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947Y1 -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947Y1
KR200496947Y1 KR2020170006062U KR20170006062U KR200496947Y1 KR 200496947 Y1 KR200496947 Y1 KR 200496947Y1 KR 2020170006062 U KR2020170006062 U KR 2020170006062U KR 20170006062 U KR20170006062 U KR 20170006062U KR 200496947 Y1 KR200496947 Y1 KR 200496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temperature sensor
rib
coupling rib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306U (ko
Inventor
김선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6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947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3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3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9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는, 길이를 갖는 온도 센서의 하단이 삽입되는 제 1홀이 형성되는 미들 홀더부와; 상기 미들 홀더부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제 1홀과 위치가 일치되며, 상기 온도 센서가 관통되는 제 2홀이 형성되는 리어 홀더부; 및 상기 미들 홀더부의 제 1홀의 근방에 형성되며, 상기 온도 센서의 외주를 밀착하여 고정하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CHARGING CONNECTOR HAVING A STRUCTURE FOR FIXING THERMOCOUPLE}
본 고안은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들 홀더와 리어홀더를 사용하여 길이를 갖는 온도 센서를 설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고정함과 아울러, 방수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충전용 커넥터는 홀더부의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상 온도를 이루는 경우 즉시 충전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는 안전 기능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홀더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도록 길이를 갖는 서모 커플러와 같은 길이를 갖는 온도 센서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충전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종래의 충전용 커넥터는 미들 홀더(10)와, 리어 홀더(30) 및, 씰(50)을 갖는다.
상기 미들 홀더(10)에는 제 1홀들(11)이 형성되고, 미들 홀더(10)의 상단에는 씰(50)이 배치된다. 상기 씰(50)에는 관통홀(51)이 형성된다.
상기 미들 홀더(10)에는 제 1홀(11)의 외주로 단차홀이 형성된다.
상기 씰(50)은 관통홀(51)이 형성되는 몸체와, 관통홀(51)을 주변으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 1홀(11)에 끼워지는 끼움단을 갖는다.
더하여, 상기 리어 홀더(30)는 씰(50)의 싱부에 배치되어 미들 홀더(10)와 결합되며, 온도 센서(20)가 관통되는 제 2홀(31)이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 의해, 제 1,2홀(11, 31)과 관통홀(51)은 서로 위치가 일치되며, 서로 위치가 일치되는 제 1,2홀(11, 31)과 관통홀(51)에 온도 센서(20)가 끼워진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온도 센서(20)는 제 1홀(11)에 끼워져 고정되기 때문에, 온도 센서(20)의 하단부 일부가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며, 씰(50)의 관통홀(51)에 끼워짐으로써, 방수가 이루어지고, 온도 센서(20)의 상단은 제 2홀(31)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온도 센서(20)는 그 하단부 만이 제 1홀(11)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취약하고, 씰(50)의 관통홀(51)에 끼워진 상태로 방수가 이루어짐으로써 방수를 위한 씰(50)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홀더부 내 공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온도 센서(20)의 상단을 별도로 고정하는 경우 별도의 고정 구조를 추가해야 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0-0013424호(공개일: 2000.03.06)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온도센서부착용커넥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미들 홀더와 리어홀더를 사용하여 길이를 갖는 온도 센서를 설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고정함과 아울러, 방수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는, 길이를 갖는 온도 센서의 하단이 삽입되는 제 1홀이 형성되는 미들 홀더부와; 상기 미들 홀더부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제 1홀과 위치가 일치되며, 상기 온도 센서가 관통되는 제 2홀이 형성되는 리어 홀더부; 및 상기 미들 홀더부의 제 1홀의 근방에 형성되며, 상기 온도 센서의 외주를 밀착하여 고정하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온도 센서가 관통되는 밀착홀이 형성되는 방수 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방수 리브는, 상기 제 1홀의 외주 영역에서, 상방을 따라 설정된 길이를 이루어 연장되고, 상기 리어 홀더부 내로 삽입되어 상기 온도 센서의 외주면 및 상기 리어 홀더부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 및 경사 접촉하여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립부는, 제 1결합 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 1결합 리브는, 상기 방수 리브의 하단 외주로부터 상방을 따라 설정된 내경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방수 리브의 외주는 상기 제 1결합 리브의 내주의 사이에는 결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방수 리브는 상기 결합 공간의 내측에서 상기 리어 홀더부의 내주면과 경사 접촉하여 밀착되고, 상기 제 1결합 리브는 상기 결합 공간의 외측에서 상기 리어 홀더부의 외주면과 경사 접촉하여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 홀더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2홀의 외주로부터 하방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결합 공간에 끼워져, 상기 제 1결합 리브 및, 상기 방수 리브와 결합되는 제 2결합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방수 리브는 상기 결합 공간의 내측에서 상기 제 2결합 리브의 내주면과 경사 접촉하여 밀착되고, 상기 제 1결합 리브는 상기 결합 공간의 외측에서 상기 제 2결합 리브의 외주면과 경사 접촉하여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들 홀더부와 상기 리어 홀더부의 사이에는, 씰링부가 설치된다.
