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365Y1 - 호스 결속용 밴드 - Google Patents

호스 결속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365Y1
KR200497365Y1 KR2020210003355U KR20210003355U KR200497365Y1 KR 200497365 Y1 KR200497365 Y1 KR 200497365Y1 KR 2020210003355 U KR2020210003355 U KR 2020210003355U KR 20210003355 U KR20210003355 U KR 20210003355U KR 200497365 Y1 KR200497365 Y1 KR 2004973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hose
drum
support plate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957U (ko
Inventor
김재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정하이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정하이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정하이플렉스
Priority to KR2020210003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365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9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9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3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3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8Hose-clips in which a worm coacts with a part of the hose-encircling member that is toothed like a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스 결속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밴드부에 별도의 나사산 또는 걸림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써, 제작상의 편리하게 하고, 이에 따른 생산 원가가 절감되게 하고, 특히 규격화 제작이 필요 없게 하는 등 하나의 규격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호스 결속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밴드부가 나사 조절 조임이 아닌 권취드럼에 권취되는 구조를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권취드럼과 밴드부의 이탈이 방지되게 하며, 특히 호스 결속 과정에서 밴드부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밴드부로 인한 외부 간섭이 방지되게 하기 위한 호스 결속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호스 결속용 밴드{Hose binding band}
본 고안은 호스 결속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인 개선을 통한 내구성 향상과 원가의 절감과 다양한 사이즈의 호스에 사용 가능하게 하는 호스 결속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호스는 재질, 열처리 방법, 사용용도 및 설치장소 등에 따라서 다양한 소재 및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가격이 싸고 설치가 간편하여 사용빈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호스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서 절곡 되거나 휘어지게 되며 인접한 호스와 맞닿으면서 구성되는데, 인접한 호스의 연결부에 호스 내부에서 이송되는 이송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접한 호스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호스 결속용 밴드가 상기 연결부에 결합 된다.
호스 결속용 밴드는 간단한 부품이 조합되어 이루어진 체결장치의 하나로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체결작업이 용이하여 통상적으로 원통형의 호스류나 관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그 외주면을 압착하여 연결부위를 밀폐시키는 체결수단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호스 결속용 밴드는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나사산 또는 걸림공이 형성된 밴드부와, 회전에 의해 밴드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고정부에 장착되는 웜 형태의 나사부를 구비하여 회전하는 나사부에 의해 밴드부의 길이가 조절되면서 호스의 연결부를 가압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호스 결속용 밴드는 과도한 조임력을 부여시 나사부가 밴드부의 나사산 또는 걸림공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심할 경우 고정부로부터 이탈되는 등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임 사용시 밴드부의 단부가 돌출되어 외부 요인과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밴드부를 절단하는 후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호스 결속용 밴드는 밴드부를 구성함에 있어, 나사부와 간섭력을 부여하기 위해 다수의 나사산 또는 걸림공을 형성하여야 하는 것인바, 그 밴드의 제작이 매우 곤란하고 이에 따른 생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밴드부에 형성되는 나사산 또는 걸림공의 구성이 제작 원가의 절감을 위해 선단부로부터 일정 거리에만 형성하게 되는 것인바, 부득이하게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밴드부에 따라 각기 다른 규격으로 제작 및 사용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658542호.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424730호. 대한민국특허등록 제0-200432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밴드부에 별도의 나사산 또는 걸림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써, 제작상의 편리하게 하고, 이에 따른 생산 원가가 절감되게 하고, 특히 규격화 제작이 필요 없게 하는 등 하나의 규격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호스 결속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호스 결속용 밴드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밴드부가 나사 조절 조임이 아닌 권취드럼에 권취되는 구조를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권취드럼과 밴드부의 이탈이 방지되게 하며, 특히 호스 결속 과정에서 밴드부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밴드부로 인한 외부 간섭이 방지되게 하기 위한 호스 결속용 밴드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호스에 결속력을 부여하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폭 방향 양측에는 대칭되게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사이에 권취 공간부를 이루게 하는 양측 한 쌍의 드럼 지지판으로 된 드럼 지지부; 및
