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561B1 -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 - Google Patents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561B1
KR102165561B1 KR1020180144626A KR20180144626A KR102165561B1 KR 102165561 B1 KR102165561 B1 KR 102165561B1 KR 1020180144626 A KR1020180144626 A KR 1020180144626A KR 20180144626 A KR20180144626 A KR 20180144626A KR 102165561 B1 KR102165561 B1 KR 102165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ember
heat
window frame
heat block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638A (ko
Inventor
김승현
신우정
신유림
Original Assignee
윈-도어(WIN-door)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도어(WIN-door)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윈-도어(WIN-door)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4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5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 형태의 창호에 사용되는 창호프레임을 통해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차단하고, 결로를 예방하도록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고단열이 이루어지도록 다수개의 단열재를 구비한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는;
본 발명은 여닫이 형태의 창호에 있어서, 상,하부프레임과, 좌,우측프레임이 결합형성되고, 그 내부에 픽스(fix)부 및 벤트(vent)부로 구분된 공간부가 형성된 창호프레임과;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기 픽스(fix)부의 내부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픽스(fix)부의 양내측면에 양측면이 기밀하게 부착되어 체결고정되며, 그 내부에 다수개의 중공부를 갖는 제1,2,3열차단부재와; 상기 창호프레임의 벤트(vent)부(a)의 외측에 체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3열차단부재의 하부면에 상부면에 맞닿게 설치된 제4열차단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A window with a structure improved insulation}
본 발명은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에 사용되는 창호프레임을 통해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차단하고, 결로를 예방하도록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고단열이 이루어지도록 다수개의 열차단부재를 구비한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의 창호 또는 거실 등에 설치되는 창호의 종류는 그 개폐 방법에 따라 미닫이 창호,미서기 창호, 여닫이 창호, 회전 창호, 붙박이 창호, 겹 창호, 턴-앤드-틸트(Turn and Tilt) 창호, 기타 특수한 창호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최근 건축법시행령이 개정됨에 따라 아파트 발코니의 합법적인 확장이 가능해지면서 발코니 확장에 대한 건설사와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창호에 비해 그 기능이 향상된 창호를 시장에서 요구하게 되었다. 여기서, 기능이 향상된 창호란 단순히 미닫이로 열리는 방식 이외에 위로 조금 열거나 혹은 기울려 열거나 하는 개폐가 가능한 창호를 말한다.
따라서 창호업체는 2중 및 3중 창호를 도입하여 단열 및 결로를 보강한 고기밀성 창호를 발코니에 설치하고 있으며, 기존에 비해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를 개발하여 왔다.
한편, 여닫이 형태의 한 부류에 속하는 창호는 창틀에 설치되는 창문이 실내측 또는 실외측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이러한 방식의 창호는 창틀에 장착된 창문의 윗부분을 반 개폐 상태로 열 수 있는 틸트(Tilt) 기능과 함께 창문을 수평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폐하는 턴(Turn)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여닫이 형태의 한 부류에 속하는 창호에 열손실을 차단하고, 결로를 예방하기위해서는 유리(g)가 상부에 설치된 창호프레임(100)의 내부에 단열재를 설치하는데, 이러한 단열재를 설치한 구조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창호프레임(100)의 내부의 픽스(fix)부(a)에 열차단부재(110a)가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내부의 벤트(vent)부(b)에 상기 열차단부재(110b)가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픽스(fix)부(a)에 설치된 양 상기 열차단부재(110a)중 하부에 구비된 상기 열차단부재(110a)의 하부와, 상기 벤트(vent)부(b)의 설치된 양 상기 열차단부재(110b)중 상부에 구비된 상기 열차단부재(110b)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열차단연결부재(1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열차단부재(110a,110b)와, 상기 열차단연결부재(120)를 구비한 상기 창호프레임(100)은 그 수직길이와 수평폭의 크기를 늘려서 형성될 경우, 상기 열차단부재(110a,110b)와, 상기 열차단연결부재(120)가 설치되는 상기 픽스부(a)와, 상기 벤트부(b)로 구성된 열차단부(130)의 수직길이와 수평폭의 크기도 커지는데, 이와 같이, 상기 열차단부(130)의 수직길이와 수평폭의 크기가 커진부위에 설치되는 상기 열차단부재(110a,110b)와, 상기 열차단연결부재(120)도 또한, 그 수직길이나, 수평폭이 커져서 설치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창호프레임(100)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상기 열차단부(130)의 수직길이와 수평폭의 크기가 커져서 상기 창플프레임(100)의 강도 및 내구성이 떨어져, 상기 창호프레임(100)에 외력이 가해지면 손쉽게 상기 창호프레임(100)이 휘거나, 파손되는데 이와 동시에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내부에 그 길이와 폭의 높이가 커진 상기 열차단부재(110a,110b)와, 상기 열차단연결부재(120)도 외력에 손쉽게 파손되며,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수직길이와 수평폭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이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열차단부재(110a,110b)와, 상기 열차단연결부재(120)의 수직길이와 수평높이가 크기도 커지므로서 이를 제조하는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96484(2018년 9월 20일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여닫이 형태의 창호를 구성하는 좌,우측프레임 및 상,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된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픽스(fix)부의 내부에 제1 내지 제3열차단부재를 적층하여 기밀하게 체결설치하고 제3열차단부재의 하부와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벤트(vent)부에 제4열차단부재을 기밀하게 체결설치하여서, 여닫이 형태의 창호에 사용되는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다수개의 열차단부재를 설치하여 이 열차단부재들을 통해서 실내의 내부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외의 외부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방지하도록하여서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열차단부재들을 통해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차단하고, 결로를 예방하도록 하도록한 새로운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닫이 형태의 창호를 구성하는 창호프레임의 수직길이가 커져 큰 창호프레임을 형성될 경우, 이러한 창호프레임의 픽스(fix)부에 체결설치되는,제1열차단부재와 제2열차단부재의 사이에 더 설치된 부가단열재와. 이 부가단열재의 하부에 제3열차단부재를 설치하고, 창호프레임의 벤트(vent)부에 제4열차단부재의 크기의 두배로 형성된 열차단부재를 더 체결설치 하여서,
