 비율로 하여 전개시켰다.
컬럼박층크로마토그래프 확인 시험에서 상기 분획추출물은 254nm의 UV를 쬐여 Rf값 0.6에서 암갈색으로 흡수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10% 황산에 적신 후 100℃로 가열하였을 때 Rf값 0.6에서 흑갈색 반점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머위 분획추출물은 Rf값 0.6에서 요오드 발색으로 갈색 반점을 나타내었으며, 닌히드린발색시약과 드라겐드로프 발색시약의 정색 반응에서 음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머위 추출물 투여에 의한 LTP(Long Term Potentiation)의 변화실험
(1) 머위 추출물 투여에 의한 LTP 변화
가. 실험재료 및 실험동물
실험재료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머위 조추출물을 사용하였고, 실험동물은 정상성장기 랫드(Sparague Dawley rat, 웅성)를 사용하였다.
나. 실험방법
머위 추출물의 기억력 개선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LTP를 관찰하기 위해 실험동물에 상기 머위 조추출물을 3주 동안 음수[25%(2.5g/l)농도]를 통하여 투여하였고, 4주째부터 모리스 수미로 학습(Morris Water Maze)을 실시하였으며, 5주째에 뇌의 해마에서 LTP 측정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모리스 수미로 학습(Morris Water Maze)의 방법은 실험동물을 동서남북 중 임의의 두 위치에서 출발시켜 목표물인 플랫폼을 찾아가도록 매일 일정시간에 하루 2회씩 5일 동안 수영학습을 시키는 것으로 이루어 졌다.
상기 모리스 수미로 학습을 한 실험동물을 20% 우레탄(7 ml/kg, Sigma, USA)으로 복강내 주사하여 마취시킨 후 뇌 정위장치(stereotaxic, Stoelting, USA)에 고정시켜 두개골 절개술(craniotomy)을 실시하였다.
LTP의 측정을 위하여 기록용 tungsten-미세전극은 해마 CA1 세포에 위치시키고 자극용 전극은 치상회(dentate gyrus)의 과립형 세포에 위치 시켰다. 자극 전극은 샤퍼측지섬유 경로(Schaffer collateral 경로) 위에 놓이게 하며, 기록 전극은 CA1 신경 세포의 Dendrite 부위에 놓이게 한다. LTP를 유도하기 위해 자극 전극을 통해 경련성 자극을 가하고 LTP가 얻어지면 2시간 동안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다. 실험결과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인 정상음료 투여군(n=8, n은 실험동물의 수, 이하 같다)은 평균 9.42±1.79%의 potential의 증가를 나타냈으며, 머위 조추출물 함유 음료 투여 군(n=8)은 25.10±4.4%의 LTP 증가를 나타냈다. 실험기간 동안 두 군 모두 유의한 차이(*p<0.05, **p<0.01 vs control)를 유지하였다.
도 1에서 화살표(↑) 표기는 경련성 자극을 준 시점을 나타낸 것이며,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낸 것이고, student's t-test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하나의 * 표기는 p<0.05인 부분을, 두 ** 표기는 p<0.01인 부분을 나타낸 것이고, M은 머위 조추출물을 나타낸 것이다.
(2) 머위 추출물 함유 사료 투여에 의한 LTP 변화
가. 실험재료 및 실험동물
실험재료는 하기 표1과 같은 조성을 갖는 머위 조추출물 함유 사료를 사용하였다.
머위 조추출물 함유 사료의 조성
원 료 명 배합 비율(%) 단위 중량(mg) 제조 중량(kg)
실시예 1(고형분 60%) 44.45 80.01 72.009
대두단백분말 22.23 40.014 36.0126
미결정셀룰로오스 15.0 27.0 24.3
소맥배아분말 3.0 5.4 4.86
건조효모 2.4 4.32 3.888
대두레시틴 1.8 3.24 2.916
비타민C 1.8 3.24 2.916
분말비타민 E(50%) 0.9 1.62 1.458
옥타코사놀(10%) 0.3 0.54 0.486
디-말톨 0.15 0.27 0.243
비타민 B6-염산염 0.06 0.108 0.0792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77 0.33264 1.2474
옥수수 단백추출물 분말 0.57 0.24624 0.9234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03 0.01296 0.0486
기타(에리스리톨) 6.54 2.82528 10.5948
100% 180mg 162kg
실험동물은 상기 실험 (1)과 같은 랫드를 사용하였다.
