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630B1 -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630B1
KR101647630B1 KR1020150183903A KR20150183903A KR101647630B1 KR 101647630 B1 KR101647630 B1 KR 101647630B1 KR 1020150183903 A KR1020150183903 A KR 1020150183903A KR 20150183903 A KR20150183903 A KR 20150183903A KR 101647630 B1 KR101647630 B1 KR 101647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variable
opening
storage box
box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당유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영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영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영미디어
Priority to KR1020150183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는, 하물 보관 박스의 다수가 종방향으로 설치된 박스구조체의 상기 각 하물 보관 박스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하게 개폐문이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가변선반이 설치되고, 상기 가변선반은 크기가 작은 전방선반과 크기가 큰 후방선반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변선반의 접철작동시에 전방선반의 솔레노이드개폐부를 해제시키고 전방선반이 후방선반내로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고 후방선반을 힌지회동시켜 직립상태에서 솔레노이드개폐부가 상기 후방선반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서, 가변선반의 의도하지 않은 이탈이 방지되어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정상의 선반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지지력을 가지고 정상의 선반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 A box structrue }
본 발명은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물 보관 박스의 다수가 종방향으로 설치된 박스구조체에 수납되는 하물의 크기에 따라 각 하물 보관 박스의 하부에 설치된 슬라이드 작동되는 가변선반을 접어서 고정하여 상하가 연통되는 큰 공간을 형성할 수가 있게 되므로 수납되는 하물의 크기에 따라서 가변선반을 접철작동시켜 내부의 공간의 사용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달하물보관상자(이하,「하물 보관 박스」라 한다)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하물 보관 박스에 소용량, 중용량, 대용량의 하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자를 다수개로 각각 분할하고 이에 대응하는 문을 닫아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이들 문을 전자자물쇠에 의해 독립적으로 각각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왔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물 보관 박스는 그 크기가 소용량, 중용량, 대용량으로 일정하게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배달되는 하물의 부피가 상자의 용량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수령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종래는 이런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공보번호 10-0200010(공고일자: 1999.6.15)가 제안되어 왔다. 동 공보에서 배달하물보관상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물 보관 박스(1)는, 상하에 인접하는 2개의 상자(3,5)를 구비하고, 이들 상자(3,5)는 칸막이판(7)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 상자(3,5)는 각각 독립적으로 문(9,11)을 구비하면서 이들 문(9,11)에 전용의 전자자물쇠(13,15)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칸막이판(7)은 그 일측변을 회전중심으로 상부로 회동시 개방(열린상태)되거나 또는 하부로 회동시 폐쇄(닫힌상태)되도록 피봇부착에 의해 경첩(17)이 장착되어 있고, 그 타측변을 유지하는 부분에는 도시하지 않은 받이선반이 내측벽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일측면에 대하여 상기 경첩(17)의 설치부분과 반대되는 부분에는 칸막이판(7)이 닫힌상태로 수평으로 눕혀질 때 걸어서 멈추게 하는 칸막이판용 전자자물쇠(1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칸막이판(7)을 피봇부착하는 내측벽의 상부에는 칸막이판(7)이 수직으로 회동될 때 칸막이판(7)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정지되도록 마그네트(2)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대부분의 배달하물보관상자들은 대용량의 하물을 수납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두 개의 상자(3,5)내에 경계를 이루는 칸막이판(7)을 개방(열린상태)시킬 때 칸막이판(7)이 경첩(17)을 회전중심으로 상향되게 회동되면서 내측벽에 설치된 마그네트(2)에 부착되어 일시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마그네트(2)의 강도(자력)이 높고 낮음에 따라 칸막이판(7)의 고정이 원활치 않아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다. 