창호프레임의 수직길이가 커져 큰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구성된 수직길이가 커진 픽스부 및 벤트부에 제1내지 제3열차단부재와, 부가단열재 및 열차단부재를 더 설치하여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열차단부재들을 통해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차단하고, 결로를 예방하도록 하며, 제1열차단부재의 안착경사면이 창호프레임의 픽스(fix)부에 형성된 원형체의 경사부에 안착되어 제1열차단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1열차단부재의 안착경사면과 원형체의 경사부에서 지지흡수하여 수직길이가 커진 큰 창호프레임에 강성을 높이며, 수직길이가 커진 큰 창호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내지 제3열차단부재와 부가단열재, 열차단부재중 제1열차단부재, 부가단열재, 제2열차단부재로 인해 강도성이 높아진 창호프레임의 외측둘레 내부상부에서 하부로 가해지는 외력을 다시 창호프레임의 외측둘레에 내부하부에서 상부로 밀어내는 작용으로 인해 창호프레임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한 새로운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여닫이 형태의 창호에 있어서, 상,하부프레임과, 좌,우측프레임이 결합형성되고, 그 내부에 픽스(fix)부 및 벤트(vent)부로 구분된 공간부가 형성된 창호프레임과;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기 픽스(fix)부의 내부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픽스(fix)부의 양내측면에 양측면이 기밀하게 부착되어 체결고정되며, 그 내부에 다수개의 중공부를 갖는 제1,2,3열차단부재와; 상기 창호프레임의 벤트(vent)부의 외측에 체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3열차단부재의 하부면에 상부면에 맞닿게 설치된 제4열차단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열차단부재는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기 픽스(fix)부 상부좌측면에 형성된 제1좌측홈에 결합되도록 좌측면에 제1좌측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좌측홈과 마주하여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기 픽스(fix)부 상부우측면에 형성된 제1우측홈에 결합되도록 우측면에 제1우측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우측홈의 하부에 경사져서 연장형성된 우측경사면에 안착되도록 우측하부면에 안착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경사면의 좌측과, 상기 제1열차단부재의 하부의 우측사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열차단부재는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기 픽스(fix)부 상부좌측면에 형성된 제1좌측홈의 하부에 형성된 제2좌측홈에 결합되도록 좌측면에 상부에 제2좌측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기 픽스(fix)부 우측면에 형성되고 제1우측홈의 하부에 형성된 제2우측홈에 결합되도록 우측면에 제2우측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우측결합돌기의 하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열차단부재는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기 픽스(fix)부에 형성된 상기 제2좌측홈의 하부에 형성된 제3좌측홈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좌측에 "」"자형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열차단부재의 제2우측결합돌기의 하부와 마주하도록 우측상부에 "ㄴ"자형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열차단부재는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기 벤트(vent)부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좌측홈의 하부에 형성된 제4좌측홈에 결합되도록 좌측에 제3좌측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기 벤트(vent)부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우측홈의 하부에 형성된 제3우측홈에 결합되도록 우측에 제3우측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열차단부재의 하부양측과 상기 제3열차단부재의 상부양측을 서로 연결고정하는 제1,2연결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고정부재는 제3좌측홈에 결합되도록 좌측상부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복수개의 지지대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 우측면의 상부는 상기 제2열차단부재의 좌측하부면과 맞닿고 양 상기 지지대의 하부는 상기 제3열차단부재의 "」"자형 안착부의 상부면에 맞닿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고정부재는 상기 제2열차단부재의 좌측하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안착되도록 좌측상부면에 형성된 걸림구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우측상부면에는 제2우측홈의 하부에 형성된 "ㄱ"자형홈에 결합되게 복수개로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서 좌측으로 만곡형성된 만곡부는 상기 제3열차단부재의 우측상부에 형성된 "ㄴ"자형 안착부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부에 유리의 하부가 안착되게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양 내측면에 형성된 제1,2결합홈과, 상기 유리의 좌측면을 지지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한 제1실링고정부재와, 상기 유리의 우측면을 지지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한 제2실링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실링고정부재의 우측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진 경사부가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제2실링고정부재의 좌측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진 경사부가 다수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직길이가 커진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기 픽스(fix)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1열차단부재의 안착경사면은 상기 픽스(fix)부의 상부우측면에 형성된 원형체의 경사부로 지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열차단부재와 상기 제2열차단부재의 사이에 부가단열재가 설치되고, 상기 부가단열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3열차단부재와, 상기 제3열차단부재의 하부에 상기 제4열차단부재의 크기에 두배로 형성된 열차단부재가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기 벤트(vent)부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직길이가 커진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기 픽스(fix)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1열차단부재의 안착경사면은 상기 픽스(fix)부의 상부우측면에 형성된 원형체의 경사부로 지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열차단부재와 상기 제2열차단부재의 사이에 제2-1열차단열재가 설치되고 다수개의 중공부를 갖는 상기 제2-1열차단열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3열차단부재와, 상기 제3열차단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4열차단부재와, 상기 제4열차단부재의 하부에상기 제4열차단부재와 동일한 형상의 제4-1열차단부재가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기 벤트(vent)부 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와, 상기 열차단부재와, 상기 제2-1열차단부재와, 상기 제4-1열차단부재의 내부는 다수개의 중공부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연질재이고, 그 외부는 경질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와, 상기 열차단부재와, 상기 제2-1열차단부재와, 상기 제4-1열차단부재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여닫이 형태의 창호를 구성하는 좌,우측프레임 및 상,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된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픽스(fix)부의 내부에 제1 내지 제3열차단부재를 적층하여 기밀하게 체결설치하고 제3열차단부재의 하부와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벤트(vent)부에 제4열차단부재을 기밀하게 체결설치하여서, 여닫이 형태의 창호에 사용되는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다수개의 열차단부재를 설치하여 이 열차단부재들을 통해서 실내의 내부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외의 외부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방지하도록하여서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열차단부재들을 통해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차단하고, 결로를 예방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또한, 본 발명은 여닫이 형태의 창호를 구성하는 창호프레임의 수직길이가 커져 큰 창호프레임을 형성될 경우, 이러한 창호프레임의 픽스(fix)부에 체결설치되는,제1열차단부재와 제2열차단부재의 사이에 더 설치된 부가단열재와. 이 부가단열재의 하부에 제3열차단부재를 설치하고, 창호프레임의 벤트(vent)부에 제4열차단부재의 크기의 두배로 형성된 열차단부재를 더 체결설치 하여서,