나. 실험방법
사료로 공급되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머위 조추출물이 LTP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5주째에 실험동물을 마취하여 뇌 해마에서의 LTP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실험은 상기 (1)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다. 실험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료를 4주간 공급 투여한 후, 실험동물의 뇌 해마에서의 LTP의 변화(5주째)를 기록한 결과, 대조군인 일반 정상사료 투여군(n=8)은 10.55±5.57%,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머위 조추출물 제외사료(대두유, 소맥배아유, 비타민mix, α-tocopherol 등 포함) 투여군(n=6)은 22.53± 3.91%의 증가를, 표 1의 머위 조추출물 함유 사료 투여군(n=6)은 37.89± 7.04%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자극(TBS)후 발생된 LTP는 정상사료 투여군과 머위 추출물 함유 사료 투여군 모두에서 2시간 이상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정상음료 및 머위 조추출물 함유 음료를 투여한 실험동물군의 비교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도 2에서 화살표(↑)는 10분 동안 base-line 기록 후 TBS 자극이 주어진 시점을 나타낸 것이다. 모든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student'st-test로 유의성(*, p<0.05; **, p<0.01)을 검정하였다. M은 머위 조추출물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머위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3의 LTP 변화검정 동물실험에서 기억력 증강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머위 추출물은 기억력의 증강이 기대되는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의 소재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머위 추출물 투여가 동물의 뇌 BDNF 및 CREB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기억학습에 대한 CREB 및 BDNF 방출의 활성 의존적 조절의 분자기전에 머위 추출물의 투여가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가. 실험재료 및 실험동물
실험재료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머위 조추출물을 사용하였고, 실험동물은 정상성장기 랫드(Sparague Dawley rat, 웅성)를 사용하였다.
나. 실험방법
3주동안 실험동물에 음수를 통하여 상기 머위 조추출물을 투여(in 0.5% CMC)하였고, 4주째에 실험동물의 LTP data를 기록 분석하였다. LTP기록 후 가능한 빨리 전체 뇌로부터 대뇌 피질과 해마를 분리하고, 그 분리된 샘플에서 total RNA를 분리한 후, 스펙트로포토메타(spectro photometer)를 이용하여 그 RNA의 양을 측정하였다. 또 샘플로부터 일정량을 취하여 MMVL reverse transcriptase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으며 이와 같이 만들어진 샘플을 사용하여 BDNF 및 CREB의 발현 정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다. 실험결과
도 3 및 도 4의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n=6)에 비해 머위 조추출물 투여 시험군(n=7)에서 현저히 BDNF(피질, 도 3) 및 CREB(해마, 도 4)의 발현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머위 추출물이 BDNF 및 CREB mRNA의 발현에 관여했음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머위 추출물은 기억력의 증강 효과를 갖는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의 소재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머위 추출물의 학습능력 및 기억력 개선 효과
가. 실험재료 및 실험동물
실험재료는 상기 실시예 1의 머위 조추출물을 사용하였고, 실험동물은 정상성장기 랫드(Sparague Dawley rat, Wister rat, 웅성, 180~200g 체중)를 준비하였다.
나. 실험방법
실험동물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머위 조추출물을 3주 동안음수[25%(2.5g/l)농도]를 통하여 투여하였고, 4주째부터 실험동물에 대해 상기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모리스 수미로 학습을 실시(4 trials/day)하였다.
