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334B1 - 미세기후 조절기 - Google Patents

미세기후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334B1
KR101341334B1 KR1020120030331A KR20120030331A KR101341334B1 KR 101341334 B1 KR101341334 B1 KR 101341334B1 KR 1020120030331 A KR1020120030331 A KR 1020120030331A KR 20120030331 A KR20120030331 A KR 20120030331A KR 101341334 B1 KR101341334 B1 KR 101341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icroclimate
climate control
cas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8705A (ko
Inventor
황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펠
Priority to KR102012003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334B1/ko
Publication of KR20130108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41D2400/12Heat retention or warming using temperature-controlle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1Removal of heat by a gas

Abstract

사용자의 의복에 형성되는 미세기후를 주변 온도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제어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에너지 소모량이 적으며, 경량 및 소형화로 휴대가 용이한 미세기후 조절기를 제시한다. 그 조절기는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부와 연결되고 열전소자를 포함한 기후 조절소자에 의해 공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후 조절부 및 기후 조절부와 연결되며 기후 조절부에 의해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방출하는 공기 방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기후 조절기{Micro-climat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미세기후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이 의복을 착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미세기후를 주변 온도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제어할 수 있는 미세기후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은 주변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데 그 주기능이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단순히 인체를 보호하는 수준이 아닌 다양한 디자인을 통해 각자의 개성을 연출하는 패션 기능이 부각되고 있으며, 나아가 외부 환경에 대하여 인체의 체온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항온의복과 같은 기능성 의복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외부 환경에 대하여 인체를 시원하게 하거나 따뜻하게 하도록 의복에 냉난방 기능을 하여 체온을 상쾌하게 유지하게 하는 것을 미세기후 조절기라고 한다. 즉, 미세기후란 의복을 착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외부의 환경과는 별개로 의복 내에 형성되는 공기의 성상을 말하며, 미세기후 조절기는 의복에 장착하여 의복의 미세기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경우,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348544호에서와 같이, 의복의 내측에 상변환(phase change material) 물질이 내장된 팩(pack)을 부착하고, 이 팩을 인체에 접촉시킴으로써, 시원하거나 따뜻함을 부여하여 미세기후 조절 기능을 하는 의복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상변환 물질은 상변환이 이루어지는 시간의 제약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없으며, 인체와의 접촉면에서 습도의 증가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야기하였다. 또한, 종래의 다른 미세기후 조절이 가능한 의복은 국내공개특허 제2007-0036273호에서와 같이 외기를 유통시켜 인체를 냉각하는 공기 또는 온/냉수를 순환시켜 방한 및 방열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기를 유통하면, 사용자가 선박 용접과 같이 고온의 열악한 환경에서 많은 땀을 흘렸을 경우에는, 의복으로 인하여 상기 땀을 충분히 기화할 수 없었다. 아울러, 상기 공기순환 방식은 공기의 유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의복과 속옷 사이에 스페이서(spacer)를 별도로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구성이 복잡하였다.
또한, 액체순환 방식은 사용자가 기후변화에 따라 온/냉수를 직접 선택하여 충진해야 하며, 중량이 무거워 체력이 약한 사람들이 착용하기가 불편하였다. 게다가, 온/냉수의 누수로 인해 오작동의 우려가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온/냉수의 유통로인 튜브가 접히거나 막히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나아가 온/냉수가 적당한 유속을 얻기 위해서는 비교적 높은 압력을 제공하여야 하므로, 에너지 소모량이 비교적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의복에 형성되는 미세기후를 주변 온도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제어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에너지 소모량이 적으며, 경량 및 소형화로 휴대가 용이한 미세기후 조절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세기후 조절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공기 흡입부와 연결되고, 열전소자를 포함한 기후 조절소자에 의해 상기 공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후 조절부 및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기후 조절부와 연결되며, 상기 기후 조절부에 의해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방출하는 공기 방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공기 흡입부, 상기 기후 조절부 및 공기 방출부가 하나의 상기 구동수단, 예를 들어 동축 팬으로 동작되기 위하여 하나의 원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기후 조절부로 흐르는 경로를 분배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유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유로는 상기 공기 흡입부에서 상기 기후 조절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후 조절소자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양측에 게재되어 상기 열전소자 사이에 존재하는 열적인 흐름을 차단하는 단열판과, 상기 열전소자의 내측에 부착되는 내측 히트싱크 및 상기 열전소자의 외측에 부착되는 외측 히트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히트싱크는 상기 공기 흡입부로부터 들어온 공기의 온도를 내리는 찬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 히트싱크는 상기 공기 흡입부로부터 들어온 공기의 온도를 올리는 더운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열전소자는 펠티어 소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방출부는 찬 공기를 인체로 방출하는 공기 방출관 및 더운 공기를 상기 외부로 방출하는 차단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방출관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 방출관에 흐르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은 상기 공기 방출관의 둘레를 감싸는 지지관 및 상기 지지관으로부터 상기 케이스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고 공기가 