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977Y1 -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977Y1
KR200496977Y1 KR2020220001693U KR20220001693U KR200496977Y1 KR 200496977 Y1 KR200496977 Y1 KR 200496977Y1 KR 2020220001693 U KR2020220001693 U KR 2020220001693U KR 20220001693 U KR20220001693 U KR 20220001693U KR 200496977 Y1 KR200496977 Y1 KR 200496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ction
lighting
housing cap
fin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현
Original Assignee
유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현 filed Critical 유광현
Priority to KR2020220001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9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9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6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removing nail dust, hai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8Manicure or pedicure sets, e.g. combinations without case, etui,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30Arrangement of illumin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네일을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유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고, 흡입된 상기 유해 공기를 필터링하여 정화하는 본체 유닛과, 상기 본체 유닛에서 정화된 정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다 수개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사용자의 손을 향해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부가 설치되고,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 외부의 미세먼지를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유닛과 도통되도록 형성된 유입부가 형성되고, 작업자의 작업 조건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캡; 및 상기 조명부와, 상기 본체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DUST COLLECTING DEVICE FOR NAIL CARE WITH A REPLACEABLE HOUSING CAP}
본 고안은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네일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물질 및 네일 표면에 충격을 가할 시에 발생하는 이물질과 먼지가 공기 중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작업 조건에 맞는 하우징 캡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일 표면에 색을 입히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의 네일 아트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는 매니큐어, 리무버, 오일, 탑코트, 드라이어 등이 있는데, 이러한 재료의 성분은 주로 자극적인 냄새를 유발하거나 공기 중으로 확산될 때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는 독성을 함유한 화학성분이 많다.
이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네일 아트 작업을 할 때 사방이 개방되어 있는 작업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필연적으로 작업자와 사용자의 호흡기 계통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네일 표면을 매끄럽게 관리하기 위해 연삭을 하거나 주변 피부의 각질 제거와 같은 관리를 위한 용도로 치과나 보석세공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던 핸드피스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핸드피스에는 별도의 분진 흡입 장치가 없기 때문에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네일의 연마, 절단 등의 작업을 진행할 시에 발생하는 네일 분진이 사방으로 비산하여 옷에 묻거나 주위를 더럽히고, 호흡기로도 흡입되어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실용실안 제20-0488039호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선행기술에는 조명이 구비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로서, 집진장치의 흡입관유닛에 UV 조명, 발광 조명, 발열 조명 등을 일체로 구성하여 작업 시야를 확보하여 쾌적한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조명이 구비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 기술의 경우, 흡입관유닛이 본체에 고정되어 네일 관리 시 한가지의 흡입관유닛만을 사용해야하고, 흡입관유닛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은 단순히 밝기 조절만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작업자의 작업 조건 및 작업 환경에 맞는 흡입관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증대시키면서, 작업자 주변의 조도 및 네일을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조명의 밝기 및 흡입 강도를 조절하여 작업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조건에 맞는 하우징 캡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는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한편, 집진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 및 먼지 흡입 강도를 작업 환경에 맞게 자동으로 조절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는, 네일을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유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고, 흡입된 상기 유해 공기를 필터링하여 정화하는 본체 유닛과, 상기 본체 유닛에서 정화된 정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다 수개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사용자의 손을 향해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부가 설치되고,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 외부의 미세먼지를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유닛과 도통되도록 형성된 유입부가 형성되고, 작업자의 작업 조건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캡; 및 상기 조명부와, 상기 본체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유닛은, 일면은 상기 하우징 캡의 일면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중앙부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에서 상기 하우징 캡 방향으로 상기 유해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이 상기 원형의 홀에 장착되어 본체 유닛 내에서 상기 유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동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 및 상기 하우징 캡과 상기 흡입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 유닛의 구동을 제어 시, 상기 흡입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흡입부는, 레이디얼팬, 축류팬, 원심팬, 시로코팬 중 하나로 구성되는 흡입팬; 및 상기 흡입 제어부로부터 작동 신호를 입력 받아서 상기 흡입팬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명부는, 작업 공간의 밝기를 조절하는 발광 조명; 네일에 도포되는 물질의 건조를 위한 UV 조명; 및 작업공간의 보온을 위한 발열 조명;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 캡은, 주변의 밝기 및 미세먼지 농도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작업자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 및 네일을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작업자 주변의 조도 측정값에 따라 자동으로 조명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네일을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 측정값에 따라 자동으로 흡입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의 온/오프(on/off), 조사광의 종류 및 조사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부; 및 상기 흡입부의 온/오프(on/off), 흡입 강도 및 흡입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흡입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 제어부와 상기 흡입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제어에 관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력 장치인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는, 작업자의 작업 조건 및 작업 환경에 맞는 하우징 캡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흡입팬을 통해 미세 분진 및 네일을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유해 공기를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본체 유닛으로 흡입하고, 흡입부와 필터부를 통해 유해 공기를 정화 후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네일 관리로 인해 발생되는 미세먼지 및 냄새에 의해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 주변의 조도 및 네일을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조명의 밝기 및 흡입 강도를 조절하여 작업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의 결합도.
