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119Y1 - 컵 구조 - Google Patents
컵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7119Y1 KR200497119Y1 KR2020210003335U KR20210003335U KR200497119Y1 KR 200497119 Y1 KR200497119 Y1 KR 200497119Y1 KR 2020210003335 U KR2020210003335 U KR 2020210003335U KR 20210003335 U KR20210003335 U KR 20210003335U KR 200497119 Y1 KR200497119 Y1 KR 20049711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assembly
- disposed
- base
- transmission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2—Mechanically-driven liquid shak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2—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7—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mixing drinks; Hand-held shak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8—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irrers driven from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01F33/501—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 B01F33/5011—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portable during use, e.g. hand-held
- B01F33/50111—Small portable bottles, flasks, vials, e.g. with means for mixing ingredients or for homogenizing their content, e.g. by hand sha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2—Hand drive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4—Influencing taste or nutrition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101/14—Mixing of ingredients for non-alcoholic beverages; Dissolving sugar i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컵 구조는 바닥, 본체 및 상단 커버를 포함한다. 본체의 하단 에지는 바닥에 탈착가능하게 슬리브 처리된다. 상단 커버는 본체 상단에 덮여 있다. 바닥은 베이스, 구동 어셈블리, 전달 어셈블리 및 커버를 포함한다. 베이스의 상면은 내측으로 함몰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구동 어셈블리는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다. 전달 어셈블리는 구동 어셈블리에 기어 결합된다. 커버는 상기 전달 어셈블리 상에 배치되고, 커버는 돌출부, 방수층 및 믹서를 포함한다. 믹서는 돌출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믹싱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구동 어셈블리에 의해 생성되는 동력은 전달 어셈블리에 의해 믹서로 전달되어, 적어도 하나의 믹싱 블레이드가 회전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컵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내부의 유체를 교반 및 혼합할 수 있는 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인간의 식습관과 운동 습관에 대한 요구는 계속 향상되고 있다. 천연 주스나 유청(whey) 단백질 등 더 자연적이거나 영양가가 높은 음식의 섭취를 선호하고, 운동으로 보완하여 좋은 몸매를 유지하려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 주스나 유청 단백질 등 고형분을 함유하는 음료나 인스턴트 음료의 고형분은, 불용성이거나 용해도가 낮은 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된 후 잠시 방치하는 동안 침전되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사람들이 다양한 활동 과정에서 앞서 언급한 음료를 마시는 동안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교반용 도구가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음료의 고형분이 인체에 완전히 섭취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음료의 풍미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고안은 내부의 유체를 교반 및 혼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컵 구조는, 바닥, 본체 및 상부 커버를 포함한다. 바닥은 베이스, 구동(drive) 어셈블리, 전달(transmitting) 어셈블리 및 커버를 포함한다. 베이스의 상면은 내측으로 함몰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구동 어셈블리는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다. 전달 어셈블리는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구동 어셈블리에 맞물린다. 커버는 전달 어셈블리 상에 배치되고 수용 공간의 상부에 스크류결합되고, 커버는 돌출부, 방수층 및 믹서(mixer)를 포함한다. 돌출부는 커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출된다. 방수층은 돌출부의 측면 주위에 배치된다. 믹서는 돌출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믹싱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 상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믹싱 블레이드의 돌출 길이는, 돌출부의 상면의 내접원의 반경보다 더 짧다. 본체의 바닥 에지는 방수층의 외부 에지에 탈착가능하게 슬리브처리된다. 상단 커버는 본체 상단에 덮여 있다. 구동 어셈블리에 의해 생선된 동력은 전달 어셈블리에 의해 믹서에 전달되어, 적어도 하나의 믹싱 블레이드가 회전된다.
