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583Y1 -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 - Google Patents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583Y1
KR200497583Y1 KR2020200004918U KR20200004918U KR200497583Y1 KR 200497583 Y1 KR200497583 Y1 KR 200497583Y1 KR 2020200004918 U KR2020200004918 U KR 2020200004918U KR 20200004918 U KR20200004918 U KR 20200004918U KR 200497583 Y1 KR200497583 Y1 KR 200497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window
horizontal bar
support part
support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691U (ko
Inventor
이강훈
Original Assignee
(주)신오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오이앤티 filed Critical (주)신오이앤티
Priority to KR2020200004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583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6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6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5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21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with special provisions for fitting in window frames or to adjacent units; Separate edge protect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창이 여닫이 방식으로 움직이는 영역에 배치되는 창문을 지지하는 수평바를 분리형으로 구성하되, 각각의 수평바를 단열구조재 및 개스킷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열 전달율을 감소시킬뿐만 아니라, 온도의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축/팽창 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복수개의 유리창을 지지하며, 유리창이 여닫이 방식으로 움직이는 영역에 배치되는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리창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되는 연결영역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유리창을 지지하며,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제1 단열구조재 결합부가 형성된 제1 수평바와, 상기 중심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유리창을 지지하며,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제2 단열구조재 결합부가 형성된 제2 수평바와, 상기 제1 단열구조재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수평바를 커버하며,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제1 개스킷 결합부가 형성된 제1 단열구조재와, 상기 제2 단열구조재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수평바를 커버하며,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제2 개스킷 결합부가 형성된 제2 단열구조재와, 상기 제1 개스킷 결합부와 상기 제2 개스킷 결합부에 결합되는 개스킷 유닛을 포함하는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Frame that supports glass window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고안은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창이 여닫이 방식으로 움직이는 영역에 배치되는 창문을 지지하는 수평바를 분리형으로 구성하되, 각각의 수평바에 단열구조재가 결합되어, 수평바가 외기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 전달율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수평바 및 단열구조재에 개스킷이 개재되어 온도의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평바 간의 수축/팽창 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한 장의 유리를 갖는 창호는 단열 및 방음 성능이 좋지 못하므로 어느 정도의 단열이나 방음이 요구되는 관공서나 학교, 병원, 상가 등의 현관에 시공되는 창호에는 대부분 페어글라스와 같은 이중유리를 사용한다.
상기 이중유리를 고정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은 도어나 창, 실내의 내부 칸막이 등을 시공할 때 통상 사각체의 틀로 짜여지고, 이 사각체의 내부 영역에는 상기 이중유리가 설치되거나 또는 출입을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최근 건축법시행령이 개정됨에 따라 아파트 발코니의 합법적인 확장이 가능해지면서 발코니 확장에 대한 건설사와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창호에 비해 그 기능이 향상된 창호를 시장에서 요구하게 되었다. 여기서, 기능이 향상된 창호란 단순히 미닫이로 열리는 방식 이외에 위로 조금 열거나 혹은 기울려 열거나 하는 개폐가 가능한 창호를 말한다.
따라서 창호업체는 2중 및 3중 창호를 도입하여 단열 및 결로를 보강한 고기밀성 창호를 발코니에 설치하고 있으며, 기존에 비해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를 개발하여 왔다.
한편, 여닫이 형태의 한 부류에 속하는 창호는 창틀에 설치되는 창문이 실내측 또는 실외측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이러한 방식의 창호는 창틀에 장착된 창문의 윗부분을 반 개폐 상태로 열 수 있는 틸트(Tilt) 기능과 함께 창문을 수평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폐하는 턴(Turn)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여닫이 형태의 한 부류에 속하는 창호에 유리창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경우, 유리창으로부터 프레임으로 직접적으로 열이 전달되어 단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창호용 프레임은 스틱타입과 유닛타입으로 나뉘며, 이중 유닛타입은 미국방식과 유럽방식으로 분류된다.
