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757Y1 - Smart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speed - Google Patents

Smart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spe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757Y1
KR200496757Y1 KR2020220002251U KR20220002251U KR200496757Y1 KR 200496757 Y1 KR200496757 Y1 KR 200496757Y1 KR 2020220002251 U KR2020220002251 U KR 2020220002251U KR 20220002251 U KR20220002251 U KR 20220002251U KR 200496757 Y1 KR200496757 Y1 KR 200496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unit
collis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25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2547U (en
Inventor
박채영
Original Assignee
박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채영 filed Critical 박채영
Priority to KR2020220002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757Y1/en
Publication of KR202200025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54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75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1/00Road engineering aspects of Embedding pads or other sensitive devices in paving or other road surfaces, e.g. traffic detectors, vehicle-operated pressure-sensitive actuators, devices for monitoring atmospheric or road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 물리적 손상을 입히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운전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설치 구간에서 감속을 유도할 수 있는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지중에 매설되고 가장자리에 충돌부가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실린더에 의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어 상기 커버부를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하강시키거나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구동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롤러부는 차량 속도 감지부와 연동하여 구동되며, 상기 차량 속도 감지부로부터 과속 신호가 접수되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일정깊이만큼 하강하여 상기 충돌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mart speeding prevention device capable of maximally preventing physical damage to a vehicle and inducing a driver to naturally decelerate in an installation se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buried in the ground and the main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collision portion at the edge; a cover portion having one end pivotab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driving roller par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part and turned at a predetermined radius by a cylinder to lower the cover part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art or return it to an original state, wherein the driving roller part is driven in conjunction with a vehicle speed sensor, , When an overspee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it is turned at a predetermined radius so that the cover unit descends into the body unit by a predetermined depth, thereby exposing the collision unit to the outside.

Description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Smart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speed}Smart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speed {Smart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speed}

본 고안은 과속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eding preven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speeding prevention device.

일반적으로, 과속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과속 방지턱(speed bump)이 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과속 방지턱은 학교 주변의 스쿨존이나 주택가 주변 또는 사람이 많이 통행하는 차도 등에 설치되어 주로 통행 차량의 과속 주행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고 있다.In general, a speed bump is mainly installed as a device for preventing speeding. These speed bumps are installed in school zones around schools, around residential areas, or on roads where many people pass, and are mainly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speeding driving of passing vehicles.

이러한 과속 방지턱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차량의 과속을 제한하는 용도 이외에 교통량 감소, 보행자 공간 확보, 차도 경관 개선 및 노상주차 억제와 같은 부수적인 기능에 대한 요구도 제기된다.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limiting the speeding of vehicles in terms of functionality, these speed bumps are also required for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reducing traffic volume, securing pedestrian space, improving road scenery, and suppressing on-street parking.

한편 이러한 과속 방지턱은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일정 높이의 언덕을 형성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속도를 낮추도록 유도하도록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se speed bumps are installed to induce the driver to lower the speed by forming a hill of a certain height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travels.

그러나 종래의 과속 방지턱은 주행 중에 운전자가 과속 방지턱이 설치되었음을 인지하고, 차량의 속도를 낮추더라도 과속 방지 턱을 통과하는 순간 차량에 전해지는 충격력이 온전히 차량과 운전자에게 전달되어 차량이 심하게 흔들리게 되고, 그로 인해 오히려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방해하는 위험 요인이 되기도 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peed bump, the driver recognizes that the speed bump is installed while driving, and even if the speed of the vehicle is lowered, the moment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speed bump,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to the vehicle is completely transmitted to the vehicle and the driver, and the vehicle shakes severely However, it can become a risk factor that hinders the driver's safe driving.

또한 종래의 과속 방지턱은 도 1의 (a)와 같이 도로 폭에 따라 과속 방지턱의 설치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나, 실제 설치시에 이러한 설치기준을 따르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speed bump, installation standards for speed bumps a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road width as shown in (a) of FIG. 1, but in actual installation, these installation standards are often not followed.

