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242Y1 -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 - Google Patents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242Y1
KR200497242Y1 KR2020210000111U KR20210000111U KR200497242Y1 KR 200497242 Y1 KR200497242 Y1 KR 200497242Y1 KR 2020210000111 U KR2020210000111 U KR 2020210000111U KR 20210000111 U KR20210000111 U KR 20210000111U KR 200497242 Y1 KR200497242 Y1 KR 200497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ype
muter
ring
percussion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803U (ko
Inventor
이수진
Original Assignee
이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진 filed Critical 이수진
Priority to KR2020210000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242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8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8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2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2Drums; Tambourines with drumhea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럼형 타악기의 탑헤드 상에 접촉되는 링형 뮤터와, 드럼형 타악기의 텐션 로드에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링형 뮤터의 상면에 가압 접촉되되, 탑헤드의 중심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압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Mute device for drum-type percussion instrument}
본 고안은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진동의 패턴을 유지하면서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으로 대표되는 어쿠스틱 타악기는 자체적으로 음량의 조절이 되지 않으며, 좁은 공간에서 연습을 할 때에는 음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
종래의 드럼 뮤터 종류의 일예로, 공개특허 10-2013-0057291호(흡음패드가 구비된 타악기와 이를 위한 거치대, 2013년 5월 31일 공개)에는 드럼 쉘(또는 림이라고도 함)의 내측에서 탑헤드와 바텀헤드의 사이에 흡음패드를 충진하는 방식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타악기의 고유 소리는 유지한 상태에서 실내에서 드럼 연습 또는 합주를 하기제 적당하다고 하지만, 실제 원래의 음감과 잔향 감소는 피할 수 없다.
또한, 흡음패드의 부피가 커서 휴대가 불편하며, 곰팡이나 벌레가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위생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다른 뮤터로서 등록특허 10-1139363호(드럼악기 뮤터장치, 2012년 4월 17일 등록)에는 탑헤드(피)의 상부에 면접촉되는 판상 링 형태의 뮤터가 기재되어 있다.
위의 등록특허의 뮤터는 발포성 폴리우레탄, 고무 또는 세라믹 재질의 판상 링에 다수의 음방출공이 형성되고, 그 음방출공에 결합되는 뮤트디스크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뮤트디스크의 결합 여부에 따라 뮤트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 실질적으로 뮤트는 탑헤드의 전체적인 진동의 크기를 감쇄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판상 링형 뮤터에 음방출공을 형성한다고 해서 그 음방출공으로 음이 방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흡음패드의 방식에 비하여 링형 판상 구조의 뮤터는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링형 뮤터와 뮤트 디스크가 쉽게 분리됨에 따라 뮤트 디스크의 분실 염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실제 연주를 할 때, 링형 뮤터가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진동에 의해 탑헤드와 이격되었다가 다시 중력에 의해 접촉되는 것이 반복될 수 있으며, 이는 연주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원하지 않는 잡음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탑헤드에 접촉되는 링형 판상 뮤터의 접촉 압력 및 접촉 포인트의 수를 조절하여 뮤트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고안의 다른 과제는, 설치가 매우 용이하며, 연주시 안정적으로 탑헤드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드럼 쉘에 고정하는 가압고정부를 사용하되, 쉘과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는,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럼형 타악기의 탑헤드 상에 접촉되는 링형 뮤터와, 드럼형 타악기의 텐션 로드에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링형 뮤터의 상면에 가압 접촉되되, 탑헤드의 중심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압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고정부는, 상기 탑헤드의 상면 일부에 접촉되는 면을 제공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단축부와, 상기 단축부의 상단에서 연장되되 상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원호형의 텐션 곡면부와, 상기 텐션 곡면부의 타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단축부에 비해 길이가 더 긴 장축부와, 상기 장축부의 하단에서 돌출되며, 슬릿홈을 포함하여 상기 텐션 로드의 축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결합부의 돌출방향은 상기 텐션 곡면부를 중심으로 외측을 향하는 상호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텐션 로드가 후프와 러그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슬릿홈에 상기 텐션 로드의 머리 하부측 몸체에 끼워 고정하고, 상기 텐션 로드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접촉부의 접촉 압력을 조절하여 뮤트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고정부의 설치 수에 의해 뮤트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는, 탑헤드의 상면 둘레에 접촉되는 링형 뮤터를 사용하되, 일측이 텐션 로드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며, 타측이 링형 뮤터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고정부를 이용하여, 가압고정부의 수 및 압력의 조절에 의해 뮤트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고유의 음색을 유지하면서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고정부는 텐션 로드가 러그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탈부착이 용이하며, 연주시 발생하는 진동에도 링형 뮤터가 탑헤드 상면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잡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가압고정부의 형상에 의해 가압 텐션을 제공함과 아울러 슬릿 체결홈을 제공하여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쉘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 뮤터 장치가 적용된 드럼형 타악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링형 뮤터의 평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뮤터 장치의 가압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가압고정부의 다른 실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가압고정부가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 드럼형 타악기의 뮤터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고안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고안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뮤터 장치가 적용된 드럼형 타악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각각 참조하면 본 고안은, 탑헤드(50)의 상면 둘레에 접촉되는 링형 뮤터(10)와, 텐션 로드(7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링형 뮤터(10)의 상부 일부에 접촉 및 가압하는 가압고정부(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뮤트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드럼형 타악기는, 원통형의 쉘(30)과, 쉘(30)의 상부에서 울림판인 탑헤드(50)를 고정하는 후프(40)와, 상기 쉘(30)의 측면 일부에결합되는 다수의 러그(60)와, 상기 후프(40)와 러그(60)를 상호 결합하되 결합 정도에 따라 탑헤드(5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 로드(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드럼형 타악기의 구체적인 구성은 제조사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인 구조는 대동소이하다.