미국방식은 일체형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미국방식의 경우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은 우수하지만, 열전도가 잘되어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이로 인한 결로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외부로 손실되는 열이 많아 단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일체형 프레임의 경우, 프레임을 피스로 고정하여 계절에 따른 온도의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축/팽창 현상에 대응할 수 없으며, 유리창이 여닫이 방식으로 움직이는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여닫이 창의 이동에 따른 프레임의 이동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
또는, 유럽 방식의 분리형 유닛타입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의 경우, 계절에 따른 온도의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축/팽창 현상에 대응할 수 있고, 프레임이 분리되어 있어 상술한 일체형 프레임보다 단열 성능이 뛰어나지만, 누수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3990호(발명의 명칭: 기밀 및 단열효과가 뛰어난 유리창 프레임, 공고일: 2012년 09월 12일)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리창이 여닫이 방식으로 움직이는 영역에 배치되는 창문을 지지하는 수평바를 분리형으로 구성하되, 각각의 수평바를 단열구조재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열 전달율을 감소시킬뿐만 아니라, 온도의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축/팽창 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을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유리창을 지지하며, 유리창이 여닫이 방식으로 움직이는 영역에 배치되는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리창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되는 연결영역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유리창을 지지하며,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제1 단열구조재 결합부가 형성된 제1 수평바와, 상기 중심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유리창을 지지하며,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제2 단열구조재 결합부가 형성된 제2 수평바와, 상기 제1 단열구조재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수평바를 커버하며,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제1 개스킷 결합부가 형성된 제1 단열구조재와, 상기 제2 단열구조재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수평바를 커버하며,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제2 개스킷 결합부가 형성된 제2 단열구조재와, 상기 제1 개스킷 결합부와 상기 제2 개스킷 결합부에 결합되는 개스킷 유닛을 포함하는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수평바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리창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유리창을 지지하는 제1-1 지지부와, 상기 제1-1 지지부와 연결되며, 중심영역에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스킷삽입부가 형성된 제1-2 지지부와, 상기 제1-2 지지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제1 유리창과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3 지지부와, 상기 제1-2 지지부와 상기 제1-3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4 지지부와, 상기 제1-4 지지부와 연결된 제1-5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지지부와 상기 제1-3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제1-1 단열부재 삽입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평바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리창과 접촉되어 상기 제2 유리창을 지지하는 제2-1 지지부와, 상기 제2-1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2-2 지지부와, 상기 제2-2 지지부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2-3 지지부와, 상기 제2-2 지지부와 상기 제2-3 지지부를 연결시키는 제2-4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2 지지부와 상기 제2-3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제2-1 단열부재 삽입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단열부재 삽입부 및 상기 제2-1 단열부재 삽입부에 삽입되는 제1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열부재는 공기유입 차단용 스펀지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유리창을 지지하는 제1 수평바 및 제2 수평바를 분리형으로 구성하되, 제1 수평바 및 제2 수평바를 단열구조재로 결합시킴으로써, 열 전달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유리창을 지지하는 제1 수평바 및 제2 수평바를 분리형으로 구성하되, 제1 수평바 및 제2 수평바를 단열구조재로 결합시킴으로써, 온도의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축/팽창 현상 및 여닫이 창문의 이동에 따른 프레임 사이의 거리가 변형되는 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유리창을 지지하는 제1 수평바 및 제2 수평바를 분리형으로 구성하되, 제1 수평바 및 제2 수평바를 단열구조재로 결합시킴으로써,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의 제1 수평바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의 제2 수평바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의 제1 및 제2 단열구조재과, 개스킷 유닛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의 제1 및 제2 단열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의 마감결합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이 결합되는 커튼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을 지지하며, 유리창이 여닫이 방식으로 움직이는 영역에 