예를 들어 설치기준보다 높게 과속 방지턱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1의 (b)와 같이 차량이 통과할 때, 차체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특히 이러한 과속 방지턱에 차고가 낮은 차량이 통과하는 경우, 차량의 하체에 물리적 손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과속 방지턱의 표면에도 손상이 발생되어 도로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For example, when a speed bump is installed higher than the installation standard, a large impact may be applied to the vehicle body when the vehicle passes as shown in (b) of FIG. 1 . In particular, when a vehicle with a low height passes through such a speed bump,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wer body of the vehicle is physically damaged.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speed bump is also damaged, which may be a factor that impairs the aesthetics of the road.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7030호(공고일자: 2012년 11월 06일)<Prior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197030 (Announcement date: November 06, 2012)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에 물리적 손상을 입히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운전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설치 구간에서 강요가 아닌 유연하게 감속을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event physical damage to the vehicle as much as possible, and to induce the driver to select deceleration flexibly rather than forcefully in the installation section. intended to provid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지중에 매설되고 가장자리에 충돌부가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실린더에 의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어 상기 커버부를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하강시키거나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구동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롤러부는 차량 속도 감지부와 연동하여 구동되며, 상기 차량 속도 감지부로부터 과속 신호가 접수되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일정깊이만큼 하강하여 상기 충돌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part is buried in the ground and the collision part is provided at the edge; a cover portion having one end pivotab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driving roller par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part and turned at a predetermined radius by a cylinder to lower the cover part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art or return it to an original state, wherein the driving roller part is driven in conjunction with a vehicle speed sensor, , When an overspee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a smart speeding prevention device is provided in which the cover part is turned at a predetermined radius and the cover part is lowered into the body part by a predetermined depth, thereby exposing the collision part to the outside.

상기 차량속도 감지부로부터 정속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커버부가 상기 충돌부에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 롤러부가 구동되고, 상기 차량속도 감지부로부터 과속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커버부가 상기 충돌부와 동일 선상의 위치로부터 5cm ∼ 7cm 만큼 하강하도록 상기 구동 롤러부가 구동되는 것일 수 있다. When a constant speed signal is detected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the driving roller unit is driven so that the cover unit is located on the same line with the collision unit, and when an overspeed signal is detected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the cover unit is connected to the collision unit. The driving roller unit may be driven to descend by 5 cm to 7 cm from a position on the same line.

상기 충돌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벽에서 바깥쪽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벽에는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스토퍼 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 롤러부의 롤러가 상기 측벽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The collision part is formed in a shape bent at right angles outward from the sidewall of the main body, and a stopper member protruding inward is installed on the sidewall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roller of the driving roller is tilted toward the sidewall. may be supporting

상기 구동 롤러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벽에 설치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로드가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선회 샤프트를 통해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The driving roller unit includes a cylinder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main body, a connecting plate to which a rod of the cylinder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a pivot shaft, and a roller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connecting plate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It may be made including.

상기 구동 롤러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충돌부에 동일 선상에 위치에서, 상기 로드가 상기 실린더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상기 커버부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충돌부와 동일 선상의 위치로부터 5cm ∼ 7cm 만큼 하강한 위치에서, 상기 로드가 상기 실린더로 인입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실린더는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In the driving roller part, when the cover part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with the collision part, the rod is withdrawn from the cylinder and the connection plate is maintained in a vertical state with respect to the cover part, and the cover part and the collision part At a position descended by 5 cm to 7 cm from a position on the same line, the rod is introduced into the cylinder, the connection plate is tilted to one side, and the cylinder can be maintained parallel to the ground.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고안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solution to the above problems does not enumerate all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advantages and effects will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elow.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도로에 언덕형태로 설치된 과속 방지턱을 대체하여 도로 미관은 물론이고 운전자와 차량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감속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nducing deceleration while ensuring the safety of the driver and vehicle as well as the aesthetics of the road by replacing the speed bump installed in the form of a hill on the existing road.

또한 차량의 과속시에만 작동하여 규정속도 이내에서는 원활한 교통흐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operates only when the vehicle is speeding, so it has the effect of securing smooth traffic flow within the prescribed speed.

아울러 규정속도 이내로 통과시 운전자에게 어떠한 물리적 충격이 가해지지 않음으로써 이러한 보상심리를 통한 정속 주행에 대한 습관화(Nudge effect)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no physical impact is applied to the driver when passing within the prescribed speed, it is possible to induce a habituation (nudge effect) for constant speed driving through such compensation psychology.

