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902B1 -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접철장치 - Google Patents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접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902B1
KR101597902B1 KR1020140129889A KR20140129889A KR101597902B1 KR 101597902 B1 KR101597902 B1 KR 101597902B1 KR 1020140129889 A KR1020140129889 A KR 1020140129889A KR 20140129889 A KR20140129889 A KR 20140129889A KR 101597902 B1 KR101597902 B1 KR 101597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ing hole
holes
hol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숙
Original Assignee
김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숙 filed Critical 김미숙
Priority to KR1020140129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cross legs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개시된 접철장치는, 제1로킹홀과 제1힌지홀이 형성된 제1지지대와, 제2로킹홀과 제2힌지홀이 형성된 제2지지대와, 제1,2힌지홀에 끼워지는 축부 및 제1,2로킹홀에 끼워지는 빗장부가 일체로 형성된 로킹핀과, 빗장부가 제1,2힌지홀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로킹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로킹해제를 위해 로킹핀을 스프링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빗장부가 제1,2로킹홀 중 한 곳에서만 빠져나오는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접철장치{HINGE APPARATUS WITH IMPROVED EASY OF USE}
본 발명은 접고 펴기가 가능한 접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상의 편의성이 개선된 접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고 펴기가 가능한 테이블이나 낚시용 좌대, 의자 및 작업대 등에는 그 접고 펴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접철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접철장치가 원활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그 접고 펴는 조작이 매우 안정적이면서도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작업대 등을 사용할 때에는 접철장치를 편 상태에서 로킹시켜 놓고, 작업대를 운반이나 보관할 때에는 상기 접철장치의 로킹을 해제하고 접어두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이 원활하지 않으면 사용하는데 큰 불편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접철장치의 하나가 등록특허공보 제10-1299565호로 2013년 08월 19일자로 공고된 바 있다.
이러한 접철 장치에 의하면, 작업 발판의 다리가 안정되게 전개 및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후에 작업자가 버튼을 누르면 접철 장치의 잠금이 해제되어 관절운동되면서 다리가 간편하게 접힐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접철 장치는 회전의 중심이 되는 회전축과 로킹의 역할을 잠금구가 별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철 장치는 제조 및 조립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러한 접고 펴는 동작을 안정적이면서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제조 및 조립에 따른 비용이 저감될 수 있는 접철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99565호, 공고일 2013년 08월 19일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접고 펴는 동작을 사용자가 매우 안정적이면서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제조 및 조립에 따른 비용이 저감될 수 있는 접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접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철장치는 제1로킹홀과 제1힌지홀이 형성된 제1지지대; 제2로킹홀과 제2힌지홀이 형성된 제2지지대; 및 상기 제1,2힌지홀을 연결하여 상기 제1,2지지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며 필요시 상기 제1,2로킹홀에 빗장을 걸어서 회전을 막는 로킹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로킹유닛은 서로 일체로 형성된 축부와 빗장부를 포함하는 로킹핀으로서, 상기 축부는 상기 제1,2힌지홀에 끼워지며, 상기 빗장부는 상기 제1,2로킹홀에 끼워지는 상기 로킹핀; 및 상기 빗장부가 상기 제1,2로킹홀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로킹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빗장부는 로킹해제를 위해 상기 로킹핀을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1,2로킹홀 중 한 곳에서만 빠져나오도록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로킹홀은 상기 제1로킹홀의 안쪽에 상기 제2로킹홀이 위치하며, 상기 빗장부는 로킹해제를 위해 상기 로킹핀을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2로킹홀에서는 완전히 빠져나오고 상기 제1로킹홀에서는 완전히 빠지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접철장치는 상기 제1로킹홀 주변을 둘러싸서 상기 빗장부의 일부가 상기 제1로킹홀 안에 머물 수 있는 폭을 늘여주는 림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철장치는 상기 제2지지대의 상기 제2로킹홀 주변에는 상기 제2로킹홀을 향해 함몰된 몰입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로킹홀은 상기 빗장부의 크기보다 큰 여유 공간을 가진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빗장부의 단부는 라운드 형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접철장치를 이용하면, 로킹과 로킹해제와 같은 접고 펴는 조작이 매우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고, 따라서 이를 채용한 제품의 신뢰성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접철장치에서는, 회전의 중심이 축부와 로킹을 수행하는 빗장부가 되는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접철 장치에 의하면, 제조 및 조립에 따른 비용이 저감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철장치가 구비된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철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접철장치를 펴서 회전하지 않도록 로킹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접철장치를 접기 위해 로킹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b의 D부위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각 도면을 이해함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고자 함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접철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작업대(200)와 같이 접고 펴기를 수행하기 위한 제품들에 채용될 수 있다. 즉, 접철 동작이 필요한 제품에는 어디든지 채용이 가능하며, 여기서는 작업대(200)를 예시하였으나, 이외에 접철식 테이블, 의자, 낚시용 좌대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여러 제품에 채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접철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철장치(100)는 제1 지지대(110), 제2 지지대(120) 및 로킹 유닛(130)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지지대(110)와 상기 제2 지지대(120)는 몸체를 이룬다. 상기 로킹 유닛(130)은 상기 제1,2지지대(110)(12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면서 필요 시에는 회전이 안 되도록 막아준다.
