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009Y1 - 탈모기 - Google Patents

탈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009Y1
KR200497009Y1 KR2020217000015U KR20217000015U KR200497009Y1 KR 200497009 Y1 KR200497009 Y1 KR 200497009Y1 KR 2020217000015 U KR2020217000015 U KR 2020217000015U KR 20217000015 U KR20217000015 U KR 20217000015U KR 200497009 Y1 KR200497009 Y1 KR 200497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ld
cold attachment
heat
heat co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70000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953U (ko
Inventor
위핑 판
시앙 리
Original Assignee
셴젠 유라이크 스마트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1134930.8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155726A/zh
Application filed by 셴젠 유라이크 스마트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셴젠 유라이크 스마트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20/124733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082837A1/zh
Publication of KR202200009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9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0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applying laser energy to the out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45D26/0009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by singe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61N5/0617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5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5Temperature
    • A45D2200/155Heating or cooling means, i.e. for storing or applying cosmetic product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61B2018/00017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with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61B2018/00023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closed, i.e. without wound contact by the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61B2018/00029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op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76Hair foll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904Automatic detection of target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2018/180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ight other than laser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61B2018/20553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with special lens or reflector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2018/225Features of hand-pieces
    • A61B2018/2253Features of hand-piece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functions, e.g. surface cooling or detecting pathologic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2005/002Cooling systems
    • A61N2005/005Cooling systems for cooling the radi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4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 A61N2005/0665Refl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탈모기를 공개한다. 당해 탈모기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결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에는 냉간부착부와 상기 냉간부착부를 둘러싸며 배치된 광조사부가 설치되고, 상기 광조사부는 사용자의 피부를 케어하는 광선을 출사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파지부에는 탈모장치, 열전도부, 및 냉각구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탈모장치는 상기 냉간부착부를 마주하고 있으며, 상기 냉간부착부에 광선을 발사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열전도부는 상기 냉간부착부에 접촉하여 상기 냉간부착부의 열을 흡수하며, 상기 냉각구동부는 상기 냉간부착부에서 떨어진 측의 상기 탈모장치에 고정되고, 외부냉각매체가 상기 냉간부착부에서 떨어진 상기 열전도부를 흐르도록 구동하여 외부냉각매체에 의해 상기 열전도부의 열을 빼앗아 가게 한다. 상기 냉간부착부는 광선을 출사하여 사용자 피부의 모낭을 조사하며, 피부를 투과하여 모낭에 조사되는 광선을 이용하여 탈모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탈모기는 탈모기능과 스킨 케어 기능을 모두 갖추게 된다.

Description

탈모기
본 출원은 전자기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모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탈모기는 사용자 피부의 모낭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탈모를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탈모기는 탈모기능만 실현할 뿐 사용자의 피부를 케어할 수 없어 현재 탈모기의 사용기능은 단일하다.
본 출원은 다기능이고 체험성이 뛰어난 탈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탈모기를 제공하며, 상기 탈모기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결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에는 냉간부착부와 상기 냉간부착부를 둘러싸며 배치된 광조사부가 설치되며, 상기 광조사부는 사용자의 피부를 케어하는 광선을 출사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파지부에는 탈모장치, 열전도부, 및 냉각구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탈모장치는 상기 냉간부착부를 마주하고 있고, 상기 냉간부착부에 광선을 발사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열전도부는 상기 냉간부착부에 접촉하여 상기 냉간부착부의 열을 흡수하고, 상기 냉각구동부는 상기 냉간부착부에서 떨어진 측의 상기 탈모장치에 고정되며, 외부냉각매체가 상기 냉간부착부에서 떨어진 상기 열전도부를 흐르도록 구동하여 외부냉각매체에 의해 상기 열전도부의 열을 빼앗아 가게 한다.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탈모기는 상기 헤드부에 냉간부착부와 상기 냉간부착부를 둘러싸며 배치된 광조사부를 설치하고, 상기 광조사부가 사용자의 피부를 케어하기 위해 광선을 출사하며, 상기 탈모장치가 상기 냉간부착부와 마주하고 있고, 광선이 상기 냉간부착부에 달하도록 발사함으로써 상기 냉간부착부는 광선을 출사하여 사용자 피부의 모낭을 조사하며, 피부를 투과하여 모낭에 조사되는 광선을 이용하여 탈모를 수행할 수 있고, 탈모기는 탈모기능과 스킨 케어 기능을 모두 갖추게 된다.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에서 채용할 필요가 있는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하지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이며, 당업자라면 창조적인 작업을 하지 않아도 이러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분명하다.
도1은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탈모기의 분해모식도이고,
도2는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탈모기의 조립모식도이고,
도3은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탈모기의 다른 분해모식도이고,
도4는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탈모기의 부분모식도이고,
도5는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탈모기의 부분분해모식도이고,
도6은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탈모기의 다른 분해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본 출원 실시예의 도면과 관련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지만,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고 모든 실시예가 아닌 것은 분명하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라 당업자가 창조적인 작업 없이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해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두께" 등의 용어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 또는 위치관계는 도면에 따라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관계이며, 단지 본 출원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이며 참조된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고 작동되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하거나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제한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은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10)에 연결되는 파지부(20)를 포함하는 탈모기(100)를 제공한다. 상기 헤드부(10)에는 냉간부착부(11)와 상기 냉간부착부(11)를 둘러싸며 배치된 광조사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광조사부(12)는 사용자의 피부를 케어하는 광선을 출사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파지부(20)에는 탈모장치(30), 열전도부(40), 및 냉각구동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탈모장치(30)는 상기 냉간부착부(11)를 마주하고 있으며, 상기 냉간부착부(11)에 광선을 발사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열전도부(40)는 상기 냉간부착부(11)에 접촉하여 상기 냉간부착부(11)의 열을 흡수한다. 상기 냉각구동부(50)는 상기 냉간부착부(11)에서 떨어진 측의 상기 탈모장치(30)에 고정되고, 외부냉각매체가 상기 냉간부착부(11)에서 떨어진 상기 열전도부(40)를 흐르도록 구동하여 외부냉각매체에 의해 상기 열전도부(40)의 열을 빼앗아 가게 한다.
상기 헤드부(10)에 냉간부착부(11)와 상기 냉간부착부(11)를 둘러싸며 배치된 광조사부(12)를 설치하고, 상기 광조사부(12)가 사용자 피부를 케어하기 위해 광선을 출사하며, 상기 탈모장치(30)가 상기 냉간부착부(11)와 마주하고 있어, 광선이 상기 냉간부착부(11)에 달하도록 발사함으로써 상기 냉간부착부(11)는 광선을 출사하여 사용자 피부의 모낭을 조사하고, 피부를 투과하여 모낭에 조사되는 광선을 이용하여 탈모를 수행할 수 있고, 탈모기(100)는 탈모기능과 스킨 케어 기능을 모두 갖추게 된다.
