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858Y1 -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 - Google Patents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858Y1
KR200497858Y1 KR2020210003681U KR20210003681U KR200497858Y1 KR 200497858 Y1 KR200497858 Y1 KR 200497858Y1 KR 2020210003681 U KR2020210003681 U KR 2020210003681U KR 20210003681 U KR20210003681 U KR 20210003681U KR 200497858 Y1 KR200497858 Y1 KR 200497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marking
disk
marking nail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192U (ko
Inventor
이성율
권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210003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858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1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1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6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impact tools, e.g. by chisels or other tools having a cutt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02Percussive tool b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시못의 헤드부를 보호하기 위한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에 있어서, 표시못의 못부분이 삽입될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비트드릴(100)과; 상기 비트드릴(100)이 일단에 설치되는 원판(200)과; 상기 원판(200)의 일면에 설치되는 금강석 분쇄날(300)과; 상기 원판(200)의 타면에 설치되는 공구체결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를 제공한다. 즉, 본 고안은 표시못 설치작업을 개선하여 표시못의 헤드를 표층에 돌출되지 아니하도록 표층의 헤드수용부에 완전히 수용함으로써 표시못의 헤드를 보호한다.

Description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A indication nail hole pretreatment tool}
본 고안은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시못의 헤드부를 보호하기 위한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로 지하매설물(가스배관, 통신관, 상수관 등)위치 확인을 위한 표층(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에 설치하는 표시못 설치작업 시 개선된 공기구를 통한 전처리 작업공정을 추가하여 해머 타격에 의한 접촉 충격을 해소 하고, 제설차량에 의한 손망실 감소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못은 헤드부에 많은 정보를 포함하는 바 헤드부에 손상이 가해지면 당해 위치의 정보가 손상되게 된다.
종래의 표시못 설치 방법은 표층을 드릴로 천공하여 해머에 의한 머리부 타격에 의해 설치함에 따라 표시못 머리 아래부분과 표충의 해머 타격에 의한 접촉 충격으로 머리 연결부분이 이완되어 내구성이 약화 되고, 제설작업 차량(스크퍼)에 의한 파손 등이 발생 하여 손망실이 많이 발생 하였다. 이하 관련된 선행문헌을 살펴본다. 하기 선행문헌에서의 식별부호는 본원고안과는 무관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59763호 '표시못 항타용 지그'는 표시못의 항타작업시 해머드릴을 이용하여 치즐링 항타력을 균일한 압력과 방향으로 표시못에 간접적으로 전달하여 표시못 헤드의 손상없이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항타작업시 표시못 헤드의 둘레에 위치하는 도로의 지표면에 각인홈을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표시못 항타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제10-2259763호는 일단이 해머드릴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보강리브와 일체로 마련되는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의 타단과 일체로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핀부재의 타단 외측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와; 상기 보강리브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측면에 도로에 설치되는 표시못의 헤드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이형성된 몸체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제10-2259763호는 상기 항타용지그에 상용하는 전용의 표시못이 요구되어 범용성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3262호 '드릴용 나사못'은 콘크리트 벽면에 대하여 나사못을 신속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드릴용 나사못에 관한 것으로, 결합홈을 형성한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일측면 중심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그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된 기둥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기둥부재의 선단부에는 콘크리트벽을 뚫을 수 있는 천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나사부에는 상기 콘크리트 구멍의 내주면과 접하여 밀폐 고정시키는 고무패킹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전동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드릴용 나사못을 콘크리트 벽면에 신속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쐐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 따른 생산단가를 크게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제20-2011-0003262호는 표시못 헤드의 보호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59763호 '표시못 항타용 지그' 등록일자 2021년05월27일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3262호 '드릴용 나사못' 공개일자 2011년03월30일