도 3 내지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 조건에 맞는 교체 가능한 하우징 캡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도 및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조명부 및 흡입부의 출력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네일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물질 및 네일 표면에 충격을 가할 시에 발생하는 이물질과 먼지가 공기 중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작업 조건에 맞는 하우징 캡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한 설명을 수행하기로 하며, 하나의 기술적 특징 및 고안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고안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고안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한편 이때 본 고안에 대한 설명으로 첨부된 도면들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의 결합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내지 5에는 작업자의 작업 조건에 맞는 교체 가능한 하우징 캡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제어부의 블록도 가, 도 7에는 조도 및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조명부 및 흡입부의 출력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는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에서의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는 크게 하우징(10), 본체 유닛(20), 하우징 캡(30), 조명부(40), 센서부(50) 및 제어부(6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본체 유닛(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0) 내의 상기 본체 유닛(20)을 통해 정화된 정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다 수개의 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출구(11)는 상기 하우징(10)의 옆면 일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다 수개가 존재함에 따라 정화 공기가 배출됨을 물론 본체 유닛(20)의 흡입부(11)가 작동하면서 발생하는 열기를 배출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 유닛(20)은 네일을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유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고, 흡입된 상기 유해 공기를 필터링하여 정화하는 역할을 하며, 흡입부(21) 및 필터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21)는, 본체 유닛(20) 내에서 상기 유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동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면은 상기 하우징 캡(30)의 일면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입부(21)의 중앙부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외부의 상기 유해 공기를 상기 하우징 캡(30)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23)을 장착해 상기 본체 유닛(20) 내에서 상기 유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동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필터부(22)는, 상기 유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 캡(30)과 상기 흡입부(2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해 공기가 상기 필터부(22)와 상기 흡입부(21)를 통과하면서 상기 유해 공기 속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여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필터부(22)와 상기 흡입부(21)를 통과하면서 상기 유해 공기 속의 미세먼지가 제거되어 정화된 상기 정화 공기는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배출구(11)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캡(30)은, 작업자의 작업 조건에 따라 교체가 가능한 것으로서, 상면의 일 영역에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유닛(20)과 도통되도록 형성된 유입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작업자의 작업 조건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캡(3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유입부(31)는, 사용자의 손을 향해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부(40)가 설치되고, 상기 유입부(31)의 형상은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작업자의 작업 조건에 맞는 상기 유입부(31)의 형태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하우징 캡(30)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31)는, 중공형의 관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고, 네일 관리를 통해 발생되는 미세먼지가 이송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31)의 양단은 네일 관리를 통해 발생되는 미세먼지가 상기 유입부(31)의 일단에서 유입되어 타단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입부(31)는, 미세먼지가 발생하는 작업 공간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길이 방향으로 일부 또는 전체가 절첩 가능하게 주름이 형성된다. 주름이 형성된 상기 유입부(31)는 거리와 방향 및 각도의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31)는 작업자의 작업 조건이나 작업 스타일, 작업 취향 등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일 관리 중 미세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더 넓은 유입부(31)를 가진 상기 하우징 캡(30)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세밀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부(31)가 작은 상기 하우징 캡(30)으로 교체하여 작업자의 작업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도 5에는 손바닥 형상의 상기 유입부(31) 및 원형의 상기 유입부(31)가 상기 하우징 캡(3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유입부(31)는 작업자가 활용하기 편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고, 도 5에 도시된 형상 외에도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것이며, 이에 본 고안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유입부(31)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조명부(40)는, 네일 관리를 수행 중인 작업자와 네일 관리를 받고 있는 사용자를 향해 빛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조명부(40)는 조명의 수명이 다하면 교체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조명부(40)는 상기 하우징 캡(30)의 일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유입부(31)의 일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고, 상기 유입부(31)의 형태에 따라 각각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에 본 고안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조명부(40)는, 발광 조명, UV 조명 및 발열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조명은, LED 조명으로써 단순히 작업 공간 및 사용자의 손을 밝히기 위한 조명이고, 상기 UV 조명은 네일에 도포되는 물질의 건조를 위한 조명이며, 상기 발열 조명은 네일 작업을 받고있는 사용자 및 작업 공간의 보온을 위한 조명이다.