즉, 마그네트(2)의 강도가 높을 경우 칸막이판(7)을 원위치시키기 위하여 강한 힘으로 칸막이판(7)을 잡아 당길 때 순간적으로 갑작스럽게 떨어지는 칸막이판(7)에 손이 끼거나 부딪히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었고, 마그네트(2)의 강도가 낮을 경우 작은 충격에 의해서 칸막이판(7)이 쉽게 떨어져 손이 끼거나 부딪히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었으며, 또한 칸막이판(7)의 무게로 인하여 올리고 내릴 때 많은 힘이 소요되는 만큼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등록특허 10-0792739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물의 크기가 클 경우에, 가변되는 가변선반이 크기가 작은 전방선반과 크기가 큰 후방선반으로 구성되어 전방선반이 후방선반의 내부로 삽입되면 후방선반을 젖혀서 솔레노이드로 고정되게 하여 가변선반의 의도하지 않은 이탈이 방지되어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정상의 선반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지지력을 가지고 정상의 선반으로 사용이 가능한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하물 보관 박스의 다수가 종방향으로 설치된 박스구조체의 상기 각 하물 보관 박스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하게 개폐문이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가변선반이 설치되고, 상기 가변선반은 크기가 작은 전방선반과 크기가 큰 후방선반으로 구성되고, 개폐문에 가깝게 전면부에 배치되며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 상기 전방선반은 그 후방단부는 상기 후방선반의 전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선반은 전방에는 상기 전방선반이 삽입되는 전방홈이 형성되고 후방단부에는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전방선반의 선단부의 하부에는 솔레노이드개폐부가 설치되고 상기 후방선반의 선단부의 측면에는 상기 전방선반이 슬라이딩되고 직립배치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개폐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선반의 측면에는 안내레일이 설치되어 상기 전방선반의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는, 하물 보관 박스의 다수가 종방향으로 설치된 박스구조체의 상기 각 하물 보관 박스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하게 개폐문이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가변선반이 설치되고, 상기 가변선반은 크기가 작은 전방선반과 크기가 큰 후방선반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변선반의 접철작동시에 전방선반의 솔레노이드개폐부를 해제시키고 전방선반이 후방선반내로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고 후방선반을 힌지회동시켜 직립상태에서 솔레노이드개폐부가 상기 후방선반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서, 가변선반의 의도하지 않은 이탈이 방지되어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정상의 선반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지지력을 가지고 정상의 선반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달하물보관상자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의 가변선반이 정상위치시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의 가변선반이 직립위치시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박스구조체에 사용되는 가변선반의 분해사시도
도 5a,5b는 가변선반의 정상위치의 종단면도와 전방선반의 후방선반내로 슬라이딩된 상태가 도시된 종단면도
도 6은 전방선반이 정상위치에서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 부분 종단면도
도 7은 전방선반이 접혀져 직립상태로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 부분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박스구조체에 사용되는 가변선반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선반이 직립상태로 세워진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
본 발 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A)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물 보관 박스(10)의 다수가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각 하물 보관 박스(10)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하게 개폐문(12)이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가변선반(20)이 설치되고, 상기 가변선반(20)은 크기가 작은 전방선반(21)과 크기가 큰 후방선반(22)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문(12)상에는 개폐문을 개폐작동시키는 전자자물쇠(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나, 본 설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무방하다고 할 것이어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방선반(21)은 개폐문(12)에 가깝게 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후방선반(22)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그 후방단부는 상기 후방선반(22)의 전방홈(22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선반(21)의 선단부의 하부에는 하부 솔레노이드개폐부(30)의 승강봉(31)이 삽입 및 이탈되는 하부삽입공(2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선반(22)은 전방에는 상기 전방선반(21)이 삽입되는 수평으로 형성된 전방홈(221)이 형성되고 후방단부에는 안내레일(40)의 힌지공(43)상에 고정되어 힌지작동되는 힌지축(222)이 형성되어 힌지축(222)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후방선반(22)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홈(221)의 깊이는 상기 전방선반(21)이 삽입되어 전방선반(21)의 선단부가 돌출되어 다시 전방선반(21)을 인출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선반(22)의 측면에는 상기 전방선반(21)이 슬라이딩작동되어 후방선반(22)내로 삽입되고 직립배치시 작동되는 측면 솔레노이드개폐부의 승강봉(31')이 삽입 및 이탈되는 측면삽입공(2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선반(21)의 측면에는 상기 전방선반(21)의 양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안내레일(40)이 설치되어 상기 전방선반(21)의 후방선반(22)으로의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한다.
