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003B1 -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003B1
KR100775003B1 KR1020060065209A KR20060065209A KR100775003B1 KR 100775003 B1 KR100775003 B1 KR 100775003B1 KR 1020060065209 A KR1020060065209 A KR 1020060065209A KR 20060065209 A KR20060065209 A KR 20060065209A KR 100775003 B1 KR100775003 B1 KR 100775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orking chamber
fan
amoun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씨애치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씨애치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씨애치씨랩
Priority to KR1020060065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20Degassing; Venting; Bubble 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3Fume cabinets or cupboards, e.g. for labora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4Venting, avoiding backpressure, avoid gas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3Quality control, feedback systems
    • B01L2200/145Detecting do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3Quality control, feedback systems
    • B01L2200/147Employing temperat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5Displaying results or values with integrate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30Veloc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 안전 캐비넷 실풍속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바이오 안전 캐비넷은 차압계에 의한 계산 방법으로 풍량을 조절하므로서 실제 작업실내의 풍속을 알수 없었으나, 본 발명의 바이오 안전 캐비넷은 실풍속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실제 풍속량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창에 표시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작업실내의 실풍속을 알 수 있게 하고, 실풍속을 감지하여 작업실 내의 풍속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안전 캐비넷의 실풍속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안전캐비넷, 실풍속 조절 시스템

Description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 장치{Bio Safrty Cabinet}
도 1은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풍속 조절장치를 구비한 바이오안전캐비넷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장치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제어를 도시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풍챔버 2 : 작업챔버
3 : 댐퍼
10 : 흡입량감지센서 20 : 방출량감지센서
30 : 흡입팬 40 : 방출팬
50a : 형광등 50b : 안정기
60a : 자외선램프 60b : 안정기
70 : 댐퍼모터 80 : 온도센서
90 : 댐퍼리미터 100 : 도어센서
110 : 콘센트 120 : CPU
130 : 디스플레이장치 140 : 조작스위치
본 발명은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오안전캐비넷은 생화학 연구에서 동물조직과 세포의 배양 및 바이러스와 관련된 연구시 작업챔버 내부를 무균상태로 유지하며,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작업챔버 외부로 오염된 공기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바이오안전캐비넷은 송풍팬에 의하여 생성된 바람이 필터를 거쳐 작업챔버 내부로 유입되고,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위치에서 챔버의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어 작업자 쪽으로 오염된 공기가 나오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바이오 안전 캐비넷은 작업챔버로 송풍되는 바람의 양이 고정되어 있어서 필터를 통하여 작업챔버로 불어들어가는 바람의 양을 조절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필터에 이물질이 쌓여 작업챔버로 불어들어가는 바람의 양이 적어지는 불편함이 있었고, 필터의 수명을 알 수가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바이오안전캐비넷은 작업챔버 내의 바람의 양을 알기 위해 작업챔버 내에 기압계를 구비하여 기압의 변화로 바람의 양을 알 수 있었으나, 이 또한 단순한 기압의 차이만을 알 수 있을 뿐, 작업자가 요구하는 풍량 및 풍속을 조절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송풍챔버 및 작업챔버에 각각 실풍속 감지 센서를 부착하여, 작업챔버에 공급되는 풍량 및 풍속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챔버 내부의 실제 풍속을 쉽게 알 수 있게 했으며, 실풍속 센서를 통하여 작업챔버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 및 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장치는, 흡입량감지센서(10), 방출량감지센서(20), 흡입팬(30), 방출팬(40), 형광등(50a), 안정기(50b), 자외선램프(60a), 안정기(60b), 댐퍼모터(70), 온도센서(80), 뎀퍼리미터(90), 도어센서(100), 콘센트(110)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량감지센서 및 방출량감지센서는 일정한 길이의 백금선에 전원을 공급한 후 가열하여 정해진 일정 온도가 되도록 자동 온도 보상을 하고, 공기의 변화로 인하여 백금선의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백금선에 가해지는 전류의 양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공기의 변화량을 표시하는 장치를 이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풍속 조절장치를 구비한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바이오안전캐비넷은 송풍챔버(1), 작업챔 버(2) 및 댐퍼(3)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챔버(1)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작업챔버(2)에서 회수된 공기중 일정량을 혼합하여 다시 작업챔버(2)에 공급하는 곳으로, 송풍챔버로 부터 작업챔버로 공기를 공급할 때, 필터를 통해 이물질 등을 여과시켜 보내게 된다.
