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016B1 -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016B1
KR102585016B1 KR1020220090324A KR20220090324A KR102585016B1 KR 102585016 B1 KR102585016 B1 KR 102585016B1 KR 1020220090324 A KR1020220090324 A KR 1020220090324A KR 20220090324 A KR20220090324 A KR 20220090324A KR 102585016 B1 KR102585016 B1 KR 102585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facing
window
spa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섭
이순창
Original Assignee
(주) 예진복합창호시스템
정한섭
이순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예진복합창호시스템, 정한섭, 이순창 filed Critical (주) 예진복합창호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090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24Single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uble gla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7Springs; Spring tensio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로 열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지진 및 강풍 등에 의한 진동을 흡수해주며, 고단열과 내진용 미서기 창호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에 사각틀 형태로 실외에 가깝게 설치되어 중앙에 관통된 공간이 형성되며, 폐쇄된 내부공간을 가진 제1,2레일이 실외에서 실내 방향으로 차례대로 공간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실내를 향하는 면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며, 제1삽입홈에 한 쌍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외면 한쪽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한 쌍의 돌출부의 사이에 제2삽입홈이 형성된 실외측 창틀; 건축물의 벽체에 사각틀 형태로 실내에 가깝게 설치되어 중앙에 관통된 공간이 형성되며, 폐쇄된 내부공간을 가진 제3,4레일이 실외에서 실내 방향으로 차례대로 공간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실외를 향하는 면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며, 제1삽입홈에 한 쌍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외면 한쪽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한 쌍의 돌출부의 사이에 제2삽입홈이 형성된 실내측 창틀; 제1삽입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양쪽에 형성되며, 삽입부의 외면에 제1끼움홈이 형성된 단열재질로 이루어진 제1열차단 연결부재; 제1끼움홈에 끼워지며, 한쪽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한 쌍의 돌출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개방된 입구의 양쪽에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연결프레임; 걸림턱에 걸림돌기가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제2삽입홈과 삽입홈의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하는 탄성부재; 제1,2,3,4레일에 슬라이딩 안내되어 공간을 개폐해주는 창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High insulation windows with efficient seismic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본 발명은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실내,외로 열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지진 및 강풍 등에 의한 진동을 흡수해주며, 고단열과 내진용 미서기 창호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서기식 창호는 창틀의 레일에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창문이 설치되면서, 창문을 좌,우로 이동시켜 창틀의 관통된 공간을 반만 개폐하는 창호를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창문틀을 이루는 창문틀프레임의 길이를 따라 실내측면과 상부 끝단에 열전도를 차단하는 측면단열틀과 유리지지단열틀이 각각 끼움 결합되며, 외측으로부터 방충망틀레일, 창문틀레일이 상부면에 길이를 따라 일체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내측 끝단에 길이를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는 외측창틀프레임을 형성하고, 상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하나의 내측창문틀레일이 슬라이딩 끼움되며 외측창틀프레임의 삽입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단이 전방에 구비되어진 열전도를 차단하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내측단열창틀프레임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창틀프레임과 내측단열창틀프레임이 결합된 이중 구조의 창틀프레임을 형성하여 실내외의 열 전도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외창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경우에는 지진 및 강풍 등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기가 어려웠었고, 이로 인해, 창문이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1 : 국내등록특허 제10-0917865호(2009.09.10.