상기 안내레일(40)은 하물 보관 박스(10)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문(12)에 근접한 전방 부분에는 상기 전방선반(21)의 양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삽입부(41)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후방선반(22)이 걸쳐져 아래로 빠지지않도록 배치되는 선반배치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솔레노이드개폐부(30)는 슬라이딩삽입부(41)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삽입부(41)에 삽입된 상기 전방선반(21)을 고정하도록 슬라이딩삽입부(41)의 하부삽입공(411)을 통과하여 전방선반(21)의 하부삽입공(211) 내로 하부 솔레노이드개폐부(30)의 승강봉(31)을 삽입 및 이탈시켜 전방선반(21)을 잠금 또는 해제작동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A)의 작동을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가변선반(20)의 전방선반(21)이 안내레일(40)에 수평으로 배치된 정상위치에서, 큰 하물을 보관하고자 하물 보관 박스(10)의 가변선반(20)을 접고자 할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A)의 가변선반(20)의 전방선반(21)을 잠그는 하부 솔레노이드개폐부(30)의 승강봉(31)을 개폐위치로 후퇴시켜 전방선반(21)의 잠금을 해제시키고, 전방선반(21)을 후방으로 밀게 되면, 전방선반(21)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후방선반(22)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홈(221)내로 슬리이딩되면서 전방홈(221)내로 삽입되고, 이와 같이 전방선반(21)의 슬라이딩이 종료되면, 상기 후방선반(22)을 상부로 들어 올려서 힌지축(222)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상기 하물 보관 박스(10)의 후면벽에 근접되게 직립으로 배치시킨다.
이와 같이 후방선반(22)이 직립위치에 가깝게 배치되면 측면 솔레노이드개폐부의 승강봉(31')을 전진시켜 후방선반(22)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삽입공(223)에 삽입시키게 되면 가변선반(20)은 직립위치로 배치되면서 의도하지 않은 수평위치로의 복귀가 불가능하게 되면서 안전하게 직립위치로 가변선반(20)을 배치하여 안정적으로 가변선반을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부피가 긴 상태의 하물을 보관하고, 하물의 수거가 완료되어 가변선반(20)의 원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측면 솔레노이드개폐부의 승강봉(31')을 후퇴시켜 가변선반(20)을 수평위치로 복귀가 가능하게 하고 가변선반(20)의 후방선반(22)을 회동시켜 수평으로 배치하고 후방선반(22)의 전방홈(221)에 수납된 전방선반(21)을 잡아당기면 전방선반(21)이 인출되면서 안내레일(40)의 슬라이딩삽입부(41) 내에 배치되고, 이와 같이 전방선반(21)이 완전하게 인출된 상태에서 하부 솔레노이드개폐부(30)의 승강봉(31)을 잠금위치로 전진시켜 상기 슬라이딩삽입부(41)의 하부삽입공(411)을 통과시켜 전방선반(21)의 하부삽입공(211)에 삽입시키면 전방선반(21)의 잠금이 완료되어 평상시처럼 다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 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A')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물 보관 박스(10')의 다수가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각 하물 보관 박스(10')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하게 개폐문이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가변선반(20')이 설치되고, 상기 가변선반(20')은 크기가 작은 전방선반(21')과 크기가 큰 후방선반(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선반(21')은 개폐문에 가깝게 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후방선반(22')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그 후방단부는 상기 후방선반(22')의 전방홈(22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선반(21')의 양측면에는 롤러(210')가 형성되어 후방선반(22')의 전방홈(221')과 안내레일(40')의 슬라이딩삽입부(41')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가능하게 된다.
