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939B1 -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939B1
KR101898939B1 KR1020170027039A KR20170027039A KR101898939B1 KR 101898939 B1 KR101898939 B1 KR 101898939B1 KR 1020170027039 A KR1020170027039 A KR 1020170027039A KR 20170027039 A KR20170027039 A KR 20170027039A KR 101898939 B1 KR101898939 B1 KR 101898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lass wall
outdoor side
window
parti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0795A (ko
Inventor
황우진
김병수
배상환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7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939B1/ko
Publication of KR20180100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2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arrangements reducing the heat transmission, other than an interruption in a metal 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실외측 일단 중심에서 돌출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결합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프레임을 통해 전달되는 열교현상을 차단하는 단열실런트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프레임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리벽체의 두께에 따라 길이가 형성되는 한 쌍의 열교차단재와, 한 쌍의 상기 열교차단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차단재 사이에 발생하는 대류에 의한 열교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대류차단재와, 상기 열교차단재의 실외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열교차단재의 실외측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열교차단재를 축으로 상기 열교차단재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유리벽체의 일 단부를 감싸는 커버를 구비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 시스템{Window System}
본 발명은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창과 프레임을 통해 전도, 대류 및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사용되는 창호의 역할은 건물의 내부공간에 채광, 조망, 환기를 주목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실내의 공기질 향상 및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는 환기가 필수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창호가 필요하다. 이러한 개폐가 가능한 창호에는 창문을 상하로 개폐하는 프로젝트(Project; PJ) 창호와 좌우로 개폐하는 케이스먼트(Casement; CM) 창호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건물의 창호로써, 하부에 부착된 핸들을 돌린 뒤 바깥쪽으로 밀어서 창문을 상단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개폐하는 아래 열기 방식의 창호를 프로젝트 창호 또는 개폐 창호라고 하고, 우측 또는 좌측에 부착된 핸들을 돌린 뒤 바깥쪽으로 밀어서 창문을 핸들 반대 쪽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개폐하는 옆열기 방식의 창호를 케이스먼트 창호 또는 미닫이 창호라고 한다.
이러한, 개폐 창호는 고층건물에서 필요한 내풍압성능 등을 만족하기 위하여 주로 알루미늄을 창호 프레임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벽체에 고정되는 창틀과, 이 창틀에서 회전되는 창짝을 포함하며, 창짝을 형성하는 창문틀에 유리창이 조립되므로써 창을 개폐하는 창문이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개폐 창호는 유리창의 하중이나 개폐동작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창틀과 유리창의 이음부위가 점차 벌어지며, 이음부위에 의한 열손실 및 고정방법이 어려우므로 다양한 커튼월이나 창호 프레임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과 유리창 사이에 발생하는 열교현상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커튼월 및 프레임의 창틀에 적용가능하며 기밀, 차음, 내풍압성, 수밀성 등 창호의 기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실외측 일단 중심에서 돌출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결합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프레임을 통해 전달되는 열교현상을 차단하는 단열실런트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프레임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리벽체의 두께에 따라 길이가 형성되는 한 쌍의 열교차단재와, 한 쌍의 상기 열교차단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차단재 사이에 발생하는 대류에 의한 열교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대류차단재와, 상기 열교차단재의 실외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열교차단재의 실외측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열교차단재를 축으로 상기 열교차단재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유리벽체의 일 단부를 감싸는 커버를 구비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호 시스템은 다수의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유리벽체와, 상기 유리벽체와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의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유리벽체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구획재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상기 유리벽체가 실외측으로 개폐되는 개폐창과, 상기 메인프레임 일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개폐창이 닫힐 때 상기 구획재가 접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의 실외측에 구비되어 외기 및 상기 구획재를 통해 전달되는 열교현상을 차단하는 차단재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기 열교차단재를 축으로 상기 개폐창이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와 상기 결합프레임에 양 측면이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개폐창이 닫힐 때 상기 구획재와의 접합력을 높여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외기차단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열교차단재의 