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실내,외로 열이 이동하는 것을 종래와 다르게 차단하면서, 지진 및 강풍 등에 의한 진동을 종래와 달리 흡수해주는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사각틀 형태로 실외에 가깝게 설치되어 중앙에 관통된 공간이 형성되며, 폐쇄된 내부공간을 가진 제1,2레일이 실외에서 실내 방향으로 차례대로 공간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실내를 향하는 면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며, 제1삽입홈에 한 쌍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외면 한쪽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한 쌍의 돌출부의 사이에 제2삽입홈이 형성된 실외측 창틀; 건축물의 벽체에 사각틀 형태로 실내에 가깝게 설치되어 중앙에 관통된 공간이 형성되며, 폐쇄된 내부공간을 가진 제3,4레일이 실외에서 실내 방향으로 차례대로 공간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실외를 향하는 면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며, 제1삽입홈에 한 쌍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외면 한쪽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한 쌍의 돌출부의 사이에 제2삽입홈이 형성된 실내측 창틀; 제1삽입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양쪽에 형성되며, 삽입부의 외면에 제1끼움홈이 형성된 단열재질로 이루어진 제1열차단 연결부재; 제1끼움홈에 끼워지며, 한쪽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한 쌍의 돌출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개방된 입구의 양쪽에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연결프레임; 걸림턱에 걸림돌기가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제2삽입홈과 삽입홈의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하는 탄성부재; 제1,2,3,4레일에 슬라이딩 안내되어 공간을 개폐해주는 창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외측 창틀과 실내측 창틀의 접촉을 제1열차단 연결부재로 막아서, 실내,외로 열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우수한 고단열 기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실외측 창틀의 제2열차단 연결부재를 통해, 창호의 바깥쪽에서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외,내측 창틀의 사이에 설치된 제1열차단 연결부재를 통해, 창호의 중앙에서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측 창틀의 제3열차단 연결부재를 통해, 창호의 안쪽에서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즉, 실내,외로 열이 이동하는 것을 3중 단열 구조로 차단해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우수한 고단열 기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3열차단 프레임을 통해 단열면적을 상승시켜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탄성부재의 탄성으로 지진 및 강풍 등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창문이 진동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우수한 충격흡수 기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진동에 의한 실외,내측 창틀의 움직임을 탄성부재의 탄성으로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즉, 지진 및 강풍 등에 의한 진동에 의해 실외,내측 창틀이 움직여서 제1열차단 연결부재의 양쪽에 설치된 연결프레임에서 이탈할 우려가 있는데, 탄성부재의 탄성으로 실외,내측 창틀의 걸림돌기와 연결프레임의 걸림턱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실외,내측 창틀의 이탈할 움직임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탄성부재가 탄성이 좋은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진동을 더 잘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3,4레일이 폐쇄된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지지력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2,3,4레일이 제1,2열차단 프레임의 제1끼움돌기에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즉, 창문의 하중에 의해 제1,2,3,4레일이 변형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창문의 하중을 제1,2,3,4레일과 함께 제2,3열차단 연결부재의 끼움부로 지지하기 때문에, 창문의 하중에 의해 실내,외측 창틀이 변형되는 것을 종래보다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실내,외측 창틀 및 제1열차단 연결부재와, 창문의 사이로 실내,외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제1,2열차단 프레임의 돌출부 및 제3열차단 프레임으로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실외 창틀 프레임의 방충망 레일 및 제2실내 창틀 프레임의 돌출부로 실내,외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단열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실내,외측 창틀 및 제1열차단 연결부재와, 창문의 사이로 실내,외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제1,2,3밀폐부재로 막아서, 단열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열차단 프레임의 제2끼움돌기가 제2열차단 연결부재의 제2끼움홈에 끼워지기 때문에, 제1열차단 프레임이 제1,2레일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제2열차단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열차단 프레임의 제2끼움돌기가 제3열차단 연결부재의 제2끼움홈에 끼워지기 때문에, 제2열차단 프레임이 제3,4레일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제3열차단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방충망으로 실내로 벌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벌레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걱정 없이 창문의 개방으로 환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창호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창호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창호의 부분 확대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창호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창호(1000)는 건축물의 벽체(1)에 사각틀 형태로 실외에 가깝게 설치되어 중앙에 관통된 공간(110)이 형성되며, 폐쇄된 내부공간(121a)(131a)을 가진 제1,2레일(121)(131)이 상기 실외에서 실내 방향으로 차례대로 공간(110)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실내를 향하는 면에 제1삽입홈(13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132)에 한 쌍의 돌출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3)의 외면 한쪽에 걸림돌기(134)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돌출부(133)의 