도 1은 종래의 과속 방지턱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의 투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태로부터 커버가 하강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도,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1 is an install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speed bump,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overspeed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mart overspeed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smart overspeed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lowered from the state of FIG. 4;
6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a smart overspeed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7 is a use state diagram of a smart overspeed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contributor appropriately uses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f there is no other definition in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they hav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 are omitted. The drawing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indicated by like numerals wherever possible.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는 커버부(10)와 본체부(2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2 , the smart overspeed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ver part 10 and a body part 20.

커버부(10)는 선회부(50)를 기점으로 본체부(20)의 상부에서 일정각도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선회부(50)는 제1 선회 샤프트(50a)와 제2 선회 샤프트(50b)를 통해 본체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over part 10 is installed to be able to turn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part 20 with the turning part 50 as a starting point. In addition, the pivoting unit 5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20 through the first pivoting shaft 50a and the second pivoting shaft 50b.

한편 본체부(20)의 내부에는 지중에 매설시 배수를 위해 배수부(30)가 바닥에 형성된다. 또한 커버부(10)를 본체부(20)에서 작동하도록 구동 롤러부(40)가 설치된다. 구동 롤러부(40)는 제1 지지 롤러(40a)와 제2 지지 롤러(40b)가 본체부(20)의 내부에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inside the body portion 20, a drainage portion 30 is formed on the bottom for drainage when buried in the ground. In addition, a driving roller unit 40 is installed to operate the cover unit 10 on the body unit 20 . The driving roller unit 40 includes a first support roller 40a and a second support roller 40b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20 .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20)에는 실린더(41)가 연결 플레이트(45)와 연결되고 롤러 플레이트(46)를 통해 롤러(47)를 선회시킬 수 있다. 이때 본체부(20)의 내측벽에는 실린더 연결 블럭(42)이 설치되어 실린더(41)의 일단이 연결되고 실린더(41)의 타단 측에는 로드(42)가 장착되고, 이 로드(42)에는 연결 플레이트(45)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41)의 로드(42)가 실린더(41)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연결 플레이트(45)가 도 3과 같이 일정반경으로 선회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 cylinder 41 of the main body 20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plate 45 and a roller 47 may be rotated through a roller plate 46 . At this time, a cylinder connection block 42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20, one end of the cylinder 41 is connected, and a rod 42 i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cylinder 41, and the rod 42 is connected. Plate 45 is connected. Accordingly, the rod 42 of the cylinder 41 is moved in a linear direction in the cylinder 41, and the connection plate 45 can be turned at a constant radius as shown in FIG. 3.

한편 연결 플레이트(45)에는 롤러 플레이트(45)가 연결되는데 이 롤러 플레이트(45)에는 롤러(47)가 장착된다. 여기서 롤러 플레이트(46)는 본체부(20)의 내부에 장착된 전방 지지블럭(44)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실린더(41)의 작동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45)가 구동되면, 롤러 플레이트(46)도 전방 지지블럭(44)에서 선회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롤러 플레이트(46)의 선단에 연결된 롤러(47)는 실린더(41)의 구동에 의해 커버(11)의 하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일정반경으로 선회될 수 있다. Meanwhile, a roller plate 45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ate 45, and a roller 47 is mounted on the roller plate 45. Here, the roller plate 46 is pivotally mounted by the front support block 44 mounted inside the body portion 20, and when the connecting plate 45 is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41, the roller plate ( 46) also pivots on the front support block 44. As a result, the roller 47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roller plate 46 can be turned at a predetermined radius while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11 by driving the cylinder 41 .

따라서 실린더(41)가 구동되면 로드(43)의 직선 운동이 연결 플레이트(45)의 선회운동으로 전환되고, 이와 연결된 롤러 플레이트(46)의 선회 운동이 롤러(47)를 일정반경으로 선회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롤러(47)에 의해 지지된 커버(11)가 충돌부(21)와 동일한 상태로부터 하방으로 치우친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cylinder 41 is driven, the linear motion of the rod 43 is converted into the pivoting motion of the connecting plate 45, and the pivoting motion of the roller plate 46 connected therewith turns the roller 47 at a certain radius. . Accordingly, the cover 11 supported by the rollers 47 can be switched from the same state as the collision part 21 to a downward biased state.