상술한 탈모기(100)는 광선이 출사되는 냉간부착부(11)를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시킴으로써 피부를 투과하여 모낭에 조사되는 광선을 이용하여 탈모를 수행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냉간부착부(11)는 급속하게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광선에 의한 작열감을 줄이고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광조사부(12)는 사용자의 피부에 광선을 출사하고, 상기 광선은 사용자의 피부를 케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탈모기(100)의 다기능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는 상기 파지부(20)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파지부(20)는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2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기둥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냉간부착부(11)는 상기 헤드부(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헤드부(10)를 노출시키는 냉간부착면(11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광조사부(12)는 상기 헤드부(10) 내에 완전히 배치되고, 상기 냉간부착면(111)의 주위에서 광선을 출사하며, 당해 광선은 적색광, 녹색광, 또는 황색광 등 가시광일 수 있다. 상기 탈모장치(30)는 상기 파지부(20)의 상기 헤드부(1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탈모장치(30)는 상기 냉간부착부(11)의 상기 냉간부착면(111)에서 떨어진 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탈모장치(30)는 상기 냉간부착부(11)를 향해 광선을 발사하며, 당해 광선은 상기 냉간부착부(11)를 투과하여 사용자 피부의 모낭에 조사되고, 탈모를 실현한다. 상기 열전도부(40)는 일부가 상기 냉간부착부(11)에 접촉하여 상기 냉간부착부(11)의 열을 흡수하며, 다른 부분이 상기 냉간부착부(11)에서 멀리 떨어져 열을 전도하여 가고, 냉간부착부(11)에 대한 열전도를 실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구동부(50)는 외부냉각매체가 상기 탈모기(100) 내에 유입하도록 구동하여 외부냉각매체가 탈모장치(30) 및 열전도부(40)의 열을 용이하게 빼앗도록 한다. 상기 냉각구동부(50)는 동력장치를 통해 외부냉각매체가 유동하도록 구동시키며, 외부냉각매체가 상기 탈모기(100) 내의 열을 효과적으로 빼앗을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구동부(50)는 팬(fan)이다. 상기 외부냉각매체는 공기이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구동부(50)는 원심 팬, 축류형(軸流型)팬, 혼합류형(混合流型)팬, 및 옆류형(橫流型)팬이다. 상기 냉각구동부(50)는 외부 공기를 팬의 임펠러 축방향으로 유입시킨 후 주로 반경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원심 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조사부(12)에는 상기 냉간부착부(11)를 둘러싸는 광원기판(121)과 상기 광원기판(121) 위에 배치된 복수의 램프 비즈(122)가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램프 비즈(122)는 상기 냉간부착부(11) 주위에 원주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기판(121)에는 관통구멍(12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냉간부착부(11)는 상기 관통구멍(123)을 통과하여 상기 광원기판(121)이 상기 냉간부착부(11) 주변측을 둘러싸는 것을 실현한다. 상기 광원기판(121)의 상기 램프 비즈(122)를 장착하는 면은 상기 냉간부착면(111)과 평행된다. 상기 램프 비즈(122)는 상기 광원기판(121)의 상기 냉간부착면(111)에 근접한 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광원기판(121)은 복수의 상기 램프 비즈(122)가 발광하도록 구동한다. 상기 램프 비즈(122)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이고, 상기 램프 비즈(122)는 방출한 빛 에너지를 세포 내 에너지로 변환하여 세포성장과정의 주기를 가속화하며, 섬유세포를 자극하여 콜라겐을 생성할 수 있고, 피부에 손상이나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는다. 복수의 상기 램프 비즈(122)가 상기 냉간부착부(11) 주위에 원주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10)가 상기 냉간부착부(11)의 주변측에서 균일하게 광을 출사하도록 하여 사용자 피부에 대한 케어효과을 향상시킨다. 복수의 램프 비즈(122)는 모두 같은 색의 광선을 발사하여도 좋고, 여러 가지 색의 광선을 발사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램프 비즈(122)에 의해 방출되는 광선은 상기 헤드부(10)를 통해 사용자 피부에 작용하며, 사용자 피부를 케어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탈모기(100)에 복수의 램프 비즈(122)를 배치함으로써, 탈모기(100)가 탈모기능과 동시에 피부미용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램프 비즈(122)는 탈모장치(30)가 탈모할 때 피부에 주는 손상을 회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탈모기(100)는 상기 램프 비즈(122)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사하도록 조정하는 스위치를 배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상기 램프 비즈(122)가 발사하는 빛은 적색광, 청색광, 황색광 등 복수의 색상의 빛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일 수도 있다. 상기 광조사부(12)의 복수의 램프 비즈(122)는 적어도 하나의 적색광을 발사하는 적색 램프, 적어도 하나의 청색광을 발사하는 청색 램프, 적어도 하나의 황색광을 발사하는 황색 램프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사하는 상기 램프 비즈(122)가 순차적으로 Z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 비즈(122)는 적색광을 발사할 수 있으며, 적색광은 헤드부(10)를 통해 출사되고, 사용자 피부에 조사된다. 상기 램프 비즈(122)가 발사한 적색광은 피부 세포의 활성을 높여 피부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적색광은 미세한 주름을 개선할 수 있고, 피부 처짐 방지 또는 주름 제거 기능도 있다. 구체적으로, 적색광의 파장은 620nm - 660nm이다. 상기 적색광의 파장은 구체적으로 630nm, 632nm, 635nm, 637nm, 640nm, 643nm, 647nm, 또는 650nm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색광의 파장은 630nm이다. 이 파장범위 내의 적색광파는 피부 혈액의 흐름을 자극하며, 콜라겐의 성장을 촉진하여 세포의 활성을 자극하고 갱신 성장을 촉진할 수 있으며, 피부의 미백과 회춘, 피부의 손상을 회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 비즈(122)는 청색광을 발사할 수 있으며, 청색광은 헤드부(10)를 통해 출사되고, 사용자 피부에 조사된다. 램프 비즈(122)가 발사한 청색광은 피부 위의 세균을 사멸시켜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색광은 피지의 항염증과 여드름 제거를 개선할 수 있으며, 모공 수축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청색광의 파장은 450nm - 490nm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청색광의 파장은 특히 450nm, 460nm, 467nm, 480nm, 485nm, 또는 490nm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청색광의 파장은 470nm이다. 그 중에서도, 이 파장범위 내의 청색광파는 진정효과와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 비즈(122)는 황색광을 발사할 수 있으며, 황색광은 헤드부(10)를 통해 출사되고, 사용자 피부에 조사된다. 상기 램프 비즈(122)가 발사하는 황색광은 피부의 칙칙함을 개선할 수 있고, 기미 제거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황색광의 파장은 567nm - 607nm이며, 상기 황색광의 파장은 구체적으로 577nm, 580nm, 581nm, 585nm, 588nm, 590nm, 595nm, 또는 597nm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황색광의 파장은 590nm이다. 이 파장범위 내의 황색광파는 세포 영양의 교환 비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인체 부위의 피부에 에너지를 봉충하고 거친 피부를 개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설계에 따른 탈모기(100)에서 냉간부착부(11)가 피부에 접촉하여 탈모를 실현함과 동시에 램프 비즈(122)가 스킨 케어 미용의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램프 비즈(122)와 냉간부착부(11)의 일체형 설계는 스킨 케어와 탈모를 결합할 수 있고, 다기능화하여 사용자의 사용체험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헤드부(10)는 라이트 커버 플레이트(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라이트 커버 플레이트(13)는 복수의 상기 램프 비즈(122)를 덮고, 상기 냉간부착부(11)와 끼워 맞춤하는 장착 구멍(13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간부착부(11)의 상기 탈모장치(30)에서 멀리 떨어진 표면은 상기 라이트 커버 플레이트(13)의 상기 램프 비즈(122)에서 멀리 떨어진 표면과 같은 높이에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커버 플레이트(13)에는 엔드 플레이트(132)와, 상기 엔드 플레이트(132)의 주변에서 연장되어 나오는 연결 플레이트(13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132)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133)의 내측에는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램프 비즈(122) 및 상기 광원기판(121)은 상기 라이트 커버 플레이트(13)가 상기 램프 비즈(122) 및 상기 광원기판(121)을 보호하도록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수용된다. 