배치되고,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이 지지하는 유리창을 이중창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유리창은 고정된 상태의 제2 유리창(W2) 및 제2 유리창(W2)을 기준으로 여닫히는 제1 유리창(W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리창(W2)과 제1 유리창(W1)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에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은 제1 수평바(1000A), 제2 수평바(1000B), 제1 단열구조재(2000A), 제2 단열구조재(2000B), 개스킷 유닛(3000), 제3 개스킷(7000), 제4 개스킷(8000), 제1 단열부재(4000A) 내지 제4 단열부재(4000D), 실란트(5000) 및 마감결합재(60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평바(1000A)는 상기 복수개의 유리창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되는 연결영역(C)의 중심부(C')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부(C')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유리창(W1)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영역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유리창(W1)과 상기 제2 유리창(W2)의 측면이 마주보는 사이의 영역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의 제1 수평바(1000A)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수평바(1000A)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평바(1000A)는 제1-1 지지부(1100A) 내지 제1-5 지지부(150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1 지지부(1100A)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리창(W1)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유리창(W1)을 지지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1 지지부(1100A)는 상기 제1 유리창(W1)의 표면 영역인 하면 중 상기 연결영역과 근접한 영역을 지지하는 제1 수평지지부(1110A)와, 상기 제1 유리창(W1)의 측면, 즉 후술하는 제1 유리창(W1)과 마주보는 면을 지지하는 제1 수직지지부(112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직지지부(1120A)는 후술하는 제2 수직지지부(1120B)와 마주보는 면에 후술하는 제1 단열구조재(2000A)가 결합되는 제1 단열구조재 결합부(1121A)가 형성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때, 상기 제1 유리창(W1)의 하면과 상기 제1 수평지지부(1110A) 사이에는 제3 단열부재(4000C)가 배치되며, 상기 제3 단열부재(4000C)가 상기 제1 유리창(W1)과 상기 제1 수평지지부(1110A)를 결합시킨다.
상기 제3 단열부재(4000C)는 노튼 테이프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테이프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유리창(W1)과 상기 제1 수평지지부(1110A) 사이로 외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유리창(W1)과 상기 제1 수평지지부(1110A)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유리창(W1)과 제1 수평바(1000A) 상호간 열의 전달율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제3 단열부재(4000C)는 상기 실란트(5000)가 굳을 때 까지 상기 제1 유리창(W1) 및 상기 제2 유리창(W2)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 유리창(W1)과 상기 제1 수직지지부(1120A) 사이에는 제4 단열부재(4000D)가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리창(W1)과 상기 제1 수직지지부(1120A)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실란트(5000)의 두께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4 단열부재(4000D)는 단열성능을 가지는 스폰지로 구성됨에 따라 단열재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2 지지부(1200A)는 상기 제1-1 지지부(1100A)에 포함된 상기 제1 수평지지부(1110A)와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2 지지부(1200A)는 제1-2 단열부재 삽입부(1210A), 개스킷삽입부(1220A), 박스부(1230A) 및 제1 단열부재삽입 돌출부(1240A)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단열부재 삽입부(1210A), 상기 개스킷삽입부(1220A), 상기 박스부(1230A) 및 상기 제1 단열부재삽입 돌출부(1240A)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2 단열부재 삽입부(1210A)는 상기 제1 수평지지부(1110A)와 연결되며, 내측에 제2 단열부재(4000B)가 삽입되고, 상기 제2 단열부재(4000B)는 아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스부(1230A)는 상기 제1-2 단열부재 삽입부(1210A)와 연결되며, 상기 박스부(1230A)와 상기 제1-2 단열부재 삽입부(1210A)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개스킷삽입부(1220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단열부재삽입 돌출부(1240A)는 상기 박스부(1230A) 중 상기 중심부와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1-3 지지부(1300A)는 상기 제1-2 지지부(1200A)와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제1 유리창(W1)과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4 지지부(1400A)는 상기 제1-2 지지부(1200A)와 상기 제1-3 지지부(1300A)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2 지지부(1200A)와 상기 제1-3 지지부(1300A)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제1-1 단열부재 삽입부(1410A)가 형성된다.
상기 제1-5 지지부(1500A)는 상기 제1-3 지지부(1300A)와 연결되며,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1 지지부(1100A)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의 제2 수평바(1000B)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수평바(1000B)는 상기 제2 유리창(W2)을 지지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평바(1000B)는 제2-1 지지부(1100B) 내지 제2-4 지지부(1400B)를 포함한다.