여기서 롤러(47)는 표면의 일부가 탄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어 커버(11)의 마찰음이나 마모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roller 47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reduce the occurrence of frictional noise or abrasion of the cover 11 .

한편 충돌부(21)는 도 3의 (b)와 같이 본체부(20)의 측벽에서 바깥쪽으로 절곡된 절곡편이 부착한 형태로 제공된다. 물론 별도의 절곡편의 부착없이 측벽의 상단의 일부를 바깥쪽으로 절곡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절곡정도는 차량 바퀴가 통과할 때,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일정곡률의 완만한 라운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collision part 21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attached bent piece bent outward from the side wall of the body part 20, as shown in (b) of FIG. Of course, it may be formed by bending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utward without attaching a separate bending piece. Here, the degree of bending is preferably provided in a gentle round shape with a certain curvature so as not to cause damage when a vehicle wheel passes.

또한 커버(11)가 충돌부(12)와 동일한 선상에 위치한 경우(즉 차량이 정속 주행하는 경우의 장치의 상태)에는 롤러 플레이트(46)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실린더(41)의 선단이 일정각도로 하향으로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cover 11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collision part 12 (that is, the state of the device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constant speed), the cylinder 41 can be maintained so that the roller plate 46 can be maintained in a vertically erected state. The front end of the is inclined downward at a certain angle.

반면 커버(11)가 충돌부(12)로부터 대략 5~7cm 정도 하강한 경우(즉 차량이 과속 주행하는 경우)에는 롤러 플레이트(56)가 바깥쪽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가 되고, 이때 롤러(47)는 본체부(20)의 내측벽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실린더(41)는 이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면에 평행한 자세를 취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ver 11 descends approximately 5 to 7 cm from the impact part 12 (that is,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t high speed), the roller plate 56 is tilted outward at a certain angle, and at this time, the roller 47 ) remain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body portion 20 while the cylinder 41 takes a posture parallel to the ground to maintain this state.

여기서 본체부(20)의 내부에는 후방 지지 블럭(22)이 설치되고, 후방 지지 블럭(22)의 상부에는 선회 샤프트(50a)를 매개로 커버(11)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Here, a rear support block 22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portion 20, and a cover 11 is pivotab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rear support block 22 via a pivot shaft 50a.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는 본체(51)의 상면에 커버(61)가 선회축(62)을 기점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커버(61)의 말단에는 말단에 경사면으로 처리된 인입단(63)이 형성되고, 본체(51)에는 인입단(63)과 근접하도록 마감단(51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61)의 하강시 인입단(63)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도 5와 같이 인입단(63)의 경사면이 마감단(51a)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 in the smart overspeed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cover 61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51 so as to be able to turn around the pivot 62 as a starting point. In addition, at the end of the cover 61, an inlet end 63 having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nd a closing end 51a is formed in the main body 51 so as to be close to the inlet end 63. Accordingl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let end 63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closing end 51a as shown in FIG. 5 so that the end of the inlet end 63 does not protrude outside when the cover 61 is lowered.

다음으로 선회축(62)은 본체(51)의 내부에 설치된 후방 지지블럭(54)에 상에 설치된다. 또한 커버(61)의 하면에는 롤러(71)가 연결 플레이트(74)에 의해 선회 샤프트(73)에서 지지된다. 또한 본체(51)의 바닥면에는 자연 배수를 위한 배수부(80)가 형성되어 있다. Next, the pivot shaft 62 is installed on the rear support block 54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51. In addi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61, the roller 71 is supported by the pivoting shaft 73 by the connection plate 74. In addition, a drainage part 80 for natural drainag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51 .