상기 램프 비즈(122)가 발사한 광선은 상기 엔드 플레이트(132)를 투과하여 사용자 피부에 출사된다. 상기 라이트 커버 플레이트(13)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132)의 상기 램프 비즈(122)에서 떨어진 명은 상기 냉간부착면(111)와 같은 높이에 있으므로 상기 헤드부(10)가 사용자 피부에 밀착하는 면이 매끄럽게 되고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133)는 상기 램프 비즈(122) 및 상기 광원기판(121)에서 용이하게 분해하고 보안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파지부(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파지부(20)에는 일단이 상기 라이트 커버 플레이트(13)에 마주하여 결합되는 하우징(21)이 설치되고, 상기 냉간부착부(11), 탈모장치(30), 냉각구동부(50), 및 열전도부(40)는 모두 상기 하우징(21) 내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은 상부 하우징(22) 및 하부 하우징(23)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22) 및 상기 하부 하우징(23)은 나사 결합 또는 걸림 결합에 의해 조립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가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하우징(22)과 상기 하부 하우징(23)은 상기 상부 하우징(22) 및 하부 하우징(23)에서 용이하게 착탈 및 보안과 유지하기 위해 걸림 부재의 계합(係合)에 의한 계합수단을 통해 조립된다. 상기 하우징(21)에는 수납공간(211)이 설치되고, 상기 탈모장치(30), 냉각구동부(50), 및 열전도부(40)는 모두 상기 수납공간(211) 내에 고정된다. 상기 냉각구동부(50)는 외부냉각매체가 상기 하우징(21) 내에 유입하도록 구동하며, 상기 탈모장치(30) 및 열전도부(40)가 모두 외부냉각매체와 접촉하여 최종적으로 외부냉각매체에 의해 탈모장치(30) 및 열전도부(40)의 열을 빼앗고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은 상기 상부 하우징(22)과 상기 하부 하우징(23) 사이에 헤드 포트(212)를 설치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133)는 상기 헤드 포트(212) 내에 삽입된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133)는 상기 상부 하우징(22) 및 상기 하부 하우징(23)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133)의 외면은 상기 상부 하우징(22)의 외면 및 상기 하부 하우징(23)의 외면과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1)은 상기 헤드 포트(212)에 대향하는 테일 커버 플레이트(213)를 더 포함한다(도3 참조). 상기 테일 커버 플레이트(213)는 상기 상부 하우징(22)과 상기 하부 하우징(23) 사이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헤드부(10)에서 멀리 떨어지게 배치된다. 상기 테일 커버 플레이트(213)는 상기 탈모기(100)가 용이하게 전력 또는 제어신호를 취득하게 하기 위해 케이블을 상기 수납공간(211) 내에 통과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도3,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1)에는 제1 안내구(24) 및 제2 안내구(25)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안내구(24)는 상기 냉각구동부(50)에 인접하며, 상기 제2 안내구(25)는 상기 탈모장치(30)에 인접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안내구(24)와 상기 제2 안내구(25) 사이에 냉각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구동부(50)는 상기 냉각통로 내의 외부냉각매체가 유동하도록 구동하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구(24)는 상기 상부 하우징(22)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안내구(24)는 상기 하우징(21) 내의 수납공간(211)과 연통한다. 상기 제2 안내구(25)는 상기 상부 하우징(22)과 상기 하부 하우징(23)의 접합부에 배치된다. 상기 냉각구동부(50)는 상기 제1 안내구(24)와 상기 제2 안내구(25)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냉각구동부(50)에는 상기 제1 안내구(24)와 마주하는 제1 구동구(51)와, 상기 탈모장치(30) 및 냉간부착부(11)에 향한 제2 구동구(5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구동구(51)는 제1 안내구(24)에서 외부냉각매체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구동구(52)는 탈모장치(30) 및 냉간부착부(11)에 냉각매체를 불어 넣거나 빨아 내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탈모장치(30) 및 냉간부착부(11) 주위의 냉각매체를 유동시켜 냉각매체를 통해 탈모장치(30) 및 냉간부착부(11)의 열을 흡수한 후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구동부(50)는 케이스(53)및 상기 케이스(53) 내에 고정된 날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구(51) 및 제2 구동구(52)는 상기 케이스(53)에 개설된다. 상기 케이스(53)는 하우징(21) 내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53)는 탈모장치(30)의 상기 냉간부착부(11)에서 멀리 떨어진 측에 고정된다. 상기 제1 구동구(51)는 상기 케이스(53)의 상기 상부 하우징(22)에 인접하는 상부에 개설된다. 상기 제2 구동구(52)는 상기 케이스(53)의 상기 탈모장치(30) 및 냉간부착부(11)에 향한 단부에 개설된다. 상기 제1 구동구(51)는 냉각매체입력구일 수도 있다. 즉, 상기 냉각구동부(50)는 상기 제1 구동구(51)를 통해 상기 제1 안내구(24)로부터 외부냉각매체를 빨아 들인다. 상기 제2 구동구(52)는 탈모장치(30) 및 냉간부착부(11)에 향해 외부냉각매체를 불어 넣고, 최종적으로 열을 흡수한 냉각매체를 제2 안내구(25)로부터 하우징(21) 외부로 출력시킨다. 물론 상기 제1 구동구(51)는 냉각매체출력구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구동구(51)는 제1 안내구(24)에 냉각매체를 출력하고, 제2 구동구(52)는 탈모장치(30) 및 냉간부착부(11) 주위의 냉각매체를 빨아 내며, 탈모장치(30) 및 냉간부착부(11)의 열을 빼앗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탈모기(100)는 상기 하우징(21) 내에 고정된 냉각 브래킷(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 브래킷(60)에는 제1 냉각통로(61)와, 상기 제1 냉각통로(61)와 분리되어 있는 제2 냉각통로(62)가 설치되고, 상기 탈모장치(30)는 상기 제1 냉각통로(61) 내에 고정되며, 상기 냉간부착부(11)에서 떨어진 상기 열전도부(40)의 부분은 상기 제2 냉각통로(62) 내에 고정되고, 상기 냉각구동부(50)의 단부는 상기 제1 안내구(24)에 마주하여 결합되며, 상기 냉각구동부(50)의 주변측은 상기 제1 냉각통로(61) 및 상기 제2 냉각통로(62)에 마주하여 결합되고, 상기 냉각구동부(50)에서 떨어진 상기 제1 냉각통로(61) 및 상기 제2 냉각통로(62)의 단부는 상기 제2 안내구(25)에 마주하여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브래킷(60)은 상기 냉각구동부(5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구동구(52)에 마주하여 결합되는 제1 냉각통로(61) 및 제2 냉각통로(62)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냉각통로(61)는 상기 제2 냉각통로(62)와 분리되어 있다. 탈모장치(30)는 상기 제1 냉각통로(61) 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냉각통로(61) 내의 냉각매체를 통해 열을 빼앗는다. 냉간부착부(11)는 상기 냉각 브래킷(60)에 고정되고 상기 탈모장치(30)와 대향하며, 상기 탈모장치(30)에서 발사하는 광선을 받고 광선을 출사한다. 열전도부(40)는 상기 냉각 브래킷(60)에 고정되고, 일부가 상기 냉간부착부(11)에 접촉하며, 다른 부분이 상기 제2 냉각통로(62) 내에 배치되어 상기 냉간부착부(11)의 열을 흡수한 후 상기 제2 냉각통로(62) 내로 안내하여 상기 제2 냉각통로(62) 내의 냉각매체를 통해 열을 빼앗는다.
상기 냉각 브래킷(60)에 제1 냉각통로(61) 및 제2 냉각통로(62)를 설치하고, 제1 냉각통로(61) 및 제2 냉각통로(62)가 모두 냉각구동부(50)의 제2 구동구(52)에 마주하여 결합되며, 탈모장치(30)를 통해 제1 냉각통로(61) 내에 고정되고, 열전도부(40)의 일부가 냉간부착부(11)에 접촉하며, 다른 부분이 제2 냉각통로(62) 내에 배치됨으로써, 열전도부(40)의 방열과 탈모장치(30)의 방열을 별도로 할 수 있고, 탈모기(100) 내 전체의 온도저하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구동부(50)는 외부냉각매체가 상기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 내에 유입하도록 구동하여 제1 냉각통로(61) 및 제2 냉각통로(62) 내에 외부냉각매체를 유입시키며, 외부냉각매체가 동시에 탈모장치(30) 및 열전도부(40)의 열을 용이하게 빼앗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구동구(52)의 외측은 상기 냉각 브래킷(60)에 계합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2 구동구(52)와 상기 제1 냉각통로(61) 및 제2 냉각통로(62)의 밀봉 및 마주 결합을 실현하고, 상기 제1 냉각통로(61) 및 제2 냉각통로(62) 내에 대한 외부냉각매체의 침입 저항을 감소시킨다.
