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979Y1 -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 - Google Patents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979Y1
KR200496979Y1 KR2020210001165U KR20210001165U KR200496979Y1 KR 200496979 Y1 KR200496979 Y1 KR 200496979Y1 KR 2020210001165 U KR2020210001165 U KR 2020210001165U KR 20210001165 U KR20210001165 U KR 20210001165U KR 200496979 Y1 KR200496979 Y1 KR 200496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lowermost
rack device
lower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522U (ko
Inventor
윤두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정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정보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정보산업
Priority to KR2020210001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97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5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5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9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랙 장치의 전면 뿐만 아니라, 좌측면 및 우측면도 필요에 따라 부분 개방 혹은 완전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방향에서든지 손쉽게 내부에 보관할 장치들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유지 보수시, 원하는 방향을 부분 개방 혹은 완전 개방시켜 손쉽게 내부에 보관된 장치들을 외부로 유출시키거나, 개방된 방향에서 내부에 보관된 장치 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Side open rack unit}
본 고안은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랙 장치의 전면 뿐만 아니라, 좌측면 및 우측면도 필요에 따라 부분 개방 혹은 완전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방향에서든지 손쉽게 내부에 보관할 장치들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유지 보수시, 원하는 방향을 부분 개방 혹은 완전 개방시켜 손쉽게 내부에 보관된 장치들을 외부로 유출시키거나, 개방된 방향에서 내부에 보관된 장치 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랙 장치는 음향 기기, 통신용 장비, 네트워크, 전화국의 교환유통장비 또는 인터넷 서버(Internet Suber), 전자 장비 등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내부에 수납하는 수납장치이다.
특히, 최근에는 네트워크 환경이 넓어지고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전화망, 인터넷 통신망 및 위성 통신망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종 통신기기가 점점 다변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기지국 및 단말국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러한 각각의 서비스를 한 장소에서 효율적으로 통합관리 및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신용 장비를 수납 및 보관하는 통신장비를 적재하기 위한 랙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상기한 랙 장치들은 보통 전방측 혹은 후방측에 각각 개방할 수 있는 개방부재를 구성하고 있어 최초 설치시, 혹은 유지 보수시 개방부재를 오픈시켜 내부에 장비들을 보관시키거나, 보관된 장비들을 외부로 이격시켜 유지 보수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설치된 장소가 협소하거나, 전방 혹은 후방 개방이 불가능한 장소의 경우, 측방 개방이 편리할 수도 있으나, 이에 대한 랙장치들이 존재하지 않아 사용 상에 불편함을 제공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좌측면 및 우측면도 필요에 따라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방향에서든지 손쉽게 내부에 보관할 장치들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유지 보수시, 원하는 방향을 개방시켜 손쉽게 내부에 보관된 장치들을 외부로 유출시키거나, 개방된 방향에서 내부에 보관된 장치 수리가 가능한 랙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선행문헌)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8142호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랙 장치의 전면 뿐만 아니라, 좌측면 및 우측면도 필요에 따라 부분 개방 혹은 완전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방향에서든지 손쉽게 내부에 보관할 장치들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유지 보수시, 원하는 방향을 부분 개방 혹은 완전 개방시켜 손쉽게 내부에 보관된 장치들을 외부로 유출시키거나, 개방된 방향에서 내부에 보관된 장치 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는,
지면에 배치되는 하부판부(100);와
상기 하부판부의 전방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전방개폐부(200);와
상기 하부판부의 후방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후방개폐부(300);와
상기 하부판부의 좌측 양쪽에 일정 크기로 각각 장착되는 좌측프레임부(400);와
상기 하부판부의 우측 양쪽에 일정 크기로 각각 장착되는 우측프레임부(500);와
상기 전방개폐부, 후방개폐부, 좌측프레임부, 우측프레임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판부(600);와
상기 각각의 좌측프레임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 최하측에 위치하여 탈부착되는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상기 각각의 우측프레임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 최하측에 위치하여 탈부착되는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를 포함함으로써, 본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는,
랙 장치의 전면 뿐만 아니라, 좌측면 및 우측면도 필요에 따라 부분 개방 혹은 완전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방향에서든지 손쉽게 내부에 보관할 장치들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유지 보수시, 원하는 방향을 부분 개방 혹은 완전 개방시켜 손쉽게 내부에 보관된 장치들을 외부로 유출시키거나, 개방된 방향에서 내부에 보관된 장치 수리가 가능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우측면도이며, 도 6은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좌측프레임부(400)와 우측프레임부(500)에 형성된 제1수직부(410); 와 제2수직부(4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의 양측에 형성된 요홈부(910)와 제1경사부(9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좌측프레임부(400)와 우측프레임부(500)에 형성된 제2수직부(420)에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에 형성된 요홈부(910)를 위치시키는 예시도이며, 도 10은 측면의 최하측에 부착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누름부재(1000)를 나타낸 확대 단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좌측면에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가 부착되고, 상측으로 연이어 좌측탈부착부(700)들이 각각 부착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는,
