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609B1 - 수밀성과 보강성을 강화시킨 폴딩도어 구조체 - Google Patents

수밀성과 보강성을 강화시킨 폴딩도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609B1
KR102209609B1 KR1020200106502A KR20200106502A KR102209609B1 KR 102209609 B1 KR102209609 B1 KR 102209609B1 KR 1020200106502 A KR1020200106502 A KR 1020200106502A KR 20200106502 A KR20200106502 A KR 20200106502A KR 102209609 B1 KR102209609 B1 KR 102209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door
frame
door frame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창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창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창테크
Priority to KR1020200106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15/26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f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66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specially adapted for units comprising more than two panes or for attaching intermediate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10Covers; Housings
    • E05Y2201/11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예에 따른 폴딩도어 구조체는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으로 이루어진 폴딩도어 프레임, 수평창호프레임(10) 및 수직창호프레임(11)을 포함하는 폴딩도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은, 양말단은 수직창호 프레임과 연결부재(30)에 의해 연결된 끼임부(31); 상기 끼움부의 측면에 힌지 및 S자가스켓(G2)에 의해 연결된 보강부(200); 및 상기 보강부(200) 및 도어손잡이가 배치된 당김부(40)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삼중유리로 이루어지되, 상기 끼임부(31)는 ㄷ 자 형상의 제1부(32), 상기 제1부(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제1부(32)의 내측면으로 인출되는 제2부(33), 상기 제1부(32) 및 제2부(33)의 상하 각각에 복수개의 돌출가스켓(G1)을 포함하되, 폴딩도어가 언폴딩되는 경우 상기 제2부(33)가 제1부(32)의 내측면으로 슬라이딩 끼움결합되되 상기 돌출가스켓(G1)은 복수개가 밀착되어 상기 제1부(32) 및 제2부(33)의 끼움결합부위를 실링하여 외부 유입물질 및 공기를 차단하는 기밀 구조이고, 상기 보강부(200)는 외측 프레임 및 내측프레임(20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프레임(201)은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어 일측면에 결합된 것이되, 상기 일측면은 건물 외부 방향의 측면이며, 상기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은 상기 수평창호프레임(10)과 레일 가이드에 의해 연결된 상부 및 하부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외부 유입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J 형 차단부재(100)가 삽입결합되되, 상기 J 형 차단부재(100)는 상부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 상측 일부 및 하부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의 상측 일부에 삽입되어 각각 상부 레일커버(400)의 하단 및 하부 레일커버(400)의 상단으로 연장되되 외부 유입물질 및 공기를 차단하도록 외면부를 덮는 구조로 배치되어 수밀성과 기밀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밀성과 보강성을 강화시킨 폴딩도어 구조체{THE FOLDING DOOR STRUTURE IMPROVING WATERTIGHTNESS AND RAINFORCEMENT}
본 발명은 수밀성, 기밀성 및 보강성을 향상시킨 폴딩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비와 강풍의 유입을 차단하는 가스켓을 배치하고, 강풍으로부터 파단을 예방하기 위해 보강재가 배치된 수직재 폴딩도어 프레임,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슬라이딩 타입의 수평재 폴딩도어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폴딩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폴딩도어란 내부가 전면으로 공개되는 커튼형 접이식 문을 일컫는다. 아파트나 주택, 카페 등의 경우 설치시 풍부한 채광 효과와 방풍, 환기, 인테리어 기능 등의 장점이 있다. 공장, 컨테이너, 사무실 등 같은 작업 환경에 폴딩도어를 설치할 경우 방음과 방진, 방수 등 작업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부드러운 개폐로 편리한 출입이 가능하다.
특히 최근 야외 풍경을 내부에서 즐길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연과 실내 인테리어의 조화에 따른 감각스러운 인테리어를 선호하며, 높은 실용성을 중시하는 이들이 늘면서 일반적인 도어 대신 폴딩도어를 선택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다만 전면이 유리 및 알미늄 프레임으로 구성된 폴딩도어의 시공시 도어가 기울거나 알미늄이 얇아 뒤틀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해안가와 같이 강풍이 잦고, 비바람의 영향을 빈번하게 받는 지역에 위치한 건물에 배치된 폴딩도어의 경우 접이식 폴딩도어의 접이부분, 수직, 수평창호프레임(10)과 도어프레임 사이공간에 비, 바람의 유입되는 등 완벽한 수밀과 밀봉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강풍에 의해 수직재 도어프레임이 휘거나 파단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0014호는 하부 가이드 프레임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고, 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수직롤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호 대향되며, 상기 수직롤러의 이탈 방지 및 상기 수평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평가이드부, 상기 수평가이드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질 차단부재(100)를 포함하는 폴딩도어용 하부가이드프레임을 제공한다.