방출되는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날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날개의 가장 큰 바깥둘레는 상기 케이스의 둘레보다 적어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을 상기 케이스에 밀착시키면 상기 더운 공기는 상기 기후 조절부로 역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차단판의 개폐 정도에 따라 상기 공기 방출관을 흐르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세기후 조절기에 따르면,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미세기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복에 형성되는 미세기후를 주변 온도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제어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에너지 소모량이 적으며, 경량 소형화로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차단판과 밸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복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및 양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미세기후 조절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미세기후 조절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를 다른 각도에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후 조절소자의 하나의 사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미세기후 조절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미세기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복에 형성되는 미세기후를 주변 온도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제어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에너지 소모량이 적으며, 경량 소형화로 휴대가 용이한 미세기후 조절기를 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세기후 조절기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미세기후 조절기의 원리 및 작동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미세기후란 의복을 착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외부의 환경과는 별개로 의복 내에 형성되는 공기의 성상을 말하며, 미세기후 조절기는 의복에 장착하여 의복의 미세기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또한, 의복은 개인이 착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겉옷, 셔츠, 속옷, 조끼, 헬멧 등을 모두 지칭하는 것으로, 작업자, 운전자 등이 미세기후의 조절이 필요한 환경에서 입고 있는 것을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세기후 조절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부분적으로 파단하여 도시하였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미세기후 조절기는 통상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동축 팬(coaxial fan) 등과 같은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a)와, 공기 흡입부(a)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열전소자(thermoelectric element)에 의해 조절하는 기후 조절부(b) 및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밸브를 이용하여 의복 안으로 방출하는 공기 방출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공기 흡입부(a), 기후 조절부(b) 및 공기 방출부(c)의 일부를 제외하고 케이스(30)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공기 흡입부(a), 기후 조절부(b) 및 공기 방출부(c)는 하나의 구동수단, 예컨대 동축 팬으로 동작되기 위하여, 케이스(30)는 하나의 원통이 바람직하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세기후 조절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표현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를 다른 각도에 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공기 흡입부(a)는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는 부분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경로에 따라 안전 그릴(grill)(10), 필터(12), 팬 모터(14)와 같은 구동수단의 순으로 설치되며, 팬 모터(14)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흐르는 경로를 조절하는 가이드 유로(20)를 포함한다. 이때, 필터(12)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속에 포함된 오염 물질이나 세균 등을 걸러내는 것으로, 통상적인 필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안전 그릴(10)은 흡입되는 외부의 공기와 처음으로 접촉하는 부분으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팬 모터(14)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한다. 만일, 필터(12)가 장착된 경우에는 필터(12)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안전 그릴(10)에 형성된 홀의 형태는 본 발명의 미세기후 조절기의 크기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 가능하다. 또한, 팬 모터(14)는 팬(fan)이 달린 모터로 이루어졌으며,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기후 조절부(b)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팬 모터(14)의 크기 및 출력 등은 특별히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미세기후 조절기의 크기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가이드 유로(20)는 팬 모터(14)에 의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기후 조절부(b)로 흐르는 경로를 분배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기후 조절부(b)에서 상대적으로 더운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①)으로 보내고, 일부는 찬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②)으로 보낸다. 가이드 유로(20)는 찬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②)으로 향하는 부분의 통로는 좁고 팬 모터(14)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이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나, 깔때기 형태가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입된 공기는 깔때기의 안쪽으로는 찬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②)으로 흘러가고, 깔때기의 바깥쪽으로는 더운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①)으로 흘러간다.
기후 조절부(b)는 공기 흡입부(a)로부터 들어온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후 조절소자(40)를 포함한다. 기후 조절소자(40)는 전류에 의해 발열 또는 흡열을 수행하는 열전소자(43), 열전소자(43)의 발열 또는 흡열을 각각 상기 공기와 열 교환시키는 외측 히트싱크(41)와 내측 히트싱크(44) 및 열전소자(43) 사이에 존재하는 열적인 흐름을 차단하는 단열판(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열전소자(thermoelectric element)는 두 종류의 도체를 결합하고 전류를 흐르도록 할 때, 한쪽의 접점은 발열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다른 쪽의 접점에서는 흡열하여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인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하는 소자가 바람직하다.