상기 씰링부는, 상기 제 1결합 리브의 단부가 상기 제 2결합 리브와 만나는 부위를 커버하며 상기 제 1결합 리브 및 상기 제 2결합 리브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 리브의 두께는, 상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결합 리브의 두께는, 하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고안은, 미들 홀더와 리어홀더를 사용하여 길이를 갖는 온도 센서를 설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고정함과 아울러, 방수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충전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충전용 커넥터에서, 미들 홀더부에 온도 센서가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충전용 커넥터에서, 미들 홀더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씰부에 온도 센서가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충전용 커넥터에서, 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리어 홀더부에 온도 센서가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B-B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충전용 커넥터에서, 미들 홀더부에 온도 센서가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충전용 커넥터에서, 미들 홀더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씰부에 온도 센서가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충전용 커넥터에서, 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리어 홀더부에 온도 센서가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선 B-B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 하면, 본 고안의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는, 커넥터 몸체부(10)와, 길이를 갖는 온도 센서(20)의 하단이 삽입되는 제 1홀(110)이 형성되는 미들 홀더부(100)와, 씰링부(200)와, 상기 미들 홀더부(100)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제 1홀(110)과 위치가 일치되며, 상기 온도 센서(20)가 관통되는 제 2홀(310)이 형성되는 리어 홀더부(300)와, 상기 미들 홀더부(100)의 제 1홀(110)의 근방에 형성되며, 상기 온도 센서(20)의 외주를 밀착하여 고정하는 그립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미들 홀더부(100)를 설명한다.
상기 미들 홀더부(10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제 1홀(11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홀(110)은 설정된 깊이를 이루는 홀로 형성되며, 이에는 길이를 갖는 온도 센서(20)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그립부(400)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르는 그립부(400)는 미들 홀더부(100)에 형성된다.
상기 그립부(400)는, 상기 온도 센서(20)가 관통되는 밀착홀(411)이 형성되는 방수 리브(410)를 포함한다.
상기 방수 리브(410)는, 상기 제 1홀(110)의 외주 영역에서, 상방을 따라 설정된 길이를 이루어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방수 리브(410)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홀(110)의 외주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방수 리브(410)는 그 횡단면이 반달 형상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는 한 쌍의 방수 리브(410)는 제 1홀(110)의 외주 영역에서 상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며, 서로 마주 보는 면이 평면을 형성하고, 외측부로 곡률을 형성하는 구조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한 쌍의 방수 리브(410)의 사이에는 온도 센서(20)의 양측부를 밀착하는 밀착홀(4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방수 리브(410)는 하단에서 상방을 따라 종단면이 뾰족해 지도록 형성되는 단면을 형성하며, 일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400)는, 제 1결합 리브(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결합 리브(420)는, 상기 방수 리브(410)의 하단 외주로부터 상방을 따라 설정된 내경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수 리브(410)의 외주는 상기 제 1결합 리브(420)의 내주의 사이에는 결합 공간(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결합 리브(420)는 원통 형상의 홀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결합 리브(420)를 에워싸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제 1결합 리브(420)와 방수 리브(410)의 사이에 결합 공간(a)이 형성도록 제 1홀(110)의 외주 영역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는 리어 홀더부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르는 리어 홀더부(300)는 상기 미들 홀더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제 2홀(310)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제 2홀(310)은 미들 홀더부(100)에 형성되는 제 1홀들(110)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2홀(310)에는 상술한 온도 센서(20)가 통과하는 홀이다.