다만 상기 등록문헌은 이물질 차단부재(100)를 수평가이드부의 결합홈에 결합되게 구성하며, 폴딩도어의 잦은 사용시 탈리되거나 낙후되어 수밀성, 기밀성이 저하될 수 있다. 나아가 수평 도어프레임의 외부를 충분히 커버하지 못해 외부의 강한 비 또는 바람의 유입을 완벽히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7510호는 단열성과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외측도어프레임과 내측도어프레임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외측돌출부 및 내측돌출부를 대칭형상으로 배치하며, 끼움결합에 의해 외측공간부 및 내측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다.
다만 상기 등록문헌은 수평 폴딩도어프레임의 내부에 외측공간부 및 내측공간부를 두어 내부에 단열재를 삽입하였고, 이는 강한 풍속의 비바람으로부터 그대로 노출되어 폴딩도어의 80% 이상 면적을 차지하는 수직 폴딩도어프레임의 파단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안가와 같이 강한 풍속의 바람, 비 등 외부 영향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된 건축물의 폴딩도어의 경우, 폴딩도어의 사이즈 여햐를 불분하고 풍동을 견딜 뿐 아니라 수밀성, 기밀성을 확보하여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001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7510호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강한 풍속으로부터 풍동을 견디고, 외부 영향으로부터 수밀성 및 기밀성이 확보된 폴딩도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수밀성과 보강성을 강화시킨 폴딩도어 구조체는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으로 이루어진 폴딩도어 프레임, 수평창호프레임(10) 및 수직창호프레임(11)을 고정체(F)로 하는 폴딩도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은, 양말단은 수직창호 프레임과 연결부재(30)에 의해 연결된 끼임부(31); 상기 끼움부의 측면에 힌지 및 S자가스켓(G2)에 의해 연결된 보강부(200); 및 상기 보강부(200) 및 도어손잡이가 배치된 당김부(40)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삼중유리로 이루어지되, 상기 끼임부(31)는 ㄷ 자 형상의 제1부(32), 상기 제1부(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제1부(32)의 내측면으로 인출되는 제2부(33), 상기 제1부(32) 및 제2부(33)의 상하 각각에 복수개의 돌출가스켓(G1)을 포함하되, 폴딩도어가 언폴딩되는 경우 상기 제2부(33)가 제1부(32)의 내측면으로 슬라이딩 끼움결합되되 상기 돌출가스켓(G1)은 복수개가 밀착되어 상기 제1부(32) 및 제2부(33)의 끼움결합부위를 실링하여 외부 유입물질 및 공기를 차단하는 기밀 구조이고, 상기 보강부(200)는 외측 프레임 및 내측프레임(20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프레임(201)은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어 일측면에 결합된 것이되, 상기 일측면은 건물 외부 방향의 측면이며, 상기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은 상기 수평창호프레임(10)과 레일 가이드에 의해 연결된 상부 및 하부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외부 유입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J 형 차단부재(100)가 삽입결합되되, 상기 J 형 차단부재(100)는 상부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 상측 일부 및 하부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의 상측 일부에 삽입되어 각각 상부 레일커버(400)의 하단 및 하부 레일커버(400)의 상단으로 연장되되 외부 유입물질 및 공기를 차단하도록 외면부를 덮는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와이어 수밀성과 보강성을 강화시킨 폴딩도어 구조체는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의 내부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프레임의 평균 두께를 증가시키되, 야외 방면 프레임의 두께를 실내 방면 프레임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시켜 두 겹을 적층함으로써 내부 프레임이 외부 프레임을 지지함으로써 해안 지역과 같이 바람, 태풍의 영향이 극심한 지역에 설치된 폴딩도어 구조체를 풍동으로부터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해안 지역과 같이 외부 환경 영향을 쉽게 받는 폴딩도어 구조체의 경우 폴딩도어가 폴딩, 언폴딩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폴딩도어프레임과 창호프레임 사이 즉 레일 방면으로 공기가 쉽게 들어오거나, 먼지, 비, 물방울 등 이물질이 프레임 내부로 유입되어 단기간에 부식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바, 이를 보호하기 위한 j 형 차단부재(100)를 두어 폴딩도어 구조체의 수밀성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폴딩도어 구조체는 2400mm 이상 고도(height)로 시공되어도 풍동에 강화된 보강재가 삽입되어 시공 후 장기간 경과하여도 폴딩도어 구조체의 파단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 구조체의 전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 구조체의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 구조체의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시험예 중 비교예의 수밀성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시험예 중 구조성능 시험을 측정한 부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 구조체의 전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 구조체의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 구조체의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폴딩도어 구조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폴딩도어 구조체는 폴딩도어 프레임과 폴딩도어 프레임을 지지하는 창호프레임, 즉 고정체로 구성된다.