사이에 제2삽입홈(135)이 형성된 실외측 창틀(10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측 창틀(100)은 공간(110)을 향하는 면에서 제1레일(121)이 돌출 형성되고, 실내를 향하는 면에 끼움홈(122)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122)의 가장 안쪽 면이 제1레일(121)보다 실외에 가깝도록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22)에서 끼움돌기(123)가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124)이 형성된 제1실외 창틀 프레임(12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실외 창틀 프레임(120)은 알루미늄(Aluminium)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123)는 끼움홈(122)의 가장 안쪽 면에서 실내 방향을 향해 건축물의 벽체(1)와 수평을 이루면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측 창틀(100)은 공간(110)을 향하는 면에서 제2레일(131)이 돌출 형성되고, 실내를 향하는 면에 제1삽입홈(13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132)에서 한 쌍의 돌출부(133)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3)의 외면 한쪽에서 걸림돌기(134)가 돌출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돌출부(133)의 사이에 제2삽입홈(135)이 형성되고, 실외를 향하는 면에 끼움홈(136)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136)의 가장 안쪽 면이 제2레일(131)보다 실내에 가깝도록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36)에서 끼움돌기(137)가 돌출 형성된 제2실외 창틀 프레임(13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실외 창틀 프레임(130)은 알루미늄(Aluminium)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돌출부(133)는 제1삽입홈(132)의 가장 안쪽 면에서 실내 방향을 향해 건축물의 벽체(1)와 수평을 이루면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137)는 끼움홈(136)의 가장 안쪽 면에서 실외 방향을 향해 건축물의 벽체(1)와 수평을 이루면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측 창틀(100)은 끼움홈(122)(136)에 끼워지는 끼움부(141)가 양쪽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141)의 외면에 끼움돌기(123)(137)가 끼워지는 제1끼움홈(142)이 형성된 단열재질로 이루어진 제2열차단 연결부재(14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열차단 연결부재(140)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창호(1000)는 건축물의 벽체(1)에 사각틀 형태로 실내에 가깝게 설치되어 중앙에 관통된 공간(210)이 형성되며, 폐쇄된 내부공간(221a)(231a)을 가진 제3,4레일(221)(231)이 실외에서 상기 실내 방향으로 차례대로 공간(210)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실외를 향하는 면에 제1삽입홈(2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222)에 한 쌍의 돌출부(22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23)의 외면 한쪽에 걸림돌기(224)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돌출부(223)의 사이에 제2삽입홈(225)이 형성된 실내측 창틀(20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 창틀(200)은 공간(210)을 향하는 면에서 제3레일(221)이 돌출 형성되고, 실외를 향하는 면에 제1삽입홈(2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222)에서 한 쌍의 돌출부(223)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23)의 외면 한쪽에서 걸림돌기(224)가 돌출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돌출부(223)의 사이에 제2삽입홈(225)이 형성되고, 실내를 향하는 면에 끼움홈(226)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226)의 가장 안쪽 면이 제3레일(221)보다 실외에 가깝도록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226)에서 끼움돌기(227)가 돌출 형성된 제1실내 창틀 프레임(22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실내 창틀 프레임(220)은 알루미늄(Aluminium)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돌출부(223)는 제1삽입홈(222)의 가장 안쪽 면에서 실외 방향을 향해 건축물의 벽체(1)와 수평을 이루면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227)는 끼움홈(226)의 가장 안쪽 면에서 실내 방향을 향해 건축물의 벽체(1)와 수평을 이루면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 창틀(200)은 공간(210)을 향하는 면에서 제4레일(231)이 돌출 형성되고, 실내를 향하는 면에 끼움홈(232)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232)의 가장 안쪽 면이 제4레일(231)보다 실내에 가깝도록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232)에서 끼움돌기(233)가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234)이 형성된 제2실내 창틀 프레임(23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실내 창틀 프레임(230)은 알루미늄(Aluminium)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233)는 끼움홈(232)의 가장 안쪽 면에서 실외 방향을 향해 건축물의 벽체(1)와 수평을 이루면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 창틀(200)은 끼움홈(226)(232)에 끼워지는 끼움부(241)가 양쪽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241)의 외면에 끼움돌기(227)(233)가 끼워지는 제1끼움홈(242)이 형성된 단열재질로 이루어진 제3열차단 연결부재(24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3열차단 연결부재(240)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창호(1000)는 제1삽입홈(132)(222)에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부(310)가 양쪽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10)의 외면에 제1끼움홈(320)이 형성된 단열재질로 이루어진 제1열차단 연결부재(3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열차단 