여기서, 상기 리어 홀더부(30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2홀(310)의 외주로부터 하방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결합 공간(a)에 끼워져, 상기 제 1결합 리브(420) 및, 상기 방수 리브(410)와 결합되는 제 2결합 리브(320)가 형성된다.
상기 제 2결합 리브(320)는 종단면이 하단을 따라 뾰족해지는 형상을 이루는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수 리브(410)의 두께는, 상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결합 리브(320)의 두께는, 하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방수 리브(410)의 사이에 형성되는 밀착홀(411)의 사이 간격은, 상기 온도 센서(2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 리브(410)의 상단 외측면 간의 간격은, 상기 제 2홀(310)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방수 리브(410)와 상기 제 2결합 리브(320)는 서로 경사 접촉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미들 홀더부(100)와 상기 리어 홀더부(300)의 사이에는, 씰링부(200)가 설치된다.
상기 씰링부(200)는, 상기 제 1결합 리브(420)와 상기 제 2결합 리브(320)의 외주부를 씰링하되, 상기 제 1결합 리브(420)의 외주는, 상기 방수 리브(410)에 의해 밀착되어 에워싸일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충전용 커넥터에서의 온도 센서의 구정 방식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 하면, 미들 홀더부(100)는 커넥터 몸체부(10)에 배치된다.
이때, 미들 홀더부(100)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1홀(110)은 외부에 개방된 상태를 이루며, 제 1홀들(110) 각각의 외주 영역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방수 리브(410) 및, 한 쌍의 방수 리브(410)의 외측에는 홀 형상의 제 1결합 리브(420)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 1결합 리브(420)의 내주와 상기 한 쌍의 방수 리브(410)의 외측 사이에는 결합 공간(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방수 리브(410)는 일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어, 본 고안에 따르는 온도 센서(20)를 상기 제 1홀(110)에 그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 센서(20)는 미들 홀더부(100)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이어,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들 홀더부(100)의 상부에는 씰링부(200)가 배치된다.
상기 씰링부(200)에 형성되는 다수의 홀(210)은 제 1결합 리브(420)의 외주를 에워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씰링부(200)에 형성되는 홀(210)의 내주에는 주름(220)이 형성되고, 이 주름은 제 1결합 리브(420)의 단부와 후술할 제 2결합 리브(320) 사이 틈새가 형성될 수 있는 부위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방수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씰링부(200)의 상단은 상기 제 1결합 리브(420)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어 홀더부(300)는 씰링부(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태로, 미들 홀더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어 홀더부(300)의 제 2홀(310)의 외주 영역에서 하단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 2결합 리브들(320)은, 상술한 결합 영역(a)으로 진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진입되는 제 2결합 리브(320)는 홀로 형성되는 제 1결합 리브(420)의 내부 즉, 결합 공간(a)으로 진입된다.
이와 동시에, 제 2결합 리브(320)는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제 2결합 리브(320)의 내측면은, 한 쌍의 방수 리브(410)의 외측면과 경사 접촉되는 상태로 온도 센서(20)의 양측면을 서서히 가압한다. 동시에, 상기 제 2결합 리브(320)의 외측면은, 상기 제 1결합 리브(420)의 내측면과 경사 접촉되어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 센서(20)로 액체가 유입되 위해서는, 순차로, 상기 제 1결합 리브(420)의 내주면과 이에 경사 접촉하여 밀착되는 상기 제 2결합 리브(32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 상기 제 2결합 리브(320)의 내주면과 이에 경사 접촉하여 밀착되는 상기 방수 리브(41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온도 센서(20)의 외주면과 이에 밀착되는 상기 방수 리브(410) 사이 공간을 거쳐야만 하므로 방수 성능이 발휘될 수 있고, 상기 제 1결합 리브(420)와 상기 제 2결합 리브(320) 사이의 공간은 상기 씰링부(200)가 씰링하고 있으므로 방수 성능은 더더욱 개선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방수 리브(41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따라 서서히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이들 사이에 위치되는 온도 센서(2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온도 센서(20)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20)의 상단부는 제 2홀(3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르는 온도 센서(20)의 하단부는 제 1홀(110)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고, 아울러, 온도 센서(20)의 하단부 상측은, 그 양측면이 상술한 바와 같이 조여지는 한 쌍의 방수 리브(410)에 의해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미들 홀더부(100)와 리어 홀더부(300)의 사이는 본 고안에 따르는 씰링부(200)에 의해 씰링됨으로서 외부로부터 방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르는 실시예는 미들 홀더와 리어홀더를 사용하여 길이를 갖는 온도 센서를 설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고정함과 아울러, 방수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커넥터 몸체부