폴딩도어 프레임은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과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은 도 1과 같이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을 두고 상하에 배치된다.
도 2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은 수직창호프레임(11)에 연결된 끼임부(31), 끼임부(31)에 연결된 보강부(200), 삼중유리, 당김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의 양말단은 수직창호 프레임과 연결부재(30)에 의해 연결된 끼임부(31)가 배치된다.
상기 끼임부(31)는 ㄷ 자 형상의 제1부(32), 상기 제1부(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제1부(32)의 내측면으로 인출되는 제2부(33)로 이루어지며, 제1부(32) 및 제2부(33)의 상하 각각에 복수개의 돌출가스켓(G1)이 배치된다. 따라서 폴딩도어가 폴딩된 후 언폴딩되는 경우 상기 제2부(33)가 제1부(32)의 내측면으로 슬라이딩 끼움결합되되 상기 돌출가스켓(G1)이 상기 제1부(32) 및 제2부(33)의 끼움결합부위를 실링하여 외부 유입물질 및 공기를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가스켓(G1)은 도 2와 같이 제1부(32) 및 제2부(33)의 양말단, 상하부위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가스켓이 위아래 적층된 상태로 밀착되어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폴딩도어가 닫혀져 언폴딩되는 경우 제1부(32)에 제2부(33)가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며, 복수개의 돌출가스켓(G1)의 면적 대부분이 겹쳐져 밀리면서 끼워지고, 폴딩도어가 열려 폴딩되는 경우 제1부(32)에서 제2부(33)가 슬라이딩되어 빠져나오며, 복수개의 돌출가스켓(G1)의 일부가 겹쳐친채 인출된다. 즉 폴딩도어가 폴딩된 상태, 언폴딩된 상태 모두 복수개의 돌출가스켓(G1)이 제1부(32) 및 제2부(33) 사이의 공간을 기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원 발명 제1부 및 제2부, 돌출 가스켓의 형상은 도면 2를 참고한다. 나아가 아래와 같이 움직일 수 있다.
폴딩도어는 (1) 힌지를 통해 접히면서(폴딩) 열린다. 구체적으로 제1부에서 제2부가 슬라이딩 인출되며 도어가 접히면서 개방된다. (2) 반면 힌지를 통해 펼쳐지면(언폴딩) 닫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부에 제2부가 슬라이딩 삽입되며 도어가 펼쳐지면서 닫힌다. 이때 제1부 및 제2부는 암수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돌출 가스켓의 각각은 도 2와 같이 화살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돌출 가스켓은 제1부의 말단부에 다른 하나의 돌출 가스켓은 제2부의 말단부에 배치된다. 특히 제1부의 말단부 및 제2부의 말단부는 제1부 및 제2부의 연결부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돌출 가스켓은 화살표 형상의 일단부와 그 타단의 말단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부의 말단부에는 돌출가스켓의 말단부가 삽입되고 다른 하나의 돌출 가스켓의 말단부는 제2부의 말단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하나의 돌출가스켓의 측면부에 다른 하나의 돌출가스켓의 말단부가 밀착되어 배치된다.
(1)과 같이 폴딩되는 경우에는 제1부에서 제2부가 슬라이딩되어 인출되는 경우이다. 상세히는 제1부에 제2부가 삽입되어 언폴딩된 상태인 경우 제1부 및 제2부의 연결부위에는 제2부의 말단부에 삽입된 돌출가스켓의 말단부가 제1부의 말단부에 배치된 돌출가스켓의 측면부에 밀착 및 압착된 채 제1부 및 제2부의 연결부위를 실링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제1부에서 제2부가 슬라이딩되어 인출되는 경우 힌지에 의해 제1부에서 제2부가 소정의 각도를 두고 접히며 인출된다. 따라서 제1부의 돌출 가스켓의 측면부에 압축된 채 밀착되어 있던 제2부의 돌출 가스켓 말단부의 압착력이 감소된다. 즉 제1부의 돌출가스켓 측면에 눌려있던 제2부의 돌출가스켓이 점점 펼쳐지고 완전히 펼쳐되면 제1부의 돌출가스켓 측면부와 제2부의 돌출가스켓 말단부 일부가 겹쳐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부의 말단부에 배치되는 돌출가스켓은 제2부가 인출된 후 생기는 공간에 돌출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반대로 (2)와 같이 언폴딩되는 경우에는 제2부가 다시 제1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경우로서, 폴딩상태에서 제1부에서 인출되어 있던 제2부가 삽입된다. 상세히는 상기 제2부가 인출된 후 생기는 공간에 제2부가 다시 삽입되며, 제2부의 돌출가스켓의 말단부는 제1부의 돌출가스켓의 측면부를 밀면서 눌리며 밀착 및 압착되며 제2부가 제1부위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제2부가 인출된 부위에 다시 삽입되는 제2부에 의해 제1부의 돌출가스켓의 말단부(화살표 형상)는 밀리고 압착되어 제1부, 제2부의 암수가 체결되면 제2부에 제1부의 돌출가스켓의 말단부가 눌리고 밀리면서 연결부위를 실링한다. 