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425Y1 -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기초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 - Google Patents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기초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425Y1
KR200497425Y1 KR2020230000585U KR20230000585U KR200497425Y1 KR 200497425 Y1 KR200497425 Y1 KR 200497425Y1 KR 2020230000585 U KR2020230000585 U KR 2020230000585U KR 20230000585 U KR20230000585 U KR 20230000585U KR 200497425 Y1 KR200497425 Y1 KR 2004974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oupled
upper support
vertic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오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영에스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영에스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영에스엠씨
Priority to KR2020230000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4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4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내진력이 향상되고 부식이 방지되며 수평이 잘 유지되도록, 저면이 바닥과 접하는 하부받침판과, 내부가 빈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부받침판의 윗면에 세워져 결합되는 하부서포트와, 하부서포트의 내부에 세워져 설치되는 이송 수나사봉과, 내부가 빈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부 끝부분이 이송 수나사봉과 나선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서포트와, 저면이 상부서포트의 다른쪽 끝부분과 결합되고 윗면이 기초프레임과 접하는 상부받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기초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 {Base Pad of Earthquake-Proof Structure Prefabricated Water Tank and Earthquake-Proof Type Prefabricated Water}
본 고안은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기초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진력이 우수하고 빗물이나 수분에 의한 내부 부식이 방지되며 기초프레임의 수평이 잘 유지되도록 구성한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기초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물탱크는 공장에서 일정 규격으로 제조되는 단위패널을 현장에서 물을 저장하기에 알맞게 통형상으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조립식 물탱크는 각종 용수를 대량으로 저장할 필요가 있는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이나 학교, 고층빌딩, 공장 등에 많이 시공되고 있고, 단위패널은 강도 및 내식성이 우수한 에스엠씨(SMC:sheet molding compound)나 스테인리스스틸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조립식 물탱크의 시공은, 먼저 현장에 기초를 설치한 후 기초 위에 단위패널을 설치하게 된다. 즉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면에 복수의 패드(1b)가 돌출 형성되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기초바닥(1a)을 형성한 후 상기 패드(1b)의 상부에 기초프레임(1c)을 설치하고,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초프레임(1c) 위에 복수의 단위패널(1f)을 연결하여 사각통형상으로 본체(1e)를 조립한다.
여기서 기초바닥은 모든 패드를 정확히 같은 높이로 시공하기 어렵고 하나의 패드에서도 위치별로 높낮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기초바닥 위에 기초프레임을 설치하게 되면 패드와 기초프레임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거나 기초프레임이 기울어지는 등 균형이 잘 맞지 않게 되면서 구조적으로 강도가 취약해지고 내진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기초프레임(1c) 시공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L)자 형상의 고정브라켓(1d)을 이용하여 기초프레임(1c)을 패드(1b)에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패드의 높이가 위치별로 다르므로 고정브라켓의 설치작업이 어렵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53525호(2021. 05. 12.) 등록특허공보 제10-2323541호(2021. 11. 02.)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진력이 우수하고 빗물이나 수분에 의한 내부 부식이 방지되며 기초프레임의 수평이 잘 유지되도록 구성한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기초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는 저면이 바닥과 접하는 하부받침판과, 내부가 빈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받침판의 윗면에 세워져 결합되는 하부서포트와, 상기 하부서포트의 내부에 세워져 설치되는 이송 수나사봉과, 내부가 빈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부 끝부분이 상기 이송 수나사봉과 나선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서포트와, 저면이 상기 상부서포트의 다른쪽 끝부분과 결합되고 윗면이 기초프레임과 접하는 상부받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서포트는 원통형의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끝부분이 상기 하부받침판과 결합되는 하부서포트관과, 원형의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서포트관의 상부 끝부분에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상부서포트가 관통되어 상기 이송 수나사봉과 결합되게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하부덮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서포트는 상기 하부서포트관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끝부분 모서리가 상기 상부받침판과 결합되는 상부서포트관과, 원형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서포트관의 하부 끝부분에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이송 수나사봉이 관통되게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상부덮개판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끝부분이 상기 상부덮개판과 결합되며 상기 이송 수나사봉과 나선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너트구멍이 축선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이송 암나사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상기 상부서포트가 임의로 회전운동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하부서포트와 상부서포트를 결합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하부덮개판의 윗면과 상부서포트관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양측으로 나누어 덮으며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이 제안하는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는 바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기초 패드와, 상기 복수의 기초 패드 위에 설치되는 기초프레임과, 각각 다수개의 결합공을 갖는 수직플랜지와 수평플랜지가 형성되는 단위패널이 결합되어 조립됨에 따라 내부에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물탱크 본체와, 상기 물탱크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세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서로 겹치는 한 쌍의 수직플랜지의 외측에 맞대어지면서 외측에서 일체로 결합되며 한 쌍이 좌우 대칭되게 구성되는 제1 주프레임과 제2 주프레임을 포함하는 보강 주프레임과, 상기 제1 주프레임과 제2 주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주프레임과 제2 주프레임의 외측 벌어짐을 방지하는 보조 프레임과, 상기 보조 프레임과 상기 보강 주프레임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초프레임에 결합되는 하부고정 브래킷과, 일측이 상기 하부고정 브래킷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기초 패드의 상측과 결합되는 하부연결 브래킷과, 상기 물탱크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 본체의 서로 대향하는 양쪽 측면에 위치한 상기 보조 프레임과 상기 보강 주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에 의하면, 기초 패드의 하부서포트와 상부서포트가 원통형의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이송 수나사봉이 하부서프트 내부에 위치하며 상부서포트관이 하부서포트의 관통구멍을 통해 하부서포트관에 삽입되어 이송 수나사봉과 결합되므로 내진력이 향상되고 이송 수나사봉의 부식 방지 및 외력으로부터 보호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에 의하면, 기초 패드의 상부서프트와 하부서포트가 