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824Y1 - 수납박스 - Google Patents

수납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824Y1
KR200497824Y1 KR2020230001629U KR20230001629U KR200497824Y1 KR 200497824 Y1 KR200497824 Y1 KR 200497824Y1 KR 2020230001629 U KR2020230001629 U KR 2020230001629U KR 20230001629 U KR20230001629 U KR 20230001629U KR 200497824 Y1 KR200497824 Y1 KR 200497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lid
coupled
box body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1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재
Original Assignee
(주) 라이피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라이피스트 filed Critical (주) 라이피스트
Priority to KR2020230001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loosely interengaged by integral complementary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저장된 물품의 확인하거나 수납 또는 인출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박스는 상기 뚜껑(20)이 중간부(21)와, 상기 중간부(21)의 전후단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22)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뚜껑(20) 전체를 열지 않고, 회동부(22)나 중간부(21)를 상측으로 시켜 박스본체(10)의 일부만을 개방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납박스{storage receptacle}
본 고안은 내부에 저장된 물품의 확인하거나 수납 또는 인출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등의 물품을 수납할 때 사용되는 수납박스는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박스본체(10)와, 상기 박스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박스본체(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뚜껑(20)을 연 후, 박스본체(10)에 물품을 수납한 후 뚜껑(20)을 결합하여,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여러개의 수납박스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수납박스는 박스본체(10)에 수납한 물건을 확인할 때나, 물건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뚜껑(20) 전체를 열어야 함으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여러개의 수납박스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아래쪽에 있는 수납박스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수납된 물품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상부에 올려진 수납박스를 내려야 함으로,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461234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저장된 물품의 확인하거나 수납 또는 인출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수납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박스본체(10)와, 상기 박스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20)을 포함하는 수납박스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중간부(21)와, 상기 중간부(21)의 전후단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박스본체(10)의 하측면 양측에는 지지로울러(11)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20)의 상면 양측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레일부(25)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25)에는 상기 지지로울러(11)가 삽입되는 오목부(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박스본체(10)의 양측에는 돌출부(13)와, 상기 돌출부(13)에 결합되는 결합홈(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뚜껑(20)의 하측면에는 보조케이스(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뚜껑(20)의 상면중앙부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고정돌부(27)와, 상기 박스본체(10) 하측면의 중앙부 전후방에 구비된 한 쌍의 지지돌부(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부(27)의 전후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27a)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부(15)의 인접면에는 상기 걸림부(27a)가 결합되는 고정홈(15a)이 형성되어, 수납박스를 적층한 상태에서 상측의 수납박스를 전후방향으로 밀면 상기 고정돌부(27)의 걸림부(27a)가 지지돌부(15)의 고정홈(15a)에 결합되어, 상하측의 수납박스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박스는 상기 뚜껑(20)이 중간부(21)와, 상기 중간부(21)의 전후단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22)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뚜껑(20) 전체를 열지 않고, 회동부(22)나 중간부(21)를 상측으로 시켜 박스본체(10)의 일부만을 개방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박스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박스를 도사힌 저면 사시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박스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박스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박스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박스를 도시한 것으로,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박스본체(10)와, 상기 박스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20)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박스본체(10)와 뚜껑(2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뚜껑(20)은 중간부(21)와, 상기 중간부(21)의 전후단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중간부(21)와 회동부(22)는 상판(23)과, 상기 상판(23)의 둘레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편(24)으로 구성되어, 상기 박스본체(10)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상호 인접단에 구비된 힌지핀에 의해 상호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21)와 회동부(22)는 양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박스본체(10)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을 박스본체(10)의 상단에 결합한 상태에서, 회동부(22)만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열거나, 후방의 회동부(22)가 