상기 드럼 지지판에 수평으로 관통 및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되며, 상기 권취 공간부 위치에는 밴드부의 결합 가능한 밴드 결합공이 형성되고 단부에는 회전 공구의 결합 가능한 공구 결합부가 형성되어 밴드부의 일단이 결합 및 권취를 통한 호스 조임력을 부여하는 권취드럼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각각의 드럼 지지판의 외측면에는,
상기 권취드럼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선부와 경사부를 이루는 지지판 톱니가 연속 형성된 지지판 톱니부가 형성되게 구성하며,
상기 권취드럼에는,
상기 드럼 지지판의 외측으로 상기 지지판 톱니부와 치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선부와 경사부를 이루는 조절판 톱니가 연속 형성된 조절판 톱니부를 갖는 양측 한 쌍의 회전 조절판이 형성되게 구성하되,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 조절에 의해 회전 조절판이 일방향 회전시 조절판 톱니부의 각각의 경사부가 타고 넘어가 회전 가능하고, 반대 방향 회전시에는 각각의 직선부가 걸림되어 회전이 방지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는, 밴드부에 나사산 또는 걸림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구성된 것인바, 생산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른 생산 원가가 한층 되며, 특히 규격화 제작이 필요 없이 하나의 호스 결속용 밴드로 다양한 규격의 호스 결속이 가능하게 되는 등 실용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밴드부의 조임 구조가 권취드럼에 권취 조임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조임 과정에서 권취드럼과 밴드부의 이탈이 방지되는 등 내구성이 한층 향상되며, 특히 호스 결속 과정에서 밴드부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잔여 부분 절단 작업 등 후공정이 필요 없게 되는 등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의 사용상태도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1)는 밴드부(100)와, 드럼 지지부(200)와, 권취드럼(3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밴드부(100)는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1)를 구성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호스를 결속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밴드부(100)는 통상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띠 형태를 이루며 소정의 폭과 길이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일단은 후술하는 드럼 지지부(200)가 형성된 고정단을 이루고 타 측은 자유단을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드럼 지지부(200)는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1)를 구성함에 있어, 후술하는 권취드럼(300)의 회전을 안내 및 지지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드럼 지지부(200)는 상기 밴드부(100)의 일단 저면에 지지 결합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폭 방향 양측에는 대칭되는 형태로 상부로 돌출되는 판체 형태를 이루는 양측 한 쌍의 드럼 지지판(210)(210')으로 구성되며, 그 양측의 드럼 지지판(210)(210') 사이에 밴드부(100)의 권취가 가능한 권취 공간부(201)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권취드럼(300)은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밴드부(100)를 권취하여 그 밴드부(100)의 조임력을 부여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권취드럼(300)은 상기 양측의 드럼 지지판(210)(210')을 수평으로 관통 및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되게 구성된다.
또한, 권취드럼(300)에는 상기 권취 공간부(201)에 위치된 둘레에 밴드부(100)의 삽입 결합이 가능하도록 밴드 결합공(310)이 관통 구성된다.
또한, 권취드럼(300)에는 양단 또는 어느 한 단부에 그 권취드럼(300)의 회전 조절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드라이버 등의 회전 공구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홈 또는 돌기 형태의 공구 결합부(320)가 구성된다.
이에, 권취드럼(300)은 상기 밴드부(100)의 자유단을 밴드 결합공(310)에 삽입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 조절하게 되면 밴드부(100)의 자유단 측이 권취되어 조임력이 부여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밴드부(100)를 권취하는 과정에서 그 역회전이 방지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먼저, 상기 각각의 드럼 지지판(210)(210')의 외측면에는 상기 권취드럼(300)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지판 톱니부(250)가 서로 대칭되게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판 톱니부(250)는 지지판 톱니(251)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지지판 톱니(251)는 직선부(251a)와 경사부(251b)가 한 조를 이루게 구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각 조의 지지판 톱니(251)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 형성된다.
