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135U -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 - Google Patents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135U
KR20140003135U KR2020120010591U KR20120010591U KR20140003135U KR 20140003135 U KR20140003135 U KR 20140003135U KR 2020120010591 U KR2020120010591 U KR 2020120010591U KR 20120010591 U KR20120010591 U KR 20120010591U KR 20140003135 U KR20140003135 U KR 201400031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pring
cup
mix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영
Original Assignee
김남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영 filed Critical 김남영
Priority to KR2020120010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135U/ko
Publication of KR201400031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13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믹서기에 있어서, 믹싱 내용물을 수용하는 믹서기 컵과;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 중심부에서 믹서기 컵 내부로 돌설된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 하부에 형성된 원판으로서, 중심부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하단으로 사다리꼴 기어 이빨이 돌설된 태엽 클러치와;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 하부와 상기 태엽 클러치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단은 상기 믹서기의 외통부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태엽 클러치의 중심부에 결합된 나선 용수철과; 상기 태엽 클러치의 하단에 형성된 링으로서, 상기 태엽 클러치와 치합되는 사다리꼴 기어 이빨이 상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태엽 클러치와 치합되는 고정 클러치와; 상기 고정 클러치에 연결되어 입력축의 1 회전입력 당 n 회전출력을 상기 고정 클러치로 전달시키는 1:n비(n은 1 ~ 10 사이의 실수) 증속 기어와;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 하부에 형성된 컵형 핸들로서, 내부에 상기 믹서기 몸통 하부에 결합된 증속기어와 고정 클러치와 태엽 클러치와 나선 용수철을 하우징시키면서 중심부가 상기 증속 기어의 입력축에 연결된 태엽 핸들과; 톱니 나사형 원판으로서, 상기 태엽 핸들 하부 중심축에 결합된 태엽 락(lock)과;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에서 연장된 기둥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태엽 핸들을 측면으로 노출시키면서 상기 태엽 락을 하측에 하우징시키는 하부 마운트와; 상기 하부 마운트의 편심 위치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관통되며, 스프링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 마운트 외측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핀으로서, 몸체부가 상기 태엽 락의 톱니 나사에 스토퍼로서 접촉 결합되고, 눌렸을 때는 단부가 상기 태엽 클러치를 접촉압박시키는 작동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여 작은 태엽 회전으로도 큰 회전 복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A portable mixer with a rotating spring accelerator}
본 고안은 휴대용 믹서기에 있어서, 믹싱 내용물을 수용하는 믹서기 컵과;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 중심부에서 믹서기 컵 내부로 돌설된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 하부에 형성된 원판으로서, 중심부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하단으로 사다리꼴 기어 이빨이 돌설된 태엽 클러치와;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 하부와 상기 태엽 클러치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단은 상기 믹서기의 외통부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태엽 클러치의 중심부에 결합된 나선 용수철과; 상기 태엽 클러치의 하단에 형성된 링으로서, 상기 태엽 클러치와 치합되는 사다리꼴 기어 이빨이 상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태엽 클러치와 치합되는 고정 클러치와; 상기 고정 클러치에 연결되어 입력축의 1 회전입력 당 n 회전출력을 상기 고정 클러치로 전달시키는 1:n비(n은 1 ~ 10 사이의 실수) 증속 기어와;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 하부에 형성된 컵형 핸들로서, 내부에 상기 믹서기 몸통 하부에 결합된 증속기어와 고정 클러치와 태엽 클러치와 나선 용수철을 하우징시키면서 중심부가 상기 증속 기어의 입력축에 연결된 태엽 핸들과; 톱니 나사형 원판으로서, 상기 태엽 핸들 하부 중심축에 결합된 태엽 락(lock)과;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에서 연장된 기둥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태엽 핸들을 측면으로 노출시키면서 상기 태엽 락을 하측에 하우징시키는 하부 마운트와; 상기 하부 마운트의 편심 위치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관통되며, 스프링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 마운트 외측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핀으로서, 몸체부가 상기 태엽 락의 톱니 나사에 스토퍼로서 접촉 결합되고, 눌렸을 때는 단부가 상기 태엽 클러치를 접촉압박시키는 작동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재료나 차 재료를 분말이나 액상상태로 가공한 인스턴트 커피나 음료수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커피 재료나 음료수 재료를 용해시키기 위해서 티스푼, 막대 등을 사용하였으나, 이와 같은 티스푼이나 막대를 별도로 구비하기에는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컵 본체에 믹스용 기구를 설치한 기술이 다수 출원되었는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9-0001460호, 공개실용신안 20-2012-0003833등이 있다.
