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305Y1 -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 - Google Patents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305Y1
KR200497305Y1 KR2020200002261U KR20200002261U KR200497305Y1 KR 200497305 Y1 KR200497305 Y1 KR 200497305Y1 KR 2020200002261 U KR2020200002261 U KR 2020200002261U KR 20200002261 U KR20200002261 U KR 20200002261U KR 200497305 Y1 KR200497305 Y1 KR 200497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module
clothing
air
case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034U (ko
Inventor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성재
Priority to KR2020200002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305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0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0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3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6Closures using hooks and 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8Closures using adhesive

Abstract

본 고안은 의복에 장착홀을 형성하여 결합되거나 의복에 일체로 구비되는 브라켓을 통하여 통기모듈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의복의 내측에 냉각되거나 가열된 공기를 공급토록 하는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The ventilating module with Clothing-attachable}
본 고안은 의복에 장착홀을 형성하여 결합되거나 의복에 일체로 구비되는 브라켓의 일측에 통기모듈이 밀착 결합되는 구성으로 의복의 내측에 냉각되거나 가열된 공기를 공급토록 하는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정상적인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때의 작업량에 따른 대량의 방열이 필요하게 되고, 발한(發汗)에 의해 인체를 냉각하는 생리적 기능이 갖추어져 있다.
즉, 작업량에 따라서 생리적으로 필요로 하는 방열량이 결정되고, 이것에 대응한 땀을 방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땀이 모두 기화되면 그 사람의 그 때의 상황에 최적인 방열이 행하여지고, 필요로 하는 방열량에 대응한 양의 땀을 방출하게 된다.
그러나, 온도, 습도, 바람의 유무, 작업량 등의 조건에 의해 땀을 기화할 수 없게되면 필요로 하는 방열량이 얻어지지 않게 되고, 기화되지 않는 필요없는 액체상의 땀을 계속하여 방출하여 불쾌해질 뿐만 아니라 생리적인 영향도 받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관 관련되어 종래의 특허 제890140호에 냉기발산기능을 갖는 보호용 작업복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의복(50)에 결합된 쿨러(CL)에 의해 냉기를 제공하고, 상기 쿨러(CL)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74)를 갖는 포켓(70)으로 구성되어 그 내측에 얼음팩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쿨러(CL)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벨트와 같이 띠형태를 이루면서 의복(50)의 허리부분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주머니형태로 의복(50)의 허리부분에 부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업복은, 쿨러의 냉기를 작업복의 내측에 직접공급하지 못하여 효율이 저하되며, 겨울철에 사용시에는 별도의 핫팩을 준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쿨러를 장착하기 위한 주머니등이 작업복에 항상 구비되어 세척등이 번거롭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름철 및 겨울철등 기온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의복에서 용이하게 탈부착하여 의복에 상관없이 재사용이 가능토록 하며, 충전기능을 구비하여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의복에서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의복에 형성되는 장착홀에 탈,부착수단을 통하여 통기모듈이 연결되고,
상기 통기모듈은
a). 케이스에 구비되는 공기유입공과 공기배출공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토록 설치되고,
b). 케이스의 외측으로 PTC소자의 일측에 접촉되는 외부방열핀이 노출토록 하고,
c).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PTC소자의 타측에 접촉되는 내부방열핀이 위치하며,
d).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공기유입공을 통과한 공기가 내부방열핀을 통과하면서 열교환한 후 공기배출공을 향하도록 송풍팬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은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통기모듈은, 케이스의 일측에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소켓이 더 구비되는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결합수단은, 통기모듈 및 장착홀의 둘레에 서로 대응토록 구비되는 매직테잎으로 이루어진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고안의 결합수단은, 장착홀에 지지되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브라켓은 통기모듈에 나사결합 또는 후크로서 결합되는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통기모듈은, 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전원의 극성을 변화시켜 냉풍이나 열풍을 공급시키거나 동작온도 및 풍량을 조절토록 설치되는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여름철 및 겨울철등 기온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의복에서 용이하게 탈부착하여 의복에 상관없이 재사용이 가능하며, 충전기능을 구비하여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하고, 의복에서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작업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통기모듈의 의복 장착상태도이다.
도3 및 도4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통기모듈의 분해상태도 및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통기모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기모듈의 의복 연결상태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기모듈의 의복 연결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의복(200)에 형성되는 장착홀(210)에 탈,부착수단(300)을 통하여 통기모듈(100)이 밀착토록 연결된다.