상기 후방선반(22')은 양단부에는 상기 전방선반(21')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선반삽입홈(221')이 형성되고 후방단부에는 안내레일(40')의 힌지공(43')상에 고정되어 힌지작동되는 힌지축(222')이 형성되어 힌지축(222')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안내레일(4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안내레일(40)과 동일한 구조를 갖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A')의 작동을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가변선반(20')의 전방선반(21')이 안내레일(40')에 수평으로 배치된 정상위치에서, 큰 하물을 보관하고자 하물 보관 박스(10')의 가변선반(20')을 접고자 할 경우에, 전방선반(21')을 후방으로 밀게 되면, 전방선반(21')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후방선반(22')의 양단부에 형성된 선반삽입홈(221')내로 슬리이딩되면서 선반삽입홈(221')내로 삽입되고, 이와 같이 전방선반(21')의 슬라이딩이 종료되면, 상기 후방선반(22')을 상부로 들어 올려서 힌지축(222')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상기 하물 보관 박스(10')의 후면벽에 근접되게 직립으로 배치시키면 가변선반의 직립배치가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변선반(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가변선반(20')의 후방선반(22')을 회동시켜 수평으로 배치하고 후방선반(22')의 선반삽입홈(221')에 수납된 전방선반(21')을 잡아당기면 전방선반(21')이 인출되면서 안내레일(40')의 슬라이딩삽입부(41') 내에 배치되고, 이와 같이 전방선반(21')이 완전하게 인출된 상태에서 평상시처럼 다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는 일반적인 하물 보관 박스의 제조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10,10'. 하물 보관 박스 20,20'. 가변선반
30. 솔레노이드개폐부 40,40'. 안내레일

Claims (3)

  1.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A)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A)는, 하물 보관 박스(10)의 다수가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각 하물 보관 박스(10)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하게 개폐문(12)이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가변선반(20)이 설치되고, 상기 가변선반(20)은 크기가 작은 전방선반(21)과 크기가 큰 후방선반(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선반(21)은 개폐문(15)에 가깝게 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후방선반(22)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그 후방단부는 상기 후방선반(22)의 전방홈(22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방선반(21)의 선단부의 하부에는 하부 솔레노이드개폐부(30)의 승강봉(31)이 삽입 및 이탈되는 하부삽입공(211)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선반(22)은 전방에는 상기 전방선반(21)이 삽입되는 수평으로 형성된 전방홈(221)이 형성되고, 후방단부에는 안내레일(40)의 힌지공(43)상에 고정되어 힌지작동되는 힌지축(222)이 형성되어 힌지축(222)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측면에는 상기 전방선반(21)이 슬라이딩작동되어 후방선반(22)내로 삽입되고 직립배치시 작동되는 측면 솔레노이드개폐부의 승강봉(31')이 삽입 및 이탈되는 측면삽입공(223)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선반(21)은 양측면에 설치된 안내레일(40)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선반(22)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홈(221)의 깊이는 상기 전방선반(21)이 삽입되어 전방선반(21)의 선단부가 돌출되어 다시 전방선반(21)을 인출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레일(40)은 상기 개폐문(12)에 근접한 부분에는 상기 전방선반(21)의 양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삽입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삽입부(41)의 후방에는 후방선반(22)이 걸쳐지게 배치되는 선반배치부(42)가 형성되고 후방단부에는 힌지공(4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
  3.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A')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A)는 하물 보관 박스(10')의 다수가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각 하물 보관 박스(10')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하게 개폐문이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가변선반(20')이 설치되고, 상기 가변선반(20')은 크기가 작은 전방선반(21')과 크기가 큰 후방선반(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선반(21')은 개폐문에 가깝게 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후방선반(22')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그 후방단부는 상기 후방선반(22')의 전방홈(22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형성되어 양측면에 롤러(210')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선반(22')은 양단부에는 상기 전방선반(21')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절곡 형성된 선반삽입홈(221')이 형성되고 후방단부에는 안내레일(40')의 힌지공(43')상에 고정되어 힌지작동되는 힌지축(222')이 형성되어 힌지축(222')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후방선반(22')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홈(221')의 깊이는 상기 전방선반(21')이 삽입되어 전방선반(21')의 선단부가 돌출되어 다시 전방선반(21')을 인출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레일(40')은 상기 개폐문에 근접한 부분에는 상기 전방선반(21')의 양측면에 형성된 상기 롤러(21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삽입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삽입부(41')의 후방에는 후방선반(22')이 걸쳐지게 배치되는 선반배치부가 형성되고 후방단부에는 힌지공(4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