클램프를 통해 결합되므로 외력이나 물탱크의 하중, 자연현상 등으로 인해 상부서프트 또는 하부서포트가 회전되어 물탱크의 수평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부서포트관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를 갖는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에 의하면, 물탱크가 전체적으로 일체형으로 결합되므로 내진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의 클램프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의 클램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의 클램프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를 나타내는 정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에 대한 물탱크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에서 물탱크 본체의 측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에 적용된 보강 주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B-B'부분에 대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C-C'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0의 D부분에 대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0의 E-E'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0의 E-E'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에 적용된 싱부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종래 조립식 물탱크의 기초바닥 및 기초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종래 조립식 물탱크의 기초바닥 및 기초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종래 조립식 물탱크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종래 조립식 물탱크의 기초를 부분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디든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내진구조를 갖는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고안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고안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면이 바닥과 접하는 하부받침판(102)과, 내부가 빈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받침판(102)의 윗면에 세워져 결합되는 하부서포트(110)와, 상기 하부서포트(110)의 내부에 세워져 설치되는 이송 수나사봉(120)과, 내부가 빈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부 끝부분이 상기 이송 수나사봉(120)과 나선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서포트(130)와, 저면이 상기 상부서포트(130)의 다른쪽 끝부분과 결합되고 윗면이 기초프레임(200)과 접하는 상부받침판(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받침판(102)은 대략 사각형의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이 콘크리트 등으로 된 바닥(2)과 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받침판(102)에는 앙카볼트(10) 등을 통해 바닥(2)에 고정될 수 있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한 쌍의 볼트구멍(104)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서포트(110)는 원통형의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끝부분 모서리가 상기 하부받침판(102)의 윗면과 용접 결합되는 하부서포트관(112)과, 원형상의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바깥쪽 모서리가 상기 하부서포트관(112)의 상부 끝부분 모서리와 용접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상부서포트(130)가 관통되어 상기 이송 수나사봉(120)과 결합되게 원형의 관통구멍(116)이 형성되는 하부덮개판(1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 수나사봉(120)은 하부 끝부분 모서리가 상기 하부받침판(120)의 윗면 중앙과 용접 결합된다.
상기 이송 수나사봉(120)은 외주에 사각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서포트(130)는 상기 하부서포트관(112)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끝부분 모서리가 상기 상부받침판(140)의 저면과 용접 결합되는 상부서포트관(132)과, 원형상의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바깥쪽 모서리가 상기 상부서포트관(132)의 하부 끝부분 모서리와 용접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이송 수나사봉(120)이 관통되게 원형의 관통구멍(135)이 형성되는 상부덮개판(134)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끝부분 모서리가 상기 상부덮개판(134)의 저면과 용접 결합되며 상기 이송 수나사봉(120)과 나선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너트구멍(137)이 축선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이송 암나사봉(1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 암나사봉(136)의 너트구멍(137)에도 상기 이송 수나사봉(120)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사각나사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서포트(130)는 작업자가 상부서포트관(132)이나 상부받침판(140)을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게 되면 상승이나 하강이 되면서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기초프레임(200)의 수평 설정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부서포트관(110)의 외주면에는 높이 파악이 용이하도록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받침판(140)은 사각형의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초프레임(200) 등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1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1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프레임(200)에 하부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바닥(2)으로부터 기초프레임(200)을 일정 높이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서포트(130)가 임의로 회전운동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하부서포트(110)와 상부서포트(130)를 결합하는 클램프(1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클램프(150)는 상기 하부덮개판(114)의 윗면과 상부서포트관(132)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양측으로 나누어 덮으며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150)는 각각 반원호형상으로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덮개판(114)을 원주방향으로 양측으로 서로 나누어 덮으며 상기 하부덮개판(114)과 각각 제1체결부재(170)로 체결되는 한 쌍의 제1플랜지부(151) 및 제2플랜지부(160)와, 상기 한 쌍의 제1플랜지부(151) 및 제2플랜지부(160)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서포트관(132)의 외주를 양측으로 나누어 덮으며 각각 제2체결부재(172)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반원통형상의 한 쌍의 제1밴딩부(154) 및 제2밴딩부(164)와, 상기 제1밴딩부(154) 및 제2밴딩부(164) 내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156) 및 제2탄성부재(1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체결부재(170) 및 제2체결부재(172)는 볼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플랜지부(151) 및 제2플랜지부(160), 하부덮개판(114)에는 상기 볼트 등의 제1체결부재(170)를 관통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멍(152), (162), (11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덮개판(114)에 형성되는 체결구멍(115)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156) 및 제2탄성부재(166)는 합성수지나 고무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밴딩부(154)와 제2밴딩부(164)가 상기 제2체결부재(172)를 통해 서로 결합시 제1밴딩부(154)와 제2밴딩부(164)와 상부서포트관(132) 외주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부덮개판(114)의 관통구멍(116)과 상부서포트관(132) 외주면 간에 밀폐력을 향상시켜 상기 하부서포트(110)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156) 및 제2탄성부재(166)는 발포합성수지나 발포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를 이용한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물탱크는 상기 기초 패드(100), 기초프레임(200), 물탱크 본체(300), 보강 주프레임(400), 보조 프레임(500), 플랜지바(520), 하부고정 브래킷(600), 하부연결 브래킷(700) 및 상부연결부재(800)를 포함한다.