열교환이 잘 일어나기 위하여, 열전소자(43)의 외면은 외측 히트싱크(41), 내면은 내측 히트싱크(44)에 밀착된 것이 좋다. 단열판(42)은 열전소자(43)와 외측 및 내측 히트싱크(41, 44)에 의해 제공된 공간을 메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후 조절소자(40)는 원통형의 케이스(30)에 내장되므로, 원통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육각형 등의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기후 조절소자(40)는, 열전소자(43)를 중심으로 하여 볼 때, 케이스(30) 근처에 위치하는 외측 히트싱크(41) 쪽은 발열하여 온도가 올라가서 더운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①)과, 내측 히트싱크(44) 쪽은 흡열하여 온도가 내려가서 찬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②)으로 분리된다. 다시 말해, 열전소자(43)에 의해 외측 히트싱크(41)는 가이드 유로(2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올리며, 상승된 온도로 더워진 공기는 케이스(30)와 외측 히트싱크(41)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따라 흐른다. 반대로, 내측 히트싱크(44)는 가이드 유로(2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내리며, 하강된 온도에 의해 차가워진 공기는 내측 히트싱크(44)의 안쪽에 제공된 통로로 흐른다. 이때, 열전소자(43)의 크기와 용량은 본 발명의 미세기후 조절기가 사용되는 환경 및 미세기후 조절기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공기 방출부(c)는 찬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②)으로부터 찬 공기가 방출되는 공기 방출관(60)과, 더운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①)으로부터 더운 공기를 차단하거나 유통시키는 차단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공기 방출관(60)은 의복을 통하여 인체를 향하고, 차단판(50)은 인체의 외부와 접하게 된다. 공기 방출관(60)은 내측 히트싱크(44)와 연결되며, 이에 따라 내측 히트싱크(44)에서 차가워진 공기는 공기 방출부(c)를 통해서만 방출되게 된다. 공기 방출관(60)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파이프(pipe)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공기 방출관(60)의 내부에는 공기 방출관(60)에 흐르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62)가 배치되고, 공기 방출관(60)의 외측에는 밸브(62)의 여닫는 정도를 조절하는 밸브 조절기(64)가 설치된다. 밸브(62)는 공기 방출관(60)의 입구를 완전히 막을 수 있는 판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밸브(62)에 연결된 밸브 조절기(64)를 회전시켜서 밸브(62)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밸브 조절기(64)를 돌려서 밸브(62)의 여닫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공기 방출관(6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차단판(50)은 안쪽은 공기 방출관(60)의 둘레를 감싸는 지지관(50a)과 지지관(50a)으로부터 케이스(30)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며 공기가 방출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확대되는 날개(50b)로 이루어진다. 차단판(50)의 날개(50b)는 케이스(30)의 입구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날개(50b)의 끝부분의 바깥둘레가 케이스(30)의 둘레보다 적어도 크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차단판(50)을 공기 방출관(60)을 따라 지지관(50a)을 기후 조절부(b) 방향으로 밀면 상기 통로가 완전히 밀폐되고, 반대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통로가 개방되어 공기가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팬 모터(14) 및 기후 조절소자(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가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휴대가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 충전지 및 연료전지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외부 직류 전원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전류제어부에 의해 기후 조절소자(40)에 공급되는 전류 및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여 냉각량 및 발열량을 가변시키고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기후 조절기는 휴대가 용이하고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기후 조절소자(4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비중이 가벼운 소자,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후 조절소자의 하나의 사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절단한 단면은 단열판(42)이 위치하는 부분에 해당하므로, 열전소자(43)는 도 2a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후 조절소자(40)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소자(43)가 결합되고, 열전소자(43)의 양측에 단열판(42)이 위치한다. 그리고 열전소자(43)의 내측에는 내측 히트싱크(44)가 부착되고, 열전소자(43)의 외측에는 외측 히트싱크(41)가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6개의 열전소자(43)가 도시되어 있지만, 열전소자(43)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기후 조절소자(40)는 상기한 각 부품을 개별적으로 조립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내측 히트싱크(44)를 단일체로 제작한 후에 열전소자(43)를 부착하고 외측 히트싱크(41)를 조립하여 원기둥 형태를 갖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내측 히트싱크(44)는 알루미늄을 허니콤 형태로 제작한 후 절개하여 핀 형태(fin type) 또는 압출하여 만든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외측 히트싱크(41)는 빗살 형태 또는 스파이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핀 형태의 내측 히트싱크(44) 및 빗살 형태의 외측 히트싱크(41)를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후 조절소자(40)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소자(43)를 결합하고, 열전소자(43)의 내면과 외면에 에어 파이프(air pipe) 형태의 내측 히트싱크(44)와 외측 히트싱크(41)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나아가, 제어회로를 이용하여 열전소자(43)에 정방향 전류 및 역방향 전류를 부가함으로써, 냉각(냉방)모드와 가열(난방) 모드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세기후 조절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때, 도 4a는 더운 공기의 흐름이 차단판(50)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차단판(5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후 조절기의 공기 흐름은 화살표로 표현하였으며, 공기 흡입부(a)의 경우는 해칭이 없고, 외측 히트싱크의 더운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①)은 빗금 형태의 해칭을 하였으며, 내측 히트싱크의 찬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②)은 수직선 형태의 해칭을 하였고, 공기 방출부(c)의 경우는 점으로 이루어진 해칭을 하였다. 나아가, 도 4b에서와 같이 찬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②)을 통과하는 공기는 물결 모양으로 해칭을 하여 다른 공기의 흐름과 구분하였다.
