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092Y1 - Bucket for excavator - Google Patents

Bucket for exca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092Y1
KR200497092Y1 KR2020230000740U KR20230000740U KR200497092Y1 KR 200497092 Y1 KR200497092 Y1 KR 200497092Y1 KR 2020230000740 U KR2020230000740 U KR 2020230000740U KR 20230000740 U KR20230000740 U KR 20230000740U KR 200497092 Y1 KR200497092 Y1 KR 200497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pin
pin
holder
detachable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74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문종
Original Assignee
김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종 filed Critical 김문종
Priority to KR2020230000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09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09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은, 상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 플랜지가 형성된 버킷 본체부; 및 상기 결합 플랜지에 서로 이격되도록 적용되는 제1 착탈핀과, 제2 착탈핀 및 제3 착탈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착탈핀과 제2 착탈핀은 포크레인의 작동붐의 하부에 형성된 제1 홀더 및 제2 홀더에 각각 장착되도록 자리배치 되고, 상기 제3 착탈핀은 상기 제1 착탈핀이 상기 제1 홀더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붐의 변환기능에 의해 상기 버킷 본체부의 각도를 변환시켰을 때, 상기 제2 착탈핀 대신 상기 제2 홀더에 장착될 수 있도록 자리배치 된다.Bucket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cket body portion formed with a pair of coupling flange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portion; And a first detachable pin applied to the coupling flang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econd detachable pin, and a third detachable pin, the first detachable pin and the second detachable pin are arranged to be mounted to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formed at the bottom of the operating boom of the excavator, respectively, and the third detachable pin replaces the second detachable pin when the angle of the bucket main body is changed by a conversion function of the operating boom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etachable pin is mounted on the first holder. 2 It is arranged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the holder.

Description

포크레인용 버킷{BUCKET FOR EXCAVATOR}Bucket for Excavator {BUCKET FOR EXCAVATOR}

본 고안은 굴삭 용도, 평평한 지면을 다지는 용도, 경사지반을 다지는 용도, 적재물을 퍼서 덤프 트럭과 같은 대상물에 담는 용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하며, 용도 변화에 따라 포크레인용 버킷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1번 핀을 포크레인의 작동붐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2번 핀과 3번 핀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변경하여 작동붐에 장착할 수 있는 포크레인용 버킷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excavation, leveling flat ground, sloped ground, and scooping loads to put them in objects such as dump trucks. In order to adjust the angle of the bucket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the change in use, the bucket for an excavator can be mounted on the operating boom by selectively and freel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pin 2 and pin 3 while the pin 1 is mounted on the operating boom of the excavator.

일반적으로, 포크레인은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 용도, 토사를 덤프트럭에 적재하는 적재 작업, 건물과 돌을 해체하는 파쇄 용도 등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평평한 지면이나 경사진 지면을 눌러 정리하는 정리작업도 수행한다.In general, forklifts not only perform excavation for digging the ground at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sites, loading work for loading soil into a dump truck, and crushing use for dismantling buildings and stones, but also clean up by pressing flat or inclined ground.

이러한 포크레인은 작동붐과, 작동붐의 선단부에 구비된 버킷과, 작동붐과 버킷에 연결되어 작동붐과 버킷을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Such an excavator includes a working boom, a bucket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working boom, and a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the working boom and the bucket to rotate the working boom and the bucket.

그리고, 버킷을 이용하여 땅을 파거나 기타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it is configured to dig the ground using a bucket or perform other various tasks.

이때, 버킷은 다양한 크기와 폭으로 구성되며 작동붐의 선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bucket is composed of various sizes and widths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boom.

이를 위해, 버킷은 전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버킷 본체와, 버킷본체의 상측에 구비되어 작동붐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으로 구성된다.To this end, the bucket is composed of a bucket body configured in a tubular shape with an open front side, and a bracke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cket bod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rating boom.

이때, 브라켓에는 힌지핀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힌지핀에 의해 작동붐의 선단부에 탈착 및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At this time, a coupling hole to which the hinge pin is detachably coupled is formed in the bracket, and is detachabl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boom by the hinge pin.

따라서, 작업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크기 또는 폭의 버킷을 작동붐에 장착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Therefore,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it is possible to work by mounting a bucket of an appropriate size or width to the operating boom.

한편, 이러한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다 보면, 도랑을 파거나 흙을 퍼내는 작업, 토사를 덤프트럭에 적재하는 적재 작업, 건물과 돌을 해체하는 파쇄 용도 등을 수행하는 작업, 평평한 지면을 눌러 정리하는 작업, 경사진 지면을 눌러 정리하는 정리작업을 번갈아 가면서 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경우, 작동붐의 선단부에 결합된 버킷의 각도를 변경해주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working using such a fork crane, digging a ditch or scooping out soil, loading soil into a dump truck, performing work such as crushing to dismantle buildings and stones, cleaning by pressing flat ground, and cleaning up by pressing on sloped ground. In this case, the angle of the bucket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boom must be changed.

종래에는 버킷에 1번 힌지핀과, 2번 힌지핀 및 3번 힌지핀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1번 힌지핀과, 2번 힌지핀 및 3번 힌지핀의 높낮이를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작동붐에 1번 힌지핀과 2번 힌지핀을 장착하거나 또는, 1번 힌지핀과 3번 힌지핀을 장착하거나 또는, 2번 힌지핀과 3번 힌지핀을 장착함으로써, 버킷의 각도를 변경하였다.Conventionally, the number 1 hinge pin, the number 2 hinge pin, and the number 3 hinge pin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bucket, and the height of the number 1 hinge pin, the number 2 hinge pin, and the number 3 hinge pin are arranged differently, so that the operating boom is equipped with the number 1 hinge pin and the number 2 hinge pin, or the number 1 hinge pin and the number 3 hinge pin, or the number 2 hinge pin and the 3 By installing the burn hinge pin, the angle of the bucket was changed.