학습을 실시한 실험동물들에 대하여 학습이 완료되어 실험동물이 플랫폼에 도착하기까지의 시간(Escape time)이 10초 내외로 되었을 때부터 24시간 경과 후 프로브 테스트(probe trial test; 목표물이 있었던 1/4분면 영역 또는 목표물 주변반경 25cm 이내에 랫드가 들어와 머무른 시간 및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하는 실험)를 1회 실시하였다. 이 때의 작업 기억(working memory) 또는 1차 학습을 완료 후 플랫폼을 다른 위치로 옮겼을 때 나타나는 전후의 시간 차이(short term working memory) 등을 비교 측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다. 실험결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 랫드에서 머위 조추출물은 학습과 작업기억(working memory) 능력 모두의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의 머위 추출물은 기억능력의 증강 효과를 갖는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의 소재임을 알 수 있다.
도 5에서 M은 머위 조추출물이고 C는 대조군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6> 노령 랫드에 대한 학습능력 및 기억력 개선 효과
본 실시예는 머위 추출물이 청소년뿐만 아니라 성인 및 노인층의 광범위한 계층까지 기억력 증강기능이 기대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노령 정상 랫드에 대한 학습 및 기억력 증강을 측정한 것이다.
가. 실험재료 및 실험동물
실험재료는 상기 실시예 1의 머위 조추출물을 사용하였고, 실험동물로 22개월령 랫드(88주령, Sparague Dawley rat ,n=16)를 준비하였다.
나. 실험방법
실험동물에 상기 머위 조추출물을 12주동안 음수[25%(2.5g/l)농도]를 통하여 투여하고 상기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모리스 수미로 학습에서 1차 학습에 대한 프로브 시험을 실시하여 작업기억을 측정하였으며 자발 운동량은 프로브 시험 24시간 후에 4시간동안 대조군과 비교 측정하였다.
다. 실험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리스 수미로 학습에서 유의적(n=7∼8, * p<0.05 vs control)인 기억력의 차이를 보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시험에 의한 작업 기억(working memory)도 대조군에 비해 약 1.4배 증가하였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동물이 플랫폼 일사분면 영역(quadrant) 내에서 단위시간당 유영(遊泳)한 거리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투여기간 동안 두 군간에 체중 및 음수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도 6, 도 7 및 도 8에서 MH는 머위 조추출물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의 머위 추출물은 노인층까지 기억력 증강기능을 나타냄으로 광범위한 계층을 대상으로 기억력 감퇴증상을 보이는 질병을 예방 빛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7> 머위 조추출물의 학습능력 및 단기기억력 개선효과
가. 실험재료 및 실험동물
실험재료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머위 조추출물을 사용하였고, 실험동물은 정상성장기 랫드(Wister rat, 수컷)를 준비하였다.
나. 실험방법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머위 조추출물을 실험동물에 3주 동안 용량별(200mg/kg, 400mg/kg)로 음수를 통하여 투여하였으며, 4주째부터 실험동물에 대해 모리스 수미로 학습을 실시하였다.
상기 모리스 수미로 학습은 실험동물을 10초 이내에 목표물을 찾아가도록 1주간 1일 4회씩 반복해서 수영학습 시킨 뒤 24시간이 경과하여 목표물인 플랫폼을 반대 위치로 옮긴 후 모리스 수미로 학습을 실시했을 때 첫 번째와 두 번째 목표물을 찾아가는 시간(Escape time)의 차이(Learning Index)를 비교 측정하였다.
다. 실험결과
상기 시험에서는 Learning index가 증가할수록 단기기억력이 향상된 것으로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의 Learning Index 시간은 대조군에 비해 머위 분획 추출물 200mg/kg 투여량에서는 1.38배, 400mg/kg 투여량에서 1.87배의 기억력 증강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머위 조추출물이 투여한 실험동물에서 용량 의존적인(n=8, * p<0.01 vs control, ** p<0.05 vs control) 단기기억력의 증강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9에서 M은 머위 조추출물이고 C는 대조군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8> 머위 분획추출물의 학습능력 및 단기기억력 개선효과
가. 실험재료 및 실험동물
실험재료는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머위 분획추출물을 사용하였고, 실험동물은 정상성장기 랫드(Sparague Dawley rat, 수컷)를 준비하였다.