상기 기초 패드(100)는 콘크리트 등으로 된 바닥(2)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져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 패드(100)는 상기 단위패널(301)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기초 패드(100)의 하부받침판(102)은 앵커볼트(10) 등에 의해 바닥(2)에 고정된다.
상기 기초프레임(200)은 상기 기초 패드(100)의 상부받침판(140) 위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프레임(200)은 사각형강 또는 C형강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물탱크 본체(300)에 수용된 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체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기초프레임(200)과 상기 물탱크 본체(300)와의 결합을 위해서는 C형강이 유리하다.
상기 물탱크 본체(300)는 기초프레임(200)에 설치되고, 수직플랜지(302)와 수평플랜지(304)가 형성되는 단위패널(301)이 결합 조립되어 대략 사각박스형으로 조립되며, 그 내부에는 물이 수용되게 된다.
상기 단위패널(301)은 가로 및 세로가 각각 1m인 정사각형의 단위패널과 가로가 1m이고 세로가 2m인 직사각형의 단위패널의 조합으로 다양한 규격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에는 1m×1m의 단위패널(301)이 배치되고, 그 상부에는 1m×2m의 단위패널(301)이 배치되어 조립됨으로서 가로 및 세로의 폭이 각각 4m이고 높이가 3m인 물탱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패널(301)의 좌/우측 모서리에는 수직플랜지(302)가 각각 직각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하측 모서리에는 수평플랜지(304)가 각각 직각으로 굽어져 형성된다. 즉, 상기 단위패널(301)은 좌/우측으로 수직플랜지(302)가 서로 면접하여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고, 상/하측으로 수평플랜지(304)가 서로 면접하여 결합부재(도면에 미표시)를 통해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는 통상의 볼트와 너트에 의한 볼팅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결합방식으로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이상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와 너트의 볼팅결합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패널(301)이 결합 조립되는 과정에서 수직플랜지(302) 사이 및 수평플랜지(304) 사이에는 수용되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재가 도포되거나 접착된다.
상기 단위패널(301)은 물탱크 본체(300)에서 전후좌우의 4개 측면과 상하면을 이루는 면에 모두 사용되며, 각각의 단위패널(301)의 결합은 공지 기술에 따라 조립되는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형 물탱크에서 물탱크 본체의 측면에 대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내진형 물탱크에서 일 실시예의 물탱크 본체(300)는 1m×1m와 1×2m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위패널(301)의 수직플랜지(302)에 결합되어 외부를 보강하는 보강 주프레임(400), 상기 보강 주프레임(400)에 결합되어 수압을 보강하는 보조 프레임(500), 수평플랜지(304)에 결합되는 플랜지바(520), 기초프레임(200)과 단위패널(301)을 결합시키는 하부고정 브래킷(600), 물탱크의 상부측을 보강하는 상부연결부재(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 주프레임(400)은 단위패널(301)의 수직플랜지(302)를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내진형 물탱크에 적용된 보강 주프레임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 주프레임(400)은 상기 물탱크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세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서로 겹치는 한 쌍의 수직플랜지(302)의 외측에 맞대어지면서 외측에서 일체로 결합되며 한 쌍이 좌우 대칭되게 구성되는 제1 주프레임(401)과 제2 주프레임(40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주프레임(401)과 제2 주프레임(402)은 좌우 대칭으로 이루어지며, 마주하여 겹치면서 그 일부가 단위패널(301)의 수직플랜지(302) 외측면에 면접하고, 수직플랜지(302)와 상기 제1 주프레임(401)과 제2 주프레임(402)이 서로 면접하는 부분에는 결합부재로 체결되어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1 주프레임(401)을 살펴보면, 결합면(410), 제1 수직면(420), 제 1절곡면(430), 제2 수직면(440), 제2 절곡면(450) 및 보강플랜지(460)를 포함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면(410)은 상기 수직플랜지(302)에 면접되고,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플랜지 결합통공(410a)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플랜지(304)와 교차하는 부분에 절개홈(410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통공(410a)은 수직플랜지(302)에 형성되는 통공(도면부호 미표시)과 연통되고, 상기 결합통공(410a)에는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체결되게 된다.
제1 수직면(420)은 상기 결합면(410)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수직플랜지(302) 방향으로 수직되게 형성되며, 상부측에 상부연결통공(420a)이 형성된다.
제1 절곡면(430)은 상기 결합면(410)과 상기 제1 수직면(420)을 연결하면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형성된다.