즉, 힌지핀 간의 간격, 각도, 높낮이 등에 따라 버킷의 각도가 변경되어 도랑을 파거나 흙을 퍼내는 작업, 토사를 덤프트럭에 적재하는 적재 작업, 건물과 돌을 해체하는 파쇄 용도 등을 수행하는 작업, 평평한 지면을 눌러 정리하는 작업, 경사진 지면을 눌러 정리하는 정리작업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angle of the bucke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hinge pins, the angle, the height, etc., so that digging a ditch or scooping out soil, loading soil into a dump truck, crushing to dismantle buildings and stones, etc. It is possible to perform work, cleanup by pressing the flat ground, and cleanup by pressing the inclined ground, respectively.

그러나, 작업 용도에 따라 작동붐에 대한 힌지핀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하는데, 교체시 마다 버킷을 지면에 내려놓은 다음, 작동붐을 어느 2개의 힌지핀에서 분리한 후, 다른 2개의 힌지핀으로 옮겨서 장착했기 때문에 버킷의 각도를 변경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depending on the purpose of work, the position of the hinge pin relative to the operating boom needs to be repeatedly replaced. Every time the bucket is lowered to the ground, the operating boom is separated from any two hinge pins, and then moved to the other two hinge pins.

따라서, 버킷이 작동붐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원하는 힌지핀으로 교체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product that can be replaced with a desired hinge pin even when the bucket is coupled to the operating boom.

등록특허공보 제10-1802968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02968

본 고안은 포크레인용 버킷의 각도를 사용용도에 따라 가변하기 위해 포크레인의 작동붐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1번 핀과 2번 핀 및 3번 핀의 위치를 변경함에 있어서, 버킷의 각도를 변환할 수 있는 작동붐의 변환 기능에 의해 1번 핀과 2번 핀의 거리 및 1번 핀과 3번 핀의 거리가 동일해지도록 함으로써, 1번 핀이 작동붐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2번 핀과 3번 핀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환하여 2번 핀 또는 3번 핀을 작동붐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3번 핀을 작동붐에 장착하기 전에 2번 핀을 작동붐 상에서 일시적으로 이탈시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포크레인용 버킷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changing the positions of pin 1, pin 2 and pin 3 selectively mounted on the operating boom of an excavator in order to change the angle of the bucket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the distance between pin 1 and pin 2 and the distance between pin 1 and pin 3 are the same by the conversion function of the operating boom that can change the angle of the bucke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pin 1 and pin 3 is the same, so that the position of pin 2 and pin 3 can be freely changed even when th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ucket for a forklift that can selectively mount pin 2 or pin 3 on the operating boom, and can prevent interference by temporarily separating pin 2 from the operating boom before mounting pin 3 on the operating boom.

본 고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은, 상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 플랜지가 형성된 버킷 본체부; 및 상기 결합 플랜지에 서로 이격되도록 적용되는 제1 착탈핀과, 제2 착탈핀 및 제3 착탈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착탈핀과 제2 착탈핀은 포크레인의 작동붐의 하부에 형성된 제1 홀더 및 제2 홀더에 각각 장착되도록 자리배치 되고, 상기 제3 착탈핀은 상기 제1 착탈핀이 상기 제1 홀더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붐의 변환기능으로 상기 버킷 본체부의 각도를 변환시켰을 때, 상기 제2 착탈핀 대신 상기 제2 홀더에 장착될 수 있도록 자리배치 된다.Bucket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cket body portion formed with a pair of coupling flange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portion; And a first detachable pin, a second detachable pin, and a third detachable pin applied to the coupling flang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detachable pin and the second detachable pin are disposed to be mounted to a first holder and a second holder respectively formed at a lower part of a working boom of an excavator, and the third detachable pin replaces the second detachable pin when the angle of the bucket body is changed by a converting function of the actuation boom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etachable pin is mounted on the first holder. It is arranged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the holder.

그리고, 상기 제3 착탈핀은 상기 제2 착탈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착탈핀의 일정영역과 상기 제3 착탈핀의 일정영역은 수직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착탈핀과 제2 착탈핀이 상기 제1 홀더 및 제2 홀더에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버킷 본체부의 각도를 가변하기 위해 상기 제2 착탈핀을 제3 착탈핀으로 교체하고자 상기 작동붐의 기능으로 상기 버킷 본체부를 회동시켰을 때, 상기 제2 착탈핀이 상기 제2 홀더에서 이탈되고, 상기 제3 착탈핀은 상기 제2 홀더에 장착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된다.In addition, the third detachable pin is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second detachable pin, and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cond detachable pin and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hird detachable pin are positioned on a vertical line, and when the bucket body is rotated by a function of the operation boom to replace the second detachable pin with the third detachable pin to change the angle of the bucket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etachable pin and the second detachable pin are mounted on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respectively, the second detachable pin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holder, and the third detachable pin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it can be mounted on the second holder.

또한, 상기 결합 플랜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 플랜지 상에 셋팅된 상기 제2 착탈핀과 마주하는 면이 개방된 보관포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착탈핀이 상기 제2 홀더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붐의 기능으로 상기 버킷 본체부를 틸팅시켰을 때, 상기 제2 착탈핀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상기 보관포켓부에 수용된다.In addition,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flange, and further includes a storage pocket having an open surface facing the second detachable pin set on the coupling flange. When the bucket body is tilted by a function of the operating boom in a state where the second detachable pin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holder, the second detachable pin is dropped by its own weight and accommodated in the storage pocket.