연결부재(300)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삽입홈(132)(222)의 가장 안쪽 면과 삽입부(310)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호(1000)는 제1끼움홈(320)에 끼워지며, 한쪽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한 쌍의 돌출부(133)(223)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410)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입구의 양쪽에 걸림돌기(134)(224)에 걸림되는 걸림턱(420)이 형성된 연결프레임(4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400)은 알루미늄(Aluminium) 재질로 이루어지며, 삽입홈(410)의 가장 안쪽 면과 걸림돌기기(134)(224)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호(1000)는 걸림턱(420)에 걸림돌기(134)(224)가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제2삽입홈(135)(225)과 삽입홈(410)의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하는 탄성부재(5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500)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00)는 제2삽입홈(135)(225)과 삽입홈(410)의 사이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삽입홈(135)(225)과 삽입홈(410)의 사이에 다수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창호(1000)는 제1,2,3,4레일(121)(131)(221)(231)에 슬라이딩 안내되어 공간(110)(210)을 개폐해주는 롤러가 구비된 창문(60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측 창틀(100)을 향하는 제1,2레일(121)(131)의 외면에는 끼움홈(121b)(13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호(1000)는 끼움홈(121b)(131b)에 끼워지는 제1끼움돌기(701)가 외면 양쪽에서 돌출 형성되며, 제1,2레일(121)(131)의 사이에 끼워지는 단열재질로 이루어진 제1열차단 프레임(7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열차단 프레임(700)은 폴리아미드(Polyamide)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간(110)을 향하는 제1열차단 프레임(700)의 외면에는 한 쌍의 창문(600)의 사이로 삽입되는 돌출부(70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창문(600)을 각각 향하는 돌출부(702)의 양쪽 면에는 끼움홈(702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호(1000)는 끼움홈(702a)에 끼워져서 창문(600)에 밀착되는 제1밀폐부재(8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밀폐부재(800)는 모헤어 또는 가스켓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간(110)을 향하는 제2열차단 연결부재(140)의 외면에는 제2끼움홈(143)이 형성되고, 실외측 창틀(100)을 향하는 제1열차단 프레임(700)의 외면에는 상기 제2끼움홈(143)에 끼워지는 제2끼움돌기(70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110)을 향하는 제1실외 창틀 프레임(120)의 면에는 방충망 레일(125)이 제1레일(121)보다 실외에 가깝도록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충망 레일(125)은 실외 방향에서 보이는 창문(600)의 테두리를 가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창호(1000)는 방충망 레일(125)에 슬라이딩 안내되는 롤러가 구비된 방충망(90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 창틀(200)을 향하는 제3,4레일(221)(231)의 외면에는 끼움홈(221b)(23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호(1000)는 끼움홈(221b)(231b)에 끼워지는 제1끼움돌기(711)가 외면 양쪽에서 돌출 형성되며, 제3,4레일(221)(231)의 사이에 끼워지는 단열재질로 이루어진 제2열차단 프레임(71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열차단 프레임(710)은 폴리아미드(Polyamide)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간(210)을 향하는 제2열차단 프레임(710)의 외면에는 한 쌍의 창문(600)의 사이로 삽입되는 돌출부(71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창문(600)을 각각 향하는 돌출부(712)의 양쪽 면에는 끼움홈(712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호(1000)는 끼움홈(712a)에 끼워져서 창문(600)에 밀착되는 제2밀폐부재(8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밀폐부재(810)는 모헤어 또는 가스켓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간(210)을 향하는 제3열차단 연결부재(240)의 외면에는 제2끼움홈(243)이 형성되고, 실외측 창틀(200)을 향하는 제2열차단 프레임(710)의 외면에는 상기 제2끼움홈(243)에 끼워지는 제2끼움돌기(71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210)을 향하는 제2실내 창틀 프레임(230)의 면에는 돌출부(235)가 제4레일(231)보다 실내에 가깝도록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35)는 실내 방향에서 보이는 창문(600)의 테두리를 가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열차단 연결부재(300)의 외면에는 제2,3레일(131)(221)의 사이로 제2끼움홈(3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호(1000)는 제2끼움홈(330)에 끼워져서 한 쌍의 창문(600)의 사이로 삽입되는 제3열차단 프레임(72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3열차단 프레임(720)은 폴리아미드(Polyamide)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창문(600)을 각각 향하는 제3열차단 프레임(720)의 양쪽 면에는 끼움홈(721)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호(1000)는 끼움홈(721)에 끼워져서 창문(600)에 밀착되는 제3밀폐부재(82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3밀폐부재(820)는 모헤어 또는 가스켓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창호(1000)는 제1,2실외 창틀 프레임(120)(130)의 끼움홈(122)(136)에 제2열차단 연결부재(140)의 끼움부(141)를 끼우면서, 제1,2실내 창틀 프레임(220)(230)의 끼움홈(226)(232)에 제3열차단 연결부재(240)의 끼움부(241)를 끼운다.