제2 수직면(440)은 상기 제1 수직면(42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2 절곡면(450)은 상기 제1 수직면(420)과 상기 제2 수직면(440)을 연결하면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 형성된다.
보강플랜지(460)는 상기 제2 수직면(440)에 연장되고, 상기 수직플랜지(302)와 직각되게 절곡되며,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보강플랜지 결합통공(460a)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주프레임(402)은 상기 제1 주프레임과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부호는 달리하되 동일한 명칭을 통해 설명하면, 결합면(411), 제1 수직면(421), 제1 절곡면(431), 제2 수직면(441), 제2 절곡면(451) 및 보강플랜지(461)을 포함한다.
결합면(411)은 상기 수직플랜지(302)에 면접되고,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플랜지 결합통공(411a)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플랜지(304)와 교차하는 부분에 절개홈(411b)이 형성다. 이때, 상기 결합통공(411a)은 수직플랜지(302)에 형성되는 통공(도면부호 미표시)과 연통되고, 상기 결합통공(411a)에는 결합부재가 체결되게 된다.
제1 수직면(421)은 상기 결합면(411)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수직플랜지(302) 방향으로 수직되게 형성되며, 상부측에 상부연결통공(421a)이 형성된다.
제1 절곡면(431)은 상기 결합면(411)과 상기 제1 수직면(421)을 연결하면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 형성된다.
제2 수직면(441)은 상기 제1 수직면(421)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2 절곡면(451)은 상기 제1 수직면(421)과 상기 제2 수직면(441)을 연결하면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 형성된다.
보강플랜지(460), (461)는 상기 제2 수직면(441)에 연장되고, 상기 수직플랜지(302)와 직각되게 절곡되며,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보강플랜지 결합통공(461a)이 형성된다.
또한, 보조 프레임(500)은 상기 보강플랜지(460, 461)의 보강플랜지 결합통공(460a, 461a)에 각각 대응되는 보조프레임 결합통공(501, 502)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플랜지(460), (461)에 면접되어 결합된다.
도 14는 도 10의 B-B'부분에 대한 수평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14를 참조하여, 보강 주프레임(400), 보조 프레임(50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보강 주프레임(400)의 제1 주프레임(401)과 제2 주프레임(402)이 서로 면접하면서 각각의 결합면(410, 411) 사이에는 단위패널(301)의 수직플랜지(302)가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제1 수직면(420, 421) 사이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주프레임(401)과 제2 주프레임(402)에 각각 형성된 제2 수직면(440, 441)이 서로 면접하게 되고, 보강플랜지(460, 461)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단위패널(301)에 대해 수평한 상태로 결합된다.
이에, 상기 보조 프레임(500)은 상기 보강플랜지(460, 461)에 면접된 상태에서 보강플랜지 결합통공(460a, 461a, 도 13 참조)과 보조프레임 결합통공(501, 502, 도 13 참조)은 연통되게 되고, 상기 보강플랜지 결합통공(460a, 461a, 도 13 참조)과 보조프레임 결합통공(501, 502, 도 13 참조)에 결합부재를 관통 설치하여 보강 주프레임(400)과 보조 프레임(500)을 결합시키게 된다.
이러한 보강 주프레임(400)의 외측이 보조 프레임(500)에 의해서 물탱크의 상하 전반에 걸쳐 결합 지지되기 때문에 물탱크 내에 수용된 수압에 의한 제1 주프레임(401)과 제2 주프레임(402)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수압에 대한 응력이 상승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강 주프레임에 의해 결합된 단위패널의 플랜지를 더욱 견고히 결합시킴에 따라 지진에 대한 내진력이 상승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단위패널(301)의 수평플랜지(304)를 결합시키는 플랜지바(520)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랜지바(520)는 첨부된 도 12 및 도 14에 보인 바와 같이, 단위패널(301)의 수평플랜지(304)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서로 겹치는 한 쌍의 상기 수평플랜지(304)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바(522)와 상기 수평플랜지(304)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플랜지바(5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바(522)와 상기 하부 플랜지바(524)의 결합에 따라 상기 수평플랜지(304)를 결합시킨다.
도 15는 도 10의 C-C'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0의 D부분에 대한 부분 정면도이다.
첨부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부 플랜지바(522)는 그 단면이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측 단위패널(301)의 수평플랜지(304)의 상부에서 결합되고, 하부 플랜지바(524)는 그 단면이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측 단위패널(301)의 수평플랜지(304)에 하부에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 플랜지바(522)는 하부 플랜지바(524)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하부 플랜지바(524)를 통해 물탱크 외측에서 발생된 이슬 등이 플랜지바(5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 15 및 도 16에서 도면부호 S는 실링재이다.
상기의 구성에서 단위패널(301)의 수직플랜지(302)의 외측에는 제1 주프레임(401)과 제2 주프레임(402)이 설치되고, 수직플랜지(302)와 수평플랜지(304)를 연결하는 코너 브래킷(560)이 설치된다.