그리고, 상기 제2 착탈핀은 어느 하나의 결합 플랜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영역에는 홀딩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플랜지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돌출영역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홀딩용 홀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돌출영역을 상기 스토퍼 상에 고정시키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detachable pin includes a protruding area protruding through any one coupling flange, a holding hole is formed in the protruding area, and is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flange, A stopper supporting a part of the protruding area in a form surrounding; and a separation prevention unit installed through the holding hole to fix the protrusion area on the stopper.

본 고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은, 포크레인용 버킷의 각도를 사용용도에 따라 가변하기 위해 포크레인의 작동붐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1번 핀과 2번 핀 및 3번 핀의 위치를 변경함에 있어서, 버킷의 각도를 변환할 수 있는 작동붐의 변환 기능에 의해 1번 핀과 2번 핀의 거리 및 1번 핀과 3번 핀의 거리가 동일해지도록 함으로써, 1번 핀이 작동붐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2번 핀과 3번 핀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환하여 2번 핀 또는 3번 핀을 작동붐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3번 핀을 작동붐에 장착하기 전에 2번 핀을 작동붐 상에서 일시적으로 이탈시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bucket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hanging the positions of pin 1, pin 2 and pin 3 selectively mounted on the operating boom of the excavator in order to vary the angle of the bucket for the excavato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the distance between pin 1 and pin 2 and the distance between pin 1 and pin 3 are the same by the conversion function of the operating boom capable of converting the angle of the bucke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pin 1 and pin 3 is the same even when the pin 1 is mounted on the operating boom. The position of can be freely changed to selectively mount the 2nd or 3rd pin on the operating boom, and the 2nd pin can be temporarily separated from the operating boom before mounting the 3rd pin on the operating boom to prevent interferenc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이 작동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이 작동붐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에서 작동붐의 변환 기능에 의해 제2 착탈핀이 제2 홀더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에서 작동붐의 변환 기능에 의해 제2 착탈핀이 보관포켓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에 적용된 제3 착탈핀이 제2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cket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working boom;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cket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operating boom.
Figure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cket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etachable pin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holder by the conversion function of the operating boom in the bucket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etachable pin is moved to the storage pocket by the conversion function of the operating boom in the bucket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hird detachable pin applied to a bucket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econd holder;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desig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포크레인용 버킷(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for explaining the bucket 1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이 작동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이 작동붐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에서 작동붐의 변환 기능에 의해 제2 착탈핀이 제2 홀더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에서 작동붐의 변환 기능에 의해 제2 착탈핀이 보관포켓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에 적용된 제3 착탈핀이 제2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cket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working boom,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cket for an excavator is separated from a working b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cket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etachable pin is moved to the storage pocket by the conversion function of the operating boom in the bucket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1)은 버킷 본체부(10)와, 착탈부와, 스토퍼(60)와, 이탈방지부(70) 및 이탈방지부(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cket 1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bucket body portion 10, a detachable portion, a stopper 60,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70, and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70. It may include one or more.

버킷 본체부(10)는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적재공간이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One side of the bucket body 10 is open and a loading space is formed at a certain depth therein.

버킷 본체부(10)의 바닥면 일측에는 핑거결합판(미도시)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A finger coupling plate (not shown)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ucket body 10 .

핑거 결합판에는 복수개의 핑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finger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finger coupling plate.

핑거의 크기와 길이는 포크레인(미도시)의 사용 용도에 따라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The size and length of the finger may be adjus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use of the excavator (not shown).

그리고, 핑거는 사용 용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Also, the finger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버킷 본체부(10)는 이러한 형상에 의해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 용도, 토사를 덤프트럭에 적재하는 적재 작업, 건물과 돌을 해체하는 파쇄 용도 등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지면을 눌러 정리하는 정리작업도 수행한다.With this shape, the bucket body 10 not only performs excavation for digging the ground at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sites, loading work for loading soil into a dump truck, and crushing use for dismantling buildings and stones, It also performs cleanup work by pressing the ground.

이상 설명한 버킷 본체부(10)는 상용화 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bucket body 10 described above is a commercialized configu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버킷 본체부(10)는 상측에 포크레인의 작동붐(2)에 장착되는 착탈부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결합 플랜지(11)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Meanwhile, on the upper side of the bucket body 10, a pair of coupling flanges 11 for fixing a detachable part mounted on the operating boom 2 of the excavator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결합플랜지는 제2 홀더(4)에 장착된 제2 착탈핀(30)을 제3 착탈핀(40)으로 교체하기 위해 작동붐(2)에 구비된 기능으로 버킷 본체부(10)를 회동작동이나 틸팅작동 시켰을 때, 제1 홀더(3)나 제2 홀더(4)에 간섭하지 않도록 중앙부분이 양측 부분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flange is a function provided to the operation boom 2 to replace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mounted on the second holder 4 with the third detachable pin 40, and when the bucket body portion 10 is rotated or tilted, the central portion may be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both side portion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rst holder 3 or the second holder 4.

착탈부는 결합 플랜지(11)를 포크레인의 작동붐(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작동붐(2)에 적용되는 버킷 본체부(10)의 각도를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하는 구성이다.The detachable portion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bucket body 10 applied to the operating boom 2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while detachably coupling the coupling flange 11 to the operating boom 2 of the excavator.