즉 제1부 및 제2부의 연결부위의 복수개의 돌출가스켓이 압착되고 밀착되며 도어를 펼치는 당기는 힘에 의해 제2부가 제1부에 삽입되고 제1부 및 제2부의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실링한다. 즉 돌출가스켓의 측면부에 다른 하나의 돌출가스켓의 말단부가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술한 구조는 해안가와 같이 강한 비바람, 태풍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 설치된 폴딩도어가 슬라이딩 여닫는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에도 폴딩도어프레임 사이의 공간으로 바람, 비, 도어에 맺힌 물방울, 먼지 등의 유입을 방지하고, 면밀하게 기밀할 수 있어 수밀성, 기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해안가에 위치한 건축물의 경우 지역 특성 상 강풍, 비바람이 잦고 태풍 발생시 타지역에 비하여 자연재해의 영향에 취약하다. 특히 커튼월, 폴딩도어와 같이 외벽이 창호프레임과 유리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경우 그 영향은 콘크리트와 같은 벽체로 이루어진 건축물에 비하여 3배 이상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외부 영향으로부터 취약한 지역의 경우 외벽의 전부 또는 일부가 창호프레임과 유리로 이루어진 건축물에 있어서, 벽체 역할을 하는 창호프레임은 잦은 강풍, 태풍을 직면하는 경우 프레임의 전면이 실내방향으로 쉽게 휘거나, 심하게는 파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은 도 1에서와 같이 벽체의 일부로서, 불어오는 바람을 직면으로 마주한다. 또한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의 길이 즉 높이(height)가 증가할수록 구조적으로 취약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의 내부에 보강부(200)를 두어 프레임 자체의 강도를 보완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보강부(200)는 상기 끼임부(31)의 측면에 힌지 및 S자가스켓(G2)(G2)에 의해 연결되어 배치된다. 외측프레임(201) 및 내측프레임(20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프레임(201)은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된다. 즉 외측프레임(201) 내부에 내측프레임(201)을 배치하여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을 두겹으로 구성한다. 나아가 외측프레임(201)의 일측면에 내측프레임(201)을 배치한다. 상기 일측면은 건물 외부 방향 측면을 의미한다.
즉 야외 방향, 외측프레임(201)이 바람을 마주하는 방향측면을 향해 내측프레임(201)을 외측프레임(201) 내면에 배치시킴으로써 야외 방향의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은 외측프레임(201)과 내측프레임(201) 두 겹의 프레임 살을 적층한 것과 같은 구조이다. 따라서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의 강도를 증가시켜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불어오는 바람 및 바람에 의한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의 풍동으로부터 프레임의 휘어짐, 파단을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프레임(201)은 3.5mm이고, 상기 내측프레임(201)은 3.2mm인 경우 건물 외부 방향의 외측 및 내측프레임(201) 두께가 6.7mm 가 된다.
따라서 외측 및 내측프레임(201)을 적층함으로써 내측프레임(202)이 외측프레임(201)을 지지하는 구조인바, 한 겹의 외측프레임(201) 또는 외측프레임(201) 내부에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된 내측프레임(201)과 같은 구조에 비하여 풍동에 보다 강하게 견딜 수 있다.
또한, 외측 및 내측프레임(201) 두 겹의 알미늄을 적층하여 결합되었으나, 분리된 구조인 바 외측 프레임이 외력을 받은 경우 내측프레임(201)이 외측프레임(201)의 내측면을 지지할 수 있어, 한 겹으로 구성한 경우에 비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폴딩도어 구조체의 경우 수평창호프레임(10)의 레일가이드에 대응하는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의 레일에 의해 도어가 폴딩 및 언폴딩되는 것을 기본 구조로 한다. 즉 레일은 레일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며, 이동을 위해 레일 및 레일가이드는 소정의 공간을 두고 배치된다. 따라서 비바람, 태풍 등이 발생한 경우 폴딩도어가 폴딩, 언폴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소정의 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서 비,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며, 이물질은 레일가이드에 적체되거나 레일과 레일가이드 사이에 유입되 폴딩도어의 하자 발생 원인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에 차단부재(100)를 배치한다.
