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845Y1 - 벨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845Y1
KR200496845Y1 KR2020200004935U KR20200004935U KR200496845Y1 KR 200496845 Y1 KR200496845 Y1 KR 200496845Y1 KR 2020200004935 U KR2020200004935 U KR 2020200004935U KR 20200004935 U KR20200004935 U KR 20200004935U KR 200496845 Y1 KR200496845 Y1 KR 200496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insert member
belt
belt convey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700U (ko
Inventor
김석중
Original Assignee
김석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중 filed Critical 김석중
Priority to KR2020200004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45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7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7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8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characterised by particular locking means
    • F16B5/008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characterised by particular locking means with locking means mov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e.g. pins,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58Conveyor systems, e.g. rollers or bear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탄이나 시멘트, 또는 협잡물(挾雜物)의 운반 시, 벨트의 사행운동(蛇行運動)을 방지하기 위해, 벨트의 양측이 경사지도록 메인롤러의 양측에 각각 별도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 구성된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롤러와 가이드롤러의 구조를 개선하여 비용 절감은 물론, 결합분리 및 보수가 용이하고, 나아가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는,
일정간격 평행하게 배치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다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에 엔들리스 형상으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트가 포함된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는 베어링하우징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지지 결합되고, 표면에는 소경부및 대경부를 갖는 경사안내면이 구비된 콘 형상의 콘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콘블록은 내부에 무게를 줄이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내부에 갖는 보스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부와 상기 경사안내면 사이에 위치한 공간부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연결리브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고, 인서트부재 및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샤프트와 분리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며,
상기 인서트부재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삽입공이 구비되고, 측면에는 고정나사가 체결되는 나사공이 상기 샤프트삽입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삽입공이 구비되고, 측면에는 고정나사가 체결되는 나사공이 상기 샤프트삽입공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콘블록의 소경부가 위치한 보스부의 단부에는 상기 인서트부재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홈에 압입된 상기 인서트부재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
본 고안은 석탄이나 시멘트, 또는 협잡물(挾雜物)의 운반 시, 벨트의 사행운동(蛇行運動)을 방지하기 위해, 벨트의 양측이 경사지도록 메인롤러의 양측에 각각 별도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 구성된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롤러와 가이드롤러의 구조를 개선하여 비용 절감은 물론, 결합분리 및 보수가 용이하고, 나아가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는 길이방향의 양측단에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풀리(Pulley)가 배치되며, 상기 풀리에 엔들리스(Endless) 형상으로 벨트가 감겨지고, 상기 벨트의 하측으로 다수의 롤러가 배치되어, 벨트의 이동에 따라 롤러가 자연스럽게 회전함으로써, 벨트의 상면에 놓인 이송물이 운반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석탄이나 시멘트, 협잡물을 운반하는 경우에는, 벨트의 사행운동에 의해 벨트의 상면에 놓인 이송물이 벨트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벨트의 양측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구성된다.
부연하면, 벨트의 중앙부 하측에는 벨트와 평행하도록 메인롤러가 배치되며, 메인롤러의 양측에 각각 별도의 가이드롤러를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양 가이드롤러에 의해 벨트의 양측이 자연스럽게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벨트의 상면에 놓인 이송물이 벨트의 양측 외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는 많은 양의 롤러가 설치에 소모되므로, 이에 따라 설치가 어렵고 비용이 증가하며, 특히 상기 메인롤러 및 양 가이드롤러가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각 롤러에 대한 관리 및 보수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일측에 배치된 하나의 가이드롤러가 손상되어 비회전하거나 각 롤러의 회전력에 차이가 생기면, 구동하는 벨트에 불규칙적인 유동이 발생하고 경우에 따라 벨트에 휨현상이 발생하는 등,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59618에 따르면, 벨트용 컨베이어의 설비프레임의 상, 하측에 배치된 다수의 캐리어롤러와 리턴롤러를 마련하여 벨트가 무한궤도 운동을 하면서 이송물을 운반하도록 하는 캐리어롤러에 있어서, 캐리어롤러는 설비프레임의 양측으로 베어링메탈을 마련하여 롤러축과 베어링 결합하는 롤러축을 마련하되 롤러축의 중앙에는 중앙롤러를 삽입하고 중앙롤러의 양측에는 중앙롤러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롤러를 마련하되, 경사롤러의 내부에는 연결대로 연결된 하우징과 롤러축의 경계면에 키를 마련하고 경사롤러의 양측으로 멈춤링을 롤러축에 마련하여 고정하는 벨트용 컨베이어 롤러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경사롤러와 롤러축을 키로 고정시키기 위해 키를 삽입하여 제작하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107885호 (실용 출원1994-02075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9-0059618호