즉, 상기 실외측 창틀(100)과 실내측 창틀(20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열차단 연결부재(140)의 제1끼움홈(142)에 제1,2실외 창틀 프레임(120)(130)의 끼움돌기(123)(137)가 끼워지며, 제3열차단 연결부재(240)의 제1끼움홈(242)에 제1,2실내 창틀 프레임(220)(230)의 끼움돌기(227)(233)가 끼워진다.
또한, 상기 제1,2실외 창틀 프레임(120)(130)의 끼움홈(122)(136)은 가장 안쪽 면이 제1,2레일(121)(131)보다 실외,내에 가깝기 때문에, 제2열차단 연결부재(140)의 끼움부(141)가 깊게 끼워진다.
또한, 상기 제1,2실내 창틀 프레임(220)(230)의 끼움홈(226)(232)은 가장 안쪽 면이 제3,4레일(221)(231)보다 실외,내에 가깝기 때문에, 제3열차단 연결부재(240)의 끼움부(241)가 깊게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1열차단 연결부재(300)의 제1끼움홈(320)에 연결프레임(400)을 끼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500)를 실외,내측 창틀(100)(200)의 제2삽입홈(135)(225) 또는 연결프레임(400)의 삽입홈(410)에 삽입하여 설치한 후, 상기 실외,내측 창틀(100)(200)의 제1삽입홈(132)(222)에 제1열차단 연결부재(300)의 삽입부(310)를 삽입시키면서, 상기 실외,내측 창틀(100)(200)의 한 쌍의 돌출부(133)(223)를 연결프레임(400)의 삽입홈(410)으로 삽입시킨다.
그러면, 한 쌍의 상기 돌출부(133)(223)는 걸림돌기(134)(224)가 연결프레임(400)의 개방된 입구에 걸리면서 사이가 좁혀졌다가, 걸림턱(420)에 도달했을 때 원 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500)는 제2삽입홈(135)(225)과 삽입홈(410)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2삽입홈(135)(225)과 삽입홈(410)의 사이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134)(224)는 탄성부재(500)의 탄성에 의해 걸림턱(420)에 걸림되어 고정되며, 제1열차단 연결부재(300)의 삽입부(310) 일부만 실외,내측 창틀(100)(200)의 제1삽입홈(132)(222)에 삽입된다.
즉, 상기 실외,내측 창틀(100)(200)과 제1열차단 연결부재(300)에 설치된 연결프레임(400)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열차단 연결부재(300)에 설치된 연결프레임(400)과 연결된 실외,내측 창틀(100)(200)을 건축물의 벽체(1)에 사각틀 형태로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실외,내측 창틀(100)(200)은 각각 실외,내에 가깝게 설치되며, 상기 실외,내측 창틀(100)(200)의 중앙에는 관통된 공간(110)(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열차단 프레임(700)의 제1끼움돌기(701)를 제1,2레일(121)(131)의 끼움홈(121b)(131b)에 끼우면서, 상기 제1열차단 프레임(700)의 제2끼움돌기(703)를 제2열차단 연결부재(140)의 제2끼움홈(143)에 끼운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702)의 끼움홈(702a)에 제1밀폐부재(800)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2열차단 프레임(710)의 제1끼움돌기(711)를 제3,4레일(221)(231)의 끼움홈(221b)(231b)에 끼우면서, 상기 제2열차단 프레임(710)의 제2끼움돌기(713)를 제3열차단 연결부재(240)의 제2끼움홈(243)에 끼운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712)의 끼움홈(712a)에 제2밀폐부재(810)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3열차단 프레임(720)을 제1열차단 연결부재(300)의 제2끼움홈(330)에 끼우면서, 상기 제3열차단 프레임(720)의 끼움홈(721)에 제3밀폐부재(820)를 끼운다.
여기서, 상기 제3열차단 프레임(720)은 제1열차단 연결부재(300)에서 돌출된다.