실외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열교차단재의 단부가 실내측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실외측에서 상기 커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판과, 상기 몸체의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판을 구비하는 보조커버와, 상기 보조커버의 실외측에 구비되며 양 단부의 길이가 상기 결합프레임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픽스창의 일 단부를 감싸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판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고정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획재는 상기 유리벽체의 일 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유리벽체의 실내측 방면에서 상기 유리벽체의 중심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구획재와, 상기 제 1구획재와 아존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 1구획재의 일 단부에서 실내측 방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개폐창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제 2구획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구획재는 상기 유리벽체의 단부 실외측에 구비되는 실링재와, 상기 실링재의 실내측 단부에 상기 유리벽체의 실내측 단부에 구비되는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의 실내측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길이가 설정되어 실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구획판과, 상기 보강판에서 상기 메인프레임 방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되고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결합판을 구비하는 코너존과, 상기 실링재 및 상기 보강판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판을 수용하여 이탈이 방지되어 상기 유리벽체를 통해 전달되는 외기가 상기 제 1구획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부재와, 상기 단열부재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유리벽체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외기를 차단하는 외기차단가스켓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차단재와 아존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보조프레임의 강도보강 및 벌어짐을 방지하는 코너피스를 구비하는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후면에서 상기 제 2구획재의 실내측 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2구획재의 실내면이 접하는 연장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실외측 일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결합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프레임을 통해 전달되는 열교현상을 차단하는 단열실런트와, 상기 고정돌기가 중심에 수용되며 상기 고정돌기를 중심으로 양 측면의 단부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전면에서 상기 유리벽체의 외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열교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공홀이 구비되는 단열부를 구비하는 단열구획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호 시스템은 다수의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유리벽체와, 상기 유리벽체와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의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유리벽체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구획재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상기 유리벽체가 실외측으로 개폐되는 개폐창과, 상기 메인프레임 일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개폐창이 닫힐 때 상기 구획재가 접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의 실외측에 구비되어 외기 및 상기 구획재를 통해 전달되는 열교현상을 차단하는 차단재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획재는 상기 유리벽체의 일 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유리벽체의 실내측 방면에서 상기 유리벽체의 중심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구획재와, 상기 제 1구획재와 아존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 1구획재의 일 단부에서 실내측 방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개폐창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제 2구획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구획재는 상기 유리벽체의 단부 실외측에 구비되는 실링재와, 상기 실링재의 실내측 단부에 상기 유리벽체의 실내측 단부에 구비되는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의 실내측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길이가 설정되어 실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구획판과, 상기 보강판에서 상기 메인프레임 방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되고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결합판을 구비하는 코너존과, 상기 실링재 및 상기 보강판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판을 수용하여 이탈이 방지되어 상기 유리벽체를 통해 전달되는 외기가 상기 제 1구획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부재와, 상기 단열부재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유리벽체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외기를 차단하는 외기차단가스켓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에 의하면, 유리벽체와 메인프레임 사이의 이격공간에 구획재를 구비하여 기밀 및 수밀 성능을 향상시키며 창호를 설치하는 작업 편리성 및 창호의 구조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이 설치된 커튼월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창호 시스템의 메인프레임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창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창호 시스템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이 설치된 커튼월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실외측 일단에 결합부(1110)를 구비하는 메인프레임(1000)과, 다수의 상기 메인프레임(1000) 사이에 구비되어 실외측으로 개폐되는 개폐창(20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0) 일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개폐창(2000)이 닫힐 때 열교현상을 차단하는 고정프레임(30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창호 시스템은 다수의 메인프레임(1000)이 직교하여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0) 사이에 픽스창(100)이 구비되고 픽스창(100) 사이에 개폐가 가능한 개폐창(2000)이 구비되어 커튼월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커튼월은 일반적으로 고층 또는 초고층건축에 많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전에 공장에서 제작한 외벽 패널을 들어올려서 붙일 수 있다. 