창호프레임의 수직길이가 커져 큰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구성된 수직길이가 커진 픽스부 및 벤트부에 제1내지 제3열차단부재와, 부가단열재 및 열차단부재를 더 설치하여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열차단부재들을 통해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차단하고, 결로를 예방하도록 하며, 제1열차단부재의 안착경사면이 창호프레임의 픽스(fix)부에 형성된 원형체의 경사부에 안착되어 제1열차단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1열차단부재의 안착경사면과 원형체의 경사부에서 지지흡수하여 수직길이가 커진 큰 창호프레임에 강성을 높이며, 수직길이가 커진 큰 창호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내지 제3열차단부재와 부가단열재, 열차단부재중 제1열차단부재, 부가단열재, 제2열차단부재로 인해 강도성이 높아진 창호프레임의 외측둘레 내부상부에서 하부로 가해지는 외력을 다시 창호프레임의 외측둘레에 내부하부에서 상부로 밀어내는 작용으로 인해 창호프레임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열차단부재가 설치된 창틀프레임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에서 제1내지 제4열차단부재를 분리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연결고정부재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가 설치되는 안착부와, 제1,2실링고정부재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와, 부가단열재와, 열차단부재가 설치된 창호프레임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에서 제1내지 제4열차단부재를 분리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연결고정부재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가 설치되는 안착부와, 제1,2실링고정부재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실시예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와, 부가단열재와, 열차단부재가 설치된 창호프레임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는 창호프레임(10)과, 제1열차단부재(20)와, 제2열차단부재(30)와, 제 3열차단부재(40)와, 제4열차단부재(40)로 구성된다.
여닫이 형태의 창호는 여닫이창호의 한 부류에 속하는 턴-앤드-틸트(Turn and Tilt) 또는 틸트-앤드-턴(Tilt and Turn)의 방식으로 작용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여닫이 형태의 창호는 창틀에 설치되는 창문이 실내측 또는 실외측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이러한 상기 턴 및 틸트 방식의 창호는 창틀에 장착된 창문의 윗부분을 반 개폐 상태로 열 수 있는 틸트(Tilt) 기능과 함께 창문을 수평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폐하는 턴(Turn)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창호프레임(1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창호프레임(10)은 상,하부프레임(11a,11b)과, 좌,우측프레임(12a,12b)이 결합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창호프레임(10)의 내부에 픽스(fix)부(a) 및 벤트(vent)부(b)로 구분된 공간부(c)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열차단부재(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열차단부재(20)는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상부 양내측면에 양측면이 기밀하게 부착되어 체결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에는 다수개의 중공부(d)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중공부(d)들이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형성되어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내구성을 증가시켜 외력에 의해 손쉽게 변형 또는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1열차단부재(20)는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 상부좌측면에 형성된 제1좌측홈(13a)에 결합되도록 좌측면에 제1좌측결합돌기(2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좌측홈(13a)과 마주하여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 (a) 상부우측면에 형성된 제1우측홈(14a)에 결합되도록 우측면에 제1우측결합돌기(2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우측홈(14a)의 하부에 경사져서 연장형성된 우측경사면(14a-1)에 안착되도록 우측하부면에 안착경사면(2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안착경사면(23)의 좌측과,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하부의 우측사이에는 걸림턱(2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좌측결합돌기(21)와 상기 제1우측결합돌기(22)를 갖는 상기 제1열차단부재(20)는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상부 양내측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되어 상기 창호프레임(10)을 통해서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 또는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우측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안착경사면(23)은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우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우측경사면(14a-1)에 맞닿게 설치되어서,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외측에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상부에 가해지면,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상부에 전달되는 외력을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에 구비된 상기 안착경사면(23)과 상기 우측경사면(14a-1)에서 흡수하여 상기 창호프레임(10)에서 전달되는 외력을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에 구비된 상기 안착경사면(23)과 상기 우측경사면(14a-1)에서 상쇄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열차단부재(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열차단부재(30)는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상부 양내측면에 양측면이 기밀하게 부착되어 체결고정된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하부에 위치하여서,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양내측면에 양측면이 기밀하게 부착되어 체결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에는 다수개의 중공부(d)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중공부(d)들이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형성되어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내구성을 증가시켜 외력에 의해 손쉽게 변형 또는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2열차단부재(20)는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 상부좌측면에 형성된 제1좌측홈(13a)의 하부에 형성된 제2좌측홈(13b)에 결합되도록 좌측면에 상부에 제2좌측결합돌기(3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 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우측홈(14a)의 하부에 형성된 제2우측홈(14b)에 결합되도록 우측면에 제2우측결합돌기(3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우측결합돌기(32)의 하부에 걸림홈(3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좌측결합돌기(31)와 상기 제2우측결합돌기(32)를 갖는 상기 제2열차단부재(30)는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상부 양내측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되어 상기 창호프레임(10)을 통해서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 또는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홈(33)은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와, 상기 제3열차단부재(40)를 서로 연결하는 제2연결고정부재(60b)에 형성된 