한편 본체(51)의 내측벽에는 스토퍼 부재(55)가 형성된다. 이 스토퍼 부재(55)는 커버(61)가 본체(51) 상에서 하강된 상태에서 롤러(71)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차량이 과속하는 경우 커버(61)가 본체(51)의 내부로 일정폭(5~7cm) 하강된 상태에서 롤러(71)가 더욱 더 하강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중량에 의해 커버(61)의 침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Meanwhile, a stopper member 55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51 . This stopper member 55 functions to support the roller 71 in a state where the cover 61 is lowered on the main body 51 . That is, when the vehicle speeds up, the cover 61 functions to limit the further descent of the roller 71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61 is descended by a certain width (5 to 7 cm) into the body 51. For example, it serves to prevent the cover 61 from sinking due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또한 본체(51)의 하부에는 설치시 본체(51)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거나 수평을 조율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52)가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충돌부(53)의 노출면(차량의 과속시)에는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다수의 LED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 height adjusting unit 52 for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r leveling of the body 51 during installation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51 . Referring to FIG. 5 , a plurality of LEDs are install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llision part 53 (when the vehicle is speeding) to warn the driver.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는 차량이 정속으로 통과하는 경우의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즉 연결 플레이트(74)가 커버(61)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이루도록 실린더(91)가 유지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 (a) of FIG. 6 shows an internal state of the smart speed prevention device when a vehicle passes at a constant speed. That is, the cylinder 91 is maintained so that the connection plate 74 is vertically erected with respect to the cover 61 .

도 6의 (b)는 차량이 과속으로 통과하는 경우의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즉 실린더(91)의 로드(92)가 인입되어 롤러(71)가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만큼 이동된 상태로서, 롤러(71) 상에 커버(61)의 선단이 본체(51) 내부로 하강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충돌부(53)가 노출되고 차량이 이 충돌부(53)에 부딪혀 운전자에게 덜컹거림을 제공하여 과속을 인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체(51)의 내측벽에는 스토퍼(55)가 장착되어 기울어진 상태의 롤러(71)를 지지함으로써 차량 통과시 차량 중량에 의해 커버(61)가 설정폭 보다 더 많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Figure 6 (b) shows the internal state of the smart speed prevention device when the vehicle passes at speed.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rod 92 of the cylinder 91 is drawn in and the roller 71 is moved clock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front end of the cover 61 descends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51 on the roller 71 achieve a state In this state, the collision portion 53 is exposed, and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collision portion 53 to provide a rattle to the driver, thereby allowing the driver to recognize speeding. Here, a stopper 55 is mounted o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51 to support the roller 71 in an inclined state, thereby preventing the cover 61 from sinking more than the set width due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passes.

즉, 커버(61)가 차량 중량에 의해 설정폭(예를 들어, 5~7cm)보다 더 침하된 상태를 이루게 되면 보다 큰 덜컹거림이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충돌부(53)의 충돌면적이 깊어져 차량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지요소로서 스토퍼(55)가 설치된다. That is, when the cover 61 is more depressed than the set width (for example, 5 to 7 cm) by the weight of the vehicle, a greater rattle can be provided to the driver, and in some cases, the collision part 53 Since the impact area of ) becomes deep and can lead to damage to the vehicle, a stopper 55 is installed as a support element to solve this problem.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는 도 7과 같이 레이더 측정방식의 속도 감지부를 통해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고, 기준속도보다 빠른 '과속'을 감지하면, 대략 1초 이내에 구동 롤러부를 구동시켜 본체에서 커버를 일정폭(예를 들어 6cm 이하)로 하강시킨 상태로 전환시킨다. As shown in FIG. 7, the smart speeding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etects the speed of a passing vehicle through the speed sensor of the radar measurement method, and detects 'overspeed' faster than the reference speed, and detects the driving roller unit within about 1 second. It is driven to convert the cover from the main body to a state in which it is lowered to a certain width (for example, 6 cm or less).

따라서 주행하는 차량은 커버의 하강으로 노출된 충돌부(53; 도 6)에 차량의 바퀴가 부딛히게 되어 운전자는 차량의 덜컹거림을 느끼게 됨으로써 과속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속도 감지부가 '정속'을 감지하면 커버는 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driving vehicle's wheels collide with the impact portion 53 (FIG. 6) exposed by the lowering of the cover, and the driver feels the vehicle's rattle, thereby recognizing speeding. Of course, when the speed detector detects 'constant speed', the cover maintains its position on the same line as the ground, enabling smooth driving.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지면에 매립되는 방식으로서 기존에 도로에 언덕형태로 설치된 과속 방지턱을 대체하여 도로 미관은 물론이고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도 차량의 감속을 유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buried in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induce deceleration of the vehicle while ensuring the safety of the driver as well as the aesthetics of the road by replacing the existing speed bump installed in the form of a hill on the road.