커튼월은 건물의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에서 벽체(미도시)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구실을 할 수 있다. 커튼월은 기둥과 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유리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중 및 삼중유리나 열선흡수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튼월은 벽체 외부에 고정앵커(미도시)를 설치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앵커는 벽체에 고정되기 전에 벽체 사이에 고정앵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앵글은 상기 커튼월을 고정하기 위하여 커튼월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앵글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프레임(1000)은 벽체 등과 같은 구조체(미도시)에 고정되어 결합프레임(1100), 단열실런트(1200), 열교차단재(1300), 대류차단재(1400), 커버(1500), 외기차단판(1600)과 직간접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창호 시스템이 완성되도록 하는 뼈대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000)은 일 측면에 결합되는 픽스창(100)의 일 단부를 수용하며 감싸도록 외측에 커버(1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프레임(1100)은 메인프레임(1000)의 실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프레임(1100)의 실외측 일단 중심에서 돌출되는 결합부(1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결합프레임(1100)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원활하게 사각 등 다양한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110)는 상기 결합프레임(1100)의 전면에서 소정의 폭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된 결합부(1110)의 실외측에는 열교차단재(1300)의 일 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3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300)은 상기 결합부(1110)의 실외측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열교차단재(130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111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프레임(1100)의 실외측 단부에는 결합부(1110)가 구비되는 양 측면으로 실런트(700)가 결합되는 결합홈(30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실런트(120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열교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결합프레임(1100)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프레임(110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프레임(1100)을 통해 전달되는 열교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실런트(1200)는 유동성이 확보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되는 상기 결합프레임(1100)의 내측에 원활하게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차단재(1300)는 상기 결합부(1110)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홈(300)에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열교차단재(1300)의 양 단부는 상기 결합홈(30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이탈방지돌기(1111)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차단재(1300)의 길이는 상기 메인프레임(1000)에 결합되는 유리벽체(2100)의 두께에 따라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벽체(2100)가 2중 및 3중으로 형성되면 그에 따라 상기 열교차단재(1300)의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유리벽체(2100)의 일 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대류차단재(1400)는 한 쌍의 상기 열교차단재(13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차단재(1300) 사이에 발생하는 대류에 의한 열교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대류차단재(1400)는 한쌍의 열교차단재(1300) 사이에 구비되어 대류를 차단하며 유동성을 갖기 위하여 내부에 다수의 홀이 구비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양 단부가 절곡된 한쌍의 열교차단재(1300) 사이에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대류차단재(1400)가 한쌍의 열교차단재(1300) 사이에 견고하게 삽입되기 위하여 한쌍의 열교차단재(1300) 사이의 수용공간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한쌍의 열교차단재(1300) 사이에 억지끼움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대류차단재(1400)는 한쌍의 열교차단재(1300)의 수용공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쌍의 열교차단재(1300) 사이에 견고히 수용될 수 있으므로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열교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500)는 상기 열교차단재(1300)의 실외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열교차단재(1300)의 실외측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0)을 축으로 상기 개폐창(2000)과 상반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픽스창(100)의 일 단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커버(1500)는 상기 열교차단재(1300)의 실외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열교차단재(1300)의 단부가 실내측에 결합되는 보조커버(1510)와, 상기 보조커버(1510)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고정커버(1520)할 수 있다.