도 4a에서, 사용자가 미세기후 조절기의 냉방 모드를 선택하려면, 차단판(50)을 기후 조절부(b) 반대편으로 밀어 최대한으로 개방한다. 이에 따라 공기 흡입부(a)에서 흡입된 외부 공기의 일부는 가이드 유로(20)에 의해 외측 히트싱크(41) 쪽의 더운 공기 생성 영역(①)으로 보내진다. 더운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①)의 더운 공기는 개방된 차단판(50)을 통하여 외부로 모두 방출된다. 한편, 가이드 유로(20)에 의해 내측 히트싱크(44) 쪽으로 들어간 외부 공기는 내측 히트싱크(44) 쪽의 찬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②)을 통과하면서 차가워지고, 차가워진 공기는 공기 방출관(60)을 통하여 사용자의 의복으로 방출된다. 이때, 사용자는 공기 방출관(60)에 설치된 밸브(62)를 조절하여 차가워진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냉방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미세기후 조절기의 난방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차단판(50)을 기후 조절부(b) 방향으로 밀어 케이스(30)의 입구를 막아 폐쇄한다. 이에 따라 더운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①)의 더운 공기는 차단판(50)을 통하여 미세기후 조절기 밖으로 방출되지 못하고 역류하여 가이드 유로(20)에 의해 찬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②) 쪽으로 흐르게 된다. 즉, 차단판(50)이 폐쇄됨으로써 더운 공기는 밖으로 방출되지 못하고 내측 히트싱크(44) 쪽으로 역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더운 공기는 찬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②)의 찬 공기와 혼합된다. 혼합된 공기는 찬 공기의 온도를 올려서 방출관(60)을 통하여 사용자의 의복 안으로 방출된다.
이때, 사용자는 차단판(50)이 열리는 정도를 조절하여 의복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판(50)을 완전히 열지 않고 중간 정도로 개방한다면, 완전하게 개방된 경우에 비해 더운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나아가, 공기 방출관(60) 내의 밸브(62)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미세기후 조절기는 사용자의 의복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및 양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a; 공기 흡입부 b; 기후 조절부
c; 공기 방출부 10; 안전 그릴
12; 필터 14; 구동수단
20; 가이드 유로 30; 케이스
40; 기후 조절소자 41; 외측 히트싱크
42; 단열판 43; 열전소자
44; 내측 히트싱크 50; 차단판
60; 공기 방출관 62; 밸브
64; 밸브 조절기

Claims (14)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공기 흡입부와 연결되고, 열전소자를 포함한 기후 조절소자에 의해 상기 공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후 조절부; 및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기후 조절부와 연결되며, 상기 기후 조절부에 의해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방출하는 공기 방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방출부는,
    찬 공기를 인체로 방출하는 공기 방출관; 및
    더운 공기를 상기 외부로 방출하는 차단판을 구비하는 미세기후 조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공기 흡입부, 상기 기후 조절부 및 공기 방출부가 하나의 상기 구동수단으로 동작되기 위하여 하나의 원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후 조절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기후 조절부로 흐르는 경로를 분배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후 조절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로는 상기 공기 흡입부에서 상기 기후 조절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후 조절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후 조절소자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양측에 게재되어 상기 열전소자 사이에 존재하는 열적인 흐름을 차단하는 단열판;
    상기 열전소자의 내측에 부착되는 내측 히트싱크; 및
    상기 열전소자의 외측에 부착되는 외측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후 조절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히트싱크는 상기 공기 흡입부로부터 들어온 공기의 온도를 내리는 찬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후 조절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히트싱크는 상기 공기 흡입부로부터 들어온 공기의 온도를 올리는 더운 공기를 생성하는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후 조절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펠티어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후 조절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방출관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 방출관에 흐르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후 조절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상기 공기 방출관의 둘레를 감싸는 지지관; 및
    상기 지지관으로부터 상기 케이스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고 공기가 방출되는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날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후 조절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가장 큰 바깥둘레는 상기 케이스의 둘레보다 적어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후 조절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을 상기 케이스에 밀착시키면 상기 더운 공기는 상기 기후 조절부로 역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후 조절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의 개폐 정도에 따라 상기 공기 방출관을 흐르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후 조절기.