걸림구(63)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걸리도록 하여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와, 상기 제3연결차단부재(40)가 상기 픽스(fix)부(a)에서 안정적으로 유동되지 않게 고착되어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와, 상기 제3열차단부재(40)가 갖는 고유의 열차단기능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3열차단부재(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3열차단부재(40)는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상부 양내측면에 양측면이 기밀하게 부착되어 체결고정된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하부에 위치하여서,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양내측면에 양측면이 기밀하게 부착되어 체결고정된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에는 다수개의 중공부(d)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중공부(d)들이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형성되어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내구성을 증가시켜 외력에 의해 손쉽게 변형 또는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3열차단부재(40)는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에 형성된 상기 제2좌측홈(13b)의 하부에 형성된 제3좌측홈(13c)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좌측에 "」"자형 안착부(4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제2우측결합돌기(32)의 하부와 마주하도록 우측상부에 "ㄴ"자형 안착부(4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자형 안착부(41)에는 제3좌측홈(13c)에 결합되도록 좌측상부면에 결합돌기(61)가 형성된 몸체(61a)로 구성된 상기 제2연결고정부재(60b)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개의상기 지지대(62)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서 상기 제3열차단부재(40)가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와, 상기 제4열차단부재(50)의 사이에서 유동되지 않게 하여 상기 제3열차단부재(40)가 갖는 고유의 열차단을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우측하부에는 상기 벤트(vent)부(b)의 좌측에 형성된 우측걸림턱(18)의 상부에 안착되게 우측하부안착턱(43)이 형성되어 상기 제3열차단부재(40)가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와, 상기 제4열차단부재(50)의 사이에서 유동되지 않게 하여 상기 제3열차단부재(40)가 갖는 고유의 열차단을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4열차단부재(5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4열차단부재(50)는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상부 양내측면에 양측면이 기밀하게 부착되어 체결고정된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하부에 위치하여서,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양내측면에 양측면이 기밀하게 부착되어 체결고정된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4열차단부재(50)는 상기 창호프레임(10)의 벤트부(vent)부(a)의 외측에 체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하부면에 상부면에 맞닿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4열차단부재(50)에는 다수개의 중공부(d)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중공부(d)들이 상기 제4열차단부재(50)의 형성되어 상기 제4열차단부재(50)의 내구성을 증가시켜 외력에 의해 손쉽게 변형 또는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4열차단부재(50)는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벤트(vent)부(b)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좌측홈(13c)의 하부에 형성된 제4좌측홈(13d)에 결합되도록 좌측에 제3좌측결합돌기(5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벤트(vent)부(b)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우측홈(14b)의 하부에 형성된 제3우측홈(14c)에 결합되도록 우측에 제3우측결합돌기(5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3좌측결합돌기(51)와 상기 제3우측결합돌기(52)를 갖는 상기 제4열차단부재(50)는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벤트(vent)부(b)의 상부 양내측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되어 상기 창호프레임(10)을 통해서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 또는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하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으로 인해, 여닫이 형태의 창호에 사용되는 상기 창호프레임(10)의 내부에 다수개의 열차단부재를 설치하여 이 열차단부재들을 통해서 실내의 내부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외의 외부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방지하도록하여서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열차단부재들을 통해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차단하고, 결로를 예방하도록 하기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하부양측과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상부양측을 서로 연결고정하는 제1,2연결고정부재(60a,60b)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하부양측과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상부양측을 서로 연결고정하는 제1,2연결고정부재(60a,60b)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와, 상기 제3열차단부재(40)를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내부에서 상기 제1,2연결고정부재(60a,60b)로 안정적으로 고착되게 하여서, 상기 제1열차단부재(20)를 상부에 구비한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와, 상기 제4열차단부재(50)를 하부에 구비한 상기 제3열차단부재(40)가 상기 픽스(fix)부(a)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착되어서, 상기 제2,3열차단부재(30,40)가 갖는 고유의 열차단 기능을 발휘하여 상기 창호프레임(10)을 통해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고정부재(60a)는 제3좌측홈(13c)에 결합되도록 좌측상부면에 결합돌기(61)가 형성된 몸체(61a)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61a)의 하부에 복수개의 지지대(62)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몸체(61a) 우측면의 상부는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좌측하부면과 맞닿고 양 상기 지지대(62)의 하부는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자형 안착부(41)의 상부면에 맞닿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고정부재(60b)는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좌측하부에 형성된 걸림홈(33)에 안착되도록 좌측상부면에 형성된 걸림구(63)를 갖는 몸체(61a)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61a)의 우측상부면에는 제2우측홈(14b)의 하부에 형성된 "ㄱ"자형홈(15)에 결합되게 복수개로 형성된 결합돌기(64)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61a)의 하부에 형성된 수직부(65)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65)의 하부에서 좌측으로 만곡형성된 만곡부(66)는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우측상부에 형성된 "ㄴ"자형 안착부(42)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부에 유리(g)의 하부가 안착되게 형성된 안착부(16)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16)의 양 내측면에 형성된 제1,2결합홈(17a,17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리(g)의 좌측면을 지지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결합홈(17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71)를 구비한 제1실링고정부재(70a)로 구성된다.