상기 작업챔버(2)는 작업자로 하여금 실험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송풍챔버로부터 일정량의 공기를 공급하고, 작업챔버의 외부에서 일정량의 공기가 유입되어 작업자에게 유해한 공기가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의 편의를 위하여 작업챔버의 내부에는 조명을 위한 형광등, 살균을 위한 자외선램프, 작업챔버 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댐퍼(3)는 작업챔버(2)로부터 회수되는 공기중 일정량은 송풍챔버(1)에서 외부공기와 혼합되어 다시 작업챔버(2)로 공급되고, 상기 작업챔버로 공급되고 남은 공기는 다시 필터를 거쳐 댐퍼(3)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풍속 조절장치를 구비한 바이오안전캐비넷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송풍챔버(1)는 작업챔버(2)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흡입팬(30) 및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작업챔버(2)에서 회수되는 공기를 혼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작업챔버(2)는 흡입팬(3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송풍할 수 있는 방출팬(40),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시설 및 외부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 등을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장치는 흡입량감지센서(10), 방출량감지센서(20), 흡입팬(30), 방출팬(40), 형광등(50a), 안정기(50b), 자외선램프(60a), 안정기(60b), 댐퍼모터(70), 온도센서(80), 뎀퍼리미터(90), 도어센서(100), 콘센트(110), CPU(120), 디스플레이장치(130) 및 조작스위치(140)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량감지센서(10)는 흡입팬(30)을 통하여 작업챔버에 공급하는 공기의 양 및 풍속을 감지하기 위하여 흡입팬과 근접하게 구비한다. 흡입량감지센서(1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양 및 풍속을 감지하여 흡입팬(30)의 구동을 조절한다.
상기 방출량감지센서(20)는 방출팬(40)을 통하여 작업챔버에 공급하는 공기의 양 및 풍속을 감지하기 위하여 방출팬과 근접하게 구비한다. 방출량감지센서(20)를 통하여 방출되는 공기의 양 및 풍속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장치(130)에 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작업챔버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 및 실제 풍속을 알 수 있게 한다.
상기 형광등(50a)은 작업챔버의 내부 상단부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작업챔버 내부에서 실험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조명을 조사함으로써 실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안정기(50b)는 형광등(50a)을 구동하기 위한 안정기로서 형광등에 일정 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외선램프(60a)는 살균이 필요한 작업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살균을 할 수 있다.
상기 안정기(60b)는 자외선램프(60a)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여 자외선을 일정하게 조사하도록 한다.
상기 온도센서(80)는 작업챔버 내의 실온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장치(130)를 통하여 작업자에게 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챔버 내의 실온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댐퍼리미터(90)는 작업챔버로부터 회수되는 공기 중 일정량을 필터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시키는 댐퍼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도어센서(100)는 작업챔버의 외측에 투명한 도어를 구비하는데, 작업자로 하여금 도어를 회동시켰을 때 그 움직임을 감지하여 흡입팬 및 방출팬을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콘센트(110)는 작업챔버 내부에 외부전원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 콘센트에 플러그를 삽입하여 사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CPU(120)는 작업에 필요한 전반적인 조작 및 제어를 담당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30)는 각종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작업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조작스위치(140)는 수동적으로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간접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이오안전캐비넷의 풍속량 조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바이오안전캐비넷의 풍속량 조절 장치는 흡입량감지센서(10), 방출량감지센서(20), 흡입팬(30), 방출팬(40), 형광등(50a), 안정기(50b), 자외선램프(60a), 안정기(60b), 댐퍼모터(70), 온도센서(80), 뎀퍼리미터(90), 도어센서(100), 콘센트(110), CPU(120), 디스플레이장치(130) 및 조작스위치(140)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센서(100)는 작업챔버 외부에 위치한 도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바이오 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 장치를 가동시킨다. 상기 작업챔버 외부에 위치한 도어를 작업자가 작업을 위하여 상측방향으로 개방하였을 때, 도어의 움직임을 도어센서가 감지하여 형광등(50a)을 점등시키고, 흡입팬(30) 및 방출팬(40)을 가동시킨다.
이때, 흡입팬(30) 및 방출팬(40)은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에 적합한 형태로 제어될 수 있도록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따라 적정량의 풍량 및 풍속을 제공하도록 작동된다.