박스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중간부(21)와 전방의 회동부(22)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열어서, 박스본체(10)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수납된 물품을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박스본체(10)의 하측면 양측에는 지지로울러(11)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로울러(11)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에 의해 상기 박스본체(10)의 하측면에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박스본체(10)의 하측면 중앙부 양측에는,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보조지지로울러(12)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납박스를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손쉽게 수납박스를 전후방으로 밀거나 당겨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상면 양측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레일부(25)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25)에는 상기 지지로울러(11)가 삽입되는 오목부(26)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부(25)는 측방향 폭이 상기 지지로울러(11)의 폭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지지로울러(11)가 레일부(25)에 삽입되면 지지로울러(11)가 측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레일부(25)를 따라 전후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오목부(26)의 전후방향 간격은 상기 지지로울러(11)의 전후방향 간격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수납박스를 적층하면, 상측의 수납박스에 구비된 지지로울러(11)가 하측의 수납박스에 형성된 오목부(26)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박스를 적층하면, 지지로울러(11)가 오목부(26)에 삽입되어,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측의 수납박스가 전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힘을 주어 상측의 수납박스를 후방으로 밀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로울러(11)가 오목부(26)에서 이탈되면서 레일부(25)를 따라 후방으로 밀려나가서, 하측의 수납박스에 구비된 뚜껑(20)의 회동부(22)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박스가 적층된 상태에서 하측에 있는 수납박스의 회동부(22)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열어서, 수납박스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본체(10)의 양측에는 돌출부(13)와, 상기 돌출부(13)에 결합되는 결합홈(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14)은 입구구분이 좁고 내부가 넓게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13)는 상기 결합홈(1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홈(14)의 상측에서 돌출부(13)를 결합하면, 결합홈(14)과 돌출부(13)가 상호 맞물려, 측방향에 위치된 박스본체(10)를 상호 결합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하측면에는 보조케이스(4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케이스(40)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20)의 하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케이스(40)에 곰팡이제거제나 탈취제 등을 수납하여, 수납케이스에 수납된 물품에 곰팡이가 발생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납박스는 상기 뚜껑(20)이 중간부(21)와, 상기 중간부(21)의 전후단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22)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뚜껑(20) 전체를 열지 않고, 회동부(22)나 중간부(21)를 상측으로 시켜 박스본체(10)의 일부만을 개방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박스본체(10)의 하측면 양측에는 지지로울러(11)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20)의 상면 양측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레일부(25)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25)에는 상기 지지로울러(11)가 삽입되는 오목부(26)가 형성됨으로, 수납박스를 상하방향으로 원활히 적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측에 적층된 수납박스를 후방으로 밀어, 하측의 수납박스를 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박스본체(10)의 양측에는 돌출부(13)와, 상기 돌출부(13)에 결합되는 결합홈(14)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3)와 결합홈(14)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여러개의 수납박스를 상호 측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뚜껑(20)의 상면중앙부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고정돌부(27)와, 상기 박스본체(10) 하측면의 중앙부 전후방에 구비된 한 쌍의 지지돌부(15)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부(27)는 상기 중간부(21)의 상면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전후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27a)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부(15)는 수납박스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의 수납박스를 전후방의 회동부(22)가 노출되도록 전후방으로 밀었을 때, 상기 고정돌부(27)의 전면이나 후면에 밀착되도록 위치설정된 것으로, 인접면, 즉, 전방의 걸림부(27a)의 후측면과 후측의 걸림부(27a)의 전면에는 상기 걸림부(27a)가 결합되는 고정홈(15a)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납박스를 적층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의 수납박스를 후방으로 밀면 전방에 구비된 고정돌부(27)의 걸림부(27a)가 지지돌부(15)의 고정홈(15a)에 결합되어, 상하측의 수납박스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측의 수납박스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수납박스가 적층된 상태에서 하측에 구비된 수납박스의 회동부(22)가 노출되도록 상측의 수납박스를 후방으로 밀 경우, 상측의 수납박스의 1/3 이상이 하측 수납박스의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이때, 상측의 수납박스의 후방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상측에 올려진 수납박스가 후방으로 기울어져 추락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측의 수납박스를 후방으로 밀면, 고정돌부(27)의 걸림부(27a)가 지지돌부(15)의 고정홈(15a)에 결합되어, 상측의 수납박스가 하측의 수납박스의 덮개에 결합고정된다.
따라서, 상측의 수납박스의 후방의 무게가 무겁더라도, 상측에 올려진 수납박스가 후방으로 기울어져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박스본체 20. 뚜겅