본 고안의 컵 구조는 베이스, 구동 어셈블리, 전달 어셈블리 및 커버의 조합, 및 구동 어셈블리의 작동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전달 어셈블리에 의해 커버 상에 배치된 믹서로 전달시킴으로써, 컵 구조 내의 유체를 교반 및 혼합하는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구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구조의 바닥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컵 구조의 바닥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구조의 전달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제1 예에 따른 컵 구조의 구동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3차원 구조 개략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구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제2 예에 따른 컵 구조의 구동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제2 예에 따른 컵 구조의 구동 어셈블리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a 및 도 4b의 구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제3 예에 따른 컵 구조의 구동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구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제4 예에 따른 컵 구조의 구동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구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제5 예에 따른 컵 구조의 구동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구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구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구조의 바닥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컵 구조의 바닥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구조의 전달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제1 예에 따른 컵 구조의 구동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3차원 구조 개략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구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제2 예에 따른 컵 구조의 구동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제2 예에 따른 컵 구조의 구동 어셈블리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a 및 도 4b의 구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제3 예에 따른 컵 구조의 구동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구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제4 예에 따른 컵 구조의 구동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구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제5 예에 따른 컵 구조의 구동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구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구조(100)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구조(100)의 바닥(110)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컵 구조(100)의 바닥(1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컵 구조(100)는 바닥(110), 본체(120) 및 상부 커버(130)를 포함한다. 바닥(110)은 베이스(111), 구동 어셈블리(300), 전달 어셈블리(200) 및 커버(112)를 포함한다. 베이스(111)의 상면은 내측으로 함몰되어 수용 공간(1111)을 형성한다. 구동 어셈블리(300)와 전달 어셈블리(200)는 수용 공간(1111) 내에 배치되고, 전달 어셈블리(200)는 구동 어셈블리(300)에 기어 결합된다. 커버(112)는 전달 어셈블리(200) 상에 배치되어 수용 공간(1111)의 상부에 스크류 결합되고, 커버(112)는 돌출부(1121), 방수층(1122) 및 믹서(1123)를 포함한다. 돌출부(1121)는 커버(1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출된다. 방수층(1122)은 돌출부(1121)의 측면 주위에 배치된다. 믹서(1123)는 돌출부(1121)의 상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믹싱 블레이드(1124)를 구비한다. 돌출부(1121) 상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믹싱 블레이드(1124)의 돌출 길이는, 적어도 하나의 믹싱 블레이드(1124)의 내접원의 반경보다 더 짧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믹싱 블레이드(1124)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서 적어도 하나의 믹싱 블레이드(1124)가 컵 구조(100) 내에 배치될 수 없는 것을 방지한다. 