한편, 네일용 젤의 종류에 따라 젤을 경화시킬 수 있는 조명은 다를 수 있다.
만약 네일용 젤이 UV용 젤인 경우 UV용 젤의 경화를 위해서는 약 350nm의 파장을 가진 조명이 필요하고, 네일용 젤이 LED용 젤인 경우 LED용 젤의 경화를 위해서는 약 375nm의 파장의 빛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UV용 젤을 사용할 경우에는 320~400nm의 파장의 빛을 내는 UV 조명을 사용하고, LED용 젤을 사용할 경우에는 370~380nm의 빛을 내는 LED 조명을 사용하여 네일용 젤을 경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상기 발광 조명과 UV 조명은 작업자가 작업 환경에 따라 선택하여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이에 본 고안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조명부(40)는 상기 제어부(60)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조명부(40)와, 상기 본체 유닛(2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명부(40)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61) 및 상기 본체 유닛(20)의 구동을 제어 시, 상기 흡입부(21)의 구동을 제어하는 흡입 제어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 제어부(61) 및 상기 흡입 제어부(62)는 상기 하우징(10) 외부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제어에 관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력장치이다.
상기 조명 제어부(61)는, 상기 조명부(40)의 온/오프(on/off), 조사광의 종류 및 조사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흡입 제어부(62)는, 상기 흡입부(21)의 온/오프(on/off), 흡입 강도 및 흡입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명 제어부(61)와 상기 흡입 제어부(62)를 통해 상기 조명부(40)와 상기 흡입부(21)는 각각 가변적으로 수동으로 제어하거나, 센서부(50)를 통해 측정된 조도 및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 제어부(61)와 상기 흡입 제어부(62)는 각각 하나의 입력장치인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조명 제어부(61)와 상기 흡입 제어부(62)는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조명 제어부(61)와 상기 흡입 제어부(62)를 통해 설정된 설정값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는 등 상기 조명부(40)와 상기 흡입부(21)의 제어를 위한 상기 조명 제어부(61)와 상기 흡입 제어부(62)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 할 것이며, 이에 본 고안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 캡(30)은 주변의 밝기 및 미세먼지 농도를 센싱하는 센서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50)는, 작업자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51)와 네일을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센서(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도 센서(51)와 상기 미세먼지 센서(52)는 상기 하우징 캡(30)의 일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고, 직접적으로 미세먼지가 흡입되는 상기 유입부(31)의 일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고, 상기 유입부(31)의 형태에 따라 각각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에 본 고안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도 센서(51)는 작업자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도 센서(51)를 통해 측정된 작업자 주변의 조도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60)에서 자동으로 조명부(40)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센서(52)는 네일을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미세먼지 센서(52)를 통해 측정된 미세먼지의 농도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60)에서 자동으로 상기 흡입부(21)의 흡입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조도 센서(51)와 상기 미세먼지 센서(52)를 통해 측정된 조도 및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60)의 상기 조명 제어부(61) 및 상기 흡입 제어부(62)에서 자동으로 상기 조명부(40)의 출력량과 상기 흡입부(21)의 출력량을 조절하여 조명의 세기 및 흡입 강도를 자동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조명 제어부(61) 및 상기 흡입 제어부는 범위마다 단계적으로 제어하거나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센서부(50)의 상기 조도 센서(51) 및 상기 미세먼지 센서(52)를 통해 측정된 조도 및 미세먼지 농도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60)에서 상기 조명부(40) 및 상기 흡입부(21)의 출력량을 조정하는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7의 (a)는 상기 조도 센서(51)를 통해 측정된 조도에 따른 상기 조명부(40)의 출력량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써, A1은 상기 조명부(40)의 출력량을 범위마다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예가, B1은 상기 조명부(40)의 출력량을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7의 (b)는 상기 미세먼지 센서(52)를 통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상기 흡입부(21)의 출력량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써, A2는 상기 흡입부(21)의 출력량을 범위마다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예가, B2는 상기 흡입부(21)의 출력량을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범위마다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예를 살펴보면, 도 7의 (a)를 참조하여 보면, 만약 상기 조도 센서(51)를 통해 측정된 조도가 0 ~ L1일 경우, 상기 조명부(40)의 출력량은 100% 출력이 가능하고, 측정된 조도가 L1 ~ L2일 경우에는 80%의 출력이, 측정된 조도가 L2 ~ L3일 경우에는 60%의 출력이, 측정된 조도가 L3 ~ L4일 경우에는 40%의 출력, 측정된 조도가 L4 이상일 경우에는 20%의 출력이 가능하여 상기 조도 센서(51)로부터 측정된 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명의 