지면에 배치되는 하부판부(100);와
상기 하부판부의 전방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전방개폐부(200);와
상기 하부판부의 후방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후방개폐부(300);와
상기 하부판부의 좌측 양쪽에 일정 크기로 각각 장착되는 좌측프레임부(400);와
상기 하부판부의 우측 양쪽에 일정 크기로 각각 장착되는 우측프레임부(500);와
상기 전방개폐부, 후방개폐부, 좌측프레임부, 우측프레임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판부(600);와
상기 각각의 좌측프레임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 최하측에 위치하여 탈부착되는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상기 각각의 우측프레임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 최하측에 위치하여 탈부착되는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는,
상기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의 상측에 형성된 공간 내 탈부착되는 좌측탈부착부(700);와
상기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의 상측에 형성된 공간 내 탈부착되는 우측탈부착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좌측탈부착부(700)와 우측탈부착부(800)의 양측 어느 일측에 각각 형성되되, 어느 일측에 요홈부(1700)가 형성되어 있는 누름부재(1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좌측프레임부(400)와 우측프레임부(500)는,
최외곽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제1수직부(410);와
상기 제1수직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내측 위치에 형성되되, 제1수직부의 가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수직부(420);와
상기 제1수직부(410)와 제2수직부(4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부사이공간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는,
양측에 요홈지게 형성되는 요홈부(910);와
상기 요홈부의 끝단에서 안쪽 방향으로 연이어 일정 길이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제1경사부(9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랙 장치의 측면에 부착시킬 경우에, 상기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의 어느 일측을 비스듬하게 하여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에 형성된 제1경사부(920)의 경사면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시켜 좌측프레임부(400)와 우측프레임부(500)에 형성된 제2수직부(420)에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에 형성된 요홈부(910)를 위치시켜 어느 일측을 안착시킨 후,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의 타측에 형성된 요홈부(910)를 좌측프레임부(400)와 우측프레임부(500)의 타측에 형성된 제2수직부(420)에 안착시킴으로써, 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누름부재(1000)에 외력을 가하여 안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어느 일측에 형성된 요홈부(1700)에 좌측프레임부(400)와 우측프레임부(500)에 형성된 제2수직부(420)를 안착시킴으로써, 랙 장치 측면의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의 상측 부위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누름부재(1000)는,
수평면(1100) 끝단에서 안쪽 방향으로 연이어 일정 길이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수직부(1200);와
상기 제1수직부(1200)의 끝단에서 제2수직부(420)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부(1300);와
상기 굴곡부(1300)의 끝단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연이어 일정 길이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수직부(1400);와
상기 제2수직부(1400)의 어느 일측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수평부(1500);와
상기 제2수직부(1400)에 형성된 제1수평부에서 일정 간격 바깥쪽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2수평부(1600);와
상기 제1수평부(1500)와 제2수평부(1600) 사이에 형성되는 요홈부(1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탈착시켜 랙 장치의 측면을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우측면도이며, 도 6은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좌측프레임부(400)와 우측프레임부(500)에 형성된 제1수직부(410); 와 제2수직부(4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의 양측에 형성된 요홈부(910)와 제1경사부(9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좌측프레임부(400)와 우측프레임부(500)에 형성된 제2수직부(420)에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에 형성된 요홈부(910)를 위치시키는 예시도이며, 도 10은 측면의 최하측에 부착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누름부재(1000)를 나타낸 확대 단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의 좌측면에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가 부착되고, 상측으로 연이어 좌측탈부착부(700)들이 각각 부착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측면 개방형 랙 장치는,
지면에 배치되는 하부판부(100);와
상기 하부판부의 전방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전방개폐부(200);와
상기 하부판부의 후방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후방개폐부(300);와
상기 하부판부의 좌측 양쪽에 일정 크기로 각각 장착되는 좌측프레임부(400);와
상기 하부판부의 우측 양쪽에 일정 크기로 각각 장착되는 우측프레임부(500);와
상기 전방개폐부, 후방개폐부, 좌측프레임부, 우측프레임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판부(600);와
상기 각각의 좌측프레임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 최하측에 위치하여 탈부착되는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상기 각각의 우측프레임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 최하측에 위치하여 탈부착되는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지면에 배치되는 하부판부(100)를 가지게 된다.