또한 본 고안은 차량의 과속시에만 작동함으로써 규정속도 이내에서는 원활한 교통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only when the vehicle is speeding, so that smooth traffic flow can be secured within the prescribed speed.

아울러 규정속도 이내로 통과시 운전자에게 어떠한 물리적 충격이 가해지지 않음으로써 이러한 보상심리를 통한 정속 주행에 대한 습관화(Nudge effect)를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no physical impact is applied to the driver when the vehicle passes within the prescribed speed, it is possible to induce a habituation (nudge effect) for constant speed driving through such compensation psychology.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find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10: 커버부
11: 커버
11a: 선회축
20: 본체부
22: 후방 지지블럭
30: 배수부
40: 구동 롤러부
40a: 제1 지지롤러
40b: 제2 지지롤러
41: 실린더
42: 실린더 연결 블럭
43: 로드
44: 전방 지지블럭
45: 연결 플레이트
46: 롤러 플레이트
50: 선회부
50a: 제1 선회 샤프트
50b: 제2 선회 샤프트
51: 본체
51a: 마감단
52: 높이 조절부
53: 충돌부
54: 후방 지지블럭
55: 스토퍼 부재
61: 커버
62: 선회축
63: 인입단
71: 롤러
72: 롤러 지지축
73: 선회 샤프트
74: 연결 플레이트
80: 배수부
10: cover part
11: cover
11a: pivot
20: body part
22: rear support block
30: drainage part
40: drive roller unit
40a: first support roller
40b: second support roller
41: cylinder
42: cylinder connection block
43: load
44: front support block
45: connection plate
46: roller plate
50: turning part
50a: first turning shaft
50b: second turning shaft
51: body
51a: closing stage
52: height adjustment unit
53: collision part
54: rear support block
55: stopper member
61: cover
62: pivot
63: lead-in end
71: roller
72: roller support shaft
73: turning shaft
74: connection plate
80: drainage part

Claims (5)

지중에 매설되고 가장자리에 충돌부가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실린더에 의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어 상기 커버부를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하강시키거나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구동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롤러부는 차량 속도 감지부와 연동하여 구동되며, 상기 차량 속도 감지부로부터 과속 신호가 접수되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일정깊이만큼 하강하여 상기 충돌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본체부의 내측벽에는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스토퍼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벽에 설치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로드가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선회 샤프트를 통해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롤러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충돌부와 동일 선상의 위치에서, 상기 로드가 상기 실린더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상기 커버부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충돌부와 동일 선상의 위치로부터 5cm ∼ 7cm 만큼 하강한 위치에서, 상기 로드가 상기 실린더로 인입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구동 롤러부의 상기 롤러가 상기 내측벽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
A body part buried in the ground and provided with a collision part at an edge;
a cover portion having one end pivotab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driving roller par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part and turned at a predetermined radius by a cylinder to lower the cover part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art or to return to an original state,
The driving roller unit is driven in conjunction with the vehicle speed sensor, and when an overspee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it turns at a predetermined radius so that the cover unit descends into the body unit by a predetermined depth, thereby exposing the collision unit to the outside. ,
A stopper member protruding inward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The driving roller unit includes a cylinder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main body, a connecting plate to which a rod of the cylinder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a pivot shaft, and a roller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connecting plate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to provide,
In the driving roller part, the rod is withdrawn from the cylinder at a position where the cover part is on the same line as the collision part, and the connection plate is maintained in a vertical state with respect to the cover part,
At a position where the cover part descends by 5 cm to 7 cm from a position on the same line as the collision part, the rod is drawn into the cylinder and the connection plate is inclined to one side, and the roller of the driving roller part is inclined toward the inner wall Smart overspeed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member supports the roller in the Jin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속도 감지부로부터 정속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커버부가 상기 충돌부에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 롤러부가 구동되고,
상기 차량속도 감지부로부터 과속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커버부가 상기 충돌부와 동일 선상의 위치로부터 5cm ∼ 7cm 만큼 하강하도록 상기 구동 롤러부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a constant speed signal is sensed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the drive roller unit is driven so that the cover unit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collision unit,
When an overspeed signal is detected from the vehicle speed detector, the driving roller unit is driven so that the cover unit descends by 5 cm to 7 cm from a position on the same line as the collis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벽에서 바깥쪽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speed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lision part is made of a shape bent at a right angle outward from the sidewall of the main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220002251U 2021-02-16 2022-09-20 Smart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speed KR20049675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251U KR200496757Y1 (en) 2021-02-16 2022-09-20 Smart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spe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543A KR20220116992A (en) 2021-02-16 2021-02-16 Smart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speed
KR2020220002251U KR200496757Y1 (en) 2021-02-16 2022-09-20 Smart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spee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543A Division KR20220116992A (en) 2021-02-16 2021-02-16 Smart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spe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547U KR20220002547U (en) 2022-10-24
KR200496757Y1 true KR200496757Y1 (en) 2023-04-17