20 : 온도 센서
100 : 미들 홀더부
110 : 제 1홀
200 : 씰링부
210 : 홀
220 : 주름
300 : 리어 홀더부
310 : 제 2홀
320 : 제 2결합 리브
400 : 그립부
410 : 방수 리브
420 : 제 2결합 리브
a : 결합 공간

Claims (8)

  1. 삭제
  2. 길이를 갖는 온도 센서의 하단이 삽입되는 제 1홀이 형성되는 미들 홀더부;
    상기 미들 홀더부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제 1홀과 위치가 일치되며, 상기 온도 센서가 관통되는 제 2홀이 형성되는 리어 홀더부; 및
    상기 미들 홀더부의 제 1홀의 근방에 형성되며, 상기 온도 센서의 외주를 밀착하여 고정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온도 센서가 관통되는 밀착홀이 형성되는 방수 리브, 및
    제 1결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리브는,
    상기 제 1홀의 외주 영역에서, 상방을 따라 설정된 길이를 이루어 연장되고,
    상기 제 1결합 리브는,
    상기 방수 리브의 하단 외주로부터 상방을 따라 설정된 내경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리어 홀더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2홀의 외주로부터 하방을 따라 연장되는 제 2결합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방수 리브의 두께는, 상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결합 리브의 두께는, 하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결합 리브의 내주면은 상기 방수 리브와, 상기 제 2결합 리브의 외주면은 상기 제 1결합 리브와 경사 접촉함으로써 밀착되고,
    상기 미들 홀더부와 상기 리어 홀더부의 사이에는, 씰링부가 설치되되,
    상기 씰링부는,
    상기 제 1결합 리브의 단부와 상기 제2 결합 리브가 만나는 부위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며 씰링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방수 리브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높이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소정 높이로부터 그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그 굵기가 상부에 비하여 더 굵은 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170006062U 2017-11-27 2017-11-27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 KR200496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062U KR200496947Y1 (ko) 2017-11-27 2017-11-27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062U KR200496947Y1 (ko) 2017-11-27 2017-11-27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306U KR20190001306U (ko) 2019-06-05
KR200496947Y1 true KR200496947Y1 (ko) 2023-06-20

Family

ID=6681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062U KR200496947Y1 (ko) 2017-11-27 2017-11-27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94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628A1 (ko) * 2019-08-12 2021-02-18 (주)디앤더블유 안전장치를 구비한 전기접속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2047B2 (ja) * 2013-03-19 2015-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車両側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8625B2 (ja) * 1993-11-04 1998-06-25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01267000A (ja) * 2000-03-21 2001-09-28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2047B2 (ja) * 2013-03-19 2015-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車両側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306U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29471B (zh) 带有传感器的防护装置
US9360348B2 (en) Sensor device, in particular for use in a motor vehicle
US7946444B2 (en) TML inspection port
US9630574B2 (en) Exterior component for a vehicle
KR102266018B1 (ko) 물리량 측정 센서
KR101766144B1 (ko) 온도센서 일체형 압력센서
JP2018125078A5 (ko)
KR200496947Y1 (ko)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
EP2927657B1 (en) Fluid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041845B2 (en) Force sensor device
RU2015118918A (ru)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чувствительным элементом
US20090293629A1 (en) Air pressure sensor
JP2007285776A (ja) ガスセンサ
JP2017102338A (ja) 車載カメラ
JP5514239B2 (ja) 車載センサ
US20180312123A1 (en) Device case closing structure
US10088445B2 (en) Gas sensor
JP5866246B2 (ja) 圧力センサ
KR101503030B1 (ko) 센서 교체가 용이한 워터 센서 프로브
CN208782138U (zh) 一种防水插座
JP2019071732A5 (ko)
CN103453960B (zh) 流量计
US9804049B2 (en) Pressure detection device and intake pressure measure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JP7304642B2 (ja) 計測装置
KR102543502B1 (ko) 압력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