본 고안은 석탄이나 시멘트, 또는 협잡물의 운반 시, 벨트의 사행운동(蛇行運動)을 방지하기 위해, 벨트의 양측이 경사지도록 메인롤러의 양측에 각각 별도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벨트 컨베이어를 이루는 각 구성 중, 상기 메인롤러와 가이드롤러의 구조를 개선하여, 비용 절감은 물론, 결합분리 및 보수가 용이하고, 나아가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정간격 평행하게 배치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다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에 엔들리스 형상으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트가 포함된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는 베어링하우징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지지 결합되고, 표면에는 소경부및 대경부를 갖는 경사안내면이 구비된 콘 형상의 콘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콘블록은 내부에 무게를 줄이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내부에 갖는 보스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부와 상기 경사안내면 사이에 위치한 공간부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연결리브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고, 인서트부재 및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샤프트와 분리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며,
상기 인서트부재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삽입공이 구비되고, 측면에는 고정나사가 체결되는 나사공이 상기 샤프트삽입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삽입공이 구비되고, 측면에는 고정나사가 체결되는 나사공이 상기 샤프트삽입공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콘블록의 소경부가 위치한 보스부의 단부에는 상기 인서트부재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홈에 압입된 상기 인서트부재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석탄이나 시멘트, 또는 협잡물의 운반 시, 벨트의 사행운동(蛇行運動)을 방지하기 위해, 벨트의 양측이 경사지도록 메인롤러의 양측에 각각 별도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벨트 컨베이어를 이루는 각 구성 중에서, 상기 메인롤러와 가이드롤러의 구조를 개선하여 비용 절감은 물론, 결합분리 및 보수가 용이하고, 나아가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샤프트와 콘블록을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를 결합하는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의 콘블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의 콘블럭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의 인서트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의 인서트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설명에서는 도 1 기준으로 벨트(130)의 방향을 상방, 베이스프레임(110)의 방향을 하방, 도면의 좌측을 후방, 도면의 우측을 전방이라 정한다.
본 고안인 벨트 컨베이어(100)는,
일정간격 평행하게 배치된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다수의 이송롤러(120), 상기 이송롤러(120)에 엔들리스(Endless)형상으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트(130)로 이루어진 벨트컨베이어에 한정한 구성이다.
각 구성을 살펴보면,
이송롤러(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벨트(130)의 저면과 접하도록 벨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배치되어, 벨트(130)의 구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벨트(130)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으로서,
베어링하우징(111)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샤프트(121)와;
상기 샤프트(121)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지지 결합되고, 표면에는 소경부(小徑部)(1221)및 대경부(大徑部)(1222)를 갖는 경사안내면(1223)이 구비된 콘(Cone)형상의 콘블록(12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이송롤러(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구동하는 벨트(130)는 중앙부가 함몰되고 양측 가장자리는 외측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변형된 상태로 구동되므로, 벨트(130)의 상면에 놓인 이송물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121)의 양단부가 각 베이스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110)의 외부로 노출된 샤프트(121)의 양단부는 베어링하우징(111)에 지지 결합된다.
즉, 벨트(130)의 구동에 따라 벨트(130)의 저면과 접하는 샤프트(121)와 콘블록(122)이 상기 베어링하우징(111)을 기준으로 동시에 회전하면서 벨트(130)의 구동을 가이드 하는 것이다.
콘블록(122)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무게를 줄이기 위한 공간부(1224)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24)에는 상기 샤프트(121)가 삽입되는 중공부(1225a)를 내부에 갖는 보스부(1225)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부(1225)와 상기 경사안내면(1223) 사이에 위치한 공간부(1224)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판 형상의 연결리브(1226)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콘블록(122)의 소경부(1221)가 위치한 보스부(1225)의 단부에는 인서트부재(140)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회전방지홈(1227)이 형성되고, 이 회전방지홈(1227)에 인서트부재(140)가 압입되어 인서트부재(14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인서트부재(14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샤프트(121)가 삽입되는 샤프트삽입공(141)이 마련되고, 측면에는 고정나사(142)가 체결되는 나사공(143)이 샤프트삽입공(141)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121)가 회전됨에 따라 인서트부재(140)가 회전되고, 인서트부재(140)가 회전방지홈(1227)에서 회전되지 않고 콘블록(122)에 회전을 전달할 수 있다.