그리고, 4개의 상기 창문(600)을 제1,2,3,4레일(121)(131)(221)(231)에 슬라이딩 안내되게 설치하면서, 방충망(900)을 방충망 레일(125)에 슬라이딩 안내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2,3밀폐부재(800)(810)(820)는 창문(600)에 밀착되며, 방충망 레일(125) 및 돌출부(235)는 창문(600)의 테두리를 가리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창호(1000)는 건축물의 벽체(1)에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제1,2,3열차단 연결부재(300)(140)(240) 및 제1,2,3열차단 프레임(700)(710)(720)은 실내,외로 열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호(1000)에 지진 및 강풍 등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창호(1000)의 두께 방향으로 실외,내측 창틀(100)(200)이 움직이면서 걸림턱(420)과 걸림돌기(134)(224)의 사이에 간극(d)이 반복적으로 발생된다.
하지만, 상기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500)는 탄성으로 간극(d)을 최소화 즉, 실외,내측 창틀(100)(200)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열차단 연결부재(140)의 끼움부(141) 및 폐쇄된 내부공간(121a)(131a)을 가진 제1,2레일(121)(131) 및 제1열차단 프레임(700)의 제1끼움돌기(701)는 창문(6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열차단 연결부재(240)의 끼움부(241) 및 폐쇄된 내부공간(221a)(231a)을 가진 제3,4레일(221)(231) 및 제2열차단 프레임(710)의 제1끼움돌기(711)는 창문(6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충망 레일(125) 및 돌출부(235)(702)(712) 및 제3열차단 프레임(720) 및 제1,2,3밀폐부재(800)(810)(820)는 실내,외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충망(900)은 모기, 나방 등과 같은 벌레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실외측 창틀 110 : 공간
120 : 제1실외 창틀 프레임 121 : 제1레일
121a : 내부공간 121b : 끼움홈
122 : 끼움홈 123 : 끼움돌기
124 : 공간 125 : 방충망 레일
130 : 제2실외 창틀 프레임 131 : 제2레일
131a : 내부공간 131b : 끼움홈
132 : 제1삽입홈 133 : 돌출부
134 : 걸림돌기 135 : 제2삽입홈
136 : 끼움홈 137 : 끼움돌기
140 : 제2열차단 연결부재 141 : 끼움부
142 : 제1끼움홈 143 : 제2끼움홈
200 : 실내측 창틀 210 : 공간
220 : 제1실내 창틀 프레임 221 : 제3레일
221a : 내부공간 221b : 끼움홈
222 : 제1삽입홈 223 : 돌출부
224 : 걸림돌기 225 : 제2삽입홈
226 : 끼움홈 227 : 끼움돌기
230 : 제2실내 창틀 프레임 231 : 제4레일
231a : 내부공간 231b : 끼움홈
232 : 끼움홈 233 : 끼움돌기
234 : 공간 235 : 돌출부
240 : 제3열차단 연결부재 241 : 끼움부
242 : 제1끼움홈 243 : 제2끼움홈
300 : 제1열차단 연결부재 310 : 삽입부
320 : 제1끼움홈 330 : 제2끼움홈
400 : 연결프레임 410 : 삽입홈
420 : 걸림턱 500 : 탄성부재
600 : 창문 700 : 제1열차단 프레임
701 : 제1끼움돌기 702 : 돌출부
702a : 끼움홈 703 : 제2끼움돌기
710 : 제2열차단 프레임 711 : 제1끼움돌기
712 : 돌출부 712a : 끼움홈
713 : 제2끼움돌기 720 : 제3열차단 프레임
721 : 끼움홈 800 : 제1밀폐부재
810 : 제2밀폐부재 820 : 제3밀폐부재
900 : 방충망 1000 : 창호

Claims (16)

  1. 건축물의 벽체(1)에 사각틀 형태로 실외에 가깝게 설치되어 중앙에 관통된 공간(110)이 형성되며, 폐쇄된 내부공간(121a)(131a)을 가진 제1,2레일(121)(131)이 상기 실외에서 실내 방향으로 차례대로 공간(110)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실내를 향하는 면에 제1삽입홈(13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132)에 한 쌍의 돌출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3)의 외면 한쪽에 걸림돌기(134)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돌출부(133)의 사이에 제2삽입홈(135)이 형성된 실외측 창틀(100);
    상기 건축물의 벽체(1)에 사각틀 형태로 실내에 가깝게 설치되어 중앙에 관통된 공간(210)이 형성되며, 폐쇄된 내부공간(221a)(231a)을 가진 제3,4레일(221)(231)이 실외에서 상기 실내 방향으로 차례대로 공간(210)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실외를 향하는 면에 제1삽입홈(2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222)에 한 쌍의 돌출부(22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23)의 외면 한쪽에 걸림돌기(224)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돌출부(223)의 사이에 제2삽입홈(225)이 형성된 실내측 창틀(200);
    상기 제1삽입홈(132)(222)에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부(310)가 양쪽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10)의 외면에 제1끼움홈(320)이 형성된 단열재질로 이루어진 제1열차단 연결부재(300);
    상기 제1끼움홈(320)에 끼워지며, 한쪽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한 쌍의 돌출부(133)(223)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410)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입구의 양쪽에 걸림돌기(134)(224)에 걸림되는 걸림턱(420)이 형성된 연결프레임(400);