상기 냉각구동부(50)는 동력장치를 통해 외부냉각매체가 유동하도록 구동시키고, 외부냉각매체가 상기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 내의 열을 효과적으로 빼앗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구동구(52)를 이용하여 제1 냉각통로(61) 및 제2 냉각통로(62)가 마주 결합하여 상기 냉각구동부(50)가 1개의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냉각매체를 구동하고, 2개의 냉각통로로부터 탈모장치(30) 및 열전도부(40)를 각각 용이하게 냉각하며, 상기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 내부구조를 최적화하여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 내부 방열효율을 높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 브래킷(60)에는 브라켓 헤드부(69)가 설치되고, 상기 냉간부착부(11)는 상기 브라켓 헤드부(69)에 고정되며, 상기 냉간부착부(11)를 사용자의 피부에 용이하게 접촉시킨다. 상기 광조사부(12)는 상기 브라켓 헤드부(69)에 당접하며, 상기 광원기판(121)의 상기 램프 비즈(122)에서 떨어진 면은 상기 브라켓 헤드부(69)의 단면에 당접한다. 따라서, 상기 광조사부(12)가 상기 냉각 브래킷(60)에 견고하게 연결되며, 동시에 상기 라이트 커버 플레이트(13)가 상기 브라켓 헤드부(69)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상기 광조사부(12)를 효과적으로 덮는다. 상기 냉각 브래킷(60)은 상기 브라켓 헤드부(69)의 대향부 또는 인접하는 측면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2 구동구(52)에 마주하여 결합된다. 상기 제1 냉각통로(61) 및 상기 제2 냉각통로(62)는 상기 제2 구동구(52)에 나란히 마주하여 결합되며, 제1 냉각통로(61) 및 상기 제2 냉각통로(62)는 칸막이로 분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탈모장치(30)는 상기 냉간부착부(11)를 향해 광선을 출사한다. 상기 탈모장치(30)의 열은 상기 제1 냉각통로(61)의 외부냉각매체에 의해 빼앗기며, 상기 제1 냉각통로(61)의 외부냉각매체는 상기 냉각구동부(50)에서 외부 온도가 저하된 냉각매체를 직접 흡입하여 얻으며, 상기 탈모장치(30)의 온도에 대한 효과적 저하를 실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간부착부(11)의 일부는 상기 브라켓 헤드부(69)에서 노출되어 상기 냉간부착부(11)가 사용자 피부에 용이하게 접촉하도록 한다. 상기 냉간부착부(11)는 사용자 피부에 접촉하며 광선을 출사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냉간부착부(11)는 냉간부착면(111)을 가지며, 상기 냉간부착면(111)은 상기 브라켓 헤드부(69)의 외부단면과 평행이다. 상기 냉간부착부(11)는 상기 브라켓 헤드부(69)에서 노출하며, 냉간부착부(11)의 주변측에 배치된 열전도면(11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열전도면(112)은 상기 냉간부착부(11)의 열이 상기 열전도면(112)에서 상기 열전도부(40)로 전달되도록 상기 열전도부(40)의 일부에 밀착하며, 상기 냉간부착부(11)의 냉각효과를 달성하고 냉각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간부착면(111)은 평탄면이고, 상기 열전도면(112)도 평탄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간부착면(111)은 상기 냉간부착부(11)의 단면이다. 상기 열전도면(112)은 상기 냉간부착부(11)의 측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부(40)의 일부는 상기 브라켓 헤드부(69)에 고정되고 상기 냉간부착부(11)의 열전도면(112)과 접촉하며, 다른 부분은 상기 냉각 브래킷(60)의 상기 브라켓 헤드부(69)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로부터 상기 제2 냉각통로(62) 내에 연장하며, 상기 제2 냉각통로(62) 내의 외부냉각매체가 상기 냉간부착부(11)의 열을 빼앗으므로써, 상기 냉간부착부(11)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목적을 달성하며, 냉간부착부(11)의 출사광선이 사용자 피부에 대한 작열감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열전도부(40)에는 상기 냉간부착부(11)에 밀착된 열전도판(41)과, 상기 열전도판(41)에 밀착된 제1 방열판 어셈블리(42) 및 제2 방열판 어셈블리(43)가 설치되고, 상기 열전도판(41)은 냉각 브래킷(60)에 고정되며, 상기 열전도판(41)의 상기 냉간부착부(11)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은 상기 제2 냉각통로(62)를 덮어 씌우며, 상기 제1 방열판 어셈블리(42)는 상기 제2 냉각통로(62)에 수용되고, 상기 열전도판(41)의 상기 제2 냉각통로(62)를 덮어 씌우는 부분과 접촉한다. 상기 제2 방열판 어셈블리(43)는 상기 열전도판(41)의 상기 제1 방열판 어셈블리(42)에서 떨어진 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방열판 어셈블리(43)는 상기 제1 안내구(24)에 인접하여 상기 열전도부(40)가 외부냉각매체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열전도부(40)와 외부냉각매체의 열교환 비율을 증대시키고, 냉간부착부(11)에 대한 열전도부(40)의 냉각속도를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41)은 평탄판부재이다. 상기 열전도판(41)은 2개의 판부재를 적층하여 밀봉하고, 2개의 판부재 사이에 열전도망을 배치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상기 열전도판(41)의 2개의 판부재 사이에는 열전도매체가 더 배치되며, 열전도망이 열전도매체에 충분히 접촉함으로써, 열전도매체가 2개의 판부재 및 열전도망과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커지고, 열전도매체는 상기 열전도판(41)이 상기 냉간부착부(11)에서 흡수한 열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으며, 열을 상기 제1 방열판 어셈블리(42)에 신속히 전달시켜 제1 방열판 어셈블리(42)를 통해 열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열전도판(41)은 짧은 열전도판(41)이다. 즉, 상기 열전도판(41)의 상기 냉간부착부(11)에 접촉하는 부위부터 상기 제1 방열판 어셈블리(42)에 접촉하는 부위까지의 거리가 비교적 짧아 열전도판(41)은 열을 상기 제1 방열판 어셈블리(42)를 통해 신속히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방열판 어셈블리(42)는 상기 제2 냉각통로(62) 내의 냉각매체를 통해 열을 신속히 빼앗을 수 있으며, 상기 냉간부착부(11)에 대한 신속한 온도저하를 실현하고, 상기 탈모기(100)의 냉각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전도판(41)의 2개의 판부재는 모두 동판이다. 열전도망은 모세관 구조를 갖는 구리망이다. 따라서 열전도매체와 2개의 판부재의 접촉면적을 증가하고 더 평균화되어 열전도판(41)의 열전도효율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전도판(41)의 2개의 판부재 사이에 진공 밀폐 캐비티를 배치하고, 열전도매체 및 상기 열전도망은 밀폐 캐비티 내에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전도판(41)의 열전도매체는 냉각액이며, 수질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전도판(41)의 2개 판부재의 가장자리는 밀봉하여 압착되며, 열전도판(41)의 구조를 안정화하고, 상기 열전도판(41)의 내부에 대한 열의 친입을 회피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판 어셈블리(42)는 상기 열전도판(41)에 밀착하는 복수의 병렬하여 설치된 방열판(421)을 포함한다. 방열판(421)이 열전도판(41)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방열판(421) 어셈블리(42)와 열전도판(41)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상기 열전도판(41)에 의해 상기 제2 냉각통로(62)를 밀봉할 수 있으며, 제2 냉각통로(62) 내의 외부냉각매체의 누출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판(421)은 상기 열전도판(41)의 열을 신속히 흡수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방열판(421) 사이에는 냉각매체의 유동공간이 존재하며, 복수의 방열판(421) 사이의 냉각매체의 유동방향은 제2 냉각통로(62) 내의 냉각매체가 복수의 상기 방열판(421) 사이의 유동공간을 신속히 유통하도록 상기 제2 냉각통로(62)의 연장방향과 일치하며, 제2 냉각통로(62) 내의 냉각매체에 의해 상기 방열판(421)의 열을 신속히 흡수하고 열을 빼앗을 수 있고, 상기 열전도판(41)에 대한 효과적인 방열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열판 어셈블리(43)는 상기 제1 방열판 어셈블리(42)와 거의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다시 언급하지 ?榜쨈?.