이를 위해, 착탈부는 결합 플랜지(11)에 서로 이격되도록 적용되는 제1 착탈핀(20)과, 제2 착탈핀(30) 및 제3 착탈핀(40)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detachable unit may include a first detachable pin 20 applied to the coupling flange 1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econd detachable pin 30 and a third detachable pin 40 .

제1 착탈핀(20)은 양측이 한 쌍의 결합 플랜지(11)에 형성된 돌출부(11a)에 각각 결합되는 형태로 셋팅되며, 작동붐(2)의 하부에 배치된 제1 홀더(3)에 장착된다.The first attachable and detachable pin 20 is set in such a way that both sides are coupled to the protrusions 11a formed on the pair of coupling flanges 11, respectively, and mounted on the first holder 3 disposed below the operating boom 2.

제2 착탈핀(30)은 양측이 한 쌍의 결합 플랜지(11)에 형성된 다른 돌출부(11b)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가능 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셋팅되며, 작동붐(2)의 하부에서 제1 홀더(3)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홀더(4)에 장착된다.The second detachable pin 30 is set in such a way that its both sides are movably coupled to the other protrusions 11b formed on the pair of coupling flanges 11 in a sliding manner, and is mounted on the second holder 4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lder 3 at the lower part of the operating boom 2.

이때, 돌출부(11b)에는 제2 착탈핀(30)이 유동가능하도록 하면서 제2 착탈핀(30)의 일측이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11b so that one side of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penetrates and protrudes while allowing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to flow.

제2 착탈핀(30)은 제1 착탈핀(20)과 일정간격 이격된다. 이때, 제1 착탈핀(20)과 제2 착탈핀(30)의 간격은 제1 홀더(3) 및 제2 홀더(4)의 간격과 동일하다.The second detachable pin 3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etachable pin 2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detachable pin 20 and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is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lder 3 and the second holder 4 .

그리고, 제1 홀더(3)가 제2 홀더(4)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제1 착탈핀(20)도 제2 착탈핀(3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And, when the first holder 3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econd holder 4, the first detachable pin 20 is also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즉, 제1 착탈핀(20) 및 제2 착탈핀(30)은 제1 홀더(3) 및 제2 홀더(4)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배치된다.That is, the first detachable pin 20 and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are disposed at heights corresponding to the heights of the first holder 3 and the second holder 4 .

이때, 제2 홀더(4)는 한 쌍의 집게를 포함한다. 어느 하나의 집게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고정형이고, 다른 하나의 집게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유동형으로써, 실린더와 같은 제품에 의해 유동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holder 4 includes a pair of tongs. One of the tongs is a fixed type while being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the other tong is a flexible type while being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is flowed by a product such as a cylinder.

유동형 집게(4b)는 실린더와 같은 제품에 의해 회동방식으로 고정형 집게(4a)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된다.The flexible tongs 4b are moved forward or backward relative to the fixed tongs 4a in a rotational manner by means of a product such as a cylinder.

이때, 유동형 집게(4b)의 전진 또는 후진 작동은 포크레인 기술분야에서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since the forward or backward operation of the flexible tongs 4b is a commercialized technology in the field of excavator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유동형 집게(4b)는 전진될 시 고정형 집게(4a)와 접촉하면서 하나의 원형 장착공간을 형성한다. 제2 착탈핀(30) 및 후술되는 제3 착탈핀(40)은 원형 장착공간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형태로 장착된다.The flexible tongs 4b form one circular mounting space while contacting the fixed tongs 4a when moving forward.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and the third detachable pin 40 described below are mounted in a form that is selectively accommodated in a circular mounting space.

이때, 제2 착탈핀(30)은 고정형으로 적용되는 제1 착탈핀(20) 및 제3 착탈핀(40)과 달리 유동형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is formed in a floating type, unlike the first detachable pin 20 and the third detachable pin 40 applied in a fixed type.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1)은, 제2 착탈핀(30)을 제2 홀더(4)에 장착할 때, 제2 착탈핀(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착탈핀(30) 대신 제3 착탈핀(40)을 제2 홀더(4)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 제2 착탈핀(30)이 간섭하지 아니하도록 제2 홀더(4) 상에서 이탈시킨 다음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스토퍼(60)와, 이탈방지부(70) 및 보관포켓부(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bucket 1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movement of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when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is mounted on the second holder 4, and the third detachable pin 40 instead of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If you want to mount the third detachable pin 40 on the second holder 4,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can be detached from the second holder 4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and then stored safely 60), an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70 and the storage pocket unit 50 may be further included.

먼저, 제2 착탈핀(30)은 이탈방지부(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결합 플랜지(11)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영역(31)을 포함한다.First,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includes a protruding area 31 that protrudes outwardly through a through hole of any one coupling flange 11 so that it can be fixed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70 .

그리고, 돌출영역(3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딩용 홀(31a)이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holding hole 31a is formed in the protruding area 31 .

스토퍼(60)는 도 3을 기준으로 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 플랜지(11)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부(61) 및 수평부(61)의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때, 수평부(61) 및 연결부의 조합된 형상은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영역(31)의 중앙부분을 감싼다.The stopper 60 includes a pair of horizontal portions 61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flange 11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61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a through hole interposed therebetween with reference to FIG. 3. At this time, the combined shape of the horizontal portion 61 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 cross-sectional shape to surrou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otruding region 31 .