상기 제2-1 지지부(1100B)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리창(W2)과 접촉되어 상기 제2 유리창(W2)을 지지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2-1 지지부(1100B)는 상기 제2 유리창(W2)의 표면 영역인 하면 중 상기 연결영역과 근접한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수평지지부(1110B)와, 상기 제2 유리창(W2)의 측면, 즉 후술하는 제1 유리창(W1)과 마주보는 면을 지지하는 제2 수직지지부(1120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수직지지부(1120B)는 후술하는 제2 수직지지부(1120B)와 마주보는 면에 후술하는 제2 단열구조재(2000B)가 결합되는 제2 단열구조재 결합부(1121B)가 형성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때, 상기 제2 유리창(W2)의 하면과 상기 제2 수평지지부(1110B) 사이에는 제3 단열부재(4000C)가 배치되며, 상기 제3 단열부재(4000C)가 상기 제2 유리창(W2)과 상기 제2 수평지지부(1110B)를 결합시킨다.
상기 제3 단열부재(4000C)는 노튼 테이프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테이프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유리창(W2)과 상기 제2 수평지지부(1110B) 사이로 외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유리창(W2)과 상기 제2 수평지지부(1110B)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유리창(W2)과 제2 수평바(1000B) 상호간 열의 전달율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제2 유리창(W2)과 상기 제2 수직지지부(1120B) 사이에는 제4 단열부재(4000D)가 배치되어, 상기 제2 유리창(W2)과 상기 제2 수직지지부(1120B)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4 단열부재(4000D)는 단열성능을 가지는 스폰지일 수 있다.
상기 제2-2 지지부(1200B)는 상기 제2-1 지지부(1100B)와 연결되며, 내부에 제2-2 단열부재 삽입부(1210B)가 형성되며, 제2 단열부재(4000B)가 삽입되고, 상기 제2 단열부재(4000B)는 아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3 지지부(1300B)는 상기 제2-2 지지부(1200B)의 후단에 배치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2-3 지지부(1300B)는 사각프레임부(1310B), 제1 연결프레임(1320B) 및 제2 연결프레임(1330B)을 포함한다.
상기 제2-2 지지부(1200B)와 상기 제2-3 지지부(1300B) 사이에는 제2-1 단열부재 삽입부(1410B)가 형성된다.
상기 사각프레임부(1310B)는 후술하는 제2-4 지지부(1400B)에 의하여 상기 제2-2 지지부(1200B)와 연결되며,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프레임(1320B)은 상기 사각프레임부(1310B)를 구성하는 면 중 중심부와 마주보는 면의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1 단열부재 삽입부(1410A)와 마주보는 면을 의미하며, 상기 제1 연결프레임(1320B)의 단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1 단열부재 삽입부(1410A)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프레임(1320B) 단부 영역의 일면과 측면, 즉, 상기 제1-2 단열부재 삽입부(1210A)와 상기 박스부(1230A)와 마주보는 면에는 제3 개스킷(7000)이 삽입되는 제3-1 개스킷삽입부(1321B)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프레임(1330B)은 상기 사각프레임의 단부영역으로부터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5 지지부(1500A)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2 단열부재 삽입부(1210A)와 마주보는 면을 의미한다.
상기 제2 연결프레임(1330B)의 단부 중, 상기 제1-5 지지부(1500A)와 마주보는 면에는 제3 개스킷(7000)이 삽입되는 제3-2 개스킷삽입부(1331B)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의 제1 및 제2 단열부재(4000B)와 개스킷 유닛(3000)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제1 단열구조재(2000A)는 제1 단열구조재 결합부(1121A)에 결합되며,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제1 개스킷 결합부(2100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단열구조재(2000B)는 상기 제2 단열구조재 결합부(1121B)에 결합되며,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제2 개스킷 결합부(2100B)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단열구조재(2000A)와 상기 제2 단열구조재(2000B)가 상기 제1 수평바(1000A)와 상기 제2 수평바(1000B)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수직지지부(1120A)와 상기 제2 수직지지부(2120A)에 외기가 직접적으로 닿아 외기로부터 열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개스킷 유닛(3000)은 상기 제1 개스킷 결합부(2100A)와 상기 제2 개스킷 결합부(2100B)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스킷 유닛(3000)은 제1 개스킷(3000A)과 제2 개스킷(3000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개스킷(3000A)은 상기 제2 개스킷 결합부(2100B)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단열구조재(2000B)에 결합된다.