또한, 상기 냉각 브래킷(60)에는 하부 쉘(63) 및 상기 하부 쉘(63)과 덮여 계합되는 상부 쉘(64)이 설치되고, 상기 열전도판(41)은 상기 상부 쉘(64)의 상기 하부 쉘(63)에서 떨어진 측에 고정되며, 상기 냉간부착부(11)는 일부가 상기 하부 쉘(63)과 상기 상부 쉘(64) 사이에 고정되고, 다른 부분이 상기 상부 쉘(64)을 통과하여 상기 열전도판(41)에 접촉하고, 상기 제1 냉각통로(61)는 상기 하부 쉘(63)과 상기 상부 쉘(64)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냉각통로(62)는 상기 하부 쉘(63)과 상기 열전도판(41) 사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쉘(64)에는 상기 제2 냉각통로(62)와 연통하는 노치(641)가 설치되고, 상기 열전도판(41)은 상기 노치(641)를 덮어 씌우며, 상기 노치(641)에 대한 상기 열전도부(40)의 밀봉을 달성할 수 있고, 상기 열전도부(40)의 일부를 상기 제2 냉각통로(62) 내에 용이하게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방열판(421)은 상기 제2 냉각통로(62) 내에 완전히 수용된다. 상기 상부 쉘(64)과 상기 하부 쉘(63) 사이에는 상기 제1 냉각통로(61)와 연통하는 수용 홈(622)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간부착부(11)는 상기 탈모장치(30)의 광선이 용이하게 상기 냉간부착부(11)를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홈(622)에 고정된다. 상기 열전도면(112)(도6 참조)은 상기 상부 쉘(64)에서 상기 수용 홈(622)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기 냉간부착면(111)은 상기 냉간부착면(111)이 사용자 피부에 용이하게 접촉하도록 상기 브라켓 헤드부(69)의 단면에서 상기 수용 홈(622)으로 돌출된다. 상기 상부 쉘(64)은 상기 열전도판(41)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열전도판(41)의 크기는 상기 상부 쉘(64)의 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탈모기(100) 내의 구조가 보다 컴팩트화되고, 휴대하기 쉽도록 상기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 체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 브래킷(60)에는 상기 제1 냉각통로(61) 및 상기 제2 냉각통로(62)에 연통하고 상기 제2 구동구(52)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제1 전달구(66)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달구(66)는 상기 상부 쉘(64)과 상기 하부 쉘(6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전달구(66)는 상기 냉각 브래킷(60)과 상기 냉간부착부(11)의 인접하는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구(51)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달구(66)는 절반이 상기 상부 쉘(64)에 설치되고, 나머지 절반이 상기 하부 쉘(63)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각 브래킷(60)은 상기 냉간부착부(11)에 대향하는 측벽에 상기 제1 전달구(66)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구동구(52)는 상기 냉각 브래킷(60)의 다른 측벽에 마주하여 결합된다. 상기 냉각 브래킷(60)은 상기 냉간부착부(11)에 인접하는 다른 측벽에 제2 전달구(6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53)의 상기 제2 구동구(52)는 상기 제2 전달구(65)에 마주하여 결합된다. 상기 제1 냉각통로(61) 및 상기 제2 냉각통로(62)는 상기 제2 전달구(65)와 상기 제1 전달구(66)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냉각구동부(50)는 상기 제2 구동구(52)가 상기 제2 전달구(65)에 냉각매체를 불어 넣고, 상기 제1 전달구(66)로부터 냉각매체를 배출하도록 상기 냉각 브래킷(60)의 일방측에 배치된다. 상기 냉각 브래킷(60) 내의 냉각매체는 상기 냉각 브래킷(60)의 일방측으로부터 불어 넣고, 상기 냉각 브래킷(60)의 타방측에서 불려 나오기 때문에 상기 제1 냉각통로(61) 및 상기 제2 냉각통로(62) 내 냉각매체의 유동속도가 향상되고 그에 따라 방열효율이 증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구동부(50), 냉각 브래킷(60), 및 열전도부(40)는 모두 상기 수납공간(211) 내에 고정된다. 상기 제2 안내구(25)를 상기 제1 전달구(66)에 마주 결합하여 상기 냉각 브래킷(60) 내에 들어가는 냉각매체를 상기 제2 안내구(25)로부터 신속히 배출할 수 있으며, 열을 흡수한 냉각매체가 다시 상기 냉각 브래킷(60) 내에 역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안내구(25)와 상기 제1 전달구(66)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존재하여도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안내구(25)로부터 배출된 냉각매체의 일부는 상기 제1 전달구(66)를 통해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배출할 수도 있고, 일부는 상기 하우징(21) 내에 들어갈 수도 있기 때문에 냉각매체가 하우징(21) 내의 다른 부품에 대해 온도를 저하시키도록 계속 냉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은 상기 냉각구동부(50)를 보호하며, 상기 냉각구동부(50)는 상기 제1 안내구(24)를 통해 외부냉각매체를 직접 흡입하여 상기 냉각구동부(50)가 냉각매체를 구동하여 유동시키는 저항을 감소하며, 냉각매체의 유동속도를 향상시키고 탈모기(100) 내부의 방열속도를 향상시킨다. 물론 상기 제1 구동구(51)와 상기 제1 안내구(24)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존재하여도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안내구(24)로부터 들어온 냉각매체의 일부는 상기 냉각구동부(50)에 신속하게 흡입되고, 상기 제1 냉각통로(61) 및 상기 제2 냉각통로(62) 내에 불어 넣을 수 있으며, 다른 부분은 상기 하우징(21) 내에 들어가고, 상기 하우징(21) 내의 다른 부품을 냉각하여 온도를 저하시킬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일 커버 플레이트(213)에는 상기 하우징(21) 내의 냉각매체를 배출할 수 있는 제3 안내구(26)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21)에 들어가고 상기 냉각 브래킷(60) 외부의 냉각매체가 상기 하우징(21) 내 다른 부품의 열을 용이하게 흡수한 후 상기 제3 안내구(26)로부터 배출되며, 상기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 전체 내부에 대한 온도저하를 실현한다.
또한, 도4,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상기 탈모장치(30)는 램프 튜브(31), 램프 홀더(32), 및 반사판(33)을 포함하며, 상기 램프 홀더(32)는 상기 냉각 브래킷(60) 내에 고정되고, 상기 냉간부착부(11)에 근접하고 있으며, 상기 램프 튜브(31) 및 상기 반사판(33)은 상기 램프 홀더(32) 위에 고정되고, 상기 반사판(33)은 상기 램프 튜브(31)의 상기 냉간부착부(11)에서 멀리 떨어진 측에 위치하며, 상기 반사판(33)은 상기 램프 튜브(31)의 광선을 반사하여 상기 냉간부착부(11)에 집광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램프 튜브(31), 반사판(33), 및 상기 램프 홀더(32)는 모두 상기 제1 냉각통로(61) 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램프 튜브(31), 반사판(33), 및 램프 홀더(32)는 모두 상기 제1 냉각통로(61) 내의 상기 냉간부착부(11)에 인접한 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램프 튜브(31)에서 발사하는 광선의 경로를 감소시키고, 발사한 광선의 열이 보다 많은 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회피하며, 제1 냉각통로(61) 내의 열 집중을 감소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램프 홀더(32)는 상기 하부 쉘(63)과 상기 상부 쉘(64) 사이에 고정되어 램프 홀더(32)와 냉각 브래킷(60)의 구조를 안정화한다. 상기 램프 튜브(31), 반사판(33), 및 상기 램프 홀더(32)는 냉각매체가 상기 램프 튜브(31), 반사판(33), 및 램프 홀더(32)의 열을 흡수한 직후에 열을 상기 제1 전달구(65)로부터 배출하여 상기 램프 튜브(31), 반사판(33), 및 램프 홀더(32)의 열을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달구(65)에 인접하고 있다. 상기 반사판(33)은 상기 램프 튜브(31)의 광선을 집광/반사하여 상기 냉간부착부(11)의 출광집중도를 높인다. 상기 반사판(33)의 양단에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매체는 반사판(33)의 일방의 개구단을 통해 타방의 개구단에 흐르고, 외부냉각매체가 램프 튜브(31) 주변측에 접촉함으로써 대류를 형성하며, 램프 튜브(31)의 온도강하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반사판(33)의 2개의 개구단은 제1 전달구(66) 및 제2 전달구(65)에 각각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냉각통로(61) 내의 냉각매체를 반사판(33)의 내측에 신속히 흐르게 할 수 있으며, 램프 튜브(31)의 방열효율을 향상한다.