회전방지홈(1227)에 압입된 인서트부재(14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부재(140)가 너트(Nut)이고, 이에 대응한 형태로 회전방지홈(1227)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인서트부재(140)의 측면과 회전방지홈(1227)의 내벽이 밀착되어 인서트부재(14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부재(140)는 다각봉이고, 회전방지홈(1227)에는 인서트부재(140)의 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돌기(1221a)가 회전방지홈(1227)의 내벽을 따라 형성된다. 이 때, 돌기(1221a)는 삽입방향으로 연장된 기다란 반원형일 수 있고, 사각형일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부재(140)는 스플라인(Spline)형태일 수 있다. 이는 인서트부재(140)의 측면에 요철이 많이 생성되어 회전방지홈(1227)의 돌기(1221a)에 더 많은 면이 밀착될수 있게 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블록(122)은 인서트부재(140) 및 고정부재(150)에 의해 샤프트(121)와 분리가능하게 지지 결합된다. 고정부재(15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샤프트(121)가 삽입되는 샤프트삽입공(151)이 마련되고, 측면에는 고정나사(152)가 체결되는 나사공(153)이 형성된다.
또한, 인서트부재(140) 및 고정부재(150)가 위치한 샤프트(121)에는 고정나사(142,152)의 단부가 밀착되어 걸리는 면가공부(1211)가 형성되는데, 각 고정나사(142, 152)와 샤프트(121)가 상호 면접촉을 하며 결합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정리하면, 인서트부재(140)에 의해 샤프트(121)와 콘블록(122)이 상호 결합되며, 인서트부재(140)는 회전방지홈(1227)에 압입되어 회전되지 않고, 콘블록(122)은 고정부재(150)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지 않는다. 이로써, 샤프트(121)와 콘블록(122)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벨트(130)가 구동됨에 따라 샤프트(121)와 콘블록(122)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인서트부재(140) 및 고정부재(150)는 중공부(1225a)로 유입되는 이물질 등을 차단할 수 있어 사용자가 수월하게 이송롤러(120)를 관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블록(122)의 공간부(1224)는 밀폐커버(123)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콘블록(122)의 연결리브(1226)에는 결합돌조(1228)가 돌출형성된다. 밀폐커버(123)의 내부에는 샤프트(121)가 삽입되는 샤프트삽입홀(1231)과, 콘블록(122)의 결합돌조(1228)가 끼워지는 돌조삽입공(1232)이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폐커버(123)는 콘블록(122)의 공간부(1224)를 효과적으로 밀폐하도록 콘블록(122)의 대경부(1222)의 직경과 근접한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폐커버(123)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콘블록(122)의 대경부(1222)의 내측벽에는 끼움홈(1222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콘블록(122)의 외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공간부(1224)로 이물질이나, 경우에 따라 이송물이 유입되어 이송롤러(120)의 회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은 밀폐커버(123)가 콘블록(122)의 외측을 차단하고 있는 구성이므로, 상기 콘블록(122)의 무게를 줄이는 동시에, 상기 공간부(1224)로 이물질이나 이송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송롤러(120)의 회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블록(122) 대경부(1222)의 둘레에는 이탈방지스커트(1229)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이탈방지스커트(1229)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호 마주하는 콘블록(122)에 형성된 두 이탈방지스커트(1229) 사이에는 상기 벨트(130)의 양측단이 걸리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동하는 벨트(130)가 콘블록(122)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하나의 이송롤러(120)가 종래의 다수 개로 구성된 이송롤러의 역할을 대체함으로써, 벨트에 불규칙적인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벨트의 휨현상이나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샤프트(121)와 콘블럭(122)이 견고하게 결합되면서도 동시에 용이하게 분리됨으로써, 이송롤러(120)에 대한 관리 및 보수가 용이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벨트 컨베이어"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벨트 컨베이어 110 ; 베이스프레임
111 ; 베어링하우징 120 ; 이송롤러
121 ; 샤프트 1211 ; 면가공부
122 ; 콘블록 1221 ; 소경부
1221a ; 돌기 1222 ; 대경부
1223 ; 경사안내면 1224 ; 공간부
1225 ; 보스부 1225a ; 중공부
1226 ; 연결리브 1227 ; 회전방지홈
1228 ; 결합돌조 1229 ; 이탈방지스커트
123 ; 밀폐커버 1231 ; 샤프트삽입홀
1232 ; 돌조삽입공 130 ; 벨트
140 ; 인서트부재 141 ; 샤프트삽입공
142 ; 고정나사 143 ; 나사공
150 ; 고정부재 151 ; 샤프트삽입공
152 ; 고정나사 153 ; 나사공

Claims (4)

  1. 일정간격 평행하게 배치된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다수의 이송롤러(120)와, 상기 이송롤러에 엔들리스 형상으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트(130)가 포함된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120)는 베어링하우징(111)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샤프트(121)와,
    상기 샤프트(121)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지지 결합되고, 표면에는 소경부(1221)및 대경부(1222)를 갖는 경사안내면(1223)이 구비된 콘 형상의 콘블록(122)으로 구성되며,