상기 보조커버(1510)는 상기 열교차단재(1300)의 실외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열교차단재(1300)의 단부가 실내측에 결합되는 몸체(1511)와, 상기 몸체(1511)의 실외측에서 상기 커버(15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판(1512)과, 상기 몸체(1511)의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판(151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1511)는 한쌍의 열교차단재(1300) 중 결합부(1110)에 결합되는 단부의 타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홈(300)이 실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300)은 실내측 후면에 한쌍의 열교차단재(1300)가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1511)의 실내측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판(1512)은 상기 몸체(1511)의 실외측으로 연장되며 실외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커버(15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걸림판(1512)은 상기 몸체(1511)의 실외측에서 연장될 때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홈이 형성되어 픽스창(100) 및 개폐창(2000)에 발생하는 결로수 및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로 방출되도록 방출홀(15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출홀(1514)의 상부에는 결로수 및 빗물이 원활히 하부로 전달되며 상기 방출홀(1514)에 의하여 열교현상이 차단되도록 다공홀의 결로차단재(15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판(1513)은 상기 몸체(1511)의 일 단부 중 개폐창(2000) 방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511)의 일 단부에서 실외측으로 소정의 거리로 연장된 후 개폐창(2000) 방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판(1513)은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개폐창(2000)이 개폐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커버(1520)는 상기 보조커버(1510)의 실왹측에 구비되며 양 단부의 길이가 상기 결합프레임(110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픽스창(100)의 일 단부를 감싸는 본체(1521)와, 상기 본체(1521)의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판(1512)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15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1521)는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실외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521)의 양 단부는 실내측으로 절곡되며 실내측 단부에서 다시 상기 본체(1521)의 중심 방면으로 절곡되어 픽스창(100)의 일 단부가 감싸져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본체(1521)의 일 단부는 상기 보조커버(1510)의 연장판(1513)과 접하는 위치에 결로수 및 빗물이 원활히 외부로 방출되도록 방출판(15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1522)는 상기 본체(1521)의 실내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된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조커버(1510)의 걸림판(1512)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기차단판(1600)은 상기 열교차단재(1300)의 일 측면에 형성된 상기 보조커버(1510)의 몸체(1511)와 상기 결합프레임(11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창(2000)이 닫힐 때 상기 차단재(3200)와의 접합력을 높여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기차단판(1600)은 상기 열교차단재(1300)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형성되는 차단판(1610)과, 상기 차단판(1610)의 양 단부에서 열교차단재(1300) 방면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판(16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판(1620)은 상기 차단판(1610)의 양 단부에서 열교차단재(1300) 방면으로 절곡되는 공간에 실런트(700)가 구비되어 연장판(1513)과 결합프레임(1100)이 접하는 위치의 열교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판(1620)은 실런트(700)가 구비되는 공간에서 열교차단재(1300) 방면으로 다시 절곡되어 상기 결합프레임(1100)과 상기 연장판(1513)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창을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창(2000)은 다수의 상기 메인프레임(1000) 사이에 구비되는 유리벽체(2100)와, 상기 유리벽체(210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의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유리벽체(2100)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구획재(22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리벽체(2100)는 유리창이 2중 및 3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유리창이 2중 및 3중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유리창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와, 상기 유리벽체(2100)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링재(231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벽체(2100)는 2중 및 3중으로 형성되도록 다수의 유리창 사이에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스페이서의 외측은 실링재(2311)를 삽입하여 2장의 유리창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으며, 상기 유리벽체(2100)의 일 단부의 양측면에는 실링재(2311)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유리벽체(2100) 사이에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재(2311)는 상기 유리벽체(2100)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기밀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유리벽체(2100)는 픽스창(100) 및 개폐창(2000) 어디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획재(2200)는 상기 구획재(2200)는 상기 유리벽체(2100)의 일 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유리벽체(2100)의 실내측 방면에서 상기 유리벽체(2100)의 중심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구획재(2300)와, 상기 제 1구획재(2300)와 아존(400)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 1구획재(2300)의 일 단부에서 실내측 방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개폐창(2000)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500)가 설치되는 제 2구획재(24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구획재(2300)는 상기 유리벽체(2100)의 단부 실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리벽체(2100)가 상기 메인프레임(1000)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구획재(2300)는 상기 유리벽체(2100)의 후면에서 상기 