상기 제2 개스킷(3000B)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는 상기 제2 단열구조재(2000B)와 접촉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개스킷 결합부(2100B)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1 지지부(1100A)에 형성된 개스킷삽입부(1220A)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2 개스킷(3000B) 중 상기 타단부에는 상기 상기 제2 개스킷 결합부(2100B)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단열구조재 삽입부(3100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개스킷(3000A)과 상기 제2 개스킷(3000B)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수평바(1000)와 상기 제2 수직바(2000)의 유격을 잡아주고, 온도의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상기 제1 수평바(1000)와 상기 제2 수직바(2000) 간의 수축/팽창 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수평바(1000A)와 상기 제2 수평바(1000B) 사이 공간으로부터 들어오는 외기의 진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누수를 방지하고, 배수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 개스킷(3000A)과 상기 제1-2 단열부재 삽입부(1210A) 사이에는 제4 개스킷(8000)이 삽입되어 외기의 진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누수를 방지한다.
상기 제1 단열구조재(2000A) 및 상기 제2 단열구조재(2000B)가 각각 상기 제1 수평바(1000A)와 상기 제2 수평바(1000B)에 결합되고, 상기 개스킷 유닛(3000)이 상기 제1 단열구조재(2000A)와 상기 제2 단열구조재(2000B)의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2 유리창(W2) 및 상기 제1 유리창(W1)을 지지하며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연결영역으로부터 진입될 수 있는 외기를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3 단열부재(4000C), 제4 단열부재(4000D) 및 실란트(50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3 단열부재(4000C)는 상기 제1 유리창(W1)과 상기 제1 수평바(1000A) 사이 및 상기 제2 유리창(W2)과 상기 제2 수평바(1000B)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유리창(W1)과 상기 제1 수평바(1000A) 사이 및 상기 제2 유리창(W2)과 상기 제2 수평바(1000B) 사이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3 단열부재(4000C)는 노튼 테이프와 같은 두께가 두꺼운 테이프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유리창(W1)과 상기 제1 수평바(1000A) 사이 및 상기 제2 유리창(W2)과 상기 제2 수평바(1000B) 사이로 외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유리창(W1)과 상기 제1 수평바(1000A) 및 상기 제2 유리창(W2)과 상기 제2 수평바(1000B)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유리창(W1)과 상기 제1 수평바(1000A) 및 상기 제2 유리창(W2)과 상기 제2 수평바(1000B) 상호간의 열의 전달율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제4 단열부재(4000D)는 상기 제1 유리창(W1) 및 상기 제1-1 지지부(1100A)와 제1 단열구조재(2000A) 사이, 상기 제2 유리창(W2) 및 상기 제2-1 지지부(1100B)와 상기 제2 단열구조재(2000B)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리창(W1) 및 상기 제1-1 지지부(1100A)와 제1 단열구조재(2000A), 상기 제2 유리창(W2) 및 상기 제2-1 지지부(1100B)와 상기 제2 단열구조재(2000B)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4 단열부재(4000D)는 단열성능을 가지는 스폰지일 수 있다.