그리고, 연결부는 제2 착탈핀(3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돌출영역(31)의 일측면을 지지한다.And, the connection part supports one side of the protrusion area 31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

이탈방지부(70)는 1개로 적용되거나 또는, 홀딩용 홀(31a)과 동일한 개수로 적용될 수 있으며, 도 3에는 1개로 적용되어 어느 하나의 홀딩용 홀(31a)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70 may be applied as one unit or in the same number as the holding hole 31a, and FIG. 3 shows an example in which one unit is applied and installed in one holding hole 31a.

이탈방지부(70)는 볼트로 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바디가 어느 하나의 홀딩용 홀(31a)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헤드는 돌출영역(31)의 외면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결합 플랜지(11) 상에서 제2 홀더(4)에 장착된 제2 착탈핀(30)이 보관포켓부(50)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nti-separation part 70 is formed of bolts, and a body formed with a spiral on the outer periphery protrudes outward through one of the holding holes 31a, and the head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area 31.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mounted on the second holder 4 on the coupling flange 11 from moving toward the storage pocket 50 .

그리고, 이탈방지부(70)의 돌출된 부분에는 너트(N)가 체결된다.And, the nut (N) is fastened to the protruding part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70).

너트(N)는 이탈방지부(70)에 체결되어 돌출영역(31)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이탈방지부(70)가 돌출영역(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nut (N) is fastened to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70 and adheres to the protruding area 31 .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7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rusion area 31 .

한편, 보관포켓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플랜지(11)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착탈핀(30)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Meanwhile, the storage pocket 5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flange 11, as shown in FIG. 3, and is disposed on a horizontal line with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보관포켓부(50)는 결합 플랜지(11) 상에 셋팅된 제2 착탈핀(30)과 마주하는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제2 착탈핀(3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torage pocket 5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one surface facing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set on the coupling flange 11 open and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is accommodated.

이때, 보관포켓부(50)의 일면 가장자리면은 어느 하나의 결합 플랜지(11)에 결합되고, 보관포켓부(50)의 일면 개방된 부분은 해당 결합 플랜지(11)의 관통홀과 마주한다. 따라서, 제2 착탈핀(30)은 관통홀을 통해 보관포켓부(50)의 수용공간으로 이동되어 제2 홀더(4)에서 이탈되거나 또는, 수용공간에서 인출되어 결합 플랜지(11)에 셋팅되어 제2 홀더(4)에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dge surface of one side of the storage pocket portion 50 is coupled to any one coupling flange 11, and the open portion of one side of the storage pocket portion 50 faces the through hole of the coupling flange 11. Accordingly, the second attachable and detachable pin 30 may be mov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torage pocket 50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holder 4, or may be pulled out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set on the coupling flange 11 to be mounted on the second holder 4.

그리고, 보관포켓부(50)의 타면은 버킷 본체부(10)에 결합되며, 어느 하나의 결합 플랜지(11)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고정바(12)에 고정된다.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torage pocket portion 50 is coupled to the bucket body portion 10, and is fixed to a fixing bar 12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any one coupling flange 11.

제3 착탈핀(40)은 양측이 결합 플랜지(11)에 각각 결합되는 형태로 셋팅된다.The third detachable pin 40 is set in such a way that both sides are coupled to the coupling flange 11, respectively.

제3 착탈핀(40)은 제2 착탈핀(30)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The third detachable pin 40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

아울러, 도 2 내지 도 4를 기준으로 제3 착탈핀(40)의 좌측 일정영역과 제2 착탈핀(30)의 우측 일정영역은 수직선상에 위치된다.In addition,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a predetermined area on the left side of the third detachable pin 40 and a predetermined area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are positioned on a vertical line.

특히, 제3 착탈핀(40)은 제1 착탈핀(20)이 제1 홀더(3)에 장착되고, 제2 착탈핀(30)이 제2 홀더(4)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지의 포크레인에서 작동붐(2)에 통상적으로 구비된 변환기능에 의해 버킷 본체부(10)를 회동시켜 각도를 변환시켰을 때 제2 착탈핀(30) 대신 제2 홀더(4)에 장착될 수 있도록 자리배치 된다.In particular, the third detachable pin 40 is arranged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the second holder 4 instead of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when the angle is changed by rotating the bucket body 10 by a conversion function normally provided in the working boom 2 in a known excavator in a state where the first detachable pin 20 is mounted on the first holder 3 and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is mounted on the second holder 4.

즉, 기본적으로 제1 착탈핀(20)과 제2 착탈핀(30)의 간격이 제1 홀더(3) 및 제2 홀더(4)의 간격과 동일하면서도 작동붐(2)에 통상적으로 구비된 변환기능에 의해 버킷 본체부(10)를 회동시켜 각도를 변환시키면 제1 착탈핀(20)과 제3 착탈핀(40)의 간격이 제1 홀더(3) 및 제2 홀더(4)의 간격과 동일하게 셋팅되는 것이다.That is, basically, while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detachable pin 20 and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is the same as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holder 3 and the second holder 4, when the bucket body 10 is rotated and the angle is changed by a conversion function normally provided in the operating boom 2,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detachable pin 20 and the third detachable pin 40 is set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lder 3 and the second holder 4.

부연하여, 버킷 본체부(10)의 각도를 변환시키기 전 제1 착탈핀(20)과 제2 착탈핀(30)의 거리 및 버킷 본체부(10)의 각도를 변환시킨 후 제1 착탈핀(20)과 제3 착탈핀(40)의 거리가 동일하다.In other word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detachable pin 20 and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before changing the angle of the bucket body portion 10 and the first detachable pin 20 after changing the angle of the bucket body portion 10.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detachable pin 40 is the same.