나. 실험방법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머위 분획추출물을 실험동물에 4주 동안 용량별(120mg/kg, 240mg/kg, 480mg/kg)로 음수를 통하여 투여하였으며, 5주째부터 실험동물에 대해 모리스 수미로 학습을 실시하였다.
상기 모리스 수미로 학습은 실험동물을 10초 이내에 목표물을 찾아가도록 1주간 1일 4회씩 반복해서 수영학습 시킨 뒤 24시간이 경과하여 목표물인 플랫폼을 반대 위치로 옮긴 후 모리스 수미로 학습을 실시했을 때 첫 번째와 두 번째 목표물을 찾아가는 시간(Escape time)의 차이(Memory Index)를 비교 측정하였다.
다. 실험결과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의 Memory Index 시간은 16.58± 5.56(sec)이나, 머위 분획추출물을 투여한 실험동물은 120mg/kg 투여용량에서32.46±15.15(sec), 240mg/kg 투여용량에서 45.28±5.90*(sec), 480mg/kg 투여용량에서 33.48±17.06(sec)으로 240mg/kg까지 용량 의존적인(n=5, * p<0.05 vs control) 단기기억력의 증강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10에서 MW는 머위의 분획추출물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 7과 8을 비교한 결과 머위 조추출물의 경우 200mg/kg ~ 400mg/kg 투여량에서 각각 1.38배 및 1.87배의 증강 효과를 보인 반면, 머위 분획추출물의 경우 120mg/kg, 240mg/kg의 투여량에서 각각 1.96배 및 2.73배의 증강 효과를 보여, 가장 현저한 증강 효과를 보인 추출물의 투여용량(240mg/kg)이 약 2배나 적게 소요된 반면에 기억력 증강 효과에 있어서는 240mg/kg 일 때 대조군의 2.73배로 머위 조추출물의 경우보다 1.5배 정도나 더 높은 기억력 증강 효과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머위 분획추출물의 수동회피반응에 의한 기억력 개선효과
가. 실험재료 및 실험동물
실험재료는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머위의 분획추출물을 사용하였고, 실험동물은 정상의 성장기 모래쥐(Mongolian gerbil, 수컷)를 준비하였다.
나. 실험방법
실험동물에 머위의 분획추출물을 5주 동안 용량별(125mg/kg, 250mg/kg)로 음수를 통하여 투여하였으며, 6주째부터 실험동물에 대해 Step down latency test(수동회피반응: passive avoidance test)를 실시하였다.
상기 수동회피반응시험은 실험동물이 그리드(Grid)로 내려올 때 0.4mA의 전기쇼크를 가하여 기억시키고 24시간 경과 후 플랫폼 위에서 그리드로 내려오지 않고 머무르는 시간(Latency time)을 비교 측정하였다.
다. 실험결과
상기 시험에서는 Latency time이 증가할수록 기억력이 향상된 것으로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의 수동회피반응 시간은 54.8±17.6(sec)이나, 머위 분획추출물을 투여한 실험동물은 125mg/kg 투여용량에서 101.6±21.5*(sec), 250mg/kg 투여용량에서 133.6±39.2*(sec)로 머위 분획추출물을 투여한 실험동물에서 용량 의존적으로(n=8~10, * p<0.05 vs control) 유의적인 기억력의 증강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11에서 MW는 머위 분획추출물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0> 안전성(급성독성 및 아급성 독성) 실험
본 발명의 머위 추출물이 인체에 독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동물 실험을 하였다.
(1) 급성독성 시험
가. 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실험재료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머위 조추출물을 사용하였고, 실험동물은 ICR 마우스 14마리를 준비하였다.