또한, 상기 권취드럼(300)에는 상기 각각의 드럼 지지판(210)(210')의 외측으로 양측 한 쌍의 회전 조절판(330)(33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회전 조절판(330)(330')에는 상기 조절판 톱니부(350)와 치합되는 조절판 톱니부(350)가 서로 대칭되게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 상기 조절판 톱니부(350)는 조절판 톱니(351)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조절판 톱니(351)는 직선부(351a)와 경사부(351b)가 한 조를 이루게 구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각 조의 조절판 톱니(351)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판 톱니(251)의 직선부(251a)와 경사부(251b)가 홈 구성시에는 상기 조절판 톱니(351)의 직선부(351a)와 경사부(351b)는 돌기 구성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지지판 톱니(251)의 돌기 구성과 조절판 톱니(351)의 홈 구성함으로 서로 치합력을 가지게 구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에, 상기 권취드럼(300)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 조절판(330)(330')이 함께 회전하되, 조절판 톱니부(350)의 경사부(351b)가 드럼 지지판(210)(210')에 형성된 지지판 톱니부(250)의 경사부(251b)를 탄력을 받으면서 타고 넘어가 회전하게 되고, 반대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조절판 톱니부(350)의 직선부(351a)가 지지판 톱니부(250)의 직선부(251a)에 걸림되어 회전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는 상기와 같이 지지판 톱니부(250)와 조절판 톱니부(350)의 치합 구조는 지지판 톱니(251)와 조절판 톱니(351)의 간격 조절에 의해 보다 미세한 걸림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를 참조하여 먼저 상기 각각의 드럼 지지판(210)(210')에 형성되는 양측의 대칭되는 지지판 톱니부(250)는 각 조의 지지판 톱니(251)가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회전 조절판(330)(330')에 형성되는 양측의 대칭되는 조절판 톱니부(350)는 각 조의 조절판 톱니(351)가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교차 구조에 의해 지지판 톱니(251)와 조절판 톱니(351)의 세분화가 가능한 것인바, 권취드럼(300)의 보다 미세한 회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1)는 생산성이 한층 향상되고, 호스를 결속하는 과정에서 내구성의 향상과 마감부의 처리가 용이하게 한다.
먼저,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1)는 실질적으로 호스를 결속하는 밴드부(100)에 조임 고정을 위한 통상의 걸림공 등이 필요 없이 단순한 띠 형태를 이루게 제작 가능한 것인바, 그 제작이 매우 편리하여 생산성이 한층 향상되며, 이에 따른 원가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1)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도 5를 참조하여 호스(10)를 결속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밴드부 결착 방법과 같이 밴드부(100)를 이용하여 호스(10)를 결착한 상태에서 그 자유단을 권취드럼(300)의 밴드 결합공(310)에 삽입 결합하면 된다.
이후, 권취드럼(300)을 회전 조절하면 되는 것으로, 이는 지지판 톱니부(250)와 조절판 톱니부(350)의 경사부(251a)(351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에, 도 6을 참조하여 권취드럼(30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조절판(330)(330')의 경사부(351b)가 드럼 지지판(210)(210')의 경사부(251b)를 누르면서 탄력 부여 및 그 경사부(251b)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때, 밴드부(100)의 자유단이 권취드럼(300)의 밴드 결합공(310)에 고정된 것인바, 권취드럼(300)을 회전하게 되면 그 밴드부(100)가 권취 공간부(201)에서 권취드럼(300)에 권취되게 되며, 이에 밴드부(100)는 호스(10)에 조임력을 부여하여 호스(10)의 가압 결속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권취드럼(300)은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 지지판 톱니부(250)의 경사부(251b)와 조절판 톱니부(350)의 경사부(351b)의 타고 넘어가는 작용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여 밴드부(100)의 안정적인 권취 및 조임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권취시 힘이 작용하는 권취드럼(300)이 드럼 지지판(210)(210')에 견고하게 축설되어 그 이탈이 방지되는 한편, 밴드부(100)가 권취드럼(300)에 권취 고정되는 것인바, 이 또한 밴드부(100)와 권취드럼(300)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밴드부(100)를 