유리벽체(2100)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연장구획판(2313)이 구비되어 상기 제 2구획재(2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구획재(2300)는 상기 유리벽체(2100)의 일 단부 실외측에 구비되는 코너존(2310)과, 상기 코너존(2310)을 감싸서 외기가 상기 제 1구획재(23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부재(2320)와, 상기 단열부재(2320)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외기차단가스켓(23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너존(2310)은 상기 제 1구획재(2300)의 단부에 다양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리벽체(210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 및 외력에 의한 충격에 대하여 보강할 수 있고 상기 제 1구획재(2300)와 상기 유리벽체(2100)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코너존(2310)은 상기 유리벽체(2100)의 단부 실외측에 구비되는 실링재(2311)와, 상기 실링재(2311)의 실내측 단부에 상기 유리벽체(2100)의 단부의 실내측 단부에 구비되는 보강판(2312)과, 상기 보강판(2312)의 실내측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형상에 따라 길이가 설정되어 실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구획판(2313)과, 상기 보강판(2312)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000) 방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되고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결합판(231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링재(2311)는 유리벽체(2100)와 메인프레임(1000)이 접합되는 위치인 상기 유리벽체(2100)의 실외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백업재(600)가 구비되고 이를 접합되는 실링재(231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2312)은 상기 실링재(2311)의 실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리벽체(2100)의 실내측 단부를 보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강판(2312)은 상기 유리벽체(2100)의 일 단부 전체를 보강하지 않고 절반 이상 보강하여 유리벽체(2100)를 지지함에 있어 지지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판(2312)의 외측이 외기와 접하지 않으므로 외기가 상기 보강판(2312)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연장구획판(2313)은 상기 보강판(2312)의 실내측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형상에 따라 길이가 설정되어 실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구획판(2313)이 상기 유리벽체(2100)의 후면에서 상기 유리벽체(2100)의 중심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실외측이 실내측보다 낮게 형성될 경우에도 상기 연장구획판(2313)의 길이를 조절하여 원활하게 상기 유리벽체(210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판(2314)은 상기 보강판(2312)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000) 방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된 일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열부재(23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2320)는 상기 유리벽체(2100)의 일 단부에서 상기 유리벽체(2100)를 통해 전달되는 열교현상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유리벽체(2100)의 일 단부에 구비되는 실링재(2311) 및 상기 보강판(2312)의 단부와 상기 결합판(2314)을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부재(2320)는 폴리아미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단부에는 상기 외기차단가스켓(2330)을 고정하는 고정홀(23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2321)은 상기 단열부재(2320)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고정홀(2321)마다 상기 외기차단가스켓(2330)을 고정하여 다수의 상기 외기차단가스켓(2330)을 통해 열교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부재(2320)는 상기 단열부재(23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판(2314)을 수용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결합판(2314) 사이에 중공홀(200)이 구비되어 상기 유리벽체(2100) 및 외기를 통해 전달되는 열이 상기 제 1구획재(23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부재(2320)와 상기 보강판(2312) 사이에는 별도의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기차단가스켓(2330)은 상기 단열부재(2320)에 구비된 고정홀(2321)에 일 단부가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고정홀(2321)에서 돌출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0)과 상기 유리벽체(2100)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외기를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기차단가스켓(2330)의 타 단부는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외기차단판(160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외기차단판(1600)과 접할 때 접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 2구획재(2400)는 상기 유리벽체(2100)의 실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창(2000)을 개폐하는 개폐장치(500)가 후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구획판(2313)과 아존(400)에 의하여 구획되어 상기 실내측으로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구획재(2400)는 상기 유리벽체(2100)와 접하는 위치에 열교현상을 차단하기 위하여 코킹재 및 실링재(23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코킹재는 결로 등에 의하여 상기 제 2구획재(2400)와 상기 유리벽체(2100) 사이에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2구획재(2400)와 상기 유리벽체(2100) 사이를 충진하거나 테이프와 같이 롤로 형성되어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구획재(2400)는 내측에 상기 제 2구획재(2400)의 강도보강 및 벌어짐을 방지하고 개폐장치(500)와의 조립부위에 발생하는 틈새를 방지할 수 있는 코너피스(311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프레임(30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0) 일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개폐창(2000)이 닫힐 때 상기 구획재(2200)가 접하는 보조프레임(3100)과, 상기 보조프레임(3100)의 실외측에 구비되어 외기 및 상기 구획재(2200)를 통해 전달되는 열교현상을 차단하는 차단재(32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3100)은 상기 차단재(3200)와 아존(400)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보조프레임(3100)의 강도보강 및 벌어짐을 방지하는 코너피스(3111)를 구비하는 몸체프레임(3110)과, 상기 몸체프레임(3110)의 후면에서 상기 제 2구획재(2400)의 실내측 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2구획재(2400)의 실내면이 접하는 