상기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은 상기 수평창호프레임(10)과 레일가이드에 의해 연결된 상부 및 하부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일측에는 외부 유입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J 형 차단부재(100)가 삽입,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J 형 차단부재(100)는 도 3을 참고하면, 상부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 상측 일부 및 하부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의 하측 일부에 삽입되어 각각 상부 레일커버(400)의 하단 및 하부 레일커버(400)의 상단으로 연장된 일종의 가스켓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부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에 배치된 J형 차단부재(100)는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과 상부 레일커버(400)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 내측에 배치된 가스켓이 레일커버(400)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하부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에 배치된 J형 차단부재(100)는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과 하부 레일커버(400)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 내측에 배치된 가스켓이 하부 레일커버(400)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외부 유입물질 및 공기를 차단하도록 레일 및 레일가이드의 레일커버(400) 외면부를 덮는 구조로서, 강풍이 직면하는 경우 J 형 차단부재(100)가 레일커버(400)를 강하게 가압함으로써 외부 이물질이 레일커버(4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곡선 형상의 J 형 차단부재(100)는 탄성이 있는 재질이며, 예를 들어 실리콘 소재일 수 있다. 따라서 폴딩도어로부터 연장되어 레일커버(400) 상단을 덮는 구조이되, 밀착되어 배치되는 바 강풍이 측면에서 부는 경우에도 레일커버(400) 내부로 외부공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 및 레일가이드의 수밀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시공 후 장기간 경과된 폴딩도어의 하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종래 폴딩도어 구조체는 민간 기업 또는 개인사용자들이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물건의 출입 또는 환기를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폴딩도어를 설치한다. 평소 비,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거나 부식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도심지역 건축물 또는 건물 내부에 시공된 폴딩도어의 경우 디자인 폴딩도어 구조체를 설치해도 비교적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해안지역, 바람의 영향을 직면하여 받는 지역의 건축물에 시공된 폴딩도어의 경우 디자인 폴딩도어를 시공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잦은 비바람에 의해 쉽게 휘어지거나 파단될 수 있다. 특히 고도가 높은 창을 수용하기 위한 폴딩도어 구조체의 경우 늘어난 면적보다 5배 이상의 풍동을 견뎌야 하며, 해안지역의 경우 소금기를 머금은 공기가 도어 내부로 유입되며 부식되어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파단될 위험성이 증가한다.
이에 본 발명의 폴딩도어 구조체는 종래 최대 2100mm 높이로 제작된 폴딩도어 프레임과 비교하여, 2400mm 이상의 높이로 시공된 폴딩도어 구조체의 경우에도 제한 없이 적용되며, 해안가, 비바람, 태풍의 영향이 잦은 지역의 극한 환경을 재현한 시험결과 비교예와 비교시 풍동시험, 기밀성능, 수밀성능, 구조성능이 현저히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하기 실험예를 참고한다.
<실험예>
기온 23.7℃, 습도 77.4%, 기압 985.7hpa, 흐린 날씨에 진행되었으며, 기밀성능, 수밀성능, 구조성능시험(풍동시험)을 진행하였으며, 시험예 및 비교예의 구조체의 고도가 약 2400mm 이상인 것을 사용하였다.
1.시험예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폴딩도어 구조체를 사용하였다. 수직창호프레임(11)은 너비 2965mm x 높이 3742mm로서 총 면적은 11.06m2이고, 폴딩도어프레임은 너비 2400mm x 높이 2400mm로서 총 면적은 5.76m2이다. 이때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은 1) 외부프레임의 중공부에 내부프레임을 삽입하여 야외 방향을 향해 프레임이 두 층으로 적층된 상태이며, 도어프레임의 두께는 외부프레임 3.5mm, 내부프레임 3.2mm이다. 또한 2) 상, 하부 폴딩도어 프레임의 측면 일부에 J형 차단부재(100)를 배치하였으며, 3) 도어가 폴딩 및 언폴딩되는 끼임부(31)는 ㄷ 자 형상으로 슬라이딩 여닫이 형태이다.
2.비교예
상기 1),2),3)을 제외하고는 상기 1. 의 구조체와 동일한 폴딩도어 구조체를 사용하였다.
3.시험
(1)기밀성능 시험
ASTM E283 시험방법에 의해 시험하였으며 시험체에 7.6 kgf/m2의 압력을 유지한 후 시험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때까지 시험체를 통해 누기되는 공기량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은 측정한 누기량(cfm)을 나타낸다.
측정부위 측정누기량
시험예 창호프레임 0.14
폴딩도어 1.46
비교예 창호프레임 3.54
폴딩도어 18.63
*고정된 폴딩도어 구조체(고정체, 벽체에 시공된 폴딩도어 구조체 중 폴딩도어 프레임을 제외한 부분)의 허용누기량은 3.43cfm(시험체 면적 x 0.06cfm/ft2)이며, 폴딩도어 프레임의 허용누기량은 18.58cfm(시험체 면적 x 0.30cfm/ft2)이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너비 2400mm의 폴딩도어 구조체의 기밀시험 결과, 시험예는 창호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의 측정 누기량이 각 0.14 cfm, 1.46cfm, 비교예의 경우 각 3.54 cfm, 18.63cfm 으로 측정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폴딩도어 구조체 및 폴딩도어 프레임의 허용누기량(각 3.43cfm, 18.58cfm)과 비교 시, 시험예는 측정된 고정된 폴딩도어 구조체의 측정 누기량이 허용 누기량에 비하여 약 3.29cfm 작게 측정되었으며, 폴딩도어프레임의 경우 약 17.15 cfm 작게 측정되어 허용누기량을 충분히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비교예의 경우 허용누기량에 대하여 각 약 0.11cfm, 0.05 cfm를 초과하여 기밀시험에 통과하지 못하였다.