권취한 상태에서 그 권취드럼(300)의 외력을 해제하게 되면 자칫 역회전이 이루어져 호스(10) 결속력이 저하될 수 있는 것인데, 본 고안에서는 지지판 톱니부(250)의 직선부(251a)와 조절판 톱니부(350)의 직선부(351a)가 서로 걸림 구성된 것인바, 역회전이 방지되어 항시 결속력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1)는 상기와 같이 호스(10)를 결속하는 과정에서 밴드부(100)의 자유단이 권취드럼(300)에 권취되는 것인바, 결속 과정에서 자유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별도의 밴드부 절단 등 마무리 작업이 없이도 작업중 간섭으로 인한 부상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서로 치합력에 의한 일방향 회전 및 역회전을 방지하는 지지판 톱니부(250) 및 조절판 톱니부(350)를 구성함에 있어, 도 4를 참조하여 대칭되는 지지판 톱니부(250)에 대하여 지지판 톱니(251)의 교차 구성과 대칭되는 조절판 톱니부(350)의 조절판 톱니(351)의 교차 구성하게 되면, 각각의 직선부(251a)(351a)와 경사부(251b)(351b)의 구조가 세분화되는 것인바, 미세한 조절까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1)는 그 사용함에 있어, 호스(10)의 결속 사이즈에 따른 다양한 밴드부(100) 사이즈를 구비해야 할 필요 없이 단일 규격화로도 다양하게 사용 가능하게 된다.
즉, 도 7을 참조하여 단일 규격화 된 밴드부(100)에 대하여 (a)와 같이 비교적 큰 사이즈의 호스(10)를 결속시에는 밴드부(100)를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한편,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호스(10)를 결속시에는 비교적 긴 밴드부(100)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권취 과정에서 권취 공간부(201)의 바닥에 간섭되어 권취가 불가능 할 수 있는 것인바, 이때에는 (b)와 같이 밴드부(100)의 자유단 측을 일정 구간 절단하여 사용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절단 사용을 통해 밴드부(100)가 권취되는 권취 공간부(201)에서의 권취시 간섭없이 원활한 권취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호스 결속용 밴드는 그 생산성이 한층 향상되는 한편, 호스를 결속하는 과정에서 내구성이 한층 향상되며, 단일의 규격으로도 다양한 사이즈의 호스 결속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
100 : 밴드부
200 : 드럼 지지부 201 : 권취 공간부
210,210' : 드럼 지지판 250 : 지지판 톱니부
251 : 지지판 톱니 251a : 직선부
251b : 경사부
300 : 권취드럼 310 : 밴드 결합공
320 : 공구 결합부 330,330' ; 회전 조절판
350 : 조절판 톱니부 351 : 조절판 톱니
351a : 직선부 351b : 경사부

Claims (3)

  1. 호스에 결속력을 부여하는 밴드부(100);
    상기 밴드부(100)의 일단에 형성되며, 폭 방향 양측에는 대칭되게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사이에 권취 공간부(201)를 이루게 하는 양측 한 쌍의 드럼 지지판(210)(210')으로 된 드럼 지지부(200); 및
    상기 드럼 지지판(210)(210')에 수평으로 관통 및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되며, 상기 권취 공간부(201) 위치에는 밴드부(100)의 결합 가능한 밴드 결합공(310)이 형성되고 단부에는 회전 공구의 결합 가능한 공구 결합부(320)가 형성되어 밴드부(100)의 일단이 결합 및 권취를 통한 호스 조임력을 부여하는 권취드럼(30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각각의 드럼 지지판(210)(210')의 외측면에는,
    상기 권취드럼(300)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선부(251a)와 경사부(251b)를 이루는 지지판 톱니(251)가 연속 형성된 지지판 톱니부(250)가 형성되게 구성하며,
    상기 권취드럼(300)에는,
    상기 드럼 지지판(210)(210')의 외측으로 상기 지지판 톱니부(250)와 치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선부(351a)와 경사부(351b)를 이루는 조절판 톱니(351)가 연속 형성된 조절판 톱니부(350)를 갖는 양측 한 쌍의 회전 조절판(330)(330')이 형성되게 구성하되,
    상기 권취드럼(300)의 회전 조절에 의해 회전 조절판(330)(330')이 일방향 회전시 조절판 톱니부(350)의 각각의 경사부가 타고 넘어가 회전 가능하고, 반대 방향 회전시에는 각각의 직선부가 걸림되어 회전이 방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결속용 밴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톱니부(250)는,
    양측 드럼 지지판(210)(210')에 대하여 각 조의 지지판 톱니(251)가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형성되게 구성하고,
    상기 조절판 톱니부(350)는,
    양측 회전 조절판(330)(330')에 대하여 조절판 톱니(351)가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결속용 밴드.