본체(120)의 바닥 에지는 방수층(1122)의 외부 에지에서 탈착가능하게 슬리브 처리되어 있다. 구동 어셈블리(300)에 의해 생성된 동력이 전달 어셈블리(200)에 의해 믹서(1123)에 전달될 때, 적어도 하나의 믹싱 블레이드(1124)가 회전되어 컵 내부의 유체를 혼합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믹싱 블레이드(1124)의 갯수는 2개이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갯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도 1a에는 컵 구조(100)의 본체(120) 외측 및 컵 구조(100)의 상부 커버(130)의 외측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체(120)와 상부 커버(130)를 바닥(110)에 조립한 후 믹싱하거나 믹싱하지 않는 동안 컵 구조(100) 내에 함유된 유체가 컵 구조(100)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구조(100)의 전달 어셈블리(200)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달 어셈블리(200)는 내접 기어 링(210), 기어 어셈블리(220) 및 전달축(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접 기어 링(210)은 복수의 치차(2101)들과 파티션(211)을 포함한다. 파티션(211)은 내접 기어 링(210)을 상측과 하측으로 분리하고, 내접 기어 링(210)의 하측은 구동 어셈블리(300)에 내접되게 기어 결합된다. 기어 어셈블리(220)는 축방향 전달 기어(222)와 적어도 하나의 기어(221)를 포함하고, 내접 기어 링(210)의 상측은 적어도 하나의 기어(221)에 내접하도록 기어 결합된다. 전달축(230)은 축방향 전달기어(222)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고, 전달축(230)은 커버(112)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믹서(1123)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믹서(1123)에 연결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믹싱 블레이드(1124)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2의 기어 어셈블리(220)의 기어(221)의 갯수는 3개이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회전하는 랩(lap) 출력은 기어 어셈블리(220)에 대한 내접 기어 링(210)의 기어비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전달 어셈블리(200)에 있어서, 기어 어셈블리(220)에 대한 내접 기어 링(210)의 기어비는 4:1이다. 즉, 내접 기어 링(210)이 1회전하면 기어 어셈블리(220)를 4회 회전시킬 수 있고, 믹서(1123)와 그 위의 적어도 하나의 믹싱 블레이드(1124)를 4회 회전시킨다. 따라서, 4회 회전하는 랩 출력을 제공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제1 예에 따른 컵 구조(100)의 구동 어셈블리(300)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구동 어셈블리(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구동 어셈블리(300)는 볼류트(volute) 스프링(310), 릴(reel)(320), 당김 코드(pulling cord)(330)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라체트(ratchet) 치차(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볼류트 스프링(310)은 수용 공간(1111) 내에 배치된다. 릴(320)의 측면은 릴(320)의 중앙 내측으로 함몰되어 그루브를 형성하고, 볼류트 스프링(310)의 일단은 릴(320)의 바닥면에 연결된다. 당김 코드(330)의 일단은 그루브에 연결되고, 당김 코드(330)의 타단은 베이스(111)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당김 코드(330)는 베이스(111)의 외측 에지 상의 당김 링(331)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라체트 치차(340)는 릴(320)의 상단에 스크류 결합되고, 내접 기어 링(210)의 하측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라체트 치차(340)에 내접되게 기어 결합된다.
이 예에서, 당김 링(331)을 통해 당김 코드(330)를 컵 구조(100)로부터 멀어지게 당기면, 릴(320)이 회전될 수 있고 볼류트 스프링(310)이 신장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라체트 치차(340)에 의해 전달 어셈블리(200)로 동력이 전달된다. 한편, 당김 링(331)이 느슨해진 후 릴(320)을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볼류트 스프링(310)은 역방향으로 리바운드(rebound)되어 전달 어셈블리(200)로 동력을 전달하여 당김 코드(33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구체적으로, 구동 어셈블리(300)는 릴(320)의 상부에 스크류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라체트 치차(340)와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35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350)의 갯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라체트 치차(340)의 갯수에 상응한다. 