세기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40)의 출력량을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도 센서(51)에서 측정한 조도 값이 낮은 경우에는 상기 조명부(40)의 출력량을 높이고, 측정한 조도 값이 높은 경우에는 상기 조명부(40)의 출력량을 낮추어 조명의 세기를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부(40)는 작업자 주변이 어두울 경우에는 상기 조명부(40)의 출력량을 높여 밝게 해주고, 작업자의 주변이 밝을 경우에는 상기 조명부(40)의 출력량을 낮추어 어둡게 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하기 편하게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의 (b)를 참조하여 보면, 만약 상기 미세먼지 센서(52)를 통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가 0 ~ P1일 경우, 상기 흡입부(21)의 출력량은 20% 출력이 가능하고,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가 P1 ~ P2일 경우에는 40%의 출력이, 측정된 조도가 P2 ~ P3일 경우에는 60%의 출력이, 측정된 조도가 P3 ~ P4일 경우에는 80%의 출력, 측정된 조도가 P4 이상일 경우에는 100%의 출력이 가능하여 상기 미세먼지 센서(52)로부터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흡입부(21)의 흡입 강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흡입부(21)의 출력량을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경우에는 상기 미세먼지 센서(52)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값이 낮은 경우에는 상기 흡입부(21)의 출력량을 낮추고,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값이 높은 경우에는 상기 흡입부(21)의 출력량을 높여 상기 흡입부(21)의 흡입 강도를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부(21)는 네일을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상기 흡입부(21)의 출력량을 높혀 흡입 강도를 세게 해주고,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상기 흡입부(21)의 출력량을 낮추어 흡입 강도를 낮게 하여 작업자의 작업 환경에 맞는 흡입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흡입부(21)는 레이디얼팬, 축류팬, 원심팬, 시로코팬 중 하나로 구성되는 흡입팬(23)과, 상기 흡입 제어부로부터 작동 신호를 입력 받아서 상기 흡입팬(23)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흡입팬(23)을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써 종래의 구동모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흡입팬(23)은 상기 유해 공기가 상기 유입부(31)로 빨려 들어올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을 상기 하우징 캡(30)의 반대방향을 유도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하우징 캡(30)이 상기 흡입부(21)의 상부에 위치할 경우 상기 유해 공기를 하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흡입팬(23)은 상기 흡입부(21)의 중앙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공간 속에 설치되며,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 날개의 작동을 통하여 회전축과 평행한 하부 방향으로 상기 유해 공기를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서는 구조가 간단하고 강도가 크며, 마모나 부식에도 강한 레이디얼 팬 형태의 플레이트 송풍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플레이트 송풍기를 사용할 경우 미세먼지가 많은 가스의 통풍이나 분체의 수송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팬(23)은 상부에 후향날개를 배치하여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강한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외에도 에어포일 팬, 시로코 팬 등의 구조를 채용하여 상기 유해 공기의 효율적인 흡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렇듯,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캡(30)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는, 작업자의 작업 환경에 맞는 하우징 캡(30)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흡입팬(23)을 통해 미세 분진 및 네일을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유해 공기를 하우징(10) 내에 위치하는 본체 유닛으로 흡입하고, 흡입부(21)와 필터부(22)를 통해 유해 공기를 정화 후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네일 관리로 인해 발생되는 미세먼지 및 냄새에 의해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 주변의 조도 및 네일을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조명의 밝기 및 흡입 강도를 조절하여 작업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네일을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유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부 및 흡입된 상기 유해 공기를 필터링하여 정화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본체 유닛과, 상기 본체 유닛에서 정화된 정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다 수개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사용자의 손을 향해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부가 설치되고,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 외부의 미세먼지를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유닛과 도통되도록 형성된 유입부가 형성되고, 작업자의 작업 조건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캡; 및
    상기 조명부와, 상기 본체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캡은,
    주변의 밝기 및 미세먼지 농도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작업자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 및
    네일을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네일을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 측정값에 따라 상기 흡입부의 출력량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흡입 강도를 조절하되,