즉, 비교예의 경우 시험예에 비하여 기밀성능이 좋지 않을 뿐 아니라, 2400mm 고도의 구조체의 경우 시험 중 측정누기량이 허용누기량을 초과하여 유사한 환경의 지역에 노출될 경우 외부 공기의 잦은 유입이 예상되며, 해안지역의 경우 고염분의 외부 공기에 노출됨으로써 부식, 고장 등에 의해 폴딩도어의 장기간 사용이 어려울 것을 예상할 수 있다.
(2) 수밀성능 시험
1) 정압수밀성능 시험
ASTM E331 방법에 의해 시험예 및 비교예에 압력 +73.2kgf/m2, 살수량 3.4L/(m2.min)m, 약 15분 동안 물을 살수하여 제어 불가능한 누수 발생 여부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시험예의 경우 15분 동안 누수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나, 비교예의 경우 하부폴딩도어프레임과 하부수직창호프레임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누수가 발생하여 시험을 중단하였다.
2) 동압수밀성능 시험
ASTM E501.1 방법에 의해 시험예 및 비교예에 압력 +73.2kgf/m2, 살수량 3.4L/(m2.min)m, 약 15분 동안 물을 살수하되, 상기 압력과 같은 풍속의 바람을 발생시키며 물을 살수하여 제어불가능한 누수 발생 여부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시험예의 경우 15분 동안 누수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나, 비교예의 경우 상하부 폴딩도어프레임, 상하부 수직창호프레임과 힌지 위를 통해 도 4와 같이 누수가 발생하여 시험을 중단하였다.
(1)구조성능시험
1)최대변위량 측정시험
ASTM E330 방법에 의해 설계풍하중의 지정된 압력을 일정시간 적용한 경우 각 프레임의 최대변위량을 측정하여 유사지역 환경 변화에 따른 구조성능의 적합여부를 테스트한 결과이다.
설계풍하중의 +50%, -50%, +100%, -100% 의 압력을 10초간 유지한 후 최대변위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시험압력은 +50%일때 +122.1 kgf/m2, -50%일 때 +244.2 kgf/m2, +100% 일때 -122.1 kgf/m2, -100% -244.2 kgf/m2 로 하였으며, 도 5과 같이 측정부위를 참고한다.
정압 부압
최대변위 측정압력 최대변위 측정압력
1 시험예 4.66 3.90
비교예 10.54 9.56
2 시험예 4.66 3.90
비교예 19.14 15.43
3 시험예 4.66 3.90
비교예 15.46 13.58
4 시험예 2.03 3.14
비교예 13.54 12.44
5 시험예 7.45 7.27
비교예 15.35 14.67
6 시험예 7.45 7.27
비교예 13.35 13.21
7 시험예 7.45 7.27
비교예 14.56 14.32
*허용변위량은 설계풍하중 측정시험 기준인 L/175(L≤4110mm)일때, 수직재창호프레임은 21.14 mm, 수직재폴딩도어 프레임은 13.20 mm, 수평재폴딩도어 프레임은 13.57 mm이다. 각 측정부위는 도 5를 참고하며, 1은 벽체에 고정된 앙카, 2는 수직재창호프레임, 3은 프레임의 앙카, 4는 수평재 창호프레임, 5는 수직재 폴딩도어프레임(최상단부위), 6은 수직재 폴딩도어프레임(중간부위), 7은 수평재 폴딩도어프레임(하단)을 의미한다.
1)잔류변위량 측정시험
ASTM E330M 방법에 의해 설계풍하중의 지정된 압력을 일정시간 적용한 경우 각 프레임의 잔류변위량을 측정하여 유사지역 환경 변화에 따른 구조성능의 적합여부를 테스트한 결과이다.
시험체에 설계풍하중의 ± 75 %와 ± 150 %의 압력을 10초간 유지한 후 압력을 제거하여 각각의 부재 잔류변위량을 측정하는 잔류변위시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시험압력은 +75% 일때 +183.2 kgf/m2, +150% 일 때 +366.3 kgf/m2, -75% 일 때 -183.2 kgf/m2, +150% 일 때 -366.3 kgf/m2로 하였으며 도 5를 통해 측정부위를 참고한다.