종래의 표시못 설치 방법은 표층을 드릴로 천공하여 해머에 의한 머리부 타격에 의해 설치함에 따라 표시못 머리 아래부분과 표충의 해머 타격에 의한 접촉 충격으로 머리 연결부분이 이완되어 내구성이 약화 되고, 제설작업 차량(스크래퍼)에 의한 파손 등이 발생 하여 손망실이 많이 발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도로 지하매설물(가스배관, 통신관, 상수관 등)위치 확인을 위한 표층(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에 설치하는 표시못 설치작업을 개선하여 불량률 감소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는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에 있어서, 표시못의 못부분이 삽입될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비트드릴(100)과; 상기 비트드릴(100)이 일단에 설치되는 원판(200)과; 상기 원판(200)의 일면에 설치되는 금강석 분쇄날(300)과; 상기 원판(200)의 타면에 설치되는 공구체결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를 제공한다.
종래에는 표층(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을 드릴로 천공하여 해머에 의한 머리부 타격에 의해 표시못을 설치함에 따라 머리 아래부분과 표충이 해머 타격에 의한 접촉 충격으로 머리 연결부분이 이완되어 내구성이 약화 되고, 제설작업 차량(스크래퍼)에 의한 파손 등이 발생 하여 손망실이 많이 발생 하였다. 이에,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못 머리 아래부분과 표층이 닿는부분을 절삭(전처리, 5mm)후 천공 할 수 있는 공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불량률 및 제설차량에 의한 손망실 감소로 원가절감과 작업 효율성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은 표시못 설치작업을 개선하여 표시못의 헤드를 표층에 돌출되지 아니하도록 헤드수용부에 완전히 수용함으로써, 표시못 불량률 감소 및 제설차량에 의한 표시못 파손 및 손망실을 방지함에 따라 원가절감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공정 개선 등을 통해 완벽한 시공을 가능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가 표층을 가공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4는 본 고인의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에 의해 가공된 못구멍의 일 예시도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의 정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1 및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에 있어서, 표시못의 못부분이 삽입될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비트드릴(100)과; 상기 비트드릴(100)이 일단에 설치되는 원판(200)과; 상기 원판(200)의 일면에 설치되는 금강석 분쇄날(300)과; 상기 원판(200)의 타면에 설치되는 공구체결부(400); 를 포함하는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를 제공한다.
즉, 상기 비트드릴(100)은 표시못의 못대가 삽입될 못대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분쇄날(300)은 표시못의 헤드부가 수용되는 헤드수용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분쇄날(300)은 상기 원판(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방향으로 배열되며, 회전방향의 리드(lead)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리드부(310)와, 상기 리드부(310)의 반대측에 리드(lead)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테일부(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날(300)은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의 단단한 표층을 평면가공하기 위한 날로서 회전가공시 큰 하중을 받게 된다. 이에, 상기의 리드부(310)와 테일부(320)는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주어 상기 분쇄날(300)의 마모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분쇄날(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큰 하중을 갖는 바, 금강석, 고경도의 탄소강 등의 고강도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쇄날(300)은 상기 분쇄날(300)의 중앙부에 완충 및 분쇄물의 배출을 위한 홈부(3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날(300)은 상기 원판(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3~9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분쇄날(300)의 갯수는 가공을 위한 표층의 재질과 다수의 분쇄날(300)들이 이루는 분쇄날의 세트의 직경(d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의 크기는 적용될 표시못의 크기에 의존하며, 상기 비트드릴(100)의 직경(d1)은 10~20mm이고, 상기 분쇄날(300)의 세트의 회전직경(d2)은 60~7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은 본 고안의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가 표층을 가공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고안의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1)는 공구체결부(400)를 통해 체결된 전동드릴(도시를 생략함)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아스팔트 내지 콘크리트 재질의 표층(2)을 가공하여 못구멍을 형성한다.
도4는 본 고안의 표시못 구멍 전처리장치에 의해 가공된 못구멍의 일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의 비트드릴(100)은 표시못의 못대(32)를 수용하기 위한 못대수용부(101)를 형성하게되고, 분쇄날(300)들은 분쇄날(300)들의 세트의 회전직경(d2)의 크기만큼 헤드수용부(301)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상기 표시못(3)의 헤드(31)는 상기 헤드수용부(301)내로 완전히 삽입되게 되어 외력에 의한 손망실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
2: 표층
3: 표시못
31: 헤드
32: 못대
100: 비트드릴
101: 못대수용부
200: 원판
300: 분쇄날
301: 헤드수용부
310: 리드부
320: 테일부
330: 홈부
400: 공구체결부

Claims (5)