나. 실험방법
실험동물에 머위 조추출물을 용량별로(수분함량 23%; 2g/kg, 4g/kg) 음수를 통하여 투여하고, 투여 전후 실험동물의 체중변화 및 생존여부를 72시간동안 관찰하였다.
다. 실험결과
72시간 내에 실험동물 모두가 생존하였으며 평균 체중 증가량도 2g/kg 및 4g/kg의 머위 조추출물 투여군에서 각각 3.3g, 2.5g으로 정상증가량의 오차 범위에 들어 있었으며, 6g/kg b.w. 투여량에서도 LD50를 관찰 할 수 없었다. 참고로 한국 식약청(KFDA)의 안전성 기준은 2g/kg bw이하이므로, 머위 추출물은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아급성 독성시험
가. 실험재료 및 실험동물
상기 (1)의 시험과 동일한 실험재료를 사용하였고, 실험동물은 ICR 마우스 13마리를 준비하였다.
나. 실험방법
실험동물에 2주동안 2g/kg bw/day의 투여량으로 경구 투여하여 평균체중 변화를 관찰하였다.
다. 실험결과
실험동물의 평균체중 증가량의 범위에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모두 생존하였다.
이러한 안전성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의 머위 추출물은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머위 조추출물 또는 머위 분획추출물을 츄잉 껌, 라면 등의 면류, 사탕, 과자류, 시리얼, 빵류 등 각종 고상 식품에 첨가하여 기억력 증강 효과를 갖는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차 및 음료로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억력 증강기능을 갖는 머위 추출물 또는 머위 분획추출물을 사료에 첨가하여 동물의 사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실시예 1> 츄잉 껌의 제조
껌베이스 20 중량%, 설탕 72 중량%, 향료 1 중량% 및 물 2 중량%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머위 조추출물 5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2> 캔디의 제조
설탕 50 중량%, 물엿 39.8 량% 및 향료 0.2 중량%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머위 조추출물 10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3> 캔디의 제조
당알콜 45 중량%, 환원물엿 49.8 중량% 및 향료 0.2 중량%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머위 분획추출물 5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4> 비스켓의 제조
박력 1급 21.59 중량%, 중력 1급 22.22 중량%, 정백당 4.80 중량%, 식염 0.73 중량%, 포도당 0.78 중량%, 팜쇼트닝 11.15 중량%, 암모 1.54 중량%, 중조 0.17 중량%, 중아황산나트륨 0.16 중량%, 쌀가루 1.45 중량%, 비타민 B1 0.0001 중량%, 비타민 B2 0.0001 중량%, 밀크향 0.04 중량%, 물 21.3298 중량%, 전지분유 1.16 중량%, 대용분유 0.29 중량%, 제일인산칼슘 0.03 중량%, 살포염 0.29 중량% 및 분무유 7.27 중량%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머위 분획추출물 5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비스켓을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5> 음료의 제조
꿀 0.26 중량%, 치옥토산아미드 0.0002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004 중량%,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 중량%, 염산피리독신 0.0001 중량%, 이노시톨 0.001 중량%, 오르트산 0.002 중량% 및 물 89.7362 중량%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머위 조추출물 10 중량%을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6> 음료의 제조
설탕 7.78 중량%, 구연산 0.11 중량%, 향료 0.1 중량% 및 정제수 87.01 중량%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머위 분획추출물 5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음료를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머위 추출물은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물에서in vivo실험을 통한 효과검증으로 기억력 증강기능을 가지는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의 소재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머위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은 LTP 유발 정도 평가, BDNF(Brain Derived Neurotropic Factor) 및 CREB(cAMP 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 발현 영향 평가와 관련된 전기생리학적 연구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기억력의 증강 기능을 가지며, 청소년, 성인 및 노인층의 광범위한 계층까지 기억력 증강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향후 노인성 뇌질환(건망증, 치매, 알츠하이머병 등)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유용하게 개발될 수 있다.