이 예에서, 제1 라체트 치차(340)의 갯수와 브레이크(350)의 갯수는 모두 2개이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컵 구조(100)의 사용자가 컵의 내용물을 교반할 필요가 없을 때, 구동 어셈블리(300)의 당김 링(331)은 바닥(110) 아래에 저장되어 슬리브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컵 구조(100)를 통합하는 목적에 부합되어 컵 구조(1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c에서, 구동 어셈블리(300)가 베이스(111), 전달 어셈블리(200) 및 커버(112)와 조립되어 바닥(110)를 형성하지만, 다른 예에서 구동 어셈블리의 구조 및 구동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은 본 실시예의 구동 어셈블리(300)와 상이할 수 있다. 관련된 세부 내용은 다음 단락에서 더 설명된다.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제2 예에 따른 컵 구조의 구동 어셈블리(400)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제2 예에 따른 컵 구조의 구동 어셈블리(400)의 다른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a 및 도 4b의 구동 어셈블리(4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구동 어셈블리(400)는 제1 바닥판(410), 버튼(420), 인장 스프링(430), 제1 회전 어셈블리(44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라체트 치차(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닥판(410)은 베이스(미도시)의 상면에 스크류 결합되고 스트링(string)-형상의 관통공(411)을 포함한다. 버튼(420)은 전달 어셈블리(미도시)와 마주하는 제1 바닥판(410)의 표면 상에 배치되고, 버튼(420)의 일단은 베이스를 관통하여 베이스로부터 돌출하고, 버튼(420)의 타단의 하측은 베이스를 면하는 제1 바닥판(410)의 표면을 향하여 연장하고, 버튼(420)의 타단의 하측은 스트링-형상의 관통공(411)을 통과하여 배치되어 후크(421)를 형성하고, 베이스 내부에서 버튼(420)의 일부의 중앙부는 전달 어셈블리를 면하는 제1 바닥판(410)의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bar)-형상의 관통공(422)을 가지고, 바-형상의 관통공(422)의 측면은 다수의 라체트 치차 구조들(4221)을 가진다. 인장 스프링(430)의 일단은 후크(421)에 배치되고, 인장 스프링(430)의 타단은 베이스를 면하고 버튼(420)이 베이스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을 향하는 제1 바닥판(410)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제1 회전 어셈블리(440)는 제1 플레이트(441)와 제1 기어(442)를 포함하고, 제1 기어(442)는 베이스를 면하는 제1 플레이트(441)의 표면 상에 돌출되게 배치되고 바-형상의 관통공(422)을 관통하여 전달 어셈블리에 면하는 제1 바닥판(410)의 표면의 중앙에 배치되고, 바-형상의 관통공(422)의 라체트 치차 구조들(4221)은 제1 기어(442)에 기어 결합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라체트 치차(450)는 전달 어셈블리에 면하는 제1 회전 어셈블리(440)의 표면 상에 스크류 결합되고, 내접 기어 링(미도시)의 하측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라체트 치차(450)에 내접되게 기어 결합된다. 이 예에서, 제2 라체트 치차(450)의 갯수는 2개이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예에서, 버튼(420)을 누르면, 버튼(420)의 라체트 치차 구조들(4221)과 제1 회전 어셈블리(440)의 제1 기어(442) 사이에서 상대 이동이 발생되어 제1 기어(442)가 회전되어 제1 회전 어셈블리(440)가 회전 구동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라체트 치차(450)를 통해 전달 어셈블리로 동력이 전달된다. 버튼(420)이 릴리스되면, 인장 스프링(430)이 반동되어 버튼(420)을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버튼(420)의 위치 복귀 과정 동안, 버튼(420)의 라체트 치차 구조들(4221)과 제1 회전 어셈블리(440)의 제1 기어(442) 사이의 반대 방향의 상대 이동이 발생되어, 제1 기어(442)가 회전되고, 제1 회전 어셈블리(440)가 회전 구동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라체트 치차(450)를 통해 전달 어셈블리에 동력이 전달된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제3 예에 따른 컵 구조의 구동 어셈블리(500)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구동 어셈블리(5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구동 어셈블리(500)는 제2 바닥판(510)과 중량(heavy) 블록(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닥판(510)은 베이스(미도시)의 상면에 스크류 결합되고, 제2 바닥판(510)은 제2 바닥판(510)의 중심에서 제2 축(511)을 포함하고, 제2 축(511)은 전달 어셈블리(미도시)의 내접 기어 링(520)의 하측의 중심에 연결되고, 제2 바닥판(510), 제2 축(511) 및 내접 기어 링(520)에 의해 환형 회전 공간(S1)이 형성된다. 