상기 코너 브래킷(560)은 그 단면이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직플랜지(302)와 수평플랜지(304)가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직플랜지(302)와 수평플랜지(304)를 보강한다. 이때, 상기 코너 브래킷(560)의 일측면은 플랜지바(520)의 일부와 면접하게 되고, 타측면은 보강 주프레임(400)에 면접되어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좌측의 코너 브래킷(560)의 일측면 상부 플랜지바(522)와 면접되고 타측면은 제1 주프레임(401)과 면접되며, 상부 우측의 코너 브래킷(560)의 일측면은 상부 플랜지바(522)와 면접되고 타측면은 제2 주프레임(402)와 면접되게 된다. 계속하여, 하부 좌측의 코너 브래킷(560)의 일측면은 하부 플랜지바(524)와 면접되고 타측면은 제1 주프레임(401)과 면접되며, 하부 우측의 코너 브래킷(560)의 일측면은 하부 플랜지바(524)와 면접되고 타측면은 제2 주프레임(402)와 면접된다.
하부고정 브래킷(600)은 기초프레임(200)과 보강 주프레임(400)을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도 17은 도 10의 E-E'부분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하부고정 브래킷(600)은 상기 보조 프레임(500)과 상기 보강 주프레임(400)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초프레임(200)에 결합된다.
첨부된 도 17을 참조하면, 하부고정 브래킷(600)은 단면이 "ㄷ"형상으로 구성되어, 보조 프레임(500)과 보강 주프레임(400)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초프레임(200)에 결합되어, 감싸어진 상기 보조 프레임(500)과 보강 주프레임(400)을 기초프레임(200)에 고정시킨다.
상기 하부고정 브래킷(600)은 보강 주프레임(400)에 보조 프레임(500)이 결합된 상태의 하부측을 감싸는 밴딩부(602)와 상기 밴딩부(602)의 양쪽 끝부분 모서리에서 바깥쪽으로 직각으로 굽어져 형성되며 상기 기초프레임(200)에 결합되는 한쌍의 제1체결부(610) 및 제2체결부(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에서, 기초프레임(200)의 상부에 안착된 물탱크 본체(300)는 기초 패드(100)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하부고정 브래킷(600)과 기초 패드(100)를 결합시키는 하부연결 브래킷(700, 도 11 및 도 12 참조)이 설치된다.
도 18은 도 17의 F-F'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하부연결 브래킷(700)은 일측이 상기 하부고정 브래킷(600)의 제1체결부(610) 및 제2체결부(620)와 볼트로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기초 패드(100)의 상부받침판(140)과 볼트로 결합된다.
상기 하부연결 브래킷(700)은 상기 기초 패드(100)의 상부받침판(140) 일측과 볼트 결합되는 제1수평판부(702)와 상기 제1수평판부(702)의 끝부분에서 상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고정 브래킷(600)의 제1체결부(610)와 볼트 결합되는 제1수직판부(704)로 이루어지는 제1하부연결 브래킷(701)과, 상기 상부받침판(140)의 타측과 볼트 결합되는 제2수평판부(722)와 상기 제2수평판부(722)의 끝부분에서 상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고정 브래킷(600)의 제2체결부(620)와 볼트 결합되는 제2수직판부(724)로 이루어지는 제2하부연결 브래킷(7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연결 브래킷(700)의 구성에 따라 물탱크 본체(300)가 기초 패드(10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진동에 대한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부연결부재(800)는 물탱크 본체(300)의 상부측에 구성되어 선택된 보강 주프레임과 이에 대응하는 맞은편 보강 주프레임을 연결하여 물탱크의 상부측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내진형 물탱크에 적용된 상부연결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19를 참조하면, 상부연결부재(800)는 한 쌍의 상부고정 브래킷(810, 820), 연결대(830) 및 장력조절 브래킷(840)을 포함한다.
상부고정 브래킷(810, 820)은 상기 제1 주프레임(401)과 제2 주프레임(402)이 결합된 상태의 상기 보강 주프레임(400)과 상기 보조 프레임(500)의 상부측이 삽입되고, 상기 제1 주프레임(401)의 상부연결통공(420a, 도 12 참조)과 상기 제2 주 프레임(402)의 상부연결통공(421a, 도 12 참조)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서, 물탱크 본체(300)의 상부 양측에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고정 브래킷(810, 820)은 "ㄷ"형상의 몸체(801)와 상기 몸체(801)의 개구부측에 내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편(80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801)의 좌우측 각각에는 상부고정통공(803, 804)이 형성되며, 후방측에는 연결대(830)가 관통되는 연결관통공(805)가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상부고정통공(803, 804)은 상부연결통공(420a, 421a, 도 12 참조)와 연통되어 결합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즉, 상기 상부고정통공(803)은 제1 주프레임(401)의 상부연결통공(420a)과 연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나머지 상부고정통공(504)는 제2 주프레임(402)의 상부연결통공(421a)과 연통되어 나사 결합된다.
연결대(830)는 한 쌍의 상기 상부고정 브래킷(810, 82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고정 브래킷(810, 820)의 연결관통공(805)에 삽입되고 볼트에 의해서 고정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연결대(830)는 물탱크 본체(300)의 상부를 횡단할 수 있는 길이를 가져야 하는 데, 상기 연결대(830)가 길게 형성됨으로써 취급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연결대(830)를 통해 연결되는 상부고정 브래킷(810, 820) 사이의 장력 조절은 연결대(830)가 삽입되어 돌출된 볼트에 의해서 조절되기 때문에 장력조절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연결대(830)를 제1 연결대(831)와 제2 연결대(832)로 분리하고, 제1 연결대(831)와 제2 연결대(832)를 연결하는 장력조절 브래킷(840)이 구성된다.
