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288Y1 - 접이식 옷걸이 - Google Patents

접이식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288Y1
KR200497288Y1 KR2020220001640U KR20220001640U KR200497288Y1 KR 200497288 Y1 KR200497288 Y1 KR 200497288Y1 KR 2020220001640 U KR2020220001640 U KR 2020220001640U KR 20220001640 U KR20220001640 U KR 20220001640U KR 200497288 Y1 KR200497288 Y1 KR 200497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ocking
hanger
ho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경
Original Assignee
이윤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경 filed Critical 이윤경
Priority to KR2020220001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2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2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15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 A47G25/4023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collapsing downwardly away from the hook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옷을 옷걸이에 걸거나 옷걸이에 걸린 옷을 빼는 과정에서 옷의 목 부위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빈 옷걸이를 접어 크기를 줄여줌으로써 옷장 내 공간 확보 및 시각적으로 정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옷걸이{FOLDING HANGER}
본 고안은 옷을 옷걸이에 걸거나 옷걸이에 걸린 옷을 빼는 과정에서 옷의 목 부위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을 옷장 등에 걸어 보관하거나 세탁한 옷을 건조대에 걸어 건조하는 등의 경우 주로 옷걸이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옷걸이를 이용하여 옷을 걸거나 옷걸이에 걸린 옷을 빼내는 과정에서 옷의 목 부위를 늘려주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게 되면 옷의 목 부위가 점차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고 늘어나게 되는 등 옷이 손상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옷장 내 옷걸이봉에 사용하지 않는 여러 종류의 옷걸이가 뒤죽박죽으로 섞여 걸려있을 수 있다. 이러한 빈 옷걸이에 의해 옷장 내부가 시각적으로 정리되지 않은 느낌이 들 수 있으며, 또한 빈 옷걸이가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3296호(공개일: 2011.05.20.)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옷을 옷걸이에 걸거나 옷걸이에 걸린 옷을 빼는 과정에서 옷의 목 부위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빈 옷걸이를 접어 크기를 줄여줌으로써 옷장 내 공간 확보 및 시각적으로 정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옷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는, 전면에 관통공이 구비된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측에 걸이용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옷의 일측 어깨 부분을 지지하는 제1걸이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게 배치된 회동부재의 축선을 회전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소정각도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펼침 조작 시 옷의 타측 어깨 부분을 지지하며, 상기 회동부재의 배면에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제2걸이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회동부재의 배면을 상기 관통공을 향해 탄성 지지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이 구비되어 소정각도에서 상기 제2걸이부의 펼침 또는 접힘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회동부재의 축공과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누름 조작 시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이 해제되는 버튼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버튼조작부는, 상기 회동부재의 축공 내에서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부재; 및 상기 버튼부재가 상기 축공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의 배면과 면접되게 상기 버튼부재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이 구비되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 다른 접이식 옷걸이는, 전면에 관통공이 구비된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측에 걸이용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 내주면에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옷의 일측 어깨 부분을 지지하는 제1걸이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상기 관통공과 동일 축 선상에 배치된 회동부재의 축선을 회전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소정각도 선회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축선을 따라 소정거리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펼침 조작 시 옷의 타측 어깨 부분을 지지하며,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플랜지에 걸림홈이 구비되어 소정각도에서 펼침 또는 접힘 상태가 유지되는 제2걸이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회동부재의 배면을 상기 관통공 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회동부재의 전면에 돌출된 버튼부재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버튼부재의 누름 조작 시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이 해제되는 버튼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은, 상기 관통공이 구비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와의 사이에 상기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회동부재가 축선을 회전중심으로 선회하거나 상기 축선을 따라 소정거리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제2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실시예에 따른 상기 걸림홈은, 상기 제2걸이부가 소정각도에서 접힘 또는 펼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의 