Claims (9)

  1. 머위에 물 또는 알코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추출한 머위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2. 제 1 항에 있어서, 머위 추출물은 머위에 5 내지 100%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3. 제 1 항에 있어서, 머위 추출물은 머위에 물 또는 알코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추출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 수용액을 첨가하여 수(Water)층을 분리하여 수층에서 수득되는 머위 분획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과립제, 연질캅셀제 또는 액제 제형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은 음료 또는 다류 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머위 추출물인 기억력 증강을위한 식품첨가제.
  7. 츄잉 껌, 사탕, 과자류 중에서 선택되는 기호성 식품에 제 6 항에 기재된 머위 추출물인 식품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8. 라면 등의 면류, 시리얼, 빵류 중에서 선택되는 고상식품에 제 6 항에 기재된 머위추출물인 식품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9.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기재된 머위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강을 위한 동물용 사료.
KR1020040047683A 2003-06-24 2004-06-24 머위 추출물 함유하는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KR100596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1283 2003-06-24
KR1020030041283 2003-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354A true KR20050000354A (ko) 2005-01-03
KR100596318B1 KR100596318B1 (ko) 2006-07-03

Family

ID=37216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683A KR100596318B1 (ko) 2003-06-24 2004-06-24 머위 추출물 함유하는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3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7304B2 (en) 2006-02-08 2012-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forming nano-particle array by convective assembly, and convective assembly apparatus for the same
KR101950983B1 (ko) * 2018-08-13 2019-02-21 주영 엘더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음료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0359A (ja) * 1995-11-27 1997-06-03 Shinichiro Saito 山菜ジュース
KR20010105904A (ko) * 2000-05-19 2001-11-29 이진수 머위줄기의 조미방법
KR100478301B1 (ko) * 2001-08-03 2005-03-24 성덕모 유해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건강식품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산야초 추출방법
KR100438322B1 (ko) * 2001-11-14 2004-07-02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머위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5655B1 (ko) * 2003-03-14 2005-12-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신경세포 보호 효과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머위 추출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7304B2 (en) 2006-02-08 2012-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forming nano-particle array by convective assembly, and convective assembly apparatus for the same
KR101950983B1 (ko) * 2018-08-13 2019-02-21 주영 엘더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음료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6318B1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tz et al. Cocoa and chocolate in human health and disease
EP0815857B1 (en) Antiobestic agent containing procyanidin as the active ingredient
EP1312374A1 (en) Sugar absorption inhibitor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5842640B2 (ja) 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3阻害剤
US20130261136A1 (en) Coffee extracts as ingredients of foods, drugs, cosmetics, dietary supplements, and biologics
EP2135616A1 (de) Getrocknete Vacciniumfrüchte zur Beeinflussung von Zuständen des Darmes
JP4002654B2 (ja) 血中脂質改善剤、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及び肥満の予防・解消剤、並びに飲食品及び皮膚外用剤
EP2052729B1 (en) Antiobesity composition containing component originating in the bark of tree belonging to the genus acacia
US11986506B2 (en) Dietary supplements for inhibiting PDE5 and increasing cGMP levels
JP2007145825A (ja) 脳機能改善用組成物
KR100596318B1 (ko) 머위 추출물 함유하는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KR100672949B1 (ko) 우울증 치료용 연자육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조성물 및 건강식품
KR101687270B1 (ko) 상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H09227393A (ja) 精神安定性素材及び食品
KR100600994B1 (ko) 머위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131039A (ko) 뇌기능 개선용 영양전달체 조성물
AU2006347124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itching containing component originating in the bark of tree belonging to the genus Acacia
US8128969B2 (en) Hypoglycemic composition containing acacia bark derivative
KR102634302B1 (ko) 붓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226920A1 (en) Transthyretin tetramer stabilizer and agent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progression of transthyretin amyloidosis
KR100803385B1 (ko)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질환 예방용 조성물과 식품
US20130058995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weight reduction
JP2009249372A (ja) 抗ストレス剤または睡眠改善剤
KR20230149566A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21204964A1 (en)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cognitive diso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