상기 실란트(5000)는 상기 제1 유리창(W1)과 상기 제1 수평바(1000A) 및 제1 단열구조재(2000A) 사이, 상기 제2 유리창(W2)과 상기 제2 수평바(1000B) 및 제2 단열구조재(2000B) 사이에 배치되어 마감역할을 수행하며, 외기 및 빗물의 진입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실란트(5000)는 상기 제1 유리창(W1) 및 상기 제2 유리창(W2)의 고정 및 풍압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구조용 실란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의 제1 및 제2 단열부재(4000A, 4000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제1 단열부재(4000A)는 상기 제1-1 단열부재 삽입부(1410A), 상기 제2-1 단열부재 삽입부(1410B) 및 제1 단열부재삽입 돌출부(1240A)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1 단열부재 삽입부(1410A)에 삽입되는 제1 단열부재(4000A)는 상기 제1 연결프레임(1320B)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수평바(1000A)와 상기 제2 수평바(1000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채우고, 이에 따라 외기가 제1 수평바(1000A)와 제2 수평바(1000B) 사이로 진입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수평바(1000A)가 상기 제2 수평바(1000B)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평바간의 열전도율을 낮춰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열부재삽입 돌출부(1240A)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단열부재(4000A)는 상기 제2 수평바(1000B)와 접촉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수평바(1000A)와 상기 제2 수평바(1000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채움으로써 외기가 제1 수평바(1000A)와 제2 수평바(1000B) 사이로 진입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 수평바(1000A)가 상기 제2 수평바(1000B)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평바간의 열전도율을 낮춰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 단열부재(4000B)는 상기 제1-2 단열부재 삽입부(1210A) 및 제2-2 단열부재 삽입부(1210B)에 삽입되며, 상기 제2 단열부재(4000B)는 아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열부재(4000B)가 상기 제1-2 단열부재 삽입부(1210A) 및 제2-2 단열부재 삽입부(1210B)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수직지지부(1120A)와 상기 제2 수직지지부(2120A)를 통해 외기가 열전달 된 것이 상기 제1 수평바(1000A) 및 상기 제2 수평바(1000B) 전체로 열전도 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의 마감결합재(600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결합재(600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프레임(1330B)에 결합된다.(마감결합재(6000)의 역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평바(1000A)와 상기 제2 수평바(1000B)가 분리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수평바(1000A)와 상기 제2 수평바(1000B)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개스킷 유닛(3000)과 상기 제3 개스킷(7000)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 수평바(1000A)와 상기 제2 수평바(1000B)의 유격을 잡아주며, 상기 제1 수평바(1000A)와 상기 제2 수평바(1000B) 사이 공간으로부터 들어오는 외기의 진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온도의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축/팽창 현상 및 여닫이 창문의 이동에 따른 프레임 사이의 거리가 변형되는 현상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000A: 제1 수평바
1100A: 제1-1 지지부
1110A: 제1 수평지지부
1120A: 제1 수직지지부
1121A: 제1 결합부
1200A: 제1-2 지지부
1210A: 제1-2 단열부재 삽입부
1220A: 개스킷삽입부
1230A: 박스부
1240A: 제1 단열부재삽입 돌출부
1300A: 제1-3 지지부
1400A: 제1-4 지지부
1410A: 제1-1 단열부재 삽입부
1500A: 제1-5 지지부
1000B: 제2 수평바
1100B: 제2-1 지지부
1110B: 제2 수평지지부
1120B: 제2 수직지지부
1121B: 제2 결합부
1200B: 제2-2 지지부
1210B: 제2-2 단열부재 삽입부
1300B: 제2-3 지지부
1310B: 사각프레임부
1320B: 제1 연결프레임
1321B: 제3-1 개스킷삽입부
1330B: 제2 연결프레임
1331B: 제3-2 개스킷삽입부
1400B: 제2-4 지지부
1410B: 제2-1 단열부재 삽입부
2000A: 제1 단열구조재
2100A: 제1 개스킷 결합부
2000B: 제2 단열구조재
2100B: 제2 개스킷 결합부
3000: 개스킷 유닛
3000A: 제1 개스킷
3000B: 제2 개스킷
3100B: 제2 단열구조재 삽입부
4000A: 제1 단열부재
4000B: 제2 단열부재
4000C: 제3 단열부재
4000D: 제4 단열부재
5000: 실란트
6000: 마감결합재
7000: 제3 개스킷
8000: 제4 개스킷
W1: 제1 유리창
W2: 제2 유리창

Claims (4)

  1. 복수개의 유리창을 지지하며, 유리창이 여닫이 방식으로 움직이는 영역에 배치되는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리창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되는 연결영역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유리창을 지지하며,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제1 단열구조재 결합부가 형성된 제1 수평바;
    상기 중심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유리창을 지지하며,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제2 단열구조재 결합부가 형성된 제2 수평바;
    상기 제1 단열구조재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수평바를 커버하며,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제1 개스킷 결합부가 형성된 제1 단열구조재;