이들 기술은 로터를 모터나 태엽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전동모터 구동형 로터를 가진 휴대용 컵은 별도의 전원장치가 요구되어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 제약이 있으며, 태엽 방식의 경우에는 충분한 회전력을 얻을 수 없어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엽방식의 휴대용 믹서기를 보완하여 작은 태엽 회전으로도 큰 회전 복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용 믹서기에 있어서, 믹싱 내용물을 수용하는 믹서기 컵과;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 중심부에서 믹서기 컵 내부로 돌설된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 하부에 형성된 원판으로서, 중심부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하단으로 사다리꼴 기어 이빨이 돌설된 태엽 클러치와;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 하부와 상기 태엽 클러치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단은 상기 믹서기의 외통부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태엽 클러치의 중심부에 결합된 나선 용수철과; 상기 태엽 클러치의 하단에 형성된 링으로서, 상기 태엽 클러치와 치합되는 사다리꼴 기어 이빨이 상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태엽 클러치와 치합되는 고정 클러치와; 상기 고정 클러치에 연결되어 입력축의 1 회전입력 당 n 회전출력을 상기 고정 클러치로 전달시키는 1:n비(n은 1 ~ 10 사이의 실수) 증속 기어와;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 하부에 형성된 컵형 핸들로서, 내부에 상기 믹서기 몸통 하부에 결합된 증속기어와 고정 클러치와 태엽 클러치와 나선 용수철을 하우징시키면서 중심부가 상기 증속 기어의 입력축에 연결된 태엽 핸들과; 톱니 나사형 원판으로서, 상기 태엽 핸들 하부 중심축에 결합된 태엽 락(lock)과;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에서 연장된 기둥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태엽 핸들을 측면으로 노출시키면서 상기 태엽 락을 하측에 하우징시키는 하부 마운트와; 상기 하부 마운트의 편심 위치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관통되며, 스프링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 마운트 외측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핀으로서, 몸체부가 상기 태엽 락의 톱니 나사에 스토퍼로서 접촉 결합되고, 눌렸을 때는 단부가 상기 태엽 클러치를 접촉압박시키는 작동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믹서기 컵은 상단에 토출구가 형성된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는 상기 태엽 클러치 상단의 믹서기 컵 내용물 무게에 의하여 상기 태엽 클러치가 눌려지면 자동 치합되도록 상기 태엽 클러치와 고정 클러치의 치합 나사산의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하여 작은 태엽 회전으로도 큰 회전 복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하부 장치 구조도
도 4은 본 고안의 하부 장치 측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 스위치가 태엽 스위치를 눌렸을 때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부 장치 저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하부 장치 구조도이며, 도 4은 본 고안의 하부 장치 측단면 구조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 스위치가 태엽 스위치를 눌렸을 때 구조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하부 장치 저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믹서기 컵(2)과; 회전 블레이드(30)와; 태엽 클러치(200)와; 나선 용수철(20)과; 고정 클러치(300)와; 증속 기어(310)와; 태엽 핸들(4)과; 태엽 락(320)(lock)과; 하부 마운트(3)와; 작동 스위치(33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믹서기 컵(2)은 믹싱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이면서, 하부에 믹싱 장치가 설치되는 몸체가 되며, 상부가 열리고 바닥이 막힌 컵 형태이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30)는 상기 믹서기 컵(2)의 바닥 중심부에서 믹서기 컵 내부로 돌설된 회전축(31)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믹서기 컵(2)의 내부 내용물을 회전하면서 잘게 부수는 장치 단말부이다.
본 발명의 태엽 클러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믹서기 컵(2)의 바닥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중심부는 상기 회전축(31)에 결합되며 하단으로 사다리꼴 기어 이빨이 돌설된 원판이다.
상기 나선 용수철(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믹서기 컵(2)의 바닥 하부와 상기 태엽 클러치(200)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단은 상기 믹서기의 외통부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태엽 클러치(200)의 중심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나선 용수철(20)의 일측단은 고정단이 되고, 상기 타측단은 작용단이 되는데, 태엽 클러치(200)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이 상기 나선 용수철(20)로 전달되어 탄성력으로 누적되게 된다.
본 발명의 고정 클러치(300)는 상기 태엽 클러치(200)의 하단에 형성된 링으로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엽 클러치(200)와 치합되는 사다리꼴 기어 이빨이 상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태엽 클러치(200)와 치합된다.