또한, 상기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는 제어장치(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70)는 회로기판(71), 프로세서, 및 용량(73)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회로기판(71)에 배치되고, 상기 용량(73)은 상기 회로기판(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회로기판(71)은 상기 냉간부착부(11) 및 상기 탈모장치(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탈모장치(30)와 제어장치(7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장치(70)는 탈모장치(3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며, 탈모장치(30)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외부회로를 연결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으며, 건식 용량(73)이나 에너지 저장 용량(73)과 같은 외부전원을 직접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납 또는 휴대가 용이하며, 외출시 사용할 수도 있다. 제어장치(70)는 충전을 위해 외부회로를 연결 가능하며,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의 기동/정지, 전력조정, 열보호 등을 제어 가능하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재 기존의 탈모기(100)는 본체 내부의 열이 크고, 탈모기(100) 본체 내부의 장치에 단락, 소각, 폭발 등 위험을 초래하기 쉽다. 한편, 본 출원의 열전도판(41)은 제2 냉각통로(62) 내 냉각매체에 의해 냉간부착부(11)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고, 탈모장치(30)는 제1 냉각통로(61)의 냉각매체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열하므로 냉간부착부(11)를 피부에 손상 없이 높은 쾌적성으로 사용자 피부에 효과적으로 차겁게 붙일 수 있다. 그리고, 탈모장치(30)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저하시키고 냉각매체에 의해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 내부의 다른 장치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의 본체 전체의 온도를 저하시키고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 내부가 지나치게 뜨거워 해를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의 제어장치(70)는 작동시 발열한다. 상기 냉각구동부(50)도 외부냉각매체가 상기 하우징(21) 내에 유입하여 상기 제어장치(70)와 접촉하도록 구동할 수 있으며, 외부냉각매체에 의해 상기 제어장치(70)의 열을 빼앗아 가고, 상기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 내부의 장치 및 제어장치(70)에 대한 신속한 온도강하를 실현할 수도 있으며,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의 수납공간(211) 내의 열이 지나치게 높하지는 것을 회피하고, 탈모장치(30) 및 제어장치(70) 등 각 장치의 단락, 소각, 폭발의 위험한 상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장치(70)는 하우징(21) 내부에 설치되고, 냉각 브래킷(60)의 상기 냉간부착부(11)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어장치(70)는 탈모장치(30)의 냉간부착부(11)에서 멀리 떨어진 측, 즉 탈모장치(30)의 인체 피부에서 멀리 떨어진 측에 배치되며, 이러한 설계에 의해 수납공간(211) 내에서 접촉 가능한 외부냉각매체의 접촉범위를 확대하여 하우징(21) 내부 전체를 냉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70)는 상기 하부 하우징(23) 내측에 고정된 회로기판(71)과, 상기 회로기판(71) 위에 고정된 프로세서와, 상기 하부 하우징(23) 내측에 고정된 용량(73)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기판(71)은 상기 하우징(21) 내의 상기 냉각 브래킷(60)에 근접한 부위에 고정된다. 상기 프로세서(72)는 상기 탈모장치(30) 및 광조사부(12)의 전기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탈모장치(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용량(73)은 상기 광조사부(12), 탈모장치(30), 냉각구동부(50), 회로기판(71), 프로세서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냉간부착부(11)에는 냉간부착부재(119)와 상기 냉간부착부재(119)를 냉각하는 냉각부재(118)가 설치되고, 상기 냉간부착부재(119)는 사용자 피부에 밀착하여 차겁게 붙이는 것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냉각부재(118)에는 상기 냉간부착부재(119)에 밀착하는 냉각면(117)이 설치되고, 상기 냉각면(117)은 상기 열전도면(112)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열전도판(41)은 상기 열전도면(112)에 밀착하여 상기 열전도면(112)의 열을 흡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램프 튜브(31), 냉각부재(118), 광원기판(121)은 모두 회로기판(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냉간부착부재(119)는 상기 냉각 브래킷(60) 위에 계합되기 때문에 상기 냉각부재(118)는 상기 냉간부착부재(119)와 상기 냉각 브래킷(60) 사이에 단단히 고정되고, 상기 열전도판(41)과 상기 냉각부재(118)의 접촉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냉각부재(118)는 냉간부착부재(119)에 밀착하여 냉간부착부재(119)를 냉각하고, 냉간부착부재(119)와 램프 튜브(31) 사이에 필터를 더 설치하여 램프 튜브(31)가 발사한 유해한 빛의 일부를 필터링 제거하며, 램프 튜브(31)가 발사한 광선이 사용자 피부에 대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탈모하도록 한다. 램프 튜브(31)의 열은 냉간부착부재(119)에 전달되며, 반사판(33)은 램프 튜브(31)의 냉간부착부재(119)에서 떨어진 측에 설치되고, 램프 튜브(31)가 발사한 광선이 냉간부착부재(119)에 집중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냉간부착부재(119)는 크리스탈 재질이며, 구체적으로는 사파이어, K9 유리, 크리스탈 유리이어도 좋고, 광투과 결정을 만족하는 재질이면 되고, 사파이어 재질이어도 좋다.
냉간부착부재(119)는 사파이어 재질이기 때문에 냉간부착부재(119)를 광출사구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램프 튜브(31)가 빗을 출사할 때 사파이어가 강한 열전도성을 갖기 때문에 냉각부재(118)와 냉간부착부재(119) 사이에서 효율적인 열교환을 발생할 수 있으며, 최적의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냉간부착부재(119)는 원형 판부재이어도 좋고, 사가형 판부재이어도 좋으며,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냉간부착부재(119)의 램프 튜브(31)에서 떨어진 면은 인체에 접촉하며, 그 접촉하는 표면은 원호면이어도 좋고 평면이어도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평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램프 튜브(31)는 IPL 램프 튜브이어도 좋고, 상기 냉간부착부재(119)의 인체와의 접촉에서 떨어진 측에 위치하고 램프 튜브(31)에서 나온 광선은 냉간부착부재(119)를 통해 사용자 피부에 조사된다. 램프 튜브(31)가 발사하는 광선의 색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컬러 광, 복합 광 등이어도 좋고, 구체적인 파장 및 주파수는 사용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는 냉간부착부재(119) 내에 집적 가능한 피부검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피부검출부는 용량(73) 터치 검출의 원리를 이용하여 회로기판(71)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냉간부착부재(119)가 피부에 접촉했을 때 내부에 미리 설정된 용량(73) 검출 수단은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가 실제로 피부에 접촉했는지 여부를 동시에 검출하기 때문에 오자동에 의한 사용자의 안전문제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반사판(33)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램프 튜브(31)의 광선을 냉간부착부재(119)의 방향으로 집중시키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판(33)은 U 자형이고, 상기 반사판(33)의 개구부는 냉간부착부재(119)를 향해 설치되어 있다. 램프 튜브(31)는 반사판(33)의 U 자형 개구부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광선을 집중할 뿌만 아니라 작업하는 동안 램프 튜브(31)의 열이 다른 곳으로 분산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부재(118)는 반도체 냉각방식의 냉각소자일 수도 있다.
또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가 광선탈모기술을 채용하고 있으며, 그 원리의 특수성으로 인해 광선을 발사하면 많은 열이 발생하고, 동시에 사용자는 냉간부착부재(119)가 피부에 접촉할 때 광선이 사용자에게 뜨거운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 본체의 내부에 온도를 낮추는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어떻게 온도를 낮춰도 그 열교환 하에서 열이 발생하며, 상기 냉각부재(118)가 상기 열전도판(41)에 밀착하여 냉간부착부재(119)가 신속히 온도를 강하시킨다. 수납공간(211) 내에는 냉각부재(118)의 발열 이외에 복수의 발열장치가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21) 내의 외부냉각매체에 의해 복수의 발열장치를 효과적으로 온도강하하여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냉각매체가 제1 안내구(24)로부터 흡입되고, 제1 구동구(51)에 들어 간 후 제2 구동구(52)를 경유하여 냉각 브래킷(60) 내에 전달되며, 또한 탈모장치(30) 및 방열판(421) 어셈블리(42)를 경유하여 램프 튜브(31)의 열을 저하시키고, 열전도판(41) 및 냉간부착부(11)의 열을 저하시킨다. 냉각매체의 일부는 하우징(21)으로 들어 간 후 회로기판(71), 프로세서, 및 용량(73)을 경유하여 흐르며, 최종적으로 제3 안내구(26)로부터 배출되고, 외부냉각매체가 통과하는 영역에 따라 온도를 낮추어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에는 상기 제1 안내구(24)에 인접하는 제4 안내구(27)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4 안내구(27)는 상기 열전도부(40)에 마주하고 있으며, 상기 제4 안내구(27)와 상기 제1 안내구(24) 사이에 냉각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열전도부(40)의 열은 냉각통로내의 외부냉각매체에 의해 빼앗아 갈 수 있다. 상기 제4 안내구(27)와 상기 제1 안내구(24)는 상기 하우징(21)의 같은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4 안내구(27)와 상기 제1 안내구(24)는 상기 제1 안내구(24)의 상기 헤드부(10)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4 안내구(27)는 상기 열전도부(40)의 열을 신속히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열전도부(40)의 온도를 신속히 저하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에 제1 냉각통로(61)와 제2 냉각통로(62)가 분리하여 배치되는 것에 따라 일부의 실시예에서 탈모기(100)의 방열방법은 팬에 의한 공기냉각을 사용하지 않아도 좋고, 외부의 다른 냉각매체, 예를 들어, 물, 냉각액 등을 이용하여도 좋으며, 외부매체가 냉각통로의 열을 빼앗아 갈 수 있으면 된다.