부압
최대변위 측정압력
1 0.07
7.54
2 시험예 0.09 0.07
비교예 7.43 7.42
3 시험예 0.09 0.07
비교예 7.32 7.23
4 시험예 0.09 0.20
비교예 4.66 4.65
5 시험예 0.15 0.25
비교예 4.67 4.54
6 시험예 0.15 0.25
비교예 4.89
7 시험예 0.15 0.25
비교예 4.69 시험예
비교예
*허용변위량은 설계풍하중 측정시험 기준인 2L/1000일때, 수직재창호프레임은 7.40 mm, 수직재폴딩도어 프레임은 4.62 mm, 수평재폴딩도어 프레임은 4.75 mm이다. 각 측정부위는 도 5를 참고하며, 1은 벽체에 고정된 앙카, 2는 수직재창호프레임, 3은 프레임의 앙카, 4는 수평재 창호프레임, 5는 수직재 폴딩도어프레임(최상단부위), 6은 수직재 폴딩도어프레임(중간부위), 7은 수평재 폴딩도어프레임(하단)을 의미한다.
상기 [표 2], [표 3] 및 도 5를 통해 실시예의 경우 각 부위별 설계풍하중 측정시험 기준의 최대허용변위량 및 최대잔류변위량 범위 내에 속하지만, 비교예의 경우 거의 모든 최대변위량 및 잔류변위량이 허용변위량을 초과하거나 한계치에 근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구조성능에 대한 각 부위별 최대변위량 및 잔류변위량을 시험하는 본 시험결과 보강부(200), 차단부재(100) 등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경우 시험조건과 유사한 환경의 지역(해안지역 등)에 노출될 경우 보강부(200)의 보강구조와 차단부재(100)의 외부공기 유입차단 효과 등에 의해 프레임이 풍하중을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 해당한다.
반면 비교예의 경우 허용수치 범위를 초과하며, 프레임의 탄성이 풍하중을 수용할 수 없으며 태풍, 비바람에 의해 프레임이 휘어지거나, 장기간 노출될 경우 파단할 수 있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안지역 등 태풍, 비바람이 잦은 지역 또는 이와 유사한 환경의 지역에 시공되는 폴딩도어 구조체의 경우 풍하중으로부터 구조체의 견고한 구조성능, 기밀성능, 수밀성능이 요구된다. 특히 2400mm 이상의 고도가 높은 폴딩도어 구조체의 경우 외부 환경에 대한 수용능력이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폴딩도어 구조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부(200)의 보강 구조, 차단부재(100), 끼임부(31) 등을 배치하여 강풍으로부터 풍동을 견딜 수 있고, 비바람으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폴딩도어 시공 후 장기간 사용해도 부식, 파단 등의 하자 발생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번 첨언한다.
F: 고정체
10: 수평창호프레임
11: 수직창호프레임
20: 수평폴딩도어 프레임
21: 수직폴딩도어 프레임
30: 연결부재
31: 끼임부
32: 제1부
33: 제2부
40: 당김부
G1: 돌출가스켓
G2: S자가스켓
100: J형 차단부재(100)
200: 보강부
201: 외측프레임
202: 내측프레임
300: 삼중유리
400: 레일커버
A-A'' 는 수직재프레임의 단면도
B-B'' 수평재프레임의 단면도/
FL-FL 은 수평재 및 수직재 프레임의 단면도

Claims (1)

  1.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으로 이루어진 폴딩도어 프레임, 수평창호프레임(10) 및 수직창호프레임(11)을 고정체(F)로하는 폴딩도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수직폴딩도어 프레임(21)은,
    양말단은 수직창호 프레임과 연결부재(30)에 의해 연결된 끼임부(31);
    상기 끼임부(31)의 측면에 힌지 및 S자가스켓(G2)에 의해 연결된 보강부(200); 및
    상기 보강부(200) 및 도어손잡이가 배치된 당김부(40)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삼중유리로 이루어지되,
    상기 끼임부(31)는 ㄷ 자 형상의 제1부(32), 상기 제1부(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제1부(32)의 내측면으로 인출되는 제2부(33), 상기 제1부(32) 및 제2부(33)의 상하 각각에 복수개의 돌출가스켓(G1)을 포함하되, 폴딩도어가 언폴딩되는 경우 상기 제2부(33)가 제1부(32)의 내측면으로 슬라이딩 끼움결합되되 상기 돌출가스켓(G1)은 복수개가 밀착되어 상기 제1부(32) 및 제2부(33)의 끼움결합부위를 실링하여 외부 유입물질 및 공기를 차단하는 기밀 구조이고,
    상기 보강부(200)는 외측 프레임 및 내측프레임(20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프레임(201)은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어 일측면에 결합된 것이되, 상기 일측면은 건물 외부 방향의 측면이며,
    상기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은 상기 수평창호프레임(10)과 레일 가이드에 의해 연결된 상부 및 하부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외부 유입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J 형 차단부재(100)가 삽입결합되되,
    상기 J 형 차단부재(100)는 상부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 상측 일부 및 하부 수평폴딩도어 프레임(20)의 상측 일부에 삽입되어 각각 상부 레일커버(400)의 하단 및 하부 레일커버(400)의 상단으로 연장되되 외부 유입물질 및 공기를 차단하도록 외면부를 덮는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과 보강성을 강화시킨 폴딩도어 구조체.