이때, 상기 통기모듈(100)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의복의 외측에서 탈,부착수단(300)을 통하여 결합 및 분리가능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통기모듈(100)은 의복의 전,후방 또는 원하는 임의의 다수 곳에 설치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통기모듈(100)은, 케이스(110)에 구비되는 공기유입공(111)과 공기배출공(113)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공(111)은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공기배출공(113)은 케이스의 하부 중앙에 위치하여 의복에 구비되는 장착홀과 관통 연결토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통기모듈(100). 케이스(110)의 외측에 노출토록 설치되면서 PTC소자(130)의 일측에 접촉되는 외부방열핀(151)이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에는 PTC소자(130)의 타측에 접촉되는 내부방열핀(153)이 위치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통기모듈(100)은, 케이스(110)에 구비되는 공기유입공(111)을 통과한 공기가 내부방열핀(153)을 통과하면서 열교환한 후 공기배출공(113)을 향하도록 송풍팬(17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170)은,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어 내부방열핀(153)에 근접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공의 일측으로 외부에서 탈착가능한 필터(112)가 더 구비되어도 좋다.
이때, 상기 필터(112)는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며 일층이상으로 적층설치되어도 좋다.
계속하여, 상기 송풍팬(170)은,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190)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통기모듈(100)은, 케이스의 일측에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소켓(191)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탈,부착수단(300)은, 통기모듈 및 장착홀의 둘레에 서로 대응토록 구비되는 매직테잎(310)으로 이루어진다.
더하여, 상기 탈,부착수단(300)은, 장착홀(110)에 지지되면서 통기모듈(100)에 결합토록 플랜지를 구비하여 그 중앙부가 돌출되면서 관통되는 갓 형상인 브라켓(3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브라켓(330)은, 통기모듈(100)의 공기배출공(113)에 형성되는 나사부(331)에 나사결합되는 구성 또는 후크(335)로서 결합되는 구성중에서 선택된다.
더하여, 상기 브라켓의 플랜지부에는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나선상의 유도홈(33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통기모듈(100)은, 스위치(180)가 더 구비되어 전원의 극성을 변화시켜 냉풍이나 열풍을 공급시키거나 동작온도 및 풍량을 조절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의복(200)에 형성되는 장착홀(210)에 탈,부착수단(300)을 통하여 통기모듈(100)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일반적인 의복에는 물론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의복(방호복, 작업복 등)에도 용이하게 사용토록 된다.
즉, 상기 통기모듈(100)은 의복에서 탈,부착수단(300)을 통하여 결합 및 분리가능토록 설치되어 의복에서 통기모듈(100)을 분리한 후 의복만을 세탁하거나 폐기토록 한다.
또한, 오염지역에서 상기 통기모듈(100)이 결합되는 의복을 사용하여도 통기모듈을 분리한 의복만을 폐기하여 오염을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통기모듈(100)은, 케이스(110)에 구비되는 공기유입공(111)과 공기배출공(113)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토록 설치될 때 공기유입공(111)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필터(112)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의복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유입토록 된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공(111)은 케이스의 양측면에 상기 공기배출공(113)은 케이스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어 송풍팬(170)의 동작시 유입되는 공기가 공기배출공으로 향할 때 상기 공기배출공에 대응 연결토록 의복에 구비되는 장착홀(210)을 통하여 의복의 내측에 공기가 유입토록 된다.
또한, 상기 통기모듈(100), 케이스(110)의 외측에 노출토록 설치되면서 PTC소자(130)의 일측에 접촉되는 외부방열핀(151)이 연결되어 외부공기와 열교환토록 하고,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에는 PTC소자(130)의 타측에 접촉되는 내부방열핀(153)이 위치토록 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도록 한다.
즉, 상기 PTC소자(130)는 정극성의 전원공급시 외부방열핀측이 발열하면서 내부방열핀측이 냉각토록 되고, 역극성의 전원공급시 반대로 외부방열핀측이 냉각하면서 내부방열핀측이 발열토록 되어 스위치(180) 조작에 의해 냉풍이나 열풍을 공급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송풍팬(170)의 동작시 케이스(110)에 구비되는 공기유입공(111)을 통과한 공기가 내부방열핀(153)을 통과하면서 열교환한 후 공기배출공(113)을 향하도록 할 때 스위치의 조작을 통하여 동작온도 및 풍량을 조절토록 한다.
이때, 상기 송풍팬(170)은 케이스에 결합되면서 내부방열핀(153)에 근접토록 설치되어 여름철 외부에서 유입되는 고온의 공기가 내부방열핀(153)을 따라 흐르면서 열교환되어 냉각된 공기로 변환시키는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통기모듈(100)은, 케이스의 일측에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소켓(191)이 더 구비되어 의복에 연결하여 사용할 때에도 케이블로서 연결되어 의복 내부로의 냉각공기 공급이 가능함은 물론 분리시에도 소켓을 통한 전원의 충전이 가능토록 설치되어 자체 충전전원으로도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탈,부착수단(300)은, 통기모듈 및 장착홀의 둘레에 서로 대응토록 구비되는 매직테잎(310)으로 이루어져 원터치에 의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탈,부착수단(300)은, 장착홀에 지지되면서 통기모듈에 결합토록 플랜지를 구비하면서 그 중앙부가 돌출되는 브라켓(330)으로 이루어져 상기 브라켓을 장착홀에 삽입한 상태에서 통기모듈을 결합하면 통기모듈(100)이 의복에 견고하게 연결토록 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330)은, 통기모듈의 공기배출공에 형성되는 나사부(331)에 나사결합되는 구성 또는 후크(335)로서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100...통기모듈 110...케이스
130...PTC소자 153...내부방열핀
170...송풍팬 200...의복
210...장착홀 300...탈,부착수단
310...매직테잎