이때, 전술한 작동붐(2)의 변환기능은 포크레인 기술분야에서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since the conversion function of the operating boom 2 described above is a technology commercialized in the field of excavator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주지된 바와 같이, 포크레인용 버킷(1)에서 버킷 본체부(10)는 작동붐(2)의 변환 기능에 따라 그 각도가 상이해지며, 버킷 본체부(10)의 각도에 따라 지반을 평평하게 다지는 용도, 흙, 자갈 등의 각종 적재물을 퍼담는 용도 등으로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as is well known, in the bucket 1 for an excavator, the bucket body portion 10 has a different angle according to the conversion function of the operating boom 2, and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bucket body portion 10, the ground is flattened.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scooping various loads such as soil and gravel.

아울러, 전술한 버킷의 각도는 작동붐(2)의 제1 홀더(3) 및 제2 홀더(4)에 장착되는 착탈핀(20,30,40)에 따라 상이해 진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angle of the bucke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tachable pins 20 , 30 , and 40 mounted on the first holder 3 and the second holder 4 of the operating boom 2 .

즉, 제1 착탈핀(20)과 제2 착탈핀(30)이 제1 홀더(3)와 제2 홀더(4)에 각각 장착되었을 때 버킷 본체부(10)의 각도와, 제1 착탈핀(20)과 제3 착탈핀(40)이 제1 홀더(3)와 제2 홀더(4)에 각각 장착되었을 때 버킷 본체부(10)의 각도가 상이해지며, 이를 도 1 및 도 6에 각각 예시하였다.That is, when the first detachable pin 20 and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are mounted on the first holder 3 and the second holder 4, respectively, the angle of the bucket body 10 and the first detachable pin 20 and the third detachable pin 40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first holder 3 and the second holder 4. The angle of the bucket body 10 is different, and this is illustrated in FIGS.

도 6은 제1 착탈핀(20)과 제3 착탈핀(40)이 제1 홀더(3) 및 제2 홀더(4)에 각각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로써, 제1 착탈핀(20)과 제3 착탈핀(40)을 제1 홀더(3) 및 제2 홀더(4)에 각각 장착하면 버킷 본체부(10)의 밑면(10a)이 비스듬한 각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둑 같은 경사면을 정리하거나 눌러서 다지기에 용이하다.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detachable pin 20 and the third detachable pin 40 are mounted on the first holder 3 and the second holder 4, respectively. When the first detachable pin 20 and the third detachable pin 40 are mounted on the first holder 3 and the second holder 4, respectively, since the bottom 10a of the bucket body 10 maintains an oblique angle, an inclined surface such as a bank is cleaned or pressed. easy to

도 1은 제1 착탈핀(20)과 제2 착탈핀(30)이 제1 홀더(3) 및 제2 홀더(4)에 각각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로써, 도 1과 같은 경우 버킷 본체부(10)를 포크레인의 운전실 방향으로 많이 구부릴 수 있어서 퍼담은 적재물이 쏟아질 확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attachable and detachable pin 20 and a second attachable and detachable pin 30 are mounted on the first holder 3 and the second holder 4, respectively. In the case of FIG.

뿐만 아니라, 도 1과 같이 제1 착탈핀(20)과 제2 착탈핀(30)이 제1 홀더(3) 및 제2 홀더(4)에 각각 장착하면, 버킷 본체부(10)의 밑면(10a)이 거의 수평에 가까워져 평평한 지반을 정리하거나 눌러서 다지기에 용이하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ttachment and detachment pin 20 and the second attachment and detachment pin 30 are attached to the first holder 3 and the second holder 4,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특히,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버킷 본체부(10)의 회동에 대응하여 제2 착탈핀(30)이 제2 홀더(4)에 장착되거나 또는, 제3 착탈핀(40)이 제3 홀더에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버킷 본체부(10)가 작동붐(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 홀더(4)에 대한 제2 착탈핀(30)과 제3 착탈핀(4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bucket 1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holder 4 or the third detachable pin 40 may be mounted on the third holder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bucket body 10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s of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and the third detachable pin 40 relative to the second holder 4 in a state where the bucket body 10 is mounted on the operating boom 2 There are features that can be changed.

구체적으로, 제1 착탈핀(20)과 제2 착탈핀(30)을 제1 홀더(3) 및 제2 홀더(4)에 각각 장착하여 버킷 본체부(10)의 밑면(10a)을 수평에 가깝게 함으로써, 평평한 지반을 정리하거나 눌러서 다지는 용도로 사용하다가 경사지반을 눌러서 다지는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6과 같이 버킷 본체부(10)의 각도를 가변해야 한다.Specifically, the first detachable pin 20 and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are mounted on the first holder 3 and the second holder 4, respectively, so that the bottom surface 10a of the bucket body 10 is close to horizontal. In order to use it for compaction by pressing or compacting sloped ground after arranging flat ground, the angle of the bucket body portion 10 should be changed as shown in FIG. 6.

이와 같은 경우 먼저, 제2 착탈핀(30)의 홀딩용 홀(31a)에 설치된 이탈방지부(70)를 제거하여 제2 착탈핀(30)이 보관포켓부(50)로 자유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준다.In this case, first,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70 installed in the holding hole 31a of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is removed to make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free to move to the storage pocket 50.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용 버킷(1)은 제2 홀더(4)에 대한 제2 착탈핀(30)과 제3 착탈핀(40)의 위치를 변경할 때 제1 착탈핀(20)은 제1 홀더(3)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버킷 본체부(10)를 지면에 내려놓지 않고도 작동붐(2)의 변환기능을 통해 제2 착탈핀(30)이 있던 위치로 제3 착탈핀(40)을 이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bucket 1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positions of the second attachable pin 30 and the third attachable pin 40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lder 4, the first attachable pin 20 maintains the mounted state in the first holder 3. That is, the third attachment/detachment pin 40 can be moved to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attachment/detachment pin 30 was located through the conversion function of the operation boom 2 without putting the bucket main body 10 on the ground.