상기 장력조절 브래킷(840)은 그 수평측 단면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면에는 제1 연결대(831)가 관통되어 볼트결합되는 제1 장력조절통공(841)이 구성되며, 제1 장력조절통공(841)에 대응되는 면에는 제2 연결대(832)가 관통되어 볼트결합되는 제2 장력조절통공(84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 브래킷(840)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를 이용하여 상부측의 단위패널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 브래킷(840)은 물탱크 본체(300) 내부에 설치되는 칸막이패널(도면에 미표시)을 따라 상기 칸막이패널의 상부측 단위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대(831)와 제2 연결대(832)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으로 분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연결대(830)를 통해 이루어지는 장력조절은 각각의 상부고정 브래킷(810, 820)의 2지점과 장력조절 브래킷(840)의 2지점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장력조절하는 지점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장력조절 범위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강 주프레임의 외측 플랜지 전체에 보조 프레임으로 연결 결합함에 따라 상기 보강 주프레임의 상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보강 주프레임을 밀착 결합시켜 수압에 대한 응력이 상승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강 주프레임에 의해 결합된 단위패널의 플랜지를 더욱 견고히 결합시킴에 따라 지진에 대한 내진력이 상승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2 : 바닥 10 : 앵커볼트
100 : 기초 패드 102 : 하부받침판
110 : 하부서포트 112 : 하부서포트관
114 : 하부덮개판 116 : 관통구멍
120 : 이송 수나사봉 130 : 상부서포트
132 : 상부서포트관 134 : 상부덮개판
136 : 이송 암나사봉 140 : 상부받침판
150 : 클램프 151 : 제1플랜지부
154 : 제1밴딩부 156 : 제1탄성부재
160 : 제2플랜지부 164 : 제2밴딩부
166 : 제2탄성부재 170 : 제1체결부재
172 : 제2체결부재 200 : 기초프레임
300 : 물탱크 본체 301 : 단위패널
302 : 수직플랜지 304 : 수평플랜지
400 : 보강 주프레임 401 : 제1 주프레임
402 : 제2 주프레임 410 : 결합면
420 : 제1 수직면 430 : 제1 절곡면
440 : 제2 수직면 450 : 제2 절곡면
460: 보강플랜지 500 : 보조 프레임
600: 하부고정 브래킷 700 : 하부연결 브래킷
800: 상부연결부재

Claims (10)

  1. 저면이 바닥과 접하는 하부받침판(102)과,
    내부가 빈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받침판(102)의 윗면에 세워져 결합되는 하부서포트(110)와,
    상기 하부서포트(110)의 내부에 세워져 설치되는 이송 수나사봉(120)과,
    내부가 빈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부 끝부분이 상기 이송 수나사봉(120)과 나선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서포트(130)와,
    저면이 상기 상부서포트(130)의 다른쪽 끝부분과 결합되고 윗면이 기초프레임(200)과 접하는 상부받침판(140)과,
    상기 상부서포트(130)가 임의로 회전운동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하부서포트(110)와 상부서포트(130)를 결합하는 클램프(15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서포트(110)는,
    원통형의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끝부분 모서리가 상기 하부받침판(102)의 윗면과 용접 결합되는 하부서포트관(112)과, 원형의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바깥쪽 모서리가 상기 하부서포트관(112)의 상부 끝부분 모서리와 용접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상부서포트(130)가 관통되어 상기 이송 수나사봉(120)과 결합되게 관통구멍(116)이 형성되는 하부덮개판(114)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서포트(130)는,
    상기 하부서포트관(112)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끝부분 모서리가 상기 상부받침판(140)의 저면과 용접 결합되는 상부서포트관(132)과, 원형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서포트관(132)의 하부 끝부분 모서리와 용접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이송 수나사봉(120)이 관통되게 관통구멍(135)이 형성되는 상부덮개판(134)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끝부분 모서리가 상기 상부덮개판(134)의 저면과 용접 결합되며 상기 이송 수나사봉(120)과 나선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너트구멍(137)이 축선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이송 암나사봉(136)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150)는 상기 하부덮개판(114)의 윗면과 상부서포트관(132)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양측으로 나누어 덮으며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각각 반원호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덮개판(114)을 원주방향으로 양측으로 서로 나누어 덮으며 상기 하부덮개판(114)과 각각 제1체결부재(170)로 체결되는 한 쌍의 제1플랜지부(151) 및 제2플랜지부(160)와, 상기 한 쌍의 제1플랜지부(151) 및 제2플랜지부(160)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서포트관(132)의 외주를 양측으로 나누어 덮으며 각각 제2체결부재(172)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반원통형상의 한 쌍의 제1밴딩부(154) 및 제2밴딩부(164)와, 상기 제1밴딩부(154) 및 제2밴딩부(164) 내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156) 및 제2탄성부재(166)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서포트(130)는 작업자가 상기 상부서포트관(132)이나 상부받침판(140)을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게 되면 상승이나 하강이 되면서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기초 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바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기초 패드(100)와,
    상기 복수의 기초 패드(100) 위에 설치되는 기초프레임(200)과,
    각각 다수개의 결합공을 갖는 수직플랜지(302)와 수평플랜지(304)가 형성되는 단위패널(301)이 결합되어 조립됨에 따라 내부에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물탱크 본체(300)와,