중량 블록(530)은 내접 기어 링(520)의 하측에 스크류 결합되고, 중량 블록(530)은 환형 회전 공간(S1)에서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컵 구조(미도시)를 수평으로 흔들면 중량 블록(530)이 환형 회전 공간(S1) 내에서 회전되어, 내접 기어 링(520)을 회전 구동시켜 전달 어셈블리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제4 예에 따른 컵 구조의 구동 어셈블리(600)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구동 어셈블리(6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구동 어셈블리(600)는 제3 바닥판(610), 진동 암(oscillating arm) 어셈블리(620), 제2 회전 어셈블리(630)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라체트 치차(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바닥판(610)은 베이스(미도시)의 상면에 스크류결합되고, 전달 어셈블리(미도시)와 대향하는 제3 바닥판(610)의 표면의 중앙에 있는 제3 축(611)을 포함하고, 제3 축(611)의 일단은 내접 기어 링(미도시)의 하측의 중앙에 연결된다. 진동 암 어셈블리(620)는 진동 암(621)과 사이드 기어(622)를 포함하고, 진동 암(621)은 사이드 기어(622)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진동 암(621)의 일단은 제3 축(611)의 측면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진동 암(621)의 타단은 베이스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베이스로부터 돌출된다. 제2 회전 어셈블리(630)는 제2 플레이트(631)와 제2 기어(632)를 포함하고, 제2 기어(632)는 베이스를 면하는 제2 플레이트(631)의 표면 상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사이드 기어(622)에 기어결합되고, 제3 축(611)은 제2 기어(632)의 중심과 제2 플레이트(631)의 중심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3 라체트 치차(640)는 전달 어셈블리를 면하는 제2 플레이트(631)의 표면 상에 스크류 결합되고, 내접 기어 링의 하측은 적어도 하나의 제3 라체트 치차(640)에 내접되게 기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라체트 치차(640)의 갯수는 2개이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로부터 돌출하는 진동 암(621)의 일부를 회전시키면 사이드 기어(622)가 회전될 수 있고 그에 맞물린 제2 기어(632)가 회전 구동될 수 있으므로, 따라서, 제2 회전 어셈블리(630)를 회전시켜 적어도 하나의 제3 라체트 치차(640)에 의해 전달 어셈블리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제5 예에 따른 컵 구조의 구동 어셈블리(700)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구동 어셈블리(7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구동 어셈블리(700)는 제4 바닥판(710), 기어 랙(rack)(720), 제3 회전 어셈블리(730)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라체트 치차(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바닥판(710)은 베이스(미도시)의 상면에 스크류 결합되고 전달 어셈블리를 면하는 제4 바닥판(710)의 표면 상의 기어 랙 그루브(711)를 포함한다. 기어 랙(720)은 베이스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베이스로부터 돌출하고, 기어 랙(720)은 기어 랙 그루브(711) 내에 배치된다. 제3 회전 어셈블리(730)는 제3 플레이트(731)와 제3 기어(732)를 포함하고, 제3 기어(732)는 베이스에 면하는 제3 플레이트(731)의 표면 상에 돌출되게 배치되고 기어 랙(720)에 기어 결합되고, 제3 기어(732)는 제4 바닥판(710)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4 라체트 치차(740)는 전달 어셈블리를 면하는 제3 플레이트(731)의 표면 상에 스크류 결합되고, 내접 기어 링(미도시)의 하측은 적어도 하나의 제4 라체트 치차(740)에 내접되게 기어 결합된다. 이 예에서, 제4 라체트 치차(740)의 갯수는 2개이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예에서, 컵 구조(미도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어 랙(720)을 당기면, 기어 랙(720)과 제3 기어(732) 사이의 상대 이동이 발생될 수 있고, 그러면 제3 회전 어셈블리가 회전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4 라체트 치차(740)에 의해 전달 어셈블리로 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컵 구조에 기어 랙(720)을 삽입하면, 기어 랙(720)과 제3 기어(732) 사이의 역방향의 상대 이동이 발생될 수 있고, 그러면, 제3 회전 어셈블리(730)가 회전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4 라체트 치차(740)에 의해 전달 어셈블리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는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당히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만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범위 또는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개시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본 개시는 이어지는 청구항들의 범위에 속한다면 본 개시의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100...컵 구조 110...바닥