특히 후프(40)와 탑헤드(50)의 결합구조는 제조사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뮤트 장치는, 탑헤드(50)의 상부에 접촉되는 링형 뮤터(10)를 포함한다.
링형 뮤터(10)의 재질은 우레탄, 실리콘 등의 자체 탄성이 있으며, 탑헤드(50) 또는 드럼형 타악기를 타격하는 채(또는 스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인 것으로 한다.
도 3은 링형 뮤터(10)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링형 뮤터(10)는 판상의 링형 구조이며, 링의 중심(C)으로부터 내경까지의 제1반경(R1)은 18 내지 31cm의 범위로 하고, 링의 중심(C)으로 부터 외경까지의 제2반경(R2)은 25 내지 41cm의 범위로 한다.
제2반경(R2)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드럼형 타악기의 후프(40) 직경에 따라 결정되는 값이며, 링형 뮤터(10)의 외경부는 후프(40)의 내경에 접하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반경(R1)은 제2반경(R2)의 결정 후, 링의 폭(W)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값으로 한다.
링형 뮤터(10)의 폭(W)은 최소 3cm에서 최대 5cm가 되도록 한다.
링형 뮤터(10)의 폭(W)이 3cm 미만에서는 뮤트의 효과가 저하되고, 5cm를 초과하는 경우 채로 탑헤드(50)를 타격할 때, 링형 뮤터(10)를 잘못 타격하여 원하는 음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탑헤드(50)의 직경이 작은 드럼형 타악기에 적용될수록, 링형 뮤터(10)의 폭도 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한다.
도 4와 도 5는 각각 상기 가압고정부(20)의 상세 사시도 및 측면 구성도이다.
도 4와 도 5를 각각 참조하면, 가압고정부(20)는 상기 탑헤드(50)의 상면 일부에 접촉되는 면을 제공하는 접촉부(21)와, 상기 접촉부(21)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단축부(25)와, 상기 단축부(25)의 상단에서 연장되되 상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원호형의 텐션 곡면부(24)와, 텐션 곡면부(24)의 타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단축부(25)에 비해 길이가 더 긴 장축부(26)와, 상기 장축부(26)의 하단에서 돌출되는 결합부(22)와, 상기 결합부(22)에 마련되어 상기 텐션 로드(70)의 축이 끼워져 고정되는 슬릿홈(2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압고정부(2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압고정부(20)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22)는 가압고정부(20)의 일측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부(22)의 선단부에서 장축부(26)를 향해 형성되는 슬릿홈(23)을 포함한다.
상기 슬릿홈(23)의 폭은 텐션 로드(70)의 몸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정도이며, 텐션 로드(70)의 상부이며 몸체에 비하여 직경이 더 큰 머리의 직경보다는 작은 것으로 한다.
따라서 가압고정부(20)의 설치를 위하여 텐션 로드(70)를 분해할 필요가 없으며, 텐션 로드(70)가 후프(40)와 러그(60)를 결합한 상태에서, 그 텐션 로드(70)의 머리 하부측의 몸체에 슬릿홈(23)을 끼우는 것으로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분해도 용이하다.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장축부(26)는 후프(40)의 외측에 위치하고, 단축부(25)는 후프(40)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며, 그 사이를 연결하는 텐션 곡면부(24)는 설치된 후프(40)의 상부를 넘어 위치하게 된다.
이때 텐션 곡면부(24)의 저면은 후프(40)에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축부(25)의 하단에는 접촉부(21)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21)와 상기 결합부(22)의 돌출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한다.
이처럼 접촉부(21)와 결합부(22)의 방향을 반대로 하는 이유는 텐션 곡면부(24)에 의한 힘의 전달이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접촉부(21)의 저면은 링형 뮤터(10)의 상면 일부에 가압 접촉된다. 이때의 압력은 텐션 곡면부(24)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독특한 구조의 가압고정부(20)를 사용하여 링형 뮤터(10)를 탑헤드(50)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뮤트를 시킬 수 있다.
이때, 본 고안 뮤트 장치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뮤트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뮤트 정도를 조절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텐션 로드(70)의 결합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결합부(22)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접촉부(21)의 접촉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텐션 로드(70)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결합부(22)의 높이를 낮추면 접촉부(21)의 높이 변화는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장축부(26)를 통해 응력이 텐션 곡면부(24) 및 단축부(25)를 통해 접촉부(21)에 전달된다.