    상기 물탱크 본체(3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세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서로 겹치는 한 쌍의 수직플랜지(302)의 외측에 맞대어지면서 외측에서 일체로 결합되며 한 쌍이 좌우 대칭되게 구성되는 제1 주프레임(401)과 제2 주프레임(402)을 포함하는 보강 주프레임(400)과,
    상기 제1 주프레임(401)과 제2 주프레임(402)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주프레임(401)과 제2 주프레임(402)의 외측 벌어짐을 방지하는 보조 프레임(500)과,
    상기 보조 프레임(500)과 상기 보강 주프레임(400)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초프레임(200)에 결합되는 하부고정 브래킷(600)과,
    일측이 상기 하부고정 브래킷(600)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기초 패드(100)의 상측과 결합되는 하부연결 브래킷(700)과,
    상기 물탱크 본체(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 본체(300)의 서로 대향하는 양쪽 측면에 위치한 상기 보조 프레임(500)과 상기 보강 주프레임(400)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800)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 패드(100)는,
    저면이 바닥과 접하는 하부받침판(102)과, 내부가 빈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받침판(102)의 윗면에 세워져 결합되는 하부서포트(110)와, 상기 하부서포트(110)의 내부에 세워져 설치되는 이송 수나사봉(120)과, 내부가 빈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부 끝부분이 상기 이송 수나사봉(120)과 나선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서포트(130)와, 저면이 상기 상부서포트(130)의 다른쪽 끝부분과 결합되고 윗면이 상기 기초프레임(200)과 접하며 상기 하부연결 브래킷(700)의 타측이 결합되는 상부받침판(140)과, 상기 상부서포트(130)가 임의로 회전운동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하부서포트(110)와 상부서포트(130)를 결합하는 클램프(15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서포트(110)는 원통형의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끝부분 모서리가 상기 하부받침판(102)의 윗면과 용접 결합되는 하부서포트관(112)과, 원형의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바깥쪽 모서리가 상기 하부서포트관(112)의 상부 끝부분 모서리와 용접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상부서포트(130)가 관통되어 상기 이송 수나사봉(120)과 결합되게 관통구멍(116)이 형성되는 하부덮개판(114)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서포트(130)는 상기 하부서포트관(112)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끝부분 모서리가 상기 상부받침판(140)의 저면과 용접 결합되는 상부서포트관(132)과, 원형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서포트관(132)의 하부 끝부분 모서리와 용접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이송 수나사봉(120)이 관통되게 관통구멍(135)이 형성되는 상부덮개판(134)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끝부분 모서리가 상기 상부덮개판(134)의 저면과 용접 결합되며 상기 이송 수나사봉(120)과 나선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너트구멍(137)이 축선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이송 암나사봉(136)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150)는 상기 하부덮개판(114)의 윗면과 상부서포트관(132)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양측으로 나누어 덮으며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각각 반원호형상으로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덮개판(114)을 원주방향으로 양측으로 서로 나누어 덮으며 상기 하부덮개판(114)과 각각 제1체결부재(170)로 체결되는 한 쌍의 제1플랜지부(151) 및 제2플랜지부(160)와, 상기 한 쌍의 제1플랜지부(151) 및 제2플랜지부(160)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서포트관(132)의 외주를 양측으로 나누어 덮으며 각각 제2체결부재(172)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반원통형상의 한 쌍의 제1밴딩부(154) 및 제2밴딩부(164)와, 상기 제1밴딩부(154) 및 제2밴딩부(164) 내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156) 및 제2탄성부재(166)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프레임(401)은,
    상기 수직플랜지(302)에 면접되고,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플랜지 결합통공(410a)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플랜지(304)와 교차하는 부분에 절개홈(410b)이 형성되는 결합면(410)과, 상기 결합면(410)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수직플랜지(302) 방향으로 수직되게 형성되며, 상부측에 상부연결통공(420a)이 형성된 제1 수직면(420)과, 상기 결합면(410)과 상기 제1 수직면(420)을 연결하면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형성된 제1 절곡면(430)과, 상기 제1 수직면(420)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수직면(440)과, 상기 제1 수직면(420)과 상기 제2 수직면(440)을 연결하면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 형성된 제2 절곡면(450)과, 상기 제2 수직면(440)에 연장되고, 상기 수직플랜지(302)와 직각되게 절곡되며,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결합통공(460a)이 형성되는 (46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주프레임(402)은,