일측에 접힘용 홈이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의 타측에 펼침용 홈이 구비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실시예에 따른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은, 상기 제2걸이부의 펼침 조작 시 상기 버튼조작부의 누름 조작 없이 상기 접힘용 홈으로부터 자동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타측은, 상기 제2걸이부의 접힘 조작 시 상기 버튼조작부의 누름 조작을 통해 상기 펼침용 홈으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실시예에 따른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축선을 기준으로 회동부재의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가 대응 걸림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접이식 옷걸이를 구성하는 제1걸이부와 제2걸이부를 선택적으로 접힘 또는 펼침 조작할 수 있음으로써 옷을 옷걸이에 걸거나 옷걸이에 걸린 옷을 빼는 과정에서 옷의 목 부위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빈 옷걸이를 접어 크기를 줄여줌으로써 옷장 내 공간 확보 및 시각적으로 정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전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을 배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걸이부와 버튼조작부의 걸림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상세도,
도 5, 도 6a, 도 6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의 사용 및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을 전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을 배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10a, 도 10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의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의 사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 제1실시예 >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전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100)는, 하우징(110), 제1걸이부(120), 제2걸이부(130), 버튼조작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에 관통공(111)이 구비된 내부 수용공간(S)이 마련되며, 하우징(110)의 상측에는 옷걸이봉에 걸 수 있도록 걸이용 고리(11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10)은 후술할 제2걸이부(130)의 선회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외둘레에 소정각도 범위의 가이드공(1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부(12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옷(1)의 일측 어깨 부분(1a)(도 5 참조)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걸이부(120)는 걸이용 고리(113)와 함께 하우징(110)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후술할 제2걸이부(130)의 접힘 또는 펼침 조작 시 걸이용 고리(113)를 손잡이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부(130)는 하우징(110)의 수용공간(S) 내에 관통공(111)과 연통되게 배치된 회동부재(131)의 축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우징(110)의 타측에 소정각도 선회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걸이부(130)는 펼침 조작 시 옷(1)의 타측 어깨 부분(1b)(도 5 참조)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부재(131)는 내부에 축공(131a)이 구비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축공(131a)은 후술할 버튼부재(14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관통공(111)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동부재(131)의 배면에는 걸림돌기(133)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돌기(133)의 구체적인 개수와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버튼조작부(140)는 수용공간(S) 내에서 회동부재(131)의 배면을 축공(131a)의 축선 방향을 따라 관통공(111) 측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버튼조작부(140)에는 걸림돌기(133)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143)이 대응되게 구비되어 소정각도에서 제2걸이부(130)의 펼침 또는 접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조작부(140)는 회동부재(131)의 축공(131a) 내에서 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부재(141)와, 상기 버튼부재(141)가 축공(131a)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부재(131)의 배면과 면접될 수 있도록 버튼부재(141)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복수의 걸림홈(143)이 소정각도 이격되게 구비되는 플랜지(142)와, 상기 버튼부재(141) 배면의 삽입홈(141a)에 결합되어 버튼부재(141)를 축선을 따라 회동부재(131)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버튼부재(141)는 회동부재(131)의 축공(131a)과 관통공(111)을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도 1 참조). 따라서 버튼부재(141)의 누름 조작 시 걸림돌기(133)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홈(143)은 제2걸이부(130)가 소정각도에서 접힘 또는 펼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플랜지(142)의 일측에 접힘용 홈(143a)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142)의 타측에는 펼침용 홈(143b)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돌기(133)의 일측은 제2걸이부(130)의 펼침 조작 시 버튼조작부(140)의 누름 조작 없이 접힘용 홈(143a)으로부터 자동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경사면(133a)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133)의 타측은 제2걸이부(130)의 접힘 조작 시 버튼조작부(140)의 누름 조작을 통해 펼침용 홈(143b)으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걸림턱(133b)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133)의 경사면(133a)과 접촉하는 걸림홈(143)의 일측은 걸림돌기(133)의 원활한 슬립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33)는 축선을 기준으로 플랜지(142)의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143)은 한 쌍의 걸림돌기(133)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가 소정각도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돌기(133)가 한 개만 형성된 경우 접이식 옷걸이(100)에 걸린 옷(1)의 하중이 하나의 걸림돌기(133)에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133)를 회동부재(131)의 양측에 적어도 한 쌍을 배치함에 따라 옷(1)의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100)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6a,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2걸이부(120, 130)가 접힌 상태의 옷걸이(100)를 옷(1)의 개방된 목 부위를 통해 안쪽으로 집어넣는다(도 5의 (a) 참조). 