KR2020210003355U 2021-11-04 2021-11-04 호스 결속용 밴드 KR2004973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55U KR200497365Y1 (ko) 2021-11-04 2021-11-04 호스 결속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55U KR200497365Y1 (ko) 2021-11-04 2021-11-04 호스 결속용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57U KR20230000957U (ko) 2023-05-11
KR200497365Y1 true KR200497365Y1 (ko) 2023-10-19

Family

ID=86317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355U KR200497365Y1 (ko) 2021-11-04 2021-11-04 호스 결속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36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467B2 (ja) * 1991-08-20 2001-03-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半導体磁器用微粉末の製造方法
JP2002271956A (ja) 2001-03-08 2002-09-20 Suda Seisakusho:Kk バンド締付具
KR101511367B1 (ko) 2013-05-09 2015-04-10 이영숙 중대형 화물 결박(結縛)용 이동식 일방향 벨트 고정 장치
KR101900017B1 (ko) 2017-06-22 2018-09-18 공종수 밴드 권취형 호스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3950U (ko) * 1988-08-26 1990-03-05
US6322279B1 (en) * 1997-11-04 2001-11-27 Sports Carriers, Inc. Adjustable attachment device
KR100658542B1 (ko) 2005-03-07 2006-12-19 손대원 벨트식 호스밴드
JP3149467U (ja) * 2009-01-16 2009-03-26 政晴 嶋田 ダクト接続装置
KR101424730B1 (ko) 2013-05-23 2014-08-01 박한용 호스밴드를 이용한 배관의 부분 보수장치
KR102004326B1 (ko) 2018-03-09 2019-07-26 최은선 호스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467B2 (ja) * 1991-08-20 2001-03-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半導体磁器用微粉末の製造方法
JP2002271956A (ja) 2001-03-08 2002-09-20 Suda Seisakusho:Kk バンド締付具
KR101511367B1 (ko) 2013-05-09 2015-04-10 이영숙 중대형 화물 결박(結縛)용 이동식 일방향 벨트 고정 장치
KR101900017B1 (ko) 2017-06-22 2018-09-18 공종수 밴드 권취형 호스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57U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97759B (ko)
DE4005631C2 (ko)
US7210885B2 (en) Supporting bushing
KR100701643B1 (ko) 풀림방지너트
US2890734A (en) Wire locked bolt assemblies
US20090100647A1 (en) Hose Clamp
US3924308A (en) Hose clamp comprising a one-piece band and housing
US4373234A (en) Device for gripping an elongated flexible element
US3391720A (en) Spiral shaped threaded locking fastener
US2561036A (en) Thread-cutting sheet metal nut
KR200497365Y1 (ko) 호스 결속용 밴드
EP0203921B1 (en) Hose clamp
US3260293A (en) Threaded lock washer
DE102021213844A1 (de) Schnürmodul
US3371392A (en) Worm drive hose clamp
EP0123379A1 (en) Gasketing for heat exchanger plates
US8267615B2 (en) Connecting mechanism
JP2002039243A (ja) ウエーブコイルばね
US4637100A (en) Hose clamping device
US3343440A (en) Self-locking two-piece fastening device
DE2733898A1 (de) Wirbelstrombremse, deren stator einen kranz von elektromagneten aufweist
DE3941135C1 (en) Hose clamp with fastening strap with overlapping ends - has clamping leaf spring, curved at less than 180 deg. in relieved state
US3083928A (en) Core plug
US2388270A (en) Lock nut unit
US3255658A (en) Three sided thread op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