KR1020200106502A 2020-08-24 2020-08-24 수밀성과 보강성을 강화시킨 폴딩도어 구조체 KR102209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502A KR102209609B1 (ko) 2020-08-24 2020-08-24 수밀성과 보강성을 강화시킨 폴딩도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502A KR102209609B1 (ko) 2020-08-24 2020-08-24 수밀성과 보강성을 강화시킨 폴딩도어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609B1 true KR102209609B1 (ko) 2021-01-28

Family

ID=7423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502A KR102209609B1 (ko) 2020-08-24 2020-08-24 수밀성과 보강성을 강화시킨 폴딩도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578B1 (ko) 2021-08-12 2022-06-03 주식회사 태양세이프도어 분리형 유리고정구를 구비한 무테형 폴딩도어 프레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601A (ko) * 2015-06-09 2016-12-19 (주)이지폴딩 폴딩도어
KR101760014B1 (ko) 2015-02-04 2017-07-31 주식회사 노프 폴딩도어용 하부 가이드프레임
KR200487510Y1 (ko) 2017-01-16 2018-10-01 주식회사 제이제이시스템 폴딩 도어의 단열 도어 프레임
KR101936371B1 (ko) * 2018-08-27 2019-01-08 주식회사 한국건축외장 틸트 앤 턴 도어가 설치된 폴딩 도어
KR101936360B1 (ko) * 2016-09-05 2019-01-08 홍성주 전동 폴딩도어
KR101925755B1 (ko) * 2018-07-02 2019-02-26 김정명 폴딩도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014B1 (ko) 2015-02-04 2017-07-31 주식회사 노프 폴딩도어용 하부 가이드프레임
KR20160144601A (ko) * 2015-06-09 2016-12-19 (주)이지폴딩 폴딩도어
KR101936360B1 (ko) * 2016-09-05 2019-01-08 홍성주 전동 폴딩도어
KR200487510Y1 (ko) 2017-01-16 2018-10-01 주식회사 제이제이시스템 폴딩 도어의 단열 도어 프레임
KR101925755B1 (ko) * 2018-07-02 2019-02-26 김정명 폴딩도어 시스템
KR101936371B1 (ko) * 2018-08-27 2019-01-08 주식회사 한국건축외장 틸트 앤 턴 도어가 설치된 폴딩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578B1 (ko) 2021-08-12 2022-06-03 주식회사 태양세이프도어 분리형 유리고정구를 구비한 무테형 폴딩도어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97842A1 (en) Water resistance sliding door system
KR101339951B1 (ko)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리프트 앤드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102209609B1 (ko) 수밀성과 보강성을 강화시킨 폴딩도어 구조체
WO2021120780A1 (zh) 一种用于门窗防水的内框、包含其的门窗及其制造方法
CN212249684U (zh) 一种高性能双内开门窗结构
JP4272638B2 (ja) ガスケットおよび建具
CN207609097U (zh) 一种突出采光顶的合页式防雨开启天窗系统
PL232399B1 (pl) System okienny z ukrytym skrzydłem
KR102385788B1 (ko) 덧댐 창호 시스템
CN204960691U (zh) 一种新型节能内开折叠门
KR101460617B1 (ko) 창 틈새 기밀 장치
CN207609098U (zh) 一种齐平采光顶的平推式防雨开启天窗系统
CN207245481U (zh) 一种门窗型材防水组件
CN205638055U (zh) 一种被动式房屋用窗的木窗框安装结构
JP4791779B2 (ja) 外壁目地部の防水構造
CN214532650U (zh) 一种高效节能组合式铝合金平开窗
KR101571375B1 (ko) 이중창호
CN218971050U (zh) 一种隔热双向内平开窗
CN217439896U (zh) 一种节能保温窗长条防水垫结构
CN216446780U (zh) 一种具有止水条的玻璃门
CN214330428U (zh) 铝合金防风防火窗
CN111502513B (zh) 具有气密封结构及防水结构的推拉门窗
CN214463512U (zh) 窗台防水坡板
CN219101084U (zh) 一种带纱扇隔热内平开窗
CN217269827U (zh) 钢质隔热防烟防火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