KR1020120030331A 2012-03-26 2012-03-26 미세기후 조절기 KR101341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331A KR101341334B1 (ko) 2012-03-26 2012-03-26 미세기후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331A KR101341334B1 (ko) 2012-03-26 2012-03-26 미세기후 조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705A KR20130108705A (ko) 2013-10-07
KR101341334B1 true KR101341334B1 (ko) 2013-12-13

Family

ID=4963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331A KR101341334B1 (ko) 2012-03-26 2012-03-26 미세기후 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3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4206A1 (en) * 2021-04-13 2022-10-19 State Research Institute Center for Physical Sciences and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thermal comfort
JP2023128347A (ja) * 2022-03-03 2023-09-14 深セン市森米科技有限公司 冷房装置及び冷房装置を使用する冷房服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924B1 (ko) * 2015-06-09 2016-12-05 주식회사 제펠 폐쇄형 의복에 적용되는 미세기후 조절기
CN111713786B (zh) * 2020-07-07 2022-02-15 河南亚都实业有限公司 便携式医疗防护服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343B1 (ko) * 2003-07-02 200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능성 의복
KR20100123958A (ko) * 2009-05-18 2010-11-26 이진영 이중열전소자모듈 및 이를 사용하는 냉난방 시스템
KR101082617B1 (ko) 2009-01-22 2011-11-10 (주)에이치티알디 열전소자를 이용한 건조장치
KR20120064927A (ko) * 2010-12-10 2012-06-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열전소자를 이용한 공기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343B1 (ko) * 2003-07-02 200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능성 의복
KR101082617B1 (ko) 2009-01-22 2011-11-10 (주)에이치티알디 열전소자를 이용한 건조장치
KR20100123958A (ko) * 2009-05-18 2010-11-26 이진영 이중열전소자모듈 및 이를 사용하는 냉난방 시스템
KR20120064927A (ko) * 2010-12-10 2012-06-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열전소자를 이용한 공기 공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4206A1 (en) * 2021-04-13 2022-10-19 State Research Institute Center for Physical Sciences and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thermal comfort
JP2023128347A (ja) * 2022-03-03 2023-09-14 深セン市森米科技有限公司 冷房装置及び冷房装置を使用する冷房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705A (ko)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343B1 (ko) 기능성 의복
US6823678B1 (en) Air conditioner system for flexible material-based devices
KR101341334B1 (ko) 미세기후 조절기
US20110187165A1 (en) Vehicle seat
US20070137685A1 (en) Solar power-operated cooling helmet
KR102056913B1 (ko) 냉각장치를 구비한 의류
KR20090132674A (ko) 히터
CN105559229B (zh) 一种制冷头盔
KR101429523B1 (ko) 펠티어 소자를 구비한 얼굴용 냉온 찜질장치
KR101681924B1 (ko) 폐쇄형 의복에 적용되는 미세기후 조절기
KR20150001907U (ko) 에어 상의
CN209391133U (zh) 一种半导体冷暖头盔
KR101700912B1 (ko) 냉온선풍기
CN109288187A (zh) 一种半导体冷暖头盔
CN205939509U (zh) 一种可随身佩戴的便携式空调扇
KR101785828B1 (ko) 의복 장착용 통풍구
US20220082307A1 (en) Air-conditioned garment having semiconductor cooling system
TWI639395B (zh) Smart air conditioning helmet
KR102073556B1 (ko) 송풍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시트
JP2012246591A (ja) 送風機能を備えた装着体
JP5397828B2 (ja) 防護服用冷却装置
JP2006009181A (ja) 温度調整機能付きヘルメット
KR20170027964A (ko) 냉온열 송풍베개
CN219797385U (zh) 便携式空调
KR200229130Y1 (ko)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냉온(冷溫)방식의 방제용 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