연장프레임(3120)과, 상기 몸체프레임(31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0)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프레임(30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31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프레임(311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내측에 상기 보조프레임(3100)의 강도보강 및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코너피스(311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프레임(3110)의 실외측은 차단재(3200)와 아존(400)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재(3200)는 상기 몸체프레임(3110)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별도의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장프레임(3120)은 상기 몸체프레임(3110)의 실내측 방면에서 상기 제 2구획재(2400)의 실내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프레임(3120)은 상기 제 2구획재(2400)와 접하는 위치에 상기 제 2구획재(2400)에 의하여 전달되는 열교를 차단하며 상기 개폐창(2000)이 닫힐 때 상기 제 2구획재(2400)와 상기 연장프레임(3120) 사이에 충격완화를 위한 차단재(3200)가 수용되는 수용부(311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프레임(3120)은 내측에 코너피스(3111)가 구비되어 상기 연장프레임(3120)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112)는 실외측으로 이탈방지돌기(1111)를 구비하여 상기 차단재(3200)가 충격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3112)의 외부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130)은 상기 몸체프레임(3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0)이 접하는 위치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프레임(3110)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지지프레임(3130)의 측면에 실런트(700)가 구비되어 열교현상을 차단하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런트(700)는 상기 몸체프레임(3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0)이 접하는 위치에 다수가 구비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열교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 2구획재(24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프레임(3110)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0)에 체결되는 고정철물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창호 시스템을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인프레임(1000)은 노출형 프레임으로써 픽스창(100) 및 개폐창(20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00)은 실외측 일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기 결합부(1110)와, 상기 결합부(1110)에서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1120)를 구비하는 결합프레임(1100)과, 상기 결합프레임(110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프레임(1100)을 통해 전달되는 열교현상을 차단하는 단열실런트(1200)와, 상기 고정돌기(1120)가 중심에 수용되며 상기 고정돌기(1120)를 중심으로 양 측면의 단부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1110)에 삽입되는 삽입부(1710)와, 상기 삽입부(1710)의 전면에서 상기 유리벽체(2100)의 외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열교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공홀(200)이 구비되는 단열부(1720)를 구비하는 단열구획재(17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프레임(1100)은 메인프레임(1000)의 실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프레임(1100)의 실외측 일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결합부(1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결합프레임(1100)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원활하게 사각 등 다양한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110)는 상기 결합프레임(1100)의 전면에서 소정의 폭으로 절곡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내측으로 삽입된 결합부(1110)의 중심에서 전면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1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110)의 양 측면은 단열실런트(1200)의 일 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3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300)은 상기 결합부(1110)의 실내측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단열실런트(120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전면측에 이탈방지판(113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실런트(120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열교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결합프레임(1100)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프레임(110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프레임(1100)을 통해 전달되는 열교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실런트(1200)는 유동성이 확보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되는 상기 결합프레임(1100)의 내측에 원활하게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구획재(1700)는 폴리아미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돌기(1120)가 중심에 수용되며 상기 고정돌기(1120)를 중심으로 양 측면의 단부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1110)에 삽입되는 삽입부(1710)와, 상기 삽입부(1710)의 전면에서 상기 유리벽체(2100)의 외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열교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공홀(200)이 구비되는 단열부(17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710)는 상기 단열구획재(1700)의 실내측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1110)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1120)가 상기 삽입부(171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17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돌기(1120)에 구비된 이탈방지홈(1711)에 결합되는 이탈방지턱이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삽입부(1710)는 상기 결합부(1110) 전면에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삽입부(1710)가 상기 결합부(1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부(1710)는 상기 결합홈(300)에 결합되도록 일 단부가 양측으로 연장되고 이탈방지판(1130)에 의하여 걸릴 수 있다.