즉, 상기 태엽 클러치(200)는 기어 이빨이 외주변에서 하향 형성된 원판이고, 상기 고정 클러치(300)는 상기 태엽 클러치(200)의 기어 이빨에 치합되는 기어 이빨이 상향 형성된 링형 결합체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태엽 클러치(200) 상단의 믹서기 컵(2) 내용물 무게에 의하여 상기 태엽 클러치가 눌려지면 자연스럽게 자동 치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태엽 클러치(200)와 고정 클러치(300)의 치합 나사산의 경사가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증속 기어(31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클러치(300)에 출력축이 연결되어 입력축의 1 회전입력 당 n 회전출력을 상기 고정 클러치(300)로 전달시키는 1:n비(n은 1 ~ 10 사이의 실수) 증속 기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속 기어(310)의 츨력축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 클러치에는 내향 나사산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태엽 핸들(4)은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믹서기 컵(2)의 바닥 하부에 컵형으로 형성된 핸들로서, 컵 내부에 상기 믹서기 몸통 하부에 결합된 증속 기어(310)와 고정 클러치(300)와 태엽 클러치(200)와 나선 용수철(20)을 하우징시키면서 중심부가 상기 증속 기어(310)의 입력축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태엽 핸들(4)의 회전은 상기 증속 기어(310)의 입력축 회전이 되어, 상기 태엽 핸들(4)의 1회전은 상기 고정 클러치(300)의 n회전이 되며, 이는 태엽 클러치(200) 중심축을 통해 상기 나선 용수철(20)에 전달되어 n회전 탄성력으로 보존된다.
본 발명의 태엽 락(320)(lock)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나사형 원판으로서, 상기 태엽 핸들(4) 하부 중심축에 결합되어, 상기 태엽 핸들(4)이 상기 나선 용수철(20)의 탄성력으로 다시 회전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발명의 하부 마운트(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믹서기 컵(2)의 바닥에서 연장된 기둥(40)에 의하여 연결되는 하부 커버로서, 상기 태엽 핸들(4)을 측면 노출시키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엽 락(320)을 하측에서 하우징시킨다.
본 발명의 작동 스위치(330)는 상기 하부 마운트(3)의 편심 위치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관통되는 핀으로서, 몸체부가 상기 태엽 락(320)의 톱니 나사에 접촉되는 스토퍼이다.
즉, 상기 작동 스위치(330)는 상기 하부 마운트(3)에 지지되면서 상기 태엽 락(320)에 접촉되어 나선 용수철(20)의 회전 복원력이 태엽 핸들(4)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한편, 상기 작동 스위치(330)에는 상기 하부 마운트(3) 외측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스프링(340)을 삽입시켜, 일상적으로는 상기 태엽 락(320)의 스토퍼로서만 기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 믹서기 컵(2)을 탁자 등에 놓았을 때나 눌렸을 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엽 핸들(4) 내부로 삽입되어 단부가 상기 태엽 클러치(200)에 접촉하여 밀어 올리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태엽 핸들(4)의 하부에는 태엽이 완전히 감겼을 때 상기 작동 스위치(330)가 출입할 수 있도록, 절개구를 형성시킨다.
상기 태엽 클러치(200)가 상기 작동 스위치(330)에 의하여 밀어 올려지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클러치(300)와의 치합이 해방되어, 상기 나선 용수철(20)에 작용하는 구속력이 없어진다.
따라서, 상기 나선 용수철(20)은 회전 복원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31)에 결합된 회전 블레이드(30)는 믹서기 컵ㅍ 내부 내용물을 잘게 부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믹서기 컵(2)은 상단에 토출구(10)가 형성된 커버(1)를 결합시켜 회전 블레이드(30)의 회전에 의한 내용물의 토출을 차단시키면서, 믹싱 후에는 곧바로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작은 회전 횟수로 큰 회전 복원력을 얻을 수 있는 휴대용 믹서기가 제공되는데, 이는 휴대용 믹서기의 경우에는 충분한 믹싱 효과를 얻기 위해서 잦은 반복이 필요했던 불편함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커버 2 : 믹서기 컵
3 : 하부 마운트 4 : 태엽 핸들
20 : 나선 용수철 30 : 회전 블레이드
200 : 태엽 클러치 300 : 고정 클러치
310 : 증속 기어 320 : 태엽 락
330 : 작동 스위치

Claims (3)

  1. 휴대용 믹서기에 있어서,
    믹싱 내용물을 수용하는 믹서기 컵과;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 중심부에서 믹서기 컵 내부로 돌설된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 하부에 형성된 원판으로서, 중심부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하단으로 사다리꼴 기어 이빨이 돌설된 태엽 클러치와;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 하부와 상기 태엽 클러치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단은 상기 믹서기의 외통부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태엽 클러치의 중심부에 결합된 나선 용수철과;
