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727Y1 - 파워미터의 표시창 상,하 방향 전환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파워미터의 표시창 상,하 방향 전환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727Y1
KR200497727Y1 KR2020210003999U KR20210003999U KR200497727Y1 KR 200497727 Y1 KR200497727 Y1 KR 200497727Y1 KR 2020210003999 U KR2020210003999 U KR 2020210003999U KR 20210003999 U KR20210003999 U KR 20210003999U KR 200497727 Y1 KR200497727 Y1 KR 200497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ower
display
display member
power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402U (ko
Inventor
지홍세
Original Assignee
동양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3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727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4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4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서버 랙에 장착 사용되어 전원의 이상 상태 및 과부하 상태의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계측부재(131)로부터 표시부재(136)의 분리장착이 가능하여 사용중에 기능상의 문제가 발생하였을때 멀티 콘센트(100) 완제품을 회수하거나 폐기시키지 않고 소비자가 직접 파워미터(130)의 교환만으로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계측부재(131)로부터 표시부재(136)의 분리장착이 가능함에 따라 서버 랙(1)의 설치장소에 따라 멀티 콘센트(100)의 전원 인입부인 플러그(113)의 위치 즉, 위/아래가 바뀔 수 있는데, 이때 계측부재(131)로부터 표시부재(136)를 분리해 내어 상기 표시부재(136)를 멀티 콘센트(100)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킴으로 인해 표시부재(136)의 표시창(141)에 표식되어지는 시그럴이 바른 방향에서 정상적으로 표시되어질 수 있도록 손쉽게 전환 사용할 수가 있어 멀티 콘센트(100)를 제조사로 보내어 표시부재(136)의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러움을 해소함과 더불어 서버 랙(1)의 설치장소 변경을 염두에 두고 그에 상응하는 멀티 콘센트(100)를 사전에 구입 해두어야 하는 번거러움 까지도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예산낭비까지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워미터의 표시창 상,하 방향 전환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MULTI-SOCKET THAT CAN BE SWITCHED UP AND DOWN THE DISPLAY WINDOW OF THE POWER METER}
본 고안은 각종 서버 랙에 장착 사용되어 전원의 이상 상태 및 과부하 상태의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콘센트 내에 실장하여 멀티콘센트 이후에서 소비되는 전원의 전압,전류,역률,전력,전력량 등을 계측 및 표시해주는 파워미터를 분리장착이 가능하게 하여 멀티 콘세트의 전원 인입부인 플러그 연결이 서버랙의 하부던 상부던 관계없이 파워미터의 표시창에 표식되어지는 시그럴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어질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버 랙(10)은 서버를 포함한 네트워크장비, 전산장비 등의 장착을 위한 국제규격(IEC)의 함을 일컫는 것으로, 서버나 허브 등과 같은 전산장비들의 구성 및 설치수납을 위해 층별로 쌓아두는 랙마운트 방식으로 주로 제작되며, 장착되는 전산장비에 따라 서버랙/ 허브랙/ 통신랙/ 네트워크시스템랙/ CCTV랙/ 멀티랙 등으로, 전산장비의 외형사이즈는 다양하다.
상기와 같은 서버 랙(10)에는 전원을 분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콘세트(100)가 도 1에서와 같이 장착 사용되어진다.
서버 랙(10)에 장착 사용되어지는 멀티 콘센트(100)는 기본적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분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 유니트 다수개가 병열 조립 구성되어짐과 동시 멀티 콘센트(100) 이후에서 사용되어지는 전원의 전압, 전류, 역률, 전력, 전략량 등을 계측 표시하도록 하는 파워미터가 포함하게 된다.
서버 랙(10)에 사용되어지는 멀티 콘센트(100)는 도 2에서와 같이 파워미터(1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파워미터(1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서버 랙(10)의 구조 또는 서버 랙(10)의 설치 장소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어지는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서버 랙(10)을 사용하고 있던 기존 위치에서의 전원 공급이 도 1에서와 같이 바닥으로 배선되어진 전선으로 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야 하기 때문에 멀티 콘센트(100)의 플러그 위치가 아래를 향하게 될 뿐만 아니라, 파워미터(130)에 표시되어지는 숫자들 역시 플러그의 연결 위치에 맞게 표식되어질 수 있도록 센팅 공급되어지게된다.