계속해서, 홀딩용 홀(31a)에서 이탈방지부(70)를 제거한 다음에는 유동형 집게(4b)를 고정형 집게(4a)에서 이격시켜 도 4와 같이 고정형 집게(4a)와 유동형 집게(4b)의 사이에 제2 착탈핀(30) 및 제3 착탈핀(40)의 출입공간을 확보한다.Subsequently, after removing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70 from the holding hole 31a, the flexible tongs 4b are spaced apart from the fixed tongs 4a,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경우, 버킷 본체부(10)는 작동붐(2)의 변환기능을 통해 제1 착탈핀(20)을 축으로 하여 회동되되, 그 상측이 하측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고, 그 하측은 상측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된다. 즉, 버킷 본체부(10)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어 제2 착탈핀(30)이 출입공간을 통해 인출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bucket body 10 is rotated about the first detachable pin 20 as an axis through the conversion function of the operating boom 2, and the upper side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lower direction, and the lower side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upward direction. That is, the bucket main body 1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is drawn out through the entry/exit space.

이후, 작동붐(2)의 변환기능으로 버킷 본체부(10)를 틸팅시켜 도 5와 같이 제2 착탈핀(30)을 보관포켓부(50)의 수용공간에 수용한다.Thereafter, the bucket main body 10 is tilted by the conversion function of the operating boom 2 to accommodate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in the storage pocket 50 as shown in FIG. 5 .

작동붐(2)은 상기와 같이 출입공간을 통해 제2 홀더(4)의 아래로 인출된 제2 착탈핀(30)이 자중에 의해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보관포켓부(5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버킷 본체부(10)를 소정각도로 틸팅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ng boom 2 tilts the bucket body 10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drawn out under the second holder 4 through the entry/exit space slides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torage pocket 50.

이후, 작동붐(2)의 변환기능을 통해 다시 버킷 본체부(10)의 상측을 상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시키되, 제2 착탈핀(30)을 제2 홀더(4)에서 인출시키기 위해 회동시켰던 거리나 각도보다 더 회동시키면 도 6과 같이, 제2 착탈핀(30)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던 제3 착탈핀(40)이 상승되어 출입공간을 통해 고정형 집게(4a) 및 유동형 집게(4b)의 사이에 수용된다.Then, when the upper side of the bucket main body 10 is rotat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hrough the conversion function of the operating boom 2, and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is rotated more than the distance or angle rotated to withdraw the second detachable pin 30 from the second holder 4, as shown in FIG. are accepted among

이후, 유동형 집게(4b)를 고정형 집게(4a)에 접촉시키면, 제3 착탈핀(40)은 고정형 집게(4a) 및 유동형 집게(4b)에 공동으로 감싸여지는 형태로 장착되며, 이로 인해 버킷 본체부(10)가 도 6과 같은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Then, when the flexible tongs 4b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xed tongs 4a, the third attachable and detachable pin 40 is mounted in a form that is jointly wrapped around the fixed tongs 4a and the floating tongs 4b, and as a result, the bucket body portion 10 maintains an angle as shown in FIG. 6.

그리고, 버킷 본체부(10)의 밑면(10a)이 경사지는 형태로 변환 됨으로, 경사 지반을 눌러서 정리하는 용도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ttom surface 10a of the bucket body 10 is converted into an inclined shape, it can be easily used for arranging by pressing the inclined ground.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포크레인용 버킷 10 : 버킷 본체부
10a : 밑면 11 : 결합 플랜지
11a,11b : 돌출부 12 : 고정바
20 : 제1 착탈핀 30 : 제2 착탈핀
31 : 돌출영역 31a : 홀딩용 홀
40 : 제3 착탈핀 50 : 보관포켓부
60 : 스토퍼 61 : 수평부
62 : 수직부 70 : 이탈방지부
1: Bucket for excavator 10: Bucket body part
10a: Bottom 11: Coupling Flange
11a, 11b: protrusion 12: fixing bar
20: first detachable pin 30: second detachable pin
31: protrusion area 31a: hole for holding
40: third detachable pin 50: storage pocket
60: stopper 61: horizontal part
62: vertical part 70: separation prevention part

Claims (4)