    상기 태엽 클러치의 하단에 형성된 링으로서, 상기 태엽 클러치와 치합되는 사다리꼴 기어 이빨이 상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태엽 클러치와 치합되는 고정 클러치와;
    상기 고정 클러치에 연결되어 입력축의 1 회전입력 당 n 회전출력을 상기 고정 클러치로 전달시키는 1:n비(n은 1 ~ 10 사이의 실수) 증속 기어와;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 하부에 형성된 컵형 핸들로서, 내부에 상기 믹서기 몸통 하부에 결합된 증속기어와 고정 클러치와 태엽 클러치와 나선 용수철을 하우징시키면서 중심부가 상기 증속 기어의 입력축에 연결된 태엽 핸들과;
    톱니 나사형 원판으로서, 상기 태엽 핸들 하부 중심축에 결합된 태엽 락(lock)과;
    상기 믹서기 컵의 바닥에서 연장된 기둥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태엽 핸들을 측면으로 노출시키면서 상기 태엽 락을 하측에 하우징시키는 하부 마운트와;
    상기 하부 마운트의 편심 위치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관통되며, 스프링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 마운트 외측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핀으로서, 몸체부가 상기 태엽 락의 톱니 나사에 스토퍼로서 접촉 결합되고, 눌렸을 때는 단부가 상기 태엽 클러치를 접촉압박시키는 작동 스위치;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기 컵은
    상단에 토출구가 형성된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는
    상기 태엽 클러치 상단의 믹서기 컵 내용물 무게에 의하여 상기 태엽 클러치가 눌려지면 자동 치합되도록 상기 태엽 클러치와 고정 클러치의 치합 나사산의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
KR2020120010591U 2012-11-19 2012-11-19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 KR201400031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591U KR20140003135U (ko) 2012-11-19 2012-11-19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591U KR20140003135U (ko) 2012-11-19 2012-11-19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135U true KR20140003135U (ko) 2014-05-28

Family

ID=5244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591U KR20140003135U (ko) 2012-11-19 2012-11-19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135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830A (ko) * 2015-01-28 2016-08-05 김재남 수동 믹서기
KR101655244B1 (ko) * 2015-04-08 2016-09-07 (주) 테콘 식재료 분쇄기용 수동 작동장치
CN107625453A (zh) * 2017-10-31 2018-01-26 广东逸丰生态实业有限公司 一种石斛搅拌杯
KR20220003003U (ko) * 2021-06-17 2022-12-26 추앙 룽-페이 컵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830A (ko) * 2015-01-28 2016-08-05 김재남 수동 믹서기
KR101655244B1 (ko) * 2015-04-08 2016-09-07 (주) 테콘 식재료 분쇄기용 수동 작동장치
CN107625453A (zh) * 2017-10-31 2018-01-26 广东逸丰生态实业有限公司 一种石斛搅拌杯
KR20220003003U (ko) * 2021-06-17 2022-12-26 추앙 룽-페이 컵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3135U (ko) 증속형 휴대용 믹서기
US9433324B2 (en) Kitchen appliance for processing foodstuff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101496699B (zh) 具有内装电机的机壳和容纳刀具的容器的厨用家电设备
US8402886B2 (en) Device for processing foodstuffs
TWM245935U (en) Electric rotary compression type grinder
US3612414A (en) Coffee mill
US10905285B2 (en) Food processor having integrated spatula
KR101548910B1 (ko) 착즙기
KR200467253Y1 (ko) 태엽 구동형 로터를 가진 휴대용 컵
US20140283692A1 (en) Food spinner
US20140123813A1 (en) Combination Can and Bottle Opener
KR101449698B1 (ko) 가정용 수동식 쌀 세척장치
KR20170050978A (ko) 커피분말 조절구를 구비한 휴대용 커피 빈 그라인더
KR20150141849A (ko) 자동회전 머그컵
CN105921052A (zh) 具有可更换刀片功能的混合器
CN209076809U (zh) 摆振式球磨机
CN203736058U (zh) 一种转动式搅拌机
US20070291585A1 (en) Liquid container with stir mechanism
KR20170035759A (ko) 동력 전달 구조를 갖는 식품 가공 장치
KR200427627Y1 (ko) 충전식 믹서기
CN210747842U (zh) 一种便携式奶粉定量出粉装置
US20140198604A1 (en) Batter mixer and dispenser
CN209932491U (zh) 一种改进的手动搅拌器
EP3747324A1 (en) A blend and carry assembly for a kitchen appliance
KR20110010553U (ko) 믹서기의 회전칼날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