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683Y1 -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 - Google Patents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683Y1
KR200497683Y1 KR2020220000391U KR20220000391U KR200497683Y1 KR 200497683 Y1 KR200497683 Y1 KR 200497683Y1 KR 2020220000391 U KR2020220000391 U KR 2020220000391U KR 20220000391 U KR20220000391 U KR 20220000391U KR 200497683 Y1 KR200497683 Y1 KR 200497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on
cap
cosmetic container
hea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663U (ko
Inventor
추민석
Original Assignee
추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민석 filed Critical 추민석
Priority to KR2020220000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683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6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6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6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1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화장품용기와 결합되는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장식몸체와, 상기 장식몸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장식헤드 및 상기 삽입홈 및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고 상기 장식헤드를 고정시키는 억지끼움식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을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에에 따른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에 의하면, 캡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장식몸체와 장식헤드에는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부재를 삽입하여 장식구의 조립공정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CAPS FOR COSMETIC CONTAINERS TO WHICH ORNAMENTS ARE ATTACHED}
개시된 내용은 화장품 용기에 장착되는 캡본체의 상부에 조립이 용이한 장식구를 결합하여 장식구의 조립공정이 간편해지고 심미감과 디자인에 의한 구매자의 소비욕구를 촉진시키는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외모를 아름답게 하는 물품에만 한정되지 않고 인체를 청결하게 하거나 피부와 모발 등에 영양을 공급하여 외모를 아름답게 하며 동시에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품을 총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화장품은 피부표면의 피지, 노폐물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안화장품과, 피부에 수분과 유분을 적절히 공급해 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화장품과, 색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조화장품이 있다.
또한, 모발 또는 두피의 때를 제거하는 동시에 모발을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발화장품, 향료를 알코올 등에 녹여서 타인에게 향기를 풍기기 위해 사용되는 향수 등이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이 화장품 용기에 포장되어 소비자들에게 공급되고 있다.
화장품 용기는 화장료 또는 화장품의 내용물을 담아서 보관하는 1차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화장품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화장품 용기의 형상 및 포장의 경우에도 매우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또한, 화장품 용기는 소비자의 다양한 구매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보다 다양한 형태나 디자인으로 지속적으로 변경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실정에서 소비자가 인식하는 화장품 용기에 대한 심미감은 소비자의 화장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시각적인 효과를 통한 제품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갖는 화장품 용기들을 착안하기에 이르렀으며, 그 중에서도 진열대에 놓여진 상태에서 소비자들로 하여금 주위를 가장 많이 끌게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용 캡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3616호(2006.12.11. 공고)에는 화장재료를 담아서 보관하기 위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용기 뚜껑으로 구성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뚜껑에는 채울 수 있도록 수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에는 수지체이 충진되어 있고, 상기 수지체에 일체로 결합되는 장식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장식구를 반영구적으로 견고하게 화장품 용기 뚜껑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장식구 일체형 화장품 용기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4802호(2005.05.19. 공고)에는 화장품 용기의 개폐용 캡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 캡은 피막작업이 행해진 알루미늄판에 인쇄되는 오프셋 인쇄층과, 상기 오프셋 인쇄층 표면에 코팅된 코팅층으로 구성된 오프셋 인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코팅층의 외면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개폐용 캡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3355호(2011.04.25. 공고)에는 중앙에 형성된 수용홈에 안착되는 장식판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화장품 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은 투명체로 제작형성되고,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장식체와, 상기 장식체의 단면이 외표면에 투영되는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투영부와, 중심부에서 하측으로 상기 장식체의 높이보다 더 길게 연장형성된 끼움돌기를 포함하여 구비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장식판의 끼움돌기가 관통되는 끼움홀이 포함되어 화장품 용기의 외관을 화려하고 입체적으로 돋보이게 함으로써 보다 소비자들로 하여금 구매욕을 일으키도록 한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장식구 일체형 화장품 용기는 수지체를 이용하여 장식구가 용기 뚜껑에 일체로 형성되어 화장품 용기에서 장식구를 해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화장품 용기의 개폐용 캡의 경우에는 각종 액세서리 등의 장식구를 별도로 결합하거나 부착하지 않아 구매자의 소비욕구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3616호(2006.12.11. 공고)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4802호(2005.05.19. 공고)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3355호(2011.04.25. 공고)