상기 유리(g)의 우측면을 지지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결합홈(17b)에 결합되는 결합돌기(71)를 구비한 제2실링부재(70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실링고정부재(70a)의 우측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진 경사부(72)가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제2실링고정부재(70b)의 좌측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진 경사부(72)가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안착부(16)에 안착되는 상기 유리(g)의 양측 하부와, 상기 안착부(16)의 양 내측에 상기 제1,2실링고정부재(70a,70b)를 설치하는 것은,
상기 유리(g)가 상기 안착부(16)의 내부에서 상기 제1,2실링고정부재(70a,70b)의 상기 결합돌기(71)와, 상기 경사부(72)들로 인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설치되어서, 외력에 의해 상기 유리(g)가 유동되거나, 상기 유리(g)가 상기 안착부(1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안착부(16)에 안착되는 유리(g)는 복수개의 유리로 구성된 복층유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의 내부는 다수개의 중공부(d)가 서로 연결형성된 연질재이고, 그 외부는 경질재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경질재는 강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충격 및 하중에 보다 용이하게 강성을 갖도록되어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손상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경질재의 종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연질재는 탄성력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충격 및 하중을 용이하게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연질재의 종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의 내부는 다수개의 중공부(d)가 서로 연결된 연질재로 형성되고, 그 외부는 경질재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외측에서 가해지는 외력과,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안착부(16)에 안착되는 상기 유리(g)의 하중을 흡수하여 상기 창호프레임(10)에 손상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와, 상기 열차단부재(40a)와, 상기 제2-1열차단부재(20b)와, 상기 제4-1열차단부재(40a)로 인해 상기 창호프레임(10)에 강성을 강화시켜,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외측에서 가해지는 외력과,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안착부(16)에 안착되는 상기 유리(g)의 하중을 흡수하여 상기 창호프레임(10)에 손상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길이가 커진 큰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내부에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와,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사이에 부가단열재(20a)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수직길이가 커진 큰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안착경사면(23)은 상기 픽스(fix)부(a)의 상부우측면에 형성된 원형체의 경사부(14z-2)로 지지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성기 원형체의 경사부(14a-2)는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에 가해지는 외력을 상기 안착경사면(23)을 통해 받아 흡수지지하여 상기 창호프레임(10) 및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힘을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상기 안착경사면(23)과 상기 원형체의 경사부(14a-2)에서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가단열재(20a)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3열차단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하부에 상기 제4열차단부재(50)의 크기에 두배로 형성된 열차단부재(40a)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부가단열재(20a)는 상기 제1 내지 제3열차단부재(40)와 동일하게 상기 창호프레임(10)을 통해서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대류차단기능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가단열재(20a)에는 다수개의 통공(21a)이 형성되어 이 상기 통공(21a)들로 외부공기 또는 내부공기가 상기 부가단열재(20a)를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여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대류차단기능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공(21a)들은 상기 부가단열재(20a)의 내부에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가단열재(20a)의 내부는 연질재로 형성되고, 외부는 경질재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상기 연질재는 탄성력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연질재의 종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경질재는 강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경질재의 종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열차단부재(40a)는상기 제4열차단부재(50)의 크기의 두배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길이가 커진 큰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에 체결설치되는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와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사이에 더 설치된 상기 부가단열재(40a)와. 이 상기 부가단열재(40a)의 하부에 상기 제3열차단부재(40)를 설치하고,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벤트(vent)부(b)에 체결설치되는 상기 열차단부재(40a)를 상기 제4열차단부재(50)의 크기의 두배로 형성되고,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상기 안착경사면(23)이 상기 원형체의 경사부(14a-2)이 안착되는 것은,
길이가 커진 큰 상기 창호프레임(!0)의 내부에 구성된 수직길이가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커진 상기 픽스부(a) 및 상기 벤트부(b)에 상기 제1내지 제3열차단부재(20~40)와, 상기 부가단열재(20a) 및 상기 열차단부재(40a)를 더 설치하여 상기 창호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된 열차단부재들을 통해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차단하고, 결로를 예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상기 안착경사면(23)이 수직길이가 커진 큰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에 형성된 상기 원형체의 경사부(14a-2)에 안착되어 크기가 커진 상기 창호프레임(10) 및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에 가해지는 외력을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상기 안착경사면(23)과 상기 원형체의 경사부(14a-2)에서 지지흡수하여 수직길이가 커진 큰 상기 창호프레임(10)에 강성을 높이며,
수직길이가 커진 큰 상기 창호프레임(10)에 설치되는 상기 제1내지 제3열차단부재(20~40)와 상기 부가단열재(20a)와, 상기 열차단부재(40a)중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와, 상기 부가단열재(20a)와, 상기 제2열차단부재(30)로 인해 강도성이 높아진 큰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외측둘레 내부상부에서 하부로 가해지는 외력을 다시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외측둘레에 내부하부에서 상부로 밀어내는 작용으로 인해 상기 창호프레임(10)이 파손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수직길이가 커진 큰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내부에 상기 제1열차단부재(20)로 구성된다.