111...베이스 112...커버
120...본체 130...상부 커버
200...전달 어셈블리 210...링
211...파티션 220...기어 어셈블리
221...기어 222...축방향 전달 기어
230...전달축 300...구동 어셈블리
310...볼류트 스프링 320...릴
330...당김 코드 331...당김 링
340...제1 라체트 치차 1111...수용 공간
1121...돌출부 1122...방수층
1123...믹서 1124...믹싱 블레이드
2101...치차
111...베이스 112...커버
120...본체 130...상부 커버
200...전달 어셈블리 210...링
211...파티션 220...기어 어셈블리
221...기어 222...축방향 전달 기어
230...전달축 300...구동 어셈블리
310...볼류트 스프링 320...릴
330...당김 코드 331...당김 링
340...제1 라체트 치차 1111...수용 공간
1121...돌출부 1122...방수층
1123...믹서 1124...믹싱 블레이드
2101...치차
Claims (9)
- 컵 구조로서,
(a) 상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구동 어셈블리;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전달 어셈블리로서, 상기 전달 어셈블리는: 다수의 치차와 파티션을 구비하는 내접 기어 링으로서, 상기 파티션은 상기 내접 기어 링을 상측과 하측으로 분리하고, 상기 내접 기어 링의 하측이 상기 구동 어셈블리에 내접되게 기어 결합되고; 축방향 전달 기어와 적어도 하나의 기어를 구비하는 기어 어셈블리로서, 상기 내접 기어 링의 상측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어에 내접되게 기어 결합되며; 및 상기 축방향 전달 기어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는 전달축을 포함하고; 및
상기 전달 어셈블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에 스크류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바닥으로서,
상기 커버는,
그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측면 둘레에 배치되는 방수층, 및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믹싱 블레이드를 가진 믹서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 상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믹싱 블레이드의 돌출 길이가 상기 돌출부의 상면의 내접원의 반경보다 짧게 형성되고;
(b) 그 바닥 에지가 상기 방수층의 외부 에지로부터 탈착가능하게 슬리브처리된 본체; 및
(c) 상기 본체 상단에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 상단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축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믹서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믹서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에 의해 생성된 동력이 상기 전달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믹서로 전달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믹싱 블레이드가 회전되는, 컵 구조.
- 청구항 1에서,
회전하는 랩(lap) 출력은, 상기 기어 어셈블리에 대한 상기 내접 기어 링의 기어비에 의해 향상되는, 컵 구조.
- 청구항 1에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는 볼류트(volute) 스프링;
그 측면이 중앙 내측으로 함몰되어 그루브를 형성하고, 그 바닥 표면에 상기 볼류트 스프링의 일단이 연결되는, 릴(reel);
그 일단이 상기 그루브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외부의 당김 링(pulling ring)에 연결되는, 당김 코드(pulling cord); 및
상기 내접 기어 링의 하측이 내접되게 기어 결합되고 상기 릴의 상부에 스크류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라체트 치차(ratchet tooth)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당김 링을 통해 상기 컵 구조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당김 코드를 당기면 상기 릴이 회전되고 상기 볼류트 스프링이 신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라체트 치차에 의해 상기 전달 어셈블리로 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전달 어셈블리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당김 코드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당김 링이 느슨해진 후 상기 릴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볼류트 스프링이 역방향으로 반발하는, 컵 구조.
- 청구항 3에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릴의 상부에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라체트 치차에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의 갯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체트 치차의 갯수에 상응하는, 컵 구조.