캡본체의 상부에 간단한 체결구조를 가진 장식구를 결합하여 장식구의 조립공정이 간편해지며 심미감과 디자인에 의한 구매자의 소비욕구를 촉진시키는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화장품용기와 결합되는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장식몸체와, 상기 장식몸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장식헤드와, 상기 삽입홈 및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고 상기 장식몸체에 상기 장식헤드를 고정시키는 억지끼움식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을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캡본체의 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하단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캡본체의 상부에 상기 장식몸체를 결합시키는 체결스크류를 더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장식몸체의 하부 외주면에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캡본체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체결스크류를 가리기 위한 가림격판이 설치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장식몸체와 상기 장식헤드가 상호 결합되어 봉황 형상의 장식구를 형성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장식몸체는 금색의 무광으로 도색되고, 상기 장식헤드는 금색의 유광으로 도색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재는 C형태로 구성되고 양측부는 수축되어 원형을 이룬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에에 따른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에 의하면, 캡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장식몸체와 장식헤드에는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부재를 삽입하여 장식구의 조립공정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에 의하면, 장식몸체와 장식헤드가 상호 결합되어 봉황 형상의 장식구를 형성하여, 심미감과 디자인에 의한 구매자의 소비욕구를 촉진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삭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의 단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과 화장품 용기와 결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1)과 화장품 용기와 결합상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1)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화장품 용기(100)와 결합되는 캡본체(10)와, 상기 캡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홀(21)이 형성되는 장식몸체(20)와, 상기 장식몸체(20)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관통홀(21)에 대응되도록 삽입홈(31)이 형성되는 장식헤드(30)와, 상기 삽입홈(31) 및 상기 관통홀(21)에 결합되고 상기 장식몸체(20)에 상기 장식헤드(30)를 고정시키는 억지끼움식 삽입부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캡본체(10)는 화장품 용기(100)의 배출부에 장착되고, 화장품 용기(100)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를 외부와 차단하여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캡본체(10)는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캡본체(10)의 하단부 모서리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라운딩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본체(10)는 금색으로 도색되고 유광으로 코팅처리되는 외캡부재와 외캡부재의 내부로 삽입되고 개구부(11)에 화장품 용기(100)가 삽입되는 내캡부재로 구성되어 캡본체(10)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외캡부재 및 내캡구조로 구성되어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캡본체(10)의 상부는 유리, 에폭시,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본체(1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원형의 띠 형상을 이루고 있는 다수개의 돌출돌기가 형성되어 캡본체(10)의 심미감을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장식헤드(30)는 장식몸체(20)의 상부에 안착되고, 장식몸체(20)에 형성되는 관통홀(21)과 장식헤드(30)에 형성되는 삽입홈(31)에 삽입부재(40)가 억지끼움결합되어 장식헤드(30)가 고정될 수 있다.
캡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장식몸체(20)와 장식헤드(30)에는 억지끼움식 삽입부재(40)를 삽입하여 종래의 장식몸체(20)와 장식헤드(30)간의 볼팅결합보다 비교적 장식구의 조립공정이 간편해지게 된다.
전술한 캡본체(10)의 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1)의 하단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캡본체(10)의 상부에 상기 장식몸체(20)를 결합시키는 체결스크류(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관통홀(21)의 하단에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체결스크류(50)와 나사결합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스크류(50)가 관통홀(21)에 체결되어 결합됨에 따라. 관통홀(21)과 삽입홈(31)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부재(4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장식몸체(20)와 장식헤드(30)사이의 결합이 더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체결스크류(50)의 길이는 관통홀(21)과 결합시에 갭본체의 상단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장식몸체(20)의 하부 외주면에는 회전방지돌기(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캡본체(10)의 상부에는 회전방지돌기(23)에 대응되도록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방지돌기(23)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일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돌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다각형상 또는 원형형상에 외측면에 돌출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장식몸체(20)의 하부 외주면에는 외측면에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는 다각형상 또는 원형형상의 회전방지돌기(23)가 형성됨에 따라, 캡본체(10)와 결합된 장식구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술한 캡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스크류(50)를 가리기 위한 가림격판(1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캡본체(10)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유지하기 위해 캡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되는 체결스크류(50)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없도록 가림격판(13)이 설치된다.
여기서, 캡본체(10)의 내부 상단에는 체결스크류(50)의 헤드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되거나, 캡본체(10)의 내부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원형 격벽이 형성되어 가림격판(13)이 캡본체(10)의 내부에 부착되기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림격판(13)은 캡본체(10)의 내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캡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캡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되는 체결스크류(50)를 가릴 수 있는 가림격판(13)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체결스크류(50)를 식별할 수 없어 캡본체(10)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캡본체(10)와 체결스크류(50)사이의 결합부에 외부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술한 장식몸체(20)와 상기 장식헤드(30)가 상호 결합되어 봉황 형상의 장식구를 형성한다.
여기서, 장식몸체(20)는 봉황의 몸통부와 꼬리부의 형상을 이루고, 장식헤드(30)는 봉황의 날개부와 머리부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장식몸체(20)와 장식헤드(30)가 상호 결합시 봉황 형상의 장식구를 이루게 되어 심미감이 유발되고 디자인에 의한 구매자의 소비욕구를 촉진시키게 된다.
전술한 장식몸체(20)는 금색의 무광으로 도색되고, 장식헤드(30)는 금색의 유광으로 도색된다.
이처럼, 장식몸체(20)와 장식헤드(30)를 금색으로 도색함으로써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부여하고, 장식몸체(20)는 무광의 도료 또는 마감재로 구성되고 장식헤드(30)는 유광의 도료 또는 마감재로 구성되어 캡본체(10)의 전체적인 심미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전술한 삽입부재(40)는 C형태로 구성되고 양측부는 수축되어 원형을 이룬다.