이 경우 상기 걸이부(130)의 걸림돌기(133)는 접힘용 홈(143a)에 걸림 고정된 상태이다(도 6a 참조).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걸이용 고리(113)를 손으로 쥔 상태에서 제2걸림부(130)를 소정각도 선회시켜 펼침 조작한다(도 5의 (b) 참조). 이 경우 상기 제2걸림부(130)의 회동부재(131)는 걸림돌기(133)의 경사면(133a)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별도로 버튼부재(141)를 누름 조작하지 않아도 제2걸림부(130)가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다(도 6b 참조). 상기 제2걸림부(130)가 완전하게 펼쳐짐과 동시에 걸림돌기(133)가 펼침용 홈(143b)에 안착되면서 펼침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접이식 옷걸이(100)에 걸린 옷(1)을 빼내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걸이용 고리(113)를 잡은 상태에서 버튼부재(141)를 누름 조작하여 펼침용 홈(143b)으로부터 걸림돌기(133)의 걸림을 해제한다(도 6b 참조).
그런 후, 다른 한 손으로 제2걸림부(130)를 접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선회시키면 제2걸림부(130)가 접힘 조작된다. 이와 동시에 제2걸림부(130)의 걸림돌기(133)가 접힘용 홈(143a)에 안착되면서 접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도 6a 참조). 이렇게 상기 제2걸림부(130)를 제1걸림부(130) 측으로 접을 수 있음에 따라 옷(1)의 목 부위를 늘리지 않은 상태로 옷걸이(100)를 수월하게 빼낼 수 있다.
< 제2실시예 >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100)에서 버튼조작부(140)의 버튼부재(141)와 제2걸이부(130)(도 2 참조)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200)는, 하우징(210), 제1걸이부(220), 제2걸이부(230), 버튼조작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10)은 전면에 관통공(211)이 구비된 내부 수용공간(S)이 마련되고, 상측에 걸이용 고리(21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11)의 테두리 내주면에는 걸림돌기(217)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210)은 관통공(211)이 구비되는 제1몸체(210a)와, 상기 제1몸체(210a)와의 사이에 수용공간(S)이 마련되게 결합되며 후술할 제2걸이부(230)의 회동부재(231)가 축선 방향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부재(214)가 구비된 제2몸체(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210)은 후술할 제2걸이부(230)의 선회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외둘레에 소정각도 범위의 가이드공(2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부(220)는 하우징(2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옷(1)의 일측 어깨 부분(1a)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걸이부(220)는 걸이용 고리(213)와 함께 하우징(210)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후술할 제2걸이부(230)의 접힘 또는 펼침 조작 시 걸이용 고리(213)를 손잡이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걸이부(230)는 수용공간(S) 내에 관통공(211)과 동일 축 선상에 배치된 회동부재(231)의 축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우징(210)의 타측에 소정각도 선회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동부재(231)는 가이드부재(214)(도 8 참조) 내에 축선 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왕복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제2걸이부(230)는 펼침 조작 시 옷(1)의 타측 어깨 부분(1b)(도 5 참조)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동부재(231)의 플랜지(232)에는 걸림돌기(217)가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홈(233)이 구비되어 제2걸이부(130)가 소정각도에서 펼침 또는 접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버튼조작부(240)는 수용공간(S) 내에 구비된 탄성부재(243)를 매개로 회동부재(231)의 배면을 축선 방향을 따라 관통공(211) 측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조작부(240)는 회동부재(231)의 전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버튼부재(241)가 관통공(211)을 통해 하우징(2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조작부(240)는 버튼부재(241)의 누름 조작 시 제2걸이부(230)의 회동부재(231)가 축선 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동하면서 걸림홈(233)으로부터 걸림돌기(217)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돌기(217)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233)은 제2걸이부(230)가 소정각도에서 접힘(도 10a 참조) 또는 펼침(도 10b 참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플랜지(232)의 일측에 접힘용 홈(233a)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232)의 타측에는 펼침용 홈(233b)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걸이부(230)의 펼침 조작 시 별도의 버튼조작부(240)의 누름 조작 없이도 걸림돌기(217)가 접힘용 홈(233a)으로부터 자동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217)의 일측이 경사면(217a)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217)의 타측은 제2걸이부(230)의 접힘 조작 시 버튼조작부(240)의 누름 조작을 통해 펼침용 홈(233b)으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걸림턱(217b)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상기 걸림돌기(217)는 축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233)은 한 쌍의 