- 청구항 1에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스크류 결합되고, 스트링(string)-형상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1 바닥판;
상기 전달 어셈블리를 면하는 상기 제1 바닥판의 표면 상에 배치되는 버튼으로서, 상기 버튼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버튼의 타단의 하측은 상기 베이스를 면하는 상기 제1 바닥판의 표면을 향해 연장하고, 상기 버튼의 타단의 하측은 상기 스트링-형상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배치됨으로서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내부의 일부의 중앙은 상기 전달 어셈블리를 면하는 제1 바닥판의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bar)-형상의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바-형상의 관통공의 사이드는 다수의 라체트 치차 구조들을 가지며;
그 일단이 상기 후크에 배치되고, 그 타단이 상기 베이스를 면하는 상기 제1 바닥판의 표면 상에서 상기 버튼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인장 스프링;
제1 플레이트와 제1 기어를 구비하는 제1 회전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베이스를 면하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표면 상에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바-형상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전달 어셈블리를 면하는 상기 제1 바닥판의 표면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바-형상의 관통공의 라체트 치차 구조들이 상기 제1 기어에 내접되게 기어 결합되며; 및
상기 전달 어셈블리를 면하는 상기 제1 회전 어셈블리의 표면 상에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내접 기어 링의 하측이 내접되게 기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라체트 치차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버튼의 라체트 치차 구조들과 상기 제1 회전 어셈블리의 제1 기어 사이의 상대 이동이 수행되어, 상기 제1 기어가 회전되고 상기 제1 회전 어셈블리가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라체트 치차를 통해 상기 전달 어셈블리로 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인장 스프링을 반동시켜 상기 버튼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버튼이 릴리스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버튼의 위치 복귀 공정 동안, 상기 버튼의 라체트 치차 구조들과 상기 제1 회전 어셈블리의 상기 제1 기어 사이의 반대 방향의 상대 회전이 수행되어, 상기 제1 기어가 회전되고 상기 제1 회전 어셈블리가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라체트 치차를 통해 상기 전달 어셈블리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 컵 구조.
- 청구항 1에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 상에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내접 기어 링의 하측 중심에 연결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제2 바닥판으로서, 상기 제2 축은 상기 내접 기어 링의 하측의 중앙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바닥판, 상기 제2 축 및 상기 내접 기어 링에 의해 환형 회전 공간이 형성되며; 및
상기 내접 기어 링의 하측에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환형 회전 공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중량(heavy) 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컵 구조를 수평으로 흔들 때 상기 환형 회전 공간에서 상기 중량 블록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내접 기어 링이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전달 어셈블리로 동력이 전달되는, 컵 구조.
- 청구항 1에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 상에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전달 어셈블리를 면하는 표면의 중앙에 있고 그 일단이 상기 내접 기어 링의 하측 중앙에 연결되는 제3 축을 포함하는, 제3 바닥판;
진동 암(oscillating arm)과 사이드 기어를 구비하는 진동 아암 어셈블리로서, 상기 진동 암은 상기 사이드 기어를 통해 배치되고, 상기 진동 아암의 일단은 상기 제3 축의 측면을 통해 배치되고 상기 진동 암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하며;
제2 플레이트와 제2 기어를 구비하는 제2 회전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베이스에 면하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표면 상에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기어에 기어 결합되며, 상기 제3 축은 상기 제2 기어의 중앙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중앙을 통해 배치되며; 및
상기 전달 어셈블리를 면하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표면 상에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내접 기어 링의 하측이 내접되게 기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라체트 치차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하는 진동암의 일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사이드 기어가 회전되어 상기 제2 기어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제2 회전 어셈블리가 회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라체트 치차에 의해 상기 전달 어셈블리로 동력이 전달되는, 컵 구조.
- 청구항 1에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 상에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전달 어셈블리를 면하는 표면 상의 기어 랙(rack) 그루브를 포함하는, 제4 바닥판;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기어 랙 그루브 내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된 기어 랙;