    상기 콘블록(122)은 내부에 무게를 줄이기 위한 공간부(1224)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24)에는 상기 샤프트(121)가 삽입되는 중공부(1225a)를 내부에 갖는 보스부(1225)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부(1225)와 상기 경사안내면(1223) 사이에 위치한 공간부(1224)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연결리브(1226)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고, 인서트부재(140) 및 고정부재(150)에 의해 상기 샤프트(121)와 분리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며,
    상기 인서트부재(14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샤프트(121)가 삽입되는 샤프트삽입공(141)이 구비되고, 측면에는 고정나사(142)가 체결되는 나사공(143)이 상기 샤프트삽입공(141)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5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샤프트(121)가 삽입되는 샤프트삽입공(151)이 구비되고, 측면에는 고정나사(152)가 체결되는 나사공(153)이 상기 샤프트삽입공(15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콘블록(122)의 소경부(1221)가 위치한 보스부(1225)의 단부에는 상기 인서트부재(140)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회전방지홈(1227)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홈(1227)에 압입된 상기 인서트부재(14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재(140)는 너트(Nut)이고, 상기 회전방지홈(1227)은 상기 인서트부재(140)가 삽입되도록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재(140)는 다각봉이고, 상기 회전방지홈(1227)에는 상기 인서트부재(140)의 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돌기(1221a)가 상기 회전방지홈(1227)의 내벽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재(140)는 스플라인(Spline)형태이고, 상기 인서트부재(140)의 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돌기(1221a)가 상기 회전방지홈(1227)의 내벽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KR2020200004935U 2020-12-30 2020-12-30 벨트 컨베이어 KR200496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35U KR200496845Y1 (ko) 2020-12-30 2020-12-30 벨트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35U KR200496845Y1 (ko) 2020-12-30 2020-12-30 벨트 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00U KR20220001700U (ko) 2022-07-07
KR200496845Y1 true KR200496845Y1 (ko) 2023-05-10

Family

ID=8239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935U KR200496845Y1 (ko) 2020-12-30 2020-12-30 벨트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6239B (zh) * 2023-09-27 2024-01-23 四川鑫业纸业有限公司 具有快拆结构的滚筒输送机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400580U (zh) 2011-12-31 2012-08-29 江苏丰东热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高温输送滚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997Y1 (ko) * 1993-10-30 1996-09-20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공작물 센터링용 v-블록
KR0107885Y1 (en) 1994-08-17 1997-10-23 Posco Belt guiding device
KR20090059618A (ko) 2007-12-07 2009-06-11 주식회사 진성산업기계 벨트용 컨베이어 롤러
KR20090059619A (ko) * 2007-12-07 2009-06-11 주식회사 진성산업기계 벨트용 컨베이어 롤러의 탄성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400580U (zh) 2011-12-31 2012-08-29 江苏丰东热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高温输送滚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00U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6845Y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13237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롤러
KR200445609Y1 (ko) 연속식 하역기의 버켓 가이드 롤러장치
KR200419883Y1 (ko) 링크체인형 컨베어벨트의 회전안내장치
KR200494984Y1 (ko) 경량화 구조를 갖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CN111169947B (zh) 一种自清理、低噪音的管链式饲料输送机
KR102202430B1 (ko) 벨트 컨베이어
US3216553A (en) Tubular conveyors
KR200233688Y1 (ko) 컨베이어용 롤러
ES8403411A1 (es) Mejoras en la construccion de bombas helicoidales.
CN205837877U (zh) 一种自清洁式上皮带纠偏装置
CN205132319U (zh) 一种输送带的防护机构
CN101158358A (zh) 土豆输送泵
CN210150169U (zh) 一种带有上下托辊组的皮带输送机
CN113460592A (zh) 可拆式无轴螺旋体防拱装置及水平式无轴螺旋输送机
CN219985577U (zh) 轴承内/外圈清洗装置
CN210028885U (zh) 一种模块式塑料输送带
KR101849006B1 (ko)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CN214086345U (zh) 一种适于提成密封效果的托辊
KR102094735B1 (ko) 방수 방진용 패킹
KR200238371Y1 (ko) 베어링하우징 카트리지
JP2020050456A (ja) フライトコンベア
KR200356010Y1 (ko) 합성수지재 컨베이어용 로울러
CN220164878U (zh) 一种建筑工程用输送带
CN217402082U (zh) 一种管道内检测器上密封防尘可往复的支撑轮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