Claims (5)

  1. 의복에 형성되는 장착홀에 탈,부착수단을 통하여 통기모듈이 결합되고,
    상기 탈,부착수단은, 장착홀에 지지되면서 통기모듈에 결합토록 플랜지를 구비하여 그 중앙부가 돌출되면서 관통되는 갓 형상인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라켓은, 통기모듈의 공기배출공에 형성되는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구성 또는 후크로서 결합되는 구성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브라켓의 플랜지부에는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나선상의 유도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통기모듈은
    a). 케이스에 구비되는 공기유입공과 공기배출공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토록 설치되고,
    b). 케이스의 외측으로 PTC소자의 일측에 접촉되는 외부방열핀이 노출토록 하고,
    c).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PTC소자의 타측에 접촉되는 내부방열핀이 위치하며,
    d).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공기유입공을 통과한 공기가 내부방열핀을 통과하면서 열교환한 후 공기배출공을 향하도록 송풍팬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은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어 의복 외부의 공기가 PTC소자를 통하여 열교환 된 후 의복의 내부에 공급토록 설치되는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모듈은, 케이스의 일측에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소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모듈은, 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전원의 극성을 변화시켜 냉풍이나 열풍을 공급시키거나 동작온도 및 풍량을 조절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
KR2020200002261U 2020-06-29 2020-06-29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 KR200497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261U KR200497305Y1 (ko) 2020-06-29 2020-06-29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261U KR200497305Y1 (ko) 2020-06-29 2020-06-29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34U KR20220000034U (ko) 2022-01-05
KR200497305Y1 true KR200497305Y1 (ko) 2023-10-06

Family

ID=7934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261U KR200497305Y1 (ko) 2020-06-29 2020-06-29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305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343B1 (ko) * 2003-07-02 200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능성 의복
KR20180000838U (ko) * 2016-09-19 2018-03-28 조은별 공기 순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34U (ko)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633536U (zh) 一种智能调节的空调服
US20070283961A1 (en) Air purifier for a protective garment
TW201542111A (zh) 散熱衣
JP3229764U (ja) 電子冷暖式マスク・フィルター
EP3660407A1 (en) Air cleaner including thermoelectric module
WO2005000054A1 (ja) ファン露出型空調服用のファン取付装置及びファン露出型空調服用の送風装置
CN111616459A (zh) 一种分体式智能降温防护头罩
JP2023549161A (ja) 首掛け扇風機
KR200497305Y1 (ko) 의복 부착형 통기 모듈
JP2003336120A (ja) ヘルメット用空調装置
KR101980175B1 (ko) 냉온방장치
KR200396191Y1 (ko) 충전식 배터리팩을 이용한 온열냉풍 조끼
KR101341334B1 (ko) 미세기후 조절기
US20220082307A1 (en) Air-conditioned garment having semiconductor cooling system
CN216453469U (zh) 一种水冷式的半导体制冷空调服
CN113142700A (zh) 一种具有净化空气及空调功能的衣服
CN218480695U (zh) 挂脖调温装置
CN111921111A (zh) 便携式可调供气装置
CN105890079A (zh) 可穿戴式智能空调器
CN217401218U (zh) 挂脖调温装置
CN218033471U (zh) 调温机构外置的便携式挂脖空调
CN217950720U (zh) 一种双风机便携穿戴式电风扇
JP7437842B1 (ja) 身体温度調整装置、及び身体温度調整被服
CN113841951A (zh) 混合式降温服装
KR200353700Y1 (ko) 레저용 다목적 냉온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