    상기 제2 단열구조재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수평바를 커버하며,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제2 개스킷 결합부가 형성된 제2 단열구조재;
    상기 제1 개스킷 결합부와 상기 제2 개스킷 결합부에 결합되는 개스킷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수평바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리창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유리창을 지지하는 제1-1 지지부;
    상기 제1-1 지지부와 연결되며, 중심영역에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스킷삽입부가 형성된 제1-2 지지부;
    상기 제1-2 지지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제1 유리창과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3 지지부;
    상기 제1-2 지지부와 상기 제1-3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4 지지부; 및
    상기 제1-4 지지부와 연결된 제1-5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지지부와 상기 제1-3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제1-1 단열부재 삽입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바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리창과 접촉되어 상기 제2 유리창을 지지하는 제2-1 지지부;
    상기 제2-1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2-2 지지부;
    상기 제2-2 지지부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2-3 지지부; 및
    상기 제2-2 지지부와 상기 제2-3 지지부를 연결시키는 제2-4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2 지지부와 상기 제2-3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제2-1 단열부재 삽입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단열부재 삽입부 및 상기 제2-1 단열부재 삽입부에 삽입되는 제1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열부재는 공기유입 차단용 스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
KR2020200004918U 2020-12-29 2020-12-29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 KR200497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18U KR200497583Y1 (ko) 2020-12-29 2020-12-29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18U KR200497583Y1 (ko) 2020-12-29 2020-12-29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691U KR20220001691U (ko) 2022-07-06
KR200497583Y1 true KR200497583Y1 (ko) 2023-12-29

Family

ID=8239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918U KR200497583Y1 (ko) 2020-12-29 2020-12-29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58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32509A1 (en) * 2016-10-21 2020-01-30 Stephanie Catharina R. CLAEYS Curtain wall and wall element thereby applie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wall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990B1 (ko) 2012-03-23 2012-09-18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기밀 및 단열효과가 뛰어난 유리창 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32509A1 (en) * 2016-10-21 2020-01-30 Stephanie Catharina R. CLAEYS Curtain wall and wall element thereby applie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wall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691U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360B1 (ko)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호 시스템
KR10091999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드 창호
KR102094366B1 (ko) 고단열/고강도 커튼 월 창
KR102063537B1 (ko) 이종재질을 이용한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단열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KR102296504B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구조
KR102096496B1 (ko) 내진형 시스템패널
KR101898939B1 (ko) 창호 시스템
KR101955665B1 (ko) 3d 단열 시스템
KR200497583Y1 (ko)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
KR101669409B1 (ko)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2590250B1 (ko) 단열 창호
KR101896484B1 (ko) 복합 단열 시스템 도어
KR100667586B1 (ko) 도어의 방음장치
KR102381470B1 (ko)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이중 내진 창호
KR102347365B1 (ko) 2중 단열 커튼월
KR102381471B1 (ko)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이중 내진 창호
KR200497584Y1 (ko) 유리창 수직 지지프레임
KR20190071306A (ko) 창호 시스템
KR102266276B1 (ko) 단열 커튼월 시스템
KR102209609B1 (ko) 수밀성과 보강성을 강화시킨 폴딩도어 구조체
KR102165561B1 (ko)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
KR101949136B1 (ko) 단열 창호
WO2020036296A1 (ko) 단열성능 및 내구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KR20210075682A (ko) 미세먼지 방지창호 및 그 시공방법
KR200497787Y1 (ko)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