우선, 상기 제1지지대(110)에는 제1힌지홀(111)과 제1로킹홀(11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대(120)에는 상기 제1힌지홀(111)에 매칭되는 제2힌지홀(121) 및 상기 제1로킹홀(112)에 매칭되는 제2로킹홀(1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킹유닛(130)은 로킹핀(131)과 스프링(133)을 구비한다. 상기 로킹핀(131)은 축부(131b) 및 빗장부(131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축부(131b)는 상기 제1,2힌지홀(111)(121)에 끼워져서 회전축의 역할을 하며, 상기 빗장부(131a)는 및 상기 제1,2로킹홀(112)(122)에 끼워져서 로킹과 로킹해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프링(133)은 상기 빗장부(131a)가 상기 제1,2로킹홀(112)(122)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3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참조부호 132는 상기 로킹핀(131)에 결합되어 스프링(133)의 일측을 지탱해주는 헤드부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로킹핀(131)의 축부(131b)가 상기 제1,2힌지홀(111)(121)을 관통하여 끼워져서 상기 제1,2지지대(110)(120)의 회전축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빗장부(131a)는 로킹 시 상기 제1,2로킹홀(112)(122)에 끼워져서 제1,2지지대(110) (120)가 일자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해준다. 참조부호 113은 상기 제1로킹홀(112) 주변을 둘러싸는 림부를 나타내는데 이것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제1,2지지대(110)(120)와 로킹유닛(130)의 연결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는 제1,2지지대(110)(120)가 펴진 상태에서 회전이 되는 못하게 된 로킹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로킹핀(131)이 상기 스프링(133)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화살표 A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빗장부(131a)가 제1,2로킹홀(112)(122)를 관통하여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축부(131b)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려고 해도 상기 빗장부(131a)가 움직임을 가로막고 있기 때문에 회전을 할 수 없게 된다. 즉, 로킹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제1,2지지대(110)(120)를 접기 위해 이러한 로킹 상태를 해제하고 싶으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핀(131)을 스프링(133)의 탄성력 작용 방향과 반대방향인 화살표 B방향으로 눌러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빗장부(131a)가 제2로킹홀(122)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며, 이후에는 빗장이 풀린 상태이므로 제1,2지지대(110)(120)를 축부(131b)을 회전축으로 하여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접을 수 있는 로킹 해제 상태가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로킹 해제 상태에서 도 4b의 D부위를 확대해서 보면,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도면과 같이 로킹핀(131)의 빗장부(131a)는 제2지지대(120)의 제2로킹홀(122)에서는 완전히 빠져나오지만, 제1지지대(110)의 제1로킹홀(112)에서는 완전히 빠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 구조는 다음 로킹 동작을 수행할 때 매우 안정적이면서 원활한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요건이 된다. 