이때, 전방개폐부(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부의 전방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게 되며, 후방개폐부(300)는 상기 하부판부의 후방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부의 좌측 양쪽에 일정 크기로 각각 좌측프레임부(400)가 장착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부의 우측 양쪽에 일정 크기로 각각 우측프레임부(500)가 장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방개폐부, 후방개폐부, 좌측프레임부, 우측프레임부의 상부에 상부판부(600)가 장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일정한 크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내부 공간에 각종 장치들을 안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좌측프레임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 최하측에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우측프레임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 최하측에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가 부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기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탈착시켜 랙 장치의 측면의 최하측 부위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의 상측에 형성된 공간 내 탈부착되는 좌측탈부착부(700);와
상기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의 상측에 형성된 공간 내 탈부착되는 우측탈부착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의 상측에 형성된 공간 내에 좌측탈부착부(700)를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시키며,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의 상측에 형성된 공간 내에 우측탈부착부(800)를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은 하기와 같다.
즉, 상기 좌측탈부착부(700)와 우측탈부착부(800)의 양측 어느 일측에 각각 형성되되, 어느 일측에 요홈부(1700)가 형성되어 있는 누름부재(1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 내지 도 6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좌측탈부착부(700)와 우측탈부착부(800)에는 양측에 각각 누름부재(100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누름부재(1000)에 외력을 가하여 안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어느 일측에 형성된 요홈부(1700)에 좌측프레임부(400)와 우측프레임부(500)에 형성된 제2수직부(420)를 안착시킴으로써, 랙 장치 측면의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의 상측 부위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작업자가 누름부재를 누르게 되면 안쪽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며, 요홈부에 제2수직부(420)를 안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재(1000)는,
수평면(1100) 끝단에서 안쪽 방향으로 연이어 일정 길이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수직부(1200);와
상기 제1수직부(1200)의 끝단에서 제2수직부(420)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부(1300);와
상기 굴곡부(1300)의 끝단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연이어 일정 길이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수직부(1400);와
상기 제2수직부(1400)의 어느 일측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수평부(1500);와
상기 제2수직부(1400)에 형성된 제1수평부에서 일정 간격 바깥쪽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2수평부(1600);와
상기 제1수평부(1500)와 제2수평부(1600) 사이에 형성되는 요홈부(1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수평면(1100) 끝단에서 안쪽 방향으로 연이어 일정 길이로 수직하게 제1수직부(1200)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부(1200)의 끝단에서 제2수직부(420) 방향으로 굴곡지게 굴곡부(130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누름부재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 재질로 형성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플라스틱재질로 형성하게 되면, 외력에 의해 안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굴곡부가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요홈부(1700)에 제2수직부(420)의 일면이 안착될 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요홈부에 제2수직부(420)가 안착되면 부착이 완성되어 외력을 가하여 탈착시키기 전까지 현재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굴곡부(1300)의 끝단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연이어 일정 길이로 수직하게 제2수직부(140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수직부(1400)의 어느 일측에 수평하게 제1수평부(1500)를 형성하고, 상기 제2수직부(1400)에 형성된 제1수평부에서 일정 간격 바깥쪽 방향으로 수평하게 제2수평부(1600)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수평부(1500)와 제2수평부(1600) 사이에는 요홈부(1700)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고안을 통해, 랙 장치의 전면 뿐만 아니라, 좌측면 및 우측면도 필요에 따라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방향에서든지 손쉽게 내부에 보관할 장치들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유지 보수시, 원하는 방향을 개방시켜 손쉽게 내부에 보관된 장치들을 외부로 유출시키거나, 개방된 방향에서 내부에 보관된 장치 수리가 가능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좌측프레임부(400)와 우측프레임부(500)는,
최외곽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제1수직부(410);와
상기 제1수직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내측 위치에 형성되되, 제1수직부의 가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수직부(420);와
상기 제1수직부(410)와 제2수직부(4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부사이공간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프레임부(400)와 우측프레임부(500)는 최외곽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제1수직부(410)를 형성하게 되는데, 일정한 가로 길이를 가지게 된다.