상기 단열부(1720)는 상기 삽입부(17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열교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공홀(20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구획재(1700)는 상기 결합부(1110)의 고정돌기(1120)가 상기 유리벽체(2100)의 외측까지 돌출되면 상기 단열부(1720)를 내부에 수용하여 실내측의 삽입부(1710)가 상기 결합부(1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열부(1720)는 제외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0: 메인프레임 1100: 결합프레임
1110: 결합부 1120: 고정돌기
1200: 단열실런트 1300: 열교차단재
1400: 대류차단재 1500: 커버
1600: 외기차단판 1700: 단열구획재
2000: 개폐창 2100: 차단재
2200: 구획재 2300: 제 1구획재
2400: 제 2구획재 3000: 고정프레임
3100: 보조프레임

Claims (10)

  1. 실외측 일단 중심에서 돌출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결합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프레임을 통해 전달되는 열교현상을 차단하는 단열실런트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프레임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리벽체의 두께에 따라 길이가 형성되는 한 쌍의 열교차단재와,
    한 쌍의 상기 열교차단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차단재 사이에 발생하는 대류에 의한 열교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대류차단재와,
    상기 열교차단재의 실외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열교차단재의 실외측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열교차단재를 축으로 상기 열교차단재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유리벽체의 일 단부를 감싸는 커버를 구비하는 메인프레임과,
    다수의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유리벽체와, 상기 유리벽체와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의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유리벽체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구획재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상기 유리벽체가 실외측으로 개폐되는 개폐창과,
    상기 메인프레임 일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개폐창이 닫힐 때 상기 구획재가 접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의 실외측에 구비되어 외기 및 상기 구획재를 통해 전달되는 열교현상을 차단하는 차단재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기 열교차단재를 축으로 상기 개폐창이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와 상기 결합프레임에 양 측면이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개폐창이 닫힐 때 상기 구획재와의 접합력을 높여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외기차단판을 구비하고,
    상기 구획재는 상기 유리벽체의 일 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유리벽체의 실내측 방면에서 상기 유리벽체의 중심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구획재와,
    상기 제 1구획재와 아존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 1구획재의 일 단부에서 실내측 방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개폐창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제 2구획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차단재와 아존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보조프레임의 강도보강 및 벌어짐을 방지하는 코너피스를 구비하는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후면에서 상기 제 2구획재의 실내측 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2구획재의 실내면이 접하는 연장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열교차단재의 실외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열교차단재의 단부가 실내측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실외측에서 상기 커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판과, 상기 몸체의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판을 구비하는 보조커버와,
    상기 보조커버의 실외측에 구비되며 양 단부의 길이가 상기 결합프레임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픽스창의 일 단부를 감싸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판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고정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획재는 상기 유리벽체의 단부 실외측에 구비되는 실링재와, 상기 실링재의 실내측 단부에 상기 유리벽체의 실내측 단부에 구비되는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의 실내측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길이가 설정되어 실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구획판과, 상기 보강판에서 상기 메인프레임 방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되고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결합판을 구비하는 코너존과,
    상기 실링재 및 상기 보강판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판을 수용하여 이탈이 방지되어 상기 유리벽체를 통해 전달되는 외기가 상기 제 1구획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부재와,