Claims (5)

  1.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박스본체(10)와,
    상기 박스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20)을 포함하는 수납박스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중간부(21)와,
    상기 중간부(21)의 전후단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박스는, 하측의 수납박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박스본체(10)의 양측에는 돌출부(13)와, 상기 돌출부(13)에 결합되는 결합홈(14)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20)의 하측면에는 보조케이스(40)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박스는,
    상기 뚜껑(20)의 상면중앙부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고정돌부(27)와,
    상기 박스본체(10) 하측면의 중앙부 전후방에 구비된 한 쌍의 지지돌부(15)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부(27)의 전후면에는 전후방향 각각으로 돌출된 한 쌍의 걸림부(27a)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부(15)의 인접면에는 상기 걸림부(27a)가 결합되는 고정홈(15a)이 형성되어,
    상기 수납박스를 적층한 상태에서 상측의 수납박스를 전후방향으로 밀면, 하측의 수납박스의 상기 고정돌부(27)의 한 쌍의 걸림부(27a) 중 상기 상측의 수납박스가 밀린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27a)가 상기 상측의 수납박스의 상기 지지돌부(15)의 고정홈(15a)에 결합되어, 상기 상측의 수납박스가 상기 밀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밀린 방향으로는 추가 이동되지 않도록, 상하측의 상기 수납박스가 상호 결합되는 것인, 수납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10)의 하측면 양측에는 지지로울러(11)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20)의 상면 양측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레일부(25)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25)에는 상기 지지로울러(11)가 삽입되는 오목부(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30001629U 2023-08-04 2023-08-04 수납박스 KR200497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1629U KR200497824Y1 (ko) 2023-08-04 2023-08-04 수납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1629U KR200497824Y1 (ko) 2023-08-04 2023-08-04 수납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824Y1 true KR200497824Y1 (ko) 2024-03-07

Family

ID=90248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629U KR200497824Y1 (ko) 2023-08-04 2023-08-04 수납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824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964A (ko) * 2000-04-04 2001-05-07 문제구 건강보조물질의 수납공간을 갖는 용기 뚜껑
JP2014201320A (ja) * 2013-04-02 2014-10-27 株式会社ジェイ・イー・ジェイ 収納ケース
KR101461234B1 (ko) 2008-02-26 2014-11-14 이영철 덮개의 개봉이 용이한 다용도 수납박스
JP2018039542A (ja) * 2016-09-08 2018-03-15 株式会社ジェイ・イー・ジェイ 蓋付き収納ケース
KR20190084698A (ko) * 2018-01-09 2019-07-17 김종훈 캣타워와 스크래쳐 기능이 부가된 고양이 모래박스
JP2022535566A (ja) * 2019-06-06 2022-08-09 ホルツライトナー・アンドレアス 搬送容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964A (ko) * 2000-04-04 2001-05-07 문제구 건강보조물질의 수납공간을 갖는 용기 뚜껑
KR101461234B1 (ko) 2008-02-26 2014-11-14 이영철 덮개의 개봉이 용이한 다용도 수납박스
JP2014201320A (ja) * 2013-04-02 2014-10-27 株式会社ジェイ・イー・ジェイ 収納ケース
JP2018039542A (ja) * 2016-09-08 2018-03-15 株式会社ジェイ・イー・ジェイ 蓋付き収納ケース
KR20190084698A (ko) * 2018-01-09 2019-07-17 김종훈 캣타워와 스크래쳐 기능이 부가된 고양이 모래박스
JP2022535566A (ja) * 2019-06-06 2022-08-09 ホルツライトナー・アンドレアス 搬送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6669C (en) Mobile tool box
US8979100B2 (en) Modular container assembly
EP2722134B1 (en) Toolbox
US4775199A (en) Tool box
US5882097A (en) Step tool box
FR2498357A1 (fr) Coffret de rangement d'organes de memoire magnetique
CN108367768B (zh) 轮式容器手柄组件
KR200497824Y1 (ko) 수납박스
KR101647630B1 (ko)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
US5755499A (en) Remote Control Holder
US2945582A (en) Bowling ball carrying case
US7048116B2 (en) Case for a disc-like article
KR102361923B1 (ko) 골판지슬리브와 스틸구조를 조합한 전면개방형태의 조립식 적재함
JP4047587B2 (ja) 運搬用容器
FR2711629A1 (fr) Magasin à tiroirs pour stockage de charges lourdes.
JP2005028463A (ja) 電動工具の収納ケース
KR100334646B1 (ko) 김치냉장고
JP2009077831A (ja) 踏み台兼収納庫
JP2957462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S585010Y2 (ja) 物品収納庫の防倒施錠装置
JPH0923938A (ja) キャスター付収納ケース
JP7320838B2 (ja) ハンドル付き収納箱
KR200287492Y1 (ko) 파일박스
JP3027764U (ja) 物品収容ケース
KR100647224B1 (ko) 슬라이드 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