또한 조작스위치(140)를 통하여 작업자가 임의적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상기 댐퍼모터(70)는 작업챔버로부터 회수되는 공기 중 일정량을 필터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시키는 댐퍼를 작동시킨다. 이때, 댐퍼리미터(90)에 의해 댐퍼모터의 구동을 조절하여 댐퍼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온도센서(80)는 작업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작업시 작업챔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정보를 알 수 있게 한다.
상기 흡입량감지센서(10)는 작업챔버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흡입팬(30)과 근접하게 구비되어 흡입팬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 및 속도를 감지하여 흡입팬을 제어함으로써 작업챔버에 공급되는 공기량과 그 속도가 일정하도록 제어 한다.
상기 방출량감지센서(20)는 작업챔버에 내의 방출팬(40)과 근접하게 구비되어 작업챔버에 제공되는 공기량과 속도를 감지하여 방출팬을 제어함으로써 작업챔버 내부에 일정한 공기량과 속도를 제공하도록 하며, 그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정보를 알 수 있게 한다.
상기 형광등(50a)은 작업챔버 내부에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상기 형광등(50a)은 안정기(50b)를 구비함으로써, 일정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형광등의 조명 빛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형광등은 조작스위치(140)를 통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그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자외선램프(60a)는 작업챔버 내부 상단부에 구비되어, 실험시 자외선 살균 및 소독이 필요할 때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을 한다. 상기 자외선램프(60a)는 안정기(60b)를 구비함으로써, 일정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자외선램프의 조명 빛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콘센트(110)는 작업챔버 내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어서, 작업시 외부전 원이 필요한 경우 플러그를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CPU(120)는 흡입량감지센서(10) 및 방출량감지센서(2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분석하고, 흡입팬(30) 및 방출팬(40)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조작스위치(14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분석 및 제어를 제공하기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30)는 액정 및 LED 등을 이용함으로써, 적은 공간에서도 활용이 용이하며,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데 용이하다.
상기 조작스위치(140)는 흡입팬(10) 및 방출팬(20)의 수동조작, 형광등의 ON/OFF 조작, 자외선램프의 ON/OFF 조작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작스위치(140)는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상면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작업자로 하여금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작동하여 흡입팬으로 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작업챔버에 위치한 방출팬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흡입팬과 방출팬으로 공기가 유입될 때, 흡입팬과 근접하게 흡입량감지센서가 구비되어 흡입되는 공기량을 감지하고, 방출팬과 근접하게 방출량감지센서가 구비되어 방출되는 공기량을 감지한다. 상기와 같이 감지된 흡입공기량 및 방출공기량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고, CPU로 입력되어 방출량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공기량을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수동으로 조절 가능하기도 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장치의 제어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바오이안전캐비넷이 구동되면, 흡입팬 및 방출팬이 구동된다.(S10) 상기와 같이 구동된 흡입팬 및 방출팬과 근접하게 구비된 흡입량감지센서가 흡입팬으로 흡입되는 공기량 및 속도를 감지하고, 방출량감지센서가 방출팬으로 부터 방출되는 공기량 및 속도를 감지한다.(S20) 상기와 같이 감지된 정보는 CPU에 전달되어(S30) 풍속 및 풍량이 기준치 미만일 때는 FAN의 속도를 증가시켜 더 많은 공기를 제공하며(S40), 풍속 및 풍량이 기준치 이상일 때는 FAN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S50)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챔버 내부에서 작업을 할 때, 작업챔버로 공급되는 풍량 및 풍속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챔버 내부의 실제 풍속을 쉽게 알 수 있게 했으며, 실풍속 센서를 통하여 작업챔버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 및 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바이오 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장치에 있어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에 근접하게 구비된 흡입량감지센서;
    작업챔버에 공기를 공급하는 방출팬;
    상기 방출팬에 근접하게 구비된 방출량감지센서;
    작업챔버로부터 회수되는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댐퍼모터;
    상기 댐퍼모터를 제어하는 뎀퍼리미터; 및
    상기 흡입팬, 방출팬 및 댐퍼모터를 제어하는 CPU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은 흡입량감지센서가 감지한 공기량 및 속도에 의해 CPU를 통해 그 속도를 가감할 수 있는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팬은 방출량감지센서가 감지한 공기량 및 속도에 의해 CPU를 통해 그 속도를 가감할 수 있는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작업자에게 온도 및 풍속의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작업자에 의해 흡입팬 및 방출팬의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하는 조작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장치.