또한, 수직길이가 커진 큰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안착경사면(23)은 상기 픽스(fix)부(a)의 상부우측면에 형성된 원형체의 경사부(14z-2)로 지지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성기 원형체의 경사부(14a-2)는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에 가해지는 외력을 상기 안착경사면(23)을 통해 받아 흡수지지하여 크기 커진 상기 창호프레임(10) 및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힘을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상기 안착경사면(23)과 상기 원형체의 경사부(14a-2)에서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사이에 제2-1열차단열재(20b)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다수개의 중공부(d)를 갖는 상기 제2-1열차단열재(20b)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3열차단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4열차단부재(50)로 구성된다.
상기 제4열차단부재(50)의 하부에 상기 제4열차단부재(50)와 동일한 형상의 제4-1열차단부재(40b)가 가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벤트(vent)(b)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길이가 커진 큰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에 체결설치된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와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사이에 더 설치된 상기 제2-1열차단부재(40b)와.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상기 안착경사면(23)이 상기 원형체의 경사부(14a-2)이 안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1열차단부재(40b)의 하부에 상기 제3열차단부재(40)가 설치되고,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벤트부(b)에 설치되는 상기 제4열차단부재(50)와,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벤트(vent)부(b)에 체결설치되며, 상기 제4열차단부재(5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4열차단부재(50)와 동일한 형상으로 는 상기 제4-1열차단부재(40b)로 형성되는 것은,
수직길이가 커진 상기 창호프레임(10)과 상기 픽스부(a) 및 상기 벤트부(b)에 상기 제1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와, 상기 제2-1열차단부재(20b)와 상기 제4-1열차단부재(40b)를 더 설치하여 상기 창호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된 열차단부재들을 통해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차단하고, 결로를 예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상기 안착경사면(23)이 수직길이가 커진 큰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에 형성된 상기 원형체의 경사부(14a-2)에 안착되어 상기 창호프레임(10) 및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에 가해지는 외력을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상기 안착경사면(23)과 상기 원형체의 경사부(14a-2)에서 지지흡수하여 수직길이가 커진 큰 상기 창호프레임(10)에 강성을 높이며,
수직길이가 커진 큰 상기 창호프레임(10)에 설치되는 상기 제1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와 상기 제 2-1열차단부재(20b)와, 상기 제4-1열차단부재(40b)중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와, 상기 제2-1부가단열재(20b)와, 상기 제2열차단부재(30)로 인해 강도성이 높아진 큰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외측둘레 내부상부에서 하부로 가해지는 외력을 다시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외측둘레에 내부하부에서 상부로 밀어내는 작용으로 인해 상기 창호프레임(10)이 파손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와 상기 열차단부재(40a)와,상기 제2-1열차단부재(20b)와, 상기 제4-1열차단부재(40a)는 다수개의 중공부(d)가 형성되지 않은 일체의 몸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와 상기 열차단부재(40a)와, 상기 제2-1열차단부재(20b)와, 상기 제4-1열차단부재(40a)는 다수개의 중공부(d)가 형성되지 않은 일체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와 상기 열차단부재(40a)와, 상기 제2-1열차단부재(20b)와, 상기 제4-1열차단부재(40a)에 내구성과 강도를 강화하여서, 상기 창호프레임(10)에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와 상기 열차단부재(40a)와, 상기 제2-1열차단부재(20b)와, 상기 제4-1열차단부재(40a)가 휘어지거나, 손상 및 변형되어서, 상기 창호프레임(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와 상기 열차단부재(40a)와, 상기 제2-1열차단부재(20b)와, 상기 제4-1열차단부재(40a)가 갖는 대류차단기능, 즉 고유의 단열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와, 상기 열차단부재(40a)와, 상기 제2-1열차단부재(20b)와, 상기 제4-1열차단부재(40a)의 내부는 다수개의 중공부(d)가 서로 연결형성된 연질재이고, 그 외부는 경질재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경질재는 강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충격 및 하중에 보다 용이하게 강성을 갖도록되어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손상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경질재의 종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연질재는 탄성력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충격 및 하중을 용이하게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연질재의 종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와, 상기 열차단부재(40a)와, 상기 제2-1열차단부재(20b)와, 상기 제4-1열차단부재(40a)의 내부는 다수개의 중공부(d)가 서로 연결되어 연질재로 형성되고, 그 외부는 경질재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외측에서 가해지는 외력과,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안착부(16)에 안착되는 상기 유리(g)의 하중을 흡수하여 상기 창호프레임(10)에 손상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와, 상기 열차단부재(40a)와, 상기 제2-1열차단부재(20b)와, 상기 제4-1열차단부재(40a)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와, 상기 열차단부재(40a)와, 상기 제2-1열차단부재(20b)와, 상기 제4-1열차단부재(40a)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와, 상기 열차단부재(40a)와, 상기 제2-1열차단부재(20b)와, 상기 제4-1열차단부재(40a)로 인해 상기 창호프레임(10)에 강성을 강화시켜,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외측에서 가해지는 외력과,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안착부(16)에 안착되는 상기 유리(g)의 하중을 흡수하여 상기 창호프레임(10)에 손상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창틀프레임 11a: 상부프레임
11b: 하부프레임 12a: 좌측프레임