냉간부착부(11)와 피부의 접촉단면은 피부검출부의 노출단면과 같은 측에 배치되며, 피부를 광조사하여 탈모할 때 냉간부착부재(119)를 피부의 조사대상영역에 쉽게 접촉시켜 조사된 피부에 차겁게 붙여 온도를 낮추는 것을 통해 조사된 피부에 생기는 작열감을 완화할 수 있고, 냉간부착부재(119)를 0도의 저온에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광출사구 부근의 피부를 한없이 빙점에 가깝게 할 수 있으며, 피부의 작열감을 완화할 수 있고, 단시간의 접촉으로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탈모기(100)에는 발광체, 상술한 모든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된 구조적 특징이 설치되어 있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가 축합, 물리적 연결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 경우, 예를 들어, 탈모장치(30)의 각 구성요소 위치를 이동하거나 또는 일체적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분리형으로 디자인하거나 또는 특징 수의 교체,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특징형태를 변화시켜 조합한 후 구성요소가 특정 기능을 갖는 시설/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경우, 본 고안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대신하여 이러한 시설/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마찬가지로 본 고안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본 출원의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는 종래기술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상기 헤드부(10)에 냉간부착부(11)와 상기 냉간부착부(11)를 둘러싸며 배치된 광조사부(12)를 설치하고, 상기 광조사부(12)가 사용자 피부를 케어하기 위한 광선을 출사하며, 상기 탈모장치(30)가 상기 냉간부착부(11)와 마주하고 있으며, 광선이 상기 냉간부착부(11)에 달하도록 발사하는 것을 통해 상기 냉간부착부(11)는 광선을 출사하여 사용자 피부의 모낭을 조사하며, 피부를 투과하여 모낭에 조사된 광선을 이용하여 탈모를 수행할 수 있고, 탈모기(100)는 탈모기능과 스킨 케어 기능을 모두 갖추게 된다.
2. 상기 냉각 브래킷(60)에 제1 냉각통로(61) 및 제2 냉각통로(62)를 설치하고, 제1 냉각통로(61) 및 제2 냉각통로(62)가 모두 냉각구동부(50)의 제2 구동구(52)에 마주하여 결합되며, 탈모장치(30)에 의해 제1 냉각통로(61) 내에 고정되고 열전도부(40)의 일부가 냉간부착부(11)에 접촉하며, 다른 부분이 제2 냉각통로(62) 내에 배치됨으로써, 열전도부(40)의 방열과 탈모장치(30)의 방열을 별도로 수행할 수 있으며, 탈모기(100) 내 전체의 온도저하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3.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가 복합구조의 열전도판(41)을 채용하고, 열전도판(41)이 2개의 중첩되는 판부재 및 2개의 판부재 사이에 밀봉된 열전도매체 및 열전도망을 이용하여 상기 열전도판(41)의 열전도효율을 향상시키며, 상기 열전도판(41)이 상기 냉간부착부(11)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냉간부착부(11)의 열을 신속히 저하시킨다. 열전도판(41)에 구리 재질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열전도판(41)의 열전도효율이 향상하고, 열을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방열할 수 있다.
4. 종래에는 단지 밀폐된 캐비티가 냉간부착부(11)의 냉각부재(118)를 단독으로 보호하고 환기하는 수단을 채용하고 있었지만, 마찬가지로 발열하는 탈모장치(30)와 제어장치(70)는 고려되지 않았다. 특히, 장시간 사용하면 탈모장치(30)나 램프 튜브(31)의 열은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온도강하의 냉각효과는 완전하지 않다. 본 출원의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는 냉간부착부(11)와 탈모장치(30)를 각각 동시에 냉각함으로써, 전체적인 냉각효과가 대폭으로 향상하고,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 본체 내 전체 온도를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5. 본 출원의 기술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외부냉각매체는 팬에 의해 도입된 공기뿐만 아니라 펌프를 채용하고 추출한 물 또는 냉각액 등 기타 냉각매체일 수 있다.
6. 제1 안내구(24)가 헤드부(10)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냉각매체를 신속히 배출할 수 있으며, 냉간부착부(11)와 탈모장치(30)의 방열효율을 향상시킨다. 제2 안내구(25)는 하우징(21)의 탈모장치(30) 및 냉간부착부(10)에 인접하는 부위에 배치되며, 탈모장치(30) 및 열전도부(40)의 열을 동시에 도출하기 쉽게 되고, 방열효율이 향상한다. 제3 안내구(26)가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의 냉간부착부(11)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의 꼬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 내에서 유동하는 냉각매체의 유로거리를 길게하여 배출하며, 제어장치(70)를 흐르는 열을 배출하여 제어장치(70)의 열을 저하시킨다.
7. 냉간부착부재(119)는 하우징(21)의 헤드부(10)에서 노출하여 인체의 피부에 실제로 접촉하여 사용자가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를 사용하여 탈모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냉간부착부재(119)가 차겁게 붙여지는 효과를 느끼게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의 기술상 가지고 있는 열에 의한 비교적 강한 통증을 저감시킨다.
8. 냉간부착부재(119)는 크리스탈 재질을 채용하고, 사파이어 재질로 할 수 있으며, 사파이어는 비교적 강한 열전도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의 발사체가 방출하는 광선의 열의를 저하시킴과 동시에 광선의 광투과율을 유지한다.
9. 냉각부재(118)는 효과적으로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반도체 냉각 시트이어도 좋다.