KR1020060065209A 2006-07-12 2006-07-12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 장치 KR100775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209A KR100775003B1 (ko) 2006-07-12 2006-07-12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209A KR100775003B1 (ko) 2006-07-12 2006-07-12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003B1 true KR100775003B1 (ko) 2007-11-08

Family

ID=39061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209A KR100775003B1 (ko) 2006-07-12 2006-07-12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0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00B1 (ko) 2009-08-18 2010-02-11 (주)현성에이원 생물안전작업대 및 그의 송풍제어방법
KR101778132B1 (ko) 2017-03-30 2017-09-13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사물인터넷(IoT)이 결합된 생물안전작업대
KR102165644B1 (ko) 2020-07-24 2020-10-14 (주)바이올 공기순환조절이 용이한 생물안전작업대
CN117046856A (zh) * 2023-10-12 2023-11-14 倚世节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风量控制方法、排风柜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5447U (ko) 1985-12-23 1987-07-06
JPH04105884A (ja) * 1990-08-23 1992-04-07 Hitachi Ltd 清浄作業台
JPH09170794A (ja) * 1995-12-19 1997-06-30 Itoki Crebio Corp ドラフトチャンバーの排気制御装置
KR200169827Y1 (ko) 1999-08-23 2000-02-15 이재천 위험미생물 보호 캐비넷의 팬 구동회로
JP2005156082A (ja) 2003-11-28 2005-06-16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安全キャビネッ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5447U (ko) 1985-12-23 1987-07-06
JPH04105884A (ja) * 1990-08-23 1992-04-07 Hitachi Ltd 清浄作業台
JPH09170794A (ja) * 1995-12-19 1997-06-30 Itoki Crebio Corp ドラフトチャンバーの排気制御装置
KR200169827Y1 (ko) 1999-08-23 2000-02-15 이재천 위험미생물 보호 캐비넷의 팬 구동회로
JP2005156082A (ja) 2003-11-28 2005-06-16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安全キャビネッ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00B1 (ko) 2009-08-18 2010-02-11 (주)현성에이원 생물안전작업대 및 그의 송풍제어방법
KR101778132B1 (ko) 2017-03-30 2017-09-13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사물인터넷(IoT)이 결합된 생물안전작업대
KR102165644B1 (ko) 2020-07-24 2020-10-14 (주)바이올 공기순환조절이 용이한 생물안전작업대
CN117046856A (zh) * 2023-10-12 2023-11-14 倚世节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风量控制方法、排风柜及计算机存储介质
CN117046856B (zh) * 2023-10-12 2024-01-23 倚世节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风量控制方法、排风柜及计算机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966B1 (ko) 공기조화기
KR100775003B1 (ko) 바이오안전캐비넷의 실풍속 조절 장치
EP1346735B1 (en) Ultraviolet pasteurizer
KR101252939B1 (ko)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819077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교환시기 표시방법
KR20160013646A (ko) 부유미생물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WO2010024163A1 (ja) 培養装置
KR100943991B1 (ko) 자외선 살균장치
KR100784843B1 (ko) 분리형 에어컨의 살균장치
KR200412920Y1 (ko) 위험 미생물 안전캐비넷
KR100884644B1 (ko) 연동 운전이 가능한 공기청정기
JP5341434B2 (ja) 培養装置
KR200347100Y1 (ko) 살균, 탈취 및 건조 수단을 구비한 신발수납장
KR100942200B1 (ko) 생물안전작업대 및 그의 송풍제어방법
EP4035696A1 (en) Sterilizer and sterilizing method
US20220260267A1 (en) Device for treating, in particular disinfecting, air, in particular room air, or surfaces
KR102520873B1 (ko) 각 방 개별 환기시스템
KR20200008094A (ko) 공기 청정 살균기
KR102615175B1 (ko) 실내 소독 장치용 제어 장치
KR100769239B1 (ko) 크린벤치의 배출구용 살균장치
WO2019207840A1 (ja) 安全キャビネット
KR102441392B1 (ko) 휴대용 공기살균장치
KR20090075156A (ko) 살균장치를 갖는 모니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CN206543595U (zh) 可控变量生物实验台
KR100916364B1 (ko) 바이오 안전캐비넷의 수평기류 흐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