이때, 제1수직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내측 위치에 제2수직부(420)를 형성시키되, 제1수직부의 가로 길이보다 길게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수직부(410)와 제2수직부(420)의 사이에는 수직부사이공간부(430)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는,
양측에 요홈지게 형성되는 요홈부(910);와
상기 요홈부의 끝단에서 안쪽 방향으로 연이어 일정 길이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제1경사부(9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에는 양측에 요홈지게 요홈부(910)를 형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요홈부의 끝단에서 안쪽 방향으로 연이어 일정 길이로 비스듬하게, 즉, 경사지게 제1경사부(920)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랙 장치의 측면에 부착시킬 경우에, 상기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의 어느 일측을 비스듬하게 하여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에 형성된 제1경사부(920)의 경사면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시켜 좌측프레임부(400)와 우측프레임부(500)에 형성된 제2수직부(420)에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에 형성된 요홈부(910)를 위치시켜 어느 일측을 안착시키게 된다.
이후,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의 타측에 형성된 요홈부(910)를 좌측프레임부(400)와 우측프레임부(500)의 타측에 형성된 제2수직부(420)에 안착시킴으로써, 측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결국, 좌측면 및 우측면도 필요에 따라 부분 개방 혹은 완전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방향에서든지 손쉽게 내부에 보관할 장치들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유지 보수시, 원하는 방향을 부분 개방 혹은 완전 개방시켜 손쉽게 내부에 보관된 장치들을 외부로 유출시키거나, 개방된 방향에서 내부에 보관된 장치 수리가 가능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부분 개방이란, 좌측탈부착부(700) 혹은 우측탈부착부(800)를 개방시키는 것이고, 완전 개방이란,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 혹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까지 개방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형 랙 장치들은 규격화되어 있어 좌측탈부착부(700)와 우측탈부착부(800)를 부착시킬 경우에 빈 공간이 발생할 수 밖에 없어 이를 채우기 위하여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수리시, 종래에는 측면을 한 개의 좌측탈부착부(700)와 우측탈부착부(800)로 구성되어 있기에 커다란 좌측탈부착부(700)와 우측탈부착부(800)를 제거하게 되는데, 뼈대에 조립되어 있어 일일히 모두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의 하측에는 단턱부(930)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시켜, 부착시에 하부판부(100)에 결합시켜 더욱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부분적 개방 혹은 완전한 개방이 가능하여 수리 작업의 시간 절약 및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뼈대에 상판 및 하판을 조립한 후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를 비스듬한 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키기며, 좌측탈부착부(700)와 우측탈부착부(800)는 누름 방식으로 결합시키기에 부분적 개방 혹은 완전 개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만약, 해체시에도 상측에 존재하는 좌측탈부착부(700)와 우측탈부착부(800)를 이탈시키고, 최종적으로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를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은 소형 랙장치에서 측면이 개방이 가능하다면, 뒷면 개방이 협소한 장소에서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즉, 일반적인 랙 장치들은 전선들이 꽉찬 상태에서 뒷면을 개방하고, 추가 전선 설치 작업을 수행하고, 다시 조립해야 하는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하다.