KR1020150183903A 2015-12-22 2015-12-22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 KR101647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903A KR101647630B1 (ko) 2015-12-22 2015-12-22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903A KR101647630B1 (ko) 2015-12-22 2015-12-22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630B1 true KR101647630B1 (ko) 2016-08-11

Family

ID=5671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903A KR101647630B1 (ko) 2015-12-22 2015-12-22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6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0264A (zh) * 2017-12-29 2018-06-22 重庆巨九磊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安全性能优异的减震器包装箱
KR20200021183A (ko) * 2018-08-20 2020-02-28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선반
KR20210031356A (ko) *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아보카도랩 자동 조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식재료 보관 컨테이너
KR102605606B1 (ko) * 2023-06-21 2023-11-23 (주)동연디자인 가변식 칸막이선반을 갖는 사물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739B1 (ko) 2006-09-14 2008-01-08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칸막이 연동기능을 가진 배달하물보관상자
KR20150000683A (ko) * 2013-06-25 2015-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739B1 (ko) 2006-09-14 2008-01-08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칸막이 연동기능을 가진 배달하물보관상자
KR20150000683A (ko) * 2013-06-25 2015-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0264A (zh) * 2017-12-29 2018-06-22 重庆巨九磊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安全性能优异的减震器包装箱
KR20200021183A (ko) * 2018-08-20 2020-02-28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선반
KR102176981B1 (ko) * 2018-08-20 2020-11-10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선반
KR20210031356A (ko) *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아보카도랩 자동 조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식재료 보관 컨테이너
KR102399179B1 (ko) 2019-09-11 2022-05-19 주식회사 웨이브라이프스타일테크 자동 조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식재료 보관 컨테이너
KR102605606B1 (ko) * 2023-06-21 2023-11-23 (주)동연디자인 가변식 칸막이선반을 갖는 사물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630B1 (ko)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
CA2786669C (en) Mobile tool box
CN201685887U (zh) 车辆货厢总成
EP1893835B1 (en) Storage unit
CN205524520U (zh) 车辆和货物货厢延伸件
EP2712786A2 (en) Roll container
CA2434056C (en) Lockable sliding drawer tray
US11498720B2 (en) Foldable container
US10028584B2 (en) Storage system
US20110121695A1 (en) Storage unit
NO20160195A1 (no) Hev- og senkbar anordning
KR200486241Y1 (ko) 인출식 밥통장
EP2415031B1 (en) Product vending machine
EP2583722B1 (en) Vehicle compartment comprising a support platform for receiving equipment of a rescue vehicle
CA2475835A1 (en) Filing cabinet with a locking system
KR200441767Y1 (ko) 미닫이 장롱
CN113100580A (zh) 一种活动式的档案管理承载架
JPS585010Y2 (ja) 物品収納庫の防倒施錠装置
CN213487650U (zh) 一种可伸缩多功能柜子
CN218965358U (zh) 储料设备
KR20230152951A (ko) 데스크의 서랍 조립체
DE202016103925U1 (de) Transportbox
US20080284294A1 (en) Piece of Furniture
JP2544575Y2 (ja) 盗難防止装置付き郵便受箱
WO2007000597A1 (en) Stackable stora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