    상기 단열부재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유리벽체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외기를 차단하는 외기차단가스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27039A 2017-03-02 2017-03-02 창호 시스템 KR101898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039A KR101898939B1 (ko) 2017-03-02 2017-03-02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039A KR101898939B1 (ko) 2017-03-02 2017-03-02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795A KR20180100795A (ko) 2018-09-12
KR101898939B1 true KR101898939B1 (ko) 2018-09-14

Family

ID=6359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039A KR101898939B1 (ko) 2017-03-02 2017-03-02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274B1 (ko) * 2019-05-16 2020-03-02 강희철 내진장치를 구비한 단열시스템 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795B1 (ko) * 2018-12-28 2019-10-10 주식회사 경일알미늄 커튼월
KR102181848B1 (ko) * 2019-05-10 2020-11-23 주식회사 선우시스 일체형 열교차단재를 구비하는 커튼월
KR102266276B1 (ko) * 2019-06-11 2021-06-17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단열 커튼월 시스템
KR102442044B1 (ko) * 2022-03-03 2022-09-22 주식회사 한동창호 힌지식 프로젝트 창이 구비된 단열 커튼월
KR102615289B1 (ko) * 2023-06-23 2023-12-19 주식회사 대진산업 방화창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622B1 (ko) * 2010-12-28 2013-04-01 전병섭 창틀과 창문틀의 이중단열 구조
KR200471671Y1 (ko) 2013-07-31 2014-03-10 (주)다중씨엠씨 창호용 3중 단열 프레임
KR101470909B1 (ko) * 2014-05-09 2014-12-10 (주)점보산업 기능성 단열 창호
KR101547221B1 (ko) 2015-03-02 2015-08-25 주식회사 알프 유리 두께에 대응하는 가변 장착 구조 및 단열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KR101630393B1 (ko) * 2014-06-23 2016-06-14 주식회사 우성알테크 기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커튼월
KR101657419B1 (ko) 2015-07-26 2016-09-30 조우집 다목적 단열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90075B1 (it) * 1997-03-13 1998-10-19 Me Tra Metallurg Trafilati All Struttura di profilati in alluminio ad interruzione di ponte termico particolarmente studiata per serramenti e simili
KR20180027912A (ko) * 2016-09-07 2018-03-15 김용삼 비노출 타입 커튼월 유닛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622B1 (ko) * 2010-12-28 2013-04-01 전병섭 창틀과 창문틀의 이중단열 구조
KR200471671Y1 (ko) 2013-07-31 2014-03-10 (주)다중씨엠씨 창호용 3중 단열 프레임
KR101470909B1 (ko) * 2014-05-09 2014-12-10 (주)점보산업 기능성 단열 창호
KR101630393B1 (ko) * 2014-06-23 2016-06-14 주식회사 우성알테크 기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커튼월
KR101547221B1 (ko) 2015-03-02 2015-08-25 주식회사 알프 유리 두께에 대응하는 가변 장착 구조 및 단열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KR101657419B1 (ko) 2015-07-26 2016-09-30 조우집 다목적 단열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274B1 (ko) * 2019-05-16 2020-03-02 강희철 내진장치를 구비한 단열시스템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795A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939B1 (ko) 창호 시스템
KR101609246B1 (ko) 다중 단열 개폐창호 시스템
KR101308360B1 (ko)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호 시스템
KR101617787B1 (ko) 커튼월
KR101734011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KR101854143B1 (ko) 커튼월 유닛
KR101591899B1 (ko) 다중 단열 개폐창호 시스템
KR101630393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커튼월
KR101729645B1 (ko) 이격 틈새를 갖는 내부 공기 배출형 내진 외벽패널 조립체
KR20180027912A (ko) 비노출 타입 커튼월 유닛
KR200491614Y1 (ko) 오염방지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마감패널 조립체
KR101955665B1 (ko) 3d 단열 시스템
KR102094366B1 (ko) 고단열/고강도 커튼 월 창
KR101732474B1 (ko) 이격 틈새를 갖는 내부 공기 배출형 내진 외벽패널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1969379B1 (ko) 커튼월 유닛
KR101654567B1 (ko) 착탈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KR101896484B1 (ko) 복합 단열 시스템 도어
KR101877759B1 (ko) 가변형 창호 시스템
KR101750695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833232B1 (ko) 단열성능을 확보한 노출 및 비노출 타입 자재 겸용 커튼월 어셈블리
KR101956069B1 (ko) 3d 단열 시스템
KR102266276B1 (ko) 단열 커튼월 시스템
KR101800191B1 (ko) 창호 시스템
KR102181848B1 (ko) 일체형 열교차단재를 구비하는 커튼월
KR102124366B1 (ko) 결로방지 구조를 가지는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