여기서, 삽입부재(4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C형상을 가진 긴 스틱으로 형성되고 삽입부재(40)의 직경은 관통홀(21)과 삽입홈(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관통홀(21)과 삽입홈(31)에 삽입되어 장식몸체(20)와 장식헤드(30)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삽입부재(40)의 양측부는 관통홀(21)과 삽입홈(31)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관통홀(21)과 삽입홈(31)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원형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장식몸체(20)와 장식헤드(30)에는 억지끼움식 삽입부재(40)를 삽입하여 장식구의 조립공정이 간편해지고,
장식몸체(20)의 하부 외주면에는 회전방지돌기(23)가 형성되어 장식몸체(20)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캡본체(10)의 내부에 가림격판(13)이 설치되어 캡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스크류(50)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없도록 하여 캡본체(10)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식몸체(20)와 장식헤드(30)가 상호 결합시 봉황 형상의 장식구를 이루게 되어 심미감이 유발되며 디자인에 의한 구매자의 소비욕구를 촉진시키게 되고, 장식몸체(20)와 장식헤드(30)를 금색으로 도색함으로써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부여하며, 장식몸체(20)는 무광의 도료 또는 마감재로 구성되고 장식헤드(30)는 유광의 도료 또는 마감재로 구성되어 캡본체(10)의 전체적인 심미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삽입부재(40)는 C형태로 구성되어 장식몸체(20)와 장식헤드(30)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고, 삽입부재(40)의 양측부는 수축되어 원형을 이루게 됨에 따라 관통홀(21)과 삽입홈(31)에 삽입되기 용이해지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
10 : 캡본체
11 : 개구부
13 : 가림격판
20 : 장식몸체
21 : 관통홀
23 : 회전방지돌기
30 : 장식헤드
31 : 삽입홈
40 : 삽입부재
50 : 체결스크류
100 : 화장품 용기

Claims (7)

  1.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화장품용기와 결합되는 캡본체;
    상기 캡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장식몸체;
    상기 장식몸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장식헤드; 및
    상기 삽입홈 및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고 상기 장식몸체에 상기 장식헤드를 고정시키는 억지끼움식 삽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재는 C형태로 구성되고 양측부는 수축되어 원형을 이루는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의 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하단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캡본체의 상부에 상기 장식몸체를 결합시키는 체결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식몸체의 하부 외주면에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체결스크류를 가리기 위한 가림격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몸체와 상기 장식헤드가 상호 결합되어 봉황 형상의 장식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몸체는 금색의 무광으로 도색되고, 상기 장식헤드는 금색의 유광으로 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
  7. 삭제
KR2020220000391U 2022-02-08 2022-02-08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 KR200497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391U KR200497683Y1 (ko) 2022-02-08 2022-02-08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391U KR200497683Y1 (ko) 2022-02-08 2022-02-08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63U KR20230001663U (ko) 2023-08-16
KR200497683Y1 true KR200497683Y1 (ko) 2024-01-29

Family

ID=8779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391U KR200497683Y1 (ko) 2022-02-08 2022-02-08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68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792Y1 (ko) 2004-10-15 2005-03-10 주식회사 백산상사 음식용구의 장식구 결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802Y1 (ko) 2005-02-15 2005-05-19 장명원 오프셋 인쇄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개폐용 캡
KR200433616Y1 (ko) 2006-09-28 2006-12-11 서정석 장식구 일체형 화장품 용기
KR200453355Y1 (ko) * 2008-07-15 2011-04-25 이충배 화장품 용기 뚜껑
KR200491087Y1 (ko) * 2018-05-10 2020-04-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792Y1 (ko) 2004-10-15 2005-03-10 주식회사 백산상사 음식용구의 장식구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63U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199B1 (ko)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US6607323B2 (en) Lip product applicator
US7845871B2 (en) Packaging and dispensing device for two products
US6612764B2 (en) Cosmetic applicator unit
US6276566B1 (en) Enhanced three-dimensional container display
US8528789B2 (en) Semi-circular liquid dispenser with a rotatable casing
EP3051976B1 (en)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KR200425502Y1 (ko) 듀얼타입 리필용기
US20200260833A1 (en) Cosmetics carry system
US20080131187A1 (en) Lip product applicator
US20020018688A1 (en) Cosmetic applicator unit
KR200497683Y1 (ko)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
KR200306871Y1 (ko) 이중구조의 화장품 용기
KR200490827Y1 (ko) 화장품 용기를 위한 장식 와이퍼
US20050126584A1 (en) Container for a beauty product
JPS62281904A (ja) 化粧品容器
KR101900028B1 (ko) 장식성을 갖는 용기
US20070172304A1 (en) Package for merchandising consumer care products
JP2004106932A (ja) 商品容器
USD338085S (en) Combined container/bottle and applicators for cosmetics or similar article
JP3923202B2 (ja) 造形品封入容器
KR20190026695A (ko) 마스카라
CN209135592U (zh) 一种具备唇膏及唇彩的彩妆工具
JPH0331214Y2 (ko)
KR200215379Y1 (ko) 포장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