즉, 만일 로킹 해제 상태에서 빗장부(131a)가 제2로킹홀(122) 뿐만 아니라 제1로킹홀(112)로부터도 완전히 빠져나오게 된다면, 물론 로킹 해제 상태는 유지되겠지만, 다음에 다시 로킹을 시도할 때 빗장부(131a)를 두 개의 로킹홀(112)(122)에 동시에 맞춰서 삽입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워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구조와 같이 빗장부(131a)가 제1로킹홀(112) 안에 머물게 하면, 로킹핀(131)이 기본적인 로킹 위치는 계속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 로킹 동작 시 제2로킹홀(122)에만 맞춰서 빗장부(131a)를 찔러넣으면 간단히 로킹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로킹과 로킹해제 동작이 매우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축부(131b)와 상기 빗장부(131a)의 길이차를 상기 제2 지지대(120)의 폭보다는 크고, 상기 제1 지지대(110)의 폭에 상기 스프링(133)의 압축된 폭을 더한 값보다는 작게 하는 구조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조에서는 상기 제1로킹홀(112) 주변에 상기한 림부(113)가 형성되어 있어서, 빗장부(131a)가 빠지지 않고 머물 수 있는 폭(W)이 훨씬 넓어진다. 즉, 빗장부(131a)가 제1로킹홀(112)에서 완전히 빠지지 않고 머물 수 있는 공간이 상기 림부(113)에 의해 충분히 확보되며, 따라서, 빗장부(131a)가 제1로킹홀(11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있는 로킹 해제 상태가 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기술하면, 상기 림부(113)가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축부(131b)와 상기 빗장부(131a)의 길이차가, 상기 제2 지지대(120)의 폭보다는 크고, 상기 제1 지지대(110)의 폭과 상기 스프링(133)의 압축된 폭에 상기 림부(113)의 높이를 더한 값보다 작은 범위로 넓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로킹과 로킹해제 동작을 보다 더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로킹홀(122) 주변에 몰입부(120a)를 만들고 상기 빗장부(131a)의 단부는 라운드형상으로 만들고 있으며, 또한 도 6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로킹홀(122)을 빗장부(131a) 크기에 비해 여유 공간이 더 있는 타원형으로 만들고 있다.
즉, 빗장부(131a)의 단부를 둥근 라운드 형상으로 만들고 제2로킹홀(122) 주변에 제2로킹홀(122)을 향해 함몰된 몰입부(120a)를 만들었기 때문에, 빗장부(131a)와 제2로킹홀(122)이 정확히 맞지 않더라도 상기 라운드형상의 단부가 몰입부(120a)를 타고 부드럽게 미끄러지면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장부(131a)에 비해 제2로킹홀(122)이 여유 공간이 더 있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빗장부(131a)가 정중앙이 아니더라도 비슷한 위치에만 오면 무리없이 부드럽게 끼워져 로킹 상태를 만들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로킹과 로킹해제 동작이 매우 안정적이고 편리한 접철장치(100)가 구현된다.
이와 같은 접철장치(100)의 사용예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철장치(100)를 로킹시킬 때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지지대(110)(120)를 일자로 펼친다. 그러면, 상기 스프링(133)의 탄성력에 의해 로킹핀(131)이 움직이면서 빗장부(131a)가 제1,2로킹홀(112)(122)를 관통하여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2지지대(110)(120)는 회전할 수 없는 로킹 상태가 된다. 따라서, 만일 작업대(200; 도 1 참조)에 채용된 경우라면, 이 상태에서 다시 접혀질 염려없이 작업대(200)를 사용하면 된다.
이후, 접철장치(100)의 로킹을 해제하고 작업대(200)를 접으려고 할 때에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핀(131)을 눌러서 스프링(133)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로킹핀(131)이 움직이면서 빗장부(131a)가 제2로킹홀(122)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며, 이에 따라 제1,2지지대(110)(120)는 회전할 수 있는 로킹 해제 상태가 된다. 작업대(200; 도 1 참조)에 채용된 경우라면, 이 상태에서 작업대(200)를 접으면 된다.