상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 플랜지가 형성된 버킷 본체부;
상기 결합 플랜지에 서로 이격되도록 적용되는 제1 착탈핀과, 제2 착탈핀 및 제3 착탈핀; 및
상기 결합 플랜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 플랜지 상에 셋팅된 상기 제2 착탈핀과 마주하는 면이 개방된 보관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착탈핀과 제2 착탈핀은 포크레인의 작동붐의 하부에 형성된 제1 홀더 및 제2 홀더에 각각 장착되도록 자리배치 되고, 상기 제3 착탈핀은 상기 제1 착탈핀이 상기 제1 홀더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붐의 변환기능으로 상기 버킷 본체부의 각도를 변환시켰을 때, 상기 제2 착탈핀 대신 상기 제2 홀더에 장착될 수 있도록 자리배치 되며,
상기 제2 착탈핀이 상기 제2 홀더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붐의 기능으로 상기 버킷 본체부를 틸팅시켰을 때, 상기 제2 착탈핀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상기 보관포켓부에 수용되는 포크레인용 버킷.
Bucket body portion formed with a pair of coupling flange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portion;
First detachable pins, second detachable pins, and third detachable pins applied to the coupling flang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torage pocket portio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flange and having an open surface facing the second detachable pin set on the coupling flange;
The first detachable pin and the second detachable pin are arranged to be mounted to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respectively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operating boom of the excavator, and the third detachable pin is positioned so that the first detachable pin is mounted on the first holder and can be mounted on the second holder instead of the second detachable pin when the angle of the bucket body is changed by the conversion function of the operating boom,
When the bucket main body part is tilted by the function of the operation boom in a state where the second attachable and detachable pin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holder, the second attachable and detachable pin is dropped by its own weight and accommodated in the storage po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착탈핀은 상기 제2 착탈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착탈핀의 일정영역과 상기 제3 착탈핀의 일정영역은 수직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착탈핀과 제2 착탈핀이 상기 제1 홀더 및 제2 홀더에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버킷 본체부의 각도를 가변하기 위해 상기 제2 착탈핀을 제3 착탈핀으로 교체하고자 상기 작동붐의 기능으로 상기 버킷 본체부를 회동시켰을 때, 상기 제2 착탈핀이 상기 제2 홀더에서 이탈되고, 상기 제3 착탈핀은 상기 제2 홀더에 장착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는 포크레인용 버킷.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detachable pin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second detachable pin, and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cond detachable pin and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hird detachable pin are located on a vertical line,
In a state where the first detachable pin and the second detachable pin are mounted on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respectively, the second detachable pin is replaced with the third detachable pin to change the angle of the bucket body. When the bucket body is rotated by the operation boom, the second detachable pin is detached from the second holder, and the third detachable pin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it can be mounted on the second hold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탈핀은 어느 하나의 결합 플랜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영역에는 홀딩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플랜지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돌출영역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홀딩용 홀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돌출영역을 상기 스토퍼 상에 고정시키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포크레인용 버킷.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detachable pin includes a protruding area protruding through any one coupling flange,
A holding hole is formed in the protruding area,
a stopper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flange and supporting a portion of the protruding area in a form of surrounding; and
A bucket for an excavator further comprising a separation prevention unit installed through the holding hole to fix the protruding area on the stopper.
KR2020230000740U 2023-04-14 2023-04-14 Bucket for excavator KR20049709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740U KR200497092Y1 (en) 2023-04-14 2023-04-14 Bucket for exca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740U KR200497092Y1 (en) 2023-04-14 2023-04-14 Bucket for exca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092Y1 true KR200497092Y1 (en) 2023-07-26

Family

ID=8742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740U KR200497092Y1 (en) 2023-04-14 2023-04-14 Bucket for exca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092Y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502U (en) * 1977-06-23 1979-01-22
KR20130041681A (en) * 2011-10-17 2013-04-25 주식회사수산중공업 An apparatus for linking pin distance control of excavator breaker
KR101310392B1 (en) * 2012-08-13 2013-09-17 권대륙 Ripper for excavator
KR101802968B1 (en) 2015-08-13 2017-11-30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Simulation method for calculating maximum tool forces of excavator bucket and arm
US20180080191A1 (en) * 2016-09-16 2018-03-22 Cnh Industrial America Llc Universal backhoe coupler
KR101949101B1 (en) * 2018-10-02 2019-02-18 김수철 An excavator having removable forefing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502U (en) * 1977-06-23 1979-01-22
KR20130041681A (en) * 2011-10-17 2013-04-25 주식회사수산중공업 An apparatus for linking pin distance control of excavator breaker
KR101310392B1 (en) * 2012-08-13 2013-09-17 권대륙 Ripper for excavator
KR101802968B1 (en) 2015-08-13 2017-11-30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Simulation method for calculating maximum tool forces of excavator bucket and arm
US20180080191A1 (en) * 2016-09-16 2018-03-22 Cnh Industrial America Llc Universal backhoe coupler
KR101949101B1 (en) * 2018-10-02 2019-02-18 김수철 An excavator having removable forefin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3084B2 (en) Boom clamp
CN101321919A (en) Compact excavator implement interface
CN102016183A (en) Bucket debris guard for the earth working implement of a work machine
EP2990539A1 (en) Bucket, and work vehicle provided with same
JPH1046620A (en) Power shovel
KR200497092Y1 (en) Bucket for excavator
US3148465A (en) Tractor loaded with two-piece bucket
EP2987917B1 (en) Bucket, and work vehicle provided with same
US3909962A (en) Back-acting shovel having cooperating turret mounted blade
JP2002021812A (en) Three-face protecting structure of almost u-shaped section of hydraulic cylinder
US6729051B1 (en) Front end loader retractable attachment
JP2015014094A (en) Bucket
KR102576444B1 (en) Improved excavator
KR100606506B1 (en) Construction Equipment with excavation and loading function
US4117610A (en) Combination bulldozer blade and bucket assembly for earth working equipment
US3789524A (en) Pipe cradler attachment for excavator bucket
JP4214125B2 (en) Stabilizer
KR101515302B1 (en) Bucket for excavator using bucket control appratus
JP2582589Y2 (en) Drilling plate structure of excavator
CA1084004A (en) Material handling means for use in earthworking machines
KR102231846B1 (en) Forkrain Improvement Bucket
JP5938908B2 (en) Construction machinery with earth removal equipment
JP3585627B2 (en) Earth removal equipment
JP2845415B2 (en) Swiveling excavator
KR100559232B1 (en) Multifunctional Construc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