따라서 접촉부(21)의 접촉 압력은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압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텐션 로드(70)의 머리 높이를 높여 응력을 해소하여 접촉부(21)의 접촉 압력을 줄일 수 있다.
뮤트 정도를 조절하는 다른 방법으로, 설치되는 가압고정부(20)의 수를 조절하는 것이다.
가압고정부(20)는 최소 2개 이상을 사용하되,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가압고정부(20)의 수를 증가시키면 링형 뮤터(10)와 탑헤드(50) 사이의 밀착도를 높여 뮤트 정도를 더 강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가압고정부(20)의 수를 줄이면 링형 뮤터(10)와 탑헤드(50) 사이의 밀착도가 감소하며, 뮤트 정도는 완화된다.
통상 드럼형 타악기는 8개의 텐션 로드(70)가 적용되며, 이 경우 본 고안의 가압고정부(20)는 최소 2개에서 최대 8개까지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를 사용하면서, 링형 뮤터(10)와 탑헤드(50)의 밀착도를 조절하여, 뮤트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가압고정부(20)의 다른 실시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6과 도 7을 각각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고정부(20)는 중앙에 곡률탄성부(27)를 가지며, 곡률탄성부(27)를 중심으로 제1단부(28)와 제2단부(29)를 이루는 탄성편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곡률탄성부(27)는 원형을 이루어 제1단부(28)와 제2단부(29)가 동일 방향을 향하며 도면상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하 배치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제1단부(28)에는 결합공(2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텐션 로드(70)에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공(28a)을 텐션 로드(7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단부(28)와 동일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단부(29)의 방향을 제1단부(28)와는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곡률탄성부(27)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곡률탄성부(27)의 내경부는 원형에서 원호형으로 그 형상이 바뀌며, 다시 원형으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제2단부(29)는 링형 뮤터(10)에 압력을 가하여 링형 뮤터(10)가 탑헤드(5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곡률탄성부(27)의 설치 수를 필요에 따라 조정함으로써, 뮤트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링형 뮤터 20:가압고정부
21:접촉부 22:결합부
23:슬릿홈 24:텐션 곡면부
25:단축부 26:장축부
30:쉘 40:후프
50:탑헤드 60:러그
70:텐션 로드

Claims (6)

  1. 드럼형 타악기의 탑헤드 상에 접촉되는 링형 뮤터; 및
    드럼형 타악기의 텐션 로드에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링형 뮤터의 상면에 가압 접촉되되, 탑헤드의 중심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압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고정부는,
    원형의 곡률탄성부와, 상기 곡률탄성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텐션 로드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 제1단부와, 상기 곡률탄성부의 반대편 단에서 상기 제1단부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곡률탄성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단부와 반대편으로 회전시켰을 때 복원력에 의해 상기 링형 뮤터를 가압하는 제2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부의 설치 수에 의해 뮤트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
KR2020210000111U 2021-01-14 2021-01-14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 KR200497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111U KR200497242Y1 (ko) 2021-01-14 2021-01-14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111U KR200497242Y1 (ko) 2021-01-14 2021-01-14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803U KR20220001803U (ko) 2022-07-21
KR200497242Y1 true KR200497242Y1 (ko) 2023-09-07

Family

ID=82606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111U KR200497242Y1 (ko) 2021-01-14 2021-01-14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24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5915A (ja) * 2011-01-12 2012-08-02 Remo Inc ドラムの減衰固定具
US20140238217A1 (en) * 2013-02-27 2014-08-28 Charles Edward Squillante Sheet music holder and method for playing an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3201A (ko) * 2010-12-07 2012-06-15 주식회사 티케이클래식 음향 크기 조절 기능을 가지는 타악기와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5915A (ja) * 2011-01-12 2012-08-02 Remo Inc ドラムの減衰固定具
US20140238217A1 (en) * 2013-02-27 2014-08-28 Charles Edward Squillante Sheet music holder and method for playing an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803U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1973A (en) Pad with drumhead for electronic drum
US5418337A (en) Loudspeaker driver surrounding
JP4955100B2 (ja) ダンパー
US6522759B1 (en) Speaker
US6655495B2 (en) Loudspeaker damper and loudspeaker
US2084945A (en) Loudspeaker
US20100282047A1 (en) Percussion detecting apparatus
JP5684562B2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US20150082967A1 (en) Drum silencer
KR101564896B1 (ko) 진동판 조립체
US20060156902A1 (en) Drum cymbal washer
EP3346461B1 (en) Bass drum damper and bass drum
US20040076309A1 (en) Audio radiator with radiator flexure minimization and voice coil elastic anti-wobble members
US7325650B2 (en) Speaker
KR200497242Y1 (ko)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
JP2018508838A (ja) 電子ドラム
JP2019113787A (ja) シンバル用減音具
US9217533B2 (en) Vibration isolating table
KR20160089264A (ko) 진동판 조립체
JP2019094986A (ja) シートラバー
GB2298950A (en) Percusion pads
JP2015230362A (ja) 打撃パッド
US9658601B2 (en) Acoustic radiating membrane for a musical watch
US5044246A (en) Device for transferring the vibrations of strings to the walls of a hollow body
JP2015038891A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