12b: 우측프레임 13a: 제1좌측홈
13b: 제2좌측홈 13c: 제3좌측홈
13d: 제4좌측홈 14a: 제1우측홈
14a-1: 우측경사면 14b: 제2우측홈
15: "ㄱ"자형 홈 16: 안착부
17a: 제1결합홈 17b: 제2결합홈
20: 제1열차단부재 20a: 부가단열재
21: 제1좌측결합돌기 22: 제1우측결합돌기
23: 안착경사면 24: 걸림턱
30: 제2열차단부재 31: 제2좌측결합돌기
32: 제2우측결합돌기 33: 결합홈
40: 제3열차단부재 40a: 열차단부재
41: "」"자형 안착부 42: "ㄱ"자형 안착부
50: 제4열차단부재 51: 제3좌측결합돌기
52: 제3우측결합돌기 60a: 제1연결고정부재
60b: 제2연결고정부재 61: 결합돌기
61a: 몸체 62: 지지대
63: 걸림구 64: 결합돌기
65: 수직부 66: 만곡부
70a: 제1실링고정부재 70b: 제2실링고정부재
71: 결합돌기 72: 경사부
a: 픽스(fix)부 b: 벤트(vent)부
c: 공간부 d: 중공부
g: 유리

Claims (15)

  1. 여닫이 형태의 창호에 있어서,
    상,하부프레임(11a,11b)과, 좌,우측프레임(12a,12b)이 결합형성되고, 그 내부에 픽스(fix)부(a) 및 벤트(vent)부(b)로 구분된 공간부(c)가 형성된 창호프레임(10)과;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내부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픽스(fix)부(a)의 양내측면에 양측면이 기밀하게 부착되어 체결고정되며, 그 내부에 다수개의 중공부(d)를 갖는 제1,2,3열차단부재(20,30,40)와;
    상기 창호프레임(10)의 벤트(vent)부(b)의 외측에 체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하부면에 상부면이 맞닿게 설치된 제4열차단부재(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가진 여닫이 형태의 창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차단부재(20)는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 상부좌측면에 형성된 제1좌측홈(13a)에 결합되도록 좌측면에 제1좌측결합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좌측홈(13a)과 마주하여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 상부우측면에 형성된 제1우측홈(14a)에 결합되도록 우측면에 제1우측결합돌기(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우측홈(14a)의 하부에 경사져서 연장형성된 우측경사면(14a-1)에 안착되도록 우측하부면에 안착경사면(23)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경사면(23)의 좌측과,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하부의 우측사이에는 걸림턱(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가진 여닫이 형태의 창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차단부재(30)는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 상부좌측면에 형성된 제1좌측홈(13a)의 하부에 형성된 제2좌측홈(13b)에 결합되도록 좌측면에 상부에 제2좌측결합돌기(31)가 형성되고,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 우측면에 형성되고 제1우측홈(14a)의 하부에 형성된 제2우측홈(14b)에 결합되도록 우측면에 제2우측결합돌기(3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우측결합돌기(32)의 하부에 걸림홈(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가진 여닫이 형태의 창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열차단부재(40)는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에 형성된 상기 제2좌측홈(13b)의 하부에 형성된 제3좌측홈(13c)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좌측에 "」"자형 안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제2우측결합돌기(32)의 하부와 마주하도록 우측상부에 "ㄴ"자형 안착부(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가진 여닫이 형태의 창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4열차단부재(50)는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벤트(vent)부(b)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좌측홈(13c)의 하부에 형성된 제4좌측홈(13d)에 결합되도록 좌측에 제3좌측결합돌기(51)가 형성되고,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벤트(vent)부(b)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우측홈(14b)의 하부에 형성된 제3우측홈(14c)에 결합되도록 우측에 제3우측결합돌기(5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가진 여닫이 형태의 창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하부양측과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상부양측을 서로 연결고정하는 제1,2연결고정부재(60a,6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가진 여닫이 형태의 창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고정부재(60a)는 제3좌측홈(13c)에 결합되도록 좌측사부면에 결합돌기(61)가 형성된 몸체(61a)와, 상기 몸체(61a)의 하부에 복수개의 지지대(62)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61a) 우측면의 상부는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좌측하부면과 맞닿고 양 상기 지지대(62)의 하부는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자형 안착부(41)의 상부면에 맞닿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가진 여닫이 형태의 창호.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고정부재(60b)는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좌측하부에 형성된 걸림홈(33)에 안착되도록 좌측상부면에 형성된 걸림구(63)를 갖는 몸체(61a)와, 상기 몸체(61a)의 우측상부면에는 제2우측홈(14b)의 하부에 형성된 "ㄱ"자형홈(15)에 결합되게 복수개로 형성된 결합돌기(64)와, 상기 몸체(61a)의 하부에 형성된 수직부(65)와, 상기 수직부(65)의 하부에서 좌측으로 만곡형성된 만곡부(66)는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우측상부에 형성된 "ㄴ"자형 안착부(42)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가진 여닫이 형태의 창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부에 유리(g)의 하부가 안착되게 형성된 안착부(16)와, 상기 안착부(16)의 양 내측면에 형성된 제1,2결합홈(17a,17b)과, 상기 유리(g)의 좌측면을 지지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결합홈(17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71)를 구비한 제1실링고정부재(70a)와, 상기 유리(g)의 우측면을 지지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결합홈(17b)에 결합되는 결합돌기(71)를 구비한 제2실링고정부재(7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가진 여닫이 형태의 창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고정부재(70a)의 우측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진 경사부(72)가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제2실링고정부재(70b)의 좌측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진 경사부(72)가 다수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가진 여닫이 형태의 창호.