걸림돌기(217)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가 소정각도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돌기(217)의 경사면(217a)과 접촉하는 걸림홈(233)의 일측은 원활한 슬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100)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걸이부(230)를 선택적으로 접힘 또는 펼침 조작해가며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옷(1)의 목 부위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제3실시예 >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300)는 제1, 2실시예의 접이식 옷걸이(100, 200)에 비해 단순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제1걸이부(310), 제2걸이부(320), 버튼조작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걸이부(310)는 일측에 걸이용 고리(311)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옷(1)의 일측 어깨 부분(1a)(도 5 참조)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부(320)는 제1걸이부(310)의 걸이용 고리(311) 하부에 힌지축(321)을 매개로 소정각도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접힘 또는 펼침 조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걸이부(320)는 옷(1)의 타측 어깨 부분(1b)(도 5 참조)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조작부(330)는 제1걸이부(310)의 몸체 외주면에 소정거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걸이부(320)의 펼침 조작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조작부(330)는 제1걸이부(310)의 몸체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튜브 형상의 버튼부재(331)와, 상기 버튼부재(331)를 제2걸이부(320)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버튼부재(331)의 선단(331a)과 접촉하는 제2걸이부(320) 일측 끝단(320a)의 모서리 부분에 라운드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걸이부(320)의 펼침 조작시 버튼부재(331)를 제1걸이부(310) 측으로 이동시키는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버튼부재(331)의 선단(331a)이 제2걸이부(320)의 라운드부(323) 부분과 맞닿아 슬립 이동되면서 상기 제2걸이부(320)의 일측 끝단(320a)이 버튼부재(331) 내에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걸이부(320)의 펼침 상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걸이부(320)의 접힘 조작 시에는 버튼부재(331)를 탄성부재(333) 측으로 압착 이동시켜 제2걸이부(320)의 걸림을 해제한 후, 제2걸이부(320)를 소정각도 선회시키는 방식으로 접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300)는, 제1, 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100, 200)와 같이 제2걸이부(320)를 선택적으로 접힘 또는 펼침 조작해가며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옷(1)의 목 부위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옷 1a : 일측 어깨 부분
1b : 타측 어깨 부분 100, 200, 300 : 접이식 옷걸이
110, 210 : 하우징 111, 211 : 관통공
113, 213, 311 : 걸이용 고리 115, 215 : 가이드공
120, 220, 310 : 제1걸이부 130, 230, 320 : 제2걸이부
131, 231 : 회동부재 131a : 축공
133, 217 : 걸림돌기 133a, 217a : 경사면
133b, 217b : 걸림턱 140, 240, 330 : 버튼조작부
141, 241, 331 : 버튼부재 142 : 플랜지
143, 233 : 걸림홈 143a, 233a : 접힘용 홈
143b, 233b : 펼침용 홈 145, 243, 333 : 탄성부재
214 : 가이드부재 321 : 힌지축
323 : 라운드부

Claims (7)

  1.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접이식 옷걸이에 있어서,
    전면에 관통공이 구비된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측에 걸이용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옷의 일측 어깨 부분을 지지하는 제1걸이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게 배치된 회동부재의 축선을 회전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소정각도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펼침 조작 시 옷의 타측 어깨 부분을 지지하며, 상기 회동부재의 배면에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제2걸이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회동부재의 배면을 상기 관통공을 향해 탄성 지지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이 구비되어 소정각도에서 상기 제2걸이부의 펼침 또는 접힘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회동부재의 축공과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누름 조작 시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이 해제되는 버튼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조작부는, 상기 회동부재의 축공 내에서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부재;와, 상기 버튼부재가 상기 축공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의 배면과 면접되게 상기 버튼부재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이 구비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접이식 옷걸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제2걸이부가 소정각도에서 접힘 또는 펼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의 일측에 접힘용 홈이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의 타측에 펼침용 홈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접이식 옷걸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은,
    상기 제2걸이부의 펼침 조작 시 상기 버튼조작부의 누름 조작 없이 상기 접힘용 홈으로부터 자동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타측은,
    상기 제2걸이부의 접힘 조작 시 상기 버튼조작부의 누름 조작을 통해 상기 펼침용 홈으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접이식 옷걸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회동부재의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가 대응 걸림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 것을 포함하는 접이식 옷걸이.