상기와 같이 멀티 콘센트(100)의 플러그 연결 위치에 따라 파워미터(130)의 상하 위치가 달라지게되어 멀티 콘센트(100)의 플러그 연결위치가 아래 쪽에서 위쪽으로 설치 방향이 180도 전환되어지면, 파워미터(130)도 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하 방향을 전환시켜 파워미터(130)에 표식되어지는 표식이 바르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멀티 콘센트(100)는 도 2에서와 같이 파워미터(130)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현장에서의 즉시 전환이 불가능하여 제조사로 보내서 파워미터(130)의 상,하 방향을 전화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파워미터(130)의 상,하 방향 전환이 현장에서 불가능함에 따라 서버 랙(10)의 위치변경에 대응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100)를 미리 구입해두어야 하는 등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고,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예산낭비를 초래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서버 랙에 사용되어지는 종래 멀티 콘센트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멀티 콘센트 이후에 소비되는 전원의 전압, 전류, 역류, 전력량 등을 계측하는 계측부와 상기 계측부에서 계측된 계측값을 표시해주는 표시창를 분리 구성한 것으로써, 계측부재로부터 표시부재의 분리장착이 가능하여 사용중에 기능상의 문제가 발생하였을때 멀티 콘센트 완제품을 회수하거나 폐기시키지 않고 소비자가 직접 파워미터의 교환만으로 재활용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계측부재로부터 표시부재의 분리장착이 가능함에 따라 서버 랙의 설치장소에 따라 멀티 콘센트의 전원 인입부인 플러그의 위치 즉, 위/아래가 바뀔 수 있는데, 이때 계측부재로부터 표시부재를 분리해 내어 상기 표시부재를 멀티 콘센트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킴으로 인해 표시부재의 표시창에 표식되어지는 시그럴이 바른 방향에서 정상적으로 표시되어질 수 있도록 손쉽게 전환 사용할 수가 있어 멀티 콘센트를 제조사로 보내어 표시부재의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러움을 해소함은 물론, 서버 랙의 설치장소 변경을 염두에 두고 그에 상응하는 멀티 콘센트(100)를 사전에 구입 해두어야 하는 번거러움 까지도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예산낭비까지도 방지할 수 있는 파워미터의 표시창 상,하 방향 전환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측단면 형상이 디귿자형의 알루미늄 몸체(10)에 플러그의 접속핀이 접속되어지는 전원단자의 접속홀더와 일치하여지는 접속핀공을 포함하는 콘센트 유니트 다수개가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고, 일측단으로는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로 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원 인입선이 고정부재(111)를 매개로 상기 알루미늄 몸체의 일측단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전원의 이상 상태 및 과부하 상태의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파워미터를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전원 인입선과 콘센트 유니트의 사이에 상기 인입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인입되어짐과 동시에 인입된 전원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콘센트 유니트와 연결되어지는 파워미터는 상기 알루미늄 몸체에 장착되어지되, 중앙으로 표시부재의 연결단자가 접속되어지는 어댑터단자를 포함하는 출력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력부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에 표시부재의 결합봉이 끼워지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출력부와 나란하는 상,하에는 표시부재의 사각 결합공이 끼워지는 사각 결합관이 형성되어 있는 계측부재와;
상기 계측부재 출력부의 내면보다 작은 외면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계측부의 어댑터단자에 접속되어지는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에 계측부재의 결합공에 끼워지는 결합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와 나란하는 상,하에는 계측부재의 사각 결합관이 끼워지는 사각 결합공이 후면으로 형성되어 있되, 전면에는 멀티 콘텐트 이후에서 소비되는 전원의 전압, 전류, 역률, 전략량 등이 표시되어지는 표시창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계측부재의 사각 결합관의 길이와 표시부재의 결합봉의 길이는 표시부재의 연결단자가 계측부재 어댑터단자에 접속되기 이전에 상기 계측부재의 사각 결합관은 표시부재의 사각 결합공에 먼저 삽입이 시작되어질 수 있는 길이를 갖고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재의 결합봉 역시 계측부재의 결합공에 먼저 삽입되어질 수 있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져 상기 연결단자와 어댑터단자의 조립시 연결단자에 미치는 결합 부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파워미터의 표시창 방향 전환 사용이 용이한 멀티 콘센트는, 멀티 콘센트(100) 이후에 소비되는 전원의 전압, 전류, 역류, 전력량 등을 계측하는 계측부재(131)와 상기 계측부재(131)에서 계측된 계측값을 표시해주는 표시부재(136)를 분리 구성한 것으로써,
첫째, 계측부재(131)로부터 표시부재(136)의 분리장착이 가능하여 사용중에 기능상의 문제가 발생하였을때 멀티 콘센트(100) 완제품을 회수하거나 폐기시키지 않고 소비자가 직접 파워미터(130)의 교환만으로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였고;
둘째, 계측부재(131)로부터 표시부재(136)의 분리장착이 가능함에 따라 서버 랙(1)의 설치장소에 따라 멀티 콘센트(100)의 전원 인입부인 플러그(113)의 위치 즉, 위/아래가 바뀔 수 있는데, 이때 계측부재(131)로부터 표시부재(136)를 분리해 내어 상기 표시부재(136)를 멀티 콘센트(100)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킴으로 인해 표시부재(136)의 표시창(141)에 표식되어지는 시그럴이 바른 방향에서 정상적으로 표시되어질 수 있도록 손쉽게 전환 사용할 수가 있어 멀티 콘센트(100)를 제조사로 보내어 표시부재(136)의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러움을 해소하였으며;