    상기 수직플랜지(302)에 면접되고,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플랜지 결합통공(411a)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플랜지(304)와 교차하는 부분에 절개홈(411b)이 형성되는 결합면(411)과, 상기 결합면(411)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수직플랜지(302) 방향으로 수직되게 형성되며, 상부측에 상부연결통공(421a)이 형성된 제1 수직면(421)과, 상기 결합면(411)과 상기 제1 수직면(421)을 연결하면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형성된 제1 절곡면(431)과, 상기 제1 수직면(421)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수직면(441)과, 상기 제1 수직면(421)과 상기 제2 수직면(441)을 연결하면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 형성된 제2 절곡면(451)과, 상기 제2 수직면(441)에 연장되고, 상기 수직플랜지(302)와 직각되게 절곡되며,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수직플랜지 결합통공(461a)이 형성되는 수직플랜지(461)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고정 브래킷(600)은,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 주프레임(400)에 보조 프레임(500)이 결합된 상태의 하부측을 감싸는 밴딩부(602)와, 상기 밴딩부(602)의 양쪽 끝부분 모서리에서 바깥쪽으로 직각으로 굽어져 형성되며 상기 기초프레임(200)에 결합되는 한쌍의 제1체결부(610) 및 제2체결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연결 브래킷(700)은,
    상기 기초 패드(100)의 상부받침판(140) 일측과 결합되는 제1수평판부(702)와 상기 제1수평판부(702)의 끝부분에서 상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고정 브래킷(600)의 제1체결부(610)와 결합되는 제1수직판부(704)로 이루어지는 제1하부연결 브래킷(701)과, 상기 상부받침판(140)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2수평판부(722)와 상기 제2수평판부(722)의 끝부분에서 상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고정 브래킷(600)의 제2체결부(620)와 결합되는 제2수직판부(724)로 이루어지는 제2하부연결 브래킷(720)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 패드(100)의 상부서포트(130)는 작업자가 상기 상부서포트관(132)이나 상부받침판(140)을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게 되면 상승이나 하강이 되면서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20230000585U 2023-03-23 2023-03-23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기초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 KR200497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585U KR200497425Y1 (ko) 2023-03-23 2023-03-23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기초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585U KR200497425Y1 (ko) 2023-03-23 2023-03-23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기초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425Y1 true KR200497425Y1 (ko) 2023-11-06

Family

ID=8874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585U KR200497425Y1 (ko) 2023-03-23 2023-03-23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기초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425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070A (ko) * 2008-12-30 2010-07-08 (주)알루텍 슬라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터
KR101942330B1 (ko) * 2018-10-29 2019-01-25 (주) 세광산업조명 충격 완화를 위해 탄성이 있는 회전식 배너걸이대
KR101979590B1 (ko) * 2018-10-30 2019-05-17 주식회사 성은이엠 높이조절이 가능한 가로등용 지주
KR102183762B1 (ko) * 2020-06-11 2020-11-27 주식회사 하영에스엠씨 외부를 보강한 내진 기능을 갖는 물탱크
KR102253525B1 (ko) 2020-01-31 2021-05-18 (주)베셀 내진 기능을 갖는 물탱크 지지장치
KR102323541B1 (ko) 2021-06-04 2021-11-09 성일테크원 주식회사 물탱크용 내진 기초 건식 패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070A (ko) * 2008-12-30 2010-07-08 (주)알루텍 슬라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터
KR101942330B1 (ko) * 2018-10-29 2019-01-25 (주) 세광산업조명 충격 완화를 위해 탄성이 있는 회전식 배너걸이대
KR101979590B1 (ko) * 2018-10-30 2019-05-17 주식회사 성은이엠 높이조절이 가능한 가로등용 지주
KR102253525B1 (ko) 2020-01-31 2021-05-18 (주)베셀 내진 기능을 갖는 물탱크 지지장치
KR102183762B1 (ko) * 2020-06-11 2020-11-27 주식회사 하영에스엠씨 외부를 보강한 내진 기능을 갖는 물탱크
KR102323541B1 (ko) 2021-06-04 2021-11-09 성일테크원 주식회사 물탱크용 내진 기초 건식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762B1 (ko) 외부를 보강한 내진 기능을 갖는 물탱크
KR101955523B1 (ko) 조립식 물탱크용 하부 받침 어셈블리
KR102216138B1 (ko) 내진기능을 구비한 패드 일체형 물탱크
CN111712601B (zh) 建筑系统
US4838449A (en) Sectional storage tanks
EP0140937B1 (en) Concrete-filled structural tube with cantilevers, particularly for balcony floors
EP3158139A1 (en) Pipe racks
JP4284056B2 (ja) 非埋込み型柱脚の施工方法及びその非埋込み型柱脚構造
JP6128574B1 (ja) H型鋼柱の耐震補強構造
CN210766856U (zh) 预制拼接的中心筒及具有其的塔筒基础
KR102119224B1 (ko) 물탱크용 건식패드
KR200497425Y1 (ko) 내진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기초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
US9593504B2 (en) Buckling restrained brace assembly
KR102013756B1 (ko) 조립식 피디에프 물탱크
KR101982596B1 (ko)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
KR101007073B1 (ko) 건축물의 내진보강장치
KR101994882B1 (ko) 내진 및 외부보강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KR102278054B1 (ko) 내진용물탱크의 보강구조
KR102453791B1 (ko) 보강 돌출부 및 연결 플레이트를 이용한 피씨 더블월
JPH1025832A (ja) 免震木造建築物
JP5459773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部材の構造
KR102459913B1 (ko)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05953B1 (ko) 방파판이 구비된 소화수조
KR102382353B1 (ko) 합성기둥
KR102302442B1 (ko)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