    상기 걸림턱(420)에 걸림돌기(134)(224)가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제2삽입홈(135)(225)과 삽입홈(410)의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하는 탄성부재(500);
    상기 제1,2,3,4레일(121)(131)(221)(231)에 슬라이딩 안내되어 공간(110)(210)을 개폐해주는 창문(600)을 포함하며,
    상기 실외측 창틀(100)은 공간(110)을 향하는 면에 제1레일(121)이 형성되고, 실내를 향하는 면에 끼움홈(122)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122)의 가장 안쪽 면이 제1레일(121)보다 실외에 가깝도록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22)에 끼움돌기(123)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124)이 형성된 제1실외 창틀 프레임(120);
    상기 공간(110)을 향하는 면에 제2레일(131)이 형성되고, 실내를 향하는 면에 제1삽입홈(13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132)에 한 쌍의 돌출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3)의 외면 한쪽에 걸림돌기(134)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돌출부(133)의 사이에 제2삽입홈(135)이 형성되고, 실외를 향하는 면에 끼움홈(136)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136)의 가장 안쪽 면이 제2레일(131)보다 실내에 가깝도록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36)에 끼움돌기(137)가 형성된 제2실외 창틀 프레임(130);
    상기 끼움홈(122)(136)에 끼워지는 끼움부(141)가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141)의 외면에 끼움돌기(123)(137)가 끼워지는 제1끼움홈(142)이 형성된 단열재질로 이루어진 제2열차단 연결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측 창틀(200)은 공간(210)을 향하는 면에 제3레일(221)이 형성되고, 실외를 향하는 면에 제1삽입홈(2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222)에 한 쌍의 돌출부(22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23)의 외면 한쪽에 걸림돌기(224)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돌출부(223)의 사이에 제2삽입홈(225)이 형성되고, 실내를 향하는 면에 끼움홈(226)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226)의 가장 안쪽 면이 제3레일(221)보다 실외에 가깝도록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226)에 끼움돌기(227)가 형성된 제1실내 창틀 프레임(220);
    상기 공간(210)을 향하는 면에 제4레일(231)이 형성되고, 실내를 향하는 면에 끼움홈(232)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232)의 가장 안쪽 면이 제4레일(231)보다 실내에 가깝도록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232)에 끼움돌기(233)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234)이 형성된 제2실내 창틀 프레임(230);
    상기 끼움홈(226)(232)에 끼워지는 끼움부(241)가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241)의 외면에 끼움돌기(227)(233)가 끼워지는 제1끼움홈(242)이 형성된 단열재질로 이루어진 제3열차단 연결부재(2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열차단 연결부재(300)의 외면에는 제2,3레일(131)(221)의 사이로 제2끼움홈(330)을 형성하고,
    상기 제2끼움홈(330)에 끼워져서 한 쌍의 창문(600)의 사이로 삽입되는 제3열차단 프레임(720)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창문(600)을 각각 향하는 제3열차단 프레임(720)의 양쪽 면에는 끼움홈(721)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721)에 끼워져서 창문(600)에 밀착되는 제3밀폐부재(82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500)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창틀(100)을 향하는 제1,2레일(121)(131)의 외면에는 끼움홈(121b)(131b)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121b)(131b)에 끼워지는 제1끼움돌기(701)가 외면 양쪽에 형성되며, 제1,2레일(121)(131)의 사이에 끼워지는 단열재질로 이루어진 제1열차단 프레임(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110)을 향하는 제1열차단 프레임(700)의 외면에는 한 쌍의 창문(600)의 사이로 삽입되는 돌출부(70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5. 제4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창문(600)을 각각 향하는 돌출부(702)의 양쪽 면에는 끼움홈(702a)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702a)에 끼워져서 창문(600)에 밀착되는 제1밀폐부재(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110)을 향하는 제2열차단 연결부재(140)의 외면에는 제2끼움홈(143)을 형성하고,
    상기 실외측 창틀(100)을 향하는 제1열차단 프레임(700)의 외면에는 제2끼움홈(143)에 끼워지는 제2끼움돌기(70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110)을 향하는 제1실외 창틀 프레임(120)의 면에는 방충망 레일(125)을 제1레일(121)보다 실외에 가깝도록 형성하며,