셋째, 서버 랙(1)의 설치장소 변경을 염두에 두고 그에 상응하는 멀티 콘센트(100)를 사전에 구입 해두어야 하는 번거러움 까지도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예산낭비까지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서버 랙에 멀티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 멀티 콘센트의 일 실시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미터의 표시창 상,하 방향 전환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 일시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미터의 표시창 상,하 방향 전환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를 발췌한 일시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미터의 표시창 상,하 방향 전환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의 계축부재로부터 표시부를 분리한 상태의 일시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미터의 표시창 상,하 방향 전환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의 계측부재로부터 표시부를 분리한 상태의 다른 일시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미터의 표시창 상,하 방향 전환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미터의 표시창 상,하 방향 전환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를 꺼꾸로 장착한 상태의 예시도.
도 9는 도8의 상태에서 파워미터의 표시부재의 상,하 방향을 전환하여 표시창의 시그널이 바로 보일 수 있도록 한 상태의 예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파워미터의 표시창 방향 전환 사용이 용이한 멀티 콘센트는, 측단면 형상이 디귿자형의 알루미늄 몸체(110)에 플러그의 접속핀이 접속되어지는 전원단자의 접속홀더와 일치하여지는 접속핀공(121)을 포함하는 콘센트 유니트(120) 다수개가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고, 일측단으로는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로 하는 플러그(113)를 포함하는 전원 인입선(112)이 고정부재(111)를 매개로 상기 알루미늄 몸체(110)의 일측단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전원의 이상 상태 및 과부하 상태의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파워미터를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파워미터(130)는 계측부재(131)와, 상기 계측부재(131)에 대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표시부재(136)로 이루어진다.
상기 계측부재(131)는, 전원 인입선(112)과 콘센트 유니트(120)의 사이에 상기 인입선(112)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인입되어짐과 동시에 인입된 전원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콘센트 유니트(120)와 연결되어지는 파워미터(130)는 상기 알루미늄 몸체(110)에 장착되어지되, 중앙으로 표시부재(136)의 연결단자(138)가 접속되어지는 어댑터단자(133)를 포함하는 출력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출력부(132)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에 표시부재(136)의 결합봉(139)이 끼워지는 결합공(1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출력부(132)와 나란하는 상,하에는 표시부재(136)의 사각 결합공(140)이 끼워지는 사각 결합관(13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계측부재(131)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분리 장착되어지는 표시부재(136)는 상기 계측부재(131) 출력부(132)의 내면보다 작은 외면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계측부(131)의 어댑터단자(133)에 접속되어지는 연결단자(138)를 포함하는 커넥터(13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37)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에 계측부재(131)의 결합공(134)에 끼워지는 결합봉(1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37)와 나란하는 상,하에는 계측부재(131)의 사각 결합관(135)이 끼워지는 사각 결합공(140)이 후면으로 형성되어 있되, 전면에는 멀티 콘텐트(100) 이후에서 소비되는 전원의 전압, 전류, 역률, 전략량 등이 표시되어지는 표시창(1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계측부재(131)의 사각 결합관(135)의 길이와 표시부재(136)의 결합봉(139)의 길이는 표시부재(136)의 연결단자(138)가 계측부재(131) 어댑터단자(133)에 접속되기 이전에 상기 계측부재(131)의 사각 결합관(135)은 표시부재(136)의 사각 결합공(140)에 먼저 삽입이 시작되어질 수 있는 길이를 갖고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재(136)의 결합봉(139) 역시 계측부재(131)의 결합공(134)에 먼저 삽입되어질 수 있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져 상기 연결단자(138)와 어댑터단자(133)의 조립시 연결단자(138)에 미치는 결합 부하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파워미터의 표시창 방향 전환 사용이 용이한 멀티 콘센트는, 도 1에서와 같이 서버 랙(10)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서버 랙(10)에 설치 사용되어지는 멀티 콘센트(100)에는 상기 멀티 콘센트(100) 이후에 소비되는 전원의 전압, 전류, 역류, 전력량 등을 계측하는 계측부재(131)와, 상기 계측부재(131)에서 계측된 계측값을 표시해주는 표시부재(136)로 이루어진 파워미터(1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파워미터(130)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멀티 콘센트(100)는 출하시에 상기 멀티 콘센트(100)의 설치 방향을 고려하여 파워미터(130)의 표시부재(136)의 표시창(141)에 나타나는 시그럴이 바른 방향에서 정상적으로 표시되어질 수 있도록 센팅되어진 상태에서 소비자들에게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파워미터(130)가 멀티 콘센트(1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경우, 서버 랙(10)의 설치장소가 바뀌어 전원이 인입되어지는 전선(112)의 위치가 서버 랙(10) 하부에서 상부로 방향이 바뀔 경우, 표시부재(136)의 표시창(141)에 나타나는 시그널이 도 8과 같이 꺼구로 보이게 된다.