  1.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에 있어서,
    표시못의 못부분이 삽입될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비트드릴(100)과;
    상기 비트드릴(100)이 일단에 설치되는 원판(200)과;
    상기 원판(200)의 일면에 설치되는 금강석 분쇄날(300)과;
    상기 원판(200)의 타면에 설치되는 공구체결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날(300)은 상기 원판(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방향으로 배열되며,
    회전방향의 리드(lead)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리드부(310)와, 상기 리드부(310)의 반대측에 리드(lead)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테일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부(310) 및 상기 테일부(320)가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분쇄날(300)의 마모를 방지하며,
    상기 분쇄날(300)의 원주 방향의 길이는 상기 원판(200)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길이보다 소정거리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쇄날(300)은 상기 분쇄날(300)의 중앙부에 완충 및 분쇄물의 배출을 위한 홈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330)는 복수의 분쇄날(300) 각각의 표면 상 형성되어 상기 원판(200)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동심원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
  2. 삭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300)은 상기 원판(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3~9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드릴(100)의 직경(d1)은 10~20mm이고,
    상기 분쇄날(300)의 세트의 회전직경(d2)은 60~7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
KR2020210003681U 2021-12-03 2021-12-03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 KR200497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681U KR200497858Y1 (ko) 2021-12-03 2021-12-03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681U KR200497858Y1 (ko) 2021-12-03 2021-12-03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192U KR20230001192U (ko) 2023-06-12
KR200497858Y1 true KR200497858Y1 (ko) 2024-03-15

Family

ID=8674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681U KR200497858Y1 (ko) 2021-12-03 2021-12-03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85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696Y1 (ko) 2006-02-23 2006-05-04 임홍국 분쇄용 커터
KR101180015B1 (ko) * 2012-02-21 2012-09-05 주식회사 지아이에스이십일 지중선로 표시기 타입구 파쇄장치 및 방법
KR101834471B1 (ko) * 2017-09-29 2018-03-05 터보파워텍(주) 블레이드 가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509Y1 (ko) * 2008-12-17 2011-07-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라인마크 설치공 형성용 공구
KR20110003262U (ko) 2009-09-24 2011-03-30 심성보 드릴용 나사못
KR20170002400U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라인마크 형성용 천공기
KR102259763B1 (ko) 2018-12-20 2021-06-02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표시못 항타용 지그
KR20210001494U (ko)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매립형 라인마크 시공비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696Y1 (ko) 2006-02-23 2006-05-04 임홍국 분쇄용 커터
KR101180015B1 (ko) * 2012-02-21 2012-09-05 주식회사 지아이에스이십일 지중선로 표시기 타입구 파쇄장치 및 방법
KR101834471B1 (ko) * 2017-09-29 2018-03-05 터보파워텍(주) 블레이드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192U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4542B2 (ja) 掘削ロッド、掘削ビット及び掘削工具
US20100025114A1 (en) PCD Percussion Drill Bit
US20090184564A1 (en) Pcd percussion drill bit
US4368789A (en) Drilling apparatus
US5779403A (en) Percussive blow assisted rotary drill
US91020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asy removal of hydraulic hammer bushing
US200302224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eaking up solid objects
KR20050063791A (ko) 드릴 비트
US20140054951A1 (en) Cutting Tool With Insert Having A Tapered Bottom
KR200497858Y1 (ko) 표시못 구멍 전처리공구
US6435288B1 (en) Rock drill bit
US6125952A (en) Percussive down-the-hole hammer and a drill bit therefor
KR101536674B1 (ko) 교체형비트부를 구비한 에어 해머 비트
US6817429B2 (en) Roof bit carbide blade
CA2260547A1 (en) A percussive down-the-hole hammer and a drill bit
US20090285638A1 (en) One-piece drill bit for single-pass anchor bolting and single pass drilling apparatus
CN110952918A (zh) 一种冲击器
KR960002678Y1 (ko) 지반굴착기의 해머드릴본체용 비트
CN112004985A (zh) 具有耐磨保护件的钻头
US5884978A (en) Hammer tool for boom mountable power hammer
US9453372B2 (en) Drill with integrally formed bent sub and sonde housing
CN110637138B (zh) 钢筋混凝土结构物破碎用空气锤钻头
KR102185345B1 (ko) 노면파쇄기의 비트 유닛
KR102158269B1 (ko) 노면파쇄기의 비트 유닛
KR200259017Y1 (ko) 저소음 및 내마모성 강화 타격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