그러나, 본 고안과 같은 랙 장치는 간단하게 측면을 부분 개방 혹은 완전 개방시킬 수 있어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가 고정되어 있다면, 제거가 불가능하기에 내부에 존재하는 통신장비의 밑면을 들어서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 위의 공간을 이용하여 외부로 꺼내야 하므로 작업이 까다롭고 불편하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를 비스듬하게 끼움 결합시키기 때문에 통신장비를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 위의 공간을 이용하기 위하여 들어 올리는 작업을 제거할 수 있어 쉽게 외부로 끌어서 꺼낼 수 있어 수리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하부판부
200 : 전방개폐부
300 : 후방개폐부
400 : 좌측프레임부
500 : 우측프레임부
600 : 상부판부
700 : 좌측탈부착부
800 : 우측탈부착부
900 : 좌측최하단탈부착부
950 : 우측최하단탈부착부
1000 : 누름부재

Claims (2)

  1.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배치되는 하부판부(100);와
    상기 하부판부의 전방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전방개폐부(200);와
    상기 하부판부의 후방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후방개폐부(300);와
    상기 하부판부의 좌측 양쪽에 일정 크기로 각각 장착되는 좌측프레임부(400);와
    상기 하부판부의 우측 양쪽에 일정 크기로 각각 장착되는 우측프레임부(500);와
    상기 전방개폐부, 후방개폐부, 좌측프레임부, 우측프레임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판부(600);와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의 상측에 형성된 공간 내 탈부착되는 좌측탈부착부(7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의 상측에 형성된 공간 내 탈부착되는 우측탈부착부(800);와
    상기 각각의 좌측프레임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 최하측에 위치하여 탈부착되는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상기 각각의 우측프레임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 최하측에 위치하여 탈부착되는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와
    상기 좌측탈부착부(700)와 우측탈부착부(800)의 양측 어느 일측에 각각 형성되되, 어느 일측에 요홈부(1700)가 형성되어 있는 누름부재(1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좌측최하단탈부착부(900)와 우측최하단탈부착부(95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탈착시켜 랙 장치의 측면을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
  2. 삭제
KR2020210001165U 2021-04-14 2021-04-14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 KR200496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165U KR200496979Y1 (ko) 2021-04-14 2021-04-14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165U KR200496979Y1 (ko) 2021-04-14 2021-04-14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522U KR20220002522U (ko) 2022-10-21
KR200496979Y1 true KR200496979Y1 (ko) 2023-06-28

Family

ID=83795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165U KR200496979Y1 (ko) 2021-04-14 2021-04-14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97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760Y1 (ko) 2005-03-29 2005-07-07 신우엔텍 주식회사 범용 유니트 케이스
KR200416694Y1 (ko) * 2006-03-09 2006-05-18 삼도산업전기(주) 수배전반
KR101074961B1 (ko) 2009-12-21 2011-10-18 김미숙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231A (ko) * 2009-04-15 2010-10-25 성완복 통신장비용 캐비넷
KR101823046B1 (ko) 2015-11-18 2018-03-08 대신정밀 주식회사 철제 랙 캐비넷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760Y1 (ko) 2005-03-29 2005-07-07 신우엔텍 주식회사 범용 유니트 케이스
KR200416694Y1 (ko) * 2006-03-09 2006-05-18 삼도산업전기(주) 수배전반
KR101074961B1 (ko) 2009-12-21 2011-10-18 김미숙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522U (ko)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266319U (zh) 一种电力施工工程电缆铺设支架
CN209845206U (zh) 一种带有伸缩防水装置的音响
KR200496979Y1 (ko) 측면에 최하단탈부착부를 구비한 측면 개방형 랙 장치
CN104534791A (zh) 制冷设备的门体和具有其的制冷设备
CN106782105B (zh) 一种led显示箱体
KR200496794Y1 (ko) 측면 개방형 랙 장치
CN109346443A (zh) 一种集成电路板的扭力装夹机构
KR101094175B1 (ko) 간편 탈부착 도어가 취부되는 통신기기용 랙
KR100866282B1 (ko) 내압 제거 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2005774B1 (ko) 슬라이드형 덮개가 구비된 바닥 매설형 시스템 박스
US9117346B2 (en) Goods channel for vending machine
CN209981875U (zh) 一种开关柜上的散热触头盒
CN210326517U (zh) 一种便于拆卸的配电柜
CN108243585B (zh) 一种通信机柜
CN212929405U (zh) 一种基于电子地图的加油站经营数据展示装置
JP3709133B2 (ja) 鎖錠用ロッドの支持装置
CN208752521U (zh) 一种易装卸机箱
CN219162899U (zh) 一种支撑组件及城市沙盘
CN208740326U (zh) 一种水杯柜
CN204087387U (zh) 一种pos固定座
CN108958415A (zh) 一种易装卸机箱
CN211075537U (zh) 一种仪表盘安装件
CN220652716U (zh) 一种耐震型高压开关柜
CN221126678U (zh) 一种新型配电箱防护结构
CN210611502U (zh) 一种财务用统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