이를 해결한 것이 본 고안의 멀티 콘센트(100)로써, 서버 랙(10)에 도 1에서와 같이 설치되어진 멀티 콘센트(100)의 풀러그(113)가 하부로 위치한 상태에서 플러그(113)가 상부로 위치하도록 하였을때 도 8과 같이 파워미터(130)의 표시부 표시창(141)에 표시되는 시그널이 꺼꾸로 보이게 된다.
멀티 콘센트(100)의 상,하 방향전환이 있게 되면 파워미터(130)를 구성하고 있는 계측부재(131)로부터 표시부재(136)를 분리해 낸다.
계측부재(131)로 부터 분리되어진 표시부재(136)를 180도 회전시킨 후, 상기 표시부재(136)를 계측부재(131)에 도 9과 같이 재차 장착한다.
상기 계측부재(131)에 표시부재(136)를 장착할 때에는 표시부재(136)의 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결합봉(139)은 계측부재(131)의 결합공(134)으로 선 삽입이 이루어 짐과 동시에 표시부재(136)의 사각결합공(140)에는 계측부재(131)의 사각결합관(135)이 선 삽입이 시작된다.
상기와 같이 표시부재(136)의 결합봉(139)은 계측부재(131)의 결합공(134)에 계측부재(131)의 사각결합관(135)은 표시부재(136)의 사각결합공(140)에 선 삽이 장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커넥터(137)의 연결단자(138)가 계측부재(131)의 어댑터단자(133)에 대하여 조립 오차 없이 정위치 체결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계측부재(131)의 어댑터단자(133)에 표시부재(136)의 연결단자(138)가 체결될때 야기될 수 있는 변형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서명에서와 같이 계축부재(131)에 결합되어지는 표시부재(136)의 양측면에 걸림훅크(142)가 형성되 있어 상기 걸림훅쿠(142)가 알루미늄 몸체(110)에 걸림 되어지게되는 것이다.
10 : 서버 랙 100 : 멀티 콘센트
110 : 알루미륨 몸체 120 : 콘센트 유니트
121 : 접속핀공 130 : 파워미터
131 : 계측부재 132 : 출력부
133 : 어댑터단자 134 : 결합공
135 : 결합관 136 : 표시부재
137 : 커넥터 138 : 연결단자
139 : 결합봉 140 : 사각 결합공
141 : 표시창 142 : 걸림훅크

Claims (2)

  1. 측단면 형상이 디귿자형의 알루미늄 몸체(10)에 플러그의 접속핀이 접속되어지는 전원단자의 접속홀더와 일치하여지는 접속핀공(121)을 포함하는 콘센트 유니트(120) 다수개가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고, 일측단으로는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로 하는 플러그(113)를 포함하는 전원 인입선(112)이 고정부재(111)를 매개로 상기 알루미늄 몸체(10)의 일측단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전원의 이상 상태 및 과부하 상태의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파워미터를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전원 인입선(112)과 콘센트 유니트(120)의 사이에 상기 인입선(112)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인입되어짐과 동시에 인입된 전원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콘센트 유니트(120)와 연결되어지는 파워미터(130)는 상기 알루미늄 몸체(10)에 장착되어지되, 중앙으로 표시부재(136)의 연결단자(138)가 접속되어지는 어댑터단자(133)를 포함하는 출력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력부(132)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에 표시부재(136)의 결합봉(139)이 끼워지는 결합공(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출력부(132)와 나란하는 상,하에는 표시부재(136)의 사각 결합공(140)이 끼워지는 사각 결합관(135)이 형성되어 있는 계측부재(131)와;
    상기 계측부재(131) 출력부(132)의 내면보다 작은 외면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계측부재(131)의 어댑터단자(133)에 접속되어지는 연결단자(138)를 포함하는 커넥터(13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137)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에 계측부재(131)의 결합공(134)에 끼워지는 결합봉(13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137)와 나란하는 상,하에는 계측부재(131)의 사각 결합관(135)이 끼워지는 사각 결합공(140)이 후면으로 형성되어 있되, 전면에는 멀티 콘텐트(100) 이후에서 소비되는 전원의 전압, 전류, 역률, 전략량 등이 표시되어지는 표시창(141)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부재(136)로 이루어지되, 상기 계측부재(131)의 사각 결합관(135)의 길이와 표시부재(136)의 결합봉(139)의 길이는 표시부재(136)의 연결단자(138)가 계측부재(131) 어댑터단자(133)에 접속되기 이전에 상기 계측부재(131)의 사각 결합관(135)은 표시부재(136)의 사각 결합공(140)에 먼저 삽입이 시작되어질 수 있는 길이를 갖고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재(136)의 결합봉(139) 역시 계측부재(131)의 결합공(134)에 먼저 삽입되어질 수 있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져 상기 연결단자(138)와 어댑터단자(133)의 조립시 연결단자(138)에 미치는 결합 부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미터의 표시창 상,하 방향 전환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