  11. 제 1항에 있어서,
    수직길이가 커진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안착경사면(23)은 상기 픽스(fix)부(a)의 상부우측면에 형성된 원형체의 경사부(14z-2)로 지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와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사이에 부가단열재(20a)가 설치되고, 상기 부가단열재(20a)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와,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하부에 상기 제4열차단부재(50)의 크기에 두배로 형성된 열차단부재(40a)가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벤트(vent)부(b)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가진 여닫이 형태의 창호.
  12. 제 1항에 있어서,
    수직길이가 커진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픽스(fix)부(a)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의 안착경사면(23)은 상기 픽스(fix)부(a)의 상부우측면에 형성된 원형체의 경사부(14z-2)로 지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열차단부재(20)와 상기 제2열차단부재(30)의 사이에 제2-1열차단부재(20b)가 설치되고 다수개의 중공부(d)를 갖는 상기 제2-1열차단부재(20b)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와, 상기 제3열차단부재(40)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4열차단부재(50)와, 상기 제4열차단부재(50)의 하부에상기 제4열차단부재(50)와 동일한 형상의 제4-1열차단부재(40b)가 상기 창호프레임(10)의 상기 벤트(vent)부(b)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가진 여닫이 형태의 창호.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의 내부는 다수개의 중공부(d)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연질재이고, 그 외부는 경질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열차단부재(20~50)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가진 여닫이 형태의 창호.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부재(40a)의 내부는 다수개의 중공부(d)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연질재이고, 그 외부는 경질재로 형성되며;
    상기 열차단부재(40a)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가진 여닫이 형태의 창호.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1열차단부재(20b)와, 상기 제4-1열차단부재(40b)의 내부는 다수개의 중공부(d)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연질재이고, 그 외부는 경질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2-1열차단부재(20b)와, 상기 제4-1열차단부재(40b)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가진 여닫이 형태의 창호.
KR1020180144626A 2018-11-21 2018-11-21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 KR102165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626A KR102165561B1 (ko) 2018-11-21 2018-11-21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626A KR102165561B1 (ko) 2018-11-21 2018-11-21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638A KR20200059638A (ko) 2020-05-29
KR102165561B1 true KR102165561B1 (ko) 2020-10-14

Family

ID=70911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626A KR102165561B1 (ko) 2018-11-21 2018-11-21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5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996B1 (ko) 2021-05-07 2022-05-03 주식회사 진광건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35685A2 (de) 2012-11-26 2014-05-28 SCHÜCO International KG Fenster, Tür oder Fassadenelement mit einer Glasbrücke mit integriertem Leuchtmitte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688A (ko) * 2011-07-04 2013-01-14 금산씨엔씨(주) 창호
KR101896484B1 (ko) 2016-08-26 2018-09-07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복합 단열 시스템 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35685A2 (de) 2012-11-26 2014-05-28 SCHÜCO International KG Fenster, Tür oder Fassadenelement mit einer Glasbrücke mit integriertem Leuchtmitt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996B1 (ko) 2021-05-07 2022-05-03 주식회사 진광건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638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125B1 (ko) 통기구조를 적용한 이중 창호
KR101891172B1 (ko) 코너가이드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타입 커튼월
US7562743B2 (en) Acoustical window and door covering
KR102296504B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구조
KR10150848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레일 은폐형 미서기창
KR100778140B1 (ko) 고기밀성 단열창호
KR102165561B1 (ko)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
KR20180015197A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102590250B1 (ko) 단열 창호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102165290B1 (ko)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
KR101731038B1 (ko) 단열 및 기밀성능을 갖는 미서기 창호의 가변형 기밀장치
KR200418951Y1 (ko) 슬라이드 창호의 창틀 프레임 구조
KR102232521B1 (ko) 힌지도어
KR102344812B1 (ko)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한 미서기 창호
KR102186400B1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102348265B1 (ko) 터닝 도어
US20200238795A1 (en) Window assembly having flush frame to sash
KR20210075682A (ko) 미세먼지 방지창호 및 그 시공방법
KR102554639B1 (ko) 개폐창을 가진 커튼 월
CN212317756U (zh) 一种隔音防潮型落地隔离窗
KR200497583Y1 (ko)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
KR102474268B1 (ko) 단열 미서기 창
KR102585016B1 (ko)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KR102030411B1 (ko) 창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