Family

ID=830928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543A KR20220116992A (en) 2021-02-16 2021-02-16 Smart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speed
KR2020220002251U KR200496757Y1 (en) 2021-02-16 2022-09-20 Smart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speed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543A KR20220116992A (en) 2021-02-16 2021-02-16 Smart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spe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16992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639B1 (en) * 2023-03-06 2024-01-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peed hump driving system for selectively adjusting bump height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6305A1 (en) * 2010-10-26 2013-08-22 Edeva Ab Road module for regulation of vehicle passability at a road section
KR102003832B1 (en) 2018-12-31 2019-07-25 (주)재성기술단 Speeding brakes on roads with buffering cap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659U (en) * 1996-10-31 1998-07-25 김계호 Road breaker
KR100878984B1 (en) * 2007-06-11 2009-01-14 공철규 Speed reaction type prominence for overspeed prevention
KR20110125038A (en) * 2010-05-12 2011-11-18 노화준 Speed bump apparatus elev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6305A1 (en) * 2010-10-26 2013-08-22 Edeva Ab Road module for regulation of vehicle passability at a road section
KR102003832B1 (en) 2018-12-31 2019-07-25 (주)재성기술단 Speeding brakes on roads with buffering cap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992A (en) 2022-08-23
KR20220002547U (en)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6757Y1 (en) Smart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speed
KR102496250B1 (en) Sopiler system of vehicle which controls airplow to environmental factor
CN108136993B (en) Independent vehicle ride height adjustment
CN110998027A (en) Device with electrically or pneumatically actuated folding mechanism for facilitating reduction of vehicle speed
EP1787613B1 (en) Vehicle, device and process for accessing said vehicle by persons with reduced mobility
CN103921852A (en) Deployable Front Air Dam
CN103514756B (en) Narrow position auxiliary system in motor vehicle
CN108978508A (en) One kind being servo-actuated efficient deceleration strip
JP2011060113A (en) Collision avoidance support device for vehicle
CN106347272A (en) Vehicle rear protection
KR101146608B1 (en) Electric controlled auto bollard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KR20100018366A (en) Auto-adjusting device of head light and fog light
KR102023410B1 (en) Speed reaction type overspeed prevention system
KR102568360B1 (en) Safety sign board system
KR20140095086A (en) Method-system of parking a vehicle using only front road course and placement of the rear of the vehicle in a final parking position by an auxiliary mechanism
CN205329539U (en) Anti -collision bridge guardrail
EP1031497A2 (en) Adjustment device for an air deflector
EP1859996B1 (en) Transport vehicle equipped with access device for persons with reduced mobility
KR20170117253A (en) Underground type barricade with tire killer
KR102203663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converse driving
CN206870975U (en) The detection external member of blind spot detection system
CN108103883B (en) A kind of packaged type terraced slope pad
KR200180083Y1 (en) Overspeed prevention device
KR20230069348A (en) Speed Bump
CN220746678U (en) Novel property traffic lane g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