    상기 출력량은 기 설정된 미세먼지 농도 범위 별로 출력량을 조절하는 단계적 제어 및 상기 미세먼지의 농도 측정값에 따라 출력량이 연속적으로 제어되는 연속적 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제어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흡입부의 출력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은,
    일면은 상기 하우징 캡의 일면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중앙부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에서 상기 하우징 캡 방향으로 상기 유해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이 상기 원형의 홀에 장착되어 본체 유닛 내에서 상기 유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동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 및
    상기 하우징 캡과 상기 흡입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해 공기에 포함된미세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 유닛의 구동을 제어 시, 상기 흡입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레이디얼팬, 축류팬, 원심팬, 시로코팬 중 하나로 구성되는 흡입팬;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작동 신호를 입력 받아서 상기 흡입팬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작업 공간의 밝기를 조절하는 발광 조명;
    네일에 도포되는 물질의 건조를 위한 UV 조명; 및
    작업공간의 보온을 위한 발열 조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작업자 주변의 조도 측정값에 따라 자동으로 조명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의 온/오프(on/off), 조사광의 종류 및 조사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부; 및
    상기 흡입부의 온/오프(on/off), 흡입 강도 및 흡입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흡입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 제어부와 상기 흡입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제어에 관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
KR2020220001693U 2022-07-11 2022-07-11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 KR200496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693U KR200496977Y1 (ko) 2022-07-11 2022-07-11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693U KR200496977Y1 (ko) 2022-07-11 2022-07-11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977Y1 true KR200496977Y1 (ko) 2023-06-22

Family

ID=8694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693U KR200496977Y1 (ko) 2022-07-11 2022-07-11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97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439B1 (ko) * 2016-04-13 2017-04-26 김은영 네일아트를 공유하는 자외선 손톱 경화기
KR200488039Y1 (ko) * 2016-08-18 2018-12-06 유광현 조명이 구비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
KR102026609B1 (ko) * 2018-07-04 2019-09-30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네일 관리용 흡진 장치
KR20200097594A (ko) * 2019-02-08 2020-08-19 김승현 유연하고 자유롭고 집중적인 집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439B1 (ko) * 2016-04-13 2017-04-26 김은영 네일아트를 공유하는 자외선 손톱 경화기
KR200488039Y1 (ko) * 2016-08-18 2018-12-06 유광현 조명이 구비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
KR102026609B1 (ko) * 2018-07-04 2019-09-30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네일 관리용 흡진 장치
KR20200097594A (ko) * 2019-02-08 2020-08-19 김승현 유연하고 자유롭고 집중적인 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039Y1 (ko) 조명이 구비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
TWI548813B (zh) A fanless fan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102132859B1 (ko) 필터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WO2020122154A1 (ja) ネイル用ダストコレクター
KR20050077586A (ko) 환기겸용 공기청정기
CN113068634A (zh) 磨甲机
KR20050077587A (ko) 환기겸용 공기청정기
KR20150056498A (ko) 공기 처리 시스템
JP2009036492A (ja) 表示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KR102026609B1 (ko) 네일 관리용 흡진 장치
KR200496977Y1 (ko) 하우징 캡의 교체가 가능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
KR20130003240A (ko) 진공청소기
KR100670068B1 (ko)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
KR102289353B1 (ko) 일회용 미세먼지 마스크를 필터로 사용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KR101766904B1 (ko) 공기정화기가 통합된 데스크스탠드형 네일관리용 흡진기
KR200493077Y1 (ko)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하는 송풍 장치 및 휴대용 공기 청정기
KR100775003B1 (ko)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 장치
JP5931169B2 (ja) 排気濾過可能なペイント装置構造
CN112739957B (zh) 空气净化装置
WO2020079789A1 (ja) 空気清浄装置
GB0419591D0 (en) Lawn care apparatus
JP2013135814A (ja) 電気掃除機
ATE359017T1 (de) Vorrichtung zum lüften und saugen
KR102452336B1 (ko) 휴대용 살균 및 먼지 제거기
KR20190092276A (ko)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하는 송풍 장치 및 휴대용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