  2. 삭제
KR2020210003999U 2021-12-31 2021-12-31 파워미터의 표시창 상,하 방향 전환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 KR200497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999U KR200497727Y1 (ko) 2021-12-31 2021-12-31 파워미터의 표시창 상,하 방향 전환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999U KR200497727Y1 (ko) 2021-12-31 2021-12-31 파워미터의 표시창 상,하 방향 전환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402U KR20230001402U (ko) 2023-07-07
KR200497727Y1 true KR200497727Y1 (ko) 2024-02-08

Family

ID=87153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999U KR200497727Y1 (ko) 2021-12-31 2021-12-31 파워미터의 표시창 상,하 방향 전환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72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119508U (zh) * 2018-12-03 2019-07-16 东莞舜威电业有限公司 可替换式插座结构
KR200494047Y1 (ko) * 2021-04-22 2021-07-20 김민성 복수의 콘센트와 파워미터를 구비한 전원분배장치
CN214068945U (zh) * 2020-07-10 2021-08-27 东莞舜威电业有限公司 模块化可替换式插座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491U (ko) * 2007-12-26 2009-07-01 최승청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분리형 멀티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119508U (zh) * 2018-12-03 2019-07-16 东莞舜威电业有限公司 可替换式插座结构
CN214068945U (zh) * 2020-07-10 2021-08-27 东莞舜威电业有限公司 模块化可替换式插座结构
KR200494047Y1 (ko) * 2021-04-22 2021-07-20 김민성 복수의 콘센트와 파워미터를 구비한 전원분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402U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7949B2 (en) Electronic meter having user-interface and central processing functionality on a single printed circuit board
US7239892B2 (en) Alternating current power strip with network repeating and management
US7453684B2 (en) Current inputs interface for an electrical device
US8098168B2 (en) Remote communications feedback for utility meter
KR101555942B1 (ko)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
JP6182939B2 (ja) 電力計測装置及び電力計測システム
CN101536286B (zh) 具有集成数字通信的中压或高压配电箱和用于该箱的多功能模块
KR20070083660A (ko)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와 광 통신하기 위해 적응할 수 있는적산 전력계
US9653890B2 (en) Metering apparatus for load centers
CA2689490A1 (en) Multiple force-measuring device and force-measuring module
KR200497727Y1 (ko) 파워미터의 표시창 상,하 방향 전환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
US8115476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energy usage and energy cost data for an electrical device
KR200360131Y1 (ko)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KR100973179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US9778290B2 (en) Branch current monitor with reconfiguration
US9618548B1 (en) Integrated systems for miniature circuit breaker load centers
JP2015209241A (ja) 石油在庫管理システム
KR20220002595U (ko) 복수의 콘센트와 파워미터를 구비한 전원분배장치
JP6350936B2 (ja) 分電盤用内器、通信アダプタ装置、分電盤
CN219978429U (zh) 一种汽车连接器自动报警模块
US9152192B2 (en) Power supply and power cord for max power setting
KR200484477Y1 (ko) 분기회로 계측기
KR20190081128A (ko) 분전반용 전력량계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KR20080062867A (ko) 전력계량설비
CN211043988U (zh) 一种基于总线控制的排插控制电路及智能排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