    상기 방충망 레일(125)에 슬라이딩 안내되는 방충망(9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창틀(200)을 향하는 제3,4레일(221)(231)의 외면에는 끼움홈(221b)(231b)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221b)(231b)에 끼워지는 제1끼움돌기(711)가 외면 양쪽에 형성되며, 제3,4레일(221)(231)의 사이에 끼워지는 단열재질로 이루어진 제2열차단 프레임(7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210)을 향하는 제2열차단 프레임(710)의 외면에는 한 쌍의 창문(600)의 사이로 삽입되는 돌출부(71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11. 제10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창문(600)을 각각 향하는 돌출부(712)의 양쪽 면에는 끼움홈(712a)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712a)에 끼워져서 창문(600)에 밀착되는 제2밀폐부재(8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210)을 향하는 제3열차단 연결부재(240)의 외면에는 제2끼움홈(243)을 형성하고,
    상기 실내측 창틀(200)을 향하는 제2열차단 프레임(710)의 외면에는 제2끼움홈(243)에 끼워지는 제2끼움돌기(71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210)을 향하는 제2실내 창틀 프레임(230)의 면에는 돌출부(235)를 제4레일(231)보다 실내에 가깝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220090324A 2022-07-21 2022-07-21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KR102585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324A KR102585016B1 (ko) 2022-07-21 2022-07-21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324A KR102585016B1 (ko) 2022-07-21 2022-07-21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016B1 true KR102585016B1 (ko) 2023-10-06

Family

ID=8829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324A KR102585016B1 (ko) 2022-07-21 2022-07-21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0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865B1 (ko) 2009-05-25 2009-09-16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단열 외창
KR102342024B1 (ko) * 2021-07-08 2021-12-22 지엘아이 주식회사 지진 충격 감소 및 단열 기능을 가진 창호
KR102423581B1 (ko) * 2022-01-26 2022-07-21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단열복합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865B1 (ko) 2009-05-25 2009-09-16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단열 외창
KR102342024B1 (ko) * 2021-07-08 2021-12-22 지엘아이 주식회사 지진 충격 감소 및 단열 기능을 가진 창호
KR102423581B1 (ko) * 2022-01-26 2022-07-21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단열복합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360B1 (ko)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호 시스템
KR10091999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드 창호
KR102423581B1 (ko)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단열복합창
KR101734011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KR101387586B1 (ko) 구조적인 강성과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의 단열 샤시구조체
KR102296504B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구조
KR102094366B1 (ko) 고단열/고강도 커튼 월 창
KR102368036B1 (ko) 커튼월 창 단열구조체
KR102585016B1 (ko)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KR101969379B1 (ko) 커튼월 유닛
KR102094368B1 (ko) 멀티 테크 단열복합창
KR101400318B1 (ko) 창호 시스템
KR101575077B1 (ko) 미서기 창호 및 미서기 창호를 위한 이탈 방지 장치
KR102381470B1 (ko)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이중 내진 창호
KR101930728B1 (ko) 일체형 방충망 창호
KR101963356B1 (ko) 건물용 조립식 3중유리창호
KR102232521B1 (ko) 힌지도어
KR102422110B1 (ko)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단열복합창
KR20210075682A (ko) 미세먼지 방지창호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51327A (ko) 창호용 차수 판
KR101694490B1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KR102496366B1 (ko)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단열복합창
KR102165561B1 (ko)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
KR102558217B1 (ko) 효율적인 내진 충격흡수 성능을 가진 고단열 창호
KR20180041512A (ko) 단열복합창용 단열 방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