10.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에는 피부검출부가 설치되고, 냉간부착부(11)가 피부에 접촉하는 동시에 피부검출부는 기계가 실제로 피부에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안전상의 문제를 저감할 수 있고, 동시에 2개 냉각통로의 탈모기(100)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은 본 출원 실시예 실시형태이며, 본 출원 실시예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출원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몇 가지 개선 및 수정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선 및 수정도 본 출원의 보호범위로 간주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Claims (14)

  1.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결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에는 냉간부착부와 상기 냉간부착부를 둘러싸며 배치된 광조사부가 설치되며, 상기 광조사부는 사용자의 피부를 케어하는 광선을 출사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파지부에는 탈모장치, 열전도부, 및 냉각구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탈모장치는 상기 냉간부착부를 마주하고 있고, 상기 냉간부착부에 광선을 발사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열전도부는 상기 냉간부착부에 접촉하여 상기 냉간부착부의 열을 흡수하고, 상기 냉각구동부는 상기 냉간부착부에서 떨어진 측의 상기 탈모장치에 고정되며, 외부냉각매체가 상기 냉간부착부에서 떨어진 상기 열전도부를 흐르도록 구동하여 외부냉각매체에 의해 상기 열전도부의 열을 빼앗아 가게 하며, 상기 냉간부착부는 냉간부착부재 및 상기 냉간부착부재를 냉각하는 냉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냉간부착부재는 사용자 피부에 밀착하여 차겁게 붙이는 데 사용되고, 상기 열전도부는 상기 냉각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냉각부재의 열을 흡수하며,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냉간부착부재를 둘러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에는 상기 냉간부착부를 둘러싸는 광원기판과, 상기 광원기판 위에 배치된 복수의 램프 비즈가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램프 비즈는 상기 냉간부착부 주위에 원주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는 복수의 상기 램프 비즈를 덮는 라이트 커버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고, 상기 라이트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냉간부착부와 끼워 맞춤하는 장착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탈모장치에서 떨어진 상기 냉간부착부의 표면은 상기 램프 비즈에서 떨어진 상기 라이트 커버 플레이트의 표면과 같은 높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커버 플레이트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커버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는 일단이 상기 라이트 커버 플레이트에 마주하여 결합된 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냉간부착부, 탈모장치, 냉각구동부, 및 열전도부는 모두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냉각구동부에 인접하는 제1 안내구와, 상기 탈모장치에 인접하는 제2 안내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안내구와 상기 제2 안내구 사이에 냉각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냉각구동부는 상기 냉각통로 내의 외부냉각매체가 유동하도록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된 냉각 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 브래킷에는 제1 냉각통로와, 상기 제1 냉각통로와 분리된 제2 냉각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탈모장치는 상기 제1 냉각통로 내에 고정되며, 상기 냉간부착부에서 떨어진 상기 열전도부의 부분은 상기 제2 냉각통로 내에 고정되고, 상기 냉각구동부의 단부는 상기 제1 안내구에 마주하여 결합되며, 상기 냉각구동부의 주변측은 상기 제1 냉각통로 및 상기 제2 냉각통로에 마주하여 결합하고, 상기 냉각구동부에서 떨어진 상기 제1 냉각통로 및 상기 제2 냉각통로의 단부는 상기 제2 안내구에 마주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브래킷에는 하부 쉘 및 상기 하부 쉘과 덮여 계합되는 상부 쉘이 설치되고, 상기 열전도부는 상기 하부 쉘에서 떨어진 상기 상부 쉘 측에 고정되며, 상기 냉간부착부는 일부가 상기 하부 쉘과 상기 상부 쉘 사이에 고정되고, 다른 부분이 상기 상부 쉘을 통과하여 상기 열전도부에 접촉하며, 상기 제1 냉각통로 및 상기 제2 냉각통로는 모두 상기 하부 쉘과 상기 상부 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부에는 상기 냉간부착부에 밀착되는 열전도판과, 상기 열전도판에 밀착되는 방열판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상기 열전도판은 냉각 브래킷에 고정되며, 상기 냉간부착부에서 떨어진 상기 열전도판의 일단은 상기 제2 냉각통로를 덮어 씌우고, 상기 방열판 어셈블리는 상기 제2 냉각통로에 수용되며, 상기 열전도판의 상기 제2 냉각통로를 덮어 씌우는 부분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탈모장치 및 상기 냉간부착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탈모장치의 상기 냉간부착부에서 떨어진 측에 위치하며, 상기 헤드부에서 떨어진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는 제3 안내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3 안내구와 상기 제1 안내구 사이에 냉각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장치를 상기 냉각통로에 위치시키고, 외부냉각매체에 의해 열을 빼앗아 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회로기판, 프로세서, 및 용량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용량은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냉간부착부 및 상기 탈모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안내구에 인접하는 제4 안내구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4 안내구는 상기 열전도부와 마주하고 있으며, 상기 제4 안내구와 상기 제1 안내구 사이에 냉각통로를 형성하고, 냉각통로 내의 외부냉각매체에 의해 상기 열전도부의 열을 빼앗아 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기.
  13. 제 7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모장치는 램프 튜브, 램프 홀더, 및 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램프 홀더는 상기 냉각 브래킷의 제1 냉각통로 내에 고정되고 상기 냉간부착부에 근접하며, 상기 램프 튜브 및 상기 반사판은 상기 램프 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램프 튜브의 상기 냉간부착부에서 떨어진 측에 위치하며, 상기 램프 튜브의 광선을 반사하여 상기 냉간부착부에 집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기.
  14. 삭제
KR2020217000015U 2020-10-21 2020-10-29 탈모기 KR20049700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1349308 2020-10-21
CN202011134930.8A CN112155726A (zh) 2020-10-21 2020-10-21 脱毛仪
CN202022365212 2020-10-21
CN2020223652123 2020-10-21
PCT/CN2020/124733 WO2022082837A1 (zh) 2020-10-21 2020-10-29 脱毛仪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953U KR20220000953U (ko) 2022-05-02
KR200497009Y1 true KR200497009Y1 (ko) 2023-06-30

Family

ID=8118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7000015U KR200497009Y1 (ko) 2020-10-21 2020-10-29 탈모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18278A1 (ko)
EP (1) EP4008285A1 (ko)
JP (1) JP3246181U (ko)
KR (1) KR200497009Y1 (ko)
GB (1) GB26059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95902S1 (en) * 2020-10-12 2023-08-15 Shenzhen Qianyu Technology Co., Ltd. Hair removal instrument
USD994980S1 (en) * 2021-06-04 2023-08-08 Shenzhen Yuwei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Hair removal device
USD1009365S1 (en) * 2022-01-17 2023-12-26 Shenzhen Bojie Lunsen Technology Co., Ltd Depilatory apparatus
USD1018981S1 (en) * 2022-03-28 2024-03-19 Shenzhen Beauty Every Moment intelligent electric Co. Ltd. Hair removal device
USD1009363S1 (en) * 2022-05-17 2023-12-26 Guoming Zhou Hair removal device
USD1011618S1 (en) * 2022-11-18 2024-01-16 Shenzhen Mareal Intelligent Tech Co., Ltd. Hair removal device
USD1012366S1 (en) * 2023-03-02 2024-01-23 Tao Gao Hair removal device
USD1018984S1 (en) * 2023-08-01 2024-03-19 Tao Gao Hair removal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858B1 (ko) 2015-10-14 2016-05-13 (주)대진디엠피 아이피엘 피부관리장치
CN209464502U (zh) 2018-12-04 2019-10-08 中山市金稻电器有限公司 一种脱毛仪
CN211534779U (zh) 2019-07-07 2020-09-22 深圳由莱智能电子有限公司 一种便携式脱毛仪
CN111700725A (zh) 2020-06-28 2020-09-25 深圳由莱智能电子有限公司 脱毛仪
CN111743622A (zh) * 2020-07-09 2020-10-09 深圳由莱智能电子有限公司 便携的脱毛仪
CN211674531U (zh) * 2020-02-07 2020-10-16 深圳由莱智能电子有限公司 一种便携式脱毛仪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4365B2 (en) * 2010-12-23 2014-09-16 Nlight Photonics Corporation Skin color and capacitive sensor systems
WO2015098427A1 (ja) * 2013-12-27 2015-07-02 ヤーマン株式会社 美容器
ES2745124T3 (es) * 2016-06-27 2020-02-27 Braun Gmbh Dispositivo de tratamiento de la pie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858B1 (ko) 2015-10-14 2016-05-13 (주)대진디엠피 아이피엘 피부관리장치
CN209464502U (zh) 2018-12-04 2019-10-08 中山市金稻电器有限公司 一种脱毛仪
CN211534779U (zh) 2019-07-07 2020-09-22 深圳由莱智能电子有限公司 一种便携式脱毛仪
CN211674531U (zh) * 2020-02-07 2020-10-16 深圳由莱智能电子有限公司 一种便携式脱毛仪
CN111700725A (zh) 2020-06-28 2020-09-25 深圳由莱智能电子有限公司 脱毛仪
CN111743622A (zh) * 2020-07-09 2020-10-09 深圳由莱智能电子有限公司 便携的脱毛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18278A1 (en) 2022-04-21
JP3246181U (ja) 2024-03-28
GB202102648D0 (en) 2021-04-14
KR20220000953U (ko) 2022-05-02
GB2605941A (en) 2022-10-26
EP4008285A4 (en) 2022-06-08
EP4008285A1 (en)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7009Y1 (ko) 탈모기
JP3226132U (ja) 携帯式脱毛装置
CN213432629U (zh) 一种便携式美容仪
CN112155726A (zh) 脱毛仪
CN111743622A (zh) 便携的脱毛仪
CN111700725A (zh) 脱毛仪
AU2020427144B2 (en) Portable hair removal device
EP3925561A1 (en) Depilator
CN215384556U (zh) 便携式脱毛仪
CN214908023U (zh) 家用脱毛仪
WO2022082837A1 (zh) 脱毛仪
CN111821019A (zh) 双冷却通道的脱毛仪
CN111685869A (zh) 脱毛仪
CN212326718U (zh) 脱毛仪
CN216136023U (zh) 脱毛仪
CN213190052U (zh) 便携脱毛仪
CN213372447U (zh) 便携的脱毛仪
WO2021253682A1 (zh) 脱毛仪
AU2020453924B2 (en) Hair removal device
CN212326564U (zh) 双冷却通道的脱毛仪
US20210393014A1 (en) Depilator
CN220237004U (zh) 一种美容仪
CN214387634U (zh) 快速散热脱毛仪
CN217793317U (zh) 脱毛装置
CN212308030U (zh) 脱毛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