한편, 다음에 다시 접철장치(100)를 펼치는 상태를 가정해보면, 상기 빗장부(131a)가 제2로킹홀(122)에서만 빠져나와 있고 제1로킹홀(112)에서는 완전히 빠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2지지대(120)를 축부(131b)를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제2로킹홀(122) 위치만 적당히 맞추면 쉽게 로킹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대로 라운드 형상인 빗장부(131a)의 단부와 상기 몰입부(120a) 및 타원형 제2로킹홀(122)의 구조도 로킹을 더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도와준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철장치(100)를 사용하면 로킹과 로킹해제와 같은 접고 펴는 조작이 매우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고, 따라서 이를 채용한 제품의 신뢰성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철장치에서는, 상기 로킹핀(131)의 축부(131b) 및 빗장부(131a)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의 역할을 하는 축부(131b)와 로킹 기능을 수행하는 빗장부(131)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접철 장치에 의하면, 제조 및 조립에 따른 비용이 현저히 감소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접철장치에 있어서,
    제1로킹홀과 제1힌지홀이 형성된 제1지지대;
    제2로킹홀과 제2힌지홀이 형성된 제2지지대; 및
    상기 제1,2힌지홀을 연결하여 상기 제1,2지지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며 필요시 상기 제1,2로킹홀에 빗장을 걸어서 회전을 막는 로킹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로킹유닛은
    서로 일체로 형성된 축부와 빗장부를 포함하는 로킹핀으로서, 상기 축부는 상기 제1,2힌지홀에 끼워지며, 상기 빗장부는 상기 제1,2로킹홀에 끼워지는 상기 로킹핀; 및
    상기 빗장부가 상기 제1,2로킹홀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로킹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빗장부는
    로킹해제를 위해 상기 로킹핀을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1,2로킹홀 중 한 곳에서만 빠져나오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2 로킹홀은
    상기 제1로킹홀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빗장부는
    로킹해제를 위해 상기 로킹핀을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2로킹홀에서는 완전히 빠져나오고 상기 제1로킹홀에서는 완전히 빠지지 않은 상태가 되며,
    상기 접철장치는
    상기 제1로킹홀 주변을 둘러싸서 상기 빗장부의 일부가 상기 제1로킹홀 안에 머물 수 있는 폭을 늘여주는 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장치는
    상기 제2지지대의 상기 제2로킹홀 주변에는 상기 제2로킹홀을 향해 함몰된 몰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로킹홀은
    상기 빗장부의 크기보다 큰 여유 공간을 가진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장부의 단부는
    라운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장치.
KR1020140129889A 2014-09-29 2014-09-29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접철장치 KR101597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889A KR101597902B1 (ko) 2014-09-29 2014-09-29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접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889A KR101597902B1 (ko) 2014-09-29 2014-09-29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접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902B1 true KR101597902B1 (ko) 2016-02-25

Family

ID=5544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889A KR101597902B1 (ko) 2014-09-29 2014-09-29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접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9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7580A (zh) * 2020-07-09 2020-11-06 浙江护童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翻板式桌子及滑动解锁式翻板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050A (ja) * 1995-06-30 1997-01-14 Konbi Kk 脚部の高さ調節装置
KR200255826Y1 (ko) * 2001-09-11 2001-12-13 백남준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KR20100003071U (ko) * 2010-02-25 2010-03-17 장영석 내부접지식낚시좌대
KR101299565B1 (ko) 2012-11-20 2013-08-23 유수원 작업대의 원터치형 다리 절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050A (ja) * 1995-06-30 1997-01-14 Konbi Kk 脚部の高さ調節装置
KR200255826Y1 (ko) * 2001-09-11 2001-12-13 백남준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KR20100003071U (ko) * 2010-02-25 2010-03-17 장영석 내부접지식낚시좌대
KR101299565B1 (ko) 2012-11-20 2013-08-23 유수원 작업대의 원터치형 다리 절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7580A (zh) * 2020-07-09 2020-11-06 浙江护童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翻板式桌子及滑动解锁式翻板装置
CN111887580B (zh) * 2020-07-09 2022-07-15 浙江护童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翻板式桌子及滑动解锁式翻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0331B2 (en) Foldable table
US9273720B2 (en) Foldable table
EP2990298B1 (en) Zero play hinge for a stroller
CN101169153A (zh)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折叠式电子装置
KR101597902B1 (ko)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접철장치
US20220218121A1 (en) Crib frame
US9622569B2 (en) Compact-stand, folding table
US20110085847A1 (en) Joint structure for a collapsible play yard
JP3133263U (ja) テントフレーム用ロック装置
KR20160139836A (ko) 접철장치
JP6851898B2 (ja) 作業台におけるキャスタ装置
TWM564073U (zh) 附接鎖
US11883945B2 (en) Foldable workbench
KR20230016669A (ko) 캐리어 프레임
JP5852473B2 (ja) 高所作業装置におけるアウトリガーの開閉装置
US20240008606A1 (en) Folding crutch chair with a compact support device
CN211032710U (zh) 婴儿推车
CN110667682B (zh) 婴儿推车及其折叠方法
US20220234639A1 (en) Folding hook structure and carriage frame and as well as baby carriage having the same
KR101821745B1 (ko) 연결 락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접이식 테이블
CN117465533A (zh) 可随着推车折收而折合在一起的收容篮
JP2024069267A (ja) プレイヤード
JP2013177783A (ja) 高所作業装置におけるアウトリガー装置
CA2873336A1 (en) Foldable table
TWM561122U (zh) 附接元件及具有該附接元件的鎖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