KR2020220001640U 2022-07-05 2022-07-05 접이식 옷걸이 KR2004972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640U KR200497288Y1 (ko) 2022-07-05 2022-07-05 접이식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640U KR200497288Y1 (ko) 2022-07-05 2022-07-05 접이식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288Y1 true KR200497288Y1 (ko) 2023-09-22

Family

ID=8819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640U KR200497288Y1 (ko) 2022-07-05 2022-07-05 접이식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288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296A (ko) 2009-11-14 2011-05-20 윤혜영 접이식 옷걸이
KR101658849B1 (ko) * 2016-03-16 2016-09-22 윤문영 접철식 옷걸이
CN208610499U (zh) * 2017-11-17 2019-03-19 广州甘石芯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衣架
CN110652163A (zh) * 2019-10-31 2020-01-07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基于棘轮机构的按压式衣架
CN210748610U (zh) * 2019-11-13 2020-06-16 聂永强 一种可方便收纳的衣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296A (ko) 2009-11-14 2011-05-20 윤혜영 접이식 옷걸이
KR101658849B1 (ko) * 2016-03-16 2016-09-22 윤문영 접철식 옷걸이
CN208610499U (zh) * 2017-11-17 2019-03-19 广州甘石芯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衣架
CN110652163A (zh) * 2019-10-31 2020-01-07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基于棘轮机构的按压式衣架
CN210748610U (zh) * 2019-11-13 2020-06-16 聂永强 一种可方便收纳的衣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7397B2 (ja) 折り畳み式スツール
CN211046986U (zh) 云台
JP2002209639A (ja) 折り畳み式宴会用テーブル
US5590823A (en) Collapsible garment hanger suitable for rapid one-handed engagement with garment
US20170071386A1 (en) Collapsible hanger for use in-garment to reduce creasing, crushing, and wrinkling, while maintaining support and structure, of upper garment d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KR200497288Y1 (ko) 접이식 옷걸이
GB2422536A (en) Collapsible garment hanger
US9687099B2 (en) Collapsible hanger for use in-garment to reduce creasing, crushing, and wrinkling, while maintaining support, of upper garment d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JP3798803B1 (ja) 折り畳み式たも網
CN114114793A (zh) 一种折叠柔光箱
CN212623521U (zh) 一种摄影灯反光装置
CN210962698U (zh) 病人转运车用遮挡伞
KR20150124822A (ko) 옷걸이
JP2008200315A (ja) 物干し
KR100589682B1 (ko) 접이식 파라솔
CN212623520U (zh) 一种摄影灯反光装置的卡盘机构
KR101597902B1 (ko)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접철장치
CN217885562U (zh) 一种折叠洗头椅
CN211716209U (zh) 可折叠稳定器
KR20200138651A (ko) 접이식 옷걸이
JP6830912B2 (ja) 連結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物干し器
CN218728531U (zh) 柔光箱的可折叠伞骨及柔光箱
CN109171188A (zh) 一种便携式谱架
KR100461254B1 (ko) 차량의 접이식 시트 수납장치
KR200218178Y1 (ko) 접철식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