제3 플레이트와 제3 기어를 포함하는 제3 회전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3 기어는 상기 베이스를 면하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표면 상에 돌추로디게 배치되고 상기 기어 랙에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3 기어는 상기 제4 바닥판에 연결되며; 및
상기 전달 어셈블리를 면하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표면 상에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내접 기어 링의 하측이 내접되게 기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라체트 치차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컵 구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기어 랙을 당길 때, 상기 기어 랙과 상기 제3 기어 사이의 상대 이동이 수행됨으로써, 상기 제3 회전 어셈블리가 회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라체트 치차에 의해 상기 전달 어셈블리로 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컵 구조 속으로 상기 기어 랙을 삽입시킬 때, 상기 기어 랙과 상기 제3 기어 사이의 역방향 상대 이동이 수행됨으로써, 상기 제3 회전 어셈블리가 회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라체트 치차에 의해 상기 전달 어셈블리로 동력이 전달되는, 컵 구조.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10206982 | 2021-06-17 | ||
TW110206982U TWM617483U (zh) | 2021-06-17 | 2021-06-17 | 杯子結構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3003U KR20220003003U (ko) | 2022-12-26 |
KR200497119Y1 true KR200497119Y1 (ko) | 2023-08-01 |
Family
ID=7827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10003335U KR200497119Y1 (ko) | 2021-06-17 | 2021-11-02 | 컵 구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400902A1 (ko) |
EP (1) | EP4104715A1 (ko) |
JP (1) | JP3234815U (ko) |
KR (1) | KR200497119Y1 (ko) |
TW (1) | TWM617483U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24537A1 (en) * | 2009-07-31 | 2011-02-03 | Osmay Gonzalez | Portable baby bottle blender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3071A (ko) * | 2009-01-12 | 2010-07-21 | (주)쿠두 | 태엽 동력 믹서 |
KR20140003135U (ko) * | 2012-11-19 | 2014-05-28 | 김남영 |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 |
CN203828782U (zh) * | 2013-12-20 | 2014-09-17 | 上海电机学院 | 一种手滑式搅拌杯 |
KR20200001536U (ko) * | 2018-12-31 | 2020-07-08 | 주식회사 스타쇼핑 | 교반 기능을 갖는 텀블러 |
CN210158461U (zh) * | 2019-04-22 | 2020-03-20 | 孙雷 | 一种手动榨汁多功能水杯 |
-
2021
- 2021-06-17 TW TW110206982U patent/TWM617483U/zh unknown
- 2021-08-27 JP JP2021003333U patent/JP3234815U/ja active Active
- 2021-09-12 US US17/447,439 patent/US20220400902A1/en active Pending
- 2021-10-29 EP EP21205610.5A patent/EP4104715A1/en active Pending
- 2021-11-02 KR KR2020210003335U patent/KR20049711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24537A1 (en) * | 2009-07-31 | 2011-02-03 | Osmay Gonzalez | Portable baby bottle blend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M617483U (zh) | 2021-09-21 |
US20220400902A1 (en) | 2022-12-22 |
KR20220003003U (ko) | 2022-12-26 |
JP3234815U (ja) | 2021-11-04 |
EP4104715A1 (en) | 2022-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254074B (zh) | 食品加工装置 | |
US4480926A (en) | Powdered food product mixing device | |
US11122936B2 (en) | Food processor | |
KR20140088835A (ko) | 속도 제어가 가능한 교반 용기 구조체 | |
US20140299687A1 (en) | Multi-functional food processing system | |
US20070286016A1 (en) | Automatic stirring and rotating cup holder | |
KR20210025489A (ko) | 이중 속도 수동 스탠드 믹서 | |
KR200497119Y1 (ko) | 컵 구조 | |
JP2003526432A (ja) | 伝動ユニットを有する家庭用台所電気器具 | |
US20050007867A1 (en) | Hand mixer with eccentrically rotating and orbiting attachment | |
CN101485547B (zh) | 一种复合式食物调理装置 | |
CN206007097U (zh) | 智能婴儿料理中心 | |
CN212261206U (zh) | 一种齿轮摇摇杯 | |
CN216907520U (zh) | 杯子结构 | |
CN218118519U (zh) | 齿轮传动组件和料理机 | |
CN107920690A (zh) | 将基于重力的下降运动转换为旋转力的饮料搅拌装置 | |
JP3757934B2 (ja) | ソフトアイス飲料製造装置 | |
JP3722113B2 (ja) | ソフトアイス飲料製造装置 | |
CN205697397U (zh) | 一种搅拌刀组件及其适用的食物料理机 | |
CN214433824U (zh) | 料理机 | |
JP2004234224A (ja) | 粉末原料吐出装置 | |
CN111166209A (zh) | 一种齿轮摇摇杯 | |
CN218105702U (zh) | 料理机 | |
KR